KR20060113460A - 육아 기구 - Google Patents

육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460A
KR20060113460A KR1020060037661A KR20060037661A KR20060113460A KR 20060113460 A KR20060113460 A KR 20060113460A KR 1020060037661 A KR1020060037661 A KR 1020060037661A KR 20060037661 A KR20060037661 A KR 20060037661A KR 20060113460 A KR20060113460 A KR 20060113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holding
roller
rail
movab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7793B1 (ko
Inventor
츠토무 후카사와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동부가 유지부 위를 원활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육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과제는 가동부의 정지 중에 상기 가동부로부터의 적재 하중이 유지부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가동부가 이동하지 않는 육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는 위쪽으로 회동(回動) 가능한 롤러(21)를 갖는 동시에 고정 가능한 유지부(20)와, 유지부(20) 위에 탑재 배치되며, 시트부(11a)와 등받이부(11b)를 지지하는 가동부(30)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부(30)는 유지부(20)의 롤러(21)에 접촉하는 만곡 형상의 레일(31)을 갖는다. 가동부(30)는 유지부(20) 위를 왕복 이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육아 기구는 각부(脚部)(13)의 위쪽에 설치된 유지부(20)와, 유지부(20) 위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탑재 배치되고, 육아 기구 본체부(11)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동시에 바닥부에 피결합 부재(32)를 갖는 가동부(30)와, 록킹부(40)를 구비하고 있다. 록킹부(40)는 유지부(20) 위에 설치되고, 피결합 부재(32)를 들어올려 결합하는 결합 부재(41)와, 조작 레버(42)와, 결합 부재(41)와 조작 레버(42) 사이에 연결된 링크 기구(45)를 갖는다. 조작 레버(42)의 수평 방향 이동에 의해 결합 부재(41)는 링크 기구(45)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가동부, 유지부, 레일, 록킹부, 결합 부재, 조작 레버, 링크 기구

Description

육아 기구{CHILDCAR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육아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육아 기구에서의 유지부, 이 유지부 위에 탑재 배치한 가동부 및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유지부, 가동부 및 록킹부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유지부, 가동부 및 록킹부를 위쪽에서 본 상면도.
도 5는 도 2의 유지부, 가동부 및 록킹부를 X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6은 도 2의 유지부, 가동부 및 록킹부를 Y방향에서 본 우측면도.
도 7은 도 2의 유지부 및 가동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X방향에서 본 횡단면도.
도 8은 도 2의 유지부 및 가동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X방향에서 본 횡단면도.
도 9는 도 7의 유지부 및 가동부의 P-P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유지부, 가동부 및 록킹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X방향에서 본 횡단면도.
도 11은 도 2의 유지부, 가동부 및 록킹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X방향에서 본 횡단면도.
도 12는 도 1의 육아 기구에서의 다른 구성의 유지부, 및 이 유지부 위에 탑재 배치한 가동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육아 기구 11 : 육아 기구 본체부
11a : 시트부 11b : 등받이부
11c, 11c : 암 레스트(arm rest) 11d : 스텝
11e : 헤드레스트(headrest) 12, 12 : 측판
13 : 각부(脚部) 13a, 13a : 전각(前脚)
13b, 13b : 후각(後脚) 13c, 13d : 캐스터(caster)
13e : 스토퍼(stopper) 20 : 유지부
21 : 롤러 21a : 상측 에지부
21b : 하측 에지부 21c : 축
22 : 지지 부재 22a, 22a : 판 형상 부재
26 : 결합 부재 가이드 레일 26a : 홈부
30 : 가동부 30a : 중공(中空) 부분
31 : 레일 31a : 단부(端部)
32 : 피결합 부재 33 : 롤러 정지부
40 : 록킹부 41 : 결합 부재
41a : 오목부 42 : 조작 레버
45 : 링크 기구 47 : 수평 방향 이동 부재
48 : 연결 부재 48a : 일단(一端)
48b : 타단(他端) 50 : 유지부
51 : 레일 60 : 가동부
61 : 롤러 61a : 상측 에지부
61b : 하측 에지부 61c : 축
본 발명은 신생아, 영아 및 아동을 포함하는 유아의 의자 또는 침대로서 이용되는 육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육아 기구로서, 아래쪽 단부에 캐스터(caster)가 설치된 좌우 한 쌍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과, 각 전각 및 각 후각의 위쪽 단부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측판과,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각 측판을 덮는 한 쌍의 암 레스트(arm rest)를 갖는 육아 기구 본체부를 구비하며, 의자 또는 침대로서 이용되는 것이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육아 기구에서, 육아 기구 본체부는 암 레스트 이외에, 시트부와, 시트부의 전방 아래쪽으로 연결된 스텝과, 시트부의 후단(後端)으로부터 수직 방향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등받이부와, 등받이부의 위쪽으로 연결된 헤드레스트(headrest)를 갖고 있다. 이들 각 부분은 연결 개소에서 서로 젖힐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육아 기구는 유아의 의자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각부(脚部)와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대략 수평 상태로 되도록 젖힘으로써 유아의 침대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전각 및 후각은 측판에 대하여 부착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육아 기구 본체부의 위치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또한, 육아 기구 본체부의 시트부와 등받이부는 합성 수지 등의 시트(sheet)에 의해 덮여 있다.
