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567A - 와이어 본딩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본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567A
KR20060090567A KR1020050121554A KR20050121554A KR20060090567A KR 20060090567 A KR20060090567 A KR 20060090567A KR 1020050121554 A KR1020050121554 A KR 1020050121554A KR 20050121554 A KR20050121554 A KR 20050121554A KR 20060090567 A KR20060090567 A KR 20060090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wire
capillary
bump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5376B1 (ko
Inventor
다츠나리 미이
도시히코 도야마
신스케 데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Publication of KR2006009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20/004Wire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20/004Wire welding
    • B23K20/005Capillary welding
    • B23K20/007Ball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2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99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5Kin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55Details of wedge bo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7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wedge bond
    • H01L2224/48471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wedge bo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not on the bonding area being a ball bond, i.e. wedge-to-ball, reverse st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7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wedge bond
    • H01L2224/48472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wedge bo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not on the bonding area also being a wedge bond, i.e. wedge-to-we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75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auxiliary connecting means on the bonding areas, e.g. pre-ball, wedge-on-ball, ball-on-ball
    • H01L2224/48476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auxiliary connecting means on the bonding areas, e.g. pre-ball, wedge-on-ball, ball-on-ball between the wire connector and the bonding area
    • H01L2224/48477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auxiliary connecting means on the bonding areas, e.g. pre-ball, wedge-on-ball, ball-on-ball between the wire connector and the bonding area being a pre-ball (i.e. a ball formed by capillary bonding)
    • H01L2224/48478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auxiliary connecting means on the bonding areas, e.g. pre-ball, wedge-on-ball, ball-on-ball between the wire connector and the bonding area being a pre-ball (i.e. a ball formed by capillary bonding) the connecting portion being a wedge bond, i.e. wedge on pre-ball
    • H01L2224/48479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auxiliary connecting means on the bonding areas, e.g. pre-ball, wedge-on-ball, ball-on-ball between the wire connector and the bonding area being a pre-ball (i.e. a ball formed by capillary bonding) the connecting portion being a wedge bond, i.e. wedge on pre-ball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941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s being stacked
    • H01L2224/49425Wedge bo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01L2224/7825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 H01L2224/783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by means of pressure
    • H01L2224/78301Capilla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009Pre-treatment of the connector or the bonding area
    • H01L2224/85051Forming additional members, e.g. for "wedge-on-ball", "ball-on-wedge", "ball-on-bal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12Aligning
    • H01L2224/85148Aligning involving movement of a part of the bonding apparatus
    • H01L2224/85169Aligning involving movement of a part of the bonding apparatus being the upper part of the bonding apparatus, i.e. bonding head, e.g. capillary or wedge
    • H01L2224/8518Translational movements
    • H01L2224/85181Translational movements connecting first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i.e. on-chip, regular st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12Aligning
    • H01L2224/85148Aligning involving movement of a part of the bonding apparatus
    • H01L2224/85169Aligning involving movement of a part of the bonding apparatus being the upper part of the bonding apparatus, i.e. bonding head, e.g. capillary or wedge
    • H01L2224/8518Translational movements
    • H01L2224/85186Translational movements connecting first outside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i.e. off-chip, reverse st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38Bonding interfaces outside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01L2224/85399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909Post-treatment of the connector or wire bonding area
    • H01L2224/85951Forming additional members, e.g. for reinfo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986Specific sequence of steps, e.g. repetition of manufacturing steps, time seque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4Beryllium [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82Lead [P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6Material
    • H01L2924/15786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non metallic, non metalloid inorganic material
    • H01L2924/15787Ceramics, e.g. crystalline carbides, nitrides or ox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저루프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는 와이어 본딩 방법을 제공한다.
