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759A -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759A
KR20060104759A KR1020050027173A KR20050027173A KR20060104759A KR 20060104759 A KR20060104759 A KR 20060104759A KR 1020050027173 A KR1020050027173 A KR 1020050027173A KR 20050027173 A KR20050027173 A KR 20050027173A KR 20060104759 A KR20060104759 A KR 20060104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line
spot exchange
spot
terminal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중희
박기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콘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콘랩
Priority to KR1020050027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4759A/ko
Priority to JP2006096656A priority patent/JP2006285998A/ja
Priority to US11/395,789 priority patent/US20060224453A1/en
Publication of KR2006010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14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 E06B3/6631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of rubb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1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with special structural provisions for holding drying agents, e.g. packed in special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5Avoiding frau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6Incentive or reward received by requiring registration or ID from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55Extru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상으로 현물교환권을 발행하고 이를 가맹점에서 이용하여 현물교환권에 상응하는 실질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온라인 서비스에 등록되고,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해서만 교환 또는 구매가 가능한 현물교환권의 구매가 가능한 제1 단말기; 제1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받으며 통신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 온라인 상으로 현물교환권의 발행 서비스를 제공하며 통신망을 통하여 제1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와 연동되고, 발행된 현물교환권에 대한 각종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된 현물교환권 서버; 제2 단말기로 수신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와 연동되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한 후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해당되는 특정 현물을 지급하는 가맹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온라인, 현물교환권, 구매, 실거래, 휴대단말기, 전화번호, 인증

Description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Buying system of goods using inline commodity-ticket and method of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을 도시한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을 도시한 다른 실시예,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현물교환권 서버를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거래 상품을 구매하기 전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는 방법을 도시한 절차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절차의 세부적인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구매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이용하여 실거래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절차에 의해 거래발생시 디스플레이되는 유저 화면의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구매자 2;현물교환권 발행 사업자
3;가맹점 4;수신자
10;단말기 20;현물교환권 서버
30;통신망 40;가맹점 통신단말기
50,70;제1 및 제2 단말기 60;네트워크
21;로그인 정보 DB 22;단말기 정보 DB
23;현물교환권 정보 DB 24;구매 정보 DB
25;인증 처리 모듈 26;현물교환권 전송 모듈
27;구매 처리 모듈
본 발명은 온라인 상품권을 통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현물에 대한 교환 및 구입이 가능한 현물교환권을 온라인 상으로 발행하고 이를 가맹점에서 이용하여 현물교환권에 상응하는 실질 상품을 제공 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권은 오프라인 상에서 거래되지만,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상품권에도 전자 현물교환권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38899호 '에이티엠을 이용한 현물교환권/복권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에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ic Teller Machine;ATM)를 이용하여 상품권/복권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48202호 '피오에스 기기를 이용한 복권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에는 판매시점관리기(Point Of Sales;POS)를 이용하여 복권을 인쇄 출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ATM이나 POS는 상품권이나 복권을 종이 재질로 인쇄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쇄물의 보관이 불편하고, 더욱이 상품권이나 복원은 구매자에게만 출력되기 때문에 제3자에게 상품권이나 복권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구매자가 직접 상품권이나 복권을 출력하여 전달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ATM의 경우에는 구매자가 상품권을 구매하기 위해 신용카드나 현금카드 등을 소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정 상품에 대해서만 교환 및 구입이 가능한 현물교환권을 온라인 상으로 구매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전송받은 사용자는 해당 가맹점에서 인증을 받아 특정 현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현금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온라인 상품권과는 달리 새로운 개념의 실거래 운용을 가능케 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및 이의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라인을 통해 현물교환권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무선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라면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으며, 온라인 상으로 발행된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을 거친 다음에 특정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현물교환권의 도용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별도의 장치없이 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손쉽게 인증을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입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에 대해서만 교환 또는 구매가 가능하도록 지정하여 구매자 또는 고객들의 기대감을 부여함으로써 지급되는 상품에 대한 만족감을 극대화시키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은, 온라인 서비스에 등록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해서만 교환 또는 구매가 가능한 현물교환권의 구매가 가능한 제1 단말기;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받으며 통신이 가능 한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 상기 온라인 상으로 현물교환권의 발행 서비스를 제공하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와 연동되고, 상기 발행된 현물교환권에 대한 