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940A - 최적상태 촬상 카메라 - Google Patents

최적상태 촬상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940A
KR20060095940A KR1020067004102A KR20067004102A KR20060095940A KR 20060095940 A KR20060095940 A KR 20060095940A KR 1020067004102 A KR1020067004102 A KR 1020067004102A KR 20067004102 A KR20067004102 A KR 20067004102A KR 20060095940 A KR20060095940 A KR 20060095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nitor
print
specific shap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949B1 (ko
Inventor
히데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5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전자 카메라는 피사체에 대한 모니터 화상들을 순차적으로 취득하여 분석하고, 인쇄/사진 화상을 나타내는 특정 형상이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검색수단과, 특정 형상이 모니터 화상들내에 포함되었다는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특정 형상을 포함하는 모니터 화상들을 인쇄/사진 화상에 대한 후보로서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한다. 저장된 모니터 화상내의 문자 인식율이 저장된 화상의 화질 수치로서 이용된다. 또 다른 화질 수치로서는, 화상내의 백색 직사각형의 크기가 있다.
촬상부, 피사체, 카메라, 메모리.

Description

최적상태 촬상 카메라 {OPTIMAL-STATE IMAGE PICKUP CAMERA}
본 발명은 전자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인쇄/사진물과 같은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기록하고, 이것을 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문자, 도형 및 이미지를 포함한 인쇄/사진의 화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전자 카메라가 알려져 있다. 상기 카메라는, 촬영되어질 피사체를 위에 위치시키는 스탠드에 암(arm)부를 통하여 장착되는 본체를 가지며, 피사체와 카메라 본체를 움직이지 않으면서 피사체의 촬영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일본 공개특허 (KOKAI) H10-229515 참조).
또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서 명함, 엽서, 카탈로그, 간판 또는 게시판 등에 적혀있는 문자를 촬영하여 취득한 문자 화상의 변형을 보정하기 위해서, 비-변형된 직사각형 화상을 제공하도록 사각형의 화상을 추출하여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공개공보 (KOKAI) 제2003-58877호 참조).
그러나, 상기 일본 공개특허 H10-229515에서 개시된 카메라는, 피사체 화상의 촬영위치를 이동하게해주는 이동 부재가 필요하기때문에, 카메라 전체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또한, 비-변형된 직사각형 화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사각형의 변형 화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언급하고 있는 상기 일본 특허 공개공보 (KOKAI) 제2003-58877호에서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촬영된 화상의 보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래의 직사각형의 화상이 최적상태에서 촬영되지 않은 경우, 즉 촬영된 화상이 너무 작거나 부분적으로 흠결이 있는 경우, 이것들을 재손질하더라도 바람직한 문자화상을 얻어낼 수가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명함을 촬영한 촬상 상태가 안 좋은 경우, 명함에 인쇄된 문자들이 선명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명함의 전체 프레임은 직사각형으로 추출될 수 없다. 따라서, 명함의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렌즈의 방향을 미세조정하면서 줌 인/아웃 조작을 실행하는 등의 주의를 요하는 조작들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사용자에게 크나큰 부담을 주게 된다.
한편, 명함, 엽서, 카탈로그, 간판 및 게시판 등에 인쇄되어 쓰여진 문자 화상과 같은 피사체상을 사용자가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 화상을 최적인 상태로 프레임 화상내에 담아내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비록, 문자가 보다 선명하게 읽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피사체 화상을 큰 사이즈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일부가 화상 프레임 밖으로 돌출하여 없어져 버리게되므로, 이와 같은 피사체 화상을 촬영하는 것은 의미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들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모니터 표시화면을 들여다보면서 줌 배율과 촬영방향을 최적으로서 조정한 후에 셔터를 조작할 것이다. 하지만, 서로 다른 크기의 문자들이 피사체상에 인쇄되거나 적혀져 있는 경우, 모든 문자 화상들이 촬영되도록 줌 배율과 촬영방향을 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힘들다. 즉, 이 점에 있어서, 촬영 실패의 가능성이 크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형상을 갖는 인쇄/사진물의 화상을 포함한 모니터 화상을 쉽게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에 대한 모니터 화상을 순차적으로 획득하여 분석하고, 이 모니터 화상내에 인쇄/사진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특정 형상이 포함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검색수단; 및
모니터 화상내에 상기의 형상이 포함되고 있다는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인쇄/사진 화상에 대한 후보로서, 상기 형상을 포함하는 모니터 화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카메라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구성부분으로서 포함되고 있으며, 상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될 실시예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해 주는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용이하게 이해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카메라 촬상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촬영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 실행 개시되는 디지털 정지 카메라의 전체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의 일부분이다;
도 4는 도 3에 이어지는 순서도의 두번째 부분이다;
도 5는 도 4에 이어지는 순서도의 세번째 부분이다;
도 6은 도 5에 이어지는 순서도의 네번째 부분이다;
도 7은 최선 화상 특정 처리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 7에 대응되는 순서도이다.
