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555B1 - 베이비 랙 - Google Patents
베이비 랙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6555B1 KR101216555B1 KR1020067020474A KR20067020474A KR101216555B1 KR 101216555 B1 KR101216555 B1 KR 101216555B1 KR 1020067020474 A KR1020067020474 A KR 1020067020474A KR 20067020474 A KR20067020474 A KR 20067020474A KR 101216555 B1 KR101216555 B1 KR 1012165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body
- seat
- movable
- swinging
- baby rack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4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8—Children's chairs convertible to a rocking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베이비 랙(1)은 적어도 시트부(31)와 등받이부(33)를 갖는 시트 본체(30)와, 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요동(rocking)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 기구는 고정부(41)와, 고정부 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시트 본체의 폭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진 요동축(6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한 진자(62)와, 진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51)를 갖고 있다. 진자가 요동함에 따라,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
요동 기구, 고정부, 요동축, 가동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생아, 유아 및 아동을 포함하는 유아의 의자로서, 또한 침대로 사용되는 베이비 랙에 관한 것이다.
베이비 랙으로서, 아래쪽 단부에 캐스터(caster)를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과, 각 전각 및 각 후각의 위쪽 단부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측판과,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각 측판을 덮는 한 쌍의 팔걸이를 갖는 시트 본체를 구비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2003-2418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2003-24189호 공보에 개시된 베이비 랙에 있어서, 전각 및 후각은 측판에 대하여 요동(搖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각 및 후각을 측판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시트 본체의 위치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는 팔걸이 이외에, 시트부와, 시트부의 아래쪽(下方)에 연결된 각부(脚部)와, 시트부의 위쪽(上方)에 연결된 등받이부와, 등받이부의 위쪽에 연결된 머리 받침을 갖고 있다. 이들 각부(各部)는 연결 개소에서 서로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비 랙은 유아의 의자로서 기능하는 동시 에, 각부와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대략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유아의 침대로도 기능한다.
이와 같은 시트 본체는 각 측판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매달린 스윙 바(swing bar)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이 스윙 바는 베이비 랙의 정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진자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스윙 바가 요동함으로써, 시트 본체는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따라서, 베이비 랙을 유아의 낮잠용 침대로 사용했을 경우,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유아를 편하게 재울 수 있다.
이 경우, 스윙 바는 보통 단진자(單振子)의 원리에 의해 진동한다. 따라서, 시트 본체의 왕복 운동의 주기는 주로 스윙 바의 상하 방향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고, 스윙 바의 상하 방향 길이가 길수록 왕복 운동의 주기는 길어진다.
그러나, 베이비 랙을 컴팩트한 크기로 유지하기 위해, 스윙 바의 상하 방향 길이는 제약된다. 따라서, 일본국 공개특허2003-24189호 공보의 베이비 랙에서는 시트 본체의 왕복 운동의 주기를 더 장기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컴팩트한 크기인 동시에,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장(長)주기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베이비 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 본체와, 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요동(rocking) 기구를 구비한 베이비 랙에 있어서, 요동 기구는 고정부와, 고정부 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시트 본체의 폭방향으로 경사진 요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한 진자와, 진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可動部)를 가지며, 진자가 요동함으로써,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 위에 시트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진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 및 가동부 중 어느 한쪽에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판이 설치되고, 고정부 및 가동부의 다른 쪽에 안내판에 결합되는 규제 부재가 설치되고, 안내판과 규제 부재가 결합됨으로써, 가동부의 고정부에 대한 시트 본체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가동부와 진자 사이에 구상체(球狀體)가 설치되고, 구상체가 구름으로써, 가동부는 진자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요동 기구의 가동부와 시트 본체의 시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 본체와, 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요동 기구를 구비한 베이비 랙에 있어서, 요동 기구는 고정부와, 고정부 위에 설치되고, 단면이 적어도 활 형상 부분을 갖는 대략 부채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활 형상 부분이 고정부에 면하는 부채형 롤러와, 부채형 롤러를 관통하는 지지축을 유지하는 동시에, 시트 본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를 가지며, 부채형 롤러가 고정부 위를 구름으로써,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 위에 부채형 롤러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간(離間)되어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 위에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판이 설치되고, 안내판은 지지축에 결합되는 안내 개구(開口)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요동 기구의 가동부와 시트 본체의 시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 본체와, 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요동 기구를 구비한 베이비 랙에 있어서, 요동 기구는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갖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측벽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매달린 제 1 요동체와, 제 1 요동체에 지지된 요동 프레임과, 요동 프레임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매달린 제 2 요동체와, 제 2 요동체에 지지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를 갖고, 제 1 요동체와 제 2 요동체는 높이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에서 중첩되며,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의 측벽에 한 쌍의 제 1 요동체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요동 프레임에 한 쌍의 제 2 요동체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요동 기구의 가동부와 시트 본체의 시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 본체와, 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요동 기구를 구비한 베이비 랙에 있어서, 요동 기구는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 레일을 갖는 고정부와, 만곡 레일 위를 회전하는 휠(wheel)을 갖는 동시에, 시트 본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를 가지며,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가동부는 한 쌍의 휠과, 한 쌍의 휠을 연결하는 휠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는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가능한 록킹축과, 록킹축에 고정되고, 휠의 휠축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휠축에 결합되는 록킹 결합 홈을 갖는 록킹 부재를 더 가지며, 록킹축을 회전함으로써, 록킹 결합 홈이 휠축에 결합되어 록킹 부재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휠축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는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을 더 가지며, 측벽에 휠의 휠축에 결합되는 안내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요동 기구의 가동부와 시트 본체의 시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는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록킹축과, 휠의 휠축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휠축에 결합되는 록킹 결합 홈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록킹 부재와, 록킹축과 록킹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로드(rod)를 더 갖고, 록킹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킹 부재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록킹 결합 홈이 휠축에 결합되어 록킹 부재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휠축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비 랙은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장주기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작은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요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베이비 랙의 형상을 크게 하지 않고, 시트 본체를 유아에게 최적인 주기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랙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수납 박스(box)를 제거한 상태의 베이비 랙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수납 박스를 제거한 상태의 베이비 랙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요동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선 5-5를 따른 단면도.
도 6은 진자의 요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상면도(上面圖).
도 7은 요동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랙의 제 2 실시예의 요동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랙의 제 2 실시예의 요동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랙의 제 3 실시예의 요동 기구를 나타낸 상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랙의 제 3 실시예의 요동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선 12-12를 따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랙의 제 4 실시예의 요동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랙의 제 4 실시예의 요동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5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랙의 제 4 실시예의 요동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15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랙의 제 4 실시예의 요동 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랙(baby rack)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중, 도 1은 베이비 랙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수납 박스를 제거한 상태의 베이비 랙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수납 박스를 제거한 상태의 베이비 랙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비 랙(1)은 아래쪽 단부에 캐스터(caster)(14)를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전각(前脚)(10, 10) 및 후각(後脚)(15, 15)과, 각 전각(10, 10) 및 각 후각(15, 15)의 위쪽 단부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측판(20, 20)과, 측판(20, 20) 사이에 배치된 요동 기구(40)와, 요동 기구(40)의 위쪽에 설치된 시트 본체(30)와, 측판(2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수납 박스(2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베이비 랙(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아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아용 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베이비 랙의 전체 구성 및 작용>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한 쌍의 전각(10) 및 후각(15)과, 한 쌍의 측판(20, 20)과, 요동 기구(40)와, 시트 본체(30)와, 수납 박스(25)를 구비한 베이비 랙(1)의 전체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요동 기구(40)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개략만을 설명하고, 상세한 것은 후술하도록 한다.