제1 본딩점인 다이(3)의 패드(2)에 제1 본딩을 수행한 후, 제2 본딩점인 배선(4) 상에 제2 본딩을 수행하고, 패드(2)와 배선(4)을 와이어(10)로 접속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이다. 패드(2) 상에 미리 범프(12)를 형성하고, 이 범프(12) 형성 공정에서의 와이어 절단 공정에 의해 캐필러리(6)의 끝단부로부터 돌출된 와이어(10)를 횡방향으로 절곡하여 굽힘부(15)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 굽힘부(15)를 범프(12)에 본딩하여 상기 제1 본딩 공정을 수행하고, 그런 다음 와이어(10)를 배선(4)에 본딩하여 상기 제2 본딩 공정을 수행한다.
와이어 본딩 방법, 배선, 패드, 절단, 굽힘부, 범프, 볼, 본딩점, 캐필러리

Description

와이어 본딩 방법{WIRE BOND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 본딩 방법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이어지는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본딩 방법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도 1(f)에 이어지는 공정도이고,
도 4는 도 3에 이어지는 공정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본딩 방법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6은 도 5에 이어지는 공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어 본딩 방법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도 5(d)에 이어지는 공정도이고,
도 8은 도 7에 이어지는 공정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회로 기판 2 : 패드
3 : 다이 4 : 배선
5 : 클램퍼 6 : 캐필러리
10 : 와이어 11 : 볼
12 : 범프 13 : 홀 부분
14 : 박육부 15 : 굽힘부
16 : 제1 본딩부 17 : 제2 본딩부
20 : 하부 제1 본딩부 22 : 상부 제1 본딩부
23 : 제1 본딩부 24 : 제2 본딩부
30 : 박육부 31 : 볼 네크부
본 발명은 와이어 본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루프화에 적합한 와이어 본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본딩점에 볼을 본딩하는 볼 본딩 방법은, 볼의 네크부는 재결정 영역으로 되어 있고,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우므로, 와이어 루프는 재결정 영역 부분보다 윗 부분부터 절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저루프화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
이의 개선책으로서,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한 와이어 본딩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먼저 다이의 패드에 와이어 끝단에 형성한 볼을 본딩하여 압착 볼을 형성한다. 다음, 캐필러리를 상승시킨 후, 배선(외부 리드)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계속하여 캐필러리를 상승시킨 후, 패드의 바로 위까지 이동시킨다. 다음, 캐필러리를 하강시켜 상기 압착 볼 상에 와이어를 압착시킨다. 그런 다음에는 캐필러리를 배선 상으로 이동시켜 와이어를 배선에 본딩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9-5101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4-172477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은 패드에 본딩한 압착 볼 상에 와이어의 재결정 영역 부분을 절곡하여 본딩하므로 패드 상의 본딩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저루프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압착 볼 상에 와이어를 두 겹으로 포개서 본딩할 필요가 있어 저루프화에는 자연히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저루프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는 와이어 본딩 방법을 제공 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제1 본딩점인 다이의 패드에 제1 본딩을 수행한 후, 제2 본딩점인 배선 상에 제2 본딩을 수행하고, 상기 패드와 상기 배선을 와이어로 접속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드 상에 미리 범프를 형성하고, 이 범프 형성 공정에서의 와이어 절단 공정에 의해 캐필러리의 끝단부로부터 돌출된 와이어를 횡방향으로 절곡하여 굽힘부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 상기 굽힘부를 상기 범프에 본딩하여 상기 제1 본딩 공정을 수행하고, 그런 다음 와이어를 상기 배선에 본딩하여 상기 제2 본딩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2는, 제1 본딩점인 배선에 제1 본딩을 수행한 후, 제2 본딩점인 다이의 패드 상에 제2 본딩을 수행하여 상기 배선과 상기 패드를 와이어로 접속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드 상에 미 리 범프를 형성하고, 이 범프 형성 공정에서의 와이어 절단 공정에 의해 캐필러리의 끝단부로부터 돌출된 와이어를 횡방향으로 절곡하여 굽힘부를 형성하고, 이 굽힘부를 상기 배선에 본딩하여 하부 제1 본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캐필러리를 