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168A -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 Google Patents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168A
KR20060109168A KR1020050031481A KR20050031481A KR20060109168A KR 20060109168 A KR20060109168 A KR 20060109168A KR 1020050031481 A KR1020050031481 A KR 1020050031481A KR 20050031481 A KR20050031481 A KR 20050031481A KR 20060109168 A KR20060109168 A KR 20060109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aggregate
case
aggregate
fin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
박진국
Original Assignee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9168A/ko
Publication of KR2006010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05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e.g. on a dishwasher, a washing machine or a refrig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Abstract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잔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잔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등과 같은 이물질을 박리시키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박리기는 중간처리공정을 거쳐 선별된 잔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에 있어서, 상기 박리기는 상단에는 상기 잔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이물질이 박리된 잔골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소정의 요철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소정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잔골재가 이송되는 이송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회전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잔골재, 회전드럼, 박리, 마찰, 이물질

Description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PEELING OFF DEVICE FOR RECYCLING FINE AGGREGAT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의 단면도이며,
도2 내지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박리기의 케이스 및 회전드럼에 형성된 요철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투입구
12: 배출구 20: 회전드럼
30: 분사노즐 40: 구동수단
50: 절곡부 60: 병목부
C: 이송콘베이어 V: 이송공간
Y: 요철부
본 발명은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잔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잔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등과 같은 이물질을 박리시키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박리기에 관한 것이다.
잔골재란 표준체에 규정된 10mm체를 전부 통과하고 4.76mm체를 거의 다 통과 하며 0.074mm체에 거의 남는 왕사(王沙)를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입경 5mm이하의 것을 말한다. 한편, 건설교통부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서는 10mm체를 전부 통과하고 5mm체를 중량비로 85%이상 통과하는 골재로 정의하고 있지만 이것은 현장에서 잔골재가 완전하게 체가름 되지 못하고 간혹 5mm이상의 것도 포함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15%정도의 여유분을 설정한 것이다.
천연적으로 생산되는 잔골재는 채취량에 한계가 있어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우며, 부족한 잔골재를 대체하기 위하여 해사(海沙)를 사용하기도 하나 이 역시 채취량이 제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해사는 구조물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채취로 비용이 증가되며 자연환경을 훼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잔골재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수입골재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 측면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건설 및 건축 구조물을 해체할 때 발생되는 폐기물은 매립되지 않고 소정의 장소로 수집된 후 파쇄 및 이물질제거등의 중간처리공정을 통해 양질의 자원으로 생산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처리공정을 거친 재생골재 중 선별기에 의해 분리 된 잔골재를 이용하여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획득된 잔골재라도 잔골재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 등과 같은 이물질로 인해 천연 잔골재에 비해 입형상태가 양호하지 못해 외관불량은 물론이고 현장 적용시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잔골재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잔골재의 표면의 모르타르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처리공정을 거쳐 선별된 잔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에 있어서, 상기 박리 기는 상단에는 상기 잔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이물질이 박리된 잔골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소정의 요철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소정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잔골재가 이송되는 이송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회전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잔골재의 이송 체류시간을 지연시켜 박리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이송공간에 외측으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외향경사공간을 구비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와 회전드럼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향경사공간에는 이송되는 잔골재의 마찰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병목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송공간은, 잔골재의 체류시간의 지연 및 마찰량의 극대화를 위해 투입구에서 배출구로 갈수록 그 단면직경이 감소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의 단면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는 케이스(10)와 회전드럼(2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그 상단에 이송 콘베이어(C)에 의해 이송되는 잔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잔골재가 박리되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재생 잔골재는 중간처리공정을 거쳤다 하더라도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 등과 같은 이물질로 인해 천연 잔골재에 비해 품질이 양호하지 못한 2종 잔골재이다. 하지만, 케이스(10)내에 투입된 재생 잔골재는 상기 케이스와 후술할 회전드럼 사이에 형성된 이송공간을 이송하면서 이물질이 박리되어 실질적으로 천연골재와 동일한 품질의 1종골재로 재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요철부(Y)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Y)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서 돌출되는 돌기일 수도 있고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 표면과 같은 메쉬 타입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30)이 상기 투입구(1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투입구(11)에 투입되는 잔골재에 물을 분사시킴으로써 잔골재의 투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먼지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골재의 표면에 수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잔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드럼(20)은 구동수단(40)에 결합되어 구동수단(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에는, 케이스(10)의 내주면의 요철부와 같은 요철부(Y)가 형성되어 있는 데, 역시 상기 요철부(Y)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서 돌출되는 돌기일 수도 있고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 표면과 같은 메쉬 타입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회전드럼(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데,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케이스(10)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잔골재의 이송공간(V)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공간(V)의 직경은 투입되는 잔골재의 입경이 5mm이하이기 때문에 적어도 5mm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의 작용 및 그 효과를 알아 본다.
