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633A - 납땜 인두 및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납땜 인두 및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633A
KR20060058633A KR1020050111667A KR20050111667A KR20060058633A KR 20060058633 A KR20060058633 A KR 20060058633A KR 1020050111667 A KR1020050111667 A KR 1020050111667A KR 20050111667 A KR20050111667 A KR 20050111667A KR 20060058633 A KR20060058633 A KR 20060058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iron
heater
temperature sensor
soldering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2782B1 (ko
Inventor
토모히로 시게까와
Original Assignee
타이요 일렉트릭 아이엔디.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요 일렉트릭 아이엔디.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요 일렉트릭 아이엔디.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3Soldering irons; Bits electrically heated
    • B23K3/0338Constructional features of electric soldering irons
    • B23K3/0369Couplings between the heating element housing and the bit or t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3Soldering irons; Bits electrically heated
    • B23K3/033Soldering irons; Bits electrically heated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or selecting the temperature or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3Soldering irons; Bits electrically heated
    • B23K3/0338Constructional features of electric soldering ir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4Heating appliances
    • B23K3/047Heating appliances electric
    • B23K3/053Heating appliances electric using resistance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선단으로 땜납을 용융시키는 인두 팁을 구비한 납땜 인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두 팁의 내부에 상기 인두 팁의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후단측으로 개구되는 대략 원기둥 모양의 삽입 요부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이 절연 산화막으로 피복되며 상기 삽입 요부에 삽입되는 히터를 구비하는 납땜 인두에 관한 것이다.
납땜 인두, 인두 팁, 절연 산화막, 히터

Description

납땜 인두 및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SOLDERING IR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인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인두 팁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히터의 코일 직경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납땜 인두 및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4년 11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4-340157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포함시킨다.
종래부터 열전도성을 갖는 재료를 원뿔 모양으로 형성하고 히터를 내장한 납땜 인두의 인두 팁이 제공되어 왔다(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4-17060호 참조). 상기 히터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저항값을 갖는 선재(線材)를 코일 형태로 감아 구성한다.
한편, 기판상의 극소 LSI 등을 납땜하는 최근의 표면 실장 기술에서는 납땜 할 부위와 용융시키지 않을 부위가 극소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납땜을 수행할 때에는 극소 범위에 적절히 인두 팁이 미치도록 극소 사이즈로 구성된 납땜 인두 (이하, 「극소 사이즈 납땜 인두」라 칭함.)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극소 사이즈 납땜 인두의 내부 또한 일반 사이즈의 납땜 인두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극소 사이즈 납땜 인두에도 저항값을 갖는 선재를 코일 형상으로 감은 히터가 내장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극소 사이즈 납땜 인두의 히터의 경우에는 인두 팁 자체가 극소로 구성되기 때문에 코일 형상으로 감긴 선재들간의 간격이 일반 사이즈의 납땜 인두에 비해 상당히 작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선재들이 상호 접촉되어 전기 쇼트되거나 단선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일 형상으로 감긴 선재들의 간격을 크게 설정할 경우에는 납땜 인두의 손잡이까지 열이 전도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극소 사이즈로 구성되면서도 전기 쇼트를 비롯한 전기적인 문제가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신속하게 가열되며 또한 납땜 작업에 적합한 온도를 적절히 유지시켜 작업이 용이한 납땜 인두 및 그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납땜 인두 및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납땜 인두는, 선단으로 땜납을 용융시키는 인두 팁을 구비한 납땜 인두로서, 상기 인두 팁의 내부에 상기 인두 팁의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후단측으로 개구된 대략 원기둥 모양의 삽입 요부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표면이 절연 산화막으로 피복되고 상기 삽입 요부에 삽입된 히터를 구비한다.