이러한 육아 기구로서는, 각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의 레일을 갖는 유지부와, 시트부와 등받이부로 이루어지는 육아 기구 본체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유지부의 레일 위를 왕복 이동하는 회동 가능한 롤러를 갖는 가동부를 더 구비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육아 기구에서는 가동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롤러가 유지부의 만곡 형상의 레일 위를 왕복 이동함으로써, 가동부가 유지부 위를 왕복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유아가 탑승해야 할 시트부와 등받이부가 각부에 대하여 요동(搖動)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육아 기구에 탑승한 유아에게 쾌적한 흔들림을 부여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2003-24189호
그러나, 이러한 육아 기구에서는 가동부 측에 부착된 롤러가 유지부 측에 부착된 레일 위를 왕복 이동할 때에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육아 기구에서는 가동부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동부로부터의 적재 하중이 유 지부에 직접 가해져서, 예를 들면 롤러나 레일에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동부의 정지 중에, 알 수 없는 이유로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가동부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동부가 유지부 위를 원활하게 왕복 이동하고,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육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동부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지부와 가동부 사이에 틈을 설치하여 유지부에 대하여 가동부를 잠글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의 정지 중에 상기 가동부로부터의 적재 하중이 유지부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가동부가 이동하지 않는 육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은 시트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육아 기구 본체부와, 상기 육아 기구 본체부를 지지하는 각부와, 각부의 위쪽에 설치되고, 위쪽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를 갖는 유지부와, 유지부 위에 탑재 배치되며, 유지부의 롤러에 접촉하는 만곡 형상의 레일을 갖고, 육아 기구 본체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가동부를 구비하며, 가동부는 유지부 위를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레일 표면이 아래로 향해 있기 때문에, 상기 레일 위에 먼지 등이 축적되지 않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는 유지부 위를 원활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에서는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롤러 단면(斷面)의 상측 에지부 및 하측 에지부가 볼록한 형상의 만곡 형상을 갖고,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 단면은 위쪽이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에서는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롤러 단면의 상측 에지부 및 하측 에지부가 볼록한 형상의 만곡 형상을 갖고,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 단면은 위쪽이 볼록해지는 V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가 유지부 위를 왕복 이동할 때에, 이 가동부가 롤러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 때문에 가동부가 유지부의 일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에서는 가동부에서 레일의 길이 방향의 일단(一端) 또는 양단(兩端)에 완충 부재를 갖고, 롤러에 맞닿아 롤러에 대한 레일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롤러 정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가 유지부 위를 왕복 이동할 때에, 가동부에서의 레일의 길이 방향 단부(端部) 근방에 롤러가 충돌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에서는 롤러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레일은 각각의 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는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부 위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시트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육아 기구 본체부와, 상기 육아 기구 본체부를 지지하는 각부와, 각부의 위쪽에 설치되며, 만곡 형상의 레일을 갖는 유지부와, 유지부 위에 탑재 배치되며, 유지부의 레일 위를 왕복 이동하는 회동 가능한 롤러를 아래쪽에 갖는 동시에 육아 기구 본체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가동부를 구비하고,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롤러 단면의 상측 에지부 및 하측 에지부가 볼록한 형상의 만곡 형상을 가지며,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 단면은 아래쪽이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고, 가동부는 유지부 위를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이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가 유지부 위를 왕복 이동할 때에, 이 가동부가 상기 롤러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 때문에 가동부가 유지부의 일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시트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육아 기구 본체부와, 상기 육아 기구 본체부를 지지하는 각부와, 각부의 위쪽에 설치된 유지부와, 유지부 위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탑재 배치되고, 육아 기구 본체부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동시에 바닥부에 피(被)결합 부재를 갖는 가동부와, 유지부 위에 설치되고, 피결합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피결합 부재를 들어올리는 결합 부재, 조작 레버, 및 결합 부재와 조작 레버 사이에 연결된 링크 기구를 갖는 록킹부를 구비하며, 조작 레버의 수평 방향 이동에 의해 결합 부재는 링크 기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가동부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지부와 가동부 사이에 틈을 설치하여 지지부에 대하여 가동부를 잠글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의 정지 중에 상기 가동부로부터의 적재 하중이 유지부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가동부가 이동하지 않는 육아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에서는 링크 기구가 유지부 위를 슬라이딩하는 수평 방향 이동 부재, 및 수평 방향 이동 부재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링크 기구의 연결 부재는 결합 부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수평 방향 이동 부재는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조작 레버에 작용되는 수평 방향의 힘을, 수평 방향 이동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통하여 결합 부재의 수직 방향의 힘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에서는 가동부에 복수의 피결합 부재가 설치되고, 록킹부에 복수의 결합 부재가 설치되며, 각 결합 부재는 각각의 피결합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록킹부가 가동부를 수직 방향 위쪽으로 들어올려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에서는 유지부에, 결합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부재 가이드 레일을 설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결합 부재를 더욱 안정적으로 수직 방향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에서는 가동부의 피결합 부재는 막대 형상의 것이며, 결합 부재는 피결합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결합 부재를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피결합 부재와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으로 록킹부가 가동부를 수직 방향 위쪽으로 들어올려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육아 기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육아 기구(10)에서의 유지부(20), 이 유지부(20) 위에 탑재 배치한 가동부(30), 및 록킹부(4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유지부(20), 가동부(30), 및 록킹부(40)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유지부(20), 가동부(30), 및 록킹부(40)를 위쪽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유지부(20), 가동부(30), 및 록킹부(40)를 X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유지부(20), 가동부(30), 및 록킹부(40)를 Y방향에서 본 우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아 기구(10)는 육아 기구 본체부(11)와, 육아 기구 본체부(11)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동시에 육아 기구 본체부(11)를 지지하는 각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육아 기구 본체부(11)는 시트부(11a)와, 이 시트부(11a)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된 등받이부(11b)와, 시트부(11a)의 측방에 설치된 한 쌍의 측판(12, 12)을 갖고 있다.