이송컨베이어(C)를 통해 투입구(11)로 투입된 잔골재는 케이스(10)의 내주면과 회전드럼(2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이송공간(V)을 따라 이송하게 되는 데, 이 때 회전드럼(20)의 회전에 의해 잔골재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이송공간(V)의 직경이 20mm이기 때문에 투입되는 잔골재가 적재되게 되고 곧바로 낙하되는 현상은 없게 된다.
따라서, 투입된 잔골재는 회전드럼(20)에 회전에 동조하여 함께 회전하면서, 케이스(10)의 내주면 및 회전드럼(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부(U)와 마찰하게 되며, 더 나아가 잔골재 상호간에도 마찰하면서 잔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박리되게 된다. 이물질이 박리된 재생잔골재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 소정의 장소로 회수되어 1종 잔골재로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잔골재의 이물질 박리기는 투입되는 잔골재를 회전시키면서, 잔골재와 요철부의 마찰 및 잔골재 상호간 마찰을 통해 이물질을 박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간처리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잔골재의 품질을 향상시켜 우수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면 상기 박리기는 이송공간(V)에 적어도 하나의 외향경사공간(V')을 구비하도록 케이스와 회전드럼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잔골재의 이송 체류시간을 지연시켜 박리량이 증가되도록 설계된 구성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이송공간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직하방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외측으로 경사진 외향경사공간(V')이 마련되어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와 회전드럼에 각각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이송공간으로 이송되는 잔골재는 외향경사공간(V')을 통해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체류시간 증대로 인한 박리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며 다시 배출구(12)를 향해 이송되는 시간 역시 증가되기 때문에, 이중으로 체류시간 증대되어 박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입 초반기에 곧바로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잔골재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2에는 케이스(10)와 회전드럼(20)에 형성된 절곡부(50a,50b)를 2개로 형성하여 2개소의 외향경사공간(V')을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는 필요에 따라 절곡부(50)의 형성갯수의 증감을 통해 외향경사공간을 형성갯수를 증감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를 참고하면 외향경사공간(V')에는 이송되는 잔골재의 마찰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병목부(60)가 형성된 것이 그 기술적 특징이다. 상기 병목부(60)는 소위 모래시계와 같이 잔골재가 이송되는 공간을 협소하게 하여, 병목부(60)에서 잔골재 상호간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공간의 단면직경은 투입구에서 배출구로 갈수록 감소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송공간의 단면감소로 인해 이송이 진행 될수록 체류시간이 지연되어 박리량이 증가되게 될 뿐만 아니라, 잔골재 상호간의 마찰면적 증가로 인해 박리량의 증가 뿐만 아니라 잔골재의 입형상태가 양호해져 우수한 1종 잔골재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는 중간처리공정을 통해 획득된 잔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 등과 같은 이물질을 요철간에 또는 잔골재간에 마찰작용으로 박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로 인한 입형상태의 불량을 향상시키고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잔골재를 고품질의 1종 골재용으로 재활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중간처리공정을 거쳐 선별된 잔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에 있어서, 상기 박리기는
    상단에는 상기 잔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이물질이 박리된 잔골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소정의 요철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소정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잔골재가 이송되는 이송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회전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골재의 이송 체류시간을 지연시켜 박리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이송공간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외향경사공간을 구비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와 회전드럼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향경사공간에는 이송되는 잔골재의 마찰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병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간은, 