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6781A -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및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및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6781A
KR20060106781A KR1020060030304A KR20060030304A KR20060106781A KR 20060106781 A KR20060106781 A KR 20060106781A KR 1020060030304 A KR1020060030304 A KR 1020060030304A KR 20060030304 A KR20060030304 A KR 20060030304A KR 20060106781 A KR20060106781 A KR 2006010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olenoid
switch
power supply
pul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110B1 (ko
Inventor
시게하루 오이데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32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 H01H47/325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by switching reg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전원전압이 스위치 제어부에 가해질 때, 제어신호는 스위치 제어부에서 트랜지스터로 공급된다. 트랜지스터는 제어신호의 펄스넓이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온상에 놓인다. 전원전압은 솔레노이드 코일로 제1전압으로 가해진다. 다른 한편, 트랜지스터에 대한 제어신호의 공급이 멈추면, 트랜지스터는 오프상태에 놓인다. 전압발생부는 전원전압보다 낮은 교류전압을 발생한다. 트랜지스터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제2전압으로서 직류전압을 가한다.
솔레노이드 코일, 역기전력, 펄스신호, 다이오드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및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SOLENOID-OPERATED VALVE AND SOLENOID-OPERATED VALVE-DRIVING CIRCUIT}
도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회로도.
도2는, 도1의 스위치부가 MOSFET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회로도.
도3A는, 도1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전원 전압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3B는 제어 신호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3C는 2차 전압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3D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해진 압력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3E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흐르는 전류의 표준시 일람도.
도4는, 비교예에 의하면, 도1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와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력 소비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와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에 비교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5A는, 도1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전원전압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5B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한 전압의 표준시 일람도.
도6A는, 도1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에서 전원전압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6B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한 전압의 표준시 일람도.
도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회로도.
도8A는, 도7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전원 전압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8B는 제1 펄스 신호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8C는 제2 펄스 신호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8D는 기본 단자 입력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8E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한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8F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표준시 일람도.
도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회로도.
도10A는, 도9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전원 전압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10B는, 제1 펄스 신호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10C는, 제2 펄스 신호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10D는, 기본 단자 입력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10E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한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10F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표준시 일람도.
도11은, 도1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특정예(제1 특정예)에 관한 회로도이다.
도12는, 도7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특정예(제2 특정예)에 관한 회로도.
도13은, 도12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에서 펄스 넓이 조정 회로, 반복 주파수 조정 회로, 의무 비율 조정 회로가 정렬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회로도.
도14는, 도7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특정예(제3 특정예)에 관한 회로도.
도15A는, 도14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제1펄스 신호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15B는, 제2 펄스 신호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15C는, 게이트 단자 입력의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15D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한 표준시 일람도이며, 도15E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표준시 일람도.
도16은, 도14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에서 펄스 넓이 조정 회로, 반복 주파수 조정 회로, 의무 비율 조정 회로가 정렬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회로도.
도17은, 본 출원인에 의해 수정된 예시적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회로도.
도18은, 본 출원인에 의해 수정된 또다른 예시적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회로도.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코일에 제1 전압을 가하여 구동할 수 있고, 제2 전압을 가함으로써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에 관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코일에 제1 전압이나 제2전압을 가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는 흐름 통로의 중간 위치에 정렬되어, 전압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로부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해질 때,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가 흐름 통로를 개폐하도록 전력을 받는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7-331718과 2000-257744 참조)
본 출원인은 도17과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00, 220의 사용에 기반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의 사용을 확인했다.
도17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00의 경우, 스위치 202가 닫힐 때, 직류 전원 204으로부터 나온 전원 전압 V0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의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가해지고,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는 솔레노이드 코일 208를 흐르는 전류로부터 나온 전자기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구동 상태에 위치한다.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00에서 저항기 210와 발광 다이오드 212, 다이오드 214는 각각 평행하게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발광 다이오드 212가 빛을 발할 때,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가 구동 상태에 있다는 사실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것이다.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가하는 전원 전압 V0이 멈추면,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이 다이오드 214에 의해 단시간 약화된다.
도18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의 경우, 스위치 202가 닫히면, 트랜지스터 222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고, 제 1전압으로서 전원 전압 V0이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가해진다. 스위치 202의 닫힘으로 예정된 시간이 끝나고 캐패시터 226의 충전이 저항기 224에 의해 완료되고, 트랜지스터 222가 캐패시터 226의 충전 전압의 결과로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한다. 따라서, 전원 전압 V0은 저항기 228에 의해 전압 분리된다. 이러한 전압 분리의 결과로 발생하는 제2전압이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가해진다. 그리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는 구 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7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00과 관련하여, 같은 전원 전압 V0이 구동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영역과 함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의 구동 동안에 솔레노이드 208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초과된 전기 에너지는 구동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영역동안에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전력이 쓸모없이 소모된다.
다른 한편, 도 18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와 관련하여, 전원 전압 V0 (제1 전압)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의 구동시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가해지는 반면에, 전원전압 V0보다 낮은 제2 전압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가 구동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영역 동안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00와 비교하였을 때,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가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영역 동안에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의한 전기력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의 경우,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가해지는 제2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전원전압 V0은 저항기 228에 의해 전압 분리되게 된다. 그러므로 전기력이 저항기 228에서 쓸모없이 낭비된다.
더우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의 경우, 트랜지스터 222의 온/오프 상태는 저항기 224를 통한 캐패시터 226의 충전/방전 시간에 기초하여 바뀐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전원 중단의 경우와 같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가 멈출 때,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는 짧은 시간내에 재가동될 수 없으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는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영역으로 빨리 변환될 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용 빠른 구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다른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였을 때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과 2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를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회로도이다. 도3A~3E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솔레노이드 코일 14과 관련하여 전원전압 V0, 제 1전압 V1 (제1전압), 제 2전압 V2 (제2전압), 제어 신호와 전류의 표준시 일람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는 스위치 제어부 16, 스위치부 18, 그리고 전압 발생부 20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로 이루어진다. 직류 전원 22은 스위치부 18를 구성하는 PNP형 트랜지스터 28의 이미터 단자 (제1 단자) 30a에 스위치 2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솔레노이드 코일 14과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에 포함되거나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미도시 본체 외부에 배치된다.
트랜지스터 28의 콜렉터 단자 (제2 단자) 30b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의 한쪽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솔레노이드 코일 14의 다른쪽 단자는 직류 전원 22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된다.
스위치 제어부 16는 전원 전압 V0에 기초하여 펄스 넓이 T1 (도3B 참조)를 가지는 단일 펄스 신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미도시 단일 펄스 발생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입력 단자는 스위치 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출력 단자는 트랜지스터 28의 기초 저항기로 사용되는 저항기 36를 통해 기본 단자 (제3 단자) 3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입력 단자는 또한 스위치 제어부 16의 전원 단자로도 사용된다.
게다가, 다이오드 68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전기적으로 평행으로 연결되며, 스위치 제어부 16는 발광 다이오드 66를 통해 접지된다.
이런 배열 속에서, 스위치 24가 시간 T0에 닫히면 (도3E 참조), 미리 예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0 [ms]) 동안의 펄스 넓이 T1를 가지며, 미리 예정된 펄스 전압을 가지는 제어 신호가 스위치 제어부 16에서 발생한다. 발생된 제어 신호는 저항기 36를 통해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된다.
일실시예에서, 스위치 제어부 16는 펄스 넓이 T1을 가진 음극성을 가지는 제 어 신호를 저항기 36를 통해 기본 단자 30c에 공급한다. 그러나, 제어 신호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듯이, 도3B는 전원전압 V0의 극성에 일치하는 양극성을 가지도록 전도되는 제어 신호, 제1 전압 V1, 제2 전압 V2과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를 보여준다. (도 3A, 3C~3E 참조)
제어 신호가 출력될 때, 스위치 제어부 16(도 1과 2 참조)는 예정된 시간 (즉, 주어진 시간 T2 이후) 이후에 펄스 발생 동작을 멈춘다.
전압 발생부 20는 직류 전원 22의 전원 전압 V0을 미리 예정된 전압으로 낮추는 스위치 전원으로 이루어지며, 낮춰진 전원전압 V0을 제 2전압으로 발생한다. 입력 단자는 스위치 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출력 단자는 다이오드 52를 통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에 따르면, 스위치부 18는 PNP형 트랜지스터 28로 이루어진다. 제어 신호가 스위치부 16로부터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될 때, 온상태는 제어 신호의 펄스 넓이 T1에 의해 정의되는 시간 동안에 이미터 단자 30a과 콜렉터 단자 30b 사이에 공급된다. 전원전압 V0은 펄스 넓이 T1에 의해 정의된 시간 동안에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제1전압 V1으로서 인가된다. 다른 한편, 오프 상태는 제어 신호의 공급이 시간 T2 이후에 중단된 시간 동안에 이미터 단자 30a와 콜렉터 단자 30b 사이에 공급된다. 전압 발생부 20에 의해 발생되는 제2전압 V2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다.
