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654A - 절첩식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절첩식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654A
KR20060108654A KR1020067008666A KR20067008666A KR20060108654A KR 20060108654 A KR20060108654 A KR 20060108654A KR 1020067008666 A KR1020067008666 A KR 1020067008666A KR 20067008666 A KR20067008666 A KR 20067008666A KR 20060108654 A KR20060108654 A KR 20060108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peaker
cabinets
microphon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찌 노마
노부아끼 고바야시
마스오 다나까
신이찌 야마모또
모또아끼 무시까
기요따다 가와까미
아쯔미 오까모또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77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31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79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49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2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17792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절첩식 휴대 단말기는 마이크로폰(14)을 구비한 본체 캐비넷(1)과 제1 및 제2 스피커(41, 42)를 구비한 덮개 캐비넷(2)을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고, 양쪽 캐비넷(1, 2) 중 어느 한 쪽 혹은 양쪽의 캐비넷에는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에서 제1 스피커(41)의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는 폐색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혹은, 덮개 캐비넷(2)의 내부에는 제1 스피커(41)와 제2 스피커(42)를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되어 있다. 혹은, 본체 캐비넷(1)의 내면에는 본체 캐비넷(1)의 내면측을 향한 제1 회전 자세와, 폐쇄 위치의 덮개 캐비넷(2)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향한 제2 회전 자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마이크로폰(63)이 내장된 송화 유닛(6)을 구비하고 있다.
캐비넷, 마이크로폰, 방음 구멍, 송화 유닛, 스피커

Description

절첩식 휴대 단말기{FOLDING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절첩식 휴대 전화기와 같이, 한 쌍의 편평한 캐비넷을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쪽 캐비넷을 폐쇄 상태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소형화나 박형화가 진행되는 동시에 다기능화가 진행되어 있고, 양쪽 캐비넷을 폐쇄하여 책상 위에 둔 상태라도 통화나 메일의 송수신이 가능한 핸즈프리 기능이 부가된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18257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51871호 및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134201호 참조).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절첩식 휴대 전화기로서, 예를 들어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본체 캐비넷(8)과 덮개 캐비넷(9)을 힌지 기구(83)를 통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고, 본체 캐비넷(8)의 내면에는 복수의 조작키(81)와 송화부(82)가 배비되고, 본체 캐비넷(8)의 내부에는 송화부(82)를 향해 마이크로폰(84)이 배비되어 있다.
덮개 캐비넷(9)의 내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91)가 배비되는 동시에, 양쪽 캐비넷(8, 9)을 폐쇄 상태로 송화부(82)와 대향하게 되는 위치에 제1 수화부(92)가 배비되어 있고, 덮개 캐비넷(9)의 배면에는 제2 수화부(93)가 배비되어 있다. 또한, 덮개 캐비넷(9)의 내부에는 제1 수화부(92)를 향해 제1 스피커(94)가 배비되는 동시에, 제2 수화부(93)를 향해 제2 스피커(95)가 배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 캐비넷(8)의 송화부(82)의 근방에는 제1 볼록부(85)가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덮개 캐비넷(9)에는 제1 수화부(92)의 근방에 제2 볼록부(96)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양쪽 볼록부(85, 96)는 양쪽 캐비넷(8, 9)을 폐쇄 상태로 서로 접촉한다.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캐비넷(8, 9)을 폐쇄한 경우, 캐비넷 개폐 검지기(도시 생략)에 의해 양쪽 캐비넷(8, 9)을 폐쇄한 것이 검지되고, 상기 검지를 기초로 하는 검지 신호가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제어 회로는, 상기 검지 신호에 따라서 마이크로폰(84) 및 제2 스피커(95)를 기능시킨다. 이 결과, 양쪽 캐비넷(8, 9)을 폐쇄하여 책상 위에 둔 핸즈프리의 상태로, 마이크로폰(84) 및 제2 스피커(95)를 이용한 송수화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캐비넷(8, 9)을 폐쇄 상태로 송수화를 행하는 경우, 제2 스피커(95)의 진동이 덮개 캐비넷(9)의 내부의 공기를 통해 제1 스피커(94)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제1 스피커(94)가 진동하기 때문에, 제1 스피커(94)로부터는 제2 스피커(95)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에 근사한 파형을 갖는 음파가 발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스피커(94)는 제1 수화부(92) 및 송화부(82)를 통해 마이크로폰(84)과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스피커(94)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가 마이크로폰(84)에 전해지게 되고, 이 결과 제1 스피커(94)를 통해 제2 스피커(95)와 마이크로폰(84) 사이에서 음향 전달 경로의 루프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 스피커(95)로부터 발하게 된 통화 상대의 음성이 마이크로폰(84)에 전해지고, 상기 음성이 통화 상대로 송신되는 현상, 즉 하울링이 발생하게 되어 통화 상대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캐비넷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는 핸즈프리 기능이 부가된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하울링 현상을 방지 혹은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절첩식 휴대 단말기는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을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덮개 캐비넷(2)에는 제1 스피커(41)가 배비되고, 덮개 캐비넷(2)의 내면에는 제1 스피커(41)의 방음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를 통과시키기 위한 1개 혹은 복수의 방음 구멍(22a)이 개설되어 있다. 또한, 본체 캐비넷(1)의 내면에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 상태에서 방음 구멍(22a)과 대향하게 되는 위치에 1개 혹은 복수의 개구(12a)가 개설되어 있고, 본체 캐비넷(1)에는 상기 개구(12a)에 집음면을 향한 마이크로폰(14)이 배비되어 있다.
