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755Y1 -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755Y1
KR200383755Y1 KR20-2004-0036582U KR20040036582U KR200383755Y1 KR 200383755 Y1 KR200383755 Y1 KR 200383755Y1 KR 20040036582 U KR20040036582 U KR 20040036582U KR 200383755 Y1 KR200383755 Y1 KR 200383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ody
seat
handle
bar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제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6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손잡이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시트본체의 경사를 쉽게 조절하고, 탑승시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시트본체의 경사각도를 증가시킬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시트본체(110)를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120)의 상면에 걸림홈(131a)을 구비하는 걸림대(131)를 형성하고, 시트본체(110) 저면에는 걸림대(131)에 걸리는 걸림바(133a)가 형성하여 걸림바(133a)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걸림홈(131a)에 걸므로써 시트본체(110)의 경사를 조절하여 경사조절장치(130)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높이를 낮추어서 유아가 탑승시에 안정감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slope of baby car-seat}
본 고안은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누구라도 쉽게 핸들부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시트의 경사를 쉽게 조절하고, 복잡한 구조변경없이 시트의 경사각도를 증가시킬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카시트는 유아들의 차량탑승시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차량의 좌석에 장착되어, 차량이 급제동, 급출발, 충돌등의 발생할 경우 유아를 보호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안전만을 고려할 경우 유아들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여 차량 탑승시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므로 유아들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아용 카시트에도 리클라이닝가능한 기능을 제공하여 유아가 보다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고, 또 외부에서 손쉽게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상기 목적의 카시트에 사용되는 경사조절장치의 일예로 본 고안과는 구성의 동일성은 없지만, 본 고안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한국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등록번호 제 20-0346527호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 부호는 새로이 부여한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측단면도이다. 이들에 따르면, 유아용 카시트(1)는 좌판부(11)와 등받이부(12)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저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판(20)과, 상기 본체(10)와 베이스판(20)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로 구성된다.
이 때, 본체(10)에는 축수부(13)가 형성되고, 베이스판(20)에는 회전축(22)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22)이 축수부(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도조절부(30)는, 상기 베이스판(20)에 형성되며 조립공간에 끼워지는 가이드판(31)과, 가이드판(31)과 함께 조립공간에 끼워지고 선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캠공(33a)이 형성된 캠부(33e)를 구비하며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축(37)을 중심으로 시소식으로 회전하여 후방측 걸림돌기(33b)가 걸림공(33d)에 끼워지거나 빠지면서 각도 조절 및 본체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조절링크(33)와, 이들을 복원시키는 스프링(35)과, 가이드판(31)과 조절링크(33) 각각에 형성된 축공(33c, 31a)에 끼워지는 이동축(37) 그리고, 가이드판(31)과 조절링크(33)를 당겨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중앙부위에 손잡이(39a)가 형성되는 바(39)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각도조정과정을 살펴본다. 손잡이(39a)를 당기면 손잡이(39a)가 바(39)를 당기게 된다. 이때의 바(39)가 조절링크(33)를 강제로 밀면서 이동하고, 바(39)가 완전히 당겨지면 조절링크(33)의 캠부(33e)가 젖혀지게 된다. 캠부(33e)가 젖혀짐과 동시에 조절링크(33)는 이동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절링크(33)가 회동한다. 조절링크(33)가 회동하면 반대로 걸림돌기(33b)는 이동축(37)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걸림이 해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를 잡고 누르거나, 위로 올려 적당한 각도로 본체(1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본체(10)의 기울기가 정해지면 당기고 있던 손잡이(39a)를 놓게되고, 이와 동시에 조절링크(33)는 스프링(35)의 탄력에 의하여 캠부(33e)가 이동축(37)을 중심으로 세워지고, 아울러 걸림돌기(33b)가 하강하여 베이스판(20)의 걸림공(33d)에 끼워져 본체(10)의 경사각을 유지시킨다. 