각종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된 현물교환권 서버; 상기 제2 단말기로 수신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해당되는 특정 현물을 지급하는 가맹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온라인 서비스는 홈페이지를 통한 커뮤니티, 1인 미디어 서비스, 메신저 서비스, 포탈 서비스이고,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구매는 상기 각 구매자가 상기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머니, 신용카드,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중 어느 하나의 결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무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는 유무선 단말기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무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는 상기 가맹점의 정보와, 상기 제1 및 제2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 사용자의 아이디 및 사이버머니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특정 현물에 대한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발행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번호, 거래상품, 거래대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현물교환권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가맹점의 통신단말기로부터 해당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현물교환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 모듈과, 상기 인증 처리 모듈과 연계되어, 해당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발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현물교환권 전송 모듈과, 상기 인증 처리 모듈과 연계되어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 여부에 따라 각 가맹점의 상품 구매를 처리하는 구매 처리 모듈, 및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소유자 확인을 위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고유 비밀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사용자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사용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로그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 구매 방법은, 이미 온라인 서비스에 등록된 구매자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상으로 특정 상품에 대해서만 교환 및 구입이 가능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는 제1단계; 상기 구매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현물교환권 서버에 등록한 후, 상기 등록된 현물교환권에 상응하는 특정 현물의 내역 정보를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제2단계; 상기 구매자가 상기 등록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3단계; 상기 구매자 본인 또는 상기 구매자로부터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받은 다른 사용자가 가맹점에 방문하여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는 제4단계; 상기 유효 여부 확인 결과,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면 상기 가맹점이 해당 특정 현물을 지급하는 제5단계; 상기 특정 현물을 지급 후,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 결과 정보 및 사용 정보를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에 전송하여 갱신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구매자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는 경우,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이벤트 또는 경품을 통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거나, 또는 상기 온라인 서비스와 연계된 웹사이트에서 각 구매자별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머니, 신용카드, 핸드폰 결제를 통해 직접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구매자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에 이미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매자가 본인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시,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자 본인 또는 사용자에게 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부여된 인증번호를 푸쉬(push) 형태로 전송하거나,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전송여부는 푸쉬 형태로 전송하고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번호는 풀(pull) 형태로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 확인은 상기 구매자 본인 또는 사용자에게 전송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번호 및 상기 현 물교환권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인증번호 정보의 일치 여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 번호가 일치한 경우에는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은 현물교환권 서버에 1회 인증되어 사용된 것으로 갱신되어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로부터 해당 가맹점으로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1회 인증 후, 동일한 인증 번호가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로 전송되는 경우 인증 실패 메시지를 해당 가맹점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단계에서 가맹점은 통신단말기를 통해 해당 특정 현물에 대한 거래 금액을 마이너스시켜 청구금액을 '0원'으로 구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신단말기는 POS 또는 VAN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을 도시한 실시예들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현물교환권 서버를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참고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되는 도면 부호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 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은 구매자(1)와 현물교환권 발행 사업자(2), 가맹점(3), 및 수신자(4)를 포함하여 상호 연계된다. 그리고, 현물교환권 발행 사업자(2)와 가맹점(3)간 통신을 위하여 통신 사업자 서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1)라 함은 온라인 상으로 현물교환권을 구매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고, 현물교환권 발행 사업자(2)는 온라인 상으로 현물교환권을 발행하고 이를 서버를 통해 운용하는 사업자이며, 가맹점(3)은 현물교환권 발행 사업자(2)간 소정 계약을 맺어 현물교환권에 상응하는 특정 상품을 지급하는 상점이고, 수신자(4)는 온라인 상으로 구매한 현물교환권을 구매자(1)로부터 수신받은 사람을 말한다.
그리고, 온라인 현물교환권은 가맹점간 소정 계약에 따라 지정된 특정 상품에 대해서만 교환 또는 구매가 가능한 상품권으로, 이를 테면 세탁기나 전제렌즈와 같은 가전제품, 생활용품 등 지정된 특정 현물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권, 특정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무료이용권, 특정 음식을 시식할 수 있는 시식권, 미용실이나 피부 관리업체에서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파마, 염색, 마사지 등)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용권 등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해당 특정 상품은 가전제품이나 생활용품 등과 같이 현물이나, 음식, 파마나 마사지 등의 서비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1)가 소정 웹페이지를 통한 커뮤니티, 1인 미디어, 메신저, 포탈 등의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경품 응모를 하거나 또는 온라인 서비스와 연계된 웹 사이트를 통해 직접 구입하는 방식으로 현물교환권의 구매를 요청(①)하면, 현 물교환권 발행 사업자(2)에게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발행을 요청한다.