상승 및 상기 하부 제1 본딩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그런 다음 캐필러리를 하강시켜 와이어를 상기 하부 제1 본딩부 상에 포개서 접속하여 상부 제1 본딩부를 형성하는 공정으로부터 상기 제1 본딩 공정을 수행하고, 그런 다음 와이어를 상기 범프에 본딩하여 상기 제2 본딩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는 클램퍼로 와이어를 클램핑하여 상기 클램퍼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와이어를 절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4는,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는 클램퍼로 와이어를 클램핑하고, 다음에 본딩할 패드와 배선을 접속하는 방향에 평행하며, 또한 배선측으로 캐필러리를 이동시켜 와이어를 절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5는,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볼을 상기 패드에 본딩한 후, 캐필러리의 하단의 엣지부가 범프 상에 형성된 홀 부분의 높이 이내에 위치하도록 캐필러리를 상승시키고, 다음에 캐필러리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범프와 와이어의 접속부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계속하여 캐필러리를 일정량 상승시킨 후, 와이어를 잡아당겨 상기 박육부로부터 절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볼을 상기 패드에 본딩하고, 이 때의 볼의 파괴를 와이어를 잡아당겼을 때 볼 네크부 하부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두께가 될 때까지 눌러 찌그러뜨려 볼 네크부 하부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다음에 와이어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박육부로부터 절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와이어 본딩 방법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및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라믹 기판이나 프린트 기판 또는 리드프레임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로 기판(1) 상에는 패드(2)가 형성된 다이(3)가 탑재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1)에는 배선(4)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5)를 통해서 캐필러리(6)에 삽입 통과된 와이어(10)의 끝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기 토치에 의해 볼(11)을 형성하고, 그런 다음 클램퍼(5)는 열린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가 하강하여 제1 본딩점인 패드(2)에 볼(11)을 본딩한다. 이에 따라 볼(11)의 일부는 캐필러리(6)의 관통공(6a) 안으로 불거져 나오고, 범프(12) 상에 홀 부분(13)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의 하단의 엣지부(6b)가 홀 부분(13)의 높이 이내에 위치하도록 캐필러리(6)를 상승시킨다.
다음에,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5) 및 캐필러리(6)를 함께 제2 본딩점인 배선(4)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범프(12)와 와이어(10)의 접속부에 박육 부(薄肉部)(14)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5) 및 캐필러리(6)가 함께 일정량 상승한다. 계속하여 클램퍼(5)가 닫히고, 도 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5) 및 캐필러리(6)는 함께 제2 본딩점인 배선(4)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10)는 박육부(14)로부터 절단되고, 패드(2) 상에 범프(12)가 형성된다. 또 캐필러리(6)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와이어(10)의 끝단은 범프(12)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굽힘부(15)가 형성된다.
다음 도 1(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굽힘부(15)가 범프(1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이동된다. 계속하여 도 1(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가 하강하여 범프(12)에 굽힘부(15)를 본딩하여 제1 본딩부(16)를 형성한다. 또한 클램퍼(5)는 열린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제2 본딩점인 배선(4)에 와이어(10)를 접속한다. 즉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는 상승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4)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10)를 내보내고, 그런 다음 하강하여 와이어(10)를 배선(4)에 본딩하여 제2 본딩부(17)로 한다. 다음,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5) 및 캐필러리(6)가 함께 상승하고, 이 상승 도중에 클램퍼(5)가 닫히고 와이어(10)는 제2 본딩부(17)의 베이스로부터 절단된다.
