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438A - 승객 컨베이어의 스텝 롤러 상승 제지 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의 스텝 롤러 상승 제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438A
KR20060103438A KR1020067010285A KR20067010285A KR20060103438A KR 20060103438 A KR20060103438 A KR 20060103438A KR 1020067010285 A KR1020067010285 A KR 1020067010285A KR 20067010285 A KR20067010285 A KR 20067010285A KR 20060103438 A KR20060103438 A KR 20060103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ssenger conveyor
track
elastic member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6720B1 (ko
Inventor
레이너 슈미트
안드레아스 스투펠
김정락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60103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2)는, 순환 경로의 경사부(6), 제1 및 제2 선회부(8) 및 복귀부(5)에 걸쳐서 뻗고, 스텝 롤러(18)를 포함하고 스텝 체인(12)에 연결되어 상기 스텝 체인(12)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스텝(10)을 포함하는 순환 컨베이어 밴드(4)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밴드(4)의 경로를 따라 뻗고 상기 스텝 롤러(18)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및 외부 레일(24, 22)을 가지며 상기 스텝 롤러(18)를 안내하는 스텝 롤러 트랙(20)과,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24, 22)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스텝 롤러(18)를 제지하기 위한 장치(20)를 더 포함한다.
스텝 롤러, 컨베이어, 리세스부, 레일, 트랙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의 스텝 롤러 상승 제지 장치{DEVICE FOR RESTRAINING THE RISE OF A STEP ROLLER OF A PEOPLE CONVEY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빙 워크 및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에서와 같은 선회 영역에서 스텝 롤러가 상승하여 트랙의 레일과 충돌하는 것을 제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와 같은 통상적인 승객 컨베이어는 순환 경로의 경사부, 제1 및 제2 선회부(turn around portion) 및 복귀부(return portion)를 걸쳐서 뻗는 순환 컨베이어 밴드를 포함하고, 통상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텝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스텝들로 구성된다. 스텝은 각각 스텝 롤러를 포함하고 승객 컨베이어는 스텝 롤러를 안내하기 위한 스텝 롤러 트랙을 더 포함한다. 스텝 롤러 트랙은 컨베이어 밴드의 경로를 따라 뻗고 스텝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레일 및 외부 레일을 갖는다. 무빙 워크의 경우에 "스텝"은 통상적으로 팔레트라고 불리며, 그것의 처리 표면은 운송부를 따라 단일의 평면 내에 일반적으로 배열된다. 에스컬레이터의 경우에는, 개별 "스텝"의 처리 표면은 컨베이어 밴드의 경사부 내에 다른 수직 레벨로 있다.
통상적인 에스컬레이터는 무빙 워크와 유사하게, 프레임, 이동 가능한 핸드레일을 구비하는 난간, 스텝, 구동 시스템 및 스텝을 추진하기 위한 스텝 체인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프레임의 좌우 측면 양자에 트러스 섹션을 포함한다. 각각의 트러스 섹션은 랜딩을 형성하는 두 개의 단부 섹션을 가지며, 상기 단부 섹션은 경사진 중간부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랜딩은 트러스 사이에 위치하는 에스컬레이터 구동 시스템 또는 기계를 보통 수용한다.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시스템은 스텝 체인, 스텝 체인 스프로켓, 축 및 구동 모터로 구성된다. 구동 모터는 스텝 체인을 구동하여 연속 폐쇄 루프를 이동하도록 한다.
도1 및 도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10)은 스텝 체인(12)에 부착되어, 승객을 운송하도록 랜딩에서 다른 랜딩으로 움직인다.
지지 아암(16)은 스텝(10)의 양 측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각각의 지지 아암(16)은 스텝 롤러(18)가 제공되고, 스텝 롤러는 지지 아암(16)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텝 롤러(18)는 스텝(10)의 이동을 안내하고 나아가 스텝을 지지한다.
에스컬레이터는 좌우 양 측면에 트랙(20)을 포함하고, 트랙을 따라 스텝 롤러(18)는 연속 폐쇄 루프를 이동한다. 트랙(20)은 선회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포물선의 형상이고, 하부 및 상부 랜딩 아래에 위치되어, 스텝 롤러(18) 및 스텝(10)는 선회 영역에서 180도의 기수방위 변화할 수 있다.
트랙(20)은 내부 레일(24) 및 내부 레일(24)의 외향 배치되는 외부 레일(22) 을 포함한다. 내부 레일(24)과 외부 레일(22)의 사이의 간극은 스텝 롤러(18)의 직경 보다 약간 크도록 설정된다. 외부 레일(22)은 스텝 롤러(18)가 트랙(2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L 형상을 가진다.
