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923A - Rf-id 태그 정보를 캐싱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Rf-id 태그 정보를 캐싱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923A
KR20060100923A KR1020060011156A KR20060011156A KR20060100923A KR 20060100923 A KR20060100923 A KR 20060100923A KR 1020060011156 A KR1020060011156 A KR 1020060011156A KR 20060011156 A KR20060011156 A KR 20060011156A KR 20060100923 A KR20060100923 A KR 20060100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nformation
tag
time
vali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5378B1 (ko
Inventor
윤형민
박경호
강우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DE602006017178T priority Critical patent/DE602006017178D1/de
Priority to PCT/KR2006/000845 priority patent/WO2006112608A1/en
Priority to CN2006800010204A priority patent/CN101061493B/zh
Priority to EP06716295A priority patent/EP1859391B1/en
Priority to JP2008501806A priority patent/JP4681646B2/ja
Priority to US11/374,186 priority patent/US8125317B2/en
Publication of KR2006010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28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unting the number of cuts or measuring cut lengh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RF-ID 태그를 리딩할 수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휴대용 디바이스는,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검출하는 RF-ID 리더부, RF-ID 리더부에서 검출된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태그정보가 유효한 상태에서 RF-ID 태그에 대한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독출하여 제공하며, 태그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상태에서 RF-ID 태그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RF-ID 태그를 다시 리딩하도록 RF-ID 리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제어부는 시간 및 위치를 기준으로 태그 정보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태그 리딩 작업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태그 정보 확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RF-ID 태그, 태그정보, 메모리부, 유효시간, 유효거리

Description

RF-ID 태그 정보를 캐싱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 방법 { The portable device for caching RF-ID tag data and method thereof }
도 1은 복수개의 RF-ID 태그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휴대용 디바이스의 이동에 따른 RF-ID 리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6은 RF-ID 리더부가 별도의 리더 칩으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은 도 2의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제어부의 소프트웨어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RF-ID 태그 리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RF-ID 태그 리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디바이스 110, 210, 310, 410 : RF-ID 리더부
120, 220, 320, 420 : 메모리부 130, 230, 330, 430 : 제어부
240, 340, 440 : 입력부 250, 450 : 타이머부
350, 460 : 거리측정부 470 : 통신부
48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RF-ID 태그 정보를 캐싱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딩한 태그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내에 리딩 명령이 재입력된 경우, 기 검출한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면 기 검출된 태그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이 발달한 요즘, 간단하게는 선불제 버스 카드로부터 주차장 출입증 및 연구소의 출입카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RF-ID 시스템은 생산방식의 변화, 소비자 의식의 변화, 문화 및 기술의 진보, 바코드와 마그네틱 카드의 단점 해소 요구에 의해 개발되었다. RF-ID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RF-ID 태그 및 RF-ID 리더로 구성된다. RF-ID 태그는 비접촉식 카드(contactless card)의 일종이다. 즉, 접촉식 카드와 달리 이용자가 태그를 리더(reader)에 삽입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기계적인 접촉이 없기 때문에 마찰이나 손상이 없고 오염이나 환경의 영향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RF-ID 시스템의 종류는 태그에 내장된 IC를 구동하는 방법에 따라, 태그에 내장된 배터리(battery)로 전원을 공급하는 액티브(Active)형과, RF-ID 리더에서 송신된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를 이용하여 유도전류를 유기하는 패시브(Passive)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RF-ID 시스템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고주파 시스템 및 저주파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저주파 시스템은 수십 메가헤르쯔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이용한다. 따라서, 10 내지 15 cm 정도의 짧은 가독 거리를 가진다. 한편, 고주파 시스템은 대략 900 메가헤르쯔 대역 부근의 주파수 신호를 이용한다. 따라서, 1~4 m 정도로 가독 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폰, PDA, 노트북 PC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에 RF-ID 리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휴대용 디바이스의 활용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RF-ID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자신의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백화점의 경우, 각 제품마다 제품 정보, 가격, 제조회사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RF-ID 태그를 부착하여 두면, 쇼핑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각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RF-ID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독 거리가 최소 수 미터 정도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주파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RF-ID 리딩 기능이 부가된 종래의 휴대용 디바이스에서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 중에 이전에 리딩한 RF-ID 태그에 대한 리딩 명령이 재입력되면, 해당 RF-ID 태그를 다시 리딩하여야 한다. 