스위치부 18는 도1의 트랜지스터 28 대신에 도2의 증가형 P채널 MOSFET 110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MOSFET 110의 게이트 단자 (제 3단자) 112c은 스위치 제어부 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스 단자 (제1 단자) 112a은 스위치부 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 (제2 단자) 112b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이오드 114는 전기적으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드레인 단자 112b부터 소스 단자 112a까지 앞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이오드 114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에서부터 직류 전류 22의 양극 방향으로 전류가 다이오드 114를 통해 흐르도록 하여 MOSFET 110을 보호한다. 스위치부 18가 MOSFET 110으로 구성될 때, 도1의 저항기 36는 필요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는 기본적으로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그 이후,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동작은 도 1과 도3A에서 3E까지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우선, 스위치 24가 시간 T0에서 닫히면, 직류 전원 22의 전원 전압 V0이 스위치 제어부 16, 트랜지스터 28의 이미터 단자 30a과 전압 발생부 20에 가해진다. 이 상황에서, 스위치 제어부 16는 미리 예정된 시간에 의해 정의된 펄스 넓이 T1와 미리 예정된 펄스 전압을 가지는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발생된 제어 신호는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저항기 36를 통해 공급된다.
스위치 제어부 16는 시간 T0에서 제어 신호의 출력을 개시한다. 제어신호의 출력은 펄스 넓이 T1에 의해 시간 T0 보다 이후인 시간 T2 이후에 중지된다. 즉, 스위치 제어부 16는 제어 신호로서 하나의 펄스를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한다.
제어신호가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될 때, 온 상태는 제어 신호의 펄스 발생 시간 (즉, 시간 T0에서 시간 T2 사이의 시간) 동안에, 트랜지스터 28의 이미터 단자 30a과 콜렉터 단자 30b 사이에 공급된다. 트랜지스터 28는 제1전압 V1으로 전원전압 V0을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는 제1전압 V1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지는 시간 영역 (시간 T0에서 시간 T2까지의 시간 영역) 동안에 시간이 만료할때 갑자기 증가한다.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에 신속하게 부세된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갑자기 증가된 전류는 제1전압 V1이 가해지는 시간 영역 동안에 약간 감소한다. (도 3E 참고) 이런 현상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미도시 밸브 플러그에 연결된 가동 코어가 전자기력에 의해 고정 코어에 흡착되는 것의 결과이다.
전압 발생부 20는 트랜지스터 28가 온상태에 놓여 있는 시간 영역 동안에 트랜지스터 28에 의한 짧은 회로 형성에 따른다. 그러므로, 전압은 전압 발생부 20 로부터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지지 않는다.
이어서, 스위치 제어부 16으로부터 발생한 제어 신호의 펄스 출력 동작이 시간 T2에서 멈출 때 트랜지스터 28의 이미터 단자 30a와 콜렉터 단자 30b 사이의 상태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한다.
따라서, 전압 발생부 20는 전원전압 V0을 미리 예정된 전압으로 낮춘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전압이 줄어드는 미리 예정된 전압 (직류 전압)은 다이오드 52를 통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제1전압 V1보다 낮은 제2전압 V2으로서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구동 동안에 사용되는 전류보다 적은 전류가 시간 T2 이후에 시간 영역 동안에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른다. 이리하여, 솔레노이드 코일 14은 더 적은 전류를 사용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구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위치 24가 시간 T3에 열려 있을 때, 전원전압 V0을 스위치 제어부 16, 트랜지스터 28의 이미터 단자 30a 그리고 전압발생부 20에 가하는 것을 멈춘다. 결과적으로, 제2전압 V2을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하는 것도 멈춘다. 제2전압을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하는 것을 중단하면, 역기전력은 솔레노이드 코일 14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역기전력으로부터 발생한 전류가 다이오드 68를 흐르고 나서, 역기전력이 빠르게 약해진다.
제1전압 V1이나 제2전압 V2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지는 동안에, 발광 다이오드 66는 스위치 제어부 16와 발광 다이오드 66를 흐르는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한다. 그러므로, 발광 다이오드 66로부터 빛의 발사가 시각적으로 인식될 때, 제1전압 V1이나 제2전압 V2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져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가 구동 상태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4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와 솔레노이드 코일 14의 전력 소모 (실시예, 도1 참고)를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00과 솔레노이드 코일 208의 전력소모 (비교 예1, 도 17 참고)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와 솔레노이드 코일 208의 전력 소모 (비교 예2, 도 18 참고)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전원전압 V0이 24 [v]일 때, 비교 예1의 전력소모가 2.4[w]이고, 비교예 2의 전력소모가 0.8 [w]이다. 그러나, 실시예의 전력소모는 0.4[w]이다. 즉, 하기에 설명된 이유로 인해, 실시예는 비교예 1의 전력소모와 비교했을 때, 전력소모가 84[%] 감소하고, 실시예는 비교예 2의 전력소모와 비교했을 때 전력소모가 50[%] 감소한다.
즉,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00와 솔레노이드 코일 208의 경우 (도 17 참조), 전원전압 V0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이 구동하는 동안에, 구동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영역 동안에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쉬지 않고 가해진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코일 208의 전력 소모는 현저히 증가한다.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와 솔레노이드 코일 208의 경우 (도 18참조), 전원전압 V0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의 구동 동안에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가해진다. 전원전압 V0보다 낮은 제2전압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의 구동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영역에 저항기 228에 의한 전압 분리의 결과로서 솔레노이드 코일 208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전력소모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00와 비교했을 때 감소한다. (도 17 참조) 그러나, 전력은 저항기 228에서 전원전압 V0의 전압 분리 실시의 결과로서 저항기 228에 의해 소모된다. 그러므로, 전력소모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의 전력소모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경우 (도1 참조), 제1전압 V1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최초 구동 동안(즉, 도 3A에서 도3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 T0에서 T2까지의 시간 영역 동안)에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를 빠르게 구동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다. 제2전압 V2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구동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영역 동안 (즉, 시간 T2에서 T3까지의 시간 영역 동안)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구동 상태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구동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영역 동안에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최초 구동 동안에 사용된 것보다 적은 전력 에너지량을 이용하여 유지된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는 도 17과 18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과 비교하였을 때 솔레노이드 코일 14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경우, 저항은 전원 전압 V0, 제1전압 V1 그리 고, 제2전압 V2을 위한 공급라인 내에서 정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압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지지 않을 때조차도, 전력은 공급라인과 관련하여 소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는 도 18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06과 비교하였을 때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내에서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에서, 제어 신호는 스위치 제어부 16에서 스위치부 18로 공급된다. 스위치부 18는 직류전원이나 전압 발생부 20와 솔레노이드 코일 14 사이에서 전기 연결상태의 시간에 기반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 신호가 스위치부 18에 공급되고 온상태가 제공될 때, 전원전압 V0은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제1전압 V1으로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큰 전기 에너지가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는 짧은 시간동안에 구동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스위치부 18에 공급되는 제어신호가 끊기면, 이 상태는 오프 상태로 변한다. 제1전압 V1보다 낮은 제2전압 V2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공급된 전기 에너지는 줄어든다.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구동 상태는 더 적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유지될 수 있다.
스위치부 제어부 16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 18의 온상태와 오 프상태를 시간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직류 전원 22이나 전압 발생부 20에서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공급된 전기 에너지량과 제1전압 V1과 제2전압 V2에 대한 공급 시간은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위치부 18에 대한 제어 신호의 공급시간과 공급 중단 시간은 제1전압 V1과 제2전압 V2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지는 시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공급시간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시방서에 일치하도록 조정될 때,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개시 시간,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와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로 기대되는 값을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00, 220와 비교했을 때, 솔레노이드 코일 14의 전력소모를 줄이고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스위치 제어부 16에서 스위치부 18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시간이 적절히 조정될 때, 스위치부 18의 온상태의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가 전력 중단 등의 이유로 중단된 상태에 놓이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는 더 짧은 시간내에 개시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는 캐패시터 226와 저항기 224의 충전/방전 시간의 사용에 기반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와 비교하였을 때 구동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영역으로 재빨리 변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에서, 저항기는 전원 전압 V0, 제1전압 V1, 제2전 압 V2의 공급라인에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기의 전체적인 전력 소모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와 비교했을 때 감소할 수 있다. 게다가, 열 대응 장비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이리하여, 기기의 전체적인 지속성은 개선되고 기기의 생산비는 감소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 16는 전원전압 V0을 이용함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데 필요한 배타적인 전원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이리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스위치부 18의 온상태의 시간은 제어신호의 펄스 넓이 T1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는 구동되어 쉽게 제어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28나 MOSFET 110으로 구성된 스위치부 18는 제1전압 V1과 제2전압 V2의 반응 수행이 제어 신호에 대하여 개선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1전압 V1과 제2전압 V2이 가해진 솔레노이드 코일 14과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반응 수행은 개선될 수 있다. 특히, MOSFET 110의 스위치부 18를 구성하여 스위치부 18를 보충하는 반도체 요소의 임피던스를 감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에서, 제1전압 V1은 전원전압 V0과 거의 같고, 제2전압 V2은 전원전압 V0보다 낮다. 그러나, 도 5A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전압 V1을 전원전압 V0보다 높고, 제2전압 V2을 전원전압 V0과 거의 같 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도 6A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전압 V1을 전원전압 V0보다 높고, 제2전압 V2을 전원전압 V0과 거의 같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도 5B와 도 6B의 제1전압 V1과 제2전압 V2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졌을 때, 기능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에 관하여는, 도 7과 8A에서 8F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에서 도 6B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은 같은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이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다음과 같은 주제는 상기에 언급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설명될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는 전압 발생부 20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 (도 1에서 6B를 참조)에 의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와 다르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경우, 스위치 제어부 16는 타이머 카운터 회로 (단일 펄스 발생 회로) 32와 PWM 회로 (반복 펄스 발생 회로) 84로 구성된다.
