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281Y1 - 카시트 - Google Patents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281Y1
KR200333281Y1 KR20-2003-0025764U KR20030025764U KR200333281Y1 KR 200333281 Y1 KR200333281 Y1 KR 200333281Y1 KR 20030025764 U KR20030025764 U KR 20030025764U KR 200333281 Y1 KR200333281 Y1 KR 200333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rame
car seat
backrest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길
최병근
최창림
박재필
양문석
심성국
강언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경상대학교총장)
박재필
양문석
심성국
강언규
최창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경상대학교총장), 박재필, 양문석, 심성국, 강언규, 최창림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경상대학교총장)
Priority to KR20-2003-0025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후단에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직립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등받침부(20)와, 상기 프레임(10) 상에 설치되고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안착되는 엉덩이받침부(30)와, 상기 엉덩이받침부(30)의 선단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받침대(45)가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한 발받침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받침부(20)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부(50)가 등받침부(20)의 상단 경사면에 상하로 승강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카시트를 사용자의 체격에 맞춰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성장하더라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체격을 가지는 사용자에 대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카시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카시트{A car-seat}
본 고안은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성장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카시트는 승용차에 구비된 시트에 장착하여 신장이 140cm이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승용차에 구비된 시트가 어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체형이 작은 어린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카시트는 사용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위해 사용자의 체격에 맞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는 그 성장속도가 빨라 카시트를 얼마 사용하지 않아도 금방 체격에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카시트를 생산하는 업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다양한 크기의 카시트를 생산하여야 하므로 생산원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어린이의 성장속도에 맞춰서 카시트를 구입하려면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이 되고, 어린이의 체격에 맞지 않는 카시트를 사용하게 되면 승용차를 장시간 탑승시에 사용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체격에 맞춰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감을 상대적으로 덜 느끼는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카시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카시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엉덩이받침부의 측면도.
도 4b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엉덩이받침부의 정면도.
도 4c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엉덩이받침부의 평면도.
도 5a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발받침부의 측면도.
도 5b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발받침부의 정면도.
도 6a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머리받침부의 측면도.
도 6b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머리받침부의 정면도.
도 6c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머리받침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2: 안내채널
14: 걸이통공 16: 고정걸이핀
20: 등받침부 21: 등받침부몸체
30: 엉덩이받침부 31: 엉덩이받침부몸체
32: 이동가이드 33: 조절걸이공
35: 연결공 40: 발받침부
42: 받침대틀 43: 걸이통공
45: 발받침대 50: 머리받침부
51: 머리받침 52: 연결축
53: 높이조절판 54: 걸이통공
55: 조절버튼 56: 스프링
57: 고정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직립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등받침부와,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안착되는 엉덩이받침부와,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받침대가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한 발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받침부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부가 등받침부의 상단 경사면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더 구비된다.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이동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는 안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받침부에는 상기 안내채널에 안착되는 이동가이드가 엉덩이받침부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설치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이동방향으로 다수개의 걸이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받침부에는 조절걸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통공을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조절걸이공에 안착되는 고정걸이핀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카시트에 의하면 프레임에 대해 엉덩이받침부가 이동가능하여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엉덩이받침부를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체격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발과 머리를 안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 있어 보다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카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카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엉덩이받침부가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발받침부가 측면도 및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머리받침부의 구성이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10)이 카시트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안내채널(12)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엉덩이받침부(30)의 이동가이드(32)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양단에는 프레임(10)의 외부와 안내채널(12)을 연통시키도록 걸이통공(14)이 천공된다. 상기 걸이통공(14)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통공(14)에는 고정걸이핀(16)이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고정걸이핀(16)은 상기 프레임(10)의 양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통공(14)을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엉덩이받침부(30)의 조절걸이공(33)에 그 선단이 안착되어 엉덩이받침부(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양단에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양팔이 안착되는 암레스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의 후단에는 등받침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등받침부(20)는 사용자의 등이 받쳐지는 부분이다. 상기 등받침부(20)는 평상시에 상기 프레임(10)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있고, 필요시에는 프레임(10)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뒤로 제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등받침부(20)를 구성하는 등받침부몸체(21)는 그 상단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데, 그 중간부에는 상하로 길게 승강슬롯(22)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슬롯(22)이 형성된 상기 등받침부몸체(21)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머리받침부(50)의 높이조절판(53)이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10) 상에는 엉덩이받침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엉덩이받침부(30)는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엉덩이받침부(30)의 엉덩이받침부몸체(31)는 그 후단이 상기 등받침부몸체(21)의 하부, 보다 정확히는 상기 프레임(10)과 등받침부몸체(21)의 사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는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가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더라도 상기 등받침부몸체(21)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엉덩이받침부(30)의 구성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엉덩이받침부(3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엉덩이받침부몸체(31)의 정단면이 'I'자 형상으로 된다.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은 엉덩이받침부몸체(31)의 선단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의 하부로는 이동가이드(32)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가이드(32)는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가이드(32)는 상기 안내채널(12)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이동가이드(32)의 양단에는 다수개의 조절걸이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걸이공(33)은 상기 걸이통공(14)과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통공(14)을 관통한 고정걸이핀(16)의 선단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걸이핀(16)은 단순히 상기 조절걸이공(33)에 안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나사식으로 체결되거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2)의 선단에는 양측에는 연결공(35)이 천공된다. 상기 연결공(35)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받침부(4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2)의 선단에는 발받침부(40)가 구비된다. 상기 발받침부(40)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먼저, 받침대틀(42)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ㅁ'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그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연결핀(42')에 의해 상기 엉덩이받침대몸체(31)에 연결된다.