잔골재의 체류시간의 지연 및 마찰량의 극대화를 위해 투입구에서 배출구로 갈수록 그 단면직경이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KR1020050031481A 2005-04-15 2005-04-15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KR20060109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481A KR20060109168A (ko) 2005-04-15 2005-04-15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481A KR20060109168A (ko) 2005-04-15 2005-04-15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168A true KR20060109168A (ko) 2006-10-19

Family

ID=3761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481A KR20060109168A (ko) 2005-04-15 2005-04-15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91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650B1 (ko) * 2007-06-22 2008-11-26 성안이엔티주식회사 골재의 제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153A (ko) * 1973-05-29 1975-01-30
JPS543955A (en) * 1977-06-13 1979-01-12 Kawasaki Heavy Ind Ltd Spirally moving type particle shape controlling apparatus
JPS5753250A (en) * 1980-09-17 1982-03-30 Kobe Steel Ltd Crusher for fine crushing
JPS63111948A (ja) * 1986-10-28 1988-05-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旋動式破砕機のマントル
JPH0665880A (ja) * 1992-08-18 1994-03-08 Shiro Hanamura 紙料調成用刃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153A (ko) * 1973-05-29 1975-01-30
JPS543955A (en) * 1977-06-13 1979-01-12 Kawasaki Heavy Ind Ltd Spirally moving type particle shape controlling apparatus
JPS5753250A (en) * 1980-09-17 1982-03-30 Kobe Steel Ltd Crusher for fine crushing
JPS63111948A (ja) * 1986-10-28 1988-05-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旋動式破砕機のマントル
JPH0665880A (ja) * 1992-08-18 1994-03-08 Shiro Hanamura 紙料調成用刃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650B1 (ko) * 2007-06-22 2008-11-26 성안이엔티주식회사 골재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470B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기
KR101292596B1 (ko)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20120061263A (ko)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 골재 생산 방법 및 장치
KR20100138731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0702535B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기
KR10092332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12077B1 (ko) 폐콘크리트 파쇄용 로터리 크러셔를 이용한 재활용 골재생산 시스템
KR20060109168A (ko) 재생 잔골재용 이물질 박리기
JP4724689B2 (ja) 比重分離型廃棄物回収装置及び比重分離型廃棄物回収方法
KR100639416B1 (ko) 고순도 순환골재 생산장치
KR100566959B1 (ko)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KR100733905B1 (ko) 편심블레이드를 이용한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JP2002001160A (ja) 破砕・洗浄・水切り処理装置
CN217190089U (zh) 一种湿法制砂生产线
KR101292595B1 (ko)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0538635B1 (ko)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콘을 친환경적으로 파분쇄하여 입형이개선된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74006B1 (ko) 건설폐기물 재생용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CN212424551U (zh) 一种筛分机的下料输送装置
KR101118581B1 (ko) 순환골재의 시멘트 모르타르 박리방법
KR200353052Y1 (ko) 초음파 발진원리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세척 및 이물질제거장치
KR102197340B1 (ko)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KR101750252B1 (ko) 다단 골재 박리기
KR101391856B1 (ko) 타격에 의한 표면 박리와 입형 개선이 가능한 순환골재 연마기
KR101745833B1 (ko) 나선라이너와 면상라이너에 의한 마쇄 기능과 세척-이송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종말 처리기
JP2016138846A (ja) 放射性セシウム含有土砂の分級洗浄及び減容化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