승객 운반부에서, 스텝 롤러(18)는 트랙(20)의 내부 레일(24) 위에서 구른다. 스텝(10)이 상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텝 롤러(18)가 상부 선회 영역에서 트랙(20)의 만곡부로 전진할 때, 스텝 롤러(18)는 내부 레일(24)로부터 외부 레일(22)로 상승한다. 이것은 이동하는 스텝(10)의 관성 및/또는 중력 때문이다. 따라서, 스텝 롤러(18)는 외부 레일(22)과 충돌한다. 이후, 스텝 롤러(18)는 외부 레일(22) 위의 롤링으로 하부 랜딩을 향해 내려가고 하부 선회 영역에서 내부 레일(24) 위로 복귀한다.
그러나, 스텝 롤러의 트랙의 레일과의 충돌은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및 작동 불안정성을 야기하고, 따라서 승객이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충돌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의 고장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 컨베이어에서 소음 발생, 특히 스텝 롤러의 트랙의 레일과의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소음 발생을 줄이고, 예를 들어 작동 불안정성 등과 같은 이것과 관련되는 문제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승객 컨베이어의 경우에는 내부 및 외부 레일 중 하나에 대해 스텝 롤러를 제지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스텝 롤러는 폐쇄 루프 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동일한 레일, 즉 내부 레일 또는 외부 레일에 대해 제지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지 장치가 선회부에서 레일에서 다른 레일로의 원활한 전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중력 때문에, 스텝 롤러는 승객 운반부 내에서 내부 트랙을 따라 구르고, 복귀부 내에서 외부 트랙, 즉 하부 트랙을 따라 구른다. 승객 운반부 내의 외부 트랙과 복귀부 내의 내부 트랙은 예외적인 상황을 위해 상부 접촉 레일을 제공한다. 이러한 레일은 통상적으로 "업타우스트 레일(upthoust rail)"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중력 때문에, 스텝 롤러는 내부 레일로부터 외부 레일로, 그리고 선회부에서는 역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지 장치는 내부 및 외부 레일 중 하나에 대해 스텝 롤러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탄성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충돌을 피하면서 잘 결정된 경로를 따라 스텝 롤러를 강제적으로 안내하는 다른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지 장치는 스텝 롤러가 제1 및 제2 선회부에서 내부 및 외부 레일 중 하나로부터 내부 및 외부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로 점진적으로 전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중력에 대하여 순환 경로의 승객 운반부 또는 복귀부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스텝의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개별적인 제지 장치는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으며, 공간을 절약하고 가벼운 구조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편향 부재는 기계식, 공압식, 전자기식 등의 스프링 타입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편향 부재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지 장치는 스텝과 구동 체인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지 장치는 스텝과 구동 체인 사이에 위치되어 구동 체인에 대하여 스텝을 탄성적으로 편향시키거나 지지할 수 있다. 후술하게 되는 바와 같이, 제지 장치는 승객 컨베이어의 다른 부품들, 예를 들어 스텝과 스텝 롤러 트랙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구동 체인이 컨베이어 밴드의 각각의 측방향의 에지에 배치되고, 각각의 구동 체인은 복수의 체인 링크를 포함하며, 연결 축은 컨베이어 밴드의 일측면의 하나의 체인 링크를 컨베이어 밴드의 다른 측면의 대응되는 체인 링크와 연결한다. 스텝은 이러한 스텝 체인 링크 쌍에 의해 부착되고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제지 장치는 스텝과 연결 축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지 장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은 연결 축에 부착되어 그것의 두 개의 자유 단부 중 하나로 그것에 지지되는 반면, 그것의 제2 자유 단부는 스텝과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제지 장치는 스텝 라이저의 최저부와 결합하는 비틀림 스프링의 제2 자유 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는 제2 자유 단부가 순환 경로의 승객 운반부 및 복귀부에서의 스텝과 결합하지 않고 승객 운반부와 선회부 사이에 전이부를 걸쳐서 이동하는 동안 스텝과 연결 축 사이의 상대 변위로 인해서만 결합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의 제2 자유 단부와 스텝 사이의 이러한 주기적 결합 및 분리는 스텝 롤러 트랙의 내부 및 외부 레일 사이의 원활한 전이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지 장치는 스텝과 스텝 롤러 트랙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연결 축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스텝과 롤러 트랙 사이에 제1 제지 장치를 갖고 단일의 구조 내에서 스텝과 연결 축 사이에 제2의 제지 장치를 갖는 것도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지 장치는 추가 롤러 및 스텝 롤러 트랙의 하나의 레일에 대하여 상기 추가 롤러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슬라이딩 수단과 비교할 때, 추가 롤러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마모의 장점을 갖는다. 