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437A - Cmp-n-아세틸뉴라민산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Cmp-n-아세틸뉴라민산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437A
KR20060109437A KR1020067007880A KR20067007880A KR20060109437A KR 20060109437 A KR20060109437 A KR 20060109437A KR 1020067007880 A KR1020067007880 A KR 1020067007880A KR 20067007880 A KR20067007880 A KR 20067007880A KR 20060109437 A KR20060109437 A KR 20060109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mp
neuac
reaction
adde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9403B1 (ko
Inventor
도모키 하마모토
구니아키 나가오카
도시타다 노구치
Original Assignee
야마사 쇼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사 쇼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사 쇼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6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carbohydrates
    • C12P19/28N-glycosides
    • C12P19/30Nucleotides
    • C12P19/32Nucleotides having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two N-atoms in the same ring, e.g. purine nucleotides, nicotineamide-adenine dinucleo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6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carbohydrates
    • C12P19/28N-glycosides
    • C12P19/38Nucleosides
    • C12P19/385Pyrimidine nucleos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6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carbohydrates
    • C12P19/28N-glycosides
    • C12P19/30Nucleo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6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carbohydrates
    • C12P19/28N-glycosides
    • C12P19/30Nucleotides
    • C12P19/305Pyrimidine nucleot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크로마토그래피 처리 이외에서는 곤란했던 고순도의 CMP-N-아세틸뉴라민산(HPLC 순도 95% 이상) 을, 크로마토그래피 처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또한 양호한 수율로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고순도의 CMP-N-아세틸뉴라민산(CMP-NeuAc) 의 제조법으로서, 이하의 공정 1∼4 의 각 공정을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NeuAc 의 제조법.
공정 1 : CMP-NeuAc 함유액에 2 가 양이온을 첨가하여, 공존하는 인산, 피로인산, 뉴클레오티드를 침전시키는 공정, 공정 2 : CMP-NeuAc 함유액에 포스파타아제를 첨가하여, 공존하는 뉴클레오티드를 뉴클레오시드로 변환하는 공정, 공정 3 :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CMP-NeuAc 를 침전시키는 공정, 공정 4 : 침전된 CMP-NeuAc 를 회수하는 공정

Description

CMP-N-아세틸뉴라민산의 제조법{PROCESS FOR PRODUCING CMP-N-ACETYLNEURAMINIC ACID}
본 발명은, 당(糖)사슬 합성의 중요한 원료인 CMP-N-아세틸뉴라민산 (CMP-NeuAc)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당사슬에 관한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연구가 급속히 진행되고, 생리 활성을 갖는 올리고당, 당지질, 당단백질 등의 의약품 또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용도 개발이 주목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말단에 N-아세틸뉴라민산 (NeuAc) 을 함유하는 시알산 함유 당사슬은, 세포 접착이나 바이러스 감염시의 수용체가 되는 등 중요한 기능을 갖는 당사슬로서 알려져 있다.
시알산 함유 당사슬은, 일반적으로 시알산 전이 효소의 촉매에 의해 합성된다. 또한, 시알산 전이 효소란, 시티딘5'-모노인산-N-아세틸뉴라민산 (CMP-NeuAc) 을 당 공급체로 하여, 수용체가 되는 당사슬에 시알산을 전이시키는 효소이다.
CMP-NeuAc 는, 기본적으로는 시티딘5'-트리인산(5'-CTP) 과 뉴라민산(NeuAc) 을 기질로 하고, CMP-NeuAc 신세타아제의 촉매 반응에 의해 합성되어 있다.
그러나, 당 공급체로서 사용하는 CMP-NeuAc 는 매우 불안정하여 대량 조제가 곤란하기 때문에 매우 고가이며, 또한 양적으로도 시약 레벨에서의 미소한 양으로밖에 공급되고 있지 않다. 또 공급되고 있는 제품의 순도도 나빠 (종래, 순도 95% 이상의 고순도품을 취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HPLC 검정 상, 통상 90% 전후의 순도를 갖고 있다), 시알산 함유 당사슬 등의 제조 원료로서는 부적절한 것이다.
종래, CMP-NeuAc 의 정제법으로는, 반응 공정 중 또는 정제 공정 중에 분해되어 생성하거나, 또는 합성 반응액 중에 잔존하는 시티딘5'-모노인산(5'-CMP), 시티딘5-디인산(5'-CDP) 및 5'-CTP 와 CMP-NeuAc 를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송아지 유래의 알칼리 포스파타아제(CIAP) 를 사용하여 공존하는 5'-CMP, 5'-CDP 및 5'-CTP 의 인산을 제거하여 모두 시티딘으로 한 후,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나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처리에 의해 CMP-NeuAc 를 분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1∼3, 비특허문헌 1 )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76973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평5-73391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73480호
[비특허문헌 1] J. Am. Chem. Soc., 110, 7159-7163(1988)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법에서는, 번거롭고 고비용으로 이어지는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처리를 필수로 하고 있어, 반드시 공업적 레벨의 대량 제조시의 정제법으로 바람직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 포스파타아제 처리에 사용하는 송아지 유래의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CIAP) 는 현재 시점에서 대량 조제가 곤란한 효소여서, 본 효소 이외의 포스파타아제를 사용하는 것도 요망되고 있었다.