한편, 캠부(33e)가 복원됨에 따라 바(39) 또한 복원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아용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는 비록 유아용 카시트에 경사를 제공하는 잇점이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이 복잡하고,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는 반면 유아가 취침하거나, 영아가 사용할 경우에 요구되는 보다 큰 각도의 경사를 구현하는데에 한계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며, 또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카시트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경사각도를 크게 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시트의 경사조절장치는 시트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시트본체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대로부터 상기 시트본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체로서, 상기 연장체상에 외부로 개방되는 복수의 걸림홈을 구비하는 걸림대와, 상기 시트본체의 저면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양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바의 회동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시트본체에 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상기 걸림바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부, 그리고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상기 핸들부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스프링(137)의 일단은 연결편(135b)에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대(120)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본체(110)에는 상기 걸림바(133a)가 상기 받침대(120) 최저단에 걸린상태에서 상기 걸림대(120)가 관통하도록 관통홈(1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로부터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주를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조절장치를 장착한 유아용 카시트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사조절장치를 장착한 유아용 카시트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유아용카시트(100)는 크게 시트본체(110)와, 시트본체(110)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120) 및 상기 시트본체(110)와 상기 받침대(120) 사이에서 시트본체(11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장치(130)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본체(110)는 유아가 앉을 수 있는 부분인 앉음부(111)와 유아가 등을 기대는 등받이부(112)로 구성되며, 앉음부(111)와 등받이부(112)는 전형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나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시트본체(110)에는 유아를 안전사고시 고정시키기 위한 전방패드(113) 및 어깨패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패드들(113)를 시트본체(110)에 연결하기 위하여 패드(113)가 시트본체(110)에 연결되는 부위에는 패드(113)와 시트본체(11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포함되는 패드장착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본체(110)의 전방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손잡이(135a)가 장착될 손잡이홈(11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방패드(113)의 패드장착홈(115)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대(131)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형적으로 시트본체(110)의 저면 후방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받침대(120)의 회동축 또는 회동돌기(121)가 끼워지는 축공(117)이 구비된다.
받침대(120)는 시트본체(110)의 축공(121)에 끼워질 수 있는 회동축 또는 회동돌기(117)가 구비되어, 시트본체(110)와 회동가능한 연결을 형성한다. 이 때, 회동가능한 연결수단은 본 고안에서는 제한이 없다. 또한, 받침대(120)의 상면 전방에는 받침대(12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위해 포밍부(122)가 형성된다.
시트본체(110)의 저면과 받침대(120)의 상면에는 경사조절장치(130)가 설치되는데, 경사조절장치(130)가 차지하는 높이가 높을수록 시트본체(110)와 받침대(120)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게 되므로, 시트본체(110)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경사조절장치(130)가 차지하는 높이는 낮을수록 유리하다. 본 고안에 따른 경사조절장치를 도 4 및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사시도이다. 이에 의하면, 경사조절장치(130)는 받침대(120)에서 시트본체(110)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대(131)와, 시트본체(110)의 저면에서 연결되어 형성되고 걸림대(131)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고리(133), 시트본체(110)에 형성된 손잡이홈(118)에 장착되고 걸림고리(133)에 연결되는 핸들부(135), 핸들부(135)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대(131)는 받침대(120) 상면의 포밍부(122)에서 시트본체(110)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체로서, 연장체상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되는 걸림홈(131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걸림홈(131a)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걸림홈(131a) 하나의 간격에 따라 다르지만 전형적으로 3개 내지 5개가 형성된다. 걸림대(131)는 경사조절장치(130)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될 바와 같이 걸림대(131)가 높을수록 시트본체(110)의 경사각도는 커질 수 있으나, 시트본체(110)가 높이 위치하게 되어 안정도가 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고리(133)는 "ㄷ"형상의 선형체로서 시트본체(110)의 저면에 연결되는 연결바(133b)와, 걸림홈(131)에 끼워지는 걸림바(133a)로 구성된다. 연결바(133b)는 상기 시트본체(110)의 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양측의 바로, 통상 그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시트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홈(미도시)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바(133b)의 길이는 최하단의 걸림홈(131)에 걸림바(133a)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걸림바(133a)는 양측의 연결바(133b)가 연장되어 형성된 바로, 걸림홈(131a)에 끼워진다. 걸림바(133a)의 굵기는 걸림홈(131a)의 걸림홈(131a)의 홈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고리(133)는 시트본체(110)의 경사시 유아의 체중을 지탱할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진 금속으로 통상 제작된다.