먼저, 베이비 랙(1)의 한 쌍의 측판(20, 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측판(20)은, 베이비 랙(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 베이스부(21)와, 측판 베이스부(21)의 앞쪽 하방에 고정된 후각 유지부(23)와, 측판 베이스부(21)의 뒤쪽 하방에 설치된 전각 유지부(22)를 갖고 있다. 이 중, 전각 유지부(22)는 측판 베이스부(21)에 대하여 베이비 랙(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도 2 및 도 3), 측판 베이스부(2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비 랙(1)의 정면도의 우측에 배치되는 측판(20)은, 베이비 랙(1)의 폭방향 외방(外方)으로 향하는 측판 베이스부(21)의 외측면(21a)에 부착된 유지판(24)을 더 갖고 있다. 유지판(24)은 전각 유지부(22)와 후각 유지부(23) 사이에 배치되고, 측판 베이스부(21)의 아래쪽으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있다. 이 유지판(24)의 돌출부에 2개의 개구(24a, 24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판(20, 20)의 아래쪽 사이에, 요동 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 기구(40)는 측판(20)에 고정된 고정부(41)와, 고정부(41) 위에 설치되고, 고정부(41)에 대하여 베이비 랙(1)의 전후 방향(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한 가동부(51)를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요동 기구(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수납 박스(2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납 박스(25)는 박스 본체(26)와, 박스 본체(26)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27)로 이루어져 있 다. 박스 본체(26)의 측면에는 측판(20) 유지판(24)의 개구(24a)에 결합되는 돌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와 지지판의 개구(24a)를 결합시킴으로써, 수납 박스(25)는 유지판(24)을 통하여 베이비 랙(1)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커버(27)의 상면(上面)에는 손잡이(27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27a)는 수납 박스(25)를 베이비 랙(1)로부터 제거하여 운반될 때에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전각(10) 및 후각(15)에 대해서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각(10, 10)은 그 위쪽 단부가 각 측판(20)의 전각 유지부(22)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전각 유지부(22)로부터 앞쪽 하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전각(10)의 중간부에는 한 쌍의 전각(10, 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rod)(1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후각(15, 15)은 그 위쪽 단부가 각 측판(20)의 후각 유지부(23)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후각 유지부(23)로부터 뒤쪽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후각(15)의 중간부에는 한 쌍의 후각(15, 15)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1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전각(10)과 각 후각(15)은 각각의 중간부에서 서로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베이비 랙(1)의 측면에서 보아 X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각(10)을,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전각 유지부(22)에 대하여 요동시키고, 후각(15)을 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후각 유지부(23)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베이비 랙(1)의 시트 본체(30)의 위치를 낮출 수 있다(도 3). 이 때, 전각(10)과 후각(15)은 연결 개소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하여 회동하는 동 시에, 전각(10)의 위쪽 단부와 후각(15)의 위쪽 단부가 이간하도록, 전각 유지부(22)는 베이비 랙(1)의 후방으로 향하여 측판 베이스부(21)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도 3).
다음으로, 상술한 시트 본체(3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30)는, 시트부(31)와, 시트부(31)의 앞쪽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각부(脚部)(32)와, 시트부(31)의 뒤쪽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등받이부(33)와, 등받이부(33)의 위쪽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머리 받침(34)을 갖고 있다. 이 시트 본체(30)는 요동 기구(40)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고 있다.
또한, 등받이부(33)와 각부(32) 사이 및 등받이부(33)와 머리 받침(34)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link)(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링크에 의해, 등받이부(33)의 시트부(31)에 대한 요동에 연동(連動)하여 각부(32)가 시트부(31)에 대하여 요동하는 동시에, 머리 받침(34)이 등받이부(33)에 대하여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부(31, 32, 33, 34)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등받이부(33)가 시트부(31)에 대하여 위쪽으로 향하여 요동되면, 각부(32)와 머리 받침(34)이 등받이부(33)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요동한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30)는 도 2에 나타낸 상태로 되고, 베이비 랙(1)은 의자로서 기능한다. 또한 반대로, 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 등받이부(33)가 시트부(31)와 평행하게 되도록 요동시키면, 각부(32)와 머리 받침(34)이 등받이부(33)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요동하고, 시트 본체(30)는 도 1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베이비 랙(1)은 침 대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30)는 시트부(31)의 양쪽 측방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팔걸이(36)를 더 갖고 있다. 팔걸이(36)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중공(中空)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팔걸이 본체(36a)와, 팔걸이 본체(36a)의 앞쪽 상방에 설치되는 동시에 팔걸이 본체(36a)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요동판(36b)을 갖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베이비 랙(1)을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시트 본체(30) 위에 쿠션(도시 생략)이 배치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비 랙(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베이비 랙(1)의 시트 본체(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부(31)에 대하여 등받이부(33)를 대략 수직으로 배치한 경우, 링크(도시 생략)에 의해 등받이부(33)의 시트부(31)에 대한 요동에 연동하고, 각부(32)가 시트부(31)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요동되며, 머리 받침(34)은 등받이부(33)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요동된다. 이에 따라, 베이비 랙(1)은 도 2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유아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아는 이와 같은 베이비 랙(1)에 앉아 식사를 하거나, 책을 읽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 등받이부(33)를 시트부(31)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요동시킨 경우, 링크(도시 생략)에 의해 등받이부(33)의 시트부(31)에 대한 요동에 연동하여, 각부(32)가 시트부(31)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요동되는 동시에, 머리 받침(34)은 세워지도록 요동된다. 이에 따라, 베이비 랙(1)은 도 1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유아용 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30)는 요동 기구(40)를 통하여 측판(20), 전각(10) 및 후각(15)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비 랙(1)을 침대로 사용하여 시트 본체(30) 위에 유아를 재울 때에는, 요동 기구(40)에 의해 시트 본체(30)를 각 측판(20, 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비 랙(1) 위에서 유아를 편하게 재울 수 있다. 또한, 측판(20)에 대하여 전각(10) 및 후각(15)을 요동시킴으로써, 시트 본체(30)의 위치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베이비 랙(1) 위에 유아를 재워도 안전하다.
