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0033A - 이동국 내에 세이빙될 사진들을 네이밍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이동국 내에 세이빙될 사진들을 네이밍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033A
KR20060060033A KR1020067004522A KR20067004522A KR20060060033A KR 20060060033 A KR20060060033 A KR 20060060033A KR 1020067004522 A KR1020067004522 A KR 1020067004522A KR 20067004522 A KR20067004522 A KR 20067004522A KR 20060060033 A KR20060060033 A KR 20060060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picture
mobile station
sugges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9171B1 (ko
Inventor
테로 하칼라
주하 레히코이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60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국에 의해 생성된 사진들을 상기 이동국 내에 레코딩하는 분야와 레코딩가능한 사진 파일들을 네이밍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진 파일들을 네이밍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진과 연관된 소정의 특징이 탐색되며(102), 상기 탐색된 특징이 네임 제안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진 파일 네임 제안들을 포함하는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된다. 상기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진 파일 네임이 편집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국 내에 세이빙될 사진들을 네이밍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rrangement for naming pictures to be saved in a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국에 의해 촬영된 사진들을 상기 이동국 내에 레코딩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개별적으로 사진 파일들을 네이밍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동국 내에 세이빙되는 사진의 화질은 끊임없이 향상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더욱더 많이 이동국들에 카메라가 제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카메라들은 이동국의 고정 및 일체화된 요소들, 또는 이동국 내에 설치될 보조 액세서리들일 수 있다. 그 외에도, 카메라들의 크기가 작아짐과 동시에 카메라들의 화질이 끊임없이 개선되고 있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카메라들과 사진들이 이동국들에서 더욱더 보편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진들은 심지어 연속 사진들의 짧은 연속 사이클들과 같이 더욱더 짧은 간격들로 촬영될 수 있는데, 이는 세이빙될 사진들의 양을 부가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동국들에서 세이빙될 사진들 및 이동국들에 의해 촬영되는 사진들의 양이 증가할 경우에, 사진 관리가 더욱더 중요해진다.
대량의 사진들 중에서 소정의 사진을 획득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며 성가신 것이다. 전형적으로, 이동국의 메모리에서 세이빙되는 사진 파일들은 파일 네임이 해당 파일이 사진 파일임을 나타내는 예상가능한 개시 부분, 연속하는 일련 번호 및 사진 포맷에 따른 수식어를 포함하도록 네이밍된다. 사진들은 예를 들면 각각의 사진 네임을 개시할 때 문자열 "image"가 추가되고, 이러한 문자열 다음으로 계산기에 의해 표시되는 숫자 및 수식어, 예를 들면 ".jpg"가 추가된다. 몇몇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파일들이 사진 파일들로서 바로 식별되도록 사진 파일 네임의 첫 번째 부분을 구성하는 문자열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첫 번째 부분은 세이빙될 모든 파일들에 대하여 동일한 것이고, 상기 파일 네임들은 단지 상기 계산기에 의해 표시되는 값에 의해서만 구별된다. 계산기 값들에 의해 식별되는 파일 네임들의 문제들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상기 파일 네임들의 길이가 최대값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최대 길이가 가장 높은 예상가능한 계산기 값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예를 들면 상기 파일 네임의 최대 길이가 6개의 문자들이며 맨 마지막 네임이 "image9.jpg"일 경우에, 상기 계산기가 리세트(reset)되며, 상기 계산기 및 상기 파일 번호들은 처음부터 런오버(run over)하기 시작한다. 상기 계산기가 리세트될 경우에 이전에 생성된 "image0.jpg"라고 언급되는 사진 파일이 아직도 상기 이동국 내에 세이빙되어 있는 경우에, 새로운 파일 "image0.jpg"는 이전의 파일에 중복 기록되고, 이전의 파일에 세이빙된 데이터는 손실된다.
계산기 값들에 의해 구별되는 파일 네임들을 사용할 경우의 다른 한 문제는 파일들이 관리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전형적으로는, 모든 사진 파일들이 동일한 위치 내에 세이빙되고, 모든 사진 파일들이 단지 일련 번호들에 의해서만 상호 구별된다. 소정의 사진 파일에 대하여 탐색을 수행할 경우에, 일반적으로 유일한 선 택은 원하는 파일이 획득될 때까지 사진 파일들을 철저히 조사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진들의 로딩은 시간이 걸리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사진 파일들의 철저한 조사가 일반적으로 매우 느리며 무익한 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브라우저에서는, 사진 파일들이 세이빙된 동일한 순서로, 다시 말하면 번호로 표시되는 것이 전형적이며, 상기 파일들을 열지 않으면, 예상가능하게 상호 연관되는 사진들 또는 탐색되고 있는 소정의 사진들의 어떠한 정보도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처리될 사진들의 개수가 수백 장일 경우에, 종래 기술의 사진 파일들의 관리 및 처리는 불가능해진다.
