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576A - 근거리 필드 통신 기반 모바일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적으로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필드 통신 기반 모바일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적으로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9576A
KR20240079576A KR1020220162622A KR20220162622A KR20240079576A KR 20240079576 A KR20240079576 A KR 20240079576A KR 1020220162622 A KR1020220162622 A KR 1020220162622A KR 20220162622 A KR20220162622 A KR 20220162622A KR 20240079576 A KR20240079576 A KR 20240079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short
field communication
card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원
김정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95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한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 기반 결제를 위한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이 설치된 물리적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표시 기준 위치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거리 필드 통신 기반 모바일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적으로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A MOBILE TERMINAL APPRATUS FOR PROVIDING MOBILE CARD INTERFACES BASED ON NFC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근거리 필드 통신 기반 모바일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적으로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부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이 탑재되면서 스마트폰 기반의 NFC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NFC 서비스 중 결제 서비스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NFC 기반의 결제 수단 데이터를 무선으로 발생시키고, 그 휴대용 단말기를 NFC를 지원하는 결제 단말의 NFC 표시 부분에 비접촉 인터페이스하여, 결제 단말에서 리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되고 있다. 무선으로 발생되는 동안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통상적으로 모바일 제시 카드가 표시되어 어떤 카드로 결제되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각 휴대용 단말기의 기종(예컨대, 제조사, 모델 등)마다, NFC 기반의 결제 수단 데이터를 무선으로 발생시키는 NFC모듈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다. 어떤 기종은 상단부에 NFC모듈을 배치하기도 하며, 다른 어떤 기종은 본체 중심부에 NFC 모듈을 배치하기도 하면, 어떤 기종은 하단부에 NFC모듈을 배치 하기도 하고, 어떤 기종은 NFC 모듈을 일측에 치우쳐 배치시키기도 한다.
NFC 규격 상 이론적으로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NFC모듈과 NFC 카드 간 비접촉 인터페이스가 가능하지만, 이동통신 규격이나 무선랜 규격에 따른 각종 무선 주파수 소스를 내장한 스마트폰은 NFC모듈과 NFC 카드가 1cm 이내의 거리에서 유효하게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 자신이 소지한 기종의 NFC모듈이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알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느 위치를 결제 단말에 갖다대어야만 유효한 비접촉 인터페이스가 형성되는지를 알 수 없어, NFC 모듈 결제가 승인될 때까지 휴대용 단말기를 이리저리 움직여가면서 결제 단말의 NFC 표시 부분에 여러번 갖다 대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필드 통신(NFC) 모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모바일 제시 카드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가변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어느 부분을 결제 단말에 갖다 대어야 하는지를 직관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결제 단말과의 인식율을 높이고 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한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 기반 결제를 위한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이 설치된 물리적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표시 기준 위치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한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 기반 결제를 위한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카드 인터페이스 구성부;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이 설치된 물리적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위치 정보 관리부;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표시 기준 위치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이 설치된 물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표시 기준 위치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필드 통신(NFC) 모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모바일 제시 카드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가변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어느 부분을 결제 단말에 갖다 대어야 하는지를 직관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결제 단말과의 인식율을 높이고 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필드 통신 결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 출력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휴대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결제 단말"이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이외에는, 일반적인 IC 카드 리더나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를 이용하여 고객의 카드로부터 리딩되는 카드 정보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OS 단말기 또는 CAT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매시점 관리를 위한 POS 고유 기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구비한 고객 카드를 통한 전자결제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결제 단말이 예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필드 통신 결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 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이메일 메시지 등의 각종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셀룰러 폰 또는 스마트 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등의 IP(Internet Protocol) 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결제 단말(200)로 근거리 필드 통신(NFC)기반의 결제 수단 정보를 제공하며, 결제 단말(200)은 근거리 필드 통신(NFC) 수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결제 단말(200)은, 통상적으로 근거리 필드 통신(NFC) 수신부를 외관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근거리 필드 통신(NFC) 수신부에 갖다댐으로써, NFC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 수단 정보는, 신용 카드 식별 정보, 체크 카드 식별 정보,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암호화된 결제 토큰 정보, 사전 등록된 결제용 사용자 생채 정보 등 사전 등록된 다양한 결제 수단 정보가 예시될 수 있다.