그러면, 현물교환권 발행 사업자(2)는 구매자(1)에게 현물교환권에 대한 결제를 요구한 후 온라인 상으로 현물교환권을 발행한다(②).
이와 같이 온라인 상으로 발행된 현물교환권(이하, '온라인 현물교환권'이라 칭함)은 구매자(1)가 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직접 구입함으로써 구매자 본인에게 제공(③)할 수 있고, 또는 구매자(1)가 온라인 상에서 선물하는 방식으로 구매자 본인 이외의 수신자(4)에게 전송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에게도 제공(④)할 수가 있다. 즉, 온라인을 통하여 구매자(1)와 수신자(4)간 현물교환권의 전송이 가능하다.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제공받은 구매자(1) 혹은 수신자(4)는 가맹점(3)에 방문하여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해당되는 실질 상품을 구매하도록 요청(⑤,⑨)하고, 가맹점(3)은 현물교환권 발행 사업자(2)에게 구매자(1) 혹은 수신자(4)가 제시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를 확인(⑥)한 후, 현물교환권 발행 사업자(2)로부터 승인(⑦)을 받으면 해당 구매자(1) 혹은 수신자(4)에게 해당 실질 상품을 지급(⑧,⑩)한다.
이때, 현물교환권 발행 사업자(2)와 가맹점(3)간 통신을 위하여 VAN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VAN 사업자 서버를 더 포함하여 연동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은 구매자(1)와 수신자(4)의 주체에 따라 하기의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두 가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1)와 수신자(4)의 주체가 동일하여 수 신자(4)가 구매자 본인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10)와, 복수의 단말기(10)간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발행하는 현물교환권 서버(20), 통신망(30)을 통해 현물교환권 서버(20)와 연동되는 복수의 가맹점 통신단말기(4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기(10)는 현물교환권 서버(20)와 통신이 가능한 PC나 노트북,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유무선단말기로서, 단말기(10)를 소지한 구매자(1)가 현물교환권 서버(20)로부터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여 해당 가맹점(3)에서 직접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더욱이,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사용 및 소지의 편이를 위해 휴대 가능한 무선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매자(1)가 단말기(10)를 통하여 현물교환권 서버(20)에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발행을 요청하고, 결제 후 구매자(1) 본인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받아 사용하는 방식이다.
한편, 구매자(1)와 수신자(4)의 주체가 다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50)와, 네트워크(60)를 통해 제1 단말기(50)와 연동되는 제2 단말기(70), 네트워크(60)를 통해 제1 및 제2 단말기(50,70)와 연동되는 현물교환권 서버(20), 통신망(30)을 통해 현물교환권 서버(20)와 연동되는 복수의 가맹점 통신단말기(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단말기(50,70)는 네트워크(60)를 통하여 상호 통신이 가능하고 현물교환권 서버(20)와 연동될 수 있는 PC나 노트북,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유무선단말기로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이때, 제1 단말기(50)는 구매자 (1) 측이며 제2 단말기(70)는 수신자(4) 측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50)는 PC이고 제2 단말기(70)는 휴대단말기이면, PC에서 미니홈피/메신저를 통해 해당 제2 단말기(70)로 선물하기를 선택함으로써 휴대단말기로 현물교환권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50)를 소지한 구매자(1)가 현물교환권 서버(20)에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발행을 요청하고, 결제 후 발행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수신자(4)의 제2 단말기(70)로 전송하여 수신자(7)에게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단말기(50,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사용 및 소지의 편이를 위해 휴대 가능한 무선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단말기(70)는 복수개일로 다중 통신을 통해 제1 단말기(50)로부터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1 단말기(50)로부터 수신받은 온라인 현물교환권은 복수의 가맹점 통신단말기(4)에서 인증을 거친 후에야 사용 가능하다.