스위치 제어부 16에서,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의 입력 단자는 스위치 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한편, 출력 단자는 저항기 36를 통해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PWM 회로 84의 입력 단자는 스위치 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한편, 출력 단자는 저항기 36를 통해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와 PWM 회로 84는 발광 다이오드 66를 통해 접지된다.
이 배열 속에서, 스위치 24가 시간 T0에서 닫히면 (도 8F 참조), 전원전압 V0 (도 8A 참조)이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의 입력 단자에 가해져서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에 미리 설정되고 미리 정해진 펄스 전압을 가지는 시간 (예를 들어, 100 [ms])의 펄스 넓이 T1를 가지는 제1펄스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제1펄스 신호는 저항기 36를 통해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제공된다.
두번째 실시예에서, 스위치 제어부 16는 펄스 넓이 T1을 가지는 음극을 가지는 제1펄스 신호와, 펄스 넓이 T4를 가지는 음극을 가지는 제2펄스 신호 (도 8C 참조)를 저항기 36를 통해 기본 단자 30c로 공급한다. 그러나, 제1펄스 신호, 제2 펄스 신호, 그리고 기본 단자 30c의 입력 (제1 펄스 신호와 제2 펄스 신호)의 설명에서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 8B부터 도 8D에서, 제1펄스 신호, 제2펄스 신호, 입력이 전원전압 V0, 제1전압 V1, 제2전압 V2의 극성과 같은 양극성을 가지도록 전환되고, 도 3B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 (도 8A, 8E와 8F 참조)가 도시된다.
이 배열 속에서, 제1펄스 신호가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될 때,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 (도 7참조)는 미리 예정된 시간 (도 8F에서 볼 수 있는 T2 이후) 이후의 펄스 발생 동작을 멈추게 한다.
다른 한 편, 전원전압 V0이 PWM 회로 84에 가해질 때, 제2 펄스 신호는 PWM 회로 84에서 발생한다. 발생된 제2 펄스 신호는 저항기 36를 통해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로 공급된다. (도 8C와 8D 참조)
이 배열 속에서, 제2펄스 신호의 의무 비율과 반복 주파수 (예를 들어, 1 [kHz]부터 100 [kHz])는 PWM 회로 84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4는 제1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보다 적게 설정되어 있다. (T1>T4)
제 1펄스 신호나 제 2펄스 신호가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될 때, 스위치 24가 닫힌 상태에서 (도7 참조), 온 상태는 제1펄스 신호나 제2 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 T4에 의해 정의된 시간 동안에 이미터 단자 30a와 콜렉터 단자 30b 사이에 제공된다. 전원전압 V0은 온 상태의 시간 동안 (펄스 넓이 T1, T4)에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제1전압 V1 (첫번째 전압)이나 제2전압 V2 (두번째 전압)으로 가해진다. (도8 참조)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는 상기와 같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동작은 도 7, 8A에서 8F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음에는, 스위치 24가 시간 T0에 닫힐 때, 직류 전원 22의 전원전압 V0이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와 PWM 회로 84에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와 PWM 회로 84가 개시된다.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는 제1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데, 이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펄스 넓이 T1을 가지며,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에 미리 설정된 펄스 전압을 가진다. 발생된 제1펄스 신호는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저항기 36를 통해 출력 단자로부터 제공된다.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는 시간 T0에 제1펄스 신호의 출력을 개시한다. 펄스의 출력은 펄스 넓이 T1에 의하여 T0보다 늦은 T2에 의해 멈춘다.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는 제1펄스 신호로서 한 펄스를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한다.
다른 한편, 전원전압 V0은 PWM 회로 84에도 가해지고 PWM 회로 84는 개시된다. 그러므로, PWM 회로 84는 제2펄스 신호를 발생하는데, 이는 미리 설정된 반복 주파수를 가지며, PWM 회로 84에 미리 설정된 의무 비율을 가진다. 발생된 제2 펄스 신호는 출력 단자로부터 저항기 36를 통해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된다.
제2 펄스 신호의 반복 사이클 T5 (도 8C 참조)는 반복 주파수를 반복하거나 반대 개수이다. 제2 펄스 신호의 의무 비율은 (T4/T5)×100 [%]. 제2 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4는 제1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보다 적다. (T1>T4) 제 1펄스 신호의 펄스 전압은 제2펄스 신호의 전압과 실질적으로 같다.
제1 펄스 신호나 제2 펄스 신호는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된다. 온 상태는 트랜지스터 28에서 제1펄스 신호나 제2펄스 신호의 펄스 발생 시간 (펄스 넓이 T1, T4)에 이미터 단자 30a과 콜렉터 단자 30b 사이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 28는 전원전압 V0을 제1전압 V1으로서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한다. 전원전압 V0은 시간 T2 이후에 온상태의 시간 구간 (펄스 넓이 T4) 동안에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제2전압 V2으로 가해진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가 제1전압 V1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지는 시간 구간 (펄스 넓이 T1) 동안에 시간이 종료됨에 따라 갑자기 증가한다.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따라서 빠르게 구동된다.
다른 한편, 제2전압 V2은 시간 T2 이후의 시간 구간 내에 미리 설정된 시간의 기간 (즉, 반복 사이클 T5의 간격) 간격 동안에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구동 동안에 사용되는 전류보다 작은 전류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른다. 그리하여, 솔레노이드 코일 14은 더 적은 전류를 사용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구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위치 24가 시간 T3에 열릴 때, 전원전압 V0을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와 PWM 회로 84에 가하는 것을 멈춘다. (도 8F 참조)
그러므로,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와 PWM 회로 84는 구동 상태에서 멈춘 상태로 변환된다. 제1 펄스 신호와 제2 펄스 신호를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하는 것도 멈춘다.
따라서, 오프 상태는 이미터 단자 30a와 트랜지스터 28의 콜렉터 단자 30b 사이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제1전압 V1과 제2전압 V2을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하는 것도 멈춘다.
우연히, 제2전압 V2을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하는 것이 멈출 때, 역기전력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역기전력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류는 다이오드 68를 흘러서 역기전력이 빠르게 약해진다.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제1 전압 V1이나 제2전압 V2이 가해질 때, 발광 다이오드 66는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나 발광 다이오드 66의 PWM 회로 84를 흐르는 전류에 따라 빛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발광 다이오드 66로부터 발생한 빛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때, 제1전압 V1이나 제2전압 V2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지고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가 구동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에서, 제1 펄스 신호와 제2 펄스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는 스위치 제어부 16에서 스 위치부 18로 공급된다. 공급된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치부 18는 직류 전원 22과 솔레노이드 코일 14 사이에서 전기 연결 상태를 시간에 기반하여 제어한다.
즉, 제1펄스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의 공급 시간 (펄스 넓이 T1)이 연장되고, 스위치부 18의 온상태의 시간 구간이 연장되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량이 증가되고,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는 짧은 시간내에 구동될 수 있다.
다른 한 편, 제2펄스 신호 V2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의 공급 시간 (펄스 넓이 T4)이 짧아질 때, 온 상태의 시간 기간도 짧아진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공급된 전기 에너지량은 줄어든다.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구동 상태는 더 적은 전기 에너지량을 사용하여 유지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만약 제1전압 V1과 제2전압 V2이 전원전압 V0의 수준에 있다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구동 상태는 제2전압 V2의 펄스 넓이 T4를 짧게 하여 더 적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직류전원 22으로부터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공급된 전기 에너지량은 스위치 제어부 16를 통해 스위치부 18의 온상태를 시간에 기반하여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부 18로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시간은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대하여 제1전압 V1이나 제2전압 V2을 가하는 시간을 정의한다. 그러므로, 공급 시 간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시방서에 일치하도록 조정되면, 소망하는 값으로 개시 시간,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구동 시간,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 그리고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공급된 전기 에너지량을 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00, 220과 비교했을 때 솔레노이드 코일 14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도 17과 18을 참조) 게다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다양성은 증가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 16에서 스위치부 18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시간이 적절히 변경되면, 스위치부 18가 온상태에 있는 시간 구간이 변한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가 전원 중단 등의 이유로 멈추는 경우에,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가 짧은 시간내에 재가동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와 비교했을 때 구동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영역으로 빠르게 변하여 캐패시터 226와 저항기 224의 충전/방전 시간의 사용에 의거한다. (도 18참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에서, 저항기는 전원전압 V0, 제1전압 V1, 그리고 제2전압 V2의 공급 라인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기의 전체적인 전력 소모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220와 비교했을 때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열 대응 방지책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생산비를 감소시키면서 전체적인 기기의 지속성은 증진시킬 수 있다.