또한, 시트 본체(30)의 팔걸이(36)의 요동판(36b)은 팔걸이 본체(36a)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비 랙(1)을 침대로 사용하여 시트 본체(30) 위에서 유아의 기저귀를 교환하거나 목욕시킨 후 마무리를 할 때에는, 요동판(36b)을 팔걸이 본체(36a)에 대하여 베이비 랙(1)의 폭방향(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의 외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도 1). 이 경우, 시트 본체(30) 위에서 유아의 다리를 벌릴 때 및 보호자가 유아를 돌볼 때에 팔걸이(36)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요동되어 위쪽으로 향한 요동판(36b)의 내측면 위에 기저귀 등의 케어 용품을 일시적으로 탑재 배치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베이비 랙(1)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배치되는 측판(20)에는 수납 박스(2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납 박스(25)에는 종이 기저귀나 유아용 물티슈 등의 케어 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비 랙(1)의 앞쪽으로부터 유아를 돌 보는 보호자는 그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오른손만으로 수납 박스(25)에서 케어 용품을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유아로부터 시선을 떼지 않고, 유아를 용이하게 돌볼 수 있고, 편하게 돌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수납 박스(25)는 측판(20)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어 외출 시에 휴대하여 이용할 수 있다.
<요동 기구>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요동 기구(4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도 4는 요동 기구(4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 5-5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진자(62)의 요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상면도(上面圖)이며, 도 7은 요동 기구(40)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기구(40)는 평판 형상의 고정부(41)와, 고정부(41) 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 경사진 요동축(6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한 가늘고 긴 진자(62)와, 진자(62)의 선단부(6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30)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5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요동 기구(40)는 고정부(41)가 측판(20)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진자(62)가 요동함으로써, 가동부(51)가 고정부(41)에 대하여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부(51)에 지지된 시트 본체(30)를 측판(20)에 대하여 베이비 랙(1)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또한,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은, 측면도인 도 4에 있어서 지면(紙面)에서의 좌우 방향이고,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술한 베이비 랙(1)의 전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또한,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은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고, 측면도인 도 4에 있어서 지면에서의 깊이 방향이다. 따라서,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은 상술한 베이비 랙(1)의 폭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이후, 명세서 중에서 전후 방향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베이비 랙의 전후 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은 시트 본체의 폭방향(베이비 랙의 폭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고정부(41)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정부(41)는 본 실시예에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고정부(41)는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측판(20)에 고정되는 동시에, 측판(20)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41)는 측판(20)과 별체(別體)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41) 위에는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진자(62)가 배치되고(도 5), 이 한 쌍의 진자(62)로부터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간된 위치에 다시 한 쌍의 진자가(즉, 합계 4개의 진자가) 배치되어 있다(도 4). 또한, 고정부(41)의 상면(41a)에는 각 진자(62)에 대응하여 진자 지지대(42)가 설치되는 동시에, 각 진자 지지대(42)에는 요동축(61)이 설치되어 있다. 각 진자(62)는 이 요동축(61)에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하여 지지되고, 이 요동축(6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축(61)은 수직 방향으로부터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져 있고, 요동축(61)의 상단(61a)이 요동축(61)의 하 단(61b)보다 시트 본체(30)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5). 따라서, 진자(62)에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진자(62)는 중력에 의해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각 진자(62)의 선단부(62a)의 상면(上面)에는 진자(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홈(62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긴 홈(62b) 내에는 구상체(球狀體)(63)가 배치되어 있고, 구상체(63)가 긴 홈(62b)을 따라 구름으로써 진자(6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4개의 진자(62), 4개의 진자 지지대(42) 및 4개의 요동축(61)은 각각 동일 크기 및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동부(51)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51)는 평판 형상의 가동부 베이스(51a)를 갖고 있고, 가동부 베이스(51a)의 하면(下面)에는 각 진자(62)의 선단부(62a)의 긴 홈(62b)에 대응한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받침대(52)가 설치되어 있다. 긴 홈(62b)에 대면하는 받침대(52)의 단면(端面)에는 구상체(63)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52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받침대(52)의 구멍(52a)과 진자(62)의 긴 홈(62b) 사이에 구상체(63)를 배치함으로써, 가동부(51)는 진자(62)의 선단부(6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52)의 단면과 긴 홈(62b)의 외주부(外周部)의 상면은 접촉하고 있지 않다(도 5). 따라서, 구상체(63)가 긴 홈(62b) 내를 회전하여 이동함에 따라, 가동부(51)는 진자(62)의 선단부(62a)에 대하여 부드럽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자(62)가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경우, 구상체(63)는 긴 홈(62b)의 폭방향의 최내측(요동축(61)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 베이스(51a) 하면의 폭방향 중앙에는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판(5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41)에는 안내판(53)을 사이에 끼워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략 U자 형상의 규제 부재(43)가,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2개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 부재(43)와 안내판(53)이 결합됨으로써, 가동부(51)가 고정부(41)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판(53)의 하단 근방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 개구(53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규제 부재(43)에는 안내 개구(53a)를 관통하는 동시에, 안내 개구(53a)의 양쪽 측방으로 연장하는 규제 부재(43)에 양쪽 단부가 연결된 규제축(4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 개구(53a)와 규제축(43a)에 의해, 가동부(51)가 고정부(41)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 베이스(51a)의 상면에는 대략 각 받침대(52)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부(54)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지지부(54)는 시트 본체(30)의 시트부(31)의 뒷면에 돌출 설치된 받침부(31a)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지지부(54)와 받침부(31a)를 결합시킴으로써, 가동부(51)는 시트 본체(30)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동부(51)는 시트 본체(30)와 별체로 형성된 예를 나 타내고 있지만, 가동부(51)가 시트 본체(30)의 시트부(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시트 본체(30)의 시트부(31)의 하면에 상술한 안내판(53)을 설치하는 동시에, 시트 본체(30)의 시트부(31)의 받침부(31a)를 상술한 받침대(52)와 동일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시트 본체(30)의 시트부(31)가 진자(62)에 의해 직접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요동 기구(40)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평평한 외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요동 기구(40)를 시트 본체(30)의 아래쪽에 배치할 수 있어 베이비 랙(1) 전체를 컴팩트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요동 기구(4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동축(61)은 그 상단(61a)이 하단(61b)에 비해 시트 본체(30)의 폭방향 외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진자(62)는 도 6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경우에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이 위치로부터 양측(兩側)으로 요동됨에 따라 점차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일단, 진자(62)를 요동시키면, 진자(62)는 중력에 의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을 따른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주기적으로 요동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자(62)가 요동하면, 진자(62)의 선단부(62a)의 위치는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이동한다. 그러나, 가동부(51)의 받침대(52)는 진자(62)의 선단부(62a)에 대하여 진자(6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51)는 고정부(41)의 규제 부재(43)에 의해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진자(62)의 선단부(62a)의 위치가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이동했다 할지라도, 받침대(52)는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가동부(51)는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만 부드럽게, 또한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진자(62)는 소위 수평 진자의 원리에 의해 주기적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진자(62)의 길이 방향 길이를 길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요동축(61)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 향한 경사 각도 θ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진자(62)의 요동 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요동축(61)의 경사 각도 θ를 작게 하면, 요동 기구(40)의 두께는 얇아진다. 따라서, 베이비 랙(1) 전체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 유아에게 최적인 요동 주기로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규제 부재(43)는 안내판(53)의 안내 개구(53a)를 관통하는 규제축(43a)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가동부(51)를 고정부(41)에 대하여 왕복 운동시키더라도, 가동부(51)가 고정부(41)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비 랙(1)을 의자로 및 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베이비 랙(1)을 의자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베이비 랙(1)에 유아를 앉혀서 식사를 시키거나, 책을 읽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비 랙(1)을 침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베이비 랙(1)에 유아를 재울 수 있어 기저귀 교환이나 목욕 후의 마무 리를 하거나, 베이비 랙(1) 위에서 낮잠을 재우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요동 기구(40)의 고정부(41)에 지지된 진자(62)는 수평 진자의 원리에 의해 주기적으로 요동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51)의 받침대(52)는 진자(62)의 선단부(6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고정부(41)의 규제 부재(43)에 의해, 가동부(51)는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진자(62)를 요동시킴으로써, 중력을 이용하여 가동부(51)를 고정부(41)에 대하여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부드럽게, 또한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요동 기구(40)는 두께가 얇은 평평한 외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요동 기구(40)를 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이비 랙(1) 전체를 컴팩트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동부(51)의 왕복 운동의 주기는 진자(62)의 길이 방향 길이를 길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요동축(61)의 수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길어진다. 또한, 요동축(61)의 경사 각도 θ를 작게 한 경우, 요동 기구(40)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비 랙(1) 전체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 시트 본체(30)의 왕복 운동의 주기를 유아에게 최적인 주기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안내판(53)을 양쪽 측방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위쪽으로 연장되는 규제 부재(43)에 의해, 가동부(51)의 고정부(41)에 대한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내판(53)을 사이에 끼운 한 쌍의 롤러(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이 롤러에 의해 안내판(53)을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움으로써, 가동부(51)의 고정부(41)에 대한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도 있다.