즉, 휴대용 디바이스에 구비 된 RF-ID 리더 칩을 구동하여, 주변으로 전자기파를 전송한다. 휴대용 디바이스 주변의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각 RF-ID 태그는 전자기파가 수신되면, 유도전류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유도전류에 의해 RF-ID 태그 내의 IC가 구동되어, 소정의 태그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하지만,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 변동은 천천히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소정 시간 내에서는, 동일한 RF-ID 태그를 읽을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즉, 소정 시간 내에 리딩 명령이 재입력된 경우에는 불필요한 리딩 과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소정 시간 전에 리딩한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다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불필요한 태그 리딩 작업에 따라 태그 정보 확인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 RF-ID 시스템으로 구현된 경우, 전자기파 전송 및 수신 과정에서 전력소모가 크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리딩 과정으로 인한 배터리 소모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가능한 배터리 용량이 제한적인 휴대용 디바이스에서는 치명적인 결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출한 RF-ID 태그 정보를 캐싱(caching)하여 활용함으로써, 불필요한 RF-ID 태그 리딩 작업을 반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고 태그정보 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 바이스는,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검출하는 RF-ID 리더부, 상기 RF-ID 리더부에서 검출된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태그정보가 유효한 상태에서 상기 RF-ID 태그에 대한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태그정보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ID 태그에 대한 리딩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RF-ID 태그에 대한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RF-ID 리더부를 제어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재 검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검출된 태그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태그정보와 중복되면 상기 재검출된 태그정보를 폐기하고, 중복되지 않으면 상기 재검출된 태그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태그 정보의 유효 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태그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유효 정도에 대응되는 메시지 및 상기 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가 검출된 시점부터 소정의 유효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RF-ID 리더부가 상기 태그정보를 검출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유효시간을 초과하였다면 상기 리딩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재검출하도록 상기 RF-ID 리더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유효 시간 이하라면 상기 리딩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유효 시간 이하라면, 상기 카운팅된 시간 및 상기 유효시간 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유효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가 상기 태그 정보가 검출된 지점부터 소정의 유효 거리 내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정보가 검출된 지점부터 상기 리딩 명령이 입력된 지점까지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유효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리딩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RF-ID 리더부를 제어하여 상기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재검출하며,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유효 거리 이하라면 상기 리딩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유효 거리 이하라면, 상기 이동거리 및 상기 유효거린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유효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태그정보를 검출한 시점 및 지점에 대한 정보를 부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태그 정보가 저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저장된 태그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소정 시간 동안 가독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전(全)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딩 명령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RF-ID 태그의 태그정보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도록 상기 RF-ID 리더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는,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검출하는 RF-ID 리더부, 상기 RF-ID 리더부에서 검출된 태그정보 및 상기 RF-ID 태그 리딩 작업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부가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태그정보 중 유효하지 않은 태그 정보를 선별하여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RF-ID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검출한 시간, 위치, 유효 시간, 유효 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정보 중 상기 태그 정보 검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상기 유효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및, 상기 부가 정보 중 상기 태그 정보 검출 위치로부터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효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RF-ID 태그 리딩 방법은, (a)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기 검출되어 저장된 태그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면, 상기 저장된 태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c) 상기 태그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RF-ID 태그를 리딩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d) 상기 검출된 태그정보가 기 저장된 태그정보와 중복되면 상기 재검출된 태그정보를 폐기하고, 중복되지 