스위치부 18가 온상태에 있는 시간 구간은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에 의해 발 생하는 제1 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와 PWM 회로 84에 의해 발생하는 제2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것은 쉽다.
제1 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가 제2 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4보다 길고, 제1 전압 V1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지는 시간 동안, 솔레노이드 코일 14에는 더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를 빠르게 구동할 수 있다. 다른 한 편, 제2 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4가 제1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보다 짧으면, 제2전압 V2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지는 시간 동안에 미리 예정된 시간에 일치하는 간격에서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공급된다. PWM 제어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스위치 제어부 16로부터 스위치부 18로 공급된 제1펄스 신호와 제2펄스 신호에 수행될 때, 솔레노이드 코일 14의 전력 소모는 더욱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와 10A에서 10F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C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C는 제1, 제2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 12B와는, 스위치 24가 전압발생부 20를 통해서 스위치부 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면에서 다른데, (도 1에서 8F 참조) 전압발생부 20는 전원전압 V0보다 높은 전압값을 가지는 직류 전압을 발생한다.
이 배열 속에서, 스위치 24가 시간 T0에서 닫힐 때 (도 10F 참조), 직류 전원 22의 전원전압 V0 (도 10A 참조)이 전압발생부 20,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와 PWM 회로 84에 가해진다. (도8 참조) 결과적으로, 전압 발생부 20,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 그리고 PWM 회로 84가 개시된다.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는 제1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발생된 제1펄스 신호는 출력 단자로부터 저항기 36을 통해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된다. (도 10B와 10D 참조) 다른 한편, PWM 회로 84는 제2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발생된 제2 펄스 신호는 출력 단자로부터 저항기 36을 통해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된다. (도 10C와 10D 참조)
제 3실시예에서, 스위치 제어부 16는 펄스넓이 T1을 가지는 음극을 가지는 제1펄스 신호와, 펄스넓이 T4를 가지는 음극을 가지는 제2 펄스 신호를 제2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기본 단자 30c에 제공한다. (도 7과 8A에서 8F 참조) 그러나, 도 10B에서부터 10D에서 제1펄스 신호, 제2펄스 신호, 그리고 기본 단자 30c의 입력 (제1 펄스 신호와 제2 펄스 신호)의 설명에서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펄스 신호, 제2펄스 신호, 그리고 입력은 전원전압 V0, 제1 전압 V1, 제 2전압 V2, 그리고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가 전원전압과 같은 극성, 양극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도 3B와 8B부터 8D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전환된다.
전압 발생부 20 (도 9를 참조)는 전원전압 V0보다 큰 전압값을 갖는 직류 전 압을 발생한다. 발생된 직류 전압은 스위치부 18에 공급된다.
제1펄스 신호나 제2펄스 신호는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된다. 온상태는 제1펄스 신호나 제2 펄스 신호의 펄스 발생 시간 (펄스 넓이 T1, T4) (도 10B와 10C 참조) 동안에, 이미터 단자 30a와 콜렉터 단자 30b 사이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 28는 직류 전압을 제1전압 V1으로서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한다. 직류 전압은 시간 T2 이후에 온상태에서 시간 간격 (펄스 넓이 T4) 동안에 제2 전압 V2으로서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는 제1전압 V1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 시간 영역 (펄스 넓이 T1)내에서 시간이 종료될 때 갑자기 증가하고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C는 전류에 의한 전자기력에 일치하여 빠르게 구동된다.
다른 한 편, 제2전압 V2은 시간 T2 이후에 시간영역내에서 예정된 시간 (즉, 반복 사이클 T5에 의해 정의된 간격)을 가진 간격에서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C의 구동 동안에 사용되는 전류보다 적은 전류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른다. 이리하여, 솔레노이드 코일 14은 더 적은 전류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C의 구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위치 24가 시간 T3에 열릴 때 (도 10F 참조), 전원 전압 V0을 전압발생부 20,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 그리고 PWM 회로 84에 가하는 것을 중단한다. 그러므로,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와 PWM 회로 84는 구동 상태에서 중지 상태로 변경된다. 제1펄스 신호와 제2펄스 신호를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하는 것도 중단된다.
따라서, 오프 상태는 이미터 단자 30a과 트랜지스터 28의 콜렉터 단자 30b 사이에 공급된다. 계속적으로, 제1전압 V1이나 제2전압 V2을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하는 것도 중단한다.
제2 전압 V2를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공급하는 것이 중단되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은 제2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12B와 같은 방법으로 약해진다. (도 7 참조) 또한, 제1전압 V1이나 제2전압 V2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지는 동안에, 발광 다이오드 66는 제2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와 같은 방법으로 빛을 발광한다. 그러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C를 개시하면, 전원 전압 V0보다 큰 직류 전압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다. 따라서, 개시와 함께 공급된 전기 에너지는 증가하고 이로 인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C는 짧은 시간 동안에 구동될 수 있다. 제1 전압 V1과 제 2전압 V2이 실제적으로 같은 수준에 있다고 할지라도,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C의 구동 상태는 더 적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유지될 수 있고 제2전압 V2의 펄스 넓이 T4를 줄인다.
그리고, 상기에 설명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와 12B의 특정한 예는 (제1부터 제3 특정예) 도 11에서 1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특정 예 (제1 특정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이 배열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12A는 스위치 제어부 16, 스위치부 18 그리고 전압 발생부 20를 포함한다. 직류 전원 22은 스위치 24를 통해 다이오드 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이오드 26는 트랜지스터 28의 이미터 단자 3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이오드 26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에서 직류 전원 22의 양극 방향으로 흘렀을 전류를 막아서 회로를 보호한다.
트랜지스터 28의 콜렉터 단자 30b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의 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 제어부 16는 리셋 IC 38로 이루어진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를 포함한다. 리셋 IC 38의 입력 단자 38a은 다이오드 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리셋 IC 38의 출력 단자 38b은 저항기 36를 통해서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리셋 IC 38의 접지 단자 38c은 접지된다.
이 배열속에서, 입력 단자 38a은 리셋 IC 38의 전원 단자로도 사용된다. 리셋 IC 38는 미도시 타이머를 가진다. (도 3E에서 시간 T0에서) 전원의 공급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도 3E에서 시간 T2)이 종료되면, 제어 신호의 발생이 멈춘다.
스위치 24가 시간 T0에서 멈출 때 (도 3E 참조), 전원전압 V0은 리셋 IC 38을 가동하기 위하여 입력 단자 38a에 가해질 수 있다. 게다가, 제어 신호는 리셋 IC 38에서 발생하는데, 발생된 제어 신호는 저항기 36를 통해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에 공급된다.
전압발생부 20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일치하는 간격에서 낮추어진 예정 전압을 포함하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직류 전원 22의 전원전압 V0을 미리 예정된 전압으로 낮추는 전환 IC (전압제어부) 40를 포함한다. 제2전압 V2를 발생하기 위해 평활회로 42가 포함되어 펄스 신호를 평탄하게 한다. 전환 IC 40의 입력 단자 44a는 다이오드 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환 IC 40의 접지 단자 44b는 접지된다. 캐패시터 46는 입력 단자 44a과 접지 단자 46b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캐패시터 46는 입력 단자 44a에 가한 전원전압 V0에 포함된 고주파수 구성요소들을 제거하는 측로 축전기이다.
캐패시터 48는 출력 단자 44c과 전환 IC 40의 승압 단자 44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캐패시터 48는 전원전압 V0이 입력 단자 44a에 가해질 때 전환 IC 40가 출력 단자 44c로부터 펄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전환 동작을 신뢰성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승압 캐패시터이다.
평활 회로 42에서 코일 50은 출력 단자 44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 50은 다이오드 52를 통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이 배열에서, 코일 50은 다이오드 54를 통해 출력 단자 440c의 측면에 접지된다. 다른 한편, 코일 50은 캐패시터 56, 58로 이루어진 평행 회로를 통해 다이오드 52의 측면에 접지된다. 코일 50은 저항기 60를 통해 전환 IC 40의 피드백 단자 44e에 다이오드 52의 측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피드백 단자 44e은 또한 저항기 62를 통해 접지된다.
제2전압 V2의 일부는 피드백 단자 44e에 피드백 전압으로서 가해진다. 이 배열에서, 피드백 전압이 크기는 저항기 60, 62의 저항값에 의해 결정된다. 다이오드 52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에서 전압발생부 20 방향으로 흘렀을 전류를 막음으로써 회로를 보호한다.