상기 납땜 인두는, 인두 팁을 가열하는 히터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히터의 표면은 절연 산화막으로 피복되어 있다. 즉, 저항값을 가져 발열하는 선재는 절연 산화막에 의해 선재 상호간의 전기적 접점이 절연된다. 이에 따라 선재들이 상호 접촉되는 등의 경우에 전기 쇼트를 피할 수 있으므로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선재 상호간의 간격을 좁혀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산화막에 의해 단선 등의 전기적 트러블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두 팁에 내장되는 히터는 코일 형상으로 배치되는 선재들간의 간격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의 사이즈를 작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인두 팁을 극소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선재들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었으므로 단위 체적당 가열량도 증가하여 인두 팁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히터의 사이즈가 작으므로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부분을 인두 팁으로 한정시킬 수 있다. 즉 납땜 인두의 손잡이로 열이 쉽게 전도되지 않으므로 납땜 작업시 장시간에 걸쳐 손잡이를 계속적으로 잡고 있을 수 있어 작업하기에 적합한 납땜 인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납땜 인두에서 전기 히터를 구성하는 선재의 재료는 알루미늄을 함유한 철-크롬계의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술한 선재를 피복하는 절연 산화막을 형성함에 있어 효율적으로 절연 산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칸탈선(kanthal wire) 등의 알루미늄을 함유한 철-크롬계의 금속은 1100∼1200℃로 소정 시간 동안 두면 함유되어 있는 알루미늄이 고온 산화되어 표면에는 적절한 산화막(알루미나막)이 형성된다. 산화막을 형성하는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선재를 피복하기에 적합한 절연 산화막이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원하는 작용 효과를 바람직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납땜 인두에서 상기 삽입 요부는, 상기 인두 팁 후단측에 마련된 히터 삽입부와, 상기 인두 팁 선단측에 형성되고 내경이 상기 히터 삽입부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된 온도 감지기 삽입부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에 온도 검출이 가능한 온도 감지기가 삽입되고, 이 온도 감지기가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인두 팁의 온도를 바람직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삽입부에 삽입된 히터에 의해 인두 팁이 가열되었을 경우 인두 팁이 원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히터에 적당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납땜 작업시 그 납땜에 바람직한 적당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납땜 인두를 구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납땜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납땜 인두에서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된 외경으로 이루어진 원통체가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과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온도 감지기가 끼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온도 감지기는 적절히 끼워져 고정됨과 아울러, 온도 감지기 삽입부의 내주면과 확실히 접촉되므로 인두 팁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삽입부에 삽입된 히터에 의해 인두 팁이 가열되었을 경우 인두 팁이 원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히터에 적당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납땜 작업시, 그 납땜에 바람직한 적당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납땜 인두를 구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납땜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은, 선단으로 땜납을 용융시키는 인두 팁을 구비한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인두 팁의 내부에 상기 인두 팁의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후단측으로 개구된 대략 원기둥 모양의 삽입 요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삽입 요부에 삽입되는 히터를 알루미늄을 함유한 철-크롬계의 금속을 코일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하는 공정과, 상기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히터를 소정 온도의 퍼니스(furnace)에 소정 시간 동안 두어 고온 산화시키는 공정과, 상기 고온 산화된 히터를 상기 삽입 요부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삽입 요부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온도 감지기를 마련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저항값을 가져 발열하는 선재는, 절연 산화막에 의해 선재 상호간의 전기적 접점이 절연된다. 이에 따라, 선재들이 상호 접촉되는 등의 경우에도 전기 쇼트를 피할 수 있으므로,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선재들간의 간격을 좁혀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산화막에 의해 단선 등의 전기적 트러블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도 감지기가 삽입 요부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인두 팁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조된 인두 팁에 내장되는 히터의 경우에는, 코일 형상으로 배치되는 선재들간의 간격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의 사이즈를 작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인두 팁을 극소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재들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단위 체적당 가열량도 증가하여 인두 팁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히터의 사이즈가 작으므로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부분을 인두 팁으로 한정시킬 수 있다. 