또 크로마토그래피 처리를 필수로 하지 않은, 용매에 대한 용해도의 차를 이용한 분별 침전법도 보고되어 있지만 (J. Am. Chem. Soc., 110, 7159-7163 (1988)), 분별 침전법에서의 CMP-NeuAc 의 회수율 및 순도 모두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처리법에는 도저히 미치지 못하여, 실용적인 방법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크로마토그래피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고순도의 CMP-NeuAc를 양호한 수율로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1) CMP-NeuAc 합성 효소에 의한 촉매 반응 종료 후, 신속하게 인산과 불용성 침전을 형성할 수 있는 칼슘, 망간 등의 2 가 양이온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액 중에 혼재하는 무기 인산 및 피로인산을 인산염으로 침전시키고, 또 미반응 기질인 5'-CTP 도 염으로 침전시킬 수 있는 것, (2) 2 가 양이온을 첨가해도 포스파타아제 반응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5'-CMP, 5'-CDP, 5'-CTP 를 특이적으로 시티딘으로 분해할 수 있는 것, (3) 2 가 양이온을 첨가함으로써, CMP-NeuAc 의 알코올 등의 유기 용매에 대한 침강성이 선택적으로 높아지고, 시티딘 및 NeuAc 의 분별 침전이 매우 용이해지는 것 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고순도의 CMP-NeuAc 의 제조법으로서, 이하의 공정 1∼4 의 각 공정을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NeuAc 의 제조법.
공정 1 : CMP-NeuAc 함유액에 2 가 양이온을 첨가하여, 공존하는 인산, 피로인산, 뉴클레오티드를 침전시키는 공정,
공정 2 : CMP-NeuAc 함유액에 포스파타아제를 첨가하여, 공존하는 뉴클레오티드를 뉴클레오시드로 변환하는 공정,
공정 3 :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CMP-NeuAc 를 침전시키는 공정
공정 4 : 침전된 CMP-NeuAc 를 회수하는 공정
(2) 공정 1, 공정 2, 공정 3, 공정 4 의 순서로 실시하는 상기 (1) 기재의 방법.
(3) 공정 2, 공정 1, 공정 3, 공정 4 의 순서로 실시하는 상기 (1) 기재의 방법.
(4) 공정 1 과 공정 2 를 동시에 실시하는 상기 (1) 기재의 방법.
(5) 공정 3 과 공정 4 를 복수회 실시하는 상기 (1) 기재의 방법.
(6) 2 가 양이온이 칼슘 이온 또는 망간 이온인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7) 포스파타아제가 대장균 알칼리 포스파타아제인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8) 유기 용매가 탄소수 5 이하의 알코올인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9) 공정 4 의 CMP-NeuAc 의 회수 후, 추가로 염 교환 반응 처리하여, CMP-NeuAc 의 염을 치환하는 상기 (1) 기재의 제조법.
(10)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염 교환 반응인 상기 (9) 기재의 제조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크로마토그래피 처리 이외에는 곤란했던 고순도의 CMP-NeuAc (HPLC 순도 95% 이상) 를, 크로마토그래피 처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또한 양호한 수율로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CMP-NeuAc 제조 공정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공정 1∼공정 4 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하, 각 공정마다 상세히 기술한다.
(공정 1)
공정 1 은, CMP-NeuAc 함유액에 2 가 양이온을 첨가하여, 공존하는 인산, 피로인산, 뉴클레오티드를 침전시키는 공정이다.
공정 1 (또는 공정 2) 에 사용되는 CMP-NeuAc 함유액으로는, CMP-NeuAc 를 함유하는 수용액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효소를 사용한 CMP-NeuAc 합성의 반응 혼합액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5'-CTP 와 NeuAc 를 기질로 하여 CMP-NeuAc 신세타아제의 촉매 반응에 의해 합성된 CMP-NeuAc 함유액을 예시할 수 있다.