또한, 육아 기구 본체부(11)의 시트부(11a)의 양측방에 설치된 각 측판(12, 12)에는 한 쌍의 암 레스트(11c, 11c)가 씌워져 있고, 또한 시트부(11a)의 전방 아래쪽에는 스텝(11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11b)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11e)가 설치되며, 또한 등받이부(11b)는 시트부(11a)에 대하여 후방으로 젖힐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부(13)는 육아 기구 본체부(11)를 지지하는 것이며, 이 각부(13)는 좌우 한 쌍의 전각(13a, 13a)과, 후각(13b, 13b)으로 이루어진다. 각 전각(13a) 및 각 후각(13b)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중간부에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육아 기구(10)를 측방에서 보았을 때 X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부(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부(20) 및 가동부(30)를 통하여 육아 기구 본체부(1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전각(13a, 13a) 및 후각(13b, 13b)의 아래쪽 단부에는 각각 캐스터(13c, 13d)가 설치되어 있다. 각 캐스터(13c, 13d)는 스토퍼(stopper)(13e)를 갖고, 이 스토퍼(13e)를 강하시킴으로써, 각 캐스터(13c, 13d)는 고정된다. 또한, 이 캐스터(13c, 13d)를 고정시킴으로써, 각부(13) 전체가 바닥면(F)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육아 기구(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아용 의자로서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등받이부(11b)를 후방으로 젖힘으로써 유아용 침대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부(13)의 각 전각(13a) 및 각 후각(13b)은 각각의 중간부에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전각(13a)의 캐스터(13c)와 각 후각(13b)의 캐스터(13d)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육아 기구 본체부(11)의 위치를 낮출 수 있고, 또한 각 전각(13a)의 캐스터(13c)와 각 후각(13b)의 캐스터(13d)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육아 기구 본체부(11)의 위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육아 기구(10)의 육아 기구 본체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부(20) 및 가동부(30)를 통하여 각부(13)에 지지되고, 또한 유지부(20)와 가동부(30) 사이에는 유지부(20)에 대한 가동부(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록킹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20)는 각부(13)의 상부에 부착되고, 가동부(30)는 육아 기구 본체부(11)의 시트부(11a)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중, 가동부(30)는 유지부(20) 위를 도 2의 Y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록킹부(40)에 의해 유지부(20)에 대한 가동부(3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하에서, 유지부(20), 가동부(30) 및 록킹부(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유지부(20), 가동부(30), 및 록킹부(4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 중,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유지부(20) 및 가동부(3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X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유지부(20) 및 가동부(30)의 P-P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도 2의 유지부(20), 가동부(30) 및 록킹부(4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X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각부(13) 측에 부착된 유지부(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정사각형 또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을 갖고 있고, 그 4코너 각각의 위쪽에는 지지 부재(22)가 부착되어 있으며, 각 지지 부재(22)는 한 쌍의 판 형상 부재(22a, 22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 지지 부재(22)의 한 쌍의 판 형상 부재(22a, 22a) 사이에는 도 2의 X방향을 축선(軸線)으로 하는 축(21c)을 통하여, 롤러(21)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육아 기구 본체부(11)의 시트부(11a) 측에 부착된 가동부(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20)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대략 정사각형 또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을 갖고 있고, 이 가동부(30)의 중앙에 대략 정사각 형 또는 대략 직사각형의 중공(中空) 부분(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부(30)에는 유지부(20) 각각의 롤러(21)에 대응하는 4코너의 위치에, 도 2의 X방향에서 보았을 때 만곡 형상으로 되는 4개의 동일 형상의 레일(3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레일(31)은 가동부(30)측 에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30)는 이 가동부(30)의 4코너의 각 레일(31)이 유지부(20)의 4코너의 각 롤러(21)에 각각 접촉하도록 유지부(20) 위에 탑재 배치된다. 이 때, 상기 가동부(30)는 유지부(20)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30)의 왕복 이동 방향(도 2의 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롤러(21)의 단면의 상측 에지부(21a) 및 하측 에지부(21b)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한 형상의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이 가동부(30)의 왕복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31)의 단면은 위쪽이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롤러(21)와 이 롤러(21)의 양측방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22)의 한 쌍의 판 형상 부재(22a, 22a) 사이에는 틈(g)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9에 나타낸 레일(31)의 단면에서의 만곡 반경 RB는 롤러(21)의 단면의 상측 에지부(21a) 및 하측 에지부(21b)의 만곡 반경 RA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롤러(21)와 레일(31)은 도 9에 나타낸 단면도에서 일점(P)으로 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롤러(21)와 레일(31)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30)가 유지부(20)에 대하여 롤러(21)의 축(21c)의 축선 방향( 도 9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육아 기구 본체부(11)로부터 가동부(30)에 가해지는 적재 하중에 의해 레일(31)에 아래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롤러(21)가 회전하고, 레일(31) 중앙의 홈 부분에 롤러(21)가 접촉하도록 가동부(30)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30)의 왕복 이동 방향(도 2의 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 롤러(21)의 위치를 항상 레일(31) 중앙의 홈 부분에 유지할 수 있다(도 9 참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30)에는 레일(31)의 길이 방향의 단부(31a)의 아래쪽에서,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완충 부재로 이루어지는 롤러 정지부(33)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30)의 왕복 이동 방향(도 5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레일(31, 31)에서, 한쪽 레일(31)에 설치된 롤러 정지부(33)와, 다른쪽 레일(31)에 설치된 롤러 정지부(33)는 각각 대응하는 레일(31, 31) 중 가동부(30)의 중앙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부(30)가 유지부(20)에 대하여 도 5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롤러(21)가 레일(31)의 단부(31a)의 근방 부분에 접근한 경우, 상기 롤러 정지부(33)가 롤러(21)에 맞닿아 유지부(20)에 대한 가동부(30)의 위치를 규제한다. 