상기 덮개 캐비넷(2)에는 덮개 캐비넷(2)의 배면을 향해 음파를 방출하는 제2 스피커(42)가 배비되어 있고, 어느 한 쪽 혹은 양쪽의 캐비넷에는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에서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는 폐색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1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함으로써, 본체 캐비넷(1)의 마이크로폰(14)과 덮개 캐비넷(2)의 제1 스피커(41)가 개구(12a) 및 방음 구멍(22a)을 통해 서로 대향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폰(14)과 제2 스피커(42)가 함께 본체 캐비넷(1)의 배면측과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폰(14) 및 제2 스피커(42)를 기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마이크로폰(14) 및 제2 스피커(42)를 전방을 향해 송수화를 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피커(42)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는 덮개 캐비넷(2) 및 덮개 캐비넷(2) 내부의 공기를 통해 제1 스피커(41)에 전달되고, 이에 수반하여 제1 스피커(41)가 진동하기 때문에, 제1 스피커(41)로부터는 상기 음파에 근사한 파형을 갖는 음파가 방출된다. 그러나, 상기 음파를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음 구멍(22a)은 폐색 수단에 의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음파는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약간 방출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방출된 음파는 개구(12a)를 통과하여 본체 캐비넷(1) 내부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감쇠하기 때문에, 상기 음파가 마이크로폰(14)에 전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한 경우에는, 폐색 수단에 의해 방음 구멍(22a)이 폐색된 상태가 해제되어 방음 구멍(22a)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폰(14)과 제1 스피커(41)를 기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개구(12a)에 입 주변을 근접시키는 동시에 방음 구멍(22a)에 귀 주변을 근접시킨 자세로 송수화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폐색 수단은 양쪽 캐비넷(1, 2)의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검지에 따라서 방음 구멍(22a)을 개폐하는 셔터 기구(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셔터 기구(7)는 제1 스피커(41)의 방음면과 방음 구멍(22a)의 대향면 사이에 침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셔터 부재(70)와, 상기 검지에 따라서 상기 셔터 부재(70)를 왕복 구동하는 구동 기구(72)를 구비하고 있다. 셔터 부재(70)는 구동 기구(72)의 동작에 의해,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대향면 사이에 침입하여 상기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는 한편, 양쪽 캐비넷(1, 2)의 개방 상태로 상기 대향면 사이에서 탈출하여 상기 방음 구멍(22a)을 개방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하면 검지 수단이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검지에 따라서 구동 기구(72)가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의해 셔터 부재(70)가 제1 스피커(41)의 방음면과 방음 구멍(22a)의 대향면 사이에 침입하여 상기 방음 구멍(22a)을 폐색한다. 이 결과, 제2 스피커(42)의 진동에 수반하여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된 음파는,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약간 방출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상기 음파가 본체 캐비넷(1)의 개구(12a)를 통과하여 마이크로폰(14)에 전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하면 검지 수단이 양쪽 캐비넷(1, 2)이 개방 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검지에 따라서 구동 기구(72)가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의해 셔터 부재(70)가 상기 대향면 사이로부터 탈출한다. 이 결과, 방음 구멍(22a)이 개방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 스피커(41)를 기능시킴으로써,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는 방음 구멍(22a)을 통과하여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음 구멍(22a)에 귀 주변을 근접시킴으로써,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통신 상대로부터의 음성을 알아들을 수 있다.
다른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구(12a)와 방음 구멍(22a)은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에서 서로 약간 어긋나게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폐색 수단은 본체 캐비넷(1)의 내면 영역 내,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 상태에서 방음 구멍(22a)과 마주 보게 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7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73)는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에서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는 한편, 덮개 캐비넷(2)을 개방 상태에서 방음 구멍(22a)으로부터 이탈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함으로써, 본체 캐비넷(1) 내면의 돌출부(73)가 덮개 캐비넷(2)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돌출부(73)에 의해 방음 구멍(22a)이 폐색된다.
또한,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함으로써, 돌출부(73)가 방음 구멍(22a)으로부터 이탈하고, 이에 의해 방음 구멍(22a)은 개방된다. 이 결과,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는 방음 구멍(22a)을 통과하여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방출된다.
더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3)는 탄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한 경우,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는,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고 있는 돌출부(73)의 탄성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2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덮개 캐비넷(2)에는 제1 스피커(41)가 배비되고, 덮개 캐비넷(2)의 내면에는 제1 스피커(41)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를 통과시키기 위한 1개 혹은 복수의 방음 구멍(22a)이 개설되어 있다. 또한, 본체 캐비넷(1)의 내면에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방음 구멍(22a)과 대향하게 되는 위치에 1개 혹은 복수의 개구(12a)가 개설되어 있고, 본체 캐비넷(1)에는 상기 개구(12a)를 향해 마이크로폰(14)이 배비되어 있다. 또, 덮개 캐비넷(2)에는 그 배면측을 향해 음파를 발하는 제2 스피커(42)가 배비되어 있고, 덮개 캐비넷(2)의 내부에는 제1 스피커(41)가 배비된 제1 영역과 제2 스피커(42)가 배비된 제2 영역 사이에, 이들 2개의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2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함으로써, 본체 캐비넷(1)의 마이크로폰(14)과 덮개 캐비넷(2)의 제1 스피커(41)가 개구(12a) 및 방음 구멍(22a)을 통해 서로 대향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폰(14)과 제2 스피커(42)가 함께 본체 캐비넷(1)의 배면측과는 반대측을 향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폰(14) 및 제2 스피커(42)를 기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한 경우라도 마이크로폰(14) 및 제2 스피커(42)를 전방을 향해 송수화를 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피커(42)의 진동에 의해 덮개 캐비넷(2) 내부의 제2 영역 내의 공기가 진동하게 되지만, 양쪽 스피커(41, 42) 사이에는 구획벽이 개재되어 있고, 제2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을 향하는 진동은 구획벽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2 스피커(42)의 진동에 수반하여 제1 스피커(41)가 진동하는 일은 없다.