스위치부 18는 트랜지스터 28로 구성된다. 제어신호가 스위치 제어부 16로부터 트랜지스터 28의 기본 단자 30c로 공급될 때, 온 상태는 제어 신호의 펄스 넓이 T1에 의해 결정된 시간 동안에 이미터 단자 30a과 콜렉터 단자 30b 사이에 공급된다. (도 3B 참조) 전원전압 V0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펄스 넓이 T1의 시간 동안에 제1전압V1으로 가해진다. (도 3D 참조) 다른 한편, 오프 상태는 제어 신호의 공급이 시간 T2 이후에 멈춘 시간 동안에 이미터 단자 30a과 콜렉터 단자 30b 사이에 공급된다. (도 3E 참조) 전압발생부 20에 의해 발생된 제2전압 V2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의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다.
저항기 64와 발광 다이오드 66는 스위치 제어부 16에 전기적으로 평행으로 연결된다.
제1전압 V1이나 제2전압 V2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질 때, 발광 다이오드 66는 저항기 64와 발광 다이오드 66를 흐르는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한다. 그 러므로, 발광 다이오드 66로부터 발사된 빛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때, 제1전압 V1이나 제2전압 V2이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져서 솔레노이드 코일 12A이 구동상태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전압 V1이나 제2전압 V2을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하는 것을 멈추면, 역기전력은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발생한다. 그러나 역기전력으로부터 발생한 전류가 다이오드 68를 흐르면, 역기전력은 빠르게 약해진다.
스위치 제어부 16, 스위치부 18, 전압발생부 20, 다이오드 26, 52, 68, 저항기 64, 발광 다이오드 66는 기판 7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첫번째 특정예에서, 전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압발생부 20는 전환 IC 40와 평활 회로 4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전압V2에서 시간에 기반한 변화나 진동은 억제된다. 솔레노이드 코일 12A의 구동 상태는 적은 양의 전력 소모로도 유지 가능하다.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가 리셋 IC 38를 포함할 때, 제어 신호는 전원전압 V0을 이용하여 발생된다. 그러므로,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해서 필요했을 배타적인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회로 10는 크기가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제어 신호의 펄스넓이 T1, 즉 트랜지스터 28가 온상태에 있는 시간 (즉,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제1전압 V1을 가한 시간)은 리셋 IC 38에 의해 제어 신호의 발생을 멈추게 하여 결정된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는 쉽게 구동되고 제어된다.
도12는 제2실시예에 따라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특정예 (두번째 특정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이 배열에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B는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 PWM 회로 84, PNP 타입 트랜지스터 86 그리고 이에 연결된 저항기 39, 88~92를 포함하는 커스텀 타입 IC로 구성된 스위치 제어부 16를 포함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스위치제어부 16에서,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는 리셋 IC 38와 저항기 39로 구성된다. 리셋 IC 38의 입력 단자 38a는 캐패시터 94, 96을 통해 다이오드 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한편, 출력 단자 38b은 저항기 39를 통해 트랜지스터 86의 기본 단자 98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리셋 IC 38의 전원 단자 38f는 다이오드 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한편, 리셋 IC 38의 접지 단자 38c은 접지된다. 캐패시터 94는 스위치 24가 시간 T0에서 멈출 때 전원전압 V0에 포함되는 고주파 구성요소를 제거하는 측로 캐패시터이다. (도 8F 참조)
PWM 회로 84는 타이머 IC 100과 저항기 88로 구성된다. 타이머 IC 100의 제1입력 단자 100a는 저항기 102를 통해 캐패시터 9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입력 단자 100b은 캐패시터 104를 통해 캐패시터 9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한편, 타이머 IC 100의 출력 단자 100c은 트랜지스터 86의 기본 단자 98c에 저항기 88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타이머 IC 100의 전원 단자 100d은 다이오드 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한편, 타이머 IC 100의 접지 단자 100e은 접지된 다.
타이머 IC 100는 미도시 타이머를 포함한다. 펄스 넓이 T4 (도 8C 참조)를 가지는 제2펄스 신호는 전원전압 V0의 공급 (도 8F의 시간 T0) 이후에 반복 사이클 T5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발생한다.
저항기 39와 88은 트랜지스터 86에 제공된 기본 저항기이다.
이 배열에서, 스위치 24가 시간 T0에서 닫힐 때, 전원전압 V0은 전원 단자 38f, 100d에 가해져서 리셋 IC 38과 타이머 IC 100가 가동된다.
전원전압 V0이 직류 전원 22으로부터 스위치 24, 다이오드 26, 캐패시터 94, 96를 통해 리셋 IC 38의 입력 단자 38a에 가해질 때, 리셋 IC 38의 가동에 이어 제1펄스 신호가 발생한다. 발생된 제1펄스 신호는 저항기 39를 통해 트랜지스터 86의 기본 단자 98c로 공급된다.
이 배열에서, 제1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는 캐패시터 96의 성능을 조정하여 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원전압 V0이 직류 전원 22으로부터 스위치 24, 다이오드 26 그리고 캐패시터 94, 102를 통해 타이머 IC 100의 제1입력 단자 100a로 공급될 때, 타이머 IC 100의 개시에 이어서, 전원전압 V0이 제2입력 단자 100b로 캐패시터 94, 104를 통해서 공급되고, 그리고 나서 제2펄스신호가 타이머 IC 100에 발생한다. 발생된 제2펄스 신호는 저항기 88를 통해 트랜지스터 86의 기본 단자 98c에 공급된 다.
이 배열에서, 제2펄스 신호의 반복주파수는 캐패시터 102의 성능을 조정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의무비율은 캐패시터 104의 성능을 조정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트랜지스터 86의 이미터 단자 98a은 다이오드 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콜렉터 단자 98b은 저항기 90, 92에 의하여 접지된다. 저항기 90, 92는 스위치부 18를 구성하는 증가형 P 채널 MOSFET 110의 게이트 단자 (제3 단자) 112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배열에서, 트랜지스터 86의 기본 단자 98c은 배선 OR 형성으로 리셋 IC 38의 출력 단자 38b과 PWM 회로 84의 출력 단자 10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가 구동상태에 있을 때, 제1 펄스 신호나 제2펄스 신호는 트랜지스터 86의 기본 단자 98c에 공급된다.
제1펄스 신호나 제2펄스 신호가 트랜지스터 86의 기본 단자 98c에 공급될 때, 스위치 24가 닫힌 상태에서, 온상태는 제1펄스 신호나 제2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 T4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 이미터 단자 98a와 콜렉터 단자 98b 사이에 제공된다. (도 8B와 8C 참조) 전원전압 V0은 온상태 (즉, 각 펄스 넓이 T1, T4 )에서 저항기 90, 92의 일련의 회로에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온상태에 일치하는 펄스넓이를 가지고, 일련의 회로의 전압 분리 결과 저항기 92에 가해지는 펄스 전압을 가지는 펄스 신호는 제어신호로서 MOSFET 110의 게이터 단자 112c에 공급된다.
도 2에서 스위치부 18의 경우, 스위치부 18는 MOSFET 110과 다이오드 114로 구성된다. MOSFET 110의 소스 단자 (제1 단자) 112a은 다이오드 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한편, 드레인 단자 (제2 단자) 112b은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2에서, 도 8B와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 신호가 스위치 제어부 16에서 MOSFET 110의 게이트 단자 112c에 공급될 때, 온상태는 제어신호의 펄스 넓이 즉, 제1 펄스신호의 펄스넓이 T1나 제2펄스신호의 펄스 넓이 T4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 소스 단자 112a와 드레인 단자 112b 사이에 공급된다. 전원전압 V0은 펄스 넓이 T1과 T4에 의해 정의된 시간 동안에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제1전압 V1(제1전압)이나 제2전압 V2(제2전압)으로서 가해진다.
다이오드 116는 직류 전원 22의 음극과 캐패시터 96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이오드 116는 직류 전원 22의 음극으로부터 캐패시터 94 방향으로 흘렀을 전류를 막음으로써 회로를 보호한다. 다이오드 116의 양극면(anode side)이 접지된다.
저항기 64와 발광 다이오드 66는 스위치제어부 16에 평행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이오드 68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평행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 제어부 16, 스위치부 18, 다이오드 26, 68, 116, 저항기 64, 발광 다이오드 66 그리고 각 캐패시터 94, 96, 102, 104는 기판 7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특정예에서, 제1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는 캐패시터 96의 성능(capacitance)을 조정하여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개시는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게다가, 제2펄스 신호의 반복 주파수는 캐패시터 102의 성능(capacitance)을 조정하여 변형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제2펄스 신호의 의무 비율은 캐패시터 104의 성능을 조정하여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반복 주파수가 높아지기 위해 증가할 때,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의 진동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구동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영역 (시간 T2에서 T3)동안에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코일 14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 게다가, 의무비율도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구동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1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 제2펄스 신호의 반복 주파수, 그리고 의무 비율은 캐패시터 96, 102, 104의 성능에 의해 변한다. 그러므로, 전원전압 V0의 전압값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시방서에 따라 변할지라도, 펄스 넓이 T1, 반복 주파수 그리고 의무비율은 유지되고 변동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전원전압 V0의 전압값이 변할지라도, 스위치 제어부 16와 스위치부 18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넓은 전압 범위 (전원전압 V0의 범위)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스위치부 18내에서 MOSFET 110을 정렬함으로써, 스위치부 18를 보충 하는 반도체 요소의 임피던스를 줄일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두번째 특정예에서 (도 12 참조), 제1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 제2펄스신호의 반복 주파수, 제2펄스 신호의 의무비율은 캐패시터 96, 102, 104의 성능을 각각 조정함으로써 변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배열 대신에, 도 13의 펄스넓이 T1를 조정하기 위한 펄스 넓이 조정회로 170, 반복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반복 주파수 조정회로 172, 의무 비율을 조정하기 위한 의무 비율 조정회로 174는 솔레노이드 동작 구동 회로 10에서 정렬될 수 있다. 펄스 넓이 조정회로 170는 펄스넓이 T1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반복 주파수 조정회로 172는 반복 주파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의무 비율 조정회로 174는 의무 비율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각 메모리에서 읽은 데이터는 리셋 IC 38나 타이머 IC 100로 출력된다. 따라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는 제1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 제2펄스 신호의 반복 주파수 그리고 의무 비율의 바람직한 값을 설정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시방서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다.