않으면 상기 재검출된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a)단계는, 상기 태그 정보가 검출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a)단계는, 상기 태그정보를 검출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시간 및 소정의 유효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유효시간 이하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 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유효 시간 초과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비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카운팅된 시간 및 상기 유효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의 유효 정도를 파악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단계는, 상기 태그 정보가 검출된 지점으로부터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a)단계는, 상기 태그정보가 검출된 지점부터 상기 리딩 명령이 입력된 지점까지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거리가 소정의 유효 거리 이하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유효 거리 초과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비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거리 및 상기 유효 거리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의 유효 정도를 파악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RF-ID 태그 리딩 방법은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태그정보를 검출한 시점 및 지점에 대한 정보를 부가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그 정보가 저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저장된 태그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 단계는, 가독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전(全)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RF-ID 태그의 태그정보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ID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RF-ID 시스템은, 복수개의 RF-ID 태그(10, 20, 30) 및 휴대용 디바이스(100)를 포함한다. 각 RF-ID 태그(10, 20, 30)는 영화 포스터, 각종 제품, 식품 등에 부착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RF-ID 태그를 리딩할 수 있는 RF-ID 리딩칩(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소정의 가독 거리 내에 존재하는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태그1(10) 및 태그2(20)가 가독 거리 내에 존재하는 (a)지점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리딩명령을 입력하면,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주변으로 전자기파를 전송하여 태그1,2(10, 20)의 정보를 읽어오게 된다. 읽어온 태그 정보는 휴대용 디바이스(100)에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제공된다. 한편, 읽어온 태그 정보는 휴대용 디바이스(10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 후에, 화살표 방향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00)가 이동하여 (b)지점에 도달 한 경우, (b)지점에서의 가독 거리 내에는 여전히 태그1, 2(10, 20)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b)지점에서 다시 리딩명령이 입력되면, 주변으로 전자기파를 전송할 필요가 없이 기 저장한 태그정보를 독출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디바이스(100)가 계속 이동하여 (c)지점에 도달한 경우, 가독 거리 내에는 태그2, 3(20, 30)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c) 지점에서 리딩명령이 입력되면, 주변으로 전자기파를 전송하여 새로이 태그 정보를 검출한 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소정의 유효시간을 설정하여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효시간 내에 리딩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가독 거리 내에 존재하는 태그가 이전과 동일하다고 보고, 기 리딩된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반면에, 유효시간을 초과하였다면, 가독 거리 내에 새로운 태그가 존재할 여지가 있으므로, 새로이 주변 RF-ID 태그를 리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RF-ID 태그 주변에서 이동을 멈출 수도 있고, 태그 주변을 배회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정의 유효거리를 설정하여 둠으로써, 이전에 RF-ID 태그를 리딩한 지점으로부터의 이동 거리와 비교하여, 태그 정보 재검출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이전에 RF-ID 태그를 리딩한 지점으로부터 유효 거리 내에서 이동한 경우라면, 저장된 태그 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유효 거리를 이탈한 경우라면, 새로이 태그정보를 검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유효거리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00)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범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 등의 위치 판독 기기를 구비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RF-ID 리더부(110), 메모리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RF-ID 리더부(110)는 가독 거리 내의 RF-ID 태그에 기록된 태그정보를 읽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30)는 RF-ID 리더부(110)에 의해 읽어진 태그정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메모리부(120)에는 태그 정보 이외에 RF-ID 태그를 리딩한 시간, 위치, 유효 시간, 유효 거리 등에 대한 부가정보도 추가로 더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부가 정보를 확인하여, 태그 정보가 유효한지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태그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유효한 태그 정보라고 판단되면 그대로 유지하고, 유효하지 않은 태그 정보라고 판단되면 해당 태그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RF-ID 리더부(110)에 의해 읽어진 태그 정보가 메모리부(120)에 기 저장된 태그 정보와 중복되는 경우에는, 태그 정보 변경 없이 폐기 처분한다. 태그 정보의 유효 여부는 시간 또는 거리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태그 정보가 유효한 경우, 그 유효 정도를 파악하여 태그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유효 정도는 태그 정보의 검출시간 또는 검출 위치와 태그 리딩 명령 입력 시간 또는 입력 위치를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다. 구 체적인 유효 정도 판단 방법은 후술한다.
도 3은 태그 정보의 유효 여부를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는, RF-ID 리더부(210), 메모리부(220), 제어부(230), 입력부(240) 및 타이머부(250)를 포함한다.