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 상태에 있어서, 마이크로폰(14)과 제1 스피커(41)를 기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개구(12a)에 입 주변을 근접시키는 동시에 방음 구멍(22a)에 귀 주변을 근접시켜 송수화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덮개 캐비넷(2) 내부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내벽 내, 한 쪽의 내벽으로부터 다른 쪽의 내벽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25)와, 상기 리브(25)의 선단부와 다른 쪽의 내벽 사이에 개재하는 쿠션 부재(4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제2 스피커(42)의 진동에 수반하는 제2 영역 내의 공기의 진동은, 구획벽을 형성하는 쿠션 부재(43)의 탄성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다른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덮개 캐비넷(2)은 덮개 캐비넷(2)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와, 덮개 캐비넷(2)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를 서로 접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획벽은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에 돌출 설치된 제1 돌출부(26)와,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에 돌출 설치되어 제1 돌출부(26)와 대향하는 제2 돌출부(27)와, 양쪽 돌출부(26, 27) 사이에 개재하는 시일 부재(4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양쪽 돌출부(26, 27)에 의해 시일 부재(44)를 협압함으로써, 양쪽 돌출부(26, 27)는 시일 부재(44)에 밀착하고, 양쪽 돌출부(26, 27)와 시일 부재(44)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제3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체 캐비넷(1) 및 덮개 캐비넷(2)의 내면에는 양쪽 캐비넷을 폐쇄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이크로폰(63)과 제1 스피커(41)가 배비되는 동시에, 덮개 캐비넷(2)의 배면에는 제2 스피커(42)가 배비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63)은 본체 캐비넷(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비되고, 양쪽 캐비넷을 폐쇄 상태에서는 폐쇄 위치의 덮개 캐비넷(2)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향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양쪽 캐비넷을 개방 상태로 마이크로폰(63) 및 제1 스피커(41)를 기능시키는 제1 통화 모드와, 양쪽 캐비넷을 폐쇄 상태로 마이크로폰(63) 및 제2 스피커(42)를 기능시키는 제2 통화 모드의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마이크로폰(63)은 제1 통화 모드에서는 본체 캐비넷(1)의 내면측을 향한 제1 회전 자세로 설정되고, 제2 통화 모드에서는 폐쇄 위치의 덮개 캐비넷(2)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향한 제2 회전 자세로 설정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마이크로폰(63)은, 예를 들어 본체 캐비넷(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비된 송화 유닛(6)에 내장되고, 상기 송화 유닛(6)에는 마이크로폰(63)을 향해 음파를 도입하기 위한 집음 구멍(62)이 개설되어 있다. 또한, 송화 유닛(6)은 제1 회전 자세와 제2 회전 자세 사이를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거나 혹은 왕복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3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을 개방함으로써 제1 통화 모드가 설정되고, 마이크로폰(63)과 제1 스피커(41)가 기능하여 마이크로폰(63)과 제1 스피커(41)를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마이크로폰(63)을 제1 회전 자세로 설정함으로써, 제1 스피커(41)를 귀 근방에 마이크로폰(63)을 입 근방에 보유 지지하여 통화를 행하는 경우에, 마이크로폰(63)의 집음 방향이 사용자의 입의 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집음이 행해진다.
한편,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을 폐쇄함으로써 제2 통화 모드가 설정되고, 마이크로폰(63)과 제2 스피커(42)가 기능하여 휴대 단말기를 책상 위에 둔 상태로 마이크로폰(63)과 제2 스피커(42)를 이용한 핸즈프리에 의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마이크로폰(63)을 제2 회전 자세로 설정함으로써, 마이크로폰(63)의 집음 방향이 폐쇄 위치의 덮개 캐비넷(2)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덮개 캐비넷(2)에 의해 마이크로폰(63)의 집음이 방해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을 폐쇄함으로써 제1 스피커(41)와 마이크로폰(63)이 서로 대향하게 되었다고 해도, 마이크로폰(63)의 집음 방향은 폐쇄 위치의 덮개 캐비넷(2)으로부터 벗어난 방향, 즉 덮개 캐비넷(2)의 제1 스피커(41)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제2 스피커(42)로부터의 음파가 덮개 캐비넷(2) 내의 공기를 전해 제1 스피커(41)를 진동시켰다고 해도, 이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이 마이크로폰(63)으로 큰 음압에 의해 입력되는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양쪽 캐비넷을 폐쇄한 경우에, 한 쪽의 캐비넷에 배비된 스피커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가 다른 쪽의 캐비넷에 배비된 마이크로폰에 전해짐으로써 하울링이 방지 혹은 억제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절첩식 휴대 단말기의 제1 실시예 혹은 제2 절첩식 휴대 단말기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폐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절첩식 휴대 단말기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방 상태의 일부 파탄 정면도이다.
도4는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폐쇄 상태의 일부 파탄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절첩식 휴대 단말기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6은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폐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절첩식 휴대 단말기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덮개 캐비넷의 내부를 노출시켜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8은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단면도이다.
도9는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절첩식 휴대 단말기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덮개 캐비넷의 내부를 노출시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단면도이다.
도12는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절첩식 휴대 전화기가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4는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5는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송화 유닛의 제1 회전 자세와 제2 회전 자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6은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폐쇄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7은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8은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폐쇄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실시한 형태에 대해,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절첩식 휴대 단말기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캐비넷(1)에 힌지 기구(3)를 통해 덮개 캐비넷(2)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본체 캐비넷(1)의 내면과 덮개 캐비넷(2)의 내면을 서로 대향시켜서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을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 캐비넷(2)은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와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고, 본체 캐비 넷(1)도 덮개 캐비넷(2)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캐비넷(1)의 내면에는 복수의 조작키(11)가 배비되고, 상기 조작키(11)의 하방에는 송화부(12)가 오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송화부(12)에는 본체 캐비넷(1)의 내면측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관통한 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캐비넷(1)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12a)에 집음면을 향한 마이크로폰(14)이 배비되어 있다. 또한, 힌지 기구(3)측의 단부에는 캐비넷 개폐 검출 스위치(15)가 배비되어 있고, 본체 캐비넷(1)의 측면에는 사이드키(13)가 배비되어 있다.
덮개 캐비넷(2)의 내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21)가 배비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21)의 상방에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 상태에서 송화부(12)와 대향하게 되는 위치에 수화부(22)가 배비되어 있고, 덮개 캐비넷(2)의 내부에는 수화부(22)에 방음면을 향한 제1 스피커(41)가 배비되어 있다. 상기 수화부(22)에는 제1 스피커(41)로부터의 음파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음 구멍(22a)이 개설되어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하방에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함으로써 캐비넷 개폐 검출 스위치(15)를 압박하는 압박핀(20)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캐비넷(2)의 배면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가 배비되는 동시에,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23)와 힌지 기구(3) 사이에는 방음부(24)가 배비되고, 덮개 캐비넷(2)의 내부에는 상기 방음부(24)에 방음면을 향한 제2 스피커(42)가 배비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캐비넷(2)의 내부에 배비된 제1 스피커(41)는 한 쌍의 스피커 보유 지지 부재(74, 74)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한 쪽의 스피커 보유 지지 부재(74)의 측방에는 양쪽 캐비넷(1, 2)의 개폐에 따라서 복수의 방음 구멍(22a)을 개폐하는 셔터 기구(7)가 배비되어 있다.