대부분은, 사진 파일들이 자신의 네임들을 기초로 하여 탐색된다. 종종 상기 파일 네임은 내부에 내장되는 메타 데이터를 갖는 사진 파일들과는 별도로 파일에 포함된 사진의 유일한 텍스트 형태의 기술(description)이다. 따라서, 사진 파일들에 네임들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리될 사진 파일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소정의 사진들을 처리, 탐색 및 획득하는 것에 관해, 그리고 사진 관리 및 사용의 모든 형태에 관해 파일 네임들이 더욱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국 사진 파일들의 처리가 보다 편리하고 보다 신속하며 더욱 간단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목적은 사진 파일들의 네임들이 서로 분명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사진 파일들을 개별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목적은 이동국 사진 파일들에 기술적 네임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목적은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동국의 사진 파일들을 네이밍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이동국에 존재하거나 제공되는 데이터를 통해, 사진 파일에 대한 네임 제안들이 생성되고, 이후에는 네임 제안들이 네임 제안 리스트로 컴파일되며 상기 리스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진 파일 네임이 편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들에 기재된 것에 의해 특징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사진이 세이빙되는 이동국의 사진 파일을 네이밍하기 위한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국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진과 연관된 소정의 특징이 조사되며, 상기 특징이 네임 제안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사진 파일에 대한 네임 제안들을 포함하는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으로서 추가되고,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진 파일 네임이 편집될 수 있다.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진은 상기 이동국에서 사진 파일 내에 세이빙되고, 상기 사진 파일을 네이밍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 내에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가 조사되며, 예상가능한 네임 제안들 중에서, 사용자에 대해 제안되고 해당 사진 파일에 대한 디폴트 네임으로서 채택될 가장 양호한 네임 제안에 대한 우선순위가 소정의 우선순위 규칙들에 따라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탐색 및 획득된 네임 제안들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이 편집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진 파일 네임이 편집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진 파일 네임은 소정의 제안 또는 여러 제안을 지시함으로써 표시된 네임 제안들 중에서 선택된다.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진 파일 네임이 편집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진 파일 네임이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을 편집함으로써 생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자는 제안된 파일 네임을 편집하고, 소정의 제안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 네임을 선택하며, 상기 파일 네임을 컴파일하여 여러 제안을 이루거나 제안들을 편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에 의해 촬영된 사진들을 네이밍하는 방법은 사용자용으로 편리한데, 그 이유는 사진 파일들을 네이밍하기 위한 방법에서 상기 이동국 내에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 및 텍스트들이 채용되며,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 및 텍스트들을 수동으로 재생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메뉴를 통해, 사용자는 단지 선택된 항목을 지시함으로써만 원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미 한번 기록된 텍스트를 재기록할 필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제공되는 모든 이동국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레코딩, 탐색, 조사, 리스트화, 인덱스들 또는 아카이브들을 통한 편성 등등과 같은 사진 처리를 향상시키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파일 네임들이 해당 사진의 내용들을 기술하는 것이 전형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파일들을 개별화하는 것과는 별개로, 기술적 파일 네임들이 또한 상기 파일들을 열지 않고서도 소정의 파일들의 식별 및 획득을 허용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이동국에서의 사진 파일들의 처리를 허용하며 또한 그러한 처리를 더 편리하게 하고, 사진 파일들을 처리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다른 한 기기에 사진들을 전달할 필요가 없다. 이동국들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추가된 값, 새로운 특징들 및 기능들을 도입시킨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비디오 이미지를 레코딩하는 장래의 통신 기기들에 편리하게 확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들 및 기기들의 개발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사진에 기인하여 개선된 네임 제안들이 획득되며, 상기 네임 제안들이 사진 내용을 더 양호하게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사진 파일들을 네이밍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을 예시하는 블록 선도이다.
도 3은 네임 제안들을 안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단계(101)에서는,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사진이 촬영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사진은 디지털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사진을 촬영하는데 필요한 카메라는 이동국의 고정 요소로서 일체화된다. 상기 카메라는 또한 상기 이동국의 보조 기기로서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또한 최초로 카메라들이 구비된 기존의 이동국들에서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진은 또한 일련의 연속 사진들 또는 레코딩된 이동 이미지를 포함하는 소위 비디오 클립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다시 말하면 보조 기기 및 상기 이동국 내에 일체화된 것에 의해 레코딩된 이동 이미지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세이빙(saving) 및 네이밍(naming)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예에서, 적용가능한 모든 형태들이 사진들로 지칭된다.
이동국에 의해 촬영된 사진은 상기 이동국의 메모리에 세이빙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도 1의 단계(102)에서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단계(101)에서 촬영된 사진과 연관된 이미 상기 이동국 내에 존재하는 그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 파일 네임 제안들을 포함하는 네임 제안 리스트가 생성된다.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는 이동국의 소정의 섹션 또는 요소에서, 상기 기기의 메모리 내에 이미 기록 또는 세이빙되었거나 이와는 달리 상기 기기 내에 이미 존재하는 정보 일부가 탐색 및 획득 또는 생성되도록 컴파일된다. 적용가능한 생성된 정보는 메모리 내에 세이빙되고 사진 파일 네임 제안들을 포함하는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된다. 따라서,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는 상기 이동국 내에 이미 존재하거나 또는 제공된 데이터로 컴파일되고, 상기 네임 제안들은 예를 들면 사진, 사진의 내용, 사진 내에 포함된 데이터, 촬영 시간 또는 장소 또는 이벤트 등등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제공되고 상기 이동국에서 조사된 특징들을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네임 제안들을 통해, 편리하고 사용하기 쉬운 방식으로 세이빙될 사진 파일에 대한 기술적 네임(descriptive name)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네임은 상기 사진 파일 내에 포함된 사진과 연관된다.