입력부(240)는 외부로부터 리딩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 상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변 태그를 리딩하라는 리딩 메뉴를 선택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 본체에 구비된 소정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리딩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RF-ID 리더부(210)는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가독 거리 내의 RF-ID 태그에 기록된 태그정보를 읽어오게 된다. 이를 위해, RF-ID 리더부(210)는 안테나(미도시), 복조회로(Demodulation circuit)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안테나를 통해서 전자기파를 출력한 후, RF-ID 태그에서 출력한 전자기파를 수신하게 된다. 복조 회로는 수신된 전자기파를 복조하여, 태그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이동통신사업자(SKT, KTF 등), 유통사업자(롯데백화점, 월마트 등), 상품제조회사(LG, 삼성 등) 등과 같은 다양한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소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에서 리딩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제공한 사업자가 제공한 RF-ID 태그만을 리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된 태그 정보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소정 태그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RF-ID 리더부(210)에서 리딩한 태그정보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한다. 이 후에, 제어부(230)는 태그정보를 직접적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타이머부(250)를 제어하여, 태그정보를 리딩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220)에 함께 저장하여 둘 수 있다.
메모리부(220)는 캐쉬 메모리(cache memory)로 구현될 수 있다. 캐쉬 메모리란 소정의 컴퓨터 프로세서에서 빈번히 처리되는 명령어나 데이터를 원활히 전송할 수 있도록 제작된 고속도의 특수 메모리를 의미한다. 메모리부(220)는 태그정보가 저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해당 태그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타이머부(250)는 태그 리딩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입력부(240)를 통해서 리딩 명령이 재입력되면, 제어부(230)는 타이머부(250)에서 카운팅된 시간이 기 설정된 유효 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 유효 시간 이하라면, 제어부(230)는 해당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독출하여 사용한다.
반면에 유효 시간 초과라면 제어부(230)는 해당 태그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RF-ID 리더부(210)를 제어하여 RF-ID 태그를 다시 리딩하여, 태그 정보를 재검출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230)는 태그 정보가 유효한 경우 태그 정보의 유효 정도 (validation degree)를 파악한다. 구체적으로는, 타이머부(250)에서 카운팅된 시간과 유효 시간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유효 정도를 파악한다. 즉, 유효 시간이 5초라고 가정하면, 카운팅된 시간이 1초인 경우에는 매우 유효한 태그 정보라고 파악하고, 카운팅된 시간이 5초라면 상대적으로 덜 유효한 태그 정보라고 파악한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유효 시간과의 차이를 복수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에 대응되는 유효 정도를 태그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즉, 유효 시간과의 차이가 5~3sec 사이인 경우에는 양호, 3~2 sec 사이인 경우에는 보통, 2~0 sec 사이인 경우에는 불량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응되는 텍스트 메시지 또는 그래픽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태그 정보의 유효 여부를 거리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휴대용 디바이스는 RF-ID 리더부(310), 메모리부(320), 제어부(330), 입력부(340) 및 거리측정부(350)를 포함한다.
거리측정부(350)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태그 리딩 지점부터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거리측정부(350)는 GPS 위치 판독기기등을 이용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비교하여 이동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리딩 명령에 따라 RF-ID 태그 리딩이 이루어지면 리딩이 이루어진 지점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320)에 저장하여 둔다. 그러한 상태에서 리딩 명령이 재입력되면 이전 지점과 현지 지점과의 이동 거리가 유효 거리 이하인지 여 부를 확인하여 태그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유효 거리를 초과하였다면 태그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리딩 작업을 새로이 수행하고, 유효 거리 이하라면 저장된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저장된 태그 정보를 그대로 활용한다.