동일 참조번호들은 첨부된 도면들내에서 다양한 모습을 취하고 있는 동일 부분들을 가리키는데에 이용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또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는, 예를 들어, 상담회, 설명회 및 심의회와 같은 회사내의 비지니스 미팅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디지털 정지 카메라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문자, 도형 및 이미지 등이 그 위에 인쇄되거나 쓰여져 있는 각종의 서류 자료, 명함, 엽서, 카탈로그 및 게시판 등의 인쇄/사진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뿐만이 아니라, 카메라는 인물이나 풍경과 같은 일반적인 피사체 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일반적인 카메라로도 사용가능하다.
본 카메라의 특징은, 카메라 촬영 상태를 미세하게 수동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피사체 상에 대하여 수동적으로 렌즈의 방향, 줌 배율 및 초점 을 미세 조정하는 것 없이, 인쇄/사진을 최적의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카메라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CPU(1)은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고정 메모리인 저장 장치(2)에 저장되는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와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따른 카메라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저장 장치(2)의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도 3 내지 도 7의 공정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응용 프로그램, 촬영 화상에 나타나게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 및 각종의 문자 패턴을 저장하는 문자 인식 사전이 저장된다. 각각의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는 작업 메모리(3)에 로드되고, 이 작업 메모리(3)내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저장 장치(2)에 저장된다. 기록 매체(4)는 저장 장치(2) 및/또는 작업 메모리(3)에/으로부터 프로그램 또는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DVD 와 같은 착탈식 메모리를 포함한다.
CPU(1)은 버스라인을 통해 입/출력 주변장치로서의 제어패널(5), 디스플레이(6) 및 촬상부(7)에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 명령에 따라 이러한 입/출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패널(5)은 셔터 버튼(51), 줌 버튼(52), 일반 모드와 인쇄/사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버튼(53)과 같이 각종의 기능 버튼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버튼들로부터 출력된 조작신호는 CPU(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6)는 터치패널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6)로서, 모니터, 파인더 또는 화상 재생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촬상부(7)는 촬상 렌즈와 거울을 차례로 포함하는 렌즈 거울 블럭; CCD 화상 센서 등의 촬상소자; 및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CPU(1)는 광학 줌 조작과 렌즈의 촬상 방향을 조정하고, 자동 초점 메카니즘과 셔터 메카니즘을 구동시키며, 노출을 제어한다.
도 2에서, 촬상부(7)는 촬상렌즈들(71), 촬상 제어(72)와 화상 프로세서(73)를 포함한다. CPU(1)는 촬상 제어(72)에 대하여 줌 구동 제어, 초점 구동 제어, 노출 구동 제어, 및 셔터 구동 제어를 제공한다. CPU(1)는 화상 프로세서(73)의 CCD 화상 센서로부터 화상 메모리(8)를 통하여 촬영된 화상을 포착하고, 기록매체(4)에 촬영된 화상을 저장한다.
모드 버튼(53)은 일반 모드와 인쇄/사진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일반 모드에서는, 인물이나 풍경과 같은 일반적인 피사체 상을 촬영한다. 인쇄/사진 모드에서는, 모니터 화상들이 순차적으로 촬영되며, 촬상 조건들(예를 들어, 광학 줌)이 엄격하게 미세조정되어 있지 않을지라도 최적 상태에서 촬영된 인쇄/화상을 포함한 모니터 화상들이 저장 후보로서 특정되어진다. 더 구체적으로, 인쇄/사진-처리 모드에서 모니터 화상들은 순차적으로 분석되고, 그런 다음 이들이 문자 화상을 포함하는 소정의 백색 형상(예를 들어, 직사각형)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됨으로써, 이들이 부합하는 인쇄/사진 화상들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인쇄/사진 화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소정 형상의 일 부분을 인쇄/사진 영역으로서 결정하고, 인쇄/사진 영역에 대한 문자 인식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각각의 촬상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의, 각 인쇄/사진 화상에 대한 문자 인식율이 측정된다. 문자 인식율이 가장 높은 인쇄/사진 화상을 포함하는 모니터 화상이 저장 후보로서 특정 된다. 문자 인식율은 인쇄/사진 화상에서 포함된 문자들 사이에 정상적으로 인식된 문자들의 수를 나타낸다. 만약 줌 배율이 높아지면, 문자 인식율은 증가되며, 그로 인해 좀더 작은 문자들이 정상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디지털 정지 카메라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순서도에서 기술된 카메라의 각 기능들은 CPU 판독가능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이 되며, 이 프로그램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이 순서대로 실행된다. 또한, 카메라는 전송 매체(미도시)를 통하여 외부적으로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에서, 우선, 촬상 스위치가 켜지면, CPU(1)은 초기에 일반 모드로 설정되며(단계 S1), 촬상부(7)로부터 피사체 상을 취득하여 이것을 화상 메모리(8)에 설정하고(단계 S2), 모니터에 피사체 상을 표시시킨다(단계 S3). 그 후, CPU(1)은 여러 버튼들 중 어느 임의의 버튼 하나가 조작되었는지를 검사한다(단계 S4). 버튼 동작이 없는 경우, CPU(1)는 단계 S2로 되돌아 가서 임의의 버튼이 조작될 때까지 기다린다. CPU(1)가 임의의 버튼 조작을 검출하게 되면, 어느 버튼이 조작되었는지, 즉, 모드 버튼(53)이 조작되었는지(단계 S5), 줌 버튼(52)이 조작되었는지(단계 S6), 또는 셔터 버튼(51) 혹은 다른 버튼이 조작되었는지(단계 S7)를 검출해 낸다.