상기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는 단계(103)에서 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로부터, 소정의 우선순위 규칙들에 따라 사진 파일에 대한 디폴트 네임으로서 해당 사진과 가장 잘 연관되는 네임 제안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가 사진의 내용들을 기술하는 단어를 포함할 경우에, 이는 단계(103)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진 파일 네임으로서 제안되는 사진 파일 디폴트 네임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선택된 사진 파일 디폴트 네임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락할 수 있는 제안이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또한, 예를 들면 제안된 디폴트 네임을 변경하거나 또는 제안된 디폴트 네임에 어떤 다른 것을 추가함으로써 제안된 디폴트 네임을 편집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동작들은 또한 이전의 제안을 대체하거나 이전의 제안에 조합되는 새로운 네임 제안을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로부터 선택함으로써 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는 촬영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으로부터, 사진 파일에 대한 제안된 디폴트 네임의 말미에, 여름, 가을, 저녁, 아침 등등과 같은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네임 제안으로서 편집된 언어적 특징(verbal feature) 또는 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국 내에 이미 존재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는 사진 파일들의 네이밍을 더 편리하게 하고 자동적이게 한다. 사진들의 처리 및 세이빙이 더 편리해질 경우, 상기 이동국은 이 미지 처리를 위해 더 많이 사용될 것이며, 사진들을 관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사진들을 다른 장치들에 전달할 필요가 전혀 없다.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기기들에서 더 많은 기능들 및 특징들을 획득하며, 이는 다시 상기 이동국들을 더 다재다능하게 하고 사용하는데 의미가 있게 한다.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을 레코딩하는 사진 파일을 네이밍하기 위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이동국에서 제공되는 정보 중에서 사진과 연관된 소정의 특징을 조사하는 수단, 상기 조사된 소정의 특징에 따라 네임 제안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생성된 네임 제안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를 생성하는 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를 표시하는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진 파일을 편집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또한 소정의 우선순위 규칙들에 따라 우선순위 순서로 사진 파일에 대한 네임 제안을 생성하도록 상기 이동국에서 조사된 정보를 배열하는 수단, 최상위 우선순위를 가진 네임 제안이 네임 제안 리스트에 최초로 내재하도록 네임 제안들을 배열하는 수단, 및 사진 파일에 대한 디폴트 네임으로서 상기 리스트로부터 최초의 네임 제안을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필수 요소들을 예시하는 블록 선도이며, 그러한 예시에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하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신 및 수신 브랜치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이러한 요소들은 본 발명의 주된 효과를 발휘하지 않지만, 상기 요소들은 이동 국 자체에 본질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201)은 상기 기기의 동작을 처리하고 동작들의 제어를 처리한다. 상기 제어 유닛(201)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기기 동작들이 검사, 제어 및 관찰된다. 상기 제어 유닛(201)은 직접적으로 또는 자신의 개별 제어 유닛들을 통해 상기 기기의 다른 모든 기능 섹션들 및 컴포넌트들에 접속된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을 공급하며, 이동국에서 공급된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을 조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진 파일 네임을 편집하며, 그리고 소정의 네임 제안 또는 여러 네임 제안들을 지시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로부터 사진 파일 네임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 2에 예시된 데이터 입력 장치는 키패드(202)이다. 물론, 상기 입력 장치는 또한 또는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터치 디스플레이, 펜슬 입력을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사운드 입력을 수신하는 섹션, 마우스 또는 상기 기기 내의 데이터 공급을 위한 기타 해당 기기일 수 있다. 도 2의 데이터는 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03)을 통해 표시된다. 그 외에도, 상기 기기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유닛(204)을 포함한다.
도 2에는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라 네임 제안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철저히 조사될 수 있는 상기 기기의 그러한 섹션들이 예시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의 실시예와 연관지어 언급된 수단 중 모든 기기들이 소프트웨어 수단일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언급된 기능들은 상기 기능들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되도록 기존의 섹션들 및 컴포넌트들을 통 해 실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촬영 순간과 연관된 이동국의 날짜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보의 네임 제안들을 생성하고, 그리고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을 추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 2에 예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는, 촬영 순간의 시간 정보가 조사되는 시계(205)가 표현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시간 정보는 시간 및 날짜를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면 월, 일시 또는 계절의 획득된 네임을 기반으로 하여 수치적 네임 제안들 또는 언어적 네임 제안들로 처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소정의 정밀도로 촬영 순간과 연관된 달력 이벤트를 이동국으로부터 조사하거나 탐색하고, 및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의 한 네임 제안으로서 예상가능하게 획득된 달력 이벤트를 추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소정의 정밀도로 촬영 순간과 비교될 수 있는 소정의 시간과 본질적으로 연관된 메모들 및 리마인더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달력(206)이 예시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202)를 통해 상기 달력 내에 데이터를 공급한다. 상기 달력(206)과 연관된 데이터는 상기 기기의 메모리 유닛 내에, 상기 달력용으로 할당된 메모리 일부 내에, 또는 상기 달력의 개별 메모리 유닛(206) 내에 세이빙될 수 있는데, 이는 도 2에 예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장치는 또한 시계로부터 상기 리스트 내에 도입되는 시간 정보 또는 촬영 순간의 시간 정보를 획득된 달력 이벤트의 시간 정보와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또한 이동국에서 이전에 세이빙된 사진 파일 네임을 조사하며 그리고 이를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으로 서 추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블록(207)의 사진 아카이브(picture archive)는 상기 기기의 사진 파일들이 세이빙되는 메모리 유닛 또는 메모리 유닛의 일부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또한 사진 아카이브를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 외에도, 상기 장치는 상기 사진 아카이브로부터 이전의 사진 파일의 네임을 획득하기 위하여 파일 레코딩 시간들을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또한 동작 프로파일(208)로부터 그리고 설정정보들(209)로부터 데이터를 탐색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네임 제안을 생성하며 그리고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을 추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파일(208)은 사용자 전용 동작 환경을 정의하는 사용자 전용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의미한다. 상기 프로파일(208)의 정의들은 예를 들면 사운드 선택들 및 이들의 볼륨들과 관련이 있다. 상기 설정정보들(209)에 대하여는, 상기 설정정보들이 범용 호출 설정정보들, 언어 및 네트워크 선택과 아울러 상기 기기가 온 상태로 스위칭될 경우에 스크린(203)을 통해 표시되는 예상가능한 그리팅 텍스트(greeting text)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주어진 소정 부분의 정보, 또는 소정의 근거로 사진과 연관된 정보가 조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이후에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될 네임 제안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이미지 인식 블록(210)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세이빙될 사진을 처리하고 인식되어야 할 특징들을 상기 사진에서 획득하는 이미지 인식 수단(210)과 아울러 상기 사진에서 인식된 특징들에 따라 네임 제안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기기에서 제공 되는 사진은 인식되어야 할 그러한 타깃들 또는 요소들을 상기 사진에서 획득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인식 블록(210)에서 제공되는 수단 및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이미지 인식 기법을 통해, 네이밍될 사진의 내용들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사진 내용들과 연관된 이러한 타깃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컴파일되는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될 극히 양호한 기술적 파일 네임 제안들이 획득된다. 블록(210)에서 예시된 이미지 인식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촬영된 사진에는 예를 들면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친숙하거나 널리 알려져 있는 패턴 또는 타깃이 탐색된다. 예를 들면, 사진에서 친숙한 장소가 인식될 수 있다. 인식된 타깃들을 기반으로 하여, 사진이 예를 들면 이전 사진들의 그룹에서 더 세부적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후에는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될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이 그룹 전용 네임 제안 또는 그룹 전용 네임 제안의 첫 부분일 수 있다.