결제 단말(200)은 별도의 가맹점 식별 정보가 부여되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수단 정보와,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 상품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결제 서버로 전송하고, 결제 서버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응답전문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통상의 결제 단말이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출력을 제어함에 따라,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을 결제 단말(200)의 NFC 수신부에 정확하게 갖다 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제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100)는,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한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 기반 결제를 위한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이 설치된 물리적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표시 기준 위치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결제 수단 정보 관리부(140),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 카드 인터페이스 구성부(160), 출력부(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 5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의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입력부(130)는 다양한 버튼의 형태, 출력부(17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센서, 디스플레이부 표면에 직접 접속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수신하는 근접 센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출력부(170)는, 사용자 입력 및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따라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 동작에 따라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 화면 및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는 결제를 위한 카드 아이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7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8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저장부(18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결제 정보 어플리케이션, 카드 등록 정보,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 구동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8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결제 정보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각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수단 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전 등록된 결제 수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제 수단 정보는 신용 카드 식별 정보, 체크 카드 식별 정보, 카드 정보에 대응하여 암호화된 결제 토큰 정보, 사전 등록된 결제용 사용자 생채 정보 등 사전 등록된 다양한 결제 수단 정보가 예시될 수 있다. 결제 수단 정보 관리부(140)는, 이러한 결제 수단 정보를 암호화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저장부(180)는 결제 수단 정보를 암호화하여 관리하는 별도의 보안 메모리를 내부에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각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근거리 필드 통신(NFC)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출력부(170)의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상대적 좌표 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좌표가 FHD 해상도에 따라 가로 1920 픽셀, 세로 1080 픽셀로 구성된 경우,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는 (200, 300) 픽셀 좌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는 사전 설정된 분류 코드에 따른 영역 정보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영역 정보는 좌상단=1, 상단=2, 우상단=3, 좌중단=4, 중단=5, 우중단=6, 좌하단=7, 하단=8, 우하단=9 등의 분류 코드 값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물리적 위치 정보는 분류 코드 값에 매핑되어 복잡한 연산 없이 보다 간단히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위치 정보의 설정에 따라, NFC 모듈의 정확한 위치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상대적 위치 좌표로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방향에서의 위치 좌표로서 결정되므로, 후면에 위치한 NFC 모듈의 물리적 위치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정확하게 인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이러한 물리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기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기 정보를 사전 저장된 매핑 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NFC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핑 테이블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조시에 미리 저장부(180)에 저장되거나, 별도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기 정보를 상기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고 잇는 외부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미리 저장된 물리적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캘리브레이션함에 따라 예측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신호 변화에 따른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은 자기장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신호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장 센서 모듈에서 센싱되는 자기력 정보 변화에 따라,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별도의 물리적 위치가 지정된 자기장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무선 신호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자기력의 강도 정보 또는 자속 밀도 정보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이 자기장 센서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격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자기장 센서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은 복수의 무선 통신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며,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신호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안테나 모듈에서 센싱되는 신호 세기 변화에 따라,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별도의 물리적 위치가 지정된 무선 통신 안테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안테나 모듈은, 예를 들어, 각 파장, 위상 및 지원 신호가 상이한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는 바, GPS 안테나, 3G 안테나, 4G 안테나, 5G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와이파이 안테나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단 또는 하단 끝부분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무선 신호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정보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이 각 안테나 모듈 위치 중 어느 안테나와 가까운지, 어느 정도 이격되었는지를 예측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위치 정보 관리부(150)는, 안테나 모듈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인터페이스 구성부(160)는,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하는 실물 카드 형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출력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형태 또는 위치를 가변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중심 좌표를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매칭 이동시켜, 상기 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 기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동작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된 표시 동작에 따라, 상기 표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팝업시키는 동작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NFC 모듈이 디스플레이 중앙 영역에 위치한 경우, 측면 영역에 위치한 경우 등의 각 표시 기준 위치로부터, 각각의 설정된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팝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팝업 동작은,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표시 기준 위치로부터 소형의 제1 크기로 팝업하여, 대형의 제2 크기로 확대시키는 동작이거나,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표시 기준 위치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표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일 측면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동작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팝업 후 일정 시간 동안 결제 수단 정보의 결제 완료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바,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1차 결제 실패로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부가 가이드 동작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가이드 동작은,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가이드 동작은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일측을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따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동작,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따라 재팝업 또는 재슬라이딩 시키는 동작, 상기 표시 기준 위치를 화살표 가이드 등으로 가이드 가이드하는 동작,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NFC 모듈 그래픽을 중첩 표시하는 동작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에 따라, 제어부(110)는 출력부(170)를 통해 NFC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식의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 가변을 처리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 방향으로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100)를 결제 단말(200)에 근접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정확한 NFC 모듈 위치가 결제 단말(200)의 NFC 수신부에 밀착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NFC 모듈 위치 정보를 직접적으로 인지하지 않아도 되며, 자연스럽게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표시된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 방향으로 그 제시 방향이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가변 출력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시 방향이 유도되면서, 이에 대응하는 정확한 NFC 모듈 위치가 결제 단말(200)의 NFC 수신부에 밀착되도록 유도되는 바, 결제 인식율이 자연스럽게 향상되며, 사용자의 결제 편의성 또한 증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100)는,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S101).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NFC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 및 표시 동작을 결정한다(S103).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결정된 표시 기준 위치 및 표시 동작에 따라,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하여 출력한다(S105).