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51)에 안내판(53)을 설치하는 대신에 안내 홈(64)을 설치함과 동시에, 진자 지지대(42)의 위쪽에 이 안내 홈(64) 내에 배치되는 규제 롤러(65)를 설치하고, 안내 홈(64)과 규제 롤러(65)를 결합시킴으로써, 가동부(51)의 고정부(41)에 대한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진자(62)의 선단부(62a)에 안내 개구(62c)가 설치되고, 받침대(52)에 진자(62)의 선단부(62a)를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여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52b, 52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부(52b, 52b) 사이에는 안내 개구(62c)를 관통하는 규제축(52c)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치된 안내 개구(62c)와 규제축(52c)에 의해, 가동부(51)가 고정부(41)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제 2 실시예는 요동 기구가 다를 뿐이고, 이외에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요동 기구 이외의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 8 및 도 9에서, 요동 기구에 대해서도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8은 요동 기구(70)의 측면도이고, 도 9는 요동 기구(70)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기구(70)는 고정부(41)와, 고정부(41) 위에 설치되고, 단면이 적어도 활 형상 부분(71a)을 갖는 대략 부채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활 형상 부분(71a)이 고정부(41)에 면하는 부채형 롤러(71)와, 부채형 롤러(71)를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지지축(73)을 유지하는 동시에, 시트 본체(30)를 아래쪽으로부터 유지하는 가동부(5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요동 기구(70)는 부채형 롤러(71)가 고정부(41) 위를 구름으로써, 가동부(51)가 고정부(41)에 대하여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부(51)에 지지된 시트 본체(30)를 측판(20)에 대하여 베이비 랙(1)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또한,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은 측면도인 도 8에서 지면에서의 좌우 방향이고,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은 측면도인 도 8에서 지면에서의 깊이 방향이다.
부채형 롤러(71)는 본 실시예에서 저면(底面)(71b)이 부채형인 부채형 기둥으로 되어 있다. 고정부(41)는 본 실시예에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부(41)의 상면(41a)에는 폭방향을 따라 이간된 한 쌍의 부채형 롤러(71, 71)가 전후 방향을 따라 이간되어 2세트(즉, 합계 4개의 전동(轉動) 롤러) 설치되어 있다. 폭방향으로 이간된 각 부채형 롤러(7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 아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이간된 각 부채형 롤러(7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채형 롤러(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활 형상 부분(71a)이 고정부(41)의 상면(41a)에 면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채형 롤러(71)와 고정부(41)는 접촉선(L2)을 따라 선 접촉하고 있다(도 8 및 도 9).
다음으로, 지지축(73)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지지축(73, 73)이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지지축(73)은 폭방향을 따라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부채형 롤러(71, 71)를, 부채형 롤러(71)의 부채형 저면(71b)의 정점(71c) 근방, 또한 부채형 저면(71b)의 대칭선(L1) 위에서 관통하고 있다. 또한, 지지축(73)과 부채형 롤러(71) 사이에는 베어링(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부채형 롤러(71)는 지지축(73)을 중심으로 하여 부드럽게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부(51)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부 베이스(51a)의 하면에 설치된 4개의 받침대(72)를 통하여 2개의 지지축(73, 73)의 양쪽 단부 근방을 각각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부채형 롤러(71)가 고정부(41) 위를 구름으로써, 가동부(51)는 고정부(4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41)의 상면(41a)에 안내판(53, 53)이 각 부채형 롤러(71)의 폭방향 내측에 각각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판(53)은 고정부(41)에 직교하는 동시에,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안내판(53)에는 각 지지축(73)에 결합되는 안내 개구(53a)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개구(53a)는 지지축(73)에 관통되는 동시에, 부채형 롤러(71)가 고정부(41) 위를 회전했을 때의 지지축(73)의 이동 궤적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동 기구(70)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평평한 외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요동 기구(70)를 시트 본체(30)의 아래쪽에 배치 할 수 있어 베이비 랙(1) 전체를 컴팩트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채형 롤러(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71b)이 부채형의 부채형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은 대칭선(L1) 위에 있다. 또한, 시트 본체(30) 및 가동부(51)의 하중을 받는 지지축(73)은 부채형 롤러(71)의 대칭선(L1) 위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도 8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채형 롤러(71)의 대칭선(L1)이 부채형 롤러(71)와 고정부(41)의 접촉선(L2)과 교차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부채형 롤러(71)가 도 8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으로 구름에 따라, 대칭선(L1) 위에 있는 부채형 롤러(71)의 중심 및 지지축(73)은 부채형 롤러(71)와 고정부(41)의 접촉선(L2)에 대하여 점차 다른 쪽 측으로 엇갈린다. 따라서, 일단 부채형 롤러(71)를 고정부(41) 위에서 굴리면, 부채형 롤러(71)는 중력에 의해 도 8 및 도 9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대칭선(L1)이 고정부(41)에 직교하는 상태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주기적으로 구른다. 이와 같은 부채형 롤러(71)의 주기적인 구름에 따라, 가동부(51)는 고정부(41)에 대하여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부채형 롤러(71)의 주기적인 운동은 소위 전동(轉動) 진자의 원리에 의거하고 있다. 따라서, 부채형 롤러(71)의 형상, 특히 활 형상 부분(71a)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나, 지지축(73)의 관통 위치를 대칭선(L1) 위에서 어긋나게 하는 것 등에 의해, 가동부(51)의 왕복 운동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30)의 왕복 운동의 주기를 유아에게 최적인 요동 주기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에서 각 부채형 롤러(71)의 내측에 안내판(53)이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지지축(73)은 안내판(53)의 안내 개구(53a)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부채형 롤러(71)가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동부(51)가 고정부(41)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채형 롤러(71)가 과도하게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부(51)는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만 부드럽게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부(41) 위에 설치된 부채형 롤러(71)는 전동 진자의 원리에 의해 주기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부채형 롤러(71)는 안내판(53)에 의해,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부채형 롤러(71)를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동시에 가동부(51)에 지지된 지지축(73)은 안내판(53)의 안내 개구(53a)를 관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채형 롤러(71)를 고정부(41) 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중력을 이용하여 가동부(51)를 고정부(41)에 대하여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부드럽게, 또한 주기적으로 왕 복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부채형 롤러(71)의 형상, 특히 활 형상 부분(71a)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나, 지지축(73)의 관통 위치를 대칭선(L1) 위에서 어긋나게 하는 것 등에 의해, 가동부(51)의 왕복 운동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동 기구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시트 