이와 같이 제1 본딩점인 패드(2)에 범프(12)를 형성하고 이 범프(12)로부터 와이어(10)를 절단할 때, 캐필러리(6)의 끝단부에 돌출된 와이어 굽힘부(15)를 형성하므로, 제1 본딩점에 본딩하는 경우의 와이어 끝단부의 굽힘부(15)를 특별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와이어 본딩 장치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범프 (12)에 굽힘부(15)를 직접 본딩하므로 제1 본딩점의 루프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즉, 저 와이어 루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굽힘부(15)는 범프(12)로부터 와이어(10)를 절단할 때 다음에 접속할 범프(12)와 배선(4)에 평행하며, 또한 제2 본딩점인 배선(4) 측으로 캐필러리(6)를 이동시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 끝단부의 굽힘부(15)의 방향을 다음 본딩에 적합한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음과 동시에, 이 굽힘부(15)를 범프(12)에 본딩한 후, 제2 본딩점인 배선(4)에 본딩하기 위한 와이어 루프 형상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도 저 와이어 루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범프(12)는 볼(11)을 패드(2)에 본딩한 후, 캐필러리(6)의 하단의 엣지부(6b)가 범프(12) 상에 형성된 홀 부분(13)의 높이 이내에 위치하도록 캐필러리(6)를 상승시키고, 다음에 캐필러리(6)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범프(12)와 와이어(10)의 접속부에 박육부(14)를 형성하고, 계속하여 캐필러리(6)를 일정량 상승시킨 후, 와이어(10)를 잡아당겨 박육부(14)로부터 절단하여 형성하여 범프(12)의 상면이 평탄해지므로 이 범프(12)에 접속된 와이어(10)의 배선 방향이 거의 수평해져서 저 와이어 루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본딩 방법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1(a) 내지 도 1(f), 도 3 및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 1(a) 내지 도 1(f)의 공정에 의해 패드(2) 상에 범프(12)를 형성함과 동시에, 캐필러리(6) 하면의 범프(12)측 방향으로 절곡된 굽힘부(15)를 형성할 때까지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다음, 상기실시 형태는 범프(12) 상에 굽힘부(15)를 본딩하였으나, 본 실시 형태는 굽힘부 (15)를 배선(4) 상에 본딩한다. 즉, 상기 실시 형태는 패드(2)가 제1 본딩점이고 배선(4)이 제2 본딩점이 되었다. 본 실시 형태는 반대로 배선(4)이 제1 본딩점이고 패드(2)가 제2 본딩점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f)의 공정 후,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는 배선(4)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다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가 하강하여 제1 본딩점인 배선(4)에 굽힘부(15)를 본딩하여 하부 제1 본딩부(20)를 형성한다. 또 클램퍼(5)는 열린 상태가 된다.
다음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를 상승시키고, 계속하여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제1 본딩부(20)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를 하강시키고, 도 3(d)에 도시한 와이어 부분(21)을 절곡하여 하부 제1 본딩부(20) 상에 와이어 부분(21)을 본딩하여 상부 제1 본딩부(22)를 형성하고 제1 본딩부(23)로 한다.
그런 다음에는 제2 본딩점인 패드(2) 상에 형성된 범프(12) 상에 와이어(10)를 접속한다. 즉,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는 상승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2)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10)를 내보내고, 그런 다음 하강하여 와이어(10)를 범프(12)에 본딩하여 제2 본딩부(24)로 한다. 다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5) 및 캐필러리(6)가 함께 상승하고, 이 상승 도중에 클램퍼(5)가 닫히고 와이어(10)는 제2 본딩부(24)의 베이스로부터 절단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본딩점이 배선(4)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순히 굽힘부(15)를 배선(4)에 본딩하는 것만으로는 본딩 강도가 약하다. 본 실시 형태는 굽 힘부(15)를 제1 본딩점에 본딩하여 먼저 하부 제1 본딩부(20)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 이 하부 제1 본딩부(20) 상에 와이어 부분(21)을 절곡하고 서로 포개서 상부 제1 본딩부(22)를 형성하므로, 제1 본딩점에 대한 본딩 강도의 신뢰성이 훨씬 향상된다. 또 패드(2)에 범프(12)를 형성하고, 이 범프(12)를 제2 본딩점으로 하여 와이어(10)를 직접 본딩하므로, 패드(2) 측의 루프 높이가 낮아진다. 즉, 저 와이어 루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본딩점인 패드(2)에 범프(12)를 형성하고, 이 범프(12)로부터 와이어(10)를 절단할 때, 캐필러리(6)의 끝단부로 돌출된 와이어 굽힘부(15)를 형성하므로, 제1 본딩점에 본딩하는 경우의 와이어 끝단부의 굽힘부(15)를 특별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와이어 본딩 장치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본딩 방법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5 및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해당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범프(12)의 형성 방법만이 다를 뿐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5)를 통과하여 캐필러리(6)에 삽입 통과된 와이어(10)의 끝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기 토치에 의해 볼(11)을 형성하고, 그런 다음에 클램퍼(5)는 열린 상태가 된다. 다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가 하강하여 제1 본딩점인 패드(2)에 볼(11)을 본딩한다. 이 경우, 볼(11)을 극한까지 눌러 찌그러뜨린다는 점이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르다. 예를 들면 볼 네크부 하부의 높이(H)가 0∼5μm 정도(와이어(10)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잡아당겼을 때 볼 네크부 하부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두께)가 될 때까지 볼(11)을 눌러 찌그러뜨린다. 이에 따라, 볼 네크부 하부의 높이(H)는 박육부(30)가 된다. 다음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의 하단의 엣지부(6b)가 홀 부분(13)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클램퍼(5) 및 캐필러리(6)를 일정량 상승시킨다.