다른 장점은 레일을 따라 구르는 추가 롤러의 조용한 작동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텝 롤러는 연결 아암에 의해 스텝에 부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롤러가 연결 아암에 의해 지지된다. 편향 수단은 외부 레일에 대해 추가 롤러를 편향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편향 수단은 소정의 각도로 서로에 대해 굴곡된 제1 레그 및 제2 레그를 갖는 선형 스프링이며, 연결 아암에서 지지 블록을 포함한다. 지지 블록은 제1 및 제2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선형 스프링의 제1 및 제2 레그의 부분은 각각 제1 및 제2 리세스부에 끼워져 선형 스프링의 제1 및 제2 레그의 변형이 소정의 범위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 클램핑, 용접, 브레이징, 가압 끼움, 접착제 수단 등에 의해 단일 또는 양자의 레그가 지지 블록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레그가 지지 블록 내의 대응되는 개구로 삽입하기 위한 굴곡부를 갖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선형 스프링의 제1 및/또는 제2 레그는 지지 블록의 제1 및 제2 리세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블록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지 장치는 추가 롤러를 지지하고, 특히 추가 롤러를 선형스프링에 부착하기 위한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재는 선형 스프링의 제1 및 제2 레그 사이의 결합에 인접하는 부분이 끼워지는 리세스부와 상기 부재의 상기 리세스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청구항 제14항 내지 제19항에 따른 무빙 워크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롤러의 상승을 제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과 일치하게,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구현된 발명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롤러의 상승을 제지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폐쇄 루프를 순환하는 스텝과, 내부 및 외부 레일을 갖고 스텝의 순환 루프를 제공하는 트랙과, 연결 부재에 의해 각각의 스텝에 연결되고 트랙의 내부 레일을 따라 구르는 스텝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트랙의 외부 및 내부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 롤러와, 추가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연결 부재에 설치되어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지지 블록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트랙의 외부 레일을 향해 추가 롤러를 편향시켜서, 추가 롤러가 그 위에 구른다. 탄성 부재는 선형 스프링이며, 소정의 각도로 서로에 대해 굴곡된 제1 및 제2 레그를 갖는다.
탄성 부재의 제1 레그는 그 끝에 굴곡부를 갖는데, 피벗 가능하게 지지 블록으로 삽입된다. 또한, 타성 부재의 제2 레그는 그 끝에 굴곡부를 갖는데, 지지 블록의 하부 표면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대해 아래와 같이 기재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과 스텝 테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롤러 및 트랙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텝 롤러의 상승을 제지하기 위한 장치 및 트랙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텝 롤러의 상승을 제지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는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텝 롤러의 상승을 제지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는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5a는 스텝 롤러가 에스컬레이터의 승객 운반 영역에서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5b는 스텝 롤러가 에스컬레이터의 선회 영역에서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스텝 및 스텝 체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것과 유사하지만, 명료성을 위해 스텝 롤러가 제거된 상태이다.
도8은 도7의 원 A로 둘러싸인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선회 영역을 통한 스텝의 전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원 B로 둘러싸인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11은 도9의 원 C로 둘러싸인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12는 도9의 원 D로 둘러싸인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롤러의 상승을 제지하기 위한 장치 및 트랙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스텝(10)은 연속 폐쇄 루프 내를 이동하는 스텝 체인(12)에 부착된다. 지지 레버(16)는 스텝(10)의 양 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각각의 지지 레버(16)는 스텝 롤러(18)가 제공되고, 스텝 롤러(18)는 지지 레버(16)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텝 롤러(18)는 스텝(10)의 이동을 안내하고 스텝(10)을 지지한다.
에스컬레이터는 좌우 양 측면에 트랙(20)을 갖는데, 트랙(20)을 따라, 스텝 롤러(18)가 연속 폐쇄 루프 내를 이동한다. 트랙(20)은 내부 레일(24) 및 내부 레일(24) 외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레일(22)을 포함한다. 내부 레일(24) 및 외부 레일(22) 사이의 간극은 스텝 롤러(18)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도록 설정된다.