본체(30)의 왕복 운동을 유아에게 최적인 요동 주기로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요동 기구(70)는 두께가 얇은 평평한 외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요동 기구(40)를 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동시에, 베이비 랙(1) 전체를 컴팩트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41) 위에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을 따라 이간된 한 쌍의 부채형 롤러(71)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41) 위에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1개의 부채형 롤러(71)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부채형 롤러(71)의 활 형상 부분(71a)의 단면 형상이 원호(圓弧)로 이루어지는, 즉 부채형 롤러(71)가 활 형상 부분(71a)의 각 위치에서 일정한 곡률을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채형 롤러(71)가 활 형상 부분(71a)의 중심으로부터 단부까지의 각 위치에서 일정하지 않은 곡률을 갖도록 하는 등, 변경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제 3 실시예는 요동 기구가 상이할 뿐이고, 이외에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제 1 실시예 및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요동 기구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과 동시에, 도 10 내지 도 12에서, 요동 기구에 대해서도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0은 요동 기구(76)의 상면도이고, 도 11은 요동 기구(76)의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선 12-12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기구(76)는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41b)을 갖는 고정부(41)와, 고정부(41)의 측벽(41b)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매달린 제 1 요동체(77)와, 제 1 요동체(77)에 지지된 요동 프레임(79)과, 요동 프레임(79)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매달린 제 2 요동체(81)와, 제 2 요동체(81)에 지지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30)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5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요동 기구(76)는 제 1 요동체(77)가 고정부(41)에 대하여 요동하는 동시에, 제 2 요동체(81)가 요동 프레임(79)에 대하여 요동함으로써, 가동부(51)가 고정부(41)에 대하여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부(51)에 지지된 시트 본체(30)를 측판(20)에 대하여 베이비 랙(1)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또한,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은 정면도인 도 11에서 지면에서의 깊이 방향이고,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은 정면도인 도 11에서 지면에서의 좌우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41)는 한 쌍의 측벽(41b, 41b)과, 한 쌍의 측벽(41b, 41b)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평판 형상의 고정부 베이스(41c)를 갖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도에서 보아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요동체(77)는, 각 측벽(41b)의 상부 가장자리 근방에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매달린 한 쌍의 제 1 요동체 매달림부(77a, 77a)와,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요동체 매달림부(77a, 77a)를 연결하는 제 1 요동체 연결부(77b)를 갖고, 정면도에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 요동체(77)는 정면도에서 보아 고정부(41)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11). 또한,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41)의 측벽(41b, 41b) 사이에는 2개의 제 1 요동체(77)가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프레임(79)은 2등변 사다리꼴형 외주를 따르는 형상을 갖고,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 측부(79a, 79a)와, 한 쌍의 프레임 측부(79a, 79a)를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79b)를 갖고 있다. 한 쌍의 프레임 측부(79a, 79a)는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을 따라 이간되어 제 1 요동체(77)의 제 1 요동체 연결부(77b)의 양쪽 단부 근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도 11). 이와 같은 프레임 측부(79a)는 하부(79d)의 양쪽 단부를 각 제 1 요동체에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제 1 요동체(7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도 12).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연결부(79b)는 한 쌍의 프레임 측부(79a, 79a)의 상부(79c) 중앙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요동체(81)는 각 프레임 측부(79a)의 상부(79c)에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매달린 한 쌍의 제 2 요동체 매달림부(81a, 81a)와,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제 2 요동체 매달림부(81a, 81a)를 연결하는 제 2 요동체 연결부(81b)를 갖고, 정면도에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 요동체(81)는 제 1 요동체(77)의 폭방향 내측에 배치되고(도 10 및 도 11), 제 1 요동체(77)와 높이 방향(도 11 및 도 12에서 지면에서의 상하 방향)에서 일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51)의 가동부 베이스(51a)의 하면으로부터 받침대(82)가 매달려 있고, 각 받침대(82)는 2개의 제 2 요동체(81)의 제 2 요동체 연결부(81b)에 의해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동부(51)는 받침대(82)를 통하여 제 2 요동체(81)에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받침대(82)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가동부 베이스(51a)의 상면에는, 시트 본체(30)의 시트부(31) 하면에 설치된 받침부(31a)에 결합되는 지지부(54)가 설치되어 있다(도 10에서는 도시 생략). 이 지지부(54)와 받침부(31a)를 결합시킴으로써, 가동부(51)는 시트 본체(30)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동 기구(76)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평평한 외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요동 기구(76)를 시트 본체(30)의 아래쪽에 배치할 수 있어 베이비 랙(1) 전체를 컴팩트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요동체(77)는 고정부(41)의 측벽(41b)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따라서, 제 1 요동체(77)는 일단 요동되면, 중력에 의해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주기적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제 1 요동체(77)의 제 1 요동체 연결부(77b)에 지지된 요동 프레임(79)은 고정부(4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요동체(81)는 요동 프레임(79)의 상부(79c)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따라서, 제 2 요동체(81)는 일단 요동되면, 중력에 의해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주기적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제 2 요동체(81)의 제 2 요동체 연결부(81b)에 지지된 가동부(51)는 요동 프레임(79)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요동체(77)를 고정부(41)에 대하여 요동시키는 동시에, 제 2 요동체(81)를 요동 프레임(79)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가동부(51)는 중력에 의해 고정부(41)에 대하여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고, 이에 따라, 시트 본체(30)를, 측판(20)에 대하여 베이비 랙(1)의 전후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부(51)의 고정부(41)에 대한 주기적인 왕복 운동은, 소위 이중(二重) 진자의 원리에 의거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요동체(77)에 의해 가동부(51)를 직접 지지하는 것보다도, 본 실시예와 같이 제 2 요동체(81)를 통하여 가동부(51)를 지지하는 편이 가동부(51)의 왕복 운동을 장주기(長週期)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요동체(81)는 제 1 요동체(77)에 대하여 시트 본체(30)의 폭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높이 방향은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요동체(81)를 설치함으로써, 요동 기구(76)의 외형이 커지지는 않는다.