상기 셔터 기구(7)는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의 이면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피봇된 띠형의 셔터 부재(70)와, 상기 셔터 부재(70)를 수용해야 할 셔터 수용실(71)과, 양쪽 캐비넷(1, 2)의 개폐에 따라서 셔터 부재(70)를 왕복 구동하는 구동 기구(72)로 구성되어 있고, 셔터 부재(70)는 구동 기구(72)의 동작에 의해, 도3과 같이 셔터 수용실(71)에 수용된 수용 위치와, 도4와 같이 제1 스피커(41)의 방음면과 복수의 방음 구멍(22a)의 대향면 사이에 침입하여 상기 복수의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는 폐색 위치 사이에서,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의 이면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포켓이나 가방에 넣어 휴대한 경우에는, 도1과 같이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한 상태로부터 양쪽 캐비넷(1, 2)을 절첩하고, 도2와 같이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한다. 이에 의해, 도1에 도시한 메인 디스플레이(21) 및 복수의 조작키(11)는 양쪽 캐비넷(1, 2)의 내측에 숨게 된다. 이때, 메인 디스플레이(21)가 외력의 작용에 의해 파손될 우려는 없고, 또한 복수의 조작키(11)가 외력의 작용에 의해 압박되어 오작동이 생길 우려는 없다.
이때,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 개폐 검출 스위치(15)가 압박핀(20)에 압박되어 온 상태가 되고, 본체 캐비넷(1)에 내장된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상기 온 상태를 통지하는 신호가 공급된다. 제어 회로는, 상기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양 쪽 캐비넷(1, 2)이 폐쇄된 것을 검지하고, 상기 검지 신호를 셔터 기구(7)의 구동 기구(72)에 공급한다. 구동 기구(72)는 상기 검지 신호에 따라서, 셔터 부재(70)를 도3에 도시한 수용 위치로부터 도4에 도시한 폐색 위치까지 미끄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복수의 방음 구멍(22a)은 셔터 부재(70)에 의해 폐색하고,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를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통로가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사이드키(13)를 압하하여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손으로 보유 지지하지 않고, 책상 위에 둔 상태로 송수화를 행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 회로는 캐비넷 개폐 검출 스위치(15)로부터의 전기 신호와,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된 것에 따라서, 마이크로폰(14)과 제2 스피커(42)를 기능시킨다. 또한, 송화부(12)는 본체 캐비넷(1)의 내면에 오목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한 경우라도, 송화부(12)의 개구(12a)가 덮개 캐비넷(2)의 내면에 의해 폐색되는 일은 없다.
이 상태에서, 본체 캐비넷(1)의 배면을 책상의 표면에 접촉시켜 양쪽 캐비넷(1, 2)을 책상 위에 둠으로써, 방음부(24) 및 송화부(12)는 사용자와 대향하게 되고, 방음부(24)로부터 통화 상대의 음성이 발하게 되는 동시에, 송화부(12)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이 집음됨으로써 송수화가 행해진다.
이때, 제2 스피커(42)의 진동이 덮개 캐비넷(2) 및 덮개 캐비넷(2)의 내부의 공기를 통해 제1 스피커(41)에 전달되고, 이에 수반하여 제1 스피커(41)가 진동하 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스피커(41)로부터는 제2 스피커(42)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에 근사한 파형을 갖는 음파가 발하게 된다. 그러나, 복수의 방음 구멍(22a)은 셔터 부재(70)에 의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는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약간 방출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방출된 음파는 송화부(12)의 개구(12a)를 통과하여 본체 캐비넷(1)의 내부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감쇠하기 때문에, 상기 음파가 마이크로폰(14)에 전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2 스피커(42)와 마이크로폰(14) 사이에서, 제1 스피커(41)를 통한 하울링이 생기는 일은 없어, 통화 상대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는 없다.
또한, 상기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 상태에서 송수화 및 메일의 송수신 및 송신 메일의 작성을 행할 수 있다.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함으로써, 덮개 캐비넷(2) 내면의 메인 디스플레이(21) 및 수화부(22)가 노출되는 동시에, 본체 캐비넷(1) 내면의 조작키(11) 및 송화부(12)가 노출된다. 이때, 캐비넷 개폐 검출 스위치(15)는 압박핀(20)에 의한 압박이 해제되어 오프 상태가 되고, 제어 회로는 이에 따라서 마이크로폰(14) 및 제1 스피커(41)를 기능시킨다.
또한, 제어 회로는 셔터 기구(7)의 구동 기구(72)를 동작시키고, 이에 의해 셔터 부재(70)는 도4에 도시한 폐색 위치로부터 도3에 도시한 수용 위치까지 미끄럼 이동한다. 이 결과, 복수의 방음 구멍(22a)은 개방되고,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는 복수의 방음 구멍(22a)을 통과하여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착신시에는 조작키(11)에 의한 오프 후크 조작을 행함으로써 통화 가능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수화부(22)를 귀 주변에 근접하는 동시에 송화부(12)를 입 주변에 근접시켜 상기 착신에 응답할 수 있다.
또한, 메일의 수신시에는 조작키(11)를 조작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화면에 상기 수신 메일의 내용을 표시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일 작성시에는 조작키(11)를 조작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21)의 화면에 사용자가 작성한 문장이 표시된다.
상기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따르면, 양쪽 캐비넷(1, 2)의 개폐에 따라서 수화부(22)의 복수의 방음 구멍(22a)이 개폐하게 되고,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 상태에서 제2 스피커(42)와 마이크로폰(14)을 동시에 기능시킨 경우에도, 제2 스피커(42)와 마이크로폰(14) 사이에서 하울링 현상이 발생하는 일은 없이, 양호한 통화 상태로 핸즈프리에 의한 송수화가 행해진다.
제2 실시예
도5 및 도6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지만, 다른 구조는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는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캐비넷(2) 의 수화부(22)가 상기 제1 실시예보다도 메인 디스플레이(21)에 근접한 위치에 배비되어 있고, 이에 의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한 경우에, 상기 수화부(22)와 본체 캐비넷(1)의 송화부(12)가 양쪽 캐비넷(1, 2)의 연결방향에 서로 약간 어긋나게 된다.