또한, 롤러 정지부(33)는 고무 등의 완충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롤러 정지부(33)가 롤러(21)에 충돌했을 경우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로 이루어지는 롤러 정지부(33)를 레일(31)의 일단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롤러 정지부(33)를 레일(31)의 일단뿐만 아니라 양단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가동부(30) 중앙의 중공 부분(30a)에는 도 2의 X방향으로 연장되는 막 대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서로 평행해지는 2개의 피결합 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피결합 부재(32)의 양단은 각각 가동부(30) 중앙의 중공 부분(30a)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각 피결합 부재(32)는 가동부(30)의 X축 방향의 중심 연직면(鉛直面)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유지부(20)에 대하여 가동부(30)를 고정시키는 록킹부(40)는, 도 2, 도 3,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20) 위에 탑재 배치되고, 가동부(30)의 피결합 부재(32)와 결합하며, 또한 상기 피결합 부재(32)를 들어올리는 예를 들면 4개의 결합 부재(41)와, 이들 결합 부재(41)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 레버(42)와, 각 결합 부재(41)와 조작 레버(42) 사이에 연결된, 예를 들면 2개의 링크 기구(45)를 갖고 있다. 도 10은 록킹부(40)의 결합 부재(41)가 가동부(30)의 피결합 부재(32)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X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11은 록킹부(40)의 결합 부재(41)가 가동부(30)의 피결합 부재(32)와 결합하여 들어올린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X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각 결합 부재(4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20)에 설치된 결합 부재 가이드 레일(26)의 홈부(26a)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가동부(30) 중앙의 중공 부분(30a)에 설치된 각각의 피결합 부재(3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결합 부재(41)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결합 부재(32)의 막대 형상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예를 들면 만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41a)를 가져, 피결합 부재(32)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결합 부재(41)와 조작 레버(42) 사이를 연결하는 각 링크 기구(45)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 부재(41) 사이에 걸쳐 연장되고, 유지부(20) 위를 슬라이딩하는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와, 이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에 일단(48a)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연결 부재(48)를 갖는다. 이 경우, 각 연결 부재(48)는 각각 결합 부재(41)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45) 각각의 연결 부재(48)는 타단(48b)에서 결합 부재 가이드 레일(26)의 홈부(26a)를 따라 안내되는 결합 부재(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 기구(45)의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는 그 단부에서 조작 레버(42)에 연결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42)는 조작자가 잡고 전후 방향(도 10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록킹부(40)의 결합 부재(41)가 가동부(30)의 피결합 부재(32)와 결합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42)의 가압 방향(도 10의 좌우 방향)에서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에 부착된 연결 부재(48)의 일단(48a)은 타단(48b)보다도 전방측(도 10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 연결 부재(48)의 일단(48a)으로부터 타단(48b)을 향하여 연결된 직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대략 45도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는 유지부(20)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가 이 이상 전방측(도 10의 우측)으로 슬라이딩하지 않게, 그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록킹부(40)의 결합 부재(41)가 가동부(30)의 피결합 부재(32)와 결합하여 들어올린 후의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42)의 가압 방향(도 11의 좌우 방향)에서, 이 조작 레버(42)가 안쪽 방향(도 11의 좌측 방향)으로 눌려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가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에 부착된 연결 부재(48)의 일단(48a)은 타단(48b)보다도 안쪽(도 11의 좌측)에 위치하고, 이 연결 부재(48)의 일단(48a)으로부터 타단(48b)을 향하여 연결된 직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 A는 90도보다도 약간 크게, 예를 들면 100도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는 유지부(20)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가 이 이상 안쪽(도 10의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지 않게, 그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육아 기구 본체부(11)의 시트부(11a) 측에 부착된 가동부(30)가 각부(13) 측에 부착된 유지부(20) 위를 왕복 이동하는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가동부(30)가 유지부(20)에 대하여 정지(靜止)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아 기구 본체부(11) 측으로부터 가동부(30)에 가해지는 적재 하중에 의해 레일(31)에 아래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가동부(30)가 전체로서 강하하기 때문에, 만곡 형상의 레일(31) 중앙의 홈 부분에 유지부(20)의 롤러(21)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예를 들면 조작자가 육아 기구(10)의 시트부(11a) 및 등받이부(11b)를 포함하는 육아 기구 본체부(1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동부(30)가 유지부(20)에 대하여 도 2의 Y방향으로 이동하고, 롤러(21)가 회전하여 레일(31)이 롤러(21) 위를 이동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31)의 단부(31a)가 롤러(21) 근방에 온다. 이 때, 가동부(30)는 유지부(20)에 대하여 조금 들어 올려간다.