한편, 구매자(1)는 소정 웹페이지를 통한 커뮤니티 서비스, 1인 미디어, 메신저 서비스, 포탈 서비스 등에 이미 가입하여 해당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경품 응모를 통한 당첨으로 현물교환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또는 온라인 서비스와 연계된 일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선택적으로 직접 구매할 수 있다.
예컨대,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판매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였을 경우, 해당 웹 사이트는 취급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목록과 특정 상품에 상응하는 각 현물교환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구매자가 용이하게 선택함에 따라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현물교환권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웹 사이트를 통해 구매자가 직접 구매하는 경우에는 각 구매자별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머니나 포인트의 사용, 신용카드 또는 핸드폰 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이용한다.
그리고, 현물교환권 서버(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 정보 DB(21)와, 단말기 정보 DB(22), 현물교환권 정보 DB(23), 구매 정보 DB(24), 인증 처리 모듈(25), 현물교환권 전송 모듈(26), 및 구매 처리 모듈(27)로 구성된다.
로그인 정보 DB(21)는 가맹점(3)에서 온라인 현물교환권으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고유 비밀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현물교환권 서버(20)로부터 발행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소유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맹점(3)에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이용시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유 비밀번호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현물교환권 서버(20)에 접속하여 등록해 놓을 수도 있고,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달받은 후 단말기(10) 또는 제1 및 제2 단말기(50,70)를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단말기 정보 DB(22)는 각 가맹점에서의 통신단말기 정보와, 현물교환권 서버(20)를 통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고 구매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수신받는 사용자의 단말기(10) 또는 제1 및 제2 단말기(50,70)에 대한 각종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다. 여기서의 '각종 정보'라 함은 단말기(10) 또는 제1 및 제2 단말기(50,70)에 대한 전화번호와 사용자의 아이디, 사이버머니가 포함된 정보로, 단말 기(10) 또는 제1 및 제2 단말기(50,70)로부터 아이디가 입력되면 해당 전화번호로 변환되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온라인 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정보 DB(22)는 현물교환권 서버(20)를 통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는 구매자 정보(22a)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자(1)로부터 수신받는 수신자 정보(22b), 각 가맹점 정보(22c)로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으며, 수신자 정보(22b) 및 수신자측의 제2 단말기 정보는 선택적으로 등록이 가능하다.
현물교환권 정보 DB(23)는 각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23a)를 포함하여 온라인 상으로 발행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번호, 거래상품, 거래대금, 거래 가맹점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발행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이 특정 극장에서 특정 시간에 상영되는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영화티켓이라면, 특정 상품 정보(23a)에는 특정 영화에 대한 상영시간과 상영 극장 및 제목 등에 대한 정보가 이미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고, 이를 기초로 하여 현물교환권의 각 인증번호와, 거래 가맹점으로 지정된 상영 극장, 거래 상품으로 지정된 특정 영화의 제목, 및 상영 시간 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구매 정보 DB(24)는 사용자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각종 정보가 포함된다.
인증 처리 모듈(25)은 가맹점(3)에서 이용 가능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가맹점 통신단말기(40)로부터 소정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현물교환권 정보 DB(23)에 저 장된 정보과 비교 판단하여 수신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저장된 경우에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사용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시 로그인 정보 DB(21)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인증 여부를 처리한다.
현물교환권 전송 모듈(26)은 전술한 인증 처리 모듈(25)과 연계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발행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수신자측의 단말기(10) 또는 제2 단말기(70)로 전송함으로써 구매자 본인이나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구매 처리 모듈(27)은 전술한 인증 처리 모듈(25)과 연계되어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 여부에 따라 각 가맹점(3)의 상품 구매를 처리하는데, 인증 성공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구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구매 정보 DB(24)에 저장하여 갱신하고, 구매 완료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 결과와 구매 정보(이를 테면,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거래 상품, 거래 대금, 거래 가맹점 정보 등)를 가맹점 통신단말기(4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전송한다.
한편, 가맹점 통신단말기(40)는 각 가맹점(3)에 설치되어 현물교환권 서버(20)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VAN 단말기이나 피씨(PC), 판매시점관리기(POS), 휴대 단말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맹점 통신단말기(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현물교환권 서버(20)와 연계되어, 사용자로부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이를 현물교환권 서버(20)에 전달하고, 현물교환권 서버(20)로부터 해당 인증번호에 대한 인증 결과를 전송받아 가맹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현물교환권 서버(20)로부터 이미 데이터베이스화된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 목록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각 가맹점에서 취급하고 있는 특정 상품과 이의 현물교환권에 대한 정보를 미리 등록시킬 수도 있다.