이 경우에도 태그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는 유효 정도를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유효 거리가 5m라고 가정하면, 이동 거리가 1m인 경우 유효거리와의 차이는 4m가 된다. 반면, 이동 거리가 4.5m라면 유효 거리와의 차이는 0.5m가 된다. 제어부(330)는 유효 거리와의 차이를 복수 구간으로 구분하여 해당 구간에 대응되는 유효 정도를 태그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즉, 유효거리와의 차이가 5~3m사이인 경우에는 양호, 3~2m 사이인 경우에는 보통, 2~0m 사이인 경우에는 불량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응되는 텍스트 메시지 또는 그래픽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350) 및 제어부(3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의 동작은 도 3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휴대용 디바이스는 RF-ID 리더부(410), 메모리부(420), 제어부(430), 입력부(440), 타이머부(450), 거리측정부(460), 통신부(470) 및 디스플레이부(480)를 포함한다.
RF-ID 리더부(410), 메모리부(420), 제어부(430), 입력부(440), 타이머부(450), 거리측정부(460)의 작용은 도 3 및 도 4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470)는 소정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470)는 블루투스, 무선랜(WLAN), 초광대역통신(UWB) 규격에 따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ID 태그로부터 태그정보가 검출되면,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서버로 데이터 요청 패킷을 전송한다. 서버는 데이터 요청 패킷에 따라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소정 데이터를 통신부(470)로 전송한다. 서버는 각 태그 제조업체가 운영하는 웹서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해당 태그가 부착된 제품에 대한 가격 정보, 제조회사 정보, 유효 기한 정보, 취급상 주의 사항 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80)는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47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430)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태그 정보가 검출되면,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 해당 데이터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창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RF-ID 태그는 소형, 저가격으로 구현되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는 하드웨어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RF-ID 태그에는 최소한의 태그 고유 정보만을 저장하여 두고, 그 외의 다양한 데이터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80)는 제어부(430)에서 파악된 유효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텍스트 메시지 또는 그래픽 이미지도 태그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유효 정도 파악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 따르면 RF-ID 리더부(110, 210, 310, 410), 메모리부(120, 220, 320, 420), 제어부(130, 230, 330, 430)는 하나의 휴대용 디바이스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RF-ID 리더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RF-ID 리더부(110, 210, 310, 410)는 그 자체로 별개의 리더 칩으로 구현되고, 제어부(130, 230, 330, 430)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더 칩이 휴대용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부(120, 220, 320, 4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리더 칩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휴대용 디바이스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외부 리더 칩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외부 리더 칩(510)은 RF-ID 리더부(511) 및 메모리부(512)를 포함하며, 휴대용 디바이스(520)에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리더 칩(510) 및 휴대용 디바이스(520) 간의 연결은 USB 인터페이스, 패러랠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리더 칩(510)이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용 디바이스(520)에 구비된 각종 입력 수단을 통해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독 거리 내의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검출한다. 검출된 태그 정보는 휴대용 디바이스(520)에 마련된 각종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더 칩(510)에 마련된 메모리부(512)에 유효한 태그 정보가 저장 되어 있는 상태라면, 휴대용 디바이스(520)는 메모리부(512)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음은 상술한 실시 예들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 230, 330, 430)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제어부(130, 230, 330, 430)의 소프트웨어 구조는 RFID 리더 인터페이스(RFID Reader Interface : 710), RFID 리더 프로토콜(RFID Reader Protocol : 720), RFID 미들웨어(RFID Middleware : 730), RFID 어플리케이션(RFID Application : 740)으로 나눌 수 있다.
RFID 리더 인터페이스(710)는 RF-ID 리더부(110, 210, 310, 410)에서 검출된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RFID 리더 프로토콜(720)은 메모리부(120, 220, 320, 420)를 관리하여, 태그정보를 기록, 독출하고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유효시간 및 유효거리도 RFID 리더 프로토콜(720)에 의해 메모리부(120, 220, 320, 420)에 기록될 수 있다. RFID 미들웨어(730)란 RF-ID 리더부(110, 210, 310, 410)에서 검출한 태그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RFID 애플리케이션(740)과 연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RFID 어플리케이션(740)을 통해서 리딩 명령이 입력된 경우, 해당 RFID 어플리케이션(740)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검출한 후, 통신부(470) 등을 이용하여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소정의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태그정보와 함께 RFID 어플리케이션(740)에 제공한다. RFID 어플리케이션(740)은 RFID 미들웨어(730)를 통해 전달된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RF-ID 태그 리딩 방 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RF-ID 태그에 대한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S810), 주변 가독 거리 내의 RF-ID 태그를 리딩하여 태그정보를 검출한다(S820). 다음으로, 검출된 태그정보를 저장한 후(S830),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하게 된다(S840).