다음 클램퍼(5)가 닫히고,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5) 및 캐필러리(6)는 함께 제2 본딩점인 배선(4)측의 비스듬히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10)는 볼 네크부 하부의 박육부(30)로부터 절단되고, 패드(2) 상에 범프(12)가 형성된다. 또 캐필러리(6)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와이어(10)의 끝단은 범프(12)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굽힘부(15)가 형성되고, 이 굽힘부(15)의 끝단에는 볼 네크부(31)가 설치된다.
그런 다음에는 도 1(g), 도 1(h) 및 도 2와 동일한 공정이 수행된다. 즉,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굽힘부(15)가 범프(1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이동된다. 계속하여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가 하강하여 범프(12)에 굽힘부(15)를 본딩하여 제1 본딩부(16)를 형성한다. 또 클램퍼(5)는 열린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제2 본딩점인 배선(4)에 와이어(10)를 접속한다. 즉,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는 상승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4)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10)를 내보내고, 그런 다음 하강하여 와이어(10)를 배선(4)에 본딩하여 제2 본딩부(17)로 한다. 다음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5) 및 캐필러리(6)가 함께 상승하고, 이 상승 도중에 클램퍼(5)가 닫히고, 와이어(10)는 제2 본딩부(17)의 베이스로부터 절단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는 범프(12) 형성시의 볼(11)의 파괴를 와이어(10)를 잡아당겼을 때 볼 네크부 하부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두께가 될 때까지 눌러 찌그러뜨리므로, 범프(12)의 높이가 매우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보다 패드(2) 상의 루프 높이를 훨씬 낮출 수 있어 저 와이어 루프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본딩 방법의 제4 실시 형태를 도 5(a) 내지 도 5(d), 도 7 및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 5(a) 내지 도 5(d)의 공정에 의해 패드(2) 상에 범프(12)를 형성함과 동시에, 캐필러리(6) 하면의 범프(12)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굽힘부(15) 및 볼 네크부(31)를 형성할 때까지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이후에는 상기 제2 실시 형태(도 3 및 도 4 참조)와 동일한 공정이 수행된다.
즉, 도 5(d)의 공정 후,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는 배선(4)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다음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가 하강하여 제1 본딩점인 배선(4)에 굽힘부(15)를 본딩하여 하부 제1 본딩부(20)를 형성한다. 또 클램퍼(5)는 열린 상태가 된다.
다음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를 상승시키고, 계속하여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제1 본딩부(20)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를 하강시키고, 도 7(d)에 도시한 와이어 부분(21)을 절곡하여 하부 제1 본딩부(20) 상에 와이어 부분(21)을 본딩하여 상부 제1 본딩부(22)를 형성하여 제1 본딩부(23)로 한다.