상기 받침대틀(42)의 양단을 관통하여서는 각각 걸이통공(43)이 천공된다. 상기 걸이통공(43)은, 도 5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한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틀(42)에는 발받침대(45)가 구비된다. 상기 발받침대(45)는 상기 받침대틀(42)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발받침대(45)는 걸이핀(46)에 의해 그 설치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걸이핀(46)은 상기 걸이통공(43)을 관통하여 상기 발받침대(45)에 연결됨에 의해 상기 받침대틀(42)에 상기 발받침대(45)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걸이핀(46)은 상기 발받침대(45)의 양단에 각각 2개씩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발받침대(45)가 걸이핀(46)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핀(46) 역시 상기 발받침대(45)에 나사식으로 체결되거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등받침부몸체(21)의 승강슬롯(22)에는 머리받침부(50)가 설치된다. 상기 머리받침부(50)는 사용자의 목상단이나 뒷머리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머리받침부(50)에는 사용자의 목상단이나 뒷머리부가 실제로 안착되는 머리받침(51)가 구비된다. 상기 머리받침(51)은 그 전면이 라운드진 곡면으로 된다.
상기 머리받침(51)의 후단에는 연결축(52)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축(52)은상기 승강슬롯(22)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축(52)을 통해 상기 머리받침(51)은 높이조절판(53)에 연결된다. 상기 높이조절판(53)은 등받침부몸체(21)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판(53)의 양단에는 다수개의 걸이통공(54)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등받침부몸체(21)의 양단에는 조절버튼(55)이 구비된다. 상기 조절버튼(55)은 상기 머리받침(5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절버튼(55)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침부몸체(21)의 내부에서 스프링(5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56)은 상기 조절버튼(55)이 등받침부몸체(21)의 표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조절버튼(55)에는 고정핀(57)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핀(57)은 상기 높이조절판(53)에 형성된 걸이통공(54)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이통공(54)에 안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버튼(55)의 고정핀(57)에 의해 상기 머리받침부(50)의 설치 위치가 결정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카시트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카시트는 승용차의 시트에 안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상에 앉아 등받침부몸체(21)에 등을 대고, 상기 발받침대(45)에 발을 안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카시트는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엉덩이받침부(30), 발받침부(40) 및 머리받침부(5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엉덩이받침부(30)는 사용자가 상기 등받침부몸체(21)에 등을 대고 앉은 상태에서 오금이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의 선단에 가볍게 닿을 정도가 되도록 하면 된다. 물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오금이나 장딴지가 엉덩이받침부몸체(31)의 선단에 닿는 정도는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걸이핀(16)을 상기 프레임(20)과 엉덩이받침부몸체(31)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를 상기 프레임(20)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는 그 이동가이드(32)가 상기 안내채널(1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고정걸이핀(16)을 상기 프레임(20)의 걸이통공(14)을 통해 상기 이동가이드(32)의 조절걸이공(33)에 끼워지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가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발받침대부(40)에서 발받침대(45)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발받침대(45)의 높이는 사용자가 상기 엉덩이받침부몸체(31)에 앉은 상태에서 발바닥이 닿도록 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발받침대(45)의 높이가 결정되면 상기 걸이핀(46)을 상기 발받침대(45)와 받침대틀(42)의 걸이통공(43)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발받침대(45)를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걸이핀(46)을 상기 걸이통공(43)을 통해 상기 발받침대(45)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발받침대(45)의 높이를 조절하면사용자의 발이 상기 발받침대(45)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머리받침부(5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머리받침부(50)의 높이는 상기 등받침부몸체(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조절버튼(55)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조절버튼(55)을 상기 스프링(5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당겨 상기 고정핀(57)이 높이조절판(53)의 걸이통공(54)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머리받침(51)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51)과 높이조절판(53)을 연결하는 연결축(52)이 상기 승강슬롯(22)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머리받침(51)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조절버튼(55)을 놓아 상기 고정핀(57)이 상기 높이조절판(53)의 걸이통공(54)에 삽입되게 한다. 