스텝 롤러(18)가 내부 레일(24)로부터 외부 레일(22)로 상승하는 것을 제지하며,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선회 영역에서 그것이 외부 레일(22)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30)가 제공된다. 이러한 장치는 지지 또는 연결 아암(16)에 설치되고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스텝 롤러(18)의 상승을 제지하기 위한 장치(30)는, 트랙(20)의 외부 레일(22)과 접촉하는 추가 롤러(50)와, 추가 롤러(50)를 외부 레일(22)을 향해 편향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40)와, 탄성 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 아암(16)에 부착되는 지지 블록(32)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40)는 선형 스프링이며, ∧ 형상으로 소정의 각도로 서로에 대해 굴곡된 제1 레그(42) 및 제2 레그(44)를 갖게 된다. 지지 블록(32)은 제1 및 제2 리세스부(34, 36)을 전방 표면에 갖고, 탄성 부재(40)의 제1 및 제2 레그(42, 44)는 상기 리세스부 내에 개별적으로 장착된다. 제1 리세스부(34)는 특정한 길이만큼 지지 블록(32)의 상부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한다. 제2 리세스부(36)는 지지 블록의 상부 단부로부터 그 하부 단부까지 하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리세스부(34, 36)는 소정의 각도로 스텝 롤러(18)를 향해 경사진다.
탄성 부재(40)의 제1 레그(42)는 그 끝에서 굴곡부(42a)가 제공된다. 제1 레그(42)의 굴곡부(42a)는 피벗 가능하게 삽입 홀(35)로 삽입되고, 삽입 홀(35)은 지지 블록(32)의 제1 리세스부(34)의 단부에서 형성된다.
탄성 부재(40)의 제2 레그는 그 끝에서 제1 굴곡부(44a) 및 제2 굴곡부(44b)가 제공된다. 제1 굴곡부(44a)는 지지 블록(32)의 후방으로 연장하고 지지 블록(32)의 하부 표면과 접촉한다. 제2 굴곡부(44b)는 제1 굴곡부(44a)의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지지 블록(32)의 하부 표면과 접촉하여 탄성 부재(40)의 기저점으로서 작용한다.
지지 블록(32)의 제1 및 제2 리세스부(34, 36)는 탄성 부재(40)의 제1 및 제2 레그(42, 44)보다 약간 더 넓다. 이것은 탄성 부재(40)가 후술하게 될 제한된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버(38)는 볼트(39)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지지 블록(32)의 전방 표면에 결합된다. 이것은 제1 및 제2 리세스부(34, 36)를 덮고 탄성 부재(40)의 제1 및 제2 레그(42, 44)가 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4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40)는 추가 롤러-제1 및 제2 레그(42, 44) 사이의 결합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지지 부재에 결합된다. 수용 슬롯(53)은 지지 부재(52)의 후방 표면에서 형성되며, 탄성 부재의 제1 및 제2 레그(42, 44)가 그 안에 장착된다. 커버(54)는 볼트(55)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지지 부재(52)의 후방 표면에 부착된다. 이것은 탄성 부재(40)의 레그(42, 44)가 수용 슬롯(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텝 롤러의 상승을 제지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 효과는 에스컬레이터가 상향으로 이동한다는 가정에 기반하여 이하에서 기술된다.
도5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 롤러(18)가 승객 운반 영역에서 트랙(20)의 선형 부분을 따라 이동할 때, 스텝 롤러(18)는 트랙(20)의 내부 레일(24) 위를 구른다. 또한, 추가 롤러(50)는 탄성 부재(40)에 의해 트랙의 외부 레일을 향해 편향되고 외부 레일(22) 위로 구른다.
도5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강하는 스텝 롤러(18)가 상부 랜딩에 도착 하여 상부 선회 영역에서 트랙(20)의 만곡부로 전진할 때, 스텝 롤러(18)는 트랙(20)의 외부 레일(22)을 향해 상승한다. 이것은 관성력 때문이며, 외부 레일(22)과 접촉하는 추가 롤러(50)는 관성력 및/또는 중력에 대한 반력을 받는다. 따라서, 탄성 부재(40)는 제1 레그(42)가 지지 블록(32)의 제1 리세스부(34) 내에서 삽입 홀(35) 안으로 삽입되는 굴곡부(42a)를 축으로 피벗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변형된다. 또한, 제2 레그(44)는 제2 리세스부(36) 내에서 제1 및 제2 굴곡부(44a, 44b)가 지지 블록(32)의 하부 표면을 접촉하는 상태로 이동한다. 동시에, 스텝 롤러(18) 및 탄성 부재(40)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회복력이 탄성 부재(40)의 제2 레그의 제2 굴곡부(44b) 및 지지 블록(32) 사이에서 생성된다.