즉,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소지한 사용자(구매자 또는 수신자)가 가맹점(3)을 방문하여 본인이 수신받은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번호를 가맹점(3)의 담당자에게 보여주면, 담당자가 인증번호를 가맹점 통신단말기(40)를 통해 입력하여 현물교환권 서버(20)로 전달하고, 현물교환권 서버(20)는 전달받은 인증번호를 현물교환권 정보 DB(23)에 이미 저장된 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인증 과정을 거친 다음 이에 따른 인증 결과 및 해당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회신한다. 이때,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거래상품, 거래대금 등 확인 가능한 기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통신단말기(40)에 대한 로그오프 기능이 설정된 경우 현물교환권 서버(20)는 가맹점 통신단말기(40)의 비밀번호까지 입력된 후 인증 결과 및 해당 상품 정보를 회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홈페이지와 같은 커뮤니티나, 1인 미디어 서비스, 또는 메신져 등의 온라인 서비스 사용시 경품이나 사이버머니 등으로 구매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는 이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은 후 각 가맹점에서 인증을 받아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해당되는 실질 상품을 가맹점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존의 온라인 상품, 즉 아바타용 의류나 배경화면, 배경음악 등을 구매하여 선물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현물을 교환 또는 구매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없이 손쉽게 무선단말을 통하여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인증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해서만 교환 또는 구매가 가능하도록 지정함으로써 사용자들의 기대감을 부여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거래가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이용하여 실질 상품을 구매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거래 상품을 구매하기 전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는 방법을 도시한 절차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절차의 세부적인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구매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이용하여 실거래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절차에 의해 거래발생시 디스플레이되는 유저 화면의 예이다.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구매 및 등록 단계>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구매자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해서만 교환 및 구입이 가능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한다(S1).
이때, 구매자는 커뮤니티 또는 1인 미디어 서비스, 또는 메신져 등의 온라인 서비스에 이미 등록되어, 각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이벤트 또는 경품 응모에 참여함에 따라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거나, 또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각 구매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머니, 신용카드, 및 핸드폰 결제 등을 통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할 수 있다.
각 구매자별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머니를 이용하여 구매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상응하는 사이버머니가 차감되어 결제가 이루어지고, 신용카드나 핸드폰을 이용하여 구매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결제시스템과 연동되어 요금이 지불되는 방식으로 결제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구매자는 구매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해당되는 상품 구매의 권리가 부여되는데, 이를 등록하기 위하여 현물교환권 서버에 접속하여 구매자의 단말기 및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S2,S3).
등록 후, 구매자는 현물교환권 서버로부터 구매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해당되는 특정 현물의 내역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받아 이를 확인한다(S4).
이어, 해당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유저 화면상에서 전달 버튼을 클릭하거나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해당되는 아이콘 혹은 이모티콘을 드래그하는 등의 방법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지급하는 한편, 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료한다(S4~S6).
이때, 다른 사용자라 함은 구매자가 구매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본인이 직 접 전송받기 위한 구매자 본인이 될 수 있고, 타인에게 선물하는 방식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자가 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달하고자 하는 주체가 구매자 본인인지 확인하여 본인이면 구매시 구매자의 단말기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단말기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하고, 본인이 아니면 다른 수신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1~S53).
전달하고자 하는 주체가 본인 외의 다른 수신자이면 수신자의 단말기 정보(전화번호)를 별도로 입력하여 해당 단말기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함으로써 수신자에게 지급한다(S54~S56). 이 경우, 수신자의 단말기 정보가 이미 온라인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온라인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아이디 등을 입력받아 전화번호로 변환한 후 전송되고, 온라인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달받을 때 콜-백 에스엠에스(call-back SMS) 등의 방법으로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아이디를 바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수신자측은 회원 가입의 제약이 없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시 현물교환권 서버로부터 부여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 번호를 SMS 또는 MMS 등 푸쉬(push) 형태로 해당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전송여부는 푸쉬 형태로 전송하고 이에 해당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번호는 코드나 넘버 입력, URL 직접 입력을 통해 풀(pull) 형태로 확인이 가능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부가로,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설명, 선물한 사람의 정보, 가맹점 정보 등도 전달될 수 있다.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 및 실거래 상품 구매 단계>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과정을 통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 및 등록 완료한 사용자(구매자 또는 수신자)가 소정 가맹점에 방문하여 본인이 수신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 번호를 가맹점의 담당자에게 보여준다(S70).