도1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다른 특정예 (제3 특정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제3 특정예는 스위치제어부 16가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 PWM 회로 84, 불변 전압 회로 120와 스위치 122를 포함하여, 커스텀 타입 IC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제2 특정예와 다르며 (도 12, 13 참조),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는 다이오드 124와 저항기 126은 스위치 제어부 16의 입력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항기 130와 캐패시터 132는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의 입력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항기 134, 138, 140은 PWM 회로 84의 입력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배열 속에서, 불변 전압 회로 120의 입력 단자 120a은 저항기 126와 다이오드 124를 통해 스위치 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출력 단자 120b은 캐패시터 136와 저항기 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출력 단자 120c은 스위치 122의 전압 제어 단자 122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의 제1 입력 단자 32a은 저항기 130의 한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입력 단자 32b은 저항기 130의 다른 한 끝과 캐패시터 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출력 단자 32c은 스위치 122의 제1 입력 단자 12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PWM 회로 84의 제1 입력 단자 84a은 저항기 1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입력 단자 84b은 저항기 138과 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출력 단자 84c은 스위치 122의 제2 입력 단자 12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스위치 122의 출력 단자 122d은 MOSFET 110의 게이트 단자 112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저항기 126는 캐패시터 128와 발광 다이오드 66를 통해 접지된다. 불변 전압 회로 120의 제1출력 단자 120b은 캐패시터 136와 발광 다이오드 66를 통해 접지되고, 저항기 134, 138과 캐패시터 132는 발광 다이오드 66를 통해서도 접지된다. 다이오드 68는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전기적으로 평행하게 연결된다.
스위치 24가 온상태일 때, 불변 전압 회로 120는 입력 단자 120a에 가해진 전원전압 V0에 기초하여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와 PWM 회로 84를 가동시킨다. 전원전압 V0은 미리 설정된 시간 (즉, 도15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 T0에서 시간 T2) 동안에 제2 출력 단자 120c에서 전압 제어 단자 122c로 공급된다. 미리 설정된 전압은 제1 출력 단자 120b로부터 캐패시터 136와 저항기 140로 공급된다.
다이오드 124는 저항기 126로부터 직류 전원 22의 양극방향으로 흘렀을 전류를 막음으로써 회로를 보호한다.
저항기 126는 스위치 24가 온상태에 있을 때 (도 15E에서 시간 T0) 발생하는 큰 전류 (유입 전류)가 스위치 제어부 16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전류의 흐름을 제한한다.
이 배열 속에서, 스위치 제어부 16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의 간헐적인 비연속 시간은 캐패시터 128의 성능을 조정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제1펄스 신호의 펄스넓이 T1 (도 15A 참조)는 저항기 130의 저항값과 캐패시터 132의 성능을 조정함으로써 변형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제2 펄스신호 (도 15B 참조)의 반복 주파수는 저항기 134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펄스신호의 의무비율은 저항기 138과 140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변형될수도 있다. 캐패시터 136는 전압내에 포함된 고주파수 구성요소를 제거하는 측로 캐패시터이다.
스위치 122는 전원전압 V0이 불변 전압 회로 120로부터 전압 제어 단자 122c 로 공급되는 시간 영역 (도 15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 T0에서 T2) 동안 제1입력 단자 122a과 출력 단자 122d 사이에서 온상태를 제공한다.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의 출력 단자 84c로부터 나온 제1 펄스 신호는 MOSFET 110의 게이트 단자 112로 공급된다. 스위치 122는 전원 전압 V0이 전압 제어 단자 122c에 공급되지 않는 시간 (도 15E에서 시간 T2 이후의 시간) 동안에 제2 입력 단자 122b과 출력 단자 122d 사이에 온상태를 공급한다. PWM 회로 84의 출력 단자 84c로부터 나온 제2펄스 신호는 MOSFET 110의 게이트 단자 112c에 출력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5A에서 15E에서 보듯이, 스위치 24 (도 14 참조)가 시간 T0에서 닫힐 때, 전원전압 V0이 불변 전압 회로 120의 입력 단자 120a에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와 PWM 회로 84가 가동된다. 전원전압 V0이 불변 전압 회로 120의 제2 출력 단자 120c로부터 스위치 122의 전압 제어 단자 122c로 제공된다. 온 상태는 출력 단자 122d과 스위치 122의 제1 입력 단자 122a 사이에 제공된다.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가 가동된 상태 동안에 전원전압 V0이 직류 전원 22으로부터 스위치 24, 다이오드 124, 저항기 126 그리고 캐패시터 128, 132 (저항기 130 포함)를 통하여 제1 및 제2 입력 단자로 공급될 때, 타이머 카운터 회로 32는 펄스 넓이 T1을 가지는 제1펄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15A 참조) 발생된 제1 펄스 신호는 출력 단자 32c로부터 스위치 122의 제1 입력 단자 122a로 공급된다.
다른 한편, 전원전압 V0이 직류 전원 22으로부터 스위치 24, 다이오드 124, 저항기 126, 캐패시터 128 그리고 저항기 134를 통하여 PWM 회로 84가 가동된 상태에서, 제1 입력 단자 84a로 공급될 때, 전압은 불변 전압 회로 120의 제1출력 단자 120b로부터 저항기 140를 통해 제2입력 단자 84b로 공급되고, PWM 회로 84는 펄스 넓이 T4와 반복 사이클 T5를 가지는 제2 펄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15B 참조) 발생된 펄스 신호는 출력 단자 32c로부터 스위치 122의 제2입력 단자 122b로 공급된다.
이 배열에서, 스위치 122는 시간 T0에서 시간 T2의 기간 동안 MOSFET 110의 게이트 단자 112c에 제1펄스 신호를 공급한다. (도 15E 참조) 다른 한편, 불변 전압 회로 120로부터 전압 제어 단자 122c로 전원전압 V0을 공급하는 것이 시간 T2에서 T3 사이에 중지된다. 온상태가 제2 입력 단자 122b과 출력 단자 122d 사이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제2 펄스 신호는 MOSFET 110의 게이터 단자 112c에 공급된다.
MOSFET 110은 제1 펄스신호의 펄스 넓이 T1와 제2 펄스신호의 펄스 넓이 T4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 소스 단자 112a과 드레인 단자 112b 사이에 온 상태를 제공한다. 전원전압 V0이 제1전압 V1 (제1전압)이나 제2전압 V2 (제2전압)으로 펄스넓이 T1과 T4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에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솔레노이드 코일 14에 가해진다.
제3 특정예에서, 스위치 제어부 16는 게이트 단자 112c에 음극과 펄스넓이 T1을 가지는 제1펄스 신호, 음극과 펄스넓이 T1을 가지는 제2펄스 신호를 공급한다. 그러나, 도 15A부터 15C에서는, 제1펄스 신호, 제2펄스 신호와 게이트 단자 112c (제1펄스 신호와 제2펄스 신호)의 입력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제1 펄스 신호, 제2펄스 신호와 입력은 도 3B, 8B부터 8D, 10B부터 10D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전원전압 V0, 제1전압 V1, 제2전압 V2, 그리고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 (도 15D와 15E 참조)와 극성이 같아지도록 양성극성으로 변환된다.
스위치 제어부 16, 스위치부 18, 다이오드 26, 68, 124, 발광 다이오드 66, 저항기 126, 130, 138, 140과 캐패시터 128, 132, 136은 각각 기판 70에 설치된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3특정예에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가 가동될 때 (스위치 24가 온상태일 때) 발생하는 큰 전류 (돌입 전류)는 스위치 제어부 16로 흐르는 것을 막아서 저항기 126를 제공하여 돌입 전류를 제한한다. 결과적으로, 돌입전류에 의한 전원전압 V0의 진동으로 인한 스위치 제어부 16 (제어신호)에 가해진 영향을 피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는 간헐적인 불연속 이후에 빨리 재가동되어, 스위치 제어부 16의 간헐적 불연속 시간의 변형을 통하여 캐패시터 128의 성능을 조정한다.