탄성 부재(40)의 회복력이 스텝 롤러(18)에 작용하는 상승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할 때, 스텝 롤러(18)는 상승을 멈추고 원래 위치로(즉, 트랙(20)의 내부 레일 위로) 복귀한다. 따라서, 스텝 롤러(18)는 트랙(20)의 외부 레일(22)과 충돌하는 것이 제지된다.
탄성 부재(40)의 회복력은 반복되는 작동에 의해 점점 약해지지만, 스텝 롤러(18)의 트랙(20)과의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충격 및 소음은 있다 하더라도 드물게 발생한다.
탄성 부재(40)의 재료, 즉 강성 또는 탄성을 다양하게 조정함으로써, 스텝 롤러(18)가 선회 영역에서 트랙(20)의 외부 레일과 충돌하는 것은 본 실시예와 같이 완전히 제지되거나, 매우 드물게 발생해서 충격이 거의 없게 된다.
도6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개별적인 승객 컨베 이어(2)의 일반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다. 도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10)은 처리 표면(56) 및 스텝 라이저(58)를 갖는다. 스텝 라이저(58)는 이러한 영역에서 배치되는 제지 장치(30)를 볼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분해되어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10)은 연결부(60)에서 스텝 체인(1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텝 롤러(18)를 운반하는 지지 아암(16)은 플랜지(62)를 통해 스텝(10)에 부착된다. 스텝 체인(12)은 이음(64)에서 차례로 연속되어 부착되는 복수의 체인 링크(64)를 포함한다. 스텝 롤러(18)는 스텝 롤러 트랙(20) 내에서 안내되는 동안, 별개의 체인 롤러 트랙이 체인 롤러(68)를 안내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스텝/스텝 체인 조합의 특별한 구조에 관해, "개인 컨베이어를 위한 체인 세그먼트"를 명칭으로 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 WO 02/44069 A1호가 참조되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본 출원에 참고 문헌으로 인용되었다.
도7은 스텝(12)이 제거된 점을 제외하면 도6과 유사하다. 특히, 도7은 두 개의 대향 체인 링크(64)가 연결 축(7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다. 두 개의 체인 링크(64) 사이에 실질적으로 중간 지점에 브래킷(72)이 측방향 안내 롤러(74)를 지지하기 위해 연결 축(70)에 설치된다. 각각 연결 축(70)에 대해 지지되는 하나의 자유 단부(78)를 갖는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76)이 이러한 브래킷(72)에 부착된다. 제2 자유 단부(80)는 도6 및 도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 라이저(58)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도9는 순환 컨베이어 밴드(4)의 순환 경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특히 에스컬레이터의 승객 운반부(6) 또는 "경사부"를 거쳐서, 전이부(82), 선회부(8), 다른 전이부(82)를 거쳐서 복귀부(5)로 이동하는 스텝(10)을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 롤러(18)는 스텝 롤러 트랙(20) 내에서 안내된다. 도10의 상세 B는 부분 스프링(76)의 제2 자유 단부가 스텝 라이저(58)로부터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다. 도11의 상세 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전이부(82)를 거쳐 통과하는 동안에만, 부분 스프링(76)의 제2 자유 단부가 스텝(10)의 라이저(58)와 결합하게 된다.
스텝(10)은 연결부(60)에서 스텝 체인(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6)의 자유 단부(8)의 결합은 스텝(10)을 연결부(60) 주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쉽고, 스텝 롤러 트랙(20)의 내부 레일에 대해 롤러(18)를 제지하기 쉽다. 제2 자유 단부(80)의 스텝 라이저(58)와의 이러한 결합은 선회부(8)에 걸쳐서 계속되고, 따라서 스텝 롤러(18)를 내부 레일(22)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비틀림 스프링(76)의 강도에 따라, 자유 단부(80)의 라이저(56)와의 결합이 제2 전이부(84)에서 종결되고 이러한 영역에서 외부 레일(24)로의 점진적인 변환을 허용할 때까지 비틀림 스프링(76)은 스텝 롤러(18)를 내부 레일(22)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스텝(12)의 중력 하중이 선회부(8)를 거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비틀림 스프링(56)의 힘을 초과하고, 이러한 영역에서 내부 레일(22)로부터 외부 레일(24)로의 원활한 전이를 허용한다. 복귀 경로(5)를 따르는 이동 동안 비틀림 스프링(76)의 자유 단부(80)는 스텝 라이저(58)와 결합하지 않아 서 스텝(10)의 중력 하중은 이러한 부분에서 스텝 롤러(18)의 외부 레일과의 결합을 보장한다. 유사하게 비틀림 스프링의 자유 단부(80)의 스텝 라이저(58)와의 이러한 결합 및 분리는 비틀림 스프링(76)의 제2 자유 단부(80)가 경사부 또는 승객 운반부(6)에서 스텝 라이저(58)로부터 다시 분리되는 하부 선회부에서 일어난다. 승객 컨베이어의 운송 방향이 반대이면 작동도 반대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제지 장치(30)가 스텝 밴드의 각각의 스텝(10)에 제공된다.