상기 고정핀(57)이 상기 높이조절판(53)의 걸이통공(54)에 삽입되면 상기 머리받침(51)이 원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등받침부몸체(20)는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받침부몸체(20)를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소정 각도 펼쳐주면 사용자가 카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경사지게 뒤로 누워 잠을 청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걸이핀(16), 걸이핀(46) 및 고정핀(57)에 의해 엉덩이받침부몸체(31), 발받침대(45) 및 머리받침(51)을 고정하는 방식은, 도시된 실시예외에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카시트는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다양한 부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고, 생산자는 하나의 카시트를 생산하여 다양한 체격의 사용자를 상대로 판매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체격에 맞춰 카시트의 각각의 부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승용차로 이동할 때 보다 편안한 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직립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등받침부와,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안착되는 엉덩이받침부와,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받침대가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한 발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부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부가 등받침부의 상단 경사면에 상하로 승강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이동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는 안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받침부에는 상기 안내채널에 안착되는 이동가이드가 엉덩이받침부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설치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엉덩이받침부의 이동방향으로 다수개의 걸이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받침부에는 조절걸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통공을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조절걸이공에 안착되는 고정걸이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
KR20-2003-0025764U 2003-08-09 2003-08-09 카시트 KR200333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764U KR200333281Y1 (ko) 2003-08-09 2003-08-09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764U KR200333281Y1 (ko) 2003-08-09 2003-08-09 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281Y1 true KR200333281Y1 (ko) 2003-12-06

Family

ID=4934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764U KR200333281Y1 (ko) 2003-08-09 2003-08-09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2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588B1 (ko) 2010-03-17 2010-10-20 (주)동인기연 유아용 헤드레스트 승강수단이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WO2018199532A1 (ko) * 2017-04-28 2018-11-01 배종훈 유소년용 카시트 장치의 발 받침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588B1 (ko) 2010-03-17 2010-10-20 (주)동인기연 유아용 헤드레스트 승강수단이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WO2018199532A1 (ko) * 2017-04-28 2018-11-01 배종훈 유소년용 카시트 장치의 발 받침 조립체
US10654390B2 (en) 2017-04-28 2020-05-19 Jong Hoon Bae Assembled footrest of car seat apparatus for early chi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2975A (en) Ergonomic wheelchair seat
EP1720429B1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4634178A (en) Adaptable seating device
JPH08238138A (ja) 車両用座席
JPH10165252A (ja) 背もたれおよび座席の調整が連動している、腰掛け用家具部材
GB2182241A (en) A chair without a back/a stool
US4813742A (en) Orthopedic footstool
CN206197526U (zh) 便于产妇舒适哺乳的座椅
CN213820632U (zh) 座椅
KR200333281Y1 (ko) 카시트
KR200314771Y1 (ko) 안락의자
KR20200144928A (ko) 마사지기능이 있는 컴퓨터의자
US20080246322A1 (en) Seat for Vehicles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JP3146343B2 (ja) 椅 子
WO2008054225A1 (en) Chair
KR200329505Y1 (ko) 안락의자
CN206044044U (zh) 便于分娩后产妇哺乳的座椅
KR100743937B1 (ko) 가변 등받이형 의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CN215226285U (zh) 用于纠正并保持青少年儿童坐姿的座椅
JPH11235942A (ja) 乗合い車両用腰掛け
CN219699441U (zh) 一种跪坐姿切换的椅子
CN211154766U (zh) 一种可调式多功能儿童沙发
KR200254271Y1 (ko) 사무실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