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289A -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72289A KR20060072289A KR1020040110849A KR20040110849A KR20060072289A KR 20060072289 A KR20060072289 A KR 20060072289A KR 1020040110849 A KR1020040110849 A KR 1020040110849A KR 20040110849 A KR20040110849 A KR 20040110849A KR 20060072289 A KR20060072289 A KR 200600722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panel
- tray
- panel
- vehicle
- seat ba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of foldable trays mounted on the back-re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시트백 배면에 마련된 트레이장치를 개선하여 트레이가 양측 방향으로 확장 전개되도록 하는 동시에 탑승객 충돌시 트레이장치를 시트백에 지지시키는 부위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트백(500)에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트레이패널(100)과;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상면에 적층된 상측트레이패널(200)과; 상기 상측트레이패널(200)의 양측 면에 고정된 힌지파이프(300)와;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내에서 소정 간격 유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개레버(410)가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힌지파이프(300)에 삽입된 상태가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힌지바(400)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탑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트레이, 컵, 탄성체, 시트백, 힌지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대한 힌지파이프와 힌지바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를 우측으로 전개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를 좌측으로 전개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대한 고정레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대한 컵지지구 및
컵고정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대한 시트백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대한 충격작용시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측트레이패널 110, 210 : 컵지지구
111, 211 : 컵고정부재 120 : 탄성체
130 : 고정레버 140 : 걸림턱
141 : 힌지홈 200 : 상측트레이패널
300 : 힌지파이프 400 : 힌지바
410 : 전개레버 500 : 시트백
510 : 지지패널 511 : 힌지돌기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시트백 배면에 마련된 트레이장치를 개선하여 트레이가 양측 방향으로 확장 전개되도록 하는 동시에 탑승객 충돌시 트레이장치를 시트백에 지지시키는 부위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탑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편의장치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편의장치 가운데 시트백 트레이장치는 시트백 배면에 선택적으로 펼칠 수 있는 트레이가 마련된 것으로, 간단한 음식이나 컵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시트백(30) 배면에 힌지 체결된 트레이패널(10)과, 상기 트레이패널(10)의 저면과 시트백(30)의 배면 사이에 연결되어 유압을 통하여 신축 가능한 리프터(3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는 미사용시 상기 트레이패널(10)이 시트백(30)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접었다가, 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20)를 신장시켜 트레이패널(10)이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펼침으로써, 펼쳐진 트레이패널(10) 상에 간단한 음식이나 컵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는 트레이패널의 면적이 좁을 뿐 아니라 컵홀더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사용이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유압으로 동작하는 리프터를 적용하여 생산단가가 높으며, 특히, 트레이장치 사용 중 차량의 전방 충돌시 탑승객이 전방으로 전도되어 펼쳐진 트레이패널에 부딪히게 될 경우 트레이장치가 접히지 않아 탑승객의 상해치가 크게 증대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백 배면에 마련된 트레이장치를 개선하여 트레이가 양측 방향으로 확장 전개 가능할 뿐 아니라 두 개의 컵홀더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량의 전방 추돌사고에 의하여 탑승객이 트레이장치에 충돌할 경우 트레이장치를 시트백에 지지시키는 부위가 외력에 의하여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백에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트레이패널과; 상기 하측트레이패널의 상면에 적층된 상측트레이패널과; 상기 상측트레이패널의 양측 면에 고정된 힌지파이프와; 상기 하측트레이패널의 내에서 소정 간격 유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개레버가 상기 하측트레이패널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힌지파이프에 삽입된 상태가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힌지바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대한 힌지파이프와 힌지바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를 우측으로 전개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를 좌측으로 전개한 작 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대한 고정레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대한 컵지지구 및 컵고정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대한 시트백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에 대한 충격작용시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백(500)에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트레이패널(100)과;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상면에 적층된 상측트레이패널(200)과; 상기 상측트레이패널(200)의 양측 면에 고정된 힌지파이프(300)와;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내에서 소정 간격 유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개레버(410)가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힌지파이프(300)에 삽입된 상태가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힌지바(4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어 차량의 시트백(500)으로부터 접동 가능한 