상세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탄성 부재에 의해 트랙의 외부 레일을 향해 편향되는 추가 롤러에 의해 스텝 롤러가 에스컬레이터의 선회 영역에서 트랙의 외부 레일을 향해 상승하는 것을 제지할 수 있다. 이것은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승객에게 편안함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순환 경로의 경사부(6), 제1 및 제2 선회부(8) 및 복귀부(5)에 걸쳐서 뻗고, 스텝 롤러(18)를 포함하고 스텝 체인(12)에 연결되어 상기 스텝 체인(12)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스텝(10)을 포함하는 순환 컨베이어 밴드(4)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2)이며,
    상기 컨베이어 밴드(4)의 경로를 따라 뻗고 상기 스텝 롤러(18)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및 외부 레일(24, 22)을 가지며 상기 스텝 롤러(18)를 안내하는 스텝 롤러 트랙(20)과,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24, 22)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스텝 롤러(18)를 제지하기 위한 장치(20)를 더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장치(30)는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24, 22)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스텝 롤러(18)를 탄성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탄성 편향 부재(40)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장치(30)는 상기 스텝 롤러(18)가 제1 및 제2 선회부(8)에서 내부 및 외부 레일(24, 22) 중 어느 하나로부터 내부 및 외부 레일(24, 22) 중 다른 하나로 점진적으로 전이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승객 컨베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장치(30)는 상기 스텝(10)과 상기 구동 체인(12) 사이에 배치되는 승객 컨베이어.
  5.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구동 체인(12)은 컨베이어 밴드(4)의 각 측방향 에지에 배치되고, 각각의 스텝 체인(12)은 복수의 체인 링크(64)를 포함하고, 연결 축(70)은 컨베이어 밴드(4)의 일측면의 체인 링크(64)를 컨베이어 밴드(4)의 다른 측면의 체인 링크(64)와 연결하고, 상기 제지 장치(30)는 상기 스텝(10)과 상기 연결 축(70) 사이에 배치되는 승객 컨베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장치(30)는 상기 연결 축(70)에 부착되는 비틀림 스프링(76)을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76)은 그 자유 단부(78) 중 하나가 상기 연결 축(7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텝(10)과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제2 자유 단부(80)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장치(30)는 상기 스텝(10)과 상기 스텝 롤러(20) 사이에 배치되는 승객 컨베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장치(30)는 추가 롤러(50) 및 상기 추가 롤러(50)를 스텝 롤러 트랙(29)의 하나의 레일(22, 24)에 대해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수단(40)을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롤러(18)는 연결 아암(16)에 의해 스텝(10)에 부착되고, 상기 추가 롤러(50)는 상기 연결 아암(16)에 의해 지지되는 승객 컨베이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40)은 외부 레일(22)에 대하여 추가 롤러(50)를 편향시키는 승객 컨베이어.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은 소정의 각도로 서로에 대해 굴곡되는 제1 레그(42) 및 제2 레그(42)를 갖는 선형 스프링이며, 지지 아암(16)에서 지지 블록(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블록(32)은 제1 및 제2 리세스부(34, 36)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스프링의 제1 및 제2 레그의 부분은 각각 제1 및 제2 리세스부(34, 36)에 끼워져 상기 선형 스프링의 제1 및 제2 레그의 변형이 소정의 범위로 제한되는 승객 컨베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지지 블록(32)에 장착되어 상기 선형 스프링의 제1 및 제2 레그(42, 44)가 상기 지지 블록(32)의 제1 및 제2 리세스부(34, 36)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38)를 더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추가 롤러(50)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재(52)는 선형 스프링의 제1 및 제2 레그(42, 44)의 결합부에 인접하는 일부분이 끼워지는 리세스부(53)와, 상기 부재(52)의 리세스부(53)를 덮는 커버(54)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
  14. 승객 컨베이어(2)의 스텝 롤러(18)의 상승을 제지하기 위한 장치(30)이며,
    상기 승객 컨베이어(2)는 폐쇄 루프를 순환하는 스텝(10)과, 내부 및 외부 레일(22, 24)을 갖고 상기 스텝(10)의 순환 루프를 제공하는 트랙(20)과, 연결 부재(16)에 의해 각각의 스텝(10)에 연결되고 상기 트랙(20)의 내부 레일(24)을 따라 구르는 스텝 롤러(18)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30)는