도 8에 나타낸 상태에서, 육아 기구(10)의 시트부(11a) 및 등받이부(11b)를 포함하는 육아 기구 본체부(11)를 해제시키면, 육아 기구 본체부(11)로부터 가동부(30)에 가해지는 적재 하중에 의해 레일(31)에 아래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롤러(21)가 회전하여 레일(31)이 롤러(21) 위를 이동한다. 이 때, 육아 기구 본체부(11)로부터의 하중에 의해 유지부(20)에 대하여 가동부(30)가 강하하고, 그 후 유지부(20)에 대한 가동부(30)의 관성(慣性)에 의해 다시 가동부(30)가 상승한다. 이러한 가동부(30)가 유지부(20)에 대하여 강하 및 상승을 반복하면서 가동부(30)가 유지부(20) 위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다음으로, 유지부(20)에 대한 가동부(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가동부(30)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이 가동부(30)가 유지부(20)에 대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부(40)의 결합 부재(41)가 가동부(30)의 피결합 부재(32)보다도 아래쪽으로 이간되어 위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 레버(42)를 안쪽 방향(도 10의 좌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링크 기구(45)의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가 유지부(20) 위를 도 10의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여기서, 링크 기구(45)의 연결 부재(48)는 일단(48a)이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 하게 되어 있고, 타단(48b)이 결합 부재(41)에 연결되어 결합 부재 가이드 레일(26)의 홈부(26a)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가 좌측 방향으로 유지부(20) 위를 슬라이딩하면, 이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연결 부재(48)의 일단(48a)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타단(48b)은 결합 부재(4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고, 연결 부재(48)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20)에 대하여 타단(48b)이 상승하도록 젖히며, 이 결과 연결 부재(48)의 타단(48b)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연결 부재(48)의 타단(48b)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결합 부재(41)가 결합 부재 가이드 레일(26)의 홈부(26a)를 따라 수직 방향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부재(41)가 피결합 부재(32)와 결합하고, 이와 같이 하여 결합 부재(41)가 피결합 부재(32)를 들어올린다. 이 때, 가동부(30)의 레일(31)이 유지부(20)의 롤러(21)로부터 이간되고, 결합 부재(41)와 피결합 부재(32)에 의해 가동부(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록킹부(40)의 결합 부재(41)가 가동부(30)의 피결합 부재(32)를 들어올리는 전후에 있어서,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연결 부재(48)의 일단(48a)은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의 유지부(20) 위의 슬라이딩에 따라, 조작 레버(42)의 가압 방향에서의 타단(48b)보다도 전방측의 위치(도 10 참조)와 타단(48b)보다도 약간 안쪽 위치(도 11 참조) 사이를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록킹부(40)의 결합 부재(41)가 가동부(30)의 피결합 부재(32)를 들어올린 후의 상태에서, 연결 부재(48)의 일단(48a)이 조작 레버(42)의 가압 방향에서 타단 (48b)보다도 전방 측(도 11의 우측)까지밖에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이 경우에, 결합 부재(41)가 피결합 부재(32)를 들어올린 후의 상태에서 조작 레버(42)로부터 손을 놓으면, 가동부(30)에 따른 적재 하중에 의해 연결 부재(48)의 타단(48b)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밀어내어지는 힘이 작용하고, 연결 부재(48)의 일단(48a)은 타단(48b)보다도 전방 측(도 11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일단(48a)에 대하여 전방 방향(도 11의 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작용하고,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가 강제적으로 전방 방향(도 11의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 부재(41)가 피결합 부재(32)와 결합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경우도 고려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부재(41)가 피결합 부재(32)와 결합하여 들어올린 후의 상태에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48)의 일단(48a)이 조작 레버(42)의 가압 방향에서 타단(48b)보다도 약간 안쪽(도 11의 좌측)에 위치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부재(41)가 피결합 부재(32)를 들어올린 후의 상태에서 조작 레버(42)로부터 손을 놓아도, 가동부(30)에 따른 적재 하중은 이 일단(48a)에 대하여 안쪽 방향(도 11의 좌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으로 되고,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가 강제적으로 전방 방향(도 11의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않아, 결합 부재(41)가 피결합 부재(32)를 들어올린 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각부(13) 측에 부착된 유지부(20)는 위쪽으로 회동 가능한 롤러(21)를 갖고, 육아 기구 본체부(11)의 시트부(11a) 측에 부착된 가동부(30)는 유지부(20)의 롤러(21)에 접촉하는 동시에, 아래쪽을 향하는 만곡 형상의 레일(31)을 가지며, 이 가동부(30)는 유지부(20) 위를 왕복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동부(30)의 레일(31)은 표면이 아래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레일(31) 위에 먼지 등이 축적되지 않고, 이 때문에 가동부(30)가 유지부(20) 위를 원활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30)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롤러(21)의 단면의 상측 에지부(21a) 및 하측 에지부(21b)가 볼록한 형상의 만곡 형상을 갖고, 가동부(30)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31)의 단면은 