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737A -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737A
KR20060091737A KR1020050012127A KR20050012127A KR20060091737A KR 20060091737 A KR20060091737 A KR 20060091737A KR 1020050012127 A KR1020050012127 A KR 1020050012127A KR 20050012127 A KR20050012127 A KR 20050012127A KR 20060091737 A KR20060091737 A KR 2006009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lever member
door
cap
fue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1737A/ko
Publication of KR2006009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3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유소에서 연료를 주입한 후 주유 작업원의 실수로 연료캡을 닫지 않는 경우 연료 도어가 닫혀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연료캡의 미장착 상태임을 인식하도록 하여 연료캡의 분실을 방지하고 연료의 누출에 따른 화재 및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료주입실을 개폐하는 연료도어와,
연료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구성하되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어 돌출하므로써 걸림작동되며, 운전석의 레버 당김 작동에 연동하여 도어의 잠금해제를 행하는 걸쇠기구와;
연료주입실내로 돌출한 연료주입구파이프를 개폐하는 연료캡으로 구성되는 연료필러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캡을 잠금시 연료캡에 의해 눌려져서 힌지축을 중심점으로 회동하는 제1레버부재와;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동 작동되고 또한 상기 제1레버부재에 의해 연동 작동되므로써 상기 제1레버부재가 눌려질 때에는 상기 걸쇠기구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1레버부재가 상승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걸쇠기구를 눌러 붙이도록 회동 작동하는 제2레버부재와;
상기 연료캡이 오픈될 때 상기 제1레버부재를 상승 회동시키도록 탄발 지지 하는 리턴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료도어, 연료캡, 제1레버부재, 제2레버부재

Description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Fuel filler do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의 연료캡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동상 장치의 연료캡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기술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도어 2 : 작동레버
3 : 걸쇠기구 4 : 스프링
5 : 연료주입구 파이프 6 : 연료캡
7 : 걸림편 8 : 연료주입실
9 : 벽면 10 : 힌지축
11 : 제1레버부재 12 : 제2레버부재
13 : 리턴스프링
본 발명은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의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행중 연료 탱크내의 연료가 고갈되면 주요소에 들러 연료를 보충하게 되는데, 연료탱크에의 연료 주입을 위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차체 측면에 설치된 연료 필러 도어 장치의 연료도어(1)를 열고(운전석에서 작동 레버(2)를 당겨주면 걸쇠(3)가 스프링(4)을 압축하면서 후퇴하여 연료도어(1)가 열려지게 됨) 연료주입구 파이프(5)의 연료캡(6)을 돌려 탈거 시킨 후 주유건을 연료주입구 파이프(5)에 밀어 넣고 연료를 주유하게 된다.