즉, 납땜 인두의 손잡이로 열이 쉽게 전달되지 않으므로, 납땜 작업시 장시간에 걸쳐 손잡이를 계속해서 잡고 있을 수 있는 작업에 적합한 납땜 인두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기에 의해 온도 검출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인두 팁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로 유지되어, 납땜 작업시 그 납땜에 바람직한 적정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납땜 인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인두 및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극소 사이즈로 구성되면서도 전기 쇼트를 비롯한 전기적 트러블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신속하게 가열되며, 또한 납땜 작업에 적합한 온도를 적절히 유지시켜 작업이 용이한 납땜 인두 및 그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인두와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 해 설명한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인두의 사시도, 도 2는 인두 팁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히터의 코일 직경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인두(1)는 그 선단으로 땜납을 용융시켜 납땜을 수행하거나 납땜되어 있던 땜납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납땜 인두(1)는 크게 땜납을 용융시키기 위한 선단부(21)를 구비한 인두 팁(20)과, 인두 팁(20)의 후단과 접속되는 몸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몸체부(10)의 선단에는 인두 팁(20)의 후단이 결합부재(11)를 통해 결합되고, 몸체부(10)의 후단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콘센트(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코드(12)가 마련되어 있다. 몸체부(10)의 중간부에는 납땜 작업 수행시 그 납땜 인두(1)를 손으로 쥐기 위한 손잡이(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0)에는 절연 트랜스포머를 구비한 콘트롤러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절연 트랜스포머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의 전압을 절연하면서 저전압으로 변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압(100V)을 인두 팁(20) 내에 배치된 히터(30)용의 교류 전압(24V)과 온도 콘트롤러 구동용 교류 전압(10V)으로 절연하면서 변압시킨다. 콘트롤러 장치에 마련된 온도 콘트롤러는 인두 팁(20) 내에 배치된 온도 감지기(33)에 후술할 케이블(34)을 통해 접속되어 있어, 상기 온도 감지기(33)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히터(30)로의 교류 전압(24V) 공급을 온 또는 오프로 절환시킨다. 온도 콘트롤러에 의한 히터(30)의 온 오프에 의해 인두 팁(20)의 온도가 소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조절된다. 콘트롤러 장치는 몸체부(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콘트롤 러 박스의 형태로 몸체부(10)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납땜 인두(1)의 인두 팁(2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인두 팁(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부분(23) 및 원뿔 부분(23)의 저면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부분(24)이 일체로 형성된,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선단부(21)와, 원기둥 부분(24)의 외주면에 강제 삽입 등에 의해 고정된 스텐레스 파이프(P)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부(21)에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후단측의 중심에서 선단측을 향해 원기둥 모양의 공동으로 형성되는 삽입 요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 요부(25)는 후단측에 마련된 히터 삽입부(25a)와 선단측에 마련된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터 삽입부(25a)는 상기 원기둥 부분(24)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형 단면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대략 원기둥 모양의 공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는 상기 원뿔 부분(23)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원형 단면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대륙 원기둥 모양의 공동으로서, 그 내경은 전기 히터 삽입부(25a)의 단면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히터 삽입부(25a) 및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에 삽입되는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히터 삽입부(25a)에는 히터(30)가 삽입된다. 히터(30)는 대표적인 예로 칸탈선을 들 수 있는, 알루미늄을 함유한 철-크롬계의 금속 재료에 의해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칸탈선을 도시하지 않은 코어재에 원하는 회수 만큼 감아 코일 형상으로 형성하고, 소정 온도(예를 들면 1100∼1200℃)의 퍼니스에 소정 시간 동안 넣어 고온 산화시킴으로써 히터(3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30)를 고온 산화시켰을 경우, 도 3의 코일 직경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30)의 선재(예를 들면 칸탈선)(30a)의 표면에는 흑색의 산화막(M)이 선재(30a)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흑색의 산화막(M)은 상기 칸탈선에 함유되어 있는 알루미늄이 산화되어 형성된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이다. 즉,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은 전기적 절연성을 가지므로 히터(30)의 표면은 절연 산화막(M)으로 피복되는 것이다.
상기 히터(30)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히터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으로 구성되고, 내부가 공동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원통부재(31)가 상기 히터(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히터(30)는 코일 형상의 부분이 상기 히터 삽입부(25a)에 수납되기에 적절한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원통부재(31)의 외경은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히터(30)는 제 1 원통부재(31) 및 후술할 제 2 원통부재(32)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히터 삽입부(25a)에 삽입된다. 이 때 상기 제 1 원통부재(31)의 외경이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경에 비해 크므로 인두 팁(20) 내에 삽입된 상기 히터(30) 및 제 1 원통부재(31)의 선단은 히터 삽입부(25a)의 선단에서 적절히 멈추게 된다.