만약, 줌 버튼(52)이 일반 모드 초기 설정에서 조작되었다면(단계 S6에서 YES), CPU(1)는 줌-인 또는 줌-아웃 동작에 따라 광학 줌을 구동시킨다(단계 S8). 그리고, 셔터버튼(51)이 조작되는 경우에(단계 S7에서 YES), CPU(1)는 셔터조작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화상 메모리(8)로부터 읽어내고, 직교 변환 시스템(또는 이산 코사인 변환)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압축시키고(단계 S9), 그런 다음에 이 압축된 데이터를 기록 매체(4)에 저장한다(단계 S10).
또한, 일반 모드에서 이와 다른 임의의 버튼 하나가 조작되면(단계 S7에서 NO), 이에 대응하는 공정처리가 실행되며(단계 S11), 그 후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하는 공정처리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 또한, 일반 모드에서 모드 버튼(53)이 조작되면(단계 S5에서 YES), 일반 모드로부터 인쇄/사진 모드로 모드 전환이 실행되며(단계 S12), 이에 따라 도 4의 단계 S21로 진행하고, CPU(1)는 인쇄/화상이 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도 4의 단계 S21-S23을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CPU(1)는 인쇄/사진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현재 모니터 화상을 촬상부(7)로부터 취득하여 메모리(8)에 현재 모니터 상을 저장한다(단계 S21). 그리고 나서, CPU(1)는 화상 메모리(8)내의 모니터 화상을 분석하고, 모니터 화상내에 특정 피사체 상의 영역(예를 들어, 백색의 직사각형 형상)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 이 경우, CPU(1)는 미리 설정된 (백색의 직사각형 형상내에 표시되는) 명함, 엽서, 카탈로그 및 게시판 등의 특정 피사체의 인쇄/사진 화상을 참조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인쇄/사진 화상 중의 어느 하나와 색깔과 형상이 일치되는 화상 부분이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23).
만약, 특정 피사체 (또는 인쇄/사진) 화상이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고 있다면(단계 S23에서 YES), CPU(1)는 저장장치(2)에 저장된 문자 인식 사전 및 프로그 램의 도움으로, 모니터 화상으로부터 문자 화상을 추출하여 인쇄/사진 화상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들을 인식한다(단계 S24). 그 후, CPU(1)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25). 이 경우, 모니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문자 화상에 큰 문자와 작은 문자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CPU(1)는 적어도 하나의 큰 문자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아니라면(단계 S25에서 NO), CPU(1)는 광학 줌의 현재 배율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그런 다음에, 배율이 현 시점에서 최대치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6).
만약 배율이 최대치인 경우라면, 광학 줌이 표준 줌 배율에 도달할 때 까지 줌 아웃되도록 자동 제어한다(단계 S28). 그런 다음, CPU(1)는 모드가 변경되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S29). 만약, 모드가 변경된 경우, 즉, 모드가 인쇄/사진 모드로부터 일반모드로 변경된 경우라면, 도 3의 단계 S2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변경되지 않은 경우라면, 단계 S21로 되돌아가서,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한 후에, 이것을 화상 메모리에 설정해둔다. 만약 줌 배율이 최대치가 아니라면, 줌 배율을 자동적으로 한 단계 증가시키도록 하고(단계 S27), 그런 후에 단계 S21로 되돌아가서,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한 후에, 이것을 화상 메모리에 설정해둔다. 그런 다음, 인쇄/화상 영역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문자화상이 정상적으로 인식될 때까지, CPU(1)는 상기의 단계 S21-S29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반복한다.