더 나아가, 제 1 요동체(77)의 제 1 요동체 매달림부(77a)의 길이 및 제 2 요동체(81)의 제 2 요동체 매달림부(81a)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시트 본체(30)의 왕복 운동을 유아에게 최적인 요동 주기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요동체(81)가 제 1 요동체(77)에 대하여 폭방향 내측으로서, 높이 방향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 기구(76)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가동부(51)를 고정부(41)에 대하여 장주기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요동체(77)의 제 1 요동체 매달림부(77a)의 길이 및/또는 제 2 요동체(81)의 제 2 요동체 매달림부(81a)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가동부(51)의 왕복 운동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30)의 왕복 운동을 유아에게 최적인 요동 주기로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요동 기구(76)는 두께가 얇은 평평한 외형을 갖고 있어 요동 기구(76)를 시트 본체(30)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동시에, 베이비 랙(1) 전체를 컴팩트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41)를 측판(20)과 별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가동부(51)를 시트 본체(30)와 별체로 형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실시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41)를 측판(20)과 일체로 형성하고, 가동부(51)를 시트 본체(3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요동체(77)는 측판(20)의 위쪽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30)의 받침부(31a)가 제 2 요동체(81)의 제 2 요동체 연결부(81b)에 직접 지지된다. 또한, 고정부 베이스(41c)는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요동 기구(76)는 높이 방향에서, 시트 본체(30)와 일부 중첩되어 베이비 랙(1)을 더 컴팩트한 크기로 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5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5의 (b)에 나타낸 제 4 실시예는, 요동 기구가 상이할 뿐이며,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제 1 실시예,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제 2 실시예,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요동 기구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과 동시에, 도 13 내지 도 15의 (b)에서, 요동 기구에 대해서도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제 1, 제 2 또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3은 요동 기구(90)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요동 기구(90)의 정면도이며,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요동 기구(90)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기구(90)는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 레일(93)을 갖는 고정부(41)와, 만곡 레일(93) 위를 회전하는 휠(96)을 갖는 동시에, 시트 본체(30)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5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요동 기구(90)는 가동부(51)가 고정부(41)에 대하여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부(51)에 지지된 시트 본체(30)를 측판(20)에 대하여 베이비 랙(1)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또한,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은 측면도인 도 13에서 지면에서의 좌우 방향이고,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은 측면도인 도 13에서 지면에서의 깊이 방향이다.
먼저, 고정부(41)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41)는 한 쌍의 측벽(91, 91)과, 한 쌍의 측벽(91, 91)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부 베이스(92)를 갖고 있다.
각 측벽(91)의 아래쪽에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 이간된 2개의 만곡 레일(93)이 측벽(9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만곡 레일(93)은 도 13에 나타낸 측면도에서 원호 형상에 따른 상면(93a)을 갖고, 또한 만곡 레일(93)은 상면(93a)의 높이가 가장 낮아지는 중심부(93b)를 사이에 두고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만곡 레일(93)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91)에는 각 만곡 레일(93)이 설치된 부분에 대응하여 안내 개구(9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91)은 만곡 레일(93)의 위쪽을 덮는 천장부(91a)를 갖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벽(91, 91)은 서로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낸 측면에서 보아 한쪽 측벽(91)의 만곡 레일(93) 및 안내 개구(94)는 다른쪽 측벽(91)의 만곡 레일(93) 및 안내 개구(94)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가동부(51)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동부(51)는 각 만곡 레일(93) 위에 배치되는 합계 4개의 휠(96)과, 폭방향으로 이간된 한 쌍의 휠(96, 96)을 연결하는 합계 2개의 휠축(97)과, 휠축(97)을 지지하는 평판 형상의 가동부 베이스(51a)를 갖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휠축(97)은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여 2개, 가동부 베이스(51a)에 받침대(95)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 휠축(97)은 한 쌍의 휠(96, 96)을 양쪽 단부 근방에서 지지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축(97)의 단부(97a)는 휠(96)을 관통하고, 폭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안내 개구(94)의 상부 에지(94a)는 휠(96)이 만곡 레일(93) 위를 회전할 때의 휠축 단부(97a)의 이동 궤적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고, 휠축(97)의 단부(97a)는 이 안내 개구(94)의 상부 에지(94a) 근방에 배치된다(도 14). 따라서, 휠(96)이 만곡 레일(93)로부터 들뜨려하면, 단부(97a)가 안내 개구(94)의 상부 에지(94a)에 맞닿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휠(96)이 만곡 레 일(93)로부터 들뜨는 것이 규제된다.
각 휠(96)은 휠축(9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지만, 휠축(97)에 대하여 휠축(97)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각 휠(96)의 폭방향 내측에는 만곡 레일(93)의 내측 측면(93c)에 결합되는 플랜지부(flange)(96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부(51)는 폭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고, 부드럽게 만곡 레일(93) 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휠(96)이 만곡 레일(93)의 중심부(93b) 위에 있는 경우, 다른 휠(96)도 각각 만곡 레일(93)의 중심부(93b) 위에 배치되도록, 가동부 베이스(51a)로의 휠축(97)의 부착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그러나,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41)의 고정부 베이스(92) 위에는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록킹축(98)이 2개 설치되어 있다. 각 록킹축(98)은 홀더(92a)를 통하여 고정부 베이스(9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록킹축(98)의 뒤쪽 단부는 고정부 베이스(92)로부터 돌출되고, 이 단부에 레버(98a)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각 록킹축(98)에는 휠축(97)에 결합되는 록킹 결합 홈(99a)을 갖는 록킹 부재(99)가 2개 고정되어 있다. 록킹 부재(99)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휠(96)이 만곡 레일(93)의 중심부(93b) 위에 배치되었을 때에, 록킹 부재(99)는 휠축(97)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휠(96)이 만곡 레일(93)의 중심부(93b)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록킹축(98)이 요동되면, 록킹 부재(99)는 위쪽으로 연장되고(도 14), 록킹 부재(99)의 록킹 결합 홈(99a)은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축(97)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요동 기구(90)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평평한 외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요동 기구(90)를 시트 본체(30)의 아래쪽에 배치 할 수 있어 베이비 랙(1) 전체를 컴팩트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만곡 레일(93)은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만곡되어 있고, 만곡 레일(93)의 상면(93a)은 도 13에 나타낸 측면도에서 중심부(93b)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인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휠(96)이 만곡 레일(93)의 중심부(93b) 위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가동부(51)를 고정부(4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일단 이동시키면, 가동부(51)는 중력에 의해 고정부(41)에 대하여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와 같은 가동부(51)의 주기적인 왕복 운동은 회전 진자의 원리에 의거하고 있다. 따라서, 만곡 레일(93)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해, 가동부(51)의 왕복 운동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가동부(51)의 왕복 운동을 장주기화하기 위해서는 만곡 레일(93)의 만곡 형상을 완만하게 하면 되므로, 요동 기구(90)의 외형이 커지지 않는다.