상기 제 1 원통부재(31)는 전기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히터(30)를 구성하는 선재(30a)는, 후단측의 단부는 상기 제 1 원통부재(31)의 외면을 따라 인두 팁(20)(선단부(21)) 외부로 유도된다. 한편, 선재(30a)의 선단측 단부는 상기 제 1 원통부재(31)의 내부를 지나 후단을 통해 인두 팁(20)(선단부21) 외부로 유도된다. 인두 팁(20) 외부로 유도된 선재 (30a)의 양단은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마련된 각종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1 원통부재(31)의 내부에는 제 2 원통부재(32)가 관통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원통부재(32)는 상술한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원통체에 해당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원통부재(32)의 외경은 상기 제 1 원통부재(31)의 내경 및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 2 원통부재(32)는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까지 삽입된다. 상기 제 2 원통부재(32) 또한 상술한 제 1 원통부재(31)와 마찬가지로 전기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원통부재(32)의 선단측에는 온도 감지기(33)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에 따라 저항값 또는 열기전력이 변화되는 구 모양으로 형성된 온도 감지기(33)가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주면(25c)과 상기 제 2 원통부재(32)의 외주면(32a)에 밀착되도록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온도 감지기(33)는 벤딩부(bending part)(33a)를 통해 상기 제 2 원통부재(32) 내부를 관통하는 검출 케이블(34)과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제 2 원통부재(32)의 내부를 통해 상기 후단측으로 유도된다. 상기 검출 케이블(34)은 왕복하는 상호 케이블이 혼선되지 않도록 한쪽 또는 양쪽 케이블에 유리 피복이 이루어져 있으며, 양쪽 케이블은 모두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마련 된 각종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검출 케이블(34)은 상기 제 2 원통부재(32)의 선단(32b)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속 부위가 구부러져 벤딩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 감지기(33)는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주면(25c)에 효과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벤딩부(33a)를 상기 제 2 원통부재(32)의 선단(32b)에 걸리도록 하여 온도 감지기(33)의 위치를 정하고 있다.
상기 제 2 원통부재(32) 및 상기 온도 감지기(33)를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 2 원통부재(32)의 내부에서 선단(32b)을 통해 검출 케이블(34)을 인출하고, 그 검출 케이블(34)에 온도 감지기(33)를 형성한다. 그리고, 온도 감지기(33)가 형성된 검출 케이블(34)을, 상기 제 2 원통부재(32)의 선단(32b)의 외주면에 온도 감지기(33)가 접하도록 구부린다. 그리고 제 2 원통부재(32)의 선단(32b)을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상기 온도 감지기(33)는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주면에 적절히 접촉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인두 팁(20)을 몸체부(10)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납땜 인두(1)가 완성된다.
상기 온도 감지기(33)가 상기 제 2 원통부재(32)의 선단(32b)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검출 케이블(34)을 구부리기 전에 상기 제 1 원통부재(31)의 내부에 상기 제 2 원통부재(32)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상술한 상기 삽입 요부(25)에 히터(30), 상기 제 1 원통부재(31), 상기 제 2 원통부재(32) 및 상기 온도 감지기(33)를 동시에 삽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와의 결합시 작업 시간이 단축됨과 아울러 작업시의 번잡함도 해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납땜 인두(1)의 인두 팁(20)은 내부가 동심 원상의 적층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최외곽에 배치된 스텐레스 파이프(P) 및 선단부(21), 그리고 그 내측 방향으로 히터(30), 제 1 원통부재(31), 제 2 원통부재(32), 검출 케이블(34)이 차례로 배치된 적층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 원통부재(31)와 제 2 원통부재(32)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터(30)의 인두 팁(20)의 선단측의 단부가 상기 후단측으로 유도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더욱 컴팩트한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요부(25)에 히터(30)를 비롯하여 제 1 원통부재(31), 제 2 원통부재(32), 온도 감지기(33), 검출 케이블(34)를 삽입시켰으나, 이때 적절한 접합제(시멘트)가 상기 삽입 요부(25)에 주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접합제가 주입되었을 경우 상술한 히터(30)를 비롯한 각종 부재가 삽입 요부(25) 내에 고정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기타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의 납땜 인두의 인두 팁의 경우에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융된 땜납에 의한 침식(solder leach)을 방지하기 위해 인두 팁에 철 도금 등의 적절한 도금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히터로 사용한 선재도 상술한 칸탈선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알루미늄을 함유한 철-크롬계의 금속을 선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저항값을 가져 발열 가능한 히터로서 그 표면에 절연 산화막을 형성할 수 있는 히터라면 대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납땜 인두(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즉, 인두 팁(20)을 가열하는 히터(30)가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히터(30)의 표면은 절연 산화막(M)으로 피복되어 있다. 