핸들부(135)는 "ㄷ"형상의 손잡이(135a)와, 손잡이(135a)에서 연결되어 걸림바(133a)에 연결되는 연결편(135b)으로 구성된다. 손잡이(135a)는 전형적으로 시트본체(110)의 앉음부(111) 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홈(118)에 장착된다. 손잡이홈(118)의 양측에는 손잡이(135a)가 장착될 수 있는 슬롯(119)이 형성되어, 손잡이(135a)가 전후방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연결편(135b)은 손잡이(135a)에서 소정의 각도로 아랫방향으로 절곡연장되는 형상으로 단부는 걸림바(133a)가 끼워질 수 있도록 집개형으로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단부를 두개로 분지하되, 분지된 각단부가 형성하는 입구측의 간격을 걸림바(133a)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하고, 내측은 걸림바(133a)의 굵기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여 그 사이로 걸림바(133a)가 끼워질 경우 연결편(135b)의 단부가 탄성변형으로 일으키면서 끼워지고, 끼워진 후에는 일정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 핸들부(135)는 통상 시트본체(110)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
스프링(137)의 일단은 연결편(135b)에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대(120)에 연결된다. 스프링(137)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통상 용수철이 이용된다. 연결편(135b) 및 받침대(120)에 스프링(137)을 연결시키기 위해서, 연결편(135b) 및 받침대(120)에는 용수철의 각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139)이 형성되는데, 연결편(135b)에는 연결편(135b)의 단부에 형성되고, 받침대(120)에는 받침대(120)의 후방상면에 형성된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본체(110)가 특정 경사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손잡이(135a)를 전방으로 인출한다. 손잡이(135a)는 시트본체(110)의 전방에 형성된 슬롯(119)에 끼워져 있으므로, 전방으로 인출할 경우 슬롯(119)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손잡이(135a)가 전방으로 인출됨에 따라, 손잡이(135a)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편(135b)도 동반하여 전방으로 인출된다. 또한, 아랫방향으로 일정각도 절곡된 연결편(135b)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고리(133)가 시트본체(110)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연결편(135b)이 집고 있는 걸림바(133b)도 전방으로 인출된다.
한편, 걸림바(133b)가 전방으로 이동되기 전에 걸림바(133b)는 시트본체(110)가 특정경사를 유지하는 특정 걸림홈(131a)에 걸려진 상태인데, 걸림바(133b)가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걸림홈(131a)에 걸린 상태에서 해제되어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걸림바(133b)가 걸림홈(131a)에서 해제되면, 시트본체(110)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시트본체(110)를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시트본체(110)를 원하는 경사로 회동시킨 후, 손잡이(135a)를 놓는다.
손잡이(135a)를 놓으면, 받침대(120)의 상면후방과 연결편(135b)의 단부에 연결된 용수철에 의해 복원력이 생기므로, 손잡이, 연결편 후방으로 이동하여 원래 상태로 이동하며, 걸림바(133a)는 원하는 경사위치의 걸림홈(131a)에 걸리게 된다.