이어, 담당자가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 번호를 VAN 단말기나 PC, POS, 휴대단말기와 같이 통신이 가능한 가맹점 통신단말기에 입력하면 가맹점 통신단말기는 현물교환권 서버로 전달하여, 가맹점 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번호와 현물교환권 서버에 이미 저장된 인증 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인증이 이루어진다(S71~S73).
인증 결과, 성공하면 '인증 성공'이라는 승인 결과를 가맹점 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실패하면 '인증 실패'라는 안내메시지 정보를 전송하여 이를 확인한 후 종료한다(S74,S79).
그리고, 승인 결과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해당되는 특정 현물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가맹점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승인 결과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75,S76). 일 실시예로, 온라인 현물교환권이 '2만원 상당의 ***피자 무료 시식권'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현물교환권이 승인된 가맹점의 통신단말기 번호가 'XXX-XXXX'이고, 승인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 번호는 '01FG79PH2'이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거래 상품 구분은 '***피자 무료 시식'이고, 거래 대금은 '\20,000'이며,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으로 승인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알린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한 후, 가맹점에서는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현물에 대한 청구 금액이 '0원'이 되도록 가맹점에 설치된 판매시점관리기(POS)나 VAN 단말기와 같은 통신단말기를 통해 거래 금액을 마이너스시키거나 또는 지불된 것으로 구분하여 처리한 다음, 사용자에게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해당되는 특정 현물을 지급한다(S77).
이는 추후에 판매된 실질 상품에 대한 결산 및 통계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가맹점은 인증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정보를 현물교환권 서버에 전송하여 특정 현물이 거래되었음을 알리고, 현물교환원 서버는 이를 갱신하여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사용을 1회로 한정한다(S77,S78). 즉, 온라인 현물교환권이 1회 인증되면 현물교환권 서버에서 인증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이 사용된 것으로 기록하고, 추후에 동일한 인증 번호가 전송되었을 경우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도용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대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하였으나, 이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현물에 대해서만 교환 및 구입이 가능한 현물교환권을 온라인 상으로 구매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전송받은 사용자는 해당 가맹점에서 인증을 받아 특정 현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현금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온라인 상품권과는 달리 새로운 개념의 실거래 운용을 가능케 하며, 현물교환권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무선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라면 누구나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온라인 상으로 발행된 현물교환권의 유효성을 인증하고 인증된 현물교환권에 상응하는 특정 현물을 구매하도록 함으로써 현물교환권의 도용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별도의 장치없이 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손쉽게 인증을 받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현물에 대해서만 교환 또는 구매가 가능하도록 지정하여 구매자 또는 고객들의 기대감을 부여함으로써 만족감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온라인 서비스에 등록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해서만 교환 또는 구매가 가능한 현물교환권의 구매가 가능한 제1 단말기;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받으며 통신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
    상기 온라인 상으로 현물교환권의 발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발행된 현물교환권에 대한 각종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와 연동되는 현물교환권 서버;
    상기 제2 단말기로 수신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해당되는 특정 현물을 지급하는 가맹점;
    을 포함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는 홈페이지를 통한 커뮤니티, 1인 미디어 서비스, 메신저 서비스, 포탈 서비스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구매는 상기 각 구매자가 상기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머니, 신용카드,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중 어느 하나의 결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무선단말기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유무선 단말기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무선단말기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로 전송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은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는
    상기 가맹점의 정보와, 상기 제1 및 제2 단말기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아이디 및 사이버머니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특정 현물에 대한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발행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번호, 거래상품, 거래대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현물교환권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가맹점의 통신단말기로부터 해당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현물교환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 모듈,
    상기 인증 처리 모듈과 연계되어, 해당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발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현물교환권 전송 모듈,
    상기 인증 처리 모듈과 연계되어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 여부에 따라 각 가맹점의 상품 구매를 처리하는 구매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는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소유자 확인을 위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고유 비밀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사용자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사용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로그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와 상기 가맹점간 VAN망을 통해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VAN 사업자 서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거래가 가능한 시스템.