이러한 상태에서, 리딩 명령이 재입력되면(S850), 태그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시간 또는 거리를 기준으로 태그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태그 정보의 이전 검출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 경과된 시간이 유효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50). 유효시간 이하라면 저장된 태그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해당 태그 정보를 그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하게 된다(S890).
반면, 유효시간 초과라면, 다시 유효거리 초과 여부를 판단한다(S870). 유효 거리 이하라면 저장된 태그 정보를 그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하며(S890), 유효 거리 초과라면 RF-ID 태그를 리딩하여 태그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새로이 검출된 태그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하게 된다(S880).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RF-ID 태그 리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RF-ID 태그 리딩 명령이 입력되어(S910), 태그정보 검출이 이루어지면(S920), 검출된 정보를 저장한다(S930).
다음으로, 검출된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소정의 서버로부터, 검출된 태그정보 에 대응되는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S940). 이에 따라,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950).
이 후에, 리딩 명령이 재입력되면(S960), 유효시간 초과여부(S970), 유효거리 초과여부(S975)를 판단하여 RF-ID 태그를 다시 리딩하거나(S980), 기 저장된 태그정보를 독출하게 된다(S985). 리딩 명령 재입력 이후의 과정은 도 8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과적으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990).
한편, 도 8 및 도 9의 실시 예에서는 유효시간 뿐만 아니라 유효거리까지 고려하여 태그정보의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구현하고자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유효시간이나, 유효 거리 중 하나만을 고려하여 태그정보 재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 검출한 태그정보를 저장한 후, 태그정보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유효 시간 및 유효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태그정보의 재검출 여부를 판단하여, 불필요한 태그정보 검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재검출에 따른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태그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 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34)

  1.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검출하는 RF-ID 리더부;
    상기 RF-ID 리더부에서 검출된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태그정보가 유효한 상태에서 상기 RF-ID 태그에 대한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태그정보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 대한 리딩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RF-ID 태그에 대한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RF-ID 리더부를 제어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검출된 태그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태그정보와 중복되면 상기 재검출된 태그정보를 폐기하고, 중복되지 않으면 상기 재검출된 태그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태그 정보의 유효 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태그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정도에 대응되는 메시지 및 상기 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정보가 검출된 시점부터 소정의 유효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한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부가 상기 태그정보를 검출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 운팅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유효시간을 초과하였다면 상기 리딩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재검출하도록 상기 RF-ID 리더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유효 시간 이하라면 상기 리딩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유효 시간 이하라면, 상기 카운팅된 시간 및 상기 유효시간 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유효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가 상기 태그 정보가 검출된 지점부터 소정의 유효 거리 내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한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가 검출된 지점부터 상기 리딩 명령이 입력된 지점까지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유효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리딩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RF-ID 리더부를 제어하여 상기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재검출하며,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유효 거리 이하라면 상기 리딩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유효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거리 및 상기 유효거리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유효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태그정보를 검출한 시점 및 지점에 대한 정보를 부가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태그 정보가 저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저장된 태그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소정 시간 동안 가독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전(全)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딩 명령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RF-ID 태그의 태그정보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도록 상기 RF-ID 리더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8.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검출하는 RF-ID 리더부;
    상기 RF-ID 리더부에서 검출된 태그정보 및 상기 RF-ID 태그 리딩 작업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부가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태그정보 중 유효하지 않은 태그 정보를 선별하여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RF-ID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검출한 시간, 위치, 유효 시간, 유효 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정보 중 상기 태그 정보 검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상기 유효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및, 상기 부가 정보 중 상기 태그 정보 검출 위치로부터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효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태그 정보가 비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1. 휴대용 디바이스의 RF-ID 태그 리딩 방법에 있어서,
    (a)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기 검출되어 저장된 태그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면, 상기 저장된 태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c) 상기 태그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RF-ID 태그를 리딩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d) 상기 검출된 태그정보가 기 저장된 태그정보와 중복되면 상기 재검출된 태그정보를 폐기하고, 중복되지 않으면 상기 재검출된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태그 정보가 검출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태그정보를 검출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카운팅된 시간 및 소정의 유효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유효시간 이하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유효 시간 초과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비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카운팅된 시간 및 상기 유효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의 유효 정도를 파악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태그 정보가 검출된 지점으로부터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태그정보가 검출된 지점부터 상기 리딩 명령이 입력된 지점까지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거리가 소정의 유효 거리 이하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유효 거리 초과라면 상기 태그 정보가 비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거리 및 상기 유효 거리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 정보의 유효 정도를 파악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를 검출한 시점 및 지점에 대한 정보를 부가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가 저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저장된 태그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가독 거리 내에 존재하는 전(全)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3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딩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RF-ID 태그의 태그정보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리딩 방법.