그 결과, 인쇄/화상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문자 화상이 인식되게 되면(단계 S25에서 YES), 도 5의 단계 S31로 가서, 화상 메모리(8)내의 모니터 화상을 작 업 메모리(3)의 제1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그 후,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한 후에, 이것을 화상 메모리에 설정해둔다(단계 S32). 그런 후, CPU(1)는 모니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모니터 화상을 화면표시하고, 또한, 이 모니터 디스플레이 화면과 다른 제2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상에 작업 메모리(3)의 제1메모리내에 저장된 화상을 화면표시한다(단계 S33).
그 후, CPU(1)는 임의의 조작이 수행되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S34). 만약, 줌 조작이 실행되면(단계 S35), CPU(1)는 줌 동작에 따라 줌 구동을 제어하며(단계 S36), 촬상부(7)로 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하고, 그런 다음 이것을 화상 메모리(8)에 설정해둔다(단계 S37). 그 다음에, 단계 S41로 간다. 모드 변환 조작이 실행이 되면(단계 S38에서 YES), CPU(1)는 인쇄/사진 모드로부터 일반모드로 모드를 전환시킨다(단계 S39). 그런 다음, 도 3의 단계 S2로 복귀한다. 만약, 임의의 조작이 실행되지 않을 때에는, 단계 S37로 가서,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하고, 그런 후 이것을 화상 메모리(8)에 설정해둔다.
그런 다음, 도 6의 단계 S41로 가서, CPU(1)는 상기와 같이 화상 메모리(8)내의 모니터 화상을 분석하여, (백색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나타나는) 특정 피사체 화상이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고 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S42). 만약, 특정 피사체 화상이 포함되고 있는 경우(단계 S42에서의 YES), 최적 상태로 촬영된 인쇄/사진 화상을 포함하는 모니터 화상을 최적의 화상으로서 특정하기 위한 최적 화상 특정 처리를 진행시킨다(단계 S43).
도 7은 최적 화상 특정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CPU(1) 는 화상 메모리(8)내에 설정되어 있는 모니터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문자를 인식하려고 시도한다(단계 S51). 만약, 문자를 인식하지 못하면(단계 S52에서 NO), 도 5의 단계 S40로 진행하여,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하고, 그런 후 이것을 화상 메모리(8)에 설정해둔다. 그런 다음, CPU(1)는 임의의 조작이 수행되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S34).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경우(단계 S52에서 YES), CPU(1)는 화상 메모리(8)내의 모니터 화상을 작업 메모리(3)의 제2메모리(미도시)로 저장한다(단계 S53). 그런 다음, CPU(1)는 작업 메모리(3)의 제1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을 판독하여,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된 모든 문자들을 인식하고, 문자 인식율(이후부터, 제1인식율로 표기함)을 계산한다(단계 S54). 이와 유사하게, 그런 다음, CPU(1)는 작업 메모리(3)의 제2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을 판독하여,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된 모든 문자들을 인식하고, 문자 인식율(이후부터, 제2인식율로 표기함)을 계산한다(단계 S55). 그런 다음, CPU(1)는 제1인식율과 제2인식율을 서로 비교하고, 인식률이 더 높은 것을 특정한다(단계 S56). 제1인식율이 제2인식율보다 더 낮다면(단계 S57에서 YES), CPU(1)는 제2 메모리내의 인쇄/사진 화상의 촬상상태가 제1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의 촬상 상태보다 더 나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2메모리에 현존하는 모니터 화상을 현 시점의 최적 화상으로서 제1메모리로 전송시키고, 이로써, 최적 화상의 내용을 재기록하여 업데이트한다(단계 S58). 그 후, CPU(1)은 제2 메모리의 내용을 지운다(단계 S59). 반대로, 제1인식율이 제2인식율보다 낮지 않다면(단계 S57에서 NO), CPU(1)는 제1 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의 촬상상태가 제2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의 촬상 상태보다 더 나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을 최적의 화상으로서 유지하면서 제2메모리의 내용을 지운다(단계 S59).