연료의 주입이 끝나면 주유 작업자는 연료캡(6)을 연료주입구 파이프(5)에 장착하고 연료도어(1)를 닫게 되면 걸쇠(3)가 걸림편(7)에 의해 후퇴하였다가 전진하여 연료도어(1)를 잠금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연료주입구 파이프(5)로부터 분리시킨 연료캡(6)은 통상 뒷 트렁크 상부에 올려 놓고 주유를 마친 후 다시 연료캡(6)을 주어서 연료주입구 파이프(5)에 체결하고 있어, 연료 주유원이 실수로 연료캡(6)을 닫는 것을 잊어버리고 연료 도어(1) 만을 닫고 차량을 출차시키는 일이 있어 연료캡(6)의 분실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연료 주입구 파이프를 통해 흘러 넘치게 되므로써 연료의 손실과 차체 및 대기의 오염을 가져오고 심하면 차량 화재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주유소에서 연료를 주입한 후 주유 작업원의 실수로 연료캡을 닫지 않는 경우 연료 도어가 닫혀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연료캡의 미장착 상태임을 인식하도록 하여 연료캡의 분실을 방지하고 연료의 누출에 따른 화재 및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주입실을 개폐하는 연료도어와, 연료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구성하되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어 돌출하므로써 걸림작동되며, 운전석의 레버 당김 작동에 연동하여 도어의 잠금해제를 행하는 걸쇠기구와; 연료주입실내로 돌출한 연료주입구파이프를 개폐하는 연료캡;으로 구성되는 연료필러도어장치에 있어서,상기 연료캡을 잠금시 연료캡에 의해 눌려져서 힌지축을 중심점으로 회동하는 제1레버부재와;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동 작동되고 또한 상기 제1레버부재에 의해 연동 작동되므로써 상기 제1레버부재가 눌려질 때에는 상기 걸쇠기구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1레버부재가 상승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걸쇠기구를 눌러 붙이도록 회동 작동하는 제2레버부재와;
상기 연료캡이 오픈될 때 상기 제1레버부재를 상승 회동시키도록 탄발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필러도어 연료캡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동상 연료 필러 도어장치의 연료캡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종래의 연료필러도어 장치와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며, 그들의 기능과 역할은 종래기술에서 상술되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면중 부호 1 내지 7은 각기 연료도어(1), 운전석 작동레버(2), 걸쇠기구(3), 스프링(4), 연료주입구파이프(5), 연료캡(6) 및 걸림편(7)이다.
연료주입실(8)내로 걸쇠기구(3)가 설치된 벽면(9)측에는 힌지축(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제1레버부재(11)가 설치되고, 제1레버부재(11)의 선단은 연료주입구 파이프(5) 외벽면까지 연장되어 연료캡(6)의 하단에 위치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부재(11)와는 꺽어진 각도를 이루도록 단일몸체를 형성하고 있어 제1레버부재에 연동하여 움직이게 되는 제2레버부재(12)가 힌지축(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연료캡(6)이 닫히 상태에서 제버부재(11)가 눌려진 상태하에서는 상기 제2레버부재(12)의 선단부가 상기 걸쇠기구(3) 및 걸림편(7)으로 부터 벗어난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부재(11)는 리턴스프링(13)에 의해 탄발지지되고 있어, 상기 연료캡(6)이 개방되면 제1레버재(11)가 상승 회동하게 되고, 이때 만일 연료도어(1)가 열려진 상태라면 상기 제2레버부재(12)가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걸쇠기구(3)를 눌러 후퇴시키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연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운전석 작동레버(2)를 당겼다 놓으면 걸쇠기구(3)가 스프링(4)를 압축하면서 후퇴하였다가 전진하게 되며, 순간 적으로 걸림 상태가 해제된 연료도어(1)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약간 회동하여 열려지게 된다.
그러면 주유 작업원이 연료도어(1)를 완전히 열어 젖히고 연료캡(6)을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 연료캡(6)은 종래와 같이 천장 위나 트렁크 위에 올려 놓아도 좋다.
이 연료캡(6)이 개방되면 리턴스프링(13)의 탄발에 의해 제1레버부재(1)와 제2레버부재(12)가 회동 작동하여 제2레버부재(12)가 걸쇠기구(3)를 밀어 붙이도록 벽면(9)측에 밀착하는 힘을 가하게 된다(도 2 참조).
연료의 주입이 끝난 후 연료캡(6)을 닫지 아니한 상태에서 연료도어(1)만을 닫고자 시도하게 되면, 연료도어(1)의 걸림편(7)이 제2레버부재(12)의 안쪽에 위치하여 아무런 걸림 작용이 일어나지 아니하므로 닫혀지지 않게 되고 다시 열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료도어(1)가 닫혀지지 않은 것을 보고 주유 작업원은 연료캡(6)이 연료주입구파이프(5)에 장착되지 아니하였음을 깨닫고 천장이나 뒷 트렁크 위에 올려 놓은 연료캡(6)을 집어 연료주입구파이프(5)에 닫게 되는 것이다.