  10. 이미 온라인 서비스에 등록된 구매자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상으로 특정 상품에 대해서만 교환 및 구입이 가능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는 제1단계;
    상기 구매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현물교환권 서버에 등록한 후, 상기 등록된 현물교환권에 상응하는 특정 현물의 내역 정보를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제2단계;
    상기 구매자가 상기 등록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것 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3단계;
    상기 구매자 본인 또는 상기 구매자로부터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받은 다른 사용자가 가맹점에 방문하여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는 제4단계;
    상기 유효 여부 확인 결과,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면 상기 가맹점이 해당 특정 현물을 지급하는 제5단계;
    상기 특정 현물을 지급 후,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 결과 정보 및 사용 정보를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에 전송하여 갱신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 구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구매자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구매하는 경우,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경품 응모를 통해 구매하거나, 또는 상기 온라인 서비스와 연계되는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각 구매자별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머니, 신용카드, 핸드폰 결제를 통해 직접 구매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 구매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구매자가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에 이미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 구매 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가 본인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전송시,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자 본인 또는 사용자에게 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부여된 인증번호를 푸쉬(push) 형태로 전송하거나,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전송여부는 푸쉬 형태로 전송하고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에 대한 인증번호는 풀(pull) 형태로 확인이 가능한,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 구매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유효 여부 확인은 상기 구매자 본인 또는 사용자에게 전송된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번호 및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인증번호 정보의 일치 여부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 구매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권의 인증 번호가 일치한 경우, 상기 온라인 현물교환 권은 현물교환권 서버에 1회 인증되어 사용된 것으로 갱신되어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로부터 해당 가맹점으로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1회 인증 후, 동일한 인증 번호가 상기 현물교환권 서버로 전송되는 경우 인증 실패 메시지를 해당 가맹점으로 전송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 구매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가맹점은 통신단말기를 통해 해당 특정 현물에 대한 거래 금액을 마이너스시켜 청구금액을 '0원'으로 구분 처리하는,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 구매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POS 또는 VAN 단말기인,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 구매 방법.
KR1020050027173A 2005-03-31 2005-03-31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060104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173A KR20060104759A (ko) 2005-03-31 2005-03-31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2006096656A JP2006285998A (ja) 2005-03-31 2006-03-31 オンライン現物引換券を利用した実取引商品の購入が可能な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US11/395,789 US20060224453A1 (en) 2005-03-31 2006-03-31 Goods purchasing system and method using online commodity coup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173A KR20060104759A (ko) 2005-03-31 2005-03-31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759A true KR20060104759A (ko) 2006-10-09

Family

ID=3707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173A KR20060104759A (ko) 2005-03-31 2005-03-31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24453A1 (ko)
JP (1) JP2006285998A (ko)
KR (1) KR200601047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731A1 (ko) * 2014-11-07 2016-05-12 주식회사 카카오 이벤트 권리의 승인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41B1 (ko) * 2006-11-15 2008-06-13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온라인 쿠폰유통방법
US20080228566A1 (en) * 2007-03-15 2008-09-18 Microsoft Corporation Processing coupons with payments
US20080228567A1 (en) * 2007-03-16 2008-09-18 Microsoft Corporation Online coupon wallet