그런 다음, 도 5의 단계 S40으로 진행하여,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에서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하고, 이것을 화상 메모리(8)에 설정한 다음, 임의의 조작이 실시되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S34). 만약, 줌 조작이 실행되었다면(단계 S35), CPU(1)는 줌 조작에 따른 줌 구동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36). 그 후,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에서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하고, 이것을 화상 메모리(8)에 설정한다(단계 S37). 그런 후에, 도 6의 단계 S41로 진행하여, CPU(1)는 상기 단계 S41-S48을 되풀이한다. 그 결과, 제1인식율이 제2인식율보다 낮은 조건이 충족될때마다, CPU(1)는 제1메모리내의 최적 화상을 업데이트한다(단계 S58).
최적 화상이 업데이트되는 동안, 특정 피사체 화상을 나타내는 백색 직사각형이 줌 배율 및/또는 촬상 방향의 변화로 인하여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6에서의 단계 S42에서의 NO)에 있어서, CPU(1)는 제1메모리내의 최적화상을 판독하여, 이것을 모니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고(단계 S44), 그런 후, 최적 화상을 자동적으로 저장하는지를 문의하는 메세지를 표시한다(단계 S45). 여기서, "OK" 조작이 행해지면(단계 S46에서 YES), CPU(1)는 제1메모리내의 최적 화상을 실촬영 인쇄/사진 화상으로서 기록매체(4)에 기록하고(단계 S47), 그런 다음 제1메모리내의 최적 화상을 삭제한다(단계 S48). 반대로, 어떠한 명령들도 주어지지 않는 경우(단계 S46에서 NO), 도 5의 단계 S40로 진행하여,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에서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하여, 이것을 화상 메모리(8)에 설정하 고, 그런 후에 임의의 조작이 실행되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S34).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상태 변환 조작에 따라 인쇄/사진 화상의 촬상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CPU(1)는 촬상부(7)를 제어한다. 그런 다음, 각각의 인쇄/사진 화상들이 촬영되는 경우, CPU(1)는 촬상부(7)로부터 모니터 화상을 순차적으로 취득하면서 이 모니터 화상을 분석하고, 각 모니터 화상의 인쇄/사진 화상내에 포함된 문자들을 인식하고, 이 인쇄/사진 화상에 대한 각각의 문자 인식율을 계산하여 각각의 모니터 화상마다의 문자 인식율을 비교함으로써, 최적의 상태로 촬영된 인쇄/사진 화상을 특정하고, 이 인쇄/사진 화상을 포함하는 모니터 화상을 저장 후보로서 특정한다. 따라서, 특정 인쇄/사진 화상의 촬영 상태를 수동적으로 미세하게 조정하지 않을지라도, 최적 상태로 촬영된 인쇄/사진 화상이 저장 후보로서 특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록 크기가 서로 다르다하더라도, 모든 문자들이 선명하게 나타나보이는 인쇄/사진 화상을 저장할 최적의 화상후보로서 선택하고, 이것을 기록해 둘 수 있다.
이 경우, CPU(1)는, 현재 최적의 화상으로서 특정된 모니터 화상을 작업 메모리(3)의 제1메모리내에 임시 저장하고, 금번에 획득한 새로운 모니터 화상을 제2메모리내에 임시 저장한 후, 제1 및 제2메모리내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된 인쇄/사진 화상의 문자 인식율을 서로 비교한다. 여기서, 만약, 제2메모리내에 저장된 모니터 화상의 문자 인식율이 제1메모리내에 저장된 모니터 화상의 문자 인식율보다 더 높다면, CPU(1)는 보다 높은 인식율의 모니터 화상을 최적의 화상으로서 제1메모리의 내용에 재기록해둔다. 그런 다음, CPU(1)는 상기와 같은 조 작을 반복실시하는데, 이로써 모든 모니터 화상을 임시 저장하지 않아도, 현 시점에서의 최적 화상으로서 특정된 화상만을 저장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작업 메모리의 사용 용량 증대를 막고, 또한 다음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할 때까지의 오래된 최적 화상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됨으로써, 신규의 최적 화상을 특정하는 처리를 효율좋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최적 화상이 저장 후보로서 특정이 되면, 이 후보 화상은 모니터 화상과는 다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 시점에서 표시되는 모니터 화상과 최적 화상을 서로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줌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니터 화상을 분석함으로써 인쇄/사진 화상 영역이 모니터 화상으로부터 사라졌는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쇄/사진 화상 영역이 모니터 화상으로부터 사라진 경우에 사용자는 최적 화상을 저장 화상으로서 결정하고, 이것을 기록 매체(4)상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표시되는 최적 화상을 기록하는 명령을 내리면, 이 화상이 기록매체(4)에 최적 화상으로서 기록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희망하는 화상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도 8 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1) 각각의 모니터 상들의 인쇄/사진 화상의 문자들을 인식하고, (2) 각각의 인쇄/사진 화상들에 대한 문자 인식율을 계산하고, (3) 각각의 문자 인식율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그 결과 최적 화상을 특정하였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쇄/사진 화상 영역들의 각각의 크기들을 계 산하여, 이 크기들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최적의 화상을 특정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제 2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들을 위주로 하여 설명을 한다.