개시 즉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제어는 제1 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를 변형하는 것을 통하여, 저항기 130의 저항값과 캐패시터 132의 성능을 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구동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즉, 시간 T2에서 T3 사이의 구간) 동안에 솔레노이드 코일 14을 흐르는 전류의 진동을 제2펄스 신호의 반복 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을 통하여 그리고 저항기 134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다. 이리하여, 솔레노이드 코일 14의 전력 소모를 추가로 감소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구동 상태는 제2펄스신호의 의무비율의 변형을 통하여 저항기 138과 140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3특정예에서, 제1펄스신호의 펄스 넓이 T1, 제2펄스 신호의 반복 주파수 그리고 의무비율은 캐패시터 128, 132의 성능과 저항기 130, 134, 138, 140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원전압 V0의 전압값이 제2 특정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시방서에 따라 변할 때조차도, 펄스 넓이 T1, 반복 주파수 그리고 의무비율은 진동한다. (도 12와 13 참조) 다시 말하면, 전원전압 V0의 전압값이 변할 때조차도, 스위치 제어부 16와 스위치부 18는 안정된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에 의해 사용되는 전압의 범위 (전원전압 V0의 범위)는 넓어질 수 있다.
도 13과 함께 상기에 언급된 제3 특정예 (도 14 참조)에서는 저항기 130, 134, 138과 140과 캐패시터 132 대신에 펄스 넓이 T1를 조정하기 위한 펄스 넓이 조정 회로 170, 반복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주파수 조정 회로 172와 의무비율 조정 을 위한 의무비율 조정회로 174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에서 정렬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펄스 넓이 조정 회로 170, 반복 주파수 조정 회로 172와 의무 비율 조정회로 174의 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가 제1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 T1, 제2펄스 신호의 반복 주파수 그리고 의무 비율에 대한 바람직한 값을 설정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B의 시방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제2, 제3 특정예에서, (도 13, 16 참조) 스위치 제어부 16, 펄스 넓이 조정 회로 170, 반복 주파수 조정회로 172 그리고 의무 비율 조정 회로 174는 솔레노이드 동작 구동 회로 10의 커스텀 타입 IC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제1~3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 12C에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외부측으로 부착된 단위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는 단위로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다기관에 외부측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제1~제3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12C 각각에서, 트랜지스터 28, 86 각각은 PNP 타입 트랜지스터이며, MOSFET 110은 개선된 타입의 P 채널 MOSFET이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28, 86 각각이 NPN 타입 트랜지스터 이고 MOSFET 110은 개선된 타입의 N 채널 MOSFET로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배열에서, 양극성을 가지는 펄스 신호가 트랜지스터 28, 86의 기본 단자 30c, 98c이나 MOSFET 110의 게이트 단자 112c에 제공되기 위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0의 요소를 변형할 필요가 있다.
제1~제3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A~12C 각각에서, 다이오드 26는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반대 연결로부터 보호) 스위치 24와 스위치부 18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이오드 26 대신에, 무극의 다이오드 선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는 상기에 언급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제어부로부터 스위치부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공급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또는 전압생성부와 솔레노이드코일 사이의 전기적 접속상태의 시간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즉, 상기 스위치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치부에 상기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스위치부가 온상태가 되면, 상기 전원전압이 제1 전압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인가되고, 그 결과,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큰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단시간에 구동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에 대한 상기 제어신호의 공급을 정지하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변화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전압생성부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대하여, 상기 제1의 전압보다 낮은 제2의 전압이 인가되고, 그 결과,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이 감소하여, 보다 적은 전기에너지의 양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구동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치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부의 온상태 및 오프상태의 시간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전원 또는 상기 전압생성부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양과 상기 제1의 전압 및 상기 제2의 전압의 공급시간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제어부로부터 스위치부에 대하여, 제1 펄스신호 및 제2 펄스신호(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공급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원과 솔레노이드코일 사이의 전기적 접속상태의 시간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즉, 상기 제1 펄스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의 공급시간을 길게 하면, 상기 스위치부의 온상태의 시간이 길어지고, 그 결과,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이 증가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단시간에 구동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펄스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의 공급시간을 짧게 하면, 상기 온상태의 시간이 짧아지고, 그 결과,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공급되는 전기에너 지의 양이 감소하여, 보다 적은 전기에너지의 양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구동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환언하면,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인가하는 제1 및 제2 전압의 전압값이 전원전압의 수준이라도, 상기 제2 전압의 공급시간을 짧게 하는 것에 의해, 적은 전기에너지의 양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구동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치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부에 대한 온상태 및 오프상태의 시간제어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제어부로부터 스위치부에 대하여 제1 펄스신호 및 제2 펄스신호(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전압생성부와 솔레노이드코일 사이의 전기적 접속상태의 시간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기동시에 전원전압보다도 전압값이 큰 전압을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동시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이 증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단시간에 구동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의 전압값이 대략 동일한 전압의 수준이라도, 상기 제2 전압의 공급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적은 전기에너지의 양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구동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부에 대한 상기 제어신호의 공급시간이,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대한 상기 제1 전압 또는 상기 제2 전압의 인가시간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사양에 맞추어 상기 공급시간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기동시간이나 구동시간,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을 흐르는 전류의 값이나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소망하는 값으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은, 도17 및 도18에 나타내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와 비교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의 소비전력을 보다 더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 지는 것과 동시에, 각종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에 대한 범용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상기 스위치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치부에 대한 상기 제어신호의 공급시간을 적당히 변경하면, 상기 스위치부의 온상태의 시간이 변화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콘덴서 및 저항의 충방전시간을 이용한 도18에 나타내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와 비교하여, 정전(停電) 등에 의해 정전상태로 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단시간에 재기동하거나, 또는,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신속하게 구동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영역으로 이행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전압,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의 공급라인에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장치구성이기 때문에, 도18에 나타내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와 비교하여, 장치 전체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 지는 것과 동시에, 열대책이 필요없게 되어 장치 전체의 내구성의 향상과 제조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가 있다.

Claims (19)

  1. 제1전압을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하여 구동하고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가하여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는 전원과 솔레노이드 코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 제어부, 스위치부, 전압발생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발생된 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치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제어신호가 스위치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시간인 온상태에 놓이며, 상기 전원의 전원전압은 온상태의 시간 동안에 솔레노이드 코일에 제1전압으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압발생부는 스위치부가 오프상태인 시간 동안에 전원전압에 근거하여 제2전압을 발생하며, 발생된 제2전압은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제어부가 제어신호로서 전원전압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펄스넓이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단일 펄스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전압발생부가 전원전압을 미리 예정된 전압으로 낮추는 전압조정부와 제2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미리 예정된 전압의 진동을 평탄하게 하기 위하여 평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4. 제1전압을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하여 구동하고 제2전압을 가하여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는 전원과 솔레노이드 코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 제어부,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1 및 제2 펄스신호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발생된 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치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제1펄스 신호가 공급되는 시간 동안에 전원의 전원전압이 솔레노이드 코일에 제1전압으로 가해지며, 한편, 제2 펄스신호가 공급되는 시간 동안에 상기 전원전압을 제2전압으로서 솔레노이드 코일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5. 제1전압을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하여 구동하고 제2전압을 가하여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는 전원과 솔레노이드 코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 제어부, 스위치부, 전압발생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1 및 제2 펄스신호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발생된 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치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압발생부는 전원의 전원전압보다 큰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을 발생하며 발생된 전압은 스위치부로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부는 제1펄스 신호가 공급되는 시간 동안에 더 큰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이 제1전압으로서 솔레노이드 코일에 공급되며, 상기 스위치부는 제1전압과 실제로 동등한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을 제2전압으로서 제2 펄스신호가 공급되는 시간 동안에 솔레노이드 코일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스위치 제어부는 제2펄스 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반복 펄스 발생회로를 더 포함하는데 제2펄스 신호는 제1펄스신호의 펄스 넓이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반복 펄스 발생회로는 제2 펄스신호의 반복 주파수와 제2펄스 신호의 의무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8. 제4항에 있어서,