위쪽이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30)가 유지부(20) 위를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가동부(30)가 롤러(21)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 때문에 가동부(30)가 유지부(20)의 일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30)에서, 레일(31)의 길이 방향의 일단 또는 양단에 완충 부재를 갖고, 롤러(21)에 맞닿아 롤러(21)에 대한 레일(31)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롤러 정지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30)가 유지부(20) 위를 왕복 이동할 때에, 가동부(30)에서의 레일(31)의 길이 방향의 단부(31a) 근방에 롤러(21)가 충돌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롤러(21)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레일(31)은 각각의 롤러(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30)는 더욱 안정적으로 유 지부(20) 위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육아 기구(10)에서는, 가동부(30)는 유지부(20) 위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탑재 배치되고, 육아 기구 본체부(11)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동시에 바닥부에 피결합 부재(32)를 가지며, 또한 록킹부(40)가 유지부(20) 위에 설치되고, 이 록킹부(40)는 피결합 부재(32)를 들어올려 결합하는 결합 부재(41)와, 조작 레버(42)와, 결합 부재(41)와 조작 레버(42) 사이에 연결된 링크 기구(45)를 갖고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42)의 수평 방향 이동에 의해 결합 부재(41)는 링크 기구(45)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30)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지부(20)와 가동부(30) 사이에 틈을 설치하여 유지부(20)에 대하여 가동부(30)를 잠글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30)의 정지 중에 이 가동부(30)로부터의 적재 하중이 유지부(20)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가동부(3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 기구(45)는 유지부(20) 위를 슬라이딩하는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와,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부재(48)를 갖고, 상기 링크 기구(45)의 연결 부재(48)는 결합 부재(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는 조작 레버(42)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 레버(42)에 작용되는 수평 방향의 힘을, 수평 방향 이동 부재(47) 및 연결 부재(48)를 통하여 결합 부재(41)의 수직 방향의 힘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30)에 복수의 피결합 부재(32)가 설치되고, 록킹부(40)에 복수 의 결합 부재(41)가 설치되며, 각 결합 부재(41)는 각각의 피결합 부재(32)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록킹부(40)가 가동부(30)를 수직 방향 위쪽으로 들어올려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부(20)에, 결합 부재(41)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부재 가이드 레일(26)을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결합 부재(41)를 더욱 안정적으로 수직 방향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부(30)의 피결합 부재(32)는 막대 형상의 것이며, 결합 부재(41)는 피결합 부재(32)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41a)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결합 부재(41)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피결합 부재(32)와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으로 록킹부(40)가 가동부(30)를 수직 방향 위쪽으로 들어올려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10)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는, 가동부(30)의 왕복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롤러(21)의 단면의 상측 에지부(21a) 및 하측 에지부(21b)는 볼록한 형상의 만곡 형상을 갖고, 또한 이 가동부(30)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31)의 단면은 위쪽이 볼록해지는 V자 형상(도시 생략)을 갖는 육아 기구(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의 작용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가동부(30)가 유지부(20) 위에 탑재 배치되고, 레일(31)이 롤러(21) 위에 배 치되었을 때에, 롤러(21)와 레일(31)은 가동부(30)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 레일(31)의 V형상의 정점(頂点)을 통과하는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으로 되어 있는 이점(二点)에서 접촉하게 되어, 롤러(21)와 레일(31)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30)가 롤러(21)의 축(21c)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육아 기구 본체부(11)를 통하여 가동부(30)에 따른 적재 하중에 의해 레일(31)에 아래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레일(31)의 V형상의 홈 부분에 롤러(21)가 위치하도록 가동부(30)가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30)의 왕복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의 롤러(21)의 위치를 레일(31)의 V형상의 홈 부분에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30)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31)의 단면이, 위쪽이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동부(30)가 유지부(20) 위를 왕복 이동할 때에, 가동부(30)가 상기 롤러(21)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30)가 유지부(20)의 일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육아 기구(10)에서의 다른 구성의 유지부(50) 및 이 유지부(50) 위에 탑재 배치된 가동부(6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의 육아 기구(10)에서는 유지부(50)가 롤러(21)를 갖는 대신에 레일(51)을 가지며, 또한 가동부(60)가 레일(31)을 갖는 대신에 롤러(61)를 갖는 점만이 다르고, 그 이외에는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각부(13) 측에 설치된 유지부(50)는 만곡 형 상의 레일(51)을 갖고, 시트부(11a)와 등받이부(11b)를 포함하는 육아 기구 본체부(11)를 지지하는 가동부(60)는 유지부(50)의 레일(51) 위를 왕복 이동하는 회동 가능한 롤러(61)를 아래쪽에 갖고 있다. 