또한, 본체 캐비넷(1)의 내면에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 상태에서 덮개 캐비넷(2)의 수화부(22)와 대향하게 되는 위치에 탄성 수지제의 평판형의 돌출부(73)가 배비되어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함으로써, 본체 캐비넷(1) 내면의 돌출부(73)가 덮개 캐비넷(2)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돌출부(73)에 의해 방음 구멍(22a)이 폐색되고,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를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통로가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핸즈프리 모드를 설정하면, 제어 회로는 캐비넷 개폐 검출 스위치(15)의 온 상태를 통지하는 신호와,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된 것에 따라서 마이크로폰(14)과 제2 스피커(42)를 기능시킨다. 이에 따라, 덮개 캐비넷(2) 배면의 방음부(24)의 제2 스피커(42)로부터 통화 상대의 음성이 발하게 되는 동시에, 송화부(12)의 마이크로폰(14)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이 집음된다.
이때, 제2 스피커(42)의 진동에 수반하여 제1 스피커(41)도 진동하고, 이에 의해 제1 스피커(41)로부터 음파가 발하게 된다. 그러나, 제1 스피커(41)로부터의 음파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음 구멍(22a)은 탄성 수지제의 돌출부(73)에 의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음파는 돌출부(73)의 탄성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 되고, 거의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방출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매우 약간의 음파가 덮개 캐비넷(2)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상기 음파가 본체 캐비넷(1)의 개구(12a)를 통과하여 마이크로폰(14)에 전해지는 일은 없다.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함으로써, 본체 캐비넷(1)의 돌출부(73)는 덮개 캐비넷(2)의 방음 구멍(22a)으로부터 이탈하고, 이에 의해 방음 구멍(22a)은 개방된다. 이때, 캐비넷 개폐 검출 스위치(15)는 압박핀(20)에 의한 압박이 해제되어 오프 상태가 되고, 제어 회로는 이에 따라서 마이크로폰(14) 및 제1 스피커(41)를 기능시킨다.
따라서, 착신시에는 조작키(1)에 의한 오프 후크 조작을 행함으로써 통화 가능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수화부(22)를 귀 주변에 근접하는 동시에 송화부(12)를 입 주변에 근접시켜 상기 착신에 응답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따르면, 본체 캐비넷(1)의 내면에 탄성 수지제의 돌출부(73)를 배비하는 간이한 구성으로, 양쪽 캐비넷(1, 2)의 개폐에 따라서 수화부(22)의 복수의 방음 구멍(22a)을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 상태에서 제2 스피커(42)와 마이크로폰(14)을 기능시킨 경우라도, 제2 스피커(42)와 마이크로폰(14) 사이에서 제1 스피커(41)를 통한 하울링이 생기는 일은 없다.
제2 절첩식 휴대 단말기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상기 제1 절첩식 휴대 단말기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이 힌지 기구(3)를 통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덮개 캐비넷(2)은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와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7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캐비넷(2)을 형성하는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와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가 배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의 상방에는 덮개 캐비넷(2) 내면의 수화부(22)를 향해 제1 스피커(41)가 배비되어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는 금속제의 프레임(50)의 내면에 메인 액정 표시 장치(51)를 설치하는 동시에, 프레임(50)의 배면에 서브 액정 표시 장치(52)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메인 액정 표시 장치(51)는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에 배비된 메인 화면(21)과 대향하는 동시에, 서브 액정 표시 장치(52)는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에 배비된 서브 화면(23)과 대향하고 있다. 또한, 서브 액정 표시 장치(52)의 하방에는 덮개 캐비넷(2) 배면의 방음부(24)를 향해 제2 스피커(42)가 배비되어 있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액정 표시 장치(52)로부터 인출된 가요성 리드(53)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의 상단부를 덮어 프레임(50)과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 사이를 신장하고, 그 선단부가 메인 액정 표시 장치(5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의 상단부에는, 도7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리드(53)를 덮는 동시에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의 내벽에 접촉하는 우레탄제의 쿠션 부재(43)가 배비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와 제1 스피커(41) 사이에 개재하여 덮개 캐비넷(2)의 양측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리브(25)가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를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브(25)의 선단부와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의 내벽에 의해, 상기 쿠션 부재(43)가 협압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피커(41)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신호선(45, 45)은 리브(25)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 구멍(25a, 25a)을 관통하여, 도8에 도시한 본체 캐비넷(1) 내부의 기판 어셈블리(16)까지 신장하고 있다. 여기서, 도9에 도시한 관통 구멍(25a)의 내경은 신호선(45)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고, 관통 구멍(25a)과 신호선(45) 사이에 간극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덮개 캐비넷(2)의 내부에는 리브(25)와 쿠션 부재(43)로 이루어지는 구획벽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구획벽에 의해 덮개 캐비넷(2)의 내부는 제1 스피커(41)가 배비된 제1 수용부(46)와, 제2 스피커(4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가 배비된 제2 수용부(47)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 상태에서 송수화 및 메일의 송수신 및 송신 메일의 작성을 행할 수 있다.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함으로써, 덮개 캐비넷(2) 내면의 메인 화면(21) 및 수화부(22)가 노출되는 동시에, 본체 캐비넷(1) 내면의 조작키(11) 및 송화 부(12)가 노출된다. 이때, 캐비넷 개폐 스위치(15)에 의해 양쪽 캐비넷(1, 2)의 개방 상태가 검지되고, 상기 검지를 기초로 하는 검지 신호가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제어 회로는, 상기 검지 신호에 따라서 마이크로폰(14) 및 제1 스피커(41)를 기능시킨다.
이 결과, 착신시에는 메인 화면(21)에 상대의 전화번호나 성명이 표시되고, 이에 따라서 조작키(11)에 의한 오프 후크 조작을 행함으로써 통화 가능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수화부(22)를 귀 주변에 근접하는 동시에 송화부(12)를 입 주변에 근접시켜 상기 착신에 응답할 수 있다.
또한, 메일의 수신시에는 조작키(11)를 조작함으로써, 메인 화면(21)에 상기 수신 메일의 내용을 표시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일 작성시에는 조작키(11)를 조작함으로써, 메인 화면(21)에 사용자가 작성한 문장이 표시된다.