이 연료캡(6)이 닫히게 되면 제1레버부재(11)가 리턴터스프링(13)을 압착하면서 눌려지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제2레버부재(12)가 안쪽으로 회동하여 벽면(9)으로부터 머리 떨어지게 되므로써 누름력이 해제된 걸쇠기구(3)가 스프링(4)의 탄발력에 의해 돌출되어 지게 되며, 이에따라 연료도어(1)를 닫게되면 걸림편(7)이 걸쇠기구(3)를 밀고 들어가 걸쇠기구(3)가 일시 후퇴하였다가 전진하여 걸림편(7) 에 끼어 들어가 잠금하므로써 연료도어(1)가 닫힘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연료캡이 닫혀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료도어가 닫혀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연료 주유원이 연료캡을 닫지 않고 출차시키는 일이 방지되어 연료캡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연료 누설에 의한 화재나 대기 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료주입실을 개폐하는 연료도어와, 연료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구성하되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어 돌출하므로써 걸림작동되며, 운전석의 레버 당김 작동에 연동하여 도어의 잠금해제를 행하는 걸쇠기구와; 연료주입실내로 돌출한 연료주입구파이프를 개폐하는 연료캡;으로 구성되는 연료필러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캡을 잠금시 연료캡에 의해 눌려져서 힌지축을 중심점으로 회동하는 제1레버부재와;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동 작동되고 또한 상기 제1레버부재에 의해 연동 작동되므로써 상기 제1레버부재가 눌려질 때에는 상기 걸쇠기구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1레버부재가 상승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걸쇠기구를 눌러 붙이도록 회동 작동하는 제2레버부재와; 상기 연료캡이 오픈될 때 상기 제1레버부재를 상승 회동시키도록 탄발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
KR1020050012127A 2005-02-15 2005-02-15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 KR20060091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127A KR20060091737A (ko) 2005-02-15 2005-02-15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127A KR20060091737A (ko) 2005-02-15 2005-02-15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737A true KR20060091737A (ko) 2006-08-22

Family

ID=3759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127A KR20060091737A (ko) 2005-02-15 2005-02-15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17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69875C2 (ru) * 2007-07-28 2012-12-20 Джи Эм Глоубал Текнолоджи Оперейшнз, Инк. Узел откидной крышки резервуар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69875C2 (ru) * 2007-07-28 2012-12-20 Джи Эм Глоубал Текнолоджи Оперейшнз, Инк. Узел откидной крышки резервуар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6370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US20100127512A1 (en) Vehicle door latch
JP2015222002A (ja) 自動車用プッシュオープンタイプの燃料ドア開閉装置
JP2007153049A (ja) タンク用開閉装置
BRPI0414318A (pt) sistema de fecho
KR102602955B1 (ko) 차량용 연료 도어 장치
KR20060091737A (ko) 연료캡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연료 필러 도어 장치
JP4958852B2 (ja) 車両の燃料供給口蓋構造
KR101371272B1 (ko) 틸팅 슬라이딩 타입 연료도어 구조
KR100513874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KR100528597B1 (ko)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KR100957089B1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구조
KR100475823B1 (ko) 연료 도어 시스템
KR100980625B1 (ko) 차량의 연료필러도어 캐치어셈블리
KR20070055146A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구조
KR20060030924A (ko) 디젤차량용 가솔린연료 오주입 방지 장치
JPH09323555A (ja) フューエルキャップ閉め忘れ防止装置
KR100716351B1 (ko) 차량의 연료캡구조
KR100557326B1 (ko) 차량용 연료 주유구 어셈블리
KR0124272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KR100534361B1 (ko) 차량의 필러 도어 개폐구조
KR20070032590A (ko) 차량용 연료캡 분실방지장치
JP3920432B2 (ja) ガードアーム錠におけるストライク
KR100428213B1 (ko) 필러도어의 잠금장치
KR100569475B1 (ko) 차량의 증발가스 방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