그런 다음에는 제2 본딩점인 패드(2) 상에 형성된 범프(12) 상에 와이어(10)를 접속한다. 즉, 도 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필러리(6)는 상승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2)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10)를 내보내고, 그런 다음 하강하여 와이어(10)를 범프(12)에 본딩하여 제2 본딩부(24)로 한다. 다음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5) 및 캐필러리(6)가 함께 상승하고, 이 상승 도중에 클램퍼(5)가 닫히고, 와이어(10)는 제2 본딩부(24)의 베이스로부터 절단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범프(12)의 형성시의 볼(11)의 파괴를 와이어(10)를 잡아당겼을 때 볼 네크부 하부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두께가 될 때까지 눌러 찌그러뜨리므로, 범프(12)의 높이가 매우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보다 패드(2) 상의 루프 높이를 훨씬 낮출 수 있어, 저 와이어 루프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4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굽힘부(15)를 하부 제1 본딩부(20)로 하여 이 하부 제1 본딩부(20) 상에 상부 제1 본딩부(22)를 형성하므로 굽힘부(15)의 굽힘 방향은 제2 본딩점 방향일 필요가 없으며, 임의의 방향이어도 좋다.
청구항 1 및 2는 제1 본딩점인 패드에 범프를 형성하고 이 범프로부터 와이 어(110)를 절단할 때, 캐필러리의 끝단부에 돌출된 와이어 굽힘부를 형성하므로, 제1 본딩점에 본딩하는 경우의 와이어 끝단부의 굽힘부를 특별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와이어 본딩 장치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은 범프에 굽힘부를 직접 본딩하므로 제1 본딩점의 루프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저 와이어 루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는 범프를 제2 본딩점으로 하여 와이어를 직접 본딩하므로, 청구항 1과 마찬가지로 제2 본딩점의 루프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저 와이어 루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는 굽힘부를 제1 본딩점인 배선에 본딩하여 먼저 하부 제1 본딩부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 이 하부 제1 본딩부 상에 와이어를 절곡하고 서로 포개서 상부 제1 본딩부를 형성하므로, 배선에 대한 본딩 강도의 신뢰성이 훨씬 향상된다.
청구항 4는 청구항 1에서, 굽힘부는 범프로부터 와이어를 절단할 때 다음에 접속할 범프와 배선에 평행하며, 또한 제2 본딩점인 배선 측으로 캐필러리를 이동시켜 형성하므로, 와이어 끝단부의 굽힘부의 방향을 다음 본딩에 적합한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음과 동시에, 이 굽힘부를 범프에 본딩한 후, 제2 본딩점인 배선에 본딩하기 위한 와이어 루프 형상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도 저 와이어 루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는 범프의 상면이 평탄해지므로 이 범프에 접속된 와이어의 배선 방향이 거의 수평해져 저 와이어 루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은 범프의 형성시의 볼의 파괴를 와이어를 잡아당겼을 때 볼 네크부 하부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두께가 될 때까지 눌러 찌그러뜨리므로 범프의 높이가 매우 낮게 형성되어 패드 상의 루프 높이를 훨씬 더 낮출 수 있어, 저 와이어 루프화가 한층 더 도모된다.