첨가하는 2 가 양이온으로는, 무기인산, 피로인산 또는 뉴클레오티드와 불용성의 침전을 형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칼슘 또는 망간의 각 이온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칼슘 이온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염화 칼슘, 황산 칼슘, 수산화 칼슘, 탄산 칼슘 등의 수용성 칼슘염을 사용할 수 있고, 망간 이온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염화 망간, 황산 망간 등의 수용성 망간염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 농도로는, 0.1∼2000mM 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이러한 2 가 양이온을 CMP-NeuAc 함유액에 첨가하고, 온도 0∼60℃ 의 조건 하, 필요에 따라 pH 를 6.0∼13.0 으로 조정하여, 및/또는 교반함으로써, 인산 칼슘, 인산 망간 등의 불용염이 침강되기 때문에, 침전물을 통상의 고액 분리 수단 (여과, 원심 분리 등) 에 의해 제거하여, 다음 공정에 사용한다.
(공정 2)
공정 2 는, CMP-NeuAc 함유액에 포스파타아제를 첨가하여, 공존하는 뉴클레오티드를 뉴클레오시드로 변환하는 공정이다.
반응에 사용하는 포스파타아제로는 뉴클레오티드의 인산 잔기를 탈인산하여 뉴클레오시드로 변환할 수 있는 효소로, 5'-CMP, 5'-CDP, 5'-CTP 를 특이적으로 시티딘까지 가수 분해할 수 있는 효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특히, 반응시에 있어서의 CMP-NeuAc 의 안정성이나 효소 조제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면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특히 대장균 알칼리 포스파타아제가 바람직하다.
포스파타아제 반응은, CMP-NeuAc 함유액 1㎖ 당 0.01 유닛 이상, 바람직하게는 0.1∼50 유닛 첨가하고,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60℃ 에서 0.1∼50 시간 정도, 필요에 따라 교반하여, pH 를 조정하면서 반응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 1 과 공정 2 는 순서는 특별히 관계없이 어느 쪽을 먼저 실시해도 상관없으며,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공정 1, 공정 2 의 순서로 실시한 경우, 반응 후, 반응액 중에 2 가 이온이 존재하기 때문에, 포스파타아제 처리 중 또는 처리 후, 인산 칼슘, 인산 망간 등의 불용염이 침강되므로, 침전물을 통상의 고액 분리 수단 (여과, 원심 분리 등) 에 의해 제거하여, 다음 공정에 사용한다.
(공정 3)
공정 3 은,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CMP-NeuAc 를 침전시키는 공정이다.
첨가하는 유기 용매로는, 탄소수 1∼5 의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유기 용매의 첨가량으로는, 반응액당 0.1∼20 배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용매를 상기 공정 1 또는 공정 2 의 처리 후의 액에 첨가하고, 온도 -80∼60℃ 의 조건 하, 필요에 따라 pH 를 6.0∼13.0 으로 조정하여, 및/또는 교반함으로써, CMP-NeuAc 가 침강된다.
(공정 4)
공정 4 는, 침전된 CMP-NeuAc 를 회수하는 공정이다.
회수 방법은, 통상의 고액 분리 수단 (여과, 원심 분리 등) 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고, 회수 후, 필요에 따라 건조시켜 제품으로 한다.
또 상기 공정 3 과 본 공정 4 를 복수회 (통상 2∼5 회 정도) 실시함으로써, 보다 고순도의 CMP-NeuAc 를 취득할 수 있다.
(부가 공정)
상기 공정 4 종료 후, CMP-NeuAc 는 칼슘염, 망간염 등의 염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나트륨염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염의 교환 반응은 회수한 침전을 재용해하고, 예를 들어, 목적으로 하는 염으로 치환한 양이온 교환 수지에 접촉 (당해 수지 칼럼으로 통과 등) 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CMP-NeuAc 는 HPLC 에 의한 순도가 95% 이상이고, 5'-CMP 등의 협잡물이 매우 적은 고순도의 제품이다.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반응액 중의 CMP-NeuAc 의 정량은 HPLC 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분리에는 YMC 사 제조의 ODS-HS302 칼럼을 사용하고, 용리액으로서 0.1M 트리에틸아민-인산 (pH6.0)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1) CMP-NeuAc 신세타아제의 조제
Haemophilus . influenzae Rd 주의 염색체 DNA (ATCC51907D) 를 템플레이트로 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2 종류의 프라이머 DNA 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합성하였다. 얻어진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법에 의해 H. influenzae 의 CMP-NeuAc 신세타아제 (neuA) 유전자를 증폭시켰다.