도 2에는 전화번호부(211)가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전화번호부 내에 포함된 데이터는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라 네임 제안들을 생성할 경우에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볼 때, 적합한 네임 제안이 예를 들면 동적인 전화번호부(211) 내에 세이빙된 상태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태 정보의 일부, 예를 들면 "나는 회의중이다(I am at a meeting)"를 상기 동적 전화번호부(211) 내에 레코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 정보 일부를 요청하도록 소정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허락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텍스트 및 이미지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태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는 네임 제안들을 생성하기 위해 이미지 인식 기법을 통 해 부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이동국의 위치 데이터를 조회하며 그리고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도 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블록(212)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이동국은 위성 위치 확인 기법을 통해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는 이동국의 현재 위치 좌표들을 포함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그 외에도, 이동국에는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맵 애플리케이션(map application)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위치 좌표들이 수신된 위치 좌표들을 기반으로 하여 주소 데이터 또는 다른 언어적 위치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도 3에는 네임 제안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단계(301)에서는, 이동국에서 촬영 순간과 연관된 날짜 및 시간 정보가 조사되는데, 상기 데이터는 네임 제안이 되며 상기 네임 제안은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된다. 이동국에서, 촬영 순간에 관련이 있는 날짜 및 시간 정보가 조사되며, 이들을 기반으로 하여, 날짜 및 시간과 같은 수치적 네임 제안들, 또는 아침, 저녁, 여름, 겨울과 같은 언어적 네임 제안들이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생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국에서 소정의 정밀도로 촬영 순간과 연관된 달력 이벤트가 조사되고, 적합한 달력 이벤트가 획득될 경우에, 상기 달력 이벤트가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으로서 추가된다. 단계(302)에서는, 달력 이벤트들이 조사되고, 예를 들면 단계(301)에서 획득된 기기의 촬영 시간 정보와 달력 이벤트들의 시점을 비교함으로써 사진 파일들에 대한 네임 제안들로서의 달력 이벤트들의 적합성이 고려된다. 소정의 정밀도로 동일 시점과 연관된 달력 이벤트들 또는 통지들이 획득될 경우에, 상기 달력 이벤트들 또는 통지들이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된다. 상기 달력은 예를 들면 네임 제안 리스트에 대한 양호한 기술적 제안들인 것이 일반적인 풋볼 훈련, 야외 콘서트 또는 생일 파티와 같은 이벤트 또는 기념일에 대한 통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3)에서는, 이동국에서 이전에 세이빙된 사진 파일의 파일 네임이 조사되며, 이는 세이빙될 사진 파일의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으로서 추가된다. 상기 이전에 세이빙된 사진 파일은 사진들이 세이빙되어 있는 사진 파일 아카이브 또는 대응 장소에서 조사된다. 이러한 단계에서는, 특히 이전의 사진 파일을 레코딩한 다음에 단지 짧은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만 상기 이전에 세이빙된 사진과 연관된 다른 정보를 탐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2장의 최근 사진들 간의 기간이 소정의 범위보다 짧은 경우에, 새로운 네임 제안은 이전의 사진과 동일한 첫 부분을 지닐 수 있다. 그러나, 파일 네임들을 개별 파일들로서 식별할 수 있도록 파일 네임들 간에는 구별 특징이 존재하여야 한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는 짧은 기간 내에 촬영된 2개의 연속 사진들에 대하여 설정된 디폴트 네임이 하나일 수 있으며 동일한 네임 제안일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후에는, 상기 파일 네임들이 예를 들면 네임의 말미에 추가될 네임 제안을 통해 어느 정도 구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진 파일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특징은 기기의 시계에서 조 사된 촬영 시점인데, 그 이유는 2개의 개별 사진이 정확하게 동일한 촬영 시간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단계(304)에서는, 기기의 사용자 특정 동작 프로파일 데이터에서 사진 파일에 대한 예상가능한 네임 제안들이 조사된다. 단계(305)에서는, 기기의 설정정보들 및 현재 모드로부터, 네임 제안 리스트에 대한 예상가능한 제안들이 조사된다.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국의 프로파일 및 설정정보들로부터, 소정의 근거로 사진과 연관되는, 선택된 호출음, 로고(logo) 네임, 환영 메모, 사용자 프로파일 네임 또는 다른 기존 정보 일부와 같은 정보가 조사되며, 이는 이후에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으로서 추가된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국의 동적 전화번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태 정보가 조사되며, 상기 상태 정보는 사진 파일에 대한 네임 제안으로서 설정된다. 상기 상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현재의 상태 정보이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몇몇 사람에 의해 조사될 수 있는 정보 일부인 것이 전형적이다. 상기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외출중이라고 나타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동국 내의 정보를 조사한 사람이 예를 들면 더 적합한 순간에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하도록 조치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이동국 내의 정보를 조사한 사람이 자신의 체류 장소와 외출중인 사용자의 체류 장소 간의 예상가능한 시간 차이를 알고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편집 이후 또는 자체로 네임 제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이미지 인식 기법을 통해 네임 제안으로 편집될 수 있는 사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세이빙될 사진은 사진에서 인식될 특징들을 기반으로 하여 사진 파일 네임 제안들을 생성하도록 이동국의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되고, 생성된 네임 제안은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된다. 단계(306)에서, 상기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이 실행되고, 소정의 특징들이 세이빙될 사진에서 조사된다. 이미지 인식 기법을 통해, 예를 들면, 사진 내에서 제공된 사진의 밝기, 패턴들, 사람들, 타깃들, 장소들, 환경들 등등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로부터, 네임 제안들이 생성될 수 있거나, 네임 제안들이 예를 들면 이전 사진의 대응하는 특징과 비교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교를 기반으로 하여 네임 제안이 생성됨으로써, 공통 특징들이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되게 할 수 있다. 이미지 인식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사진들은 또한 레코딩 단계에 이미 그룹별로 배치되기 때문에, 소정의 특징들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네임 제안들(이러한 특징들 및 제안들이 이미 이전의 사진 또는 사진 그룹 내에 이미 표현됨)이 가장 중요한 것이도록 우선순위화되고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최상위로 배정되게 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에서, 네임 제안들이 중요한 순서로 이루어지며, 최선의 것으로 우선순위화되는 네임 제안이 상기 리스트에 최초로 내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진의 밝기를 기반으로 하여, 네임 제안들을 생성할 경우에, 촬영 시간이 밤이라고 가정될 수 있다. 상기 시점이 또한 이동국의 시계에 따라 밤일 경우에, 2군데의 서로 다른 위치들로부터 획득된 2가지 힌트가 서로 지원하기 때문에, 상기 힌트는 신뢰성 있는 촬영 시간 표시를 구성한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생성된 강력한 힌트가 전형적으로 네임 제안 리스트의 상단부에 네임 제안으로 서 추가된다.