또한, 가동부(60)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롤러(61)의 단면의 상측 에지부(61a) 및 하측 에지부(61b)가 볼록한 형상의 만곡 형상을 갖고, 가동부(60)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51)의 단면은 아래쪽이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의 작용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가동부(60)가 유지부(50)에 대하여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가동부(60)에 따른 적재 하중에 의해 롤러(61)에 아래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유지부(50)의 만곡 형상의 레일(51) 중앙의 홈 부분에 가동부(60)의 롤러(61)가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조작자가 육아 기구(10)의 시트부(11a) 및 등받이부(11b)를 포함하는 육아 기구 본체부(1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동부(60)의 롤러(61)가 유지부(50)의 레일(51) 위를 왕복 이동한다. 이 때, 롤러(61)와 레일(51)은 도 11에 나타낸 단면도에서 일점(一点)에서 접촉하고 있고, 롤러(61)와 레일(51)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60)가 롤러(61)의 축(61c)의 축선 방향(도 11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육아 기구 본체부(11)를 통하여 가동부(60)에 따른 적재 하중에 의해 롤러(61)에 아래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레일(51) 중앙의 홈 부분에 롤러(61)가 접촉하도록 가동부(60)가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60)의 왕복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 향의 단면에서의 롤러(61)의 위치를 레일(51) 중앙의 홈 부분에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변형예에 의한 육아 기구(10)에 의하면, 가동부(60)가 유지부(50) 위를 왕복 이동할 때에, 이 가동부(60)가 상기 롤러(61)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60)가 유지부(50)의 일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발명의 육아 기구에 의하면, 가동부가 유지부 위를 원활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의 육아 기구에 의하면, 가동부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지부와 가동부 사이에 틈을 설치하여 유지부에 대하여 가동부를 잠글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의 정지 중에 상기 가동부로부터의 적재 하중이 유지부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조작자의 의도에 반하여 가동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시트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육아 기구 본체부와,
    상기 육아 기구 본체부를 지지하는 각부(脚部)와,
    각부의 위쪽에 설치되고, 위쪽으로 회동(回動) 가능한 롤러를 갖는 유지부와,
    유지부 위에 탑재 배치되고, 유지부의 롤러에 접촉하는 만곡 형상의 레일을 가지며, 육아 기구 본체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가동부를 구비하고,
    가동부는 유지부 위를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롤러 단면(斷面)의 상측 에지부 및 하측 에지부가 볼록한 형상의 만곡 형상을 갖고,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 단면은 위쪽이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롤러 단면의 상측 에지부 및 하측 에지부가 볼록한 형상의 만곡 형상을 갖고,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 단면은 위쪽이 볼록해지는 V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부에서, 레일의 길이 방향의 일단(一端) 또는 양단(兩端)에 완충 부재를 갖고, 롤러에 맞닿아 롤러에 대한 레일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롤러 정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러가 복수 설치되어 있고,
    레일은 각각의 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6. 시트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육아 기구 본체부와,
    상기 육아 기구 본체부를 지지하는 각부와,
    각부의 위쪽에 설치되고, 만곡 형상의 레일을 갖는 유지부와,
    유지부 위에 탑재 배치되고, 유지부의 레일 위를 왕복 이동하는 회동 가능한 롤러를 아래쪽에 갖는 동시에 육아 기구 본체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가동부를 구비하며,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롤러 단면의 상측 에지부 및 하측 에지부가 볼록한 형상의 만곡 형상을 갖고,
    가동부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 단면은 아래쪽이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가지며, 가동부는 유지부 위를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7. 시트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육아 기구 본체부와,
    상기 육아 기구 본체부를 지지하는 각부와,
    각부의 위쪽에 설치된 유지부와,
    유지부 위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탑재 배치되고, 육아 기구 본체부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동시에 바닥부에 피(被)결합 부재를 갖는 가동부와,
    유지부 위에 설치되고, 피결합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피결합 부재를 들어올리는 결합 부재, 조작 레버, 및 결합 부재와 조작 레버 사이에 연결된 링크 기구를 갖는 록킹부를 구비하고,