이후, 일정 시간 경과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결제 실패 여부를 판단한다(S107).
만약 결제가 성공한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결제 완료를 처리하고, 통상 화면으로 복귀한다(S109).
만약 결제가 실패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NFC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부가 가이드 동작을 부여한다(S111).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NFC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먼저 저장부(180)에 저장된 NFC 모듈 위치 정보를 색인한다(S201).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색인 실패 여부를 확인한다(S203).
색인이 실패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NFC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며, 수행 결과에 따른 NFC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205).
그리고, 색인이 성공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NFC 모듈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07).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 출력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출력부(170)를 통해, 각 NFC 모듈의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기준 위치를 지정하고, 해당 표시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크기, 형태, 모양, 위치, 팝업 동작 등을 가변시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모듈이 상단에 위치한 경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단 위치에 팝업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모듈이 중단에 위치한 경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단 위치에 팝업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모듈이 좌상단에 위치한 경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상단 위치에 팝업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표시된 카드 위치의 방향으로 제시하라는 가이드 메시지가 함께 출력됨으로서,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자신의 기기를 결제 단말(200)의 NFC 수신부에 근접시킬 수 있으며, 높은 결제 인식율에 따른 결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기 위한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한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 기반 결제를 위한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이 설치된 물리적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표시 기준 위치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형태 또는 위치를 가변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하는 실물 카드 형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중심 좌표를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매칭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표시 동작에 따라, 상기 표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팝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기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위치 정보로부터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전 저장된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신호 변화에 따른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은 자기장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신호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장 센서 모듈에서 센싱되는 자기력 정보 변화에 따라,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은 복수의 무선 통신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신호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안테나 모듈에서 센싱되는 신호 세기 변화에 따라,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한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 기반 결제를 위한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카드 인터페이스 구성부;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이 설치된 물리적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위치 정보 관리부;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표시 기준 위치에 따라,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형태 또는 위치를 가변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결제 수단 정보에 대응하는 실물 카드 형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중심 좌표를 상기 표시 기준 위치에 매칭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동작을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결정된 표시 동작에 따라, 상기 표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제시 카드 인터페이스를 팝업시키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관리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기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위치 정보로부터 식별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관리부는,
    사전 저장된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캘리브레이션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관리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신호 변화에 따른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 캘리브레이션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은 자기장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 관리부는,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신호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장 센서 모듈에서 센싱되는 자기력 정보 변화에 따라,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 캘리브레이션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은 복수의 무선 통신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 관리부는,
    상기 근거리 필드 통신 모듈의 신호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안테나 모듈에서 센싱되는 신호 세기 변화에 따라, 상기 물리적 위치 정보를 예측 캘리브레이션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220162622A 2022-11-29 근거리 필드 통신 기반 모바일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적으로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KR20240079576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9576A true KR20240079576A (ko) 2024-06-05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445B1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결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570155B2 (en) Mobile terminal device,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for user in display area part not covered with RFID tag
CN107833045B (zh) 电子设备以及使用电子设备的交易方法
US119956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KR101330962B1 (ko) 결제 방식 선택을 위한 결제 디바이스 제어방법
US8302849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60144665A (ko) 객체 인식 및 데이터베이스 매칭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40236697A1 (en) Managing digital coupons
US101170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20160260080A1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107418A (ko) 전자 지갑을 활용한 결제 방법, 장치 그리고 시스템
US115569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96197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ducting transactions
US20180121017A1 (en) Content display apparatus, program,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KR20240079576A (ko) 근거리 필드 통신 기반 모바일 카드 인터페이스를 가변적으로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JP62256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08090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1037132B2 (en) Card-type device and payment method
KR20160141563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4582706B2 (ja) 表示システム、携帯端末、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2071537B1 (ko) 광학 및 근거리 복합 리더기
KR20130133494A (ko) 모바일 결제를 위한 방법, 이동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80100988A (ko) 사용 패턴에 따른 맞춤형 멤버십 카드 및/또는 쿠폰 추천을 위한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7158630B1 (ja) 位置推定装置、位置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31662A (ja) 電子スタンプシステム、電子スタンプ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