프라이머 (A) : 5'-TGCCATGGTGAAAATAATAATGACAAGAA-3'(서열 번호 1)
프라이머 (B) : 5'-AACTGCAGTGCAGATCAAAAGTGCGGCC-3' (서열 번호 2)
PCR 법에 의한 neuA 유전자의 증폭은, 100㎕ 중에, 50mM 염화 칼륨, 10mM 트리스 염산 (pH8.3), 1.5mM 염화 마그네슘, 0.001% 젤라틴, 템플레이트 DNA 0.1㎍, 프라이머 DNA (A) 및 (B) 각각 0.2㎛, 및 AmpliTaq DNA 폴리머라아제 2.5 유닛을 함유하는 반응액을 사용하고, Perkin-Elmer Cetus Instrument 사 제조 DNA Thermal Cycler 로, 열변성 (94℃, 1 분), 어닐링 (55℃, 1.5 분), 신장 반응 (72℃, 3 분) 의 단계를 25 회 반복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유전자 증폭 후, 반응액을 페놀/클로로포름 (1:1) 혼합액으로 처리하여, 수용성 획분을 얻었다. 얻어진 수용성 획분에 2 배용적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DNA 를 침전시켰다. 침전 회수한 DNA 를 문헌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Second Edition」(Sambrook 외 편저,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ew York (1989)) 방법에 따라서 아가로스 겔 전기 영동에 의해 분리하여, 720b 상당의 DNA 단편을 정제하였다. 그 DNA 를 제한 효소 NcoI 및 PstI 로 절단하여 DNA 단편을 얻었다. 얻어진 DNA 단편과, 동일하게 제한 효소 NcoI 및 PstI 로 소화한 플라스미드 pTrc99A 를 T4DNA 리가아제를 사용하여 연결했다. 연결한 DNA 를 함유하는 반응액을 사용하여 대장균 JM109 주를 형질 전환하여 얻어진 암피실린 내성 형질 전환체로부터 플라스미드 pTrcsiaBNP 를 단리시켰다. pTrcsiaBNP 는, pTrc99A 의 trc 프로모터 하류의 NcoI-PstI 절단 부위에 neuA 유전자의 구조 유전자를 함유하는 DNA 단편이 삽입된 것이다.
플라스미드 pTrcsiaBNP 를 유지하는 대장균 JM109 균을, 100㎍/㎖ 의 암피실린을 함유하는 2×YT 배지 100mL 에 식균(植菌)하여, 37℃ 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균수가 4×108 개/mL 에 도달한 시점에서, 배양액에 최종 농도 0.25mM 가 되도록 IPTG 를 첨가하고, 추가로 37℃ 에서 6 시간 진탕 배양을 계속하였다. 배양 종료 후, 원심 분리 (9,000×g, 10 분) 에 의해 균체를 회수하고, 5mL 의 완충액 (100mM 트리스 염산 (pH7.8), 10mM MgCl2) 에 현탁시켰다.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여 균체를 파쇄하고, 추가로 원심 분리 (20,000×g, 10 분) 에 의해 균체 잔사를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상청 획분을 효소액으로 하여, 이 효소액에서의 CMP-NeuAc 신세타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대조균 (pTrc99A 를 유지하는 대장균 K-12 주 JM109) 과 같이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CMP-NeuAc 신세타아제 활성의 단위 (유닛) 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5'-CTP 와 N-아세틸뉴라민산으로부터의 CMP-NeuAc 의 합성 활성을 측정, 산출한 것이다.
(CMP-NeuAc 신세타아제 활성의 측정과 단위의 산출법)
50mM 트리스 염산 완충액 (pH8.0), 20mM 염화 마그네슘, 5mM CTP 및 10mM N-아세틸뉴라민산에, CMP-NeuAc 신세타아제를 첨가하여 37℃ 에서 5 분간 반응시킨다. 또 CMP-NeuAc 신세타아제의 대신에 pTrc99A 를 유지하는 대장균 JM109 주의 균체 파쇄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이것을 컨트롤로 하였다.
반응액에 2 배량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이것을 희석시 킨 후, HPLC 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리에는 YMC 사 제조 HS-302 칼럼을 사용하고, 용출액으로서 50mM 아세트산 마그네슘 수용액과 1mM 테트라부틸 암모늄 수용액의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HPLC 분석 결과로부터 반응액 중의 CMP-NeuAc 의 양을 산출하고, 37℃ 에서 1 분동안 1μmole 의 CMP-NeuAc 를 합성하는 활성을 1 단위 (유닛) 로 하여 CMP-NeuAc 신세타아제 활성을 산출하였다.
[표 1]
균/플라스미드 CMP-NeuAc 신세타아제 활성(units/mg protein)
JM109/pTrc99A <0.01
JM109/pTrcsiaBNP 2.45
(2) 대장균 알칼리 포스파타아제의 조제
대장균 JM105 주 (다카라바이오(주)) 의 염색체 DNA 를 사이토와 미우라(Saito and Miura) 방법 (Biochemica et Biophysica Acta., 72,619(1963)) 에 따라서 조제하였다. 이 DNA 를 주형으로 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2 종류의 프라이머 DNA 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합성하였다. 얻어진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PCR 법에 의해 대장균 phoA 유전자 (EMBL/GENEBANK/DDBJ DATA BANKS, Accession No. AE000145.1) 를 증폭시켰다.