즉, 그 저항값을 가져 발열하는 선재(30a)는 표면을 피복한 절연 산화막(M)에 의해 선재(30a) 상호간의 전기적 접점이 절연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선재(30a)들간의 간격을 좁혀 배치할 수 있고 나아가 서로 접촉이 발생한다 해도 전기 쇼트는 피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절연 산화막(M)에 의해 단선 등의 전기적 트러블 또한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두 팁(20)에 내장되는 히터(30)는 절연 산화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코일 형상으로 배치되는 선재들간의 간격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히터(30)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인두 팁(20)을 극소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선재(30a)들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단위 체적당 가열량도 증가하여 인두 팁(20)을 신속하게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30)의 사이즈가 작게 구성됨에 따라, 히터(30)에 의해 가열되는 부분을 인두 팁(20)(선단부21)으로 한정시킬 수 있다. 즉 납땜 인두(1)의 손잡이(13)를 포함한 몸체부(10)로 열이 쉽게 전달되지 않으므로 납땜 작업시 장시간에 걸쳐 손잡이(13)을 계속 잡고 있을 수 있는 작업에 적합한 납땜 인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납땜 인두(1)의 히터(30)는 상술한 선재(30a)를 피복하는 절연 산화막(M)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칸탈선이 사용되었다. 칸탈선은 1100∼1200℃로 소정 시간 두면 함유되어 있는 알루미늄이 고온 산화되어, 그 표면에는 산화막(알루미나막)이 형성된다.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선재 (30a)를 피복시키도록 절연 산화막(M)이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원하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납땜 인두(1)는 인두 팁(20)의 선단부(21)에 마련된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경이 인두 팁(20)의 후단측에 마련된 히터 삽입부(25a)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감지기(33)를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내에 배치했을 때 온도 감지기(33)를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주면(25c)에 효과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두 팁(20)(선단부(21))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삽입부(25a)에 삽입된 히터(30)에 의해 인두 팁(20)이 가열되었을 경우, 인두 팁(20)을 원하는 온도로 유지시키도록 히터(30)에 적당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납땜 작업시 그 납땜에 바람직한 적당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납땜 인두를 얻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납땜 작업이 용이해진다.
납땜 인두(1)는, 온도 감지기(33)가 삽입되는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된 외경을 갖는 제 2 원통부재(32)가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2 원통부재(32)의 외주면(32a)과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주면(25c) 사이에 온도 감지기(33)가 끼워진다. 이와 같이 온도 감지기(33)는 효과적으로 두 부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뿐 아니라 온도 감지기 삽입부(25b)의 내주면(25c)과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어, 인두 팁(20)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삽입부(25a)에 삽입된 히터(30)에 의해 인두 팁(20)이 가열되었을 경우, 인두 팁(20)이 원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히터(30)에 적당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납땜 작업시 그 납땜에 바람직한 적당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납땜 인두를 얻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용이하게 납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선단으로 땜납을 용융시키는 인두 팁과,
    상기 인두 팁의 내부에 상기 인두 팁의 후단에서 선단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후단측으로 개구된 대략 원기둥 모양의 삽입 요부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표면이 절연 산화막으로 피복되고 상기 삽입 요부에 삽입되는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인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구성하는 선재의 재료는 알루미늄을 함유한 철-크롬계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인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요부는, 상기 인두 팁 후단측에 마련된 히터 삽입부와, 상기 인두 팁 선단측에 마련되고 내경이 상기 히터 삽입부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된 온도 감지기 삽입부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에 온도 검출 가능한 온도 감지기가 삽입되고,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상기 온도 감지기가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인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된 외경을 갖는 원통체가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과 상기 온도 감지기 삽입부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온도 감지기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인두.