EP2267671A1 (en) * 2008-03-31 2010-12-29 Japan Tobacco, Inc. Franchise add-on system and user operation terminal and manufacturer management device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s for the user operation terminal and manufacturer management device
KR101017159B1 (ko) * 2009-03-02 2011-02-25 주식회사 이베이지마켓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6127246B2 (ja) * 2012-12-13 2017-05-17 キズナジャパン株式会社 物々交換をクーポンを介して現金化するクーポン流通仲介システムおよびクーポン流通仲介装置
KR101613278B1 (ko) * 2015-08-18 2016-04-19 김영덕 증강 현실 기반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6331172B2 (ja) * 2017-03-03 2018-05-30 キズナジャパン株式会社 物々交換をクーポンを介して現金化するクーポン流通仲介システムおよびクーポン流通仲介装置
JP6496437B2 (ja) * 2018-04-12 2019-04-03 キズナジャパン株式会社 物々交換をクーポンを介して現金化するクーポン流通仲介システムおよびクーポン流通仲介装置
JP6681088B2 (ja) * 2019-03-11 2020-04-15 キズナジャパン株式会社 物々交換をクーポンを介して現金化するクーポン流通仲介システムおよびクーポン流通仲介装置
JP6975887B1 (ja) * 2020-07-09 2021-1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0347A1 (en) * 1997-06-16 2006-08-24 Vincent Cuervo System and process for sales, validation, rewards and delivery of prepaid debit cards
US20020174016A1 (en) * 1997-06-16 2002-11-21 Vincent Cuervo Multiple accounts and purposes card method and system
JP2004280851A (ja) * 1999-02-18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電子バリュー提供方法
JP2002032723A (ja) * 2000-07-13 2002-01-31 Sharp Corp 端末装置、情報サービス装置、pos端末、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情報サービス物流システム
JP2002157542A (ja) * 2000-09-05 2002-05-31 I-Wave Associates Co Ltd 電子取引方法及び電子取引システ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2002157610A (ja) * 2000-11-21 2002-05-31 Sharp Corp 電子チケット配分及び登録システム及び配分登録システム及び配分登録プログラム
JP2002163590A (ja) * 2000-11-28 2002-06-07 Sony Corp 代行システム、代行方法、サービス代行サーバ、事業者サーバ、記録媒体
JP2002269279A (ja) * 2001-03-13 2002-09-20 Mitsunobu Ueda オンラインチケットの譲渡管理方法、およびその管理サーバシステム
JP2003233761A (ja) * 2001-11-19 2003-08-22 Sega Corp ネットワークサーバ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及び情報端末装置
JP2004038636A (ja) * 2002-07-04 2004-02-05 Hitachi Software Eng Co Ltd 予約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87690A (ko) * 2003-04-07 2004-10-15 주식회사 씨크롭 지문정보를 이용한 신용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05011239A (ja) * 2003-06-20 2005-01-13 Ntt Docomo Inc チケット授受システム、チケット確認装置、及びチケット授受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731A1 (ko) * 2014-11-07 2016-05-12 주식회사 카카오 이벤트 권리의 승인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24453A1 (en) 2006-10-05
JP2006285998A (ja)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4759A (ko) 온라인 현물교환권을 통한 실거래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7580864B2 (en) Method for circulat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online and offline system
KR101872423B1 (ko) 비트코인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10825016B2 (en) Electronic bearer bond online transaction and card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306227B2 (ja) 電子マネー送金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US20090182674A1 (en) Facilitating financial transactions with a network device
JP2022546001A (ja) 暗号通貨を活かした電子金融取引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決済方法
JPWO2018047982A1 (ja) コード情報を活用した決済方法、決済システム
KR2000003748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한 상품권 판매 및 결제 방법 및시스템
KR100401459B1 (ko) 오프 라인 구매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63726A (ko) 전자상품권의 구매/수령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에 따른방법
KR20010084957A (ko) 오프라인상에서 판매하되, 온라인상에서 사용하는상품권의 제작 및 운영 방법.
KR100897498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통합형 금융 서비스 시스템
JP2004062545A (ja) 有価価値情報の管理方法及び管理システム並びに有価価値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0485759B1 (ko) 메신저 기능을 이용한 대금지불 인증 방법
KR20090076316A (ko) 모바일 가상머신 상품권 유통관리시스템 및 가상머신상품권을 이용한 결제방법
JP2022122507A (ja) 決済処理方法
KR20020019041A (ko) 결제 시스템 및 서버 장치
KR101172872B1 (ko) 인증 번호를 활용한 안전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69992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직접 결제 방법,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모바일 카드결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카드결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공방법
KR20140069765A (ko) 온라인 복권 판매 관리 시스템
JP2002032572A (ja) 認証システムと認証方法及び決済システム
CN106991566A (zh) 一种在线交互数据处理系统
KR100831542B1 (ko) 인터넷을 통한 원스톱 자금이체 서비스 방법
KR100700128B1 (ko) Pc방을 이용한 전자적 지불 수단의 판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