도 8과 도 9는 제 2 실시예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고, 이것은 제 1 실시예의 도 4와 도 7에 대응된다. 도 3,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동작은 제 2 실시예의 동작에서도 적용이 되며, 그것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모드가 일반모드로부터 인쇄/사진 모드로 변환되면, CPU(1)는 촬상부(7)로부터 인쇄/사진 모드에서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하고, 이 취득된 화상을 화상 메모리(8)에 저장한다(도 8의 단계 S61). 그 다음에, CPU(1)는 이 모니터 화상을 분석하고, 모니터 화상내에 특정 피사체 화상 (예를 들어, 백색 직사각형 형상)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단계 S62). 그리고 나서, CPU(1)는 이런 특정 피사체 (인쇄/사진) 화상이 발견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단계 S63).
만약, 이러한 특정 피사체 화상이 발견되지 않았다면(단계 S63에서 NO), CPU(1)는 모드의 변환여부를 조사한다(단계 S64). 모드가 인쇄/사진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변환된 경우, 도 3의 단계 S2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모드가 변환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1로 되돌아 가서,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한 후, 이것을 화상 메모리(8)내에 저장한다. 만약, 모니터 화상이 인쇄/사진 화상을 포함하고 있다면(단계 S63에서 YES), 도 5의 단계 S31로 진행하여,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CPU(1)는 화상 메모리(8)내의 모니터 화상을 제1메모리로 저장한다. 그 후,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한 후에, 이것을 화상 메모리에 설정해둔다(단계 S32). 그런 후, CPU(1)는 모니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화상 메모리(8)내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 화상을 화면표시하고, 또한, 제2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제1메모리내에 저장된 화상을 화면표시한다(단계 S33). 이 상태에서, 줌 조작이 수행이 되면(단계 S35에서 YES), CPU는 줌 조작에 따라 줌 구동을 제어하며(단계 S36),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하고 그 다음에 화상 메모리(8)에 모니터 화상을 설정한다(단계 S37). 그런 다음, 도 6의 단계 S41로 가서, CPU(1)는 모니터 화상내에 인쇄/사진 화상이 포함되고 있는 조건하에서, 도 9의 순서도에 따라 최선 화상 특정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43).
우선, CPU(1)은 화상 메모리(8)내에 있는 모니터 화상을 작업 메모리(3)의 제2메모리에 저장하고(단계 S71), 제1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을 판독하며, 그런 후, 모니터 화상내의 인쇄/사진 화상의 크기(이후부터는, 제1크기로 명칭됨)를 계산한다(단계 S72). 유사하게, CPU(1)는 작업 메모리(3)의 제2메모리내에 있는 모니터 화상을 판독하고 모니터 화상내의 인쇄/사진 화상 영역 크기(이후부터는, 제2크기로 명칭됨)를 계산한다(단계 S73). 그런 다음에, CPU(1)는 제1크기와 제2크기를 서로 비교하여, 크기가 큰 것을 특정한다(단계 S74). 여기서, 제1크기가 제2크기보다 작다면(단계 S75에서 YES), CPU(1)는, 제2메모리내에 있는 모니터 화상이 제1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보다 인쇄/사진 화상과 관련하여 촬영상태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을 현 시점에서 보다 우수한 화상으로서 제1메 모리로 전송함으로써, 전송된 모니터 화상으로 제1메모리를 재기록시킨다(단계 S76). 그런 후, CPU(1)는 제2메모리의 내용을 삭제한다(단계 S77). 이와 반대로, 제1크기가 제2크기보다 작지 않다면(단계 S75에서 NO), CPU(1)는, 제2메모리내에 있는 모니터 화상이 제1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보다 인쇄/사진 화상과 관련하여 촬영상태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 다음, CPU(1)는 제1메모리내의 모니터 화상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서 유지하고, 제2메모리의 내용을 삭제한다(단계 S77).
그런 다음, 도 5의 단계 S40로 가서, CPU(1)는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한 후에, 이것을 화상 메모리(8)에 설정해둔다. 줌 조작이 실행될 때마다(단계 S35), CPU(1)는 줌 조작에 따른 줌 구동을 제어하며(단계 S36), 촬상부(7)로부터 현 시점의 모니터 화상을 취득한 후에, 이것을 화상 메모리(8)내에 설정해둔다(단계 S37). 그 후에, 도 6의 단계 S41로 진행하여, 단계 S41-S48을 반복한다.