프라이머 (C): 5'-AAGGATCCAGCTGTCATAAAGTTGTCACGGCC-3' (서열 번호 3)
프라이머 (D): 5'-TTCTGCAGCCCGTGATCTGCCATTAAGTCTGGTT-3' (서열 번호 4)
PCR 법에 의한 phoA 유전자의 증폭은, 100㎕ 중에, 50mM 염화 칼륨, 10mM 트리스 염산 (pH8.3), 1.5mM 염화 마그네슘, 0.001% 젤라틴, 0.2mM dATP, 0.2mM dGTP, 0.2mM dCTP, 0.2mM dTTP, 주형 DNA 0.1㎍, 프라이머 DNA (C) 및 (D) 각각 0.2mM 및 AmpliTaq DNA 폴리머라아제 2.5 유닛를 함유하는 반응액을 사용하여 Perkin-Elmer Cetus Instrument 사 제조 DNA Thermal Cycler 로, 열변성 (94℃, 1분), 어닐링 (55℃, 1 분), 신장 반응 (72℃, 3 분) 의 단계를 25 회 반복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유전자 증폭 후, 반응액을 페놀/클로로포름 (1:1) 혼합액으로 처리하여 수용성 획분을 얻었다. 얻어진 수용성 획분에 2 배용적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DNA 를 침전시켰다. 침전 회수한 DNA 를 문헌 (Molecular cloning) 방법에 따라서 아가로스 겔 전기 영동에 의해 분리하고, 1.5kb 상당의 DNA 단편을 정제하였다. 해당 DNA 를 제한 효소 BamHI 및 PstI 로 절단하여 DNA 단편을 얻었다. 얻어진 DNA 단편과, 동일하게 제한 효소 BamHI 및 PstI 로 소화한 플라스미드 pTrc99A (Pharmacia Biotech.사) 를 T4 DNA 리가아제를 사용하여 연결하였다. 연결한 DNA 를 함유하는 반응액을 사용하여 대장균 JM109 주 (다카라바이오(주)) 를 형질 전환하여, 얻어진 암피실린 내성 형질 전환체로부터 플라스미드 pTrc-phoA 를 단리시켰다.
pTrc-phoA 는, pTrc99A 의 trc 프로모터 하류의 절단 부위에 대장균 phoA 구조 유전자 및 리보솜 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BamHI-PstIDNA 단편이 삽입된 것이다.
플라스미드 pTrc-phoA 를 유지하는 대장균 JM109 주를, 100㎍/mL 의 암피실린을 함유하는 2xYT 배지 500mL 에 식균하고, 37℃ 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균수가 4×108 개/mL 에 도달한 시점에서, 배양액에 최종 농도 0.2mM 가 되도록 IPTG 를 첨가하고, 추가로 37℃ 에서 22 시간 진탕 배양을 계속하였다. 배양 종료 후, 원심 분리 (9,000×g, 10 분) 에 의해 균체를 회수하고, 25mL 의 완충액 (20mM 트리스 염산 (pH8.0), 5mM 염화마그네슘) 에 현탁시켰다.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여 균체를 파쇄시키고, 추가로 원심 분리 (20,000×g, 10 분) 에 의해 균체 잔사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상청 획분을 80℃, 15 분간의 열처리를 실시한 후에 원심 분리 (20,000×g, 10 분) 에 의해 균체 잔사를 제거하고, 이것을 합계 2L 의 완충액 (20mM 트리스 염산염 (pH8.0), 1mM 염화 마그네슘) 을 사용하여 4℃, 하룻밤 투석을 실시하고, 추가로 원심 분리 (20,000×g, 10 분) 에 의해 균체 잔사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상청 획분을 효소액으로 하여, 효소액에서의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대조균 (pTrc99A 를 유지하는 대장균 JMl09 주) 과 같이 하기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활성 단위 (유닛) 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서 측정, 산출한 것이다.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활성의 측정과 단위의 산출법)
400mM 트리스-염산 완충액 (pH8.5) 및 20mM 우리딘5'-모노인산을 함유하는 용액에 효소액을 첨가하여, 40℃ 에서 5∼15 분 반응시킨다. 또 알칼리 포스파타아제의 대신에 pTrc99A 를 유지하는 대장균 JM109 주의 균체 파쇄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이것을 컨트롤로 하였다. 반응액에 등량의 0.5M 인산 2 수소 칼륨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킨 후, HPLC 에 의한 분석을 실시 하여, 반응액 중의 우리딘 양을 정량하였다. 37℃ 에서 1 분동안에 1μmole 의 우리딘을 생성하는 활성을 1 단위 (유닛) 로 하여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활성을 산출하였다.