상측트레이패널(200) 및 하측트레이패널(100)과, 상기 상측트레이패널(200)과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양측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가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킴으로써 해제시킨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측트레이패널(200)을 펼쳐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힌지파이프(300) 및 힌지바(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은 그 일측 모서리가 시트백(500)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상측면에는 상측트레이패널(200)이 적층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상측트레이패널(200)의 양측 모서리에는 힌지파이프(300)가 각각 고정되어 있되, 상기 힌지파이프(300)는 상측트레이패널(200)의 일측 모서리에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된 상태로 상기 상측트레이패널(200)에 고정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힌지바(400)는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내에서 소정 구간 유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저면으로 전개레버(410)가 돌출 되어 있으며, 미도시된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 내에서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평상시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 내에 마련된 힌지바(400)는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상측트레이패널(200)에 고정된 힌지파이프(300)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트레이패널(200)은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양측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힌지바(400)의 전개레버(410)를 일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힌지파이프(300) 내에 삽입되어 있던 힌지바(400)가 힌지파이프(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양측에 마련된 힌지바(400) 가운데 어느 일측에 마련된 힌지바(400)를 밀어줄 경우, 어느 한쪽의 힌지바(400)만이 힌지파이프(300)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힌지바(400)가 분리된 타측으로 상측트레이패널(200)을 펼쳐서 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좌측에 마련된 힌지바(400)를 힌지파이프(300)로부터 분리할 경우 도 5와 같이 상측트레이패널(200)을 우측방향으로 전개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우측에 마련된 힌지바(400)를 힌지파이프(300)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상측트레이패널(200)을 좌측방향으로 전개시킬 수 있음으로써, 시트백(500) 배면에 한정된 면적으로 마련된 트레이장치를 두 배로 넓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에는 그 내부에서 소정 간격 유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계단형태로 2단 절곡되되, 일측은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시트백(500)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며, 타측은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저면으로 돌출되고, 그 중단에 탄성체(12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고정레버(130)가 추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레버(130)는 평상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12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시트백(500) 배면에 형성된 고정홈(520)에 삽입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시트백 트레이장치의 미사용시 시트백(500) 배면에 상측트레이패널(200)과 함께 하측트레이패널(100)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트레이장치의 사용시에는 상기 고정레버(130)를 하측으로 당겨 고정홈(520)으로부터 해 제시킴으로써 상측트레이패널(200) 및 하측트레이패널(100)을 시트백(500)으로부터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과 상측트레이패널(200)에는 각각 원형의 컵지지구(110, 210)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컵지지구(110, 210)에는 탄성체에 의하여 반원형 컵고정부재(111, 211)가 각각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 및 상측트레이패널(200)에 수평면을 이루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적절하다.
즉, 상기 상측트레이패널(200)과 하측트레이패널(100)이 중첩된 상태에서 동일한 위치에 원형의 컵지지구(110, 210)를 관통 형성한 후, 상기 컵지지구(110, 210) 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미도시된 탄성체에 의하여 각각 상측트레이패널(200) 및 하측트레이패널(100)과 평행면을 이루도록 탄성 지지되는 반원판형의 컵고정부재(111, 211)를 마련함으로써, 도 8과 같이 상측트레이패널(200) 및 하측트레이패널(100)이 중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컵지지구(110, 210) 내에 컵을 삽입할 경우 컵고정부재(111, 211)가 하측으로 회동하면서 컵의 외면을 탄성 지지하도록 하여 컵홀더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측트레이패널(200)이 하측트레이패널(100)로부터 도 5 및 도 6과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컵지지구(110, 210) 내에 컵을 삽입하여 컵고정부재(111, 211)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모두 두 개의 컵홀더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의 전방 하측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40)이 돌출 형성되고, 양단에는 힌지홈(141)이 절입 형성되어, 시트백 (5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양측에 내측을 향하여 힌지돌기(511)가 돌출 형성된 지지패널(5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하측트레이패널(100)에 전방을 향한 외력이 소정치 이상 가해지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홈(141)으로부터 힌지돌기(511)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트레이장치의 사용 중 차량의 전방 추돌사고 발생시 탑승객이 전방으로 전도될 경우, 탑승객의 신체가 트레이장치에 부딪히면서 상기 걸림턱(140)이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되어 상측트레이패널(200)과 하측트레이패널(100)이 시트백(50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의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는 한정된 면적의 트레이패널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측 방향 중 일측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비하여 