상기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포켓이나 가방에 넣어 휴대한 경우에는, 도1과 같이 양쪽 캐비넷(1, 2)을 개방한 상태로부터 양쪽 캐비넷(1, 2)을 절첩하고, 도2와 같이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한다. 이에 의해, 도1에 도시한 메인 화면(21) 및 복수의 조작키(11)는 양쪽 캐비넷(1, 2)의 내측에 숨게 된다. 이때, 메인 화면(21)이 외력의 작용에 의해 파손될 우려는 없고, 또한 복수의 조작키(11)가 외력의 작용에 의해 압박되어 오작동이 생기는 우려는 없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화부(12)는 오목 설치되어 있으므로, 덮개 캐비넷(2)의 내면에 의해 상기 송화부(12)의 개구(12a)가 폐색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이 상태에서 사이드키(13)를 압하하여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폐쇄 상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손으로 보유 지지하지 않고, 책상 위에 둔 상태로 송수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체 캐비넷(1)의 배면을 책상의 표면에 접촉시켜서 양쪽 캐비넷(1, 2)을 책상 위에 둠으로써, 방음부(24) 및 송화부(12)는 사용자와 대향하게 된다.
이때, 캐비넷 개폐 검지 스위치(15)에 의해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가 검지되고, 상기 검지를 기초로 하는 검지 신호가 제어 회로에 공급된다. 제어 회로는 상기 검지 신호와,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된 것에 따라서 마이크로폰(14)과 제2 스피커(42)를 기능시킨다.
이 결과, 착신시에는 도2에 도시한 제2 스피커(42)부터 방음되는 통신 상대의 음성이 방음부(24)의 복수의 방음 구멍(24a)을 통과하여 사용자를 향해 발생하게 되는 동시에, 송화부(12)의 개구(12a)를 통과한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로폰(14)에 전해져 통신 상대로 송신되어 송수화가 행해진다.
이때, 제2 스피커(42)의 진동에 수반하여, 도8에 도시한 덮개 캐비넷(2)의 제2 수용부(47) 내의 공기가 진동한다. 여기서, 제2 수용부(47)로부터 제1 수용부(46)를 향하는 진동은, 상기 구획벽을 형성하는 리브(25)에 의해 반사되거나 혹은 쿠션 부재(43)의 탄성에 의해 흡수된다. 이로 인해, 제2 수용부(47) 내의 공기의 진동이 제1 수용부(46) 내의 제1 스피커(41)에 도달하는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따르면, 제2 스피커(42)의 진동에 수반하여 제1 스피커(41)가 진동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제2 스 피커(42)와 마이크로폰(14) 사이에서 제1 스피커(41)를 통한 음향 전달 경로의 루프가 형성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하울링이 발생하는 일은 없어, 양호한 통화 상태로 핸즈프리에 의한 송수화가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10 내지 도12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구획벽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지만, 다른 구조는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구획벽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덮개 캐비넷(2)을 구성하는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와 제1 스피커(41) 사이에 개재하여 덮개 캐비넷(2)의 양측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평판형의 제1 돌출부(26)가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를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고,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6)와 대향하는 위치에 덮개 캐비넷(2)의 양측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2 돌출부(27)가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를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돌출부(27)는 한 쌍의 볼록형부(27a, 27a)에 의해 형성되고, 한 쪽의 볼록형부(27a)는 제1 돌출부(26)보다도 약간 제1 스피커(41)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볼록형부(27a)는 제1 돌출부(26)보다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측에 약간 위치하고 있다.
또한, 양쪽 돌출부(26, 27) 사이에는 제1 돌출부(26)의 선단부를 덮는 시일 부재(44)가 개재되어 있고, 양쪽 캐비넷 절반 부재(28, 29)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시일 부재(44)의 중앙부가 제1 돌출부(26)에 의해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를 향해 압박되는 동시에, 제2 돌출부(27)의 한 쌍의 볼록형부(27, 27a)에 의해 시일 부재(44)의 양단부가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를 향해 압박되고, 이 결과 시일 부재(44)가 양쪽 돌출부(26, 27)에 의해 압박되게 된다. 이에 의해, 양쪽 돌출부(26, 27)와 시일 부재(44)가 서로 밀착되고, 양쪽 돌출부(26, 27)와 시일 부재(44)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제1 스피커(41)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신호선(45, 45)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6)를 관통하여 형성된 박스(45b)를 관통하고, 도11에 도시한 본체 캐비넷(1) 내부의 기판 어셈블리(16)까지 신장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덮개 캐비넷(2)의 내부에는 양쪽 돌출부(26, 27)와 시일 부재(44)로 이루어지는 구획벽이 형성되고, 덮개 캐비넷(2)의 내부는 상기 구획벽에 의해 제1 스피커(41)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46)와, 제2 스피커(4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5)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47)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양쪽 스피커(41, 42) 사이에는 양쪽 수용부(46, 47)를 간극없이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 상태에서 제2 스피커(42)와 마이크로폰(14)을 기능시킨 경우라도, 제2 스피커(42)로부터의 진동이 제1 수용부(46)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2 스피커(42)와 마이크로폰(14) 사이에서 제1 스피커(41)를 통한 음향 전달 경로의 루프가 형성되는 일은 없어, 하울링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제3 절첩식 휴대 단말기
본 실시예에 관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는,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캐비넷(1)에 힌지 기구(3)를 통해 덮개 캐비넷(2)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본체 캐비넷(1)의 내면과 덮개 캐비넷(2)의 내면을 서로 대향시켜 양쪽 캐비넷(1, 2)을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캐비넷(1)에는 그 내면에 복수의 조작키(11)가 배비되는 동시에, 힌지 기구(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단부에 집음 구멍(62)이 개설된 송화 유닛(6)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덮개 캐비넷(2)에는 그 내면에 메인 디스플레이(21)가 배비되는 동시에, 힌지 기구(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단부에 방음 구멍(22a)이 개설된 수화부(22)가 배비되어 있다. 또한,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캐비넷(2)의 배면에는 서브 디스플레이(23)가 배비되는 동시에,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23)와 힌지 기구(3) 사이에는 복수의 방음 구멍(24a)이 개설된 방음부(24)가 배비되어 있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캐비넷(2)의 내부에는 수화부(22)를 향해 제1 스피커(41)가 배비되는 동시에, 방음부(24)를 향해 제2 스피커(42)가 배비되어 있다.