    상기 트랙(20)의 외부 레일(22)과 내부 레일(24)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 롤러(50)와,
    상기 추가 롤러(5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40)와,
    상기 연결 부재(16)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16)에 상기 탄성 부재를 고정시키는 지지 블록(32)을 포함하는 제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40)는 추가 롤러(50)를 트랙(20)의 외부 레일(24)을 향해 편향시켜 상기 추가 롤러(50)가 그 위를 구르도록 하는 제지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40)는 소정의 각도로 서로에 대해 굴곡되는 제1 레그(42) 및 제2 레그(44)를 갖는 선형 스프링이며,
    상기 지지 블록(32)은 제1 및 제2 리세스부(34, 36)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40)의 제1 및 제2 레그(42, 44)의 부분은 각각 제1 및 제2 리세스부(34, 36)에 끼워져 상기 탄성 부재(40)의 제1 및 제2 레그(42, 44)의 변형이 소정의 범위로 제한되는 제지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40)의 제1 레그(42)는 그 팁부에 굴곡부(42a)를 갖고, 상기 팁부는 지지 블록(32) 안으로 피벗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탄성 부재(40)의 제2 레그(44)는 그 팁부에 굴곡부(44a, 44b)를 갖고, 상기 팁부는 지지 블록(32)의 하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지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8)는 지지 블록(32)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40)의 제1 및 제2 레그(42, 44)가 상기 지지 블록(32)의 제1 및 제2 리세스부(34, 36)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지 장치.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30)는 추가 롤러(50)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재(52)는 상기 탄성 부재(40)의 제1 및 제2 레그(42, 44)의 결합부에 인접하는 일부분이 끼워지는 리세스부(53)와, 상기 부재(52)의 리세스부(53)를 덮는 커버(54)를 갖는 제지 장치.
KR1020067010285A 2003-11-29 2004-11-29 승객 컨베이어의 스텝 롤러 상승 제지 장치 KR100826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91 2003-11-29
KR1020030085911 2003-11-29
KR10-2003-0085911A KR100522064B1 (ko) 2003-11-29 2003-11-29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롤러 상승억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438A true KR20060103438A (ko) 2006-09-29
KR100826720B1 KR100826720B1 (ko) 2008-05-02

Family

ID=366761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911A KR100522064B1 (ko) 2003-11-29 2003-11-29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롤러 상승억제장치
KR1020067010285A KR100826720B1 (ko) 2003-11-29 2004-11-29 승객 컨베이어의 스텝 롤러 상승 제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911A KR100522064B1 (ko) 2003-11-29 2003-11-29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롤러 상승억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401692B2 (ko)
EP (2) EP1692069B1 (ko)
JP (2) JP4427061B2 (ko)
KR (2) KR100522064B1 (ko)
CN (2) CN1886328B (ko)
AT (1) ATE556021T1 (ko)
HK (2) HK1099545A1 (ko)
WO (2) WO20050518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30B1 (ko) * 2010-01-19 2010-08-05 이봉석 석탄용 폐컨베이어벨트의 회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737A (ko) * 2004-05-13 2005-11-1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객수송장치의 충격 및 소음저감장치
ES2334630B1 (es) * 2009-07-17 2010-09-22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Escalera mecanica.
WO2014016888A1 (ja) * 2012-07-23 2014-01-30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 乗り物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396320B1 (ko) * 2013-11-06 2014-05-16 수림엘리베이터(주)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용 체인롤러 및 스텝롤러의 레일 및 가이드장치
US9560853B2 (en) * 2014-12-23 2017-02-07 Aleksandr Taslagyan Return flow conveyor device for heating food items
EP3851403B1 (en) * 2020-01-15 2022-09-28 Otis Elevator Company Support member for a drive belt of a passenger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016267A (en) 1910-07-07 1911-03-30 Victor Trevett Improvements in Devices for Silencing or Preventing Rattling of Window Sashes.