또한, 휠(96)은 만곡 레일(93)의 내측 측면(93c)에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결합되는 플랜지부(96a)를 갖는 동시에(도 14), 휠(96)은 휠축(97)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측벽(91)에는 만곡 레일(93)의 위쪽을 덮 는 천장부(91a)가 설치되어 있고, 만곡 레일(93) 위로의 먼지 등의 퇴적이 방지된다. 따라서,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의 가동부(51)의 이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가동부(51)는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 부드럽게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측벽(91)에 안내 개구(94)가 설치되고, 휠축(97)의 단부(97a)는 안내 개구(94)의 상부 에지(94a)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휠(96)이 만곡 레일(93)로부터 들뜨려하면, 단부(97a)가 안내 개구(94)의 상부 에지(94a)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휠(96)이 만곡 레일(93)로부터 들뜨고, 가동부(51)가 고정부(41)로부터 어긋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휠축(97)의 단부(97a)가 안내 개구(94)의 측면 에지(94b)에 맞닿음으로써, 가동부(51)가 전후 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30)의 왕복 운동을 고정하는 경우, 요동 기구(90)로부터 전후 방향 측으로 돌출된 레버(98a)를 90° 회전시켜, 록킹축(98)을 통하여 록킹 부재(99)를 위쪽으로 향하여 요동시킨다(도 14). 이에 따라, 휠축(97)은 록킹 부재(99)의 록킹 결합 홈(99a) 내에 삽입되고,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의 휠축(97)의 이동은 규제되고, 시트 본체(30)는 측판(20)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부(51)의 휠(96)은 고정부(41)의 만곡 레일(93) 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부(51)는 중력에 의해 고정부(41)에 대하여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요동 기구(90)는 두께가 얇은 평평한 외형을 갖고 있어 요동 기구(90)를 시트 본체(30)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동시에, 베이비 랙(1) 전체를 컴팩트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만곡 레일(93)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요동 기구(90)의 외형을 크게하지 않고, 가동부(51)의 왕복 운동을 장주기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30)의 왕복 운동을 유아에게 최적인 요동 주기로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휠축(97)의 단부(97a)가 측벽(91)의 안내 개구(94)에 결합됨으로써, 가동부(51)가 고정부(41)로부터 어긋나게 되는 것, 및 가동부(51)가 고정부(41)에 대하여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휠(96)은 만곡 레일(93)의 내측 측면(93c)에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결합되는 플랜지부(96a)를 갖고, 휠축(97)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는다. 또한, 측벽(91)에는 만곡 레일(93)의 위쪽을 덮는 천장부(91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30)의 폭방향으로의 가동부(51)의 이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가동부(51)는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 부드럽게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록킹축(98)을 회전시킴으로써, 록킹 부재(99)의 록킹 결합 홈(99a)이 휠축(97)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가동부(51)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시트 본체(30)를 측판(2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41)가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가능한 록킹축(98)과, 록킹축(98)에 고정되어 휠(96)의 휠축(97)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휠축(97)에 결합되는 록킹 결합 홈(99a)을 갖는 록킹 부재(99)를 갖고, 록킹축(98)을 회전함으로써, 록킹 부재(99)가 시트 본체(30)의 전 후 방향으로의 휠축(97)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41)가 시트 본체(3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록킹축(102)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휠(96)의 휠축(97)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휠축(97)에 결합되는 록킹 결합 홈(99a)을 갖는 록킹 부재(99)와, 록킹축(102)과 록킹 부재(99)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로드(rod)(103)와, 고정부(41)의 고정부 베이스(92) 위에 설치되어 록킹 부재(99)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101)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변형예에서는, 록킹축(102)이 이동하여 록킹축(102)과 연결 로드(103)의 연결점(104)이 록킹 부재(99)와 연결 로드(103)의 연결점(105)으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이간됨에 따라, 록킹 부재(99)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록킹축(102)이 이동하여 록킹축(102)과 연결 로드(103)의 연결점(104)이 록킹 부재(99)와 연결 로드(103)의 연결점(105)에 전후 방향에서 접근함에 따라, 록킹 부재(99)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록킹 부재(99)가 위쪽으로 이동하면, 록킹 부재(99)의 결합 홈(99a) 내에 휠축(97)이 삽입되어 휠축(97)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축(102)을 후방 측으로 이동시키면, 록킹 부재(99)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또한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축(102)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록킹 부재(99)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부재(99)가 위쪽으로 이동했을 때에, 록킹 부재(99)가 휠축(97)을 위쪽으로 들어올려 휠(96)이 만곡 레일(93)로부터 이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휠(96)을 만곡 레일(93)로부터 이간시키도록 하여 결합 부재(99)가 휠축(97)을 유지한 경우, 가동부(51)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축(102)과 연결 로드(103)의 연결점(104)이 록킹 부재(99)와 연결 로드(103)의 연결점(105) 보다도 전후 방향에서 약간 한쪽(본 실시예에서는, 앞쪽)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록킹축(102)이 한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부재(106)를, 고정부(41)가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록킹 부재(99)는 휠(96)이 만곡 레일(93)로부터 이간된 상태에서 휠축(97)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휠(96)이 만곡 레일(93)로부터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본체(30)에 하중이 부하되었다 할지라도, 휠(96)을 통하여 만곡 레일(93)을 변형시키지는 않는다.