  5. 선단으로 땜납을 용융시키는 인두 팁을 구비한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두 팁의 내부에 상기 인두 팁의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후단측으로 개구되는 대략 원기둥 모양의 삽입 요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알루미늄을 함유한 철-크롬계의 금속을 코일 형상으로 형성하여 히터를 구성하는 공정과,
    상기 히터를 소정 온도의 퍼니스에 소정 시간 동안 넣어 고온 산화시키는 공정과,
    고온 산화된 상기 히터를 상기 삽입 요부에 삽입시키는 공정과,
    상기 삽입 요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온도 감지기를 마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산화 공정에서 상기 퍼니스의 소정 온도는 1100∼1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산화 공정에서 상기 소정 시간은 2∼4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
KR1020050111667A 2004-11-25 2005-11-22 납땜 인두 및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 KR100732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0157 2004-11-25
JP2004340157A JP4429879B2 (ja) 2004-11-25 2004-11-25 半田ごて及び半田ごて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33A true KR20060058633A (ko) 2006-05-30
KR100732782B1 KR100732782B1 (ko) 2007-06-27

Family

ID=3589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667A KR100732782B1 (ko) 2004-11-25 2005-11-22 납땜 인두 및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291809B2 (ko)
EP (1) EP1661654B1 (ko)
JP (1) JP4429879B2 (ko)
KR (1) KR100732782B1 (ko)
CN (1) CN100515642C (ko)
ES (1) ES2543336T3 (ko)
PL (1) PL166165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612B1 (ko) * 2022-11-01 2023-03-07 조경진 저온납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64539B (zh) * 2008-04-25 2011-03-30 孙思江 电烙铁
US8274011B2 (en) * 2009-01-24 2012-09-25 Hakko Corporation Solder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700951B2 (en) * 2014-05-28 2017-07-11 Hakko Corporation Heater sensor complex with high thermal capacity
AU2016235288B2 (en) 2015-03-24 2019-02-28 Illumina Cambridge Limited Methods, carrier assemblies, and systems for imaging samples for biological or chemical analysis
CN104942539A (zh) * 2015-06-02 2015-09-30 苏州晓锋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合金材料的制备方法和烙铁头的制备方法以及电烙铁
JP6650265B2 (ja) * 2015-12-28 2020-02-19 太洋電機産業株式会社 半田ごて
JP6803690B2 (ja) * 2016-06-24 2020-12-23 太洋電機産業株式会社 半田ごて
USD848232S1 (en) * 2017-09-29 2019-05-14 GOODHOUSE Enterprise Co. Ltd. Solder
US20190299311A1 (en) * 2018-03-28 2019-10-03 Hakko Corporation High Power Dual Sensor Cartridge
WO2019195249A1 (en) * 2018-04-02 2019-10-10 Apex Brands, Inc. Intelligent soldering tip
JP6963307B2 (ja) * 2018-07-25 2021-11-05 白光株式会社 加熱工具及び加熱工具の製造方法
TWI697252B (zh) * 2018-09-27 2020-06-21 愛烙達股份有限公司 高效率電熱裝置
USD891209S1 (en) * 2019-05-10 2020-07-28 Guangzhou Yihua Electronic Equipment Co., Ltd. Soldering iron
US11858106B2 (en) 2019-08-08 2024-01-02 Black & Decker Inc. Power tools and power tools platform
USD865014S1 (en) * 2019-08-14 2019-10-29 Xinning Xu Digital display soldering iron
USD897173S1 (en) * 2019-09-05 2020-09-29 Chengming Ding Digital display soldering iron
USD905521S1 (en) * 2019-09-20 2020-12-22 Chengming Ding Soldering iron
USD879169S1 (en) * 2019-10-28 2020-03-24 Qiuxian Xu Electric soldering iron