송화 유닛(6)은 원통형의 통 부재(61)의 내부에 마이크로폰(63)을 수용하여 구성되고, 통 부재(61)는 힌지 기구(3)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 캐비넷(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통 부재(61)에는 마이크로폰(63)의 수음면(도시 생략)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이크로폰(63)을 향해 음파를 도입하기 위한 집음 구멍(62)이 개설되어 있다.
송화 유닛(6)은, 도15의 (a)와 같이 집음 구멍(62)을 본체 캐비넷(1)의 내면측을 향한 제1 회전 자세와, 도15의 (b)와 같이 집음 구멍(62)을 본체 캐비넷(1)의 단부면측을 향한 제2 회전 자세 사이에서, 약 90도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송화 유닛(6)의 통 부재(61)에는 외주면의 양측부에 톱니 형상의 요철면이 새겨져, 송화 유닛(6)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64, 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을 개방함으로써 제1 통화 모드가 설정되고, 송화 유닛(6)과 제1 스피커(41)가 기능하고, 송화 유닛(6)과 제1 스피커(41)를 이용한 통화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송화 유닛(6)을 도시한 제1 회전 자세로 설정함으로써, 제1 스피커(41)를 귀 근방에 송화 유닛(6)을 입 근방에 보유 지지하여 통화를 행하는 경우에, 송화 유닛(6)의 집음 구멍(62)이 사용자의 입 방향을 향하게 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집음이 행해진다.
한편,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을 폐쇄함으로써 제2 통화 모드가 설정되고, 송화 유닛(6)과 제2 스피커(42)가 기능하여 휴대 전화기를 책상 위에 둔 상태로 송화 유닛(6)과 제2 스피커(42)를 이용한 핸즈프리에 의한 통화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송화 유닛(6)을 도시한 제2 회전 자세로 설정함으로써, 송화 유닛(6)의 집음 구멍(62)이 폐쇄 위치의 덮개 캐비넷(2)으로부터 노출되기 때문에, 덮개 캐비넷(2)에 의해 송화 유닛(6)의 집음이 방해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화 유닛(6)의 집음 구멍(62)이 덮개 캐비넷(2)의 제1 스피커(41)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제2 스피커(42)로부터의 음파가 덮개 캐비넷(2) 내의 공기를 전해져 제1 스피커(41)를 진동시켰다고 해도, 이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이 마이크로폰(63)으로 큰 음압에 의해 입력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2 스피커(42)로부터 발하게 되는 상대의 음성이 제1 스피커(41)를 통해 마이크로폰(63)에 입력되어 상대측으로 송신되는 하울링 현상이, 도18에 도시한 종래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인 경우보다도 충분히 억제되게 되어, 상대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각 부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송화 유닛(6)은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본체 캐비넷(1) 및 덮개 캐비넷(2)의 개폐에 연동시켜 모터나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마이크로폰(63)을 단일 부재로 회전 구동하고, 본체 캐비넷(1)에 고정된 통 부재(61)에 개설한 2개의 집음 구멍에 대해 선택적으로 방향 전환을 행하는 구조도 채용 가능하다.

Claims (12)

  1.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을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고, 덮개 캐비넷(2)에는 제1 스피커(41)가 배비되고, 덮개 캐비넷(2)의 내면에는 제1 스피커(41)의 방음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를 통과시키기 위한 1개 혹은 복수의 방음 구멍(22a)이 개설되어 있고, 본체 캐비넷(1)의 내면에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 상태에서 방음 구멍(22a)과 대향하게 되는 위치에 1개 혹은 복수의 개구(12a)가 개설되어 있고, 본체 캐비넷(1)에는 상기 개구(12a)에 집음면을 향한 마이크로폰(14)이 배비되어 있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 캐비넷(2)에는 덮개 캐비넷(2)의 배면을 향해 음파를 방출하는 제2 스피커(42)가 배비되어 있고, 어느 한 쪽 혹은 양쪽의 캐비넷에는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에서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는 폐색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폐색 수단은 양쪽 캐비넷(1, 2)의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검지에 따라서 방음 구멍(22a)을 개폐하는 셔터 기구(7)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 기구(7)는 제1 스피커(41)의 방음면과 방음 구멍(22a)의 대향면 사이에 침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셔터 부재(70)와, 상기 검지에 따라서 상기 셔터 부재(70)를 왕복 구동하는 구동 기구(72)를 구비하고, 셔터 부재(70)는 구동 기구(72)의 동작에 의해,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에서 상 기 대향면 사이에 침입하여 상기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는 한편, 양쪽 캐비넷(1, 2)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대향면 사이로부터 탈출하여 상기 방음 구멍(22a)을 개방하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2a)와 방음 구멍(22a)은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에서 서로 약간 어긋나게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폐색 수단은 본체 캐비넷(1)의 내면 영역 내,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에서 방음 구멍(22a)과 마주 보게 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73)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73)는 양쪽 캐비넷(1, 2)의 폐쇄 상태에서 방음 구멍(22a)을 폐색하는 한편, 덮개 캐비넷(2)을 개방 상태로 방음 구멍(22a)으로부터 이탈하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3)는 탄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5.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덮개 캐비넷(2)에는 제1 스피커(41)가 배비되고, 덮개 캐비넷(2)의 내면에는 제1 스피커(41)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스피커(41)로부터 발하게 되는 음파를 통과시키기 위한 1개 혹은 복수의 방음 구멍(22a)이 개설되어 있고, 본체 캐비넷(1)의 내면에는 양쪽 캐비넷(1, 2)을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방음 구멍(22a)과 대향하게 되는 위치에 1개 혹은 복수의 개구(12a)가 개설되어 있고, 본체 캐비넷(1)에는 상기 개 구(12a)를 향해 마이크로폰(14)이 배비되어 있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덮개 캐비넷(2)에는 그 배면측을 향해 음파를 발하는 제2 스피커(42)가 배비되어 있고, 덮개 캐비넷(2)의 내부에는 제1 스피커(41)가 배비된 제1 영역과 제2 스피커(42)가 배비된 제2 영역 사이에, 이들 2개의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덮개 캐비넷(2) 내부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내벽 내, 한 쪽의 내벽으로부터 다른 쪽의 내벽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25)와, 상기 리브(25)의 선단부와 다른 쪽의 내벽 사이에 개재하는 쿠션 부재(43)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덮개 캐비넷(2)은 덮개 캐비넷(2)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와, 덮개 캐비넷(2)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를 서로 접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획벽은 내면 캐비넷 절반 부재(28)에 돌출 설치된 제1 돌출부(26)와, 배면 캐비넷 절반 부재(29)에 돌출 설치되어 제1 돌출부(26)와 대향하는 제2 돌출부(27)와, 양쪽 돌출부(26, 27) 사이에 개재하는 시일 부재(44)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8. 본체 캐비넷(1)과 덮개 캐비넷(2)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본체 캐비넷(1) 및 덮개 캐비넷(2)의 내면에는 양쪽 캐비넷을 폐쇄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 는 위치에 마이크로폰(63)과 제1 스피커(41)가 배비되는 동시에, 덮개 캐비넷(2)의 배면에는 제2 스피커(42)가 배비되어 있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63)은 본체 캐비넷(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비되고, 양쪽 캐비넷을 폐쇄 상태에서는 폐쇄 위치의 덮개 캐비넷(2)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향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양쪽 캐비넷을 개방 상태에서 마이크로폰(63) 및 제1 스피커(41)를 기능시키는 제1 통화 모드와, 양쪽 캐비넷을 폐쇄한 상태에서 마이크로폰(63) 및 제2 스피커(42)를 기능시키는 제2 통화 모드의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마이크로폰(63)은 제1 통화 모드에서는 본체 캐비넷(1)의 내면측을 향한 제1 회전 자세로 설정되고, 제2 통화 모드에서는 폐쇄 위치의 덮개 캐비넷(2)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향하는 제2 회전 자세로 설정되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63)은 본체 캐비넷(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비된 송화 유닛(6)에 내장되고, 상기 송화 유닛(6)에는 마이크로폰(63)을 향해 음파를 도입하기 위한 집음 구멍(62)이 개설되어 있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송화 유닛(6)은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송화 유닛(6)은 왕복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절첩식 휴대 단말기.