동일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사진들의 네임 제안 리스트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네임 제안들을 포함하고 심지어는 동일한 우선순위 규칙들이 적용되는 경우에 동일 순서로 동일한 네임 제안들을 포함한다. 서로 유사하며 동일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사진 파일들의 디폴트 네임들이 이미지 인식에서 획득된 동일한 네임 제안들을 포함하도록 사진 파일들에 대해 제안된 디폴트 네임들을 기반으로 하여 사진들이 그룹화될 수 있다.
단계(307)에서는, 이동국의 현재 위치 정보가 조사되는데,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면 GPS 위치 확인 기법을 통해 생성된다. GPS 위치 확인으로부터 획득되는 좌표 정보는 예를 들면 인터넷에서 사용된 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 좌표들을 기반으로 하여 인식되는 장소, 빌딩, 지역 또는 도시로나 언어적 주소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이들 중,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네임 제안이 생성될 수 있다. 몇몇의 널리 알려져 있는 타깃들, 예를 들면 자유의 여신상은 이동국의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그리고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사진에서 인식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국에서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네임 제안이 조사되며,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는 획득된 네임 제안은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에서 네임 제안으로서 설정된다. 단계(308)에서, 사용자에 의해 공급된 네임 제안들이 메모리에서 조사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기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네임들을 공급 및 레코딩할 수 있다. 이들은 항상 생성될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포함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이들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맨 나중에 인쇄되지만, 물론 사용자 자신의 네임 제안들은 예를 들면 사용자 특정 프로파일의 일부로서 추가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이러한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정보가 단계(304)에서 조사된다. 도 3의 설명과 관련해서는,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컴파일될 정보의 소정의 예들이 존재한다. 분명한 점으로는, 네임 제안 리스트가 상기 기기용으로 제공되거나 이미 존재하는 임의의 정보 일부를 통해서나 사진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정보를 통해 위에서 언급된 설명과 다른 방식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컴파일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생성된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의 네임 제안들은 어떤 소정의 우선순위 규칙들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지며, 네임 제안들은 최상위 우선순위를 갖는 네임 제안이 상기 리스트에서 최상위로 배정되도록 순서가 설정되고,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에서의 첫 번째 네임 제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진 파일에 대한 디폴트 네임으로서 설정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생성된 네임 제안들은 우선순위가 정해진다. 다시 말하면, 생성된 네임 제안들은 단계(309)에서 소정의 우선순위 규칙들에 따라 우선순위의 순서가 설정된다. 우선순위 규칙들은 어떤 소정의 경우라도 적용가능한 몇가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네임 제안들이 소정의 중요한 순서로 조사됨으로써, 네임 제안들이 조사되는 것과 동일한 순서로 네임 제안들이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될 수 있으며 반드시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 개별적인 우선순위 단계(309)가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항상 새로운 네임 제안이 획득될 경우마다, 이는 상기 리스트에서 이미 존재하는 네임 제안들과 비교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장소 가 상기 리스트에서 획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가장 적합한 것으로서 분류되는 가장 중요한 네임 제안은 상기 리스트 내에 첫 번째로 배정된다. 상기 제안들은 순서 또는 우선순위로 배열됨으로써 어느 부분으로부터 또는 어느 단계에서 네임 제안들이 조사되는지에 따라 순서가 정의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안들이 이전에 세이빙된 사진의 제안들과 동일할 경우에는 순서가 영향을 받게 된다. 이는 예를 들면 단지 데이터가 동일할 경우에만 이전의 사진 정보가 유효하도록, 또는 이전의 사진이 일주일이 지난 것일 경우에 이전의 사진이 새로운 사진을 네이밍할 때 더 이상 중요하지 않도록 기한(time limit)과 연관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는 시점에 적합한 예상가능하게 획득된 달력 이벤트가 항상 가장 양호한 이벤트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힌트들이 이미지 인식에 의해 생성된 네임 제안들과 비교되며, 이들 중 가장 적합한 것이 우선순위 규칙들에 따라 선택된다. 더욱이, 상기 우선순위 규칙들은 예를 들면 언어적 힌트들이 항상 수치적 힌트들 이전에 나오거나, 5개 글자의 네임 제안들이 예를 들면 2개 또는 8개의 네임 제안들보다 상위 레벨로 우선순위가 정해지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 우선순위 규칙에 의하면, 최상위 레벨에 대해 선택된 네임 제안들은 사용자에 의해 공급되는 탐색된 입력과 가장 유사한 네임 제안들이다. 상기 우선순위 규칙들은 2가지 개별 탐색으로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네임 제안이 초래될 경우에 네임 제안 자체가 적합하게 되는 경우보다 우선순위의 순서가 더 높이 상승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디폴트 네임들은 이미 알려져 있는 단어 또는 용어를 포함하는 네임들을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언 어적 네임이 항상 네이밍된 파일의 내용들에 대한 힌트 또는 가정을 제공하며, 이러한 것이 나중에 파일들을 처리할 때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단계(309)에서 네임 제안들이 우선순위가 정해진 이후에는, 그들 중에서 단계(310)에서 사진 파일에 대한 최상위 우선순위를 갖는 가장 적합한 디폴트 네임이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단계(309)에서 가장 양호한 제안으로서 분류된 네임이 현재 사진 파일에 대한 디폴트 네임으로서 설정된다. 단계(311)에서는, 생성된 네임 제안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표시된 네임 제안들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는 제안된 디폴트 네임을 전혀 다른 네임으로 대체할 수도 있고, 사용자는 제안된 네임을 편집할 수도 있다. 사진 파일 네임은 획득된 네임 제안들 중 하나 또는 여러 네임 제안들을 지시함으로써 획득된 네임 제안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네임은 여러 부분을 포함하도록 컴파일됨으로써, 예를 들면 이미지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디폴트 네임 "오리(duck)" 다음에 네임 제안들이 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로부터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계절을 선택함으로써 날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성된 계절이 추가된다. 현재 채택된 네임이 예를 들면 "오리-겨울(duck-winter)"인데, 이 경우에는 상기 네임의 첫 번째 부분이 세이빙될 사진의 내용들을 언급하는 것이며, 마지막 부분은 상기 사진을 촬영 순간과 연관시키는 것이다. 상기 생성된 파일 네임으로부터, 또한 세이빙된 사진이 오리새로 뒤덮인 겨울을 표현하는 것으로 결론이 내려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여러 부분으로 컴파일된 네임 제안들의 부분들 사이에는 위의 예에서 사용된 하이픈(hyphen; "-")과 같은 분리 부호가 추 가된다. 상기 파일 네임 다음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으로 수식어(qualifier)가 추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하는 사진 파일 네임이 선택된 경우, 이동국은 대응하는 파일 네임이 아직 이동국에 세이빙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검사한다. 완전히 동일한 파일 네임이 획득된 경우에는, 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국이 그러한 취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와 관련해서는, 사용자가 이전에 세이빙된 동일한 네임을 갖는 파일 내에 레코딩될 사진을 세이빙하기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네임을 변경시키도록 요청을 받을 수 있는데, 이전에 세이빙된 동일한 네임을 갖는 파일 내에 레코딩될 사진을 세이빙할 경우에는 이전의 사진 파일의 내용들이 손실된다.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국은 상기 네임 제안 내에 예를 들면 일련 번호, 시간 매개변수 또는 네임 제안 리스트에서 다음에 위치해 있는 네임 제안을 추가시키는데, 이를 통해 파일 네임이 이전의 네임과 구별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세이빙될 사진이 이미 존재하는 사진 파일 내에 기록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그러한 경우에 대하여 통지를 받고, 상기 파일의 식별을 위해 아마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 파일 네임에서의 변경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세이빙될 사진이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경우에 바로 적용될 수 있다. 