KR1020060011156A 2005-03-14 2006-02-06 Rf-id 태그 정보를 캐싱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방법 KR101185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602006017178T DE602006017178D1 (de) 2005-03-14 2006-03-09 Tragbare vorrichtung zur zwischenspeicherung von rfid-etikettdaten und verfahren dafür
PCT/KR2006/000845 WO2006112608A1 (en) 2005-03-14 2006-03-09 Portable device for caching rf-id tag data and method thereof
CN2006800010204A CN101061493B (zh) 2005-03-14 2006-03-09 高速缓存rf-id标签数据的便携式装置及其方法
EP06716295A EP1859391B1 (en) 2005-03-14 2006-03-09 Portable device for caching rf-id tag data and method thereof
JP2008501806A JP4681646B2 (ja) 2005-03-14 2006-03-09 Rfidタグ情報をキャッシングする携帯用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
US11/374,186 US8125317B2 (en) 2005-03-14 2006-03-14 Portable device for caching RFID tag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1047 2005-03-14
KR1020050021047 2005-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923A true KR20060100923A (ko) 2006-09-21
KR101185378B1 KR101185378B1 (ko) 2012-09-24

Family

ID=3763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156A KR101185378B1 (ko) 2005-03-14 2006-02-06 Rf-id 태그 정보를 캐싱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81646B2 (ko)
KR (1) KR101185378B1 (ko)
CN (1) CN101061493B (ko)
DE (1) DE602006017178D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372B1 (ko) * 2006-10-31 2007-1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Nfc 전자태그 단말기의 정보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867717B1 (ko) * 2007-02-12 2008-11-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태그 메모리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처리 방법
KR100895674B1 (ko) * 2007-11-02 2009-05-07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캐쉬를 이용한 rfid 코드 해석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9096710A1 (ko) * 2008-01-29 2009-08-06 Bluebird Soft Co., Ltd. 리더기 및 그 태그 판독 방법
KR101007370B1 (ko) * 2008-12-17 2011-01-13 한국과학기술원 무전원 단말기 및 상기 무전원 단말기의 아이덴티피케이션 방법
KR101028395B1 (ko) * 2010-04-21 2011-04-13 (주)위즈앤테크 Usb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연동 시스템
WO2014062007A1 (ko) * 2012-10-17 2014-04-24 에이큐 주식회사 태그 횟수에 따라 정보를 달리 이용하는 단말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5067B2 (en) * 2007-07-27 2014-03-04 Lucom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localization and path identification based on RFID sensing
CN102073832B (zh) * 2009-11-24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固定式rfid阅读器及其数据存储方法
JP5962178B2 (ja) * 2012-04-26 2016-08-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媒体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999472B (zh) * 2012-12-03 2016-06-08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模组个性化参数传递方法及系统
CN104065400B (zh) * 2013-09-29 2016-08-10 上海飞聚微电子有限公司 一种rfid芯片的读计数方法及其装置
JP6413274B2 (ja) * 2014-03-20 2018-10-3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9282814B (zh) * 2017-07-21 2023-08-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和系统、定位系统布设方法、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50U (ko) * 1989-06-29 1991-02-19
JPH04311290A (ja) * 1991-04-10 1992-11-04 Toshiba Corp 無線媒体処理装置
JPH09224270A (ja) * 1996-02-15 1997-08-26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呼出用受信機
JPH10275208A (ja) * 1997-03-31 1998-10-13 Olympus Optical Co Ltd Icメモリカードおよびicメモリカード用情報表示装置
JP2001273226A (ja) * 2000-01-19 2001-10-05 Kaoru Watabe 有形物を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にリンクさせる装置および方法
JP4514880B2 (ja) * 2000-02-28 2010-07-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書籍の配送、返品および在庫管理システム