두 배 넓게 트레이장치를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트레이장치의 전개시 모두 두 개의 컵홀더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트레이장치 사용 중 차량의 전방 충돌시 탑승객이 전방으로 전도되어 펼쳐진 트레이패널에 부딪히게 될 경우 트레이장치가 접히면서 시트백(500)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탑승객의 상해치를 크게 저감시켜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큰 이점이 있는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백 배면에 마련된 트레이장치를 개선하여 트레이가 양측 방향으로 확장 전개 가능할 뿐 아니라 두 개의 컵홀더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량의 전방 추돌사고에 의하여 탑승객이 트레이장치에 충돌할 경우 트레이장치를 시트백에 지지시키는 부위가 외력에 의하여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 차량의 시트백에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트레이패널과;상기 하측트레이패널의 상면에 적층된 상측트레이패널과;상기 상측트레이패널의 양측 면에 고정된 힌지파이프와;상기 하측트레이패널의 내에서 소정 간격 유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개레버가 상기 하측트레이패널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힌지파이프에 삽입된 상태가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힌지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트레이패널과 상측트레이패널에는 각각 원형의 컵지지구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컵지지구에는 탄성체에 의하여 반원형 컵고정부재가 각각 상기 하측트레이패널 및 상측트레이패널에 수평면을 이루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트레이패널에는 그 내부에서 소정 간격 유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계단형태로 2단 절곡되되, 일측은 상기 하측트레이패널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시트백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며, 타측은 하측트레이패널의 저면으 로 돌출되고, 그 중단에 탄성체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고정레버가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트레이패널의 전방 하측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양단에는 힌지홈이 절입 형성되어, 시트백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양측에 내측을 향하여 힌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지지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하측트레이패널에 전방을 향한 외력이 소정치 이상 가해지는 경우 상기 힌지홈으로부터 힌지돌기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0849A KR20060072289A (ko) | 2004-12-23 | 2004-12-23 |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0849A KR20060072289A (ko) | 2004-12-23 | 2004-12-23 |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2289A true KR20060072289A (ko) | 2006-06-28 |
Family
ID=3716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0849A KR20060072289A (ko) | 2004-12-23 | 2004-12-23 |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7228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8874B1 (ko) * | 2014-01-23 | 2015-06-15 | (주)에이스 힌지텍 | 충격시에 가변하는 접이식 테이블 |
KR101587904B1 (ko) * | 2014-11-21 | 2016-02-03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자동차의 워크인 레버 조립체 |
CN111591184A (zh) * | 2020-05-26 | 2020-08-28 | 重庆宏立至信科技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 汽车座椅多功能背板及汽车座椅 |
-
2004
- 2004-12-23 KR KR1020040110849A patent/KR200600722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8874B1 (ko) * | 2014-01-23 | 2015-06-15 | (주)에이스 힌지텍 | 충격시에 가변하는 접이식 테이블 |
KR101587904B1 (ko) * | 2014-11-21 | 2016-02-03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자동차의 워크인 레버 조립체 |
CN111591184A (zh) * | 2020-05-26 | 2020-08-28 | 重庆宏立至信科技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 汽车座椅多功能背板及汽车座椅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80218B2 (ja) | 自動車用リヤシートバックのバックボード展開構造 | |
EP2927090B1 (en) | Foldable stroller frame | |
JP7000469B2 (ja) | チャイルドセーフティシート | |
US20070046086A1 (en) | Child car seat | |
MX2015001089A (es) | Asa retractil de vehiculo con percha integrada desplegable. | |
RU2017134745A (ru) | Грузовой по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грузовой по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развертывания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з грузового по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TWI820503B (zh) | 兒童安全座椅及其側撞保護機構 | |
EP0751035A2 (en) | Child safety seat with an anti-rebound support | |
JP6721441B2 (ja) | テーブルユニット | |
JP2005313867A (ja) | 車両のシー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 |
KR101586947B1 (ko) | 시트백 폴딩 장치 | |
KR20060072289A (ko) | 차량의 시트백 트레이장치 | |
JP3211667B2 (ja) | 頭部及び頸部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 |
KR101404478B1 (ko) |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 |
JP2008110148A (ja) | テーブル | |
KR101892588B1 (ko) | 선반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니쉬 | |
KR100612182B1 (ko) | 자동차용 핸드폰 홀더 | |
KR200153335Y1 (ko) | 접철이 가능한 리어시트 헤드레스트 | |
JP5796045B2 (ja) | ダイブダウンシート | |
JP5859363B2 (ja) | コンソールボックス | |
JP4702996B2 (ja) | 車両用スライドテーブル | |
KR101869057B1 (ko) | 자동차용 시트의 스트라이커 회동장치 | |
KR102143995B1 (ko) | 시트백 장치 | |
KR102421680B1 (ko) | 차량용 암레스트 | |
JP4234020B2 (ja) | 車両用収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