상기 설명한 대로,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게다가, 제 2 실시예에서는, CPU(1)가 모니터 화상을 분석함으로써 인쇄/사진 화상의 촬상 상태를 인식하게 되면, CPU(1)는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된 인쇄/사진 화상의 크기를 인쇄/사진 화상의 촬상 상태로서 인식하고, 이전과 현재의 상태에서의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된 인쇄/사진 화상들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최적 상태에서 촬영된 인쇄/사진 화상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CPU(1)는 인쇄/사진 영역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화상을 특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촬영될 피사체 화상에 대한 모니터 화상들은 순차적으로 분석된다. 만약, 특정 형상이 모니터 화상내에서 검색되어지면, 이 모니터 화상은 인쇄/사진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후보로서 자동적으로 저장이 된다. 결국, 인쇄/사진 화상을 포함한 화상은 쉽게 촬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 촬상 상태에서의 인쇄/사진 화상을 포함하는 모니터 화상이 저장된 모니터 화상들로부터 자동적으로 특정되어 항상 저장된다.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서는, 명함, 엽서, 카탈로그 및 게시판에서의 미리 설정된 형상들(예를 들이, 직사각형으로 나타나는 것들)과 배경색들을 참조하고, 이중 선택된 형상과 배경색들에 합치되는 모니터 화상의 화상부분을 인쇄/사진 화상 영역으로서 특정하였지만, 인쇄/사진 화상 영역의 다른 구성들을 인쇄/사진 화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인쇄/사진 화상 영역이 특정될 때에, 그 형상을 고려하여 인쇄/사진 화상영역내에 문자 화상이 포함되고 있는지를 판단하였지만, 인쇄/사진 화상에는 문자 이외에 기호, 도형 및 사진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서는, 최적 화상을 있는 모습 그대로 최종적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해두었지만, 보다 선명하게 판독되도록 하기위해서, 인쇄/사진 화상 영역에서 노이즈를 필터처리하는 필터처리와 그 후의 처리로서 인쇄/사진 화상의 색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색조 보정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상담회, 설명회 및 심의회와 같은 회사내의 비지니스 미팅에서 사용되는 각종의 서류 자료, 명함, 엽서, 카탈로그 및 게시판 등의 인쇄/사진의 화상을 촬영하는 용도로서 사용되는 휴대용 인쇄/사진 화상 촬상 카메라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프로젝터에서의 옵션으로서 인쇄/사진 스탠드에 암부를 통하여 부착되는 인쇄/사진 화상 촬상카메라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카메라는 백색칠판의 화상을 촬상하도록 프로젝터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또한 비지니스 미팅용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일반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최적 인쇄/사진 화상이 촬영된 경우에 상술한 기능들을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해독 가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예를 들어, CD-ROM, 플랙서블 디스크 또는 RAM 카드 등)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그 본질적인 기술사상을 일탈하는 것 없이 여러 변형된 실시모습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체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상세한 설명부분에 의해서 정해지기보다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내 또는 이와 등가적인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피사체에 대한 모니터 화상들을 순차적으로 취득하여 분석하고, 인쇄/사진 화상을 나타내는 특정 형상이 상기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검색수단; 및
    상기 특정 형상이 상기 모니터 화상들내에 포함되고 있다는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특정 형상을 포함하는 상기 모니터 화상들을 상기 인쇄/사진 화상에 대한 후보화상으로서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모니터 화상들을 비교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특정 형상을 포함하는 최적의 모니터 화상을 특정하는 수단; 및
    특정되지 않은 나머지 모니터 화상들을 삭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수단은, 상기 특정 형상내에 인식가능한 문자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특정 형상내에 포함된 문자들에 대한 인식율을 비교하고, 이로써 보다 높은 인식율의 문자들이 포함된 상기 특정 형상을 갖는 모니터 화상을 상기 최적 모니터 화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형상에는 백색 직사각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모니터 화상들내에 포함된 상기 특정 형상의 크기들을 서로 비교하고, 보다 큰 크기의 상기 특정 형상을 갖는 모니터 화상을 상기 최적의 모니터 화상으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화상들을 순차적으로 화면표시하는 제1모니터; 및
    상기 최적의 모니터 화상의 특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최적의 모니터 화상을 화면표시하는 제2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형상이 상기 모니터 화상으로부터 사라졌는지를 검출해내는 수단;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상기 최적 모니터 화상을 화면표시하는 수단; 및
    상기 화면표시수단에 의해 화면표시되는 상기 모니터 화상을 상기 인쇄/사진 화상에 대한 상기 후보화상으로서 기록 매체상에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카메라.