US6853294B1 (en) * 2000-07-26 2005-02-08 Intermec Ip Corp. Networking applications for automated data collection
JP2003256669A (ja) * 2002-02-28 2003-09-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ユビキタス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情報サービス提供方法、ローカルサーバ、ローカルサーバの情報サービス提供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3317040A (ja) 2002-04-18 2003-11-07 Smart Card Technologies:Kk 省電力型rfidカードリーダライター
JP2004005251A (ja) * 2002-05-31 2004-01-08 Casio Comput Co Ltd 携帯機器、所持品管理処理プログラム
JP4244729B2 (ja) 2003-03-31 2009-03-25 コクヨ株式会社 収納具
JP4271995B2 (ja) * 2003-06-06 2009-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非接触式個体識別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372B1 (ko) * 2006-10-31 2007-1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Nfc 전자태그 단말기의 정보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867717B1 (ko) * 2007-02-12 2008-11-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태그 메모리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처리 방법
KR100895674B1 (ko) * 2007-11-02 2009-05-07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캐쉬를 이용한 rfid 코드 해석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9096710A1 (ko) * 2008-01-29 2009-08-06 Bluebird Soft Co., Ltd. 리더기 및 그 태그 판독 방법
KR101007370B1 (ko) * 2008-12-17 2011-01-13 한국과학기술원 무전원 단말기 및 상기 무전원 단말기의 아이덴티피케이션 방법
KR101028395B1 (ko) * 2010-04-21 2011-04-13 (주)위즈앤테크 Usb 메모리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 연동 시스템
WO2014062007A1 (ko) * 2012-10-17 2014-04-24 에이큐 주식회사 태그 횟수에 따라 정보를 달리 이용하는 단말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7178D1 (de) 2010-11-11
JP4681646B2 (ja) 2011-05-11
KR101185378B1 (ko) 2012-09-24
CN101061493A (zh) 2007-10-24
JP2008533610A (ja) 2008-08-21
CN101061493B (zh)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378B1 (ko) Rf-id 태그 정보를 캐싱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방법
EP1859391B1 (en) Portable device for caching rf-id tag data and method thereof
US20090221240A1 (en) Low power device activated by an external near-field reader
JP4090808B2 (ja) 近接トランザクション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690296B1 (ko) 휴대용단말기에서 알에프아이디 태그의 정보를 변경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8305393A (ja) 位置認識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位置認識方法
CN106503986B (zh) 虚拟资源转移方法及装置
US10488977B2 (en) Content display apparatus, program,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EP2866187B1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NFC data
US20060206343A1 (en)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20068646A (ko)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고유번호 인식 방법 및 장치
EP27092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Transmission/Reception in a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5533420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096497B2 (ja) 通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N110062930B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
JP2009231868A (ja) 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KR101212182B1 (ko) 알에프 카드 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
WO2016110976A1 (ja) 携帯端末、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方法、プログラム
JP4927409B2 (ja) Rfidリーダ補助装置及びrfidリーダ
JP6065057B2 (ja) 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76546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79576A (ko) 근거리 필드 통신 기반 모바일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적으로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CN116454592A (zh) 结合定位信息的自动控制天线切换装置、方法及设备
KR101020056B1 (ko) 알에프아이디 검출 차단 방법
JP2008158888A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