이후에는 한 실시예에 따라 네임 제안 리스트가 생성되고 최상위 우선순위를 갖는 네임 제안에 따라 사진에 대하여 파일 네임이 자동으로 제안된다. 네임 제안 리스트는 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시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제안/제안들을 선택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키패드를 통해 수 동으로 네임을 편집할 수도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제안 리스트는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세이빙될 사진을 촬영하기 전에 이미 생성된다. 사용자는 네임 제안들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네임 제안들 없이 자신이 원하는 대로 생성될 사진 파일 네임을 편집할 수 있다. 네임 제안 리스트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네임 제안들, 이전에 세이빙된 사진 파일의 네임, 및 상기 기기 내에 세이빙된 설정정보 및 프로파일 데이터와 같은 입수가능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컴파일된다. 생성된 사진 파일 네임은 다음에 세이빙될 사진들에 대한 프리픽스(prefix)로서 사용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국의 메모리 내에 이미 저장된 이전에 레코딩된 사진 파일이 네이밍된다. 상기 메모리 내에 세이빙된 사진 파일에 대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네임 제안 리스트가 생성된다. 상기 메모리 내에 세이빙된 사진 파일을 촬영하는 순간에 관련이 있는 모든 데이터가 이제는 반드시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사진 파일을 통해 생성 또는 조사될 수 있는 제공된 정보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마도 이전의 촬영 순간과 동시적인 달력 메모가 아직 제공되어 있지 않고, 사진 파일이 이미지 인식 수단을 통해 처리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생성될 네임 제안 리스트에 대한 적절한 네임 제안들이 사진 파일 내용들을 기반으로 하여 획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네임 제안들 및 디폴트 네임들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용으로 제공된다.
위의 명세서에서는, 이동국용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네임 제안들을 생성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예를 들어 언급되었다. 그러나, 위에 언급된 실시예들 및 이들에 포함된 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기기들 및 사진들의 개발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유용한 정보는 예를 들면 비디오 레코딩과 같은 변경가능한 내용들을 갖는 변경가능한 사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다른 여러 방식으로 탐색 및 생성될 수 있다.

Claims (27)

  1. 이동국의 사진 파일을 네이밍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사진 파일 내에는 상기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사진이 세이빙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진과 연관된 소정의 특징이 탐색되며(102),
    상기 획득된 특징으로 네임 제안이 생성되고, 상기 네임 제안은 네임 제안 리스트의 생성을 위해 상기 사진 파일에 대한 네임 제안들을 포함하는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되며, 그리고
    상기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진 파일 네임이 편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촬영 순간과 연관된 날짜 및 시간 정보가 탐색되고(301), 네임 제안이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며, 상기 네임 제안은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소정의 정밀도로 촬영 순간과 연관된 달력 이벤트가 탐색되며(302), 그러한 달력 이벤트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달력 이벤트가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으로서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이전에 세이빙된 사진 파일의 파일 네임이 탐색되고(303), 상기 파일 네임이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으로서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동작 프로파일(304) 및 설정정보들(305)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사진과 연관된 데이터가 탐색되고, 상기 데이터가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빙될 사진은 상기 사진에서 인식되는 특징들을 통해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을 생성하도록 상기 이동국의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306)으로 처리되고, 상기 생성된 네임 제안은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가 탐색되며(307),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될 네임 제안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네임 제안이 탐색되고(308),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는 획득된 네임 제안은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포함된 네임 제안들은 어떤 소정의 우선순위 규칙들에 따라 우선순위 순서로 배열됨(309)으로써, 최상위 우선순위를 갖는 네임 제안이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에 첫 번째로 배열되고,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의 첫 번째 네임 제안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진 파일의 디폴트 네임으로서 설정되는(310)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파일 네임이 편집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진 파일 네임이 표시된 네임 제안들 중 하나 또는 여러 네임 제안을 지시함으로써 표시된 네임 제안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파일 네임이 편집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진 파일 네임이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을 편집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따른 단계들은 상 기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나중에 세이빙될 사진을 촬영하기 전에 상기 이동국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따른 단계들은 세이빙될 사진이 상기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101)된 직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따른 단계들은 상기 이동국의 메모리 내에 이미 저장되고 사진 파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전에 세이빙된 사진을 기반으로 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사진을 포함하는 사진 파일을 네이밍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국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진과 연관된 소정의 특징을 탐색하기(201,204,205,206,207,208,209,210) 위한 수단,
    상기 탐색된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네임 제안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사진 파일의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상기 생성된 네임 제안을 추가하여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를 표시하기 (201,203) 위한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진 파일 네임을 편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획득된 정보의 네임 제안을 생성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사진 파일의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상기 네임 제안을 네임 제안으로서 추가하기 위해(201) 촬영 순간과 연관된 날짜 및 시간 정보(205)를 상기 이동국에서 탐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소정의 정확도로 촬영 순간과 연관된 달력 이벤트(206)를 상기 이동국에서 탐색하며, 그리고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네임 제안으로서 예상가능하게 획득된 달력 이벤트를 설정하기(201)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전에 세이빙된 사진 파일 네임(207)을 상기 이동국에서 탐색하며 그리고 이를 네임 제안으로서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하기(201)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국의 동 작 프로파일(208) 및 설정정보들(209)의 정보를 탐색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네임 제안을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생성된 네임 