    스위치 제어부는 제1펄스신호로서 전원전압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펄스 넓이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단일 펄스 발생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펄스 발생회로는 제1펄스 신호의 펄스 넓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의 간헐적 불연속성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 제공된 전원전압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펄스 발생회로는 전원전압의 공급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종료될 때 펄스 신호의 발생을 멈추는 타이머 카운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3. 제1항에 있어서,
    전압 발생부는 전원 교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 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 스위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단자를 가지는 반도체 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요소는 트랜지스터나 MOSFET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16.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제1전압을 가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구동하고, 구동상태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가하여 유지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가 스위치 제어부, 스위치부, 그리고 전압발생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회로는 전원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데, 발생된 제어신호는 상기 스위치부에 공급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스위치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시간 동안에 온상태에 놓이며, 상기 전원의 전원전압이 온상태의 시간 동안에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제1전압으로 발생되며,
    상기 전압발생부는 스위치부가 오프 상태인 시간 동안에 전원전압에 근거를 두고 제2전압을 발생하는데, 상기 발생한 제2전압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7.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제1전압을 가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구동하고, 구동상태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제2전압을 가하여 유지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가 스위치 제어부와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는 전원과 솔레노이드 코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1 및 제2 펄스 신호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데, 발생된 제어신호는 상기 스위치부에 공급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펄스 신호가 공급되는 시간 동안에 상기 전원의 전원전압을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제1전압으로 가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제2펄스 신호가 공급되는 시간 동안에 전원전압을 제2전압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8.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제1전압을 가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구동하고, 구동상태의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제2전압을 가하여 유지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가 스위치 제어부, 스위치부와 전압발생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는 전원과 솔레노이드 코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제1 및 제2 펄스 신호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데, 발생된 제어신호는 상기 스위치부에 공급되며,
    상기 전압발생부는 전원의 전원전압보다 큰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을 발생하며 발생된 전압은 스위치부에 공급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펄스 신호가 공급되는 시간 동안에 더 큰 전압값을 가지는 상기 전압을 제1전압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제2펄스 신호가 공급되는 시간 동안에 제1전압과 실제로 같은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을 제2전압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반복 펄스 발생회로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2펄스신호는 제1펄스 신호보다 적은 펄스넓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KR1020060030304A 2005-04-01 2006-04-03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및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구동시키는 방법 KR100847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6197 2005-04-01
JPJP-P-2005-00106197 2005-04-01
JPJP-P-2006-00070875 2006-03-15
JP2006070875A JP4482913B2 (ja) 2005-04-01 2006-03-15 電磁弁及び電磁弁駆動回路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486A Division KR20080031698A (ko) 2005-04-01 2008-01-15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781A true KR20060106781A (ko) 2006-10-12
KR100847110B1 KR100847110B1 (ko) 2008-07-18

Family

ID=370264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304A KR100847110B1 (ko) 2005-04-01 2006-04-03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및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구동시키는 방법
KR1020080004486A KR20080031698A (ko) 2005-04-01 2008-01-15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486A KR20080031698A (ko) 2005-04-01 2008-01-15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38234B2 (ko)
JP (1) JP4482913B2 (ko)
KR (2) KR100847110B1 (ko)
DE (1) DE102006014276B4 (ko)
TW (1) TWI3073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2481A (ja) * 2007-02-06 2008-08-21 Yazaki Corp リレー制御装置
JP4359855B2 (ja) 2007-07-09 2009-11-11 Smc株式会社 電磁弁駆動回路及び電磁弁
JP4431996B2 (ja) * 2007-07-09 2010-03-17 Smc株式会社 電磁弁駆動回路及び電磁弁
CN101981362B (zh) * 2008-03-31 2013-02-06 株式会社富士金 电磁阀
US20090262479A1 (en) * 2008-04-21 2009-10-22 Tai-Her Yang Electromagnetic actuating device being actuated by high voltage and held electrification by low voltage
US8130482B2 (en) * 2008-04-21 2012-03-06 Tai-Her Yang Electromagnetic actuating device being actuated by AC power and held by DC power
JP5148452B2 (ja) 2008-10-22 2013-02-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ダクタ駆動回路
US9837229B2 (en) * 2011-06-24 2017-12-05 Tavrida Electric Holding A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ircuit breaker operation
US9500190B2 (en) * 2011-07-28 2016-11-22 Motor Components, Llc High pressure solenoid pump
CN102709021B (zh) * 2012-06-18 2014-02-26 广东宝莱特医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铁和电磁阀的控制电路
JP2015124835A (ja) * 2013-12-26 2015-07-06 東ソー株式会社 電磁弁駆動回路
CN106575561A (zh) 2014-08-25 2017-04-19 博格华纳公司 利用残磁进行闩锁以及利用放电电容器来消磁和释放闩锁的闩锁螺线管
DE102014117818B4 (de) * 2014-12-03 2019-01-17 Heinz Gödert Schaltungsanordnung zur Betätigung eines Magnetventils
KR101629581B1 (ko) * 2014-12-15 2016-06-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부스트 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장치
US10295077B2 (en) 2015-03-18 2019-05-21 Automatic Switch Company Assuring dropout of solenoid valve controlled by peak-and-hold driver
US10964467B2 (en) 2015-04-14 2021-03-30 Hanchett Entry Systems, Inc. Solenoid assembly with included constant-current controller circuit
US11424061B2 (en) 2015-04-14 2022-08-23 Hanchett Entry Systems, Inc. Solenoid assembly actuation using resonant frequency current controller circuit
DE102015120658A1 (de) * 2015-11-27 2017-06-0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elektrischen oder elektronischen Schaltelements
JP6588049B2 (ja) * 2017-03-27 2019-10-09 株式会社アルゴシステム 駆動回路、および駆動回路付きの負荷機器
FR3095306B1 (fr) * 2019-04-16 2021-07-02 G Cartier Tech Dispositif de protection par relais electromecanique a consommation reduite, et application aux dispositifs de commande pwm d’actionneurs electriques
JP7122294B2 (ja) * 2019-08-13 2022-08-19 Ckd株式会社 電磁弁マニホールド
DE102021204276A1 (de) 2021-04-29 2022-11-0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chalt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Dosierventils sowie landwirtschaftliche 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6135A (en) * 1984-04-24 1986-03-18 Trw Inc. Fuel injection apparatus employing electric power converter
JPS6249085A (ja) 1985-08-28 1987-03-03 Yuken Kogyo Kk 電流信号操作電磁弁
DE3920064A1 (de) 1989-06-20 1991-01-03 Bosch Gmbh Robert Schaltungsanordnung zum betrieb von elektromagnetischen verbrauchern
JPH03177668A (ja) 1989-12-07 1991-08-01 Nec Corp ソレノイド駆動装置
JP2904973B2 (ja) 1991-10-28 1999-06-14 株式会社東芝 電気機器の制御装置
US5381297A (en) 1993-06-18 1995-01-10 Siemens Automotive L.P.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high speed solenoid actuated devices
JP3555176B2 (ja) * 1994-06-07 2004-08-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イレ装置
US5818678A (en) * 1997-10-09 1998-10-06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Tri-state control apparatus for a solenoid having on off and PWM control modes
JP3777265B2 (ja) * 1999-01-07 2006-05-2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電磁弁
EP1109178A3 (de) * 1999-12-16 2002-04-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Schalten einer induktiven Last
DE19963154B4 (de) * 1999-12-24 2009-10-08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zur Vorgabe des Stroms durch ein induktives Bauteil
AU771141B2 (en) * 2000-02-16 2004-03-11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 solenoid valve
DE10235297B3 (de) * 2002-08-02 2004-02-19 Moeller Gmbh Steueranordnung für einen elektromagnetischen Antrieb
KR20040052371A (ko) 2002-12-16 2004-06-23 주식회사 만도 비례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KR20050028160A (ko) 2003-09-17 2005-03-2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저전력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US7340138B1 (en) * 2007-01-25 2008-03-04 Furukawa Electric North America, Inc. Optical fiber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connecting dissimilar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7390B (en) 2009-03-11
DE102006014276A1 (de) 2006-10-12
TW200636178A (en) 2006-10-16
US20060221534A1 (en) 2006-10-05
JP2006308082A (ja) 2006-11-09
KR100847110B1 (ko) 2008-07-18
JP4482913B2 (ja) 2010-06-16
US7738234B2 (en) 2010-06-15
DE102006014276B4 (de) 2021-02-18
KR20080031698A (ko)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110B1 (ko)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구동 회로 및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구동시키는 방법
JP5023252B2 (ja) 電磁弁及び電磁弁駆動回路
KR101015454B1 (ko)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회로 및 솔레노이드 밸브
US7170762B2 (en) Low voltage DC-DC converter
EP2016801B1 (en) Circuit and methodology for supplying pulsed current to a load,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US20180004238A1 (en) Gate boosting circuit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power stage
JP2007024281A (ja) 電磁弁駆動制御装置
JP2007520190A (ja) ブートストラップ・キャパシタのリフレッシュ回路
US20120299569A1 (en) Constant On-Time Switching Regulator Implementing Light Load Control
US20080197904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Switching a Load
JP2010220196A (ja) スイッチング出力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
CN100386937C (zh) 电源电路及其电源供给控制方法
JP7157581B2 (ja) パルス制御装置
WO2013042020A1 (en) Led driver
JPH0379809B2 (ko)
US20090237856A1 (en) Solenoid valve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solenoid valve
JP5605263B2 (ja) 負荷駆動装置
JP2018031294A (ja) 電磁弁駆動装置
US7164570B2 (en) Excitation control circuit for intermittently bypassing return current
KR100696563B1 (ko) 전원 공급 장치
US6791375B2 (en) Method and circuit for switching source modulation frequency
JP6365424B2 (ja) ブートストラップ・プリドライバ
US8004318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high side CMOS transistor in a high voltage deep sub micron process
US9866101B2 (en) Auxiliary power supply for a control circuit of a switching regulator
JP5271864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