Claims (6)

  1. 제1 본딩점인 다이의 패드에 제1 본딩을 수행한 후, 제2 본딩점인 배선 상에 제2 본딩을 수행하고, 상기 패드와 상기 배선 사이를 와이어로 접속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드 상에 미리 범프를 형성하고, 이 범프 형성 공정에서의 와이어 절단 공정에 의해 캐필러리의 끝단부로부터 돌출된 와이어를 횡방향으로 절곡하여 굽힘부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 상기 굽힘부를 상기 범프에 본딩하여 상기 제1 본딩 공정을 수행하고, 그런 다음 와이어를 상기 배선에 본딩하여 상기 제2 본딩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
  2. 제1 본딩점인 배선에 제1 본딩을 수행한 후, 제2 본딩점인 다이의 패드 상에 제2 본딩을 수행하여 상기 배선과 상기 패드 사이를 와이어로 접속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드 상에 미리 범프를 형성하고, 이 범프 형성 공정에서의 와이어 절단 공정에 의해, 캐필러리의 끝단부로부터 돌출된 와이어를 횡방향으로 절곡하여 굽힘부를 형성하고, 이 굽힘부를 상기 배선에 본딩하여 하부 제1 본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캐필러리를 상승 및 상기 하부 제1 본딩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그런 다음 캐필러리를 하강시켜 와이어를 상기 하부 제1 본딩부 상에 포개서 접속하여 상부 제1 본딩부를 형성하는 공정으로부터 상기 제1 본딩 공정을 수행하고, 그 런 다음 와이어를 상기 범프에 본딩하여 상기 제2 본딩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는 클램퍼로 와이어를 클램핑하여 이 클램퍼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와이어를 절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는 클램퍼로 와이어를 클램핑하고, 다음에 본딩할 패드와 배선을 연결하는 방향에 평행하며, 또한 배선측으로 캐필러리를 이동시켜 와이어를 절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볼을 상기 패드에 본딩한 후, 캐필러리의 하단의 엣지부가 범프 상에 형성된 홀 부분의 높이 이내에 위치하도록 캐필러리를 상승시키고, 다음에 캐필러리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범프와 와이어의 접속부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계속하여 캐필러리를 일정량 상승시킨 후, 와이어를 잡아당겨 상기 박육부로부터 절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볼을 상기 패드에 본딩하고, 이 때의 볼의 파괴를 와이어를 잡아당겼을 때 볼 네크부 하부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두께가 될 때까지 눌러 찌그러뜨려 볼 네크부 하부에 박육부를 형성하고, 다음에 와이어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박육부로부터 절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 방법.
KR1020050121554A 2005-02-08 2005-12-12 와이어 본딩 방법 KR100765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31701 2005-02-08
JP2005031701A JP4298665B2 (ja) 2005-02-08 2005-02-08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567A true KR20060090567A (ko) 2006-08-14
KR100765376B1 KR100765376B1 (ko) 2007-10-10

Family

ID=3677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554A KR100765376B1 (ko) 2005-02-08 2005-12-12 와이어 본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60175383A1 (ko)
JP (1) JP4298665B2 (ko)
KR (1) KR100765376B1 (ko)
TW (1) TW2006294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87B1 (ko) * 2006-11-02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방법
KR20160115990A (ko) * 2014-02-10 2016-10-06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와이어 본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9267A (ja) * 2003-10-30 2005-06-16 Shinkawa Ltd 半導体装置及び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US7347352B2 (en) * 2003-11-26 2008-03-25 Kulicke And Soffa Industries, Inc. Low loop height ball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JP4509043B2 (ja) * 2006-02-14 2010-07-21 株式会社新川 スタッドバンプの形成方法
JP4679427B2 (ja) * 2006-04-24 2011-04-27 株式会社新川 ボンディング装置のテールワイヤ切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97408B2 (ja) * 2007-09-21 2010-01-13 株式会社新川 半導体装置及び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CN101971313B (zh) * 2008-01-30 2013-07-24 库力索法工业公司 导线环以及形成导线环的方法
JP4625858B2 (ja) * 2008-09-10 2011-02-02 株式会社カイジョー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ワイヤボンディング制御プログラム
JP4344002B1 (ja) * 2008-10-27 2009-10-14 株式会社新川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US8759987B2 (en) * 2009-10-09 2014-06-24 Nichia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JP4787374B2 (ja) * 2010-01-27 2011-10-05 株式会社新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
JP5359977B2 (ja) * 2010-04-12 2013-12-04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JP2012004464A (ja) * 2010-06-18 2012-01-05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DE102010038130B4 (de) * 2010-10-12 2012-04-19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Dickdraht-Bond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MY181180A (en) * 2011-09-09 2020-12-21 Carsem M Sdn Bhd Low loop wire bonding
US9502371B2 (en) 2012-07-17 2016-11-22 Kulicke And Soffa Industries, Inc. Methods of forming wire interconnect structures