제안을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하기(201)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세이빙될 사진을 처리하며 그리고 상기 사진 내에 인식가능한 특징들을 탐색하기 위한 이미지 인식 수단(210)과 아울러, 상기 사진에서 인식되는 특징들에 따라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을 생성하기(201,210)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212)를 질의하는 수단 및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진 파일 네임 제안을 공급하며, 그리고 상기 이동국 내에 세이빙된 사진 파일 네임 제안(204)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탐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어떤 소정의 우선순위 규칙들에 따라 우선순위 순서로 상기 이동국에서 생성된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들을 배열시키기(201) 위한 수단, 최상위 우선순위를 갖는 네임이 네임 제안 리스트에 첫 번째로 내재하도록 네임 제안 리스트를 배열시키기(201) 위한 수단, 및 상기 리스트에 사진 파일 디폴트 네임으로서 첫 번째로 내재하는 네임 제안을 설정하기(201)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네임 제안들 중 하나 또는 여러 네임 제안을 지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네임 제안 리스트로부터 사진 파일 네임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진 파일 네임 제안를 편집하기(202)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소프트웨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이동국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을 레코딩한 사진 파일을 네이밍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국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진과 연관된 소정의 특징을 탐색하기(201,204,205,206,207,208,209,210) 위한 프로그램 수단,
    상기 탐색된 특징을 사진 파일 네임 제안 리스트 내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네임 제안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수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생성된 네임 제안 리스트를 표시하기(201,203) 위한 프로그램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진 파일 네임을 편집하기 위한 프로그램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67004522A 2003-09-04 2004-08-30 이동국 내에 세이빙될 사진들을 네이밍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849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5143A FI116547B (fi) 2003-09-04 2003-09-04 Menetelmä ja laitteisto matkaviestimeen tallennettavien kuvien nimeämiseksi
FI20035143 2003-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033A true KR20060060033A (ko) 2006-06-02
KR100849171B1 KR100849171B1 (ko) 2008-07-30

Family

ID=2783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522A KR100849171B1 (ko) 2003-09-04 2004-08-30 이동국 내에 세이빙될 사진들을 네이밍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27911A1 (ko)
EP (1) EP1661075A1 (ko)
JP (1) JP2007504546A (ko)
KR (1) KR100849171B1 (ko)
CN (1) CN100445993C (ko)
FI (1) FI116547B (ko)
WO (1) WO2005024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0586B2 (en) 2004-06-30 2010-11-23 Nokia Corporation Searching and naming items based on metadata
US20060080286A1 (en) * 2004-08-31 2006-04-13 Flashpoint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accessing images based on position data associated therewith
JP4536461B2 (ja) * 2004-09-06 2010-09-01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処理装置
JP4600017B2 (ja) * 2004-12-02 2010-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印刷装置、選択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461059B2 (en) * 2005-02-23 2008-12-02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ally updated search results based upon continuously-evolving search query that is based at least in part upon phrase suggestion, search engine uses previous result sets performing additional search tasks
KR100828357B1 (ko) * 2005-05-16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에서 저장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및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
US7822746B2 (en) * 2005-11-18 2010-10-26 Qurio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tagging images based on positional information
EP1814046A3 (en) * 2006-01-25 2008-12-24 Océ-Technologies B.V.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file list display function and a file name generation function
KR100763237B1 (ko) * 2006-05-11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4773281B2 (ja) * 2006-06-16 2011-09-14 ヤフー株式会社 写真登録システム
US8713079B2 (en) 2006-06-16 2014-04-29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metadata entry
KR100699806B1 (ko) * 2006-06-27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지화상 및 동화상의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0883100B1 (ko) * 2006-12-18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영상 파일 저장 방법 및 장치
EP1936942A1 (en) * 2006-12-20 2008-06-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scanning device
KR101396348B1 (ko) * 2007-03-08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파일 관리 방법
US9232042B2 (en) * 2007-07-20 2016-01-0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nd modify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to create context data tags in a wireless system
US9509795B2 (en) * 2007-07-20 2016-11-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agging data with context data tags in a wireless system
CN100573532C (zh) * 2008-05-09 2009-12-23 北京大学 一种文件标签的智能提示方法
KR20090122043A (ko) * 2008-05-23 200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기능과 연동한 사진 파일 생성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US20100082624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ategorizing digital media according to calendar events
US8457366B2 (en) 2008-12-12 2013-06-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faces
CN101795379A (zh) * 2010-03-12 2010-08-04 广东星海数字家庭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数字家庭视频存储实现方法及系统
KR20120028491A (ko) * 2010-09-15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US9128939B2 (en) * 2010-11-16 2015-09-08 Blackberry Limited Automatic file naming on a mobile device
US9251173B2 (en) 2010-12-08 2016-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lace-based image organization
US9460419B2 (en) * 2010-12-17 2016-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ructuring unstructured web data using crowdsourcing
US8610788B2 (en) * 2011-02-08 2013-1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 storage management in cameras
JP2013029888A (ja) * 2011-07-26 2013-02-07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原稿読取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CN103095960A (zh) * 2011-10-31 2013-05-0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相册管理系统及方法及使用该相册管理系统的电子设备