[표 2]
균/플라스미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활성(units/mg protein)
JM109/pTrc99A <0.5
JM109/pTrc-phoA 14.04
(3) 2 가 이온의 첨가 효과
0.2M NeuAc 용액을 5mL, 0.25M CTP·3Na 용액을 4mL 및 1M 염화 마그네슘 용액을 혼합 후, 2M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pH 를 10 으로 조정하고, 증류수로 50mL 로 채웠다. 40℃ 로 가온한 후, 70 유닛의 CMP-NeuAc 신세타아제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을 개시하였다. 반응 중, 반응액의 pH 를 8.5 부근을 유지하기 위해서 1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시 적하하였다. ·
반응 개시 1 시간 후, 1M 염화 칼슘 용액 3mL 를 첨가 후, 계속해서 5 유닛의 대장균 알칼리 포스파타아제를 첨가하고, 추가로 40℃ 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 중, 반응액의 pH 를 9.0 부근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1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시 적하하였다. 30 분 후, 일부를 샘플링하여 HPLC 에 의해 반응액 조성을 분석한 결과, 하기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또 상기와 동일하게 CMP-NeuAc 합성을 1 시간 실시한 후, 1M 염화 망간 용액 3 mL 또는 증류수 3mL 첨가 후, 동일하게 대장균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반응을 실시하고, 30분 후에 샘플링했을 때의 반응액 조성도 병기하였다.
표 3 에서, 2 가 양이온을 첨가함으로써 대장균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반응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특히 CMP-NeuAc 와의 분리가 곤란한 CMP 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3]
CMP-NeuAc CTP CMP 시티딘 우리딘
CaCl2 14.57mM <0.02mM <0.02mM 1.283mM 0.7932mM
MnCl2 11.17mM <0.02mM <0.02mM 0.7051mM 0.5031mM
증류수 16.34mM 0.8625mM 0.8065mM 0.0541mM 0.1127mM
실시예 2
에탄올 침전에서의 2 가 이온 첨가 효과
CMP-NeuAc·2 나트륨염 분말 70mg (시그마사 제조) 을 증류수로 용해하여, 500㎕ 로 조제했다 (약 0.2M 용액). 이것을 100㎕ 씩 분취한 후, 각각 A. 1M 염화 칼슘 용액, B. 1M 염화 망간 용액, C. 증류수를 50㎕ 첨가하였다. 계속해서 각각 300㎕ 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4℃ 에서 하룻밤 정치한 후, 121,000×g, 4℃, 10 분간의 원심 분리를 실시하여, 얻어진 상청의 270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치로부터 침전 획분으로서의 회수율을 산출한 결과, 표 4 에 나타내는 결과가 얻어졌다.
표 4 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인산과 불용성의 침전을 형성할 수 있는 2 가 양이온을 첨가함으로써 에탄올 침전 처리에서의 CMP-NeuAc 의 회수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이 분명해졌다.
[표 4]
침전회수율(%)
CaCl2 89.7
MnCl2 55.4
증류수 0.40
실시예 3
NeuAc 를 12.4g (마루킨 츄유사 제조), 5'-CTP·2Na 염을 24.2g (야마사 쇼유사 제조), 1M 염화 마그네슘 용액을 100mL 첨가, 용해시킨 후, 1M 수산화나트륨으로 pH 를 9.5 로 조정하고, 증류수로 2L 로 채웠다. 40℃ 로 가온한 후, 2,810 유닛의 CMP-NeuAc 신세타아제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을 개시하였다. 반응 중에 pH 를 8.5 부근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1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시 적하하였다.
반응 개시 1 시간 후, 2.5M 염화 칼슘 50mL 을 첨가 후, 계속해서 200 유닛의 대장균 알칼리 포스파타아제를 첨가하여, 추가로 40℃ 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 중에 pH 를 9.0 부근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1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시 적하하였다.
포스파타아제 반응 1 시간 후, 반응액을 4℃ 까지 냉각시켰다. 하룻밤 방치 후, 원심 분리 (15,000×g, 15 분) 에 의해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상청을 1M 염화 수소 용액으로 pH7.0 으로 조정 후, 카본 분말 2g 첨가하고, 빙중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0.45㎛ 필터를 사용하여 카본 분말을 제거한 후, 얻어진 여과액 2.03L 을 증발기로 약 100mL 까지 농축시켰다.
농축 중에 생성된 침전을 G3 유리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 얻어진 여과액 140mL 에 대하여 에탄올을 660mL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한 후, 추가로 4℃ 에 서 교반, 하룻밤 방치하였다.
G3 유리 필터로 침전을 회수한 후, 감압 건조를 실시하고, 이것을 증류수로 150mL 에 용해하여, 에탄올을 450mL 첨가, 실온에서 교반 후, 추가로 4℃ 에서 교반, 하룻밤 방치하였다.