WO2014077026A1 (ja) * 2012-11-16 2014-05-22 株式会社新川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093515B2 (en) * 2013-07-17 2015-07-2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Wire bonding capillary with working tip protrusion
US9087815B2 (en) * 2013-11-12 2015-07-21 Invensas Corporation Off substrate kinking of bond wire
US9082753B2 (en) * 2013-11-12 2015-07-14 Invensas Corporation Severing bond wire by kinking and twisting
JP2014140074A (ja) * 2014-04-17 2014-07-3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DE102014116956A1 (de) 2014-11-19 2016-05-19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Bilden eines Bondpads und Bondpad
US10600756B1 (en) 2017-02-15 2020-03-24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Wire bonding technique for integrated circuit board connections
CN112437974A (zh) 2018-06-06 2021-03-02 德州仪器公司 半导体裸片的球接合附接
US11145620B2 (en) * 2019-03-05 2021-10-12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Formation of bonding wire vertical interconnects
WO2022013955A1 (ja) * 2020-07-15 2022-01-20 株式会社新川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220199570A1 (en) * 2020-12-18 2022-06-23 Kulicke And Soffa Industries, Inc. Methods of forming wire interconnect structures and related wire bonding too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011A (ja) 1995-08-10 1997-02-18 Tanaka Denshi Kogyo Kk 半導体チップの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JP3913134B2 (ja) * 2002-08-08 2007-05-09 株式会社カイジョー バンプの形成方法及びバンプ
DE10128236A1 (de) * 2001-06-11 2002-08-01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Kompensation einer stufenförmigen DC-Störung in einem digitalen Basisbandsignal eines Homodyn-Funkempfängers
JP3573133B2 (ja) * 2002-02-19 2004-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基板並びに電子機器
JP3923379B2 (ja) 2002-06-21 2007-05-3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JP2004172477A (ja) * 2002-11-21 2004-06-17 Kaijo Corp ワイヤループ形状、そのワイヤループ形状を備えた半導体装置、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及び半導体製造装置
JP2004247674A (ja) * 2003-02-17 2004-09-02 Shinkawa Ltd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JP3854232B2 (ja) * 2003-02-17 2006-12-06 株式会社新川 バンプ形成方法及び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KR100536898B1 (ko) * 2003-09-04 200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와이어 본딩 방법
US7494042B2 (en) * 2003-10-02 2009-02-24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Method of forming low wire loops and wire loops formed using the method
TWI248186B (en) * 2004-01-09 2006-01-21 Unaxis Internat Tranding Ltd Method for producing a wedge-wedge wire connection
JP2006261448A (ja) 2005-03-17 2006-09-2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87B1 (ko) * 2006-11-02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방법
KR20160115990A (ko) * 2014-02-10 2016-10-06 가부시키가이샤 신가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와이어 본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98665B2 (ja) 2009-07-22
TW200629447A (en) 2006-08-16
US20060175383A1 (en) 2006-08-10
TWI358096B (ko) 2012-02-11
JP2006222128A (ja) 2006-08-24
US7934634B2 (en) 2011-05-03
KR100765376B1 (ko) 2007-10-10
US20090194577A1 (en)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376B1 (ko) 와이어 본딩 방법
KR100790372B1 (ko) 와이어 본딩 방법
KR100932680B1 (ko) 반도체 장치 및 와이어 본딩 방법
US6715666B2 (en) Wire bonding method, method of forming bump and bump
KR100538407B1 (ko) 범프 형성 방법 및 와이어본딩 방법
US20070029367A1 (en) Semiconductor device
JP5002329B2 (ja) 半導体装置及び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KR100808516B1 (ko) 스터드 범프의 형성방법
WO2010050078A1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及び半導体装置
US7025247B2 (en) Wire bonding method
JP4021378B2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JP4105996B2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KR100808510B1 (ko) 와이어 본딩 방법
KR100660821B1 (ko) 와이어본딩 방법
JP2005167178A (ja) 半導体装置及び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JP5048990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616924B2 (ja) 半導体装置
JP4547405B2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方法
JP2007042764A (ja) バンプ形成方法、バンプ形状または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