CN103186557A (zh) * 2011-12-28 2013-07-0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录音或者录像文件自动命名的方法和装置
US9063936B2 (en) 2011-12-30 2015-06-23 Verisign, Inc. Image, audio, and metadata inputs for keyword resource navigation links
US8965971B2 (en) 2011-12-30 2015-02-24 Verisign, Inc. Image, audio, and metadata inputs for name suggestion
KR101964914B1 (ko) * 2012-05-10 2019-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에 대한 오토 네이밍 방법 및 이 기능을 갖는 장치와 기록 매체
GB201300255D0 (en) 2013-01-08 2013-02-20 Ibm Object naming
US9292537B1 (en) 2013-02-23 2016-03-22 Bryant Christopher Lee Autocompletion of filename based on text in a file to be saved
CN104063402A (zh) * 2013-03-22 2014-09-24 昆达电脑科技(昆山)有限公司 数字影像命名方法及数字影像记录装置
KR102057581B1 (ko) * 2013-04-16 2019-1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
CN105574167B (zh) * 2015-12-17 2020-01-1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照片自动命名处理方法及系统
KR101806499B1 (ko) 2016-06-10 2017-12-07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파일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관리 장치
US11681942B2 (en) 2016-10-27 2023-06-20 Dropbox, Inc. Providing intelligent file name suggestions
US9852377B1 (en) * 2016-11-10 2017-12-26 Dropbox, Inc. Providing intelligent storage location suggestions
WO2019221314A1 (ko) * 2018-05-16 2019-11-21 주식회사 유니온플레이스 컨텐츠 퍼블리싱 장치 및 컨텐츠 퍼블리싱 방법
JP7180117B2 (ja) * 2018-05-24 2022-1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画物販売システム
JP7400397B2 (ja) * 2019-11-26 2023-12-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7400548B2 (ja) * 2020-03-03 2023-12-1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358B2 (ja) * 1990-02-23 2001-03-19 ミノルタ株式会社 撮影地データを記録できるカメラ
KR0155268B1 (ko) * 1995-10-24 1998-12-15 김광호 감시용 시스템의 기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TW360819B (en) * 1996-10-16 1999-06-11 Canon Kk File management system of image data
EP0838767A3 (en) * 1996-10-22 2003-05-14 Fuji Photo Film Co., Ltd. Picture image filing method and device
JP3906938B2 (ja) * 1997-02-18 2007-04-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方法及び画像データ管理方法
JPH10243325A (ja) * 1997-02-21 1998-09-11 Minolta Co Ltd 撮像装置
US6222583B1 (en) * 1997-03-27 2001-04-2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evice and system for labeling sight images
US6396537B1 (en) * 1997-11-24 2002-05-28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system for enabl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 camera and an attraction site
US6469698B2 (en) * 1997-12-24 2002-10-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JPH11212992A (ja) * 1998-01-27 1999-08-06 Sharp Corp 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462778B1 (en) * 1999-02-26 2002-10-08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descriptive data with digital image files
JP2000332943A (ja) * 1999-05-20 2000-11-30 Pasukaru:Kk 携帯情報端末器
US20020019827A1 (en) * 2000-06-05 2002-02-14 Shiman Leon 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ocuments in a centralized document repository system
US6657661B1 (en) * 2000-06-20 2003-1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camera with GPS enabled file management and a device to determine direction
JP4532717B2 (ja) * 2000-10-31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電子メール送信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2165170A (ja) * 2000-11-24 2002-06-07 Canon Inc 撮像装置
JP4401565B2 (ja) * 2000-12-12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管理方法
JP2002352218A (ja) * 2001-05-24 2002-12-06 Olympus Optical Co Ltd ファイル名設定システム、電子カメラ、及び情報処理装置
US7478125B2 (en) * 2001-09-13 2009-01-13 Intel Corporation Automatic annotation of audio and/or visual data
US6690883B2 (en) * 2001-12-14 2004-0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lf-annotating camera
JP2004215231A (ja) * 2002-12-16 2004-07-2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US20050234905A1 (en) * 2004-04-07 2005-10-20 Endler Sean 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apturing and storing content related to an ev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35143A0 (fi) 2003-09-04
WO2005024681A1 (en) 2005-03-17
US20070027911A1 (en) 2007-02-01
EP1661075A1 (en) 2006-05-31
CN1846209A (zh) 2006-10-11
FI20035143A (fi) 2005-03-05
KR100849171B1 (ko) 2008-07-30
JP2007504546A (ja) 2007-03-01
FI116547B (fi) 2005-12-15
CN100445993C (zh)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171B1 (ko) 이동국 내에 세이빙될 사진들을 네이밍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654709B1 (ko) 데이터화일 저장장치, 데이터화일 저장방법 및 데이터화일 저장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72867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images
EP1797707B1 (en) Place name picture annotation on camera phones
US7840586B2 (en) Searching and naming items based on metadata
KR20060092075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JP577361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1102009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US200700517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WO2010047336A1 (ja) 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撮影方法
WO200005134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descriptive data with digital image files
JP2002202986A (ja) ディジタル画像の収集物に個人化されたメタデータを追加する方法
CN100568238C (zh) 图像搜索方法及装置
EP1507399A1 (en) Image capture device loaded with image metadata
WO200403043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digital picture with textual material
EP1902392A2 (en) Identifying collection images with special events
JP2006072614A (ja) 画像ファイルの保存方法およびその関連技術
JP2001297090A (ja) 画像データ検索方法、画像表示方法、データ検索システム、画像編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5346440A (ja) メタデータ付与支援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メタデータ付与支援方法
JP2001100887A (ja) オブジェクト処理装置
KR100690728B1 (ko) 카메라 결합형 휴대단말기의 사진파일 저장 방법
JP2001357045A (ja)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方法およ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KR101858457B1 (ko) Gps 좌표정보를 이용한 사진파일 편집방법
JP2009135715A (ja) コンテンツ起動携帯端末装置
JP2004030118A (ja) 画像合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