  9. 피사체에 대한 모니터 화상들을 순차적으로 취득하여 분석하고, 인쇄/사진 화상을 나타내는 특정 형상이 상기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형상이 상기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었다는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특정 형상을 포함하는 상기 모니터 화상들을 상기 인쇄/사진 화상에 대한 후보화상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컴퓨터로 하여금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프로그램.
  10. 피사체에 대한 모니터 화상들을 순차적으로 취득하여 분석하고, 인쇄/사진 화상을 나타내는 특정 형상이 상기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형상이 상기 모니터 화상내에 포함되었다는 판단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특정 형상을 포함하는 상기 모니터 화상들을 상기 인쇄/사진 화상에 대한 후보화상으로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모니터 화상들을 비교하고, 이로써 보다 우수한 특정 형상을 포함하는 최적의 모니터 화상을 특정하는 단계; 및
    특정되지 않은 나머지 모니터 화상들을 삭제하는 단계;를 컴퓨터로 하여금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프로그램.
KR1020067004102A 2004-07-09 2005-07-05 최적상태 촬상 전자카메라 KR100816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2912A JP4385873B2 (ja) 2004-07-09 2004-07-09 電子カメラ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4-00202912 2004-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940A true KR20060095940A (ko) 2006-09-05
KR100816949B1 KR100816949B1 (ko) 2008-03-25

Family

ID=3498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102A KR100816949B1 (ko) 2004-07-09 2005-07-05 최적상태 촬상 전자카메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14899B2 (ko)
EP (1) EP1769627B1 (ko)
JP (1) JP4385873B2 (ko)
KR (1) KR100816949B1 (ko)
CN (1) CN1842806A (ko)
TW (1) TWI281820B (ko)
WO (1) WO2006006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18B1 (ko) * 2004-09-01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선불카드를 이용한 통화서비스 실행방법
US20100294781A1 (en) 2007-04-27 2010-11-25 Mitsui Chemicals, In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obtained from the composition
US9208550B2 (en) * 2012-08-15 2015-12-08 Fuji Xerox Co., Ltd. Smart document capture based on estimated scanned-image quality
US9986140B2 (en) * 2013-11-21 2018-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tilizing metadata for automated photographic setup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9245B (sv) * 1991-10-07 1993-06-07 Televerket Anordning foer maetning av bildkvalitet med optisk moensterigenkaenning
JP2979109B2 (ja) * 1992-12-03 1999-11-15 日本アイ・ビー・エム 株式会社 認識文字の情報作成方法及び装置
JPH10229515A (ja) 1997-02-13 1998-08-25 Toshiba Corp 書画カメラ
US6310984B2 (en) 1998-04-09 2001-10-30 Hewlett-Packard Company Image processing system with image cropping and skew correction
JP2000047579A (ja) 1998-07-30 2000-0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地図データベース更新装置
JP2003058877A (ja) 2001-08-20 2003-02-28 Pfu Ltd 歪み補正方法、歪み補正装置および歪み補正プログラム
US6922487B2 (en) * 2001-11-02 2005-07-2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text images
US20030113015A1 (en) * 2001-12-18 2003-06-19 Toshiaki Tanaka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text information from moving image
JP2004023158A (ja) 2002-06-12 2004-01-22 Sharp Corp 画像撮像装置
US7149353B2 (en) * 2003-09-23 2006-12-12 Amazon.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suppression of features in digital images of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85873B2 (ja) 2009-12-16
KR100816949B1 (ko) 2008-03-25
US7714899B2 (en) 2010-05-11
EP1769627B1 (en) 2013-04-24
TW200607336A (en) 2006-02-16
WO2006006547A1 (en) 2006-01-19
CN1842806A (zh) 2006-10-04
JP2006025294A (ja) 2006-01-26
US20060007325A1 (en) 2006-01-12
EP1769627A1 (en) 2007-04-04
TWI281820B (en) 200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5619B2 (ja) 撮像装置、撮影条件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3424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80252753A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JP469707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664565B1 (ko) 디지털카메라
JP200704948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6094082A (ja) 画像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11378A (ja) 動画記録再生装置、動画記録装置、動画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16949B1 (ko) 최적상태 촬상 전자카메라
US765269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05323015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32301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4112550A (ja) 撮像装置、カメラ、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254604B2 (ja) 電子カメラおよびプログラム
JP4098889B2 (ja) 電子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4314953B2 (ja) 電子撮影装置、振動可能性警告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6585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2305676A (ja) 電子カメラ
JP4012471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6253761A (ja)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232682B2 (ja) 電子カメラ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05198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3298907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4032543A (ja) 画像判定方法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4215072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