G3 유리 필터로 침전을 회수 후, 감압 건조를 실시하고, 이것을 증류수로 250mL 에 용해하여, 나트륨 이온으로 치환시킨 PK216(Na) 수지 (미쓰비시 화학사 제조) 칼럼 100mL 에 400∼450mL/h 의 유속으로 통과시켰다.
CMP-NeuAc 를 함유하는 획분 370mL 을 회수하여, 증발기로 50mL 정도까지 농축시킨 후, 1M 염화수소 용액으로 pH 를 7.0 으로 조정하였다.
여기에 카본 분말 0.5g 첨가, 수중에서 약 1 시간 교반한 후, 0.45㎛ 필터를 사용하여 카본 분말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여과액 70mL 에 대하여 에탄올을 400mL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한 후, 추가로 4℃ 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침전을 G3 유리 필터를 사용하여 회수하고, 이것을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HPLC 순도 98.8% 의 CMP-NeuAc·2 나트륨염 분말 (18.4g) 을 취득하였다.
이 CMP-NeuAc 의 HPLC 의 분석 결과는 이하와 같다.
<분석 조건>
칼럼: ODS-HS302 (YMC 사 제조)
용리액: 0.1M 트리에틸아민-인산(pH6.0)
<분석 결과>
CMP-NeuAc 98.8%
5'-CMP 1.2%
<110> YAMASA CORPORATION <120> Process for producing CMP-N-acetylneuraminic acid <130> YS0008 <150> JP2003-334484 <151> 2003-09-26 <160> 4 <170> PatentIn Ver. 3.1 <210> 1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sequence for amplification of neuA gene <400> 1 tgccatggtg aaaataataa tgacaagaa 29 <210> 2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sequence for amplification of neuA gene <400> 2 aactgcagtg cagatcaaaa gtgcggcc 28 <210> 3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sequence for amplification of phoA gene <400> 3 aaggatccag ctgtcataaa gttgtcacgg cc 32 <210> 4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sequence for amplification of phoA gene <400> 4 ttctgcagcc cgtgatctgc cattaagtct ggtt 34

Claims (10)

  1. 고순도의 CMP-N-아세틸뉴라민산(CMP-NeuAc) 의 제조법으로서, 이하의 공정(1)∼(4) 의 각 공정을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NeuAc 의 제조법.
    공정 (1) : CMP-NeuAc 함유액에 2 가 양이온을 첨가하여, 공존하는 인산, 피로인산, 뉴클레오티드를 침전시키는 공정,
    공정 (2) : CMP-NeuAc 함유액에 포스파타아제를 첨가하여, 공존하는 뉴클레오티드를 뉴클레오시드로 변환하는 공정,
    공정 (3) :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CMP-NeuAc 를 침전시키는 공정 및
    공정 (4) : 침전된 CMP-NeuAc 를 회수하는 공정
  2.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1), 공정 (2), 공정 (3), 공정 (4) 의 순서로 실시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2), 공정 (1), 공정 (3), 공정 (4) 의 순서로 실시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1) 과 공정 (2) 을 동시에 실시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3) 과 공정 (4) 을 복수회 실시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가 양이온이 칼슘 이온 또는 망간 이온인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파타아제가 대장균 알칼리 포스파타아제인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탄소수 5 이하의 알코올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4) 의 CMP-NeuAc 의 회수 후, 추가로 염 교환 반응 처리하여, CMP -NeuAc 의 염을 치환하는 제조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염 교환 반응인 제조법.