GB203033A (en) * 1922-05-29 1923-08-29 William Sebastian Graff Baker Improvements in escalators
GB492715A (en) * 1937-03-23 1938-09-23 J & E Hall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escalators and like apparatus
GB491301A (en) * 1937-05-20 1938-08-30 Waygood Oti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oving stairways
GB549616A (en) * 1940-06-18 1942-11-30 Westinghouse Electric Int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ving stairways
JPS5281885A (en) * 1975-12-29 1977-07-08 Hitachi Ltd Structure for preventing steps from floating
JPS6052487A (ja) * 1983-08-30 1985-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装置
JPS60223782A (ja) 1984-04-19 1985-11-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装置
CH664548A5 (de) * 1984-08-22 1988-03-15 Inventio Ag Stufe einer fahrtreppe.
ATE44015T1 (de) * 1985-08-06 1989-06-15 Inventio Ag Stufe einer fahrtreppe mit vorstehenden trittkanten.
WO1991003417A1 (en) * 1989-09-07 1991-03-21 Masao Kubota Conveying machine
JPH0420495A (ja) * 1990-05-14 1992-01-24 Toshiba Corp エスカレータの踏段異常検知装置
US5161668A (en) * 1991-07-18 1992-11-10 Montgomery Electric Company Guide mechanism for passenger conveyors
JP2768223B2 (ja) * 1993-01-13 1998-06-2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JP2663826B2 (ja) * 1993-02-09 1997-10-1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JPH06321473A (ja) * 1993-05-17 1994-11-22 Toshiba Corp 動く歩道
JPH074475U (ja) * 1993-06-24 1995-01-2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スカレーターのステップ
US5487449A (en) 1994-04-06 1996-01-30 Otis Elevator Company Magnetic elevator door coupling
JP3866341B2 (ja) * 1996-11-05 2007-01-10 三菱電機株式会社 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の運転方法及び車椅子踏段付エスカレーター
JP4303840B2 (ja) * 1999-07-16 2009-07-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ヤ装置
JP4688276B2 (ja) * 2000-11-09 2011-05-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装置
US6450316B1 (en) * 2000-11-28 2002-09-1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with step flange
JP4810030B2 (ja) * 2001-09-26 2011-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US6685003B2 (en) * 2001-12-28 2004-02-03 Otis Elevator Company Pulse-free escalator
JP4187971B2 (ja) * 2002-01-21 2008-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US7124875B2 (en) * 2002-01-23 2006-10-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scalator with high speed inclined section
ES2285100T3 (es) * 2003-02-07 2007-11-16 Otis Elevator Company Brida movil para transportadores para pasajero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30B1 (ko) * 2010-01-19 2010-08-05 이봉석 석탄용 폐컨베이어벨트의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44866A1 (en) 2007-06-28
KR20050052072A (ko) 2005-06-02
EP1704109B1 (en) 2012-05-02
EP1704109A1 (en) 2006-09-27
US7357241B2 (en) 2008-04-15
HK1099545A1 (en) 2007-08-17
EP1692069A4 (en) 2012-05-09
JP4427061B2 (ja) 2010-03-03
EP1692069B1 (en) 2013-02-20
HK1103581A1 (en) 2007-12-21
ATE556021T1 (de) 2012-05-15
CN1886328A (zh) 2006-12-27
CN1906114A (zh) 2007-01-31
JP2007512205A (ja) 2007-05-17
WO2005051830A1 (en) 2005-06-09
JP2007533570A (ja) 2007-11-22
US20070051584A1 (en) 2007-03-08
CN1906114B (zh) 2010-04-28
JP4500816B2 (ja) 2010-07-14
KR100826720B1 (ko) 2008-05-02
CN1886328B (zh) 2010-05-05
EP1692069A1 (en) 2006-08-23
US7401692B2 (en) 2008-07-22
KR100522064B1 (ko) 2005-10-18
WO2005051831A1 (en) 200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98370B (zh) 板式传送装置
EP3257804B1 (en) Belt-driven people conveyor
KR100826720B1 (ko) 승객 컨베이어의 스텝 롤러 상승 제지 장치
EP0141519B1 (en) A moving staircase with a curved conveyor passage
EP0087692B1 (en) Escalator step
KR100214868B1 (ko) 승객용콘베이어의 가이드기구
US4576276A (en) Escalator
JPH07157260A (ja) エスカレータおよびそのステップチェーン支持装置
US7533765B2 (en) Shock absorbing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s
WO2010074669A1 (en) Moving skirt mechanism for chain driven passenger conveyors
JPS5924067B2 (ja) エスカレ−タ
EP2570378B1 (en) Bidirectional moving walkway
CN107618968B (zh) 人输送机的运输元件
JP2004123303A (ja) 乗客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