Claims (18)
- 적어도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 본체와,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요동(rocking) 기구를 구비한 베이비 랙에 있어서,요동 기구는,고정부와,고정부 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시트 본체의 폭방향으로 경사진 요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한 진자와,진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可動部)를 가지며,진자가 요동함으로써,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 항에 있어서,고정부 위에 시트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진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 항에 있어서,고정부 및 가동부 중 어느 한쪽에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판이 설치되고, 고정부 및 가동부의 다른 쪽에 안내판에 결합되는 규제 부재가 설치되며,안내판과 규제 부재가 결합됨으로써, 가동부의 고정부에 대한 시트 본체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 항에 있어서,가동부와 진자의 사이에 구상체(球狀體)가 설치되고, 구상체가 구름으로써, 가동부는 진자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 항에 있어서,요동 기구의 가동부와 시트 본체의 시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적어도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 본체와,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요동 기구를 구비한 베이비 랙에 있어서,요동 기구는,고정부와,고정부 위에 설치되고, 단면이 적어도 활 형상 부분을 갖는 부채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활 형상 부분이 고정부에 면하는 부채형 롤러와,부채형 롤러를 관통하는 지지축을 유지하는 동시에, 시트 본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를 가지며,부채형 롤러가 고정부 위를 구름으로써,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6 항에 있어서,고정부 위에 부채형 롤러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간(離間)되어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6 항에 있어서,고정부 위에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판이 설치되고, 안내판은 지지축에 결합되는 안내 개구(開口)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6 항에 있어서,요동 기구의 가동부와 시트 본체의 시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적어도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 본체와,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 는 요동 기구를 구비한 베이비 랙에 있어서,요동 기구는,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갖는 고정부와,고정부의 측벽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매달린 제 1 요동체와,제 1 요동체에 지지된 요동 프레임과,요동 프레임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매달린 제 2 요동체와,제 2 요동체에 지지되는 동시에, 시트 본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를 갖고,제 1 요동체와 제 2 요동체는 높이 방향에서 적어도 일부에서 중첩되며,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0 항에 있어서,고정부의 측벽에 한 쌍의 제 1 요동체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요동 프레임에 한 쌍의 제 2 요동체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0 항에 있어서,요동 기구의 가동부와 시트 본체의 시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적어도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 본체와,시트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시트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요동 기구를 구비한 베이비 랙에 있어서,요동 기구는,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 레일을 갖는 고정부와,만곡 레일 위를 회전하는 휠(wheel)을 갖는 동시에, 시트 본체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가동부를 가지며,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3 항에 있어서,가동부는 한 쌍의 휠과, 한 쌍의 휠을 연결하는 휠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4 항에 있어서,고정부는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가능한 록킹축과, 록킹축에 고정되고, 휠의 휠축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휠축에 결합되는 록킹 결합 홈을 갖는 록킹 부재를 더 가지며,록킹축을 회전함으로써, 록킹 결합 홈이 휠축에 결합되어 록킹 부재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휠축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3 항에 있어서,고정부는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을 더 가지며, 측벽에 휠의 휠축에 결합되는 안내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3 항에 있어서,요동 기구의 가동부와 시트 본체의 시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 제 14 항에 있어서,고정부는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록킹축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휠의 휠축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휠축에 결합되는 록킹 결합 홈을 갖는 록킹 부재와, 록킹축과 록킹 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로드(rod)를 더 가지며,록킹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킹 부재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록킹 결합 홈이 휠축에 결합되어 록킹 부재가 시트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휠축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104832 | 2004-03-31 | ||
JPJP-P-2004-00104832 | 2004-03-31 | ||
PCT/JP2005/004358 WO2005096896A1 (ja) | 2004-03-31 | 2005-03-11 | ベビーラッ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2663A KR20070012663A (ko) | 2007-01-26 |
KR101216555B1 true KR101216555B1 (ko) | 2012-12-31 |
Family
ID=3512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20474A KR101216555B1 (ko) | 2004-03-31 | 2006-09-29 | 베이비 랙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JP (1) | JP4869921B2 (ko) |
KR (1) | KR101216555B1 (ko) |
CN (1) | CN100512721C (ko) |
HK (1) | HK1102491A1 (ko) |
MY (1) | MY165345A (ko) |
TW (1) | TWI361056B (ko) |
WO (1) | WO200509689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38881B2 (ja) * | 2005-04-27 | 2011-08-03 | コンビ株式会社 | 育児器具 |
US7963896B2 (en) | 2007-04-23 | 2011-06-21 | Learning Curve Brands, Inc. | Child exercise seat |
RU2448632C2 (ru) * | 2009-10-20 | 2012-04-27 | Юрий Николаевич Байдюк | Опора с маятником |
US8491401B2 (en) | 2010-03-17 | 2013-07-23 | Mattel, Inc. | Infant swing with seat locking mechanism |
CN102198838A (zh) * | 2010-03-26 | 2011-09-28 | 黎玲红 | 摇篮童车 |
CN102210531A (zh) * | 2010-04-05 | 2011-10-12 | 黎玲红 | 摇椅 |
HK1161508A2 (en) | 2011-03-14 | 2012-07-27 | Tiny Love Ltd | Infant seat |
JP5851786B2 (ja) * | 2011-09-29 | 2016-02-03 |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 揺動ベッド |
CN106539382B (zh) * | 2016-12-20 | 2018-08-07 | 华安立高文具制品(深圳)有限公司 | 床椅两用的座椅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24189A (ja) * | 2001-07-16 | 2003-01-28 | Combi Corp | 幼児用椅子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34768Y1 (ko) * | 1970-04-17 | 1973-10-20 | ||
JPS5512845A (en) * | 1978-07-11 | 1980-01-29 | Toho Beslon Co | Production of fibrous structure |
JPS5512845U (ko) * | 1978-07-12 | 1980-01-26 | ||
JPS6148314A (ja) * | 1984-08-14 | 1986-03-10 | 坂本 義一 | 音声リレ−回路で作動するベビ−ベツト |
JP3958413B2 (ja) * | 1997-09-17 | 2007-08-15 | コンビ株式会社 | 揺動機能付き椅子 |
-
2005
- 2005-03-11 CN CNB2005800103204A patent/CN10051272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3-11 JP JP2006511934A patent/JP486992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3-11 WO PCT/JP2005/004358 patent/WO200509689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3-17 TW TW094108177A patent/TWI361056B/zh active
- 2005-03-28 MY MYPI20051350A patent/MY165345A/en unknown
-
2006
- 2006-09-29 KR KR1020067020474A patent/KR1012165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09-10 HK HK07109819.3A patent/HK1102491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24189A (ja) * | 2001-07-16 | 2003-01-28 | Combi Corp | 幼児用椅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361056B (en) | 2012-04-01 |
CN100512721C (zh) | 2009-07-15 |
WO2005096896A1 (ja) | 2005-10-20 |
KR20070012663A (ko) | 2007-01-26 |
JPWO2005096896A1 (ja) | 2008-02-21 |
MY165345A (en) | 2018-03-21 |
TW200534814A (en) | 2005-11-01 |
CN1937940A (zh) | 2007-03-28 |
JP4869921B2 (ja) | 2012-02-08 |
HK1102491A1 (en) | 2007-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6555B1 (ko) | 베이비 랙 | |
JP4919633B2 (ja) | 車椅子 | |
JPH058675A (ja) | ぶらんこ椅子装置をもつ幼児用の多機能車両シート装置 | |
JP2003024189A (ja) | 幼児用椅子 | |
KR950007778B1 (ko) | 안전시트 겸용 유모차 | |
CN100584247C (zh) | 幼儿用座椅 | |
TW201202075A (en) | Seat construction of baby equipment | |
CN104602571A (zh) | 高脚椅 | |
KR20130035165A (ko) | 요동 베드 | |
KR101228051B1 (ko) | 유아용 의자 | |
JP2592766B2 (ja) | 椅 子 | |
JP3732787B2 (ja) | 育児器具 | |
JP3514805B2 (ja) | 椅 子 | |
JP4738881B2 (ja) | 育児器具 | |
KR20100103160A (ko) | 카트 | |
JP4223875B2 (ja) | チャイルドシート | |
JPH1095346A (ja) | 幼児用着座装置 | |
KR200495263Y1 (ko) | 절첩식 카트 | |
KR101119287B1 (ko) | 가구의 받침부 이송장치 | |
JP2003189984A (ja) | 乳幼児用シート | |
JP2569965Y2 (ja) | 育児椅子 | |
JP2003111804A (ja) | ベッド装置 | |
KR200383755Y1 (ko) |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 |
JP4297492B2 (ja) | 移乗装置 | |
JPS5837336Y2 (ja) | 座席のサイドサポ−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