도 6a, 6b, 6c, 6d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동작도이다. 도 6a는 4단으로 구성된 걸림홈(131a)을 가지는 유아용 카시트(100)의 경사조절장치(130)에서 최저단인 1단 걸림홈(131a-1)에 걸림바(133a)가 걸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2단 걸림홈(131a-2), 도 6c는 3단 걸림홈(131a-3), 도 6d는 4단 걸림홈(131a-4)에 걸림바(133a)가 걸린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각 경사위치의 변경에 대한 설명을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지면상 생략한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의 걸림홈(131a')에 걸림바(133a)가 걸릴 경우에 걸림대(131)는 시트본체(110)의 관통홈(116)을 관통하여 올라가게 구성되는데, 이는 경사조절장치(130)의 높이를 최저한으로 유지하여, 시트본체(110)의 안정성을 유지시키면서도 보다 큰 경사각도를 제공하여 편리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 때,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관통홈(116)이 패드장착홈(115)안으로 관통되도록 구성되면, 관통홈(116)이 앉음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더라도 탑승이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가 간단한 구조로 제조되므로 작업공정의 개선 및 원가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경사조절장치의 높이를 최대한 작게 함으로써, 시트본체에 유아가 탑승시에 안정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비록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되어졌으나, 고안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조절장치를 장착한 카시트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조절장치를 장착한 카시트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의 동작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의 동작사시도.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의 동작사시도.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의 동작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의 걸림대가 관통홈을 관통하는 동작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아용카시트 10 : 본체
11 : 좌판부 12 : 등받이부
20 : 베이스판 30 : 각도조절부
31 : 가이드판 33 : 조절링크
35 : 스프링 37 : 이동축
39 : 39 100 : 유아용카시트
110 : 시트본체 111 : 앉음부
112 : 등받이부 121 : 축공
115 : 패드장착홈 116 : 관통홈
117 : 회동축 120 : 받침대
121 : 축공 122 : 포밍부
130 : 경사조절장치 131 : 걸림대
133 : 걸림고리 135 : 핸들부
137 : 스프링 139 : 구멍

Claims (4)

  1. 시트본체(110)를 지지하고 상기 시트본체(11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대(120)로부터 상기 시트본체(110)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체로서, 상기 연장체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131a)을 구비하는 걸림대(131);
    상기 시트본체(110)의 저면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바(133b)와, 상기 연결바(133b)의 양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바(133b)의 회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홈(131a)들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바(133a)를 포함하는 걸림고리(133);
    상기 시트본체(110)에 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손잡이(135a)와, 상기 손잡이(135a)와 상기 걸림바(133a)를 연결하는 연결편(135b)으로 구성되는 핸들부(135); 및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상기 핸들부(135)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3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37)의 일단은 상기 연결편(135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대(1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110)에는 상기 걸림바(133a)가 상기 받침대(120) 최저단에 걸린상태에서 상기 걸림대(120)가 관통하도록 관통홈(1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홈(131a)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KR20-2004-0036582U 2004-12-23 2004-12-23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KR200383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582U KR200383755Y1 (ko) 2004-12-23 2004-12-23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582U KR200383755Y1 (ko) 2004-12-23 2004-12-23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755Y1 true KR200383755Y1 (ko) 2005-05-09

Family

ID=4368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582U KR200383755Y1 (ko) 2004-12-23 2004-12-23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7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536B2 (en) Child seat
US6679779B2 (en) Structure for an infant&#39;s rocket
KR101635485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JPH1059034A (ja) 座面高さ可変の車両用シート
CN100444764C (zh) 座椅
KR102017614B1 (ko) 목받침 헤드레스트
JP4456265B2 (ja) 椅子における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CN109195484B (zh) 椅子及座的支承机构
KR200383755Y1 (ko)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KR200382313Y1 (ko) 의자의 각도조절장치
KR101759479B1 (ko) 의자용 등받이
JP4759128B2 (ja) 座の前後位置調整装置
CN109334524A (zh) 多功能儿童安全座椅
JP5141198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4520622B2 (ja) 椅子における座の取付装置
KR200346528Y1 (ko)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KR200333281Y1 (ko) 카시트
JPH1095346A (ja) 幼児用着座装置
KR0124456Y1 (ko) 차량용 시이트
CN216659684U (zh) 用于座椅的头枕总成和用于车辆的座椅
CN210680473U (zh) 儿童安全汽车座椅
JP2691122B2 (ja) 幼児用座席付き車両用シート
KR0132814Y1 (ko)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KR0131924B1 (ko) 헤드 레스트(head rest)를 이용한 어린이용 안전 시트
KR0132816Y1 (ko)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