    조작 레버의 수평 방향 이동에 의해 결합 부재는 링크 기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링크 기구가 유지부 위를 슬라이딩하는 수평 방향 이동 부재, 및 수평 방향 이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링크 기구의 연결 부재는 결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수평 방향 이동 부재는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가동부에 복수의 피결합 부재가 설치되고,
    록킹부에 복수의 결합 부재가 설치되며,
    각 결합 부재는 각각의 피결합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부에, 결합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부재 가이드 레일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부의 피결합 부재는 막대 형상의 것이며,
    결합 부재는 피결합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KR1020060037661A 2005-04-27 2006-04-26 육아 기구 KR101317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29772 2005-04-27
JPJP-P-2005-00129746 2005-04-27
JP2005129772A JP4652113B2 (ja) 2005-04-27 2005-04-27 育児器具
JP2005129746A JP4738881B2 (ja) 2005-04-27 2005-04-27 育児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460A true KR20060113460A (ko) 2006-11-02
KR101317793B1 KR101317793B1 (ko) 2013-10-15

Family

ID=3665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661A KR101317793B1 (ko) 2005-04-27 2006-04-26 육아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1955615A1 (ko)
JP (2) JP4738881B2 (ko)
KR (1) KR101317793B1 (ko)
CN (2) CN101703350B (ko)
HK (2) HK1097710A1 (ko)
TW (2) TWI4542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5086B2 (en) * 2005-12-01 2009-02-03 3699013 Canada Inc. Rocking mechanism for children with associated sounds
DE102012022065B4 (de) 2011-11-10 2018-08-30 Bp Children's Products Hk Co., Ltd. Hochstuhl und zugehörige Radanordnung
US10252739B2 (en) * 2017-03-27 2019-04-09 Kori Faith Duboff Child stroller with directional rock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115647Y1 (ko) * 1964-01-24 1966-07-22
JPS4326756Y1 (ko) * 1965-06-10 1968-11-06
JPH0235251Y2 (ko) * 1985-11-05 1990-09-25
JPH0727887Y2 (ja) * 1992-10-15 1995-06-28 コンビ株式会社 幼児用椅子
JP3519827B2 (ja) * 1995-08-18 2004-04-19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椅 子
JPH09315295A (ja) * 1996-05-29 1997-12-09 Daifuku Co Ltd 搬送車のガイド構造
US6080087A (en) * 1999-10-06 2000-06-27 Bingham; Anne Method and apparatus to exercise developmentally delayed persons
JP4211182B2 (ja) * 2000-02-15 2009-0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の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CN2448208Y (zh) * 2000-11-13 2001-09-19 柏贸企业有限公司 可调整座架位置的摇椅学步车
JP2002180688A (ja) * 2000-12-14 2002-06-26 Nakamura:Kk 地下駐車装置
US20020113469A1 (en) * 2001-02-09 2002-08-22 Stern Carl M. Infant soothing device
JP4896310B2 (ja) * 2001-07-16 2012-03-14 コンビ株式会社 幼児用椅子
JP3732787B2 (ja) * 2002-02-05 2006-01-11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
CN100512721C (zh) * 2004-03-31 2009-07-15 康贝株式会社 婴儿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04961A (ja) 2006-11-09
TWI454236B (zh) 2014-10-01
CN1853537A (zh) 2006-11-01
CN100569149C (zh) 2009-12-16
HK1140394A1 (en) 2010-10-15
CN101703350A (zh) 2010-05-12
TW200701913A (en) 2007-01-16
EP1716792A1 (en) 2006-11-02
JP4738881B2 (ja) 2011-08-03
TW201434416A (zh) 2014-09-16
JP2006304960A (ja) 2006-11-09
TWI539919B (zh) 2016-07-01
HK1097710A1 (en) 2007-07-06
JP4652113B2 (ja) 2011-03-16
CN101703350B (zh) 2012-07-04
KR101317793B1 (ko) 2013-10-15
EP1955615A1 (en)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6329B2 (ja) 子供用座席装置
JP716872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KR101317793B1 (ko) 육아 기구
CN105667355A (zh) 垫高机构及具有该机构的儿童安全座椅
KR101216555B1 (ko) 베이비 랙
WO2012011347A1 (ja) テーブル装置及びシート
JP2017195942A (ja) ソファーベッド装置
JP3732787B2 (ja) 育児器具
US11903494B2 (en) Beds for children
CN108372804B (zh) 一种座椅倾滑避让系统的并联解锁机构
KR101119287B1 (ko) 가구의 받침부 이송장치
TW201542405A (zh) 座位用腳靠裝置
KR101716981B1 (ko) 시트 폴딩 래치장치
KR101170512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JP2017100538A (ja) ベビーカー
KR102623772B1 (ko) 차량의 충격 저감 장치
JP6676006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7100537A (ja) ベビーカー
JP6470569B2 (ja) 担架ロック機構、及び、入浴システム
JP2024155457A (ja) 移動制限装置及び移動制限装置を備えた家具
JP4371672B2 (ja) ソファー
JP2015156954A (ja) キャスター出入り式机
KR200150416Y1 (ko) 시트 슬라이드 로킹장치
CN112535369A (zh) 靠背升降机构及具有其的座椅
JP2018196478A (ja) 移動棚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