USD887801S1 (en) * 2020-03-20 2020-06-23 Qing Li Digital display soldering iron
USD892579S1 (en) * 2020-05-09 2020-08-11 Bao Cheng Display soldering iron
USD955193S1 (en) * 2021-01-05 2022-06-21 Qiuxian Xu Soldering iron
CN112959010B (zh) * 2021-02-18 2022-07-15 宁波江丰电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靶材与铜背板的装配方法
USD968919S1 (en) * 2021-03-26 2022-11-08 Qiuxian Xu Soldering iron
USD960674S1 (en) * 2021-03-26 2022-08-16 Qiuxian Xu Soldering iron
USD951317S1 (en) * 2021-06-14 2022-05-10 Junqiang Li Soldering iron
USD986698S1 (en) * 2021-08-23 2023-05-23 Guangzhou Yihua Electronic Equipment Co., Ltd. Soldering iron
USD986699S1 (en) * 2021-08-23 2023-05-23 Guangzhou Yihua Electronic Equipment Co., Ltd. Soldering iron
CN215787325U (zh) * 2021-08-23 2022-02-11 广州市谊华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吸锡器发热结构
CN216263954U (zh) * 2021-09-03 2022-04-12 勾倩 一种烙铁装置
CN113770472B (zh) * 2021-09-18 2022-11-18 国网甘肃省电力公司张掖供电公司 一种集成电路的零件组装焊接装置
USD965401S1 (en) * 2021-11-09 2022-10-04 Dongxian Yang Digital display soldering iron
USD967683S1 (en) * 2021-11-09 2022-10-25 Dongxian Yang Digital display soldering iron
USD965400S1 (en) * 2021-11-09 2022-10-04 Dongxian Yang Digital display soldering iron
USD963447S1 (en) * 2022-05-25 2022-09-13 Junqiang Li Soldering iron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8829B (de) * 1966-09-01 1968-03-14 ERSA Ernst Sachs K.G., 6980 Wertheim Innenbeheizter elektrischer Kleinstlötkolben für Kleinspannung
US3596057A (en) * 1969-05-08 1971-07-27 Dominion Electric Corp Electric heating device
US3646577A (en) * 1970-03-30 1972-02-29 Ncr Co Temperature-controlled soldering tool
US3699306A (en) * 1971-03-01 1972-10-17 Gen Electric Temperature controlled soldering iron
GB1428123A (en) * 1972-06-08 1976-03-17 Adcola Prod Ltd Electrically heated soldering instruments
US4055744A (en) * 1975-07-16 1977-10-25 Fortune William S Electrically heated soldering-desoldering instruments
US4074110A (en) * 1975-12-02 1978-02-14 Slaughter Philip E Hand held electric heating device
US4468555A (en) * 1980-08-31 1984-08-28 Tdk Corporation Electric soldering iron having a PTC heating element
US4621251A (en) * 1985-03-28 1986-11-04 North American Philips Corp. Electric resistance heater assembly
JP2522827B2 (ja) 1988-11-25 1996-08-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トランクル―ム開口部モジュ―ル及びトランクリッドの組付方法
EP0386948A1 (en) 1989-03-09 1990-09-12 OGLESBY & BUTLER,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A soldering head for a soldering or desoldering iron
US5122637A (en) * 1991-01-11 1992-06-16 Wellman Thermal Systems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led soldering iron having low tip leakage voltage
US5335310A (en) * 1993-01-05 1994-08-02 The Kanthal Corporation Modular heating assembly with heating element support tubes disposed between hangers
US5406053A (en) * 1993-07-29 1995-04-11 Masreliez; C. Johan Heating probe having a heated tip forming a thermocouple
DE4435323C2 (de) * 1994-10-01 2000-02-24 Siegfried Feinler Handlötgerät mit Aufnahmekammer
JP3517473B2 (ja) * 1995-02-15 2004-04-12 日本ボンコート株式会社 こて先への熱電対センサの取付構造