KR1020067007880A 2003-09-26 2004-09-21 Cmp-n-아세틸뉴라민산의 제조법 KR101099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4484 2003-09-26
JPJP-P-2003-00334484 2003-09-26
PCT/JP2004/013760 WO2005030974A1 (ja) 2003-09-26 2004-09-21 Cmp−n−アセチルノイラミン酸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437A true KR20060109437A (ko) 2006-10-20
KR101099403B1 KR101099403B1 (ko) 2011-12-27

Family

ID=3438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880A KR101099403B1 (ko) 2003-09-26 2004-09-21 Cmp-n-아세틸뉴라민산의 제조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50088B2 (ko)
EP (1) EP1669461A4 (ko)
JP (1) JP5140242B2 (ko)
KR (1) KR101099403B1 (ko)
CN (1) CN100489111C (ko)
CA (1) CA2540043A1 (ko)
WO (1) WO2005030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9272B2 (ja) * 2006-06-30 2012-11-21 協和発酵バイオ株式会社 シチジン‐5´‐一リン酸‐n‐アセチルノイラミン酸およびn‐アセチルノイラミン酸含有糖質の製造法
KR100888513B1 (ko) * 2006-12-15 2009-03-12 주식회사 진켐 신규 n―아세틸글루코사민―2―에피머라아제 및 이를이용한 cmp―n―아세틸뉴라민산의 제조방법
JP4901447B2 (ja) * 2006-12-18 2012-03-21 ヤマサ醤油株式会社 Cmp−デアミノノイラミン酸の製造法
CN109207415B (zh) 2017-07-07 2022-09-16 苏州华赛生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生产胞二磷胆碱的重组微生物及生产胞二磷胆碱的方法
CN109010330B (zh) * 2018-09-18 2022-02-25 贵州大学 染料木黄酮在降低后口动物体内n-羟乙酰神经氨酸方面的用途
CN109329202A (zh) * 2018-09-28 2019-02-15 贵州大学 一种有效抑制n-羟乙酰神经氨酸合成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0719A (ja) * 1985-02-06 1986-08-13 Mitsui Toatsu Chem Inc ガングリオシドの取得方法
JPH02177891A (ja) 1988-12-28 1990-07-1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複合酵素反応によるシチジン‐5′‐モノホスフオシアル酸の合成方法
DE3937891A1 (de) 1989-11-15 1991-05-16 Forschungszentrum Juelich Gmbh Enzymatisch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cetylneuraminsaeure
DK0524143T3 (da) * 1991-07-17 1998-08-24 Novartis A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aktiverede sialinsyrer
DE4431280A1 (de) 1994-09-02 1996-03-07 Hoechst Ag Verfahren zur Isolierung und Reinigung von nukleotidaktivierten Zuckern aus biologischen Quellen
US5922577A (en) * 1995-04-11 1999-07-13 Cytel Corporation Enzymatic synthesis of glycosidic linkages
WO1996032492A1 (en) 1995-04-11 1996-10-17 Cytel Corporation Improved enzymatic synthesis of oligosaccharides
US5876980A (en) 1995-04-11 1999-03-02 Cytel Corporation Enzymatic synthesis of oligosaccharides
FI105522B (fi) 1996-08-06 2000-08-31 Sample Rate Systems Oy Järjestely kotiteatteri- tai muussa äänentoistolaitteistossa
US5945314A (en) * 1997-03-31 1999-08-31 Abbott Laboratories Process for synthesizing oligosaccharides
JP3833584B2 (ja) 2001-07-19 2006-10-11 ヤマサ醤油株式会社 Cmp−n−アセチルノイラミン酸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9461A4 (en) 2011-06-29
EP1669461A1 (en) 2006-06-14
CN100489111C (zh) 2009-05-20
US8450088B2 (en) 2013-05-28
JP5140242B2 (ja) 2013-02-06
JPWO2005030974A1 (ja) 2007-11-15
US20080070285A1 (en) 2008-03-20
CA2540043A1 (en) 2005-04-07
KR101099403B1 (ko) 2011-12-27
CN1856578A (zh) 2006-11-01
WO2005030974A1 (ja)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918B1 (ko) 뉴클레오시드 합성을 위한 열 안정성 바이오촉매 조합
EP3728585B1 (en) Novel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oligonucleotides
EP2100956B1 (en) Method of enzymatically synthesizing 3&#39;-phosphoadenosine-5&#39;-phophosulfate
JPH0937785A (ja) ヌクレオシド−5’−燐酸エステルの製造法
JP2003507071A (ja) デオキシリボヌクレオシドの酵素的合成
JP4601060B2 (ja) アジド化アミノ糖ヌクレオチド及びその応用
KR101099403B1 (ko) Cmp-n-아세틸뉴라민산의 제조법
CN116463273A (zh) 增强5’-胞苷酸积累的方法及应用
JP3032289B2 (ja) 多機能性酵素及び誘導可能の2’,3’―ジデオキシリボフラノシド三リン酸塩
KR100922085B1 (ko) Cmp-n-아세틸뉴라민산의 제조 방법
JP4192408B2 (ja) ヌクレオシド−5’−燐酸エステルの製造法
CN101503432B (zh) 5&#39;-脱氧核苷单磷酸的制备方法
JP3833584B2 (ja) Cmp−n−アセチルノイラミン酸の製造法
KR101818561B1 (ko) 바실러스 유래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릴라아제를 이용한 3&#39;-아미노-2&#39;,3&#39;-디데옥시아데노신의 제조 방법
EP1179598B1 (en) Process for producing nucleoside compound
JP2003093091A5 (ko)
JP4173815B2 (ja) 2’−デオキシグアノシンの製造法
KR20060092261A (ko) 펜토스-5-인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JP4649787B2 (ja) 5’−グアニル酸の製造法
CN113403356A (zh) 一种高纯度核糖-1-磷酸的制备方法
CN115927141A (zh) 一种合成nmn的双酶共表达菌株及其构建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