KR1020067008666A 2003-11-06 2004-11-05 절첩식 휴대 단말기 KR20060108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7146A JP4443192B2 (ja) 2003-11-06 2003-11-06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JP-P-2003-00377146 2003-11-06
JP2003379230A JP4394927B2 (ja) 2003-11-10 2003-11-10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JP-P-2003-00379230 2003-11-10
JP2004022113A JP2005217792A (ja) 2004-01-29 2004-01-29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JP-P-2004-00022113 2004-0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654A true KR20060108654A (ko) 2006-10-18

Family

ID=3457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666A KR20060108654A (ko) 2003-11-06 2004-11-05 절첩식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64539B2 (ko)
KR (1) KR20060108654A (ko)
WO (1) WO20050461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193B1 (ko) * 2004-10-27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휴대폰
US20070178949A1 (en) * 2005-07-28 2007-08-02 Kyocer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JP4853029B2 (ja) * 2006-01-20 2012-01-1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スピーカ、及び携帯端末のスピーカ取付構造
JP4688701B2 (ja) * 2006-03-09 2011-05-25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
KR20080010625A (ko) * 2006-07-27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US8625305B2 (en) * 2008-10-31 2014-01-07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ic device
KR102012918B1 (ko) * 2012-12-14 2019-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US20160110349A1 (en) * 2014-10-20 2016-04-21 Kimberly Norman-Rosedam Language Translating Device
JP1537369S (ko) * 2015-04-08 2015-11-09
USD803202S1 (en) * 2015-06-30 2017-11-21 Kyocera Corporation Mobile phone
USD825519S1 (en) * 2017-02-27 2018-08-14 Kyocera Corporation Mobile phone
CN110714976A (zh) * 2018-07-13 2020-0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电子设备及折叠式电子设备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193B2 (ja) 1989-05-24 1996-06-1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低音スピ―カシステム
JP3541673B2 (ja) 1998-04-21 2004-07-1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話装置
JP2000270067A (ja) * 1999-03-16 2000-09-29 Nec Corp 携帯電話機
JP4153641B2 (ja) 2000-01-28 2008-09-24 三洋電機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2023483A (ja) 2000-07-06 2002-01-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852280B2 (ja) 2000-11-28 2006-11-2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通信装置
JP2002358088A (ja) 2001-06-01 2002-12-13 Yamaha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3018267A (ja) 2001-07-03 2003-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機
JP3906655B2 (ja) 2001-07-03 2007-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3051871A (ja) 2001-08-06 2003-02-21 Sony Corp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装置
JP3553916B2 (ja) 2001-10-19 2004-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3152838A (ja) 2001-11-13 2003-05-23 Kenwood Corp 携帯電話機
JP3980880B2 (ja) 2001-12-26 2007-09-26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3907516B2 (ja) * 2002-04-11 2007-04-1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3675430B2 (ja) * 2002-09-20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KR100496960B1 (ko) * 2002-12-12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 조립장치
JP4366965B2 (ja) * 2003-03-10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6187A1 (ja) 2005-05-19
US7664539B2 (en) 2010-02-16
US20070087793A1 (en)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2464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or an earpiece for generating an acoustic signal via a keypad
JP4837630B2 (ja) 無線電話
US6137883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via keypad
JPH0715493A (ja) 折畳型携帯電話機
KR19990023530A (ko) 기능성 절첩식 휴대 무선 통신 장치
JP4542328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20060108654A (ko) 절첩식 휴대 단말기
WO2000060835A1 (en) Hearing prot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EP1531606A1 (en) Collapsible mobile telephone
JP4153641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4443192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2010130106A (ja) 無線通信端末装置
JP2001103146A (ja) 電話機のハウリング防止装置
JP4394927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4081738B2 (ja) 携帯電話機
JP4332400B2 (ja)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3735234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200244607Y1 (ko) 듀얼 엘시디 폴더 폰의 외부송/수신장치
JP2005117117A (ja) 旋回式携帯電話機器
JP2004357117A (ja) 携帯情報端末
JPH11177664A (ja) 携帯電話機用マイクロホン装置
KR200311931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확대구조
JPH08102778A (ja) 送話機
JP2005217792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4443508B2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10065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709

Effective date: 2013120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709

Effective date: 201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