US5683603A (en) * 1995-04-19 1997-11-04 Fortune; William S. Electric soldering iron tip improvements
DE29600771U1 (de) * 1996-01-17 1997-05-28 Cooper Ind Inc Lötkolben
US6386423B1 (en) * 1997-02-10 2002-05-14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oldering iron tips
US6087631A (en) * 1997-03-14 2000-07-11 Hakko Corporation Soldering iron with temperature control cycles related to rectified voltage cycles
JP3035262B2 (ja) 1998-03-28 2000-04-24 茨城県 水分センサ、水分測定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給水方法
CN1219914C (zh) * 2000-08-01 2005-09-21 白光株式会社 烙铁头及电烙铁
US6369359B1 (en) * 2000-11-08 2002-04-09 Terry H. Morrison Self-feeding soldering device
WO2003017726A1 (fr) 2001-08-13 2003-02-27 Sanyo Netsukogyo Kabushiki Kaisha Element chauffant
JP2002270340A (ja) 2001-11-29 2002-09-20 Kurabe Ind Co Ltd 管状ヒータ
US6786386B2 (en) * 2002-02-01 2004-09-07 Hakko Corporation Soldering iron with heat pipe
JP2003251461A (ja) 2002-03-04 2003-09-09 Taiyo Denki Sangyo Kk 電気ハンダごて
JP2004017060A (ja) 2002-06-13 2004-01-22 Nippon Bonkooto Kk 半田ごて用こて先
US7030339B2 (en) * 2002-11-26 2006-04-18 Hakko Corporation Soldering iron tip with metal particle sintered member connected to heat conducting core
JP2004195228A (ja) 2002-12-18 2004-07-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最適化された送信シーケンスを用いた超音波撮像における適応フィルタリング
JP3754968B2 (ja) * 2003-04-04 2006-03-15 白光株式会社 半田ごて
JP4520104B2 (ja) * 2003-04-15 2010-08-04 白光株式会社 電気加熱部材、同部材を用いた電気はんだごて及び同部材を用いた電気部品着脱装置
JP4704048B2 (ja) * 2005-01-18 2011-06-15 太洋電機産業株式会社 半田ご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612B1 (ko) * 2022-11-01 2023-03-07 조경진 저온납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782B1 (ko) 2007-06-27
US20080010808A1 (en) 2008-01-17
EP1661654A3 (en) 2007-05-16
JP2006150365A (ja) 2006-06-15
EP1661654B1 (en) 2015-06-17
ES2543336T3 (es) 2015-08-18
US20060108345A1 (en) 2006-05-25
CN100515642C (zh) 2009-07-22
CN1778508A (zh) 2006-05-31
EP1661654A2 (en) 2006-05-31
JP4429879B2 (ja) 2010-03-10
PL1661654T3 (pl) 2015-11-30
US7291809B2 (en) 2007-11-06
US7745760B2 (en)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782B1 (ko) 납땜 인두 및 납땜 인두의 제조 방법
US10477897B2 (en) Air and/or aerosol heater
CN107538100B (zh) 烙铁
US20200030902A1 (en) Heating tool
JP2004314111A (ja) 電気加熱部材、同部材を用いた電気はんだごて及び同部材を用いた電子部品着脱装置
JP3419707B2 (ja) ガスクロマトグラフトランスファ装置のキャリッジヒータ
US10232456B2 (en) Soldering iron
US6590185B2 (en) Glow plug with a uniformly heated control device
JPH07114984A (ja) 可とう性加熱コイル
US5124531A (en) Electric heater for heating a selected portion of workpiece and method of heating the workpiece by the heater
KR100855027B1 (ko) 납땜 인두
US1350910A (en) Electric heating unit
JP3791822B2 (ja) ヒーター装置
US1210018A (en) Curling-iron.
JP2000200671A (ja) ヒ―タ―
KR20150096291A (ko) 남땜 인두 장치
JP2007190573A (ja) 半田鏝
JP2006331765A (ja) 巻線の端末接続方法
KR20120025670A (ko) 납땜 인두
US500681A (en) Electric soldering-iron and heater
JP3935696B2 (ja) カートリッジヒータ
JPH0668965A (ja) シーズヒータ
JP2558134Y2 (ja) 電気半田ごて用のこて先ユニット
JP2017119295A (ja) 半田ごて
JP2001219268A (ja) 高周波半田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