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042A -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 - Google Patents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58042A KR20060058042A KR1020050112927A KR20050112927A KR20060058042A KR 20060058042 A KR20060058042 A KR 20060058042A KR 1020050112927 A KR1020050112927 A KR 1020050112927A KR 20050112927 A KR20050112927 A KR 20050112927A KR 20060058042 A KR20060058042 A KR 200600580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stopper member
- elastic piece
- holding
- suspe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A01D34/902—Ergonomic provi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Brush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는 유지부(42)에 후크 고정되는 후크 부재(43)와, 후크 부재를 유지부에 후크 결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유지부에 삽입되는 스토퍼 부재(45)를 구비한다. 스토퍼 부재를 하향으로 압박하면, 후크 부재에 부착된 탄성편(72)이 가압되고, 후크 부재의 후크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개방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더가 걸려 있는 브러시 커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스펜더 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후크 부재가 도 2의 위치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크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서스펜더 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스펜더 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서스펜더 본체에 있어서 후크부를 개방하도록 스토퍼 부재를 아래로 압박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더 본체의 후크부에 브러시 커터를 매단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스토퍼 부재를 위로 잡아당김으로써 브러시 커터를 서스펜더로부터 급하게 분리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스토퍼 부재를 아래로 밀어서 브러시 커터를 서스펜더 본체의 후크 부재로부터 분리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관련 분야의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스펜더
13 : 어깨 벨트
21 : 브러시 커터
40 : 지지 부재
41 : 판 부분
42 : 유지부
43 : 후크 부재
45 : 스토퍼 부재
45a : 스토퍼 부재의 하단부
46 : 후크부
72 : 탄성편
72a : 기단부
72b : 말단부
81 : 상측 아암부
82 : 하측 아암부
P1 : 유지 위치
P2 : 개방 위치
본 발명은 브러시 커터를 사용하면서 작업자의 신체에 브러시 커터를 매달아 유지하기 위한 서스펜더에 관한 것이다.
브러시 커터를 이용하여 잡초를 절단할 때에 작업자의 어깨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어깨에 브러시 커터를 매달아 유지하는 서스펜더가 JP-B-53-936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서스펜더의 구성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브러시 커터용 서스펜더(200)는, 지지 부재(202)를 어깨 벨트(201)에 마련하고, 유지부(203)가 대각선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지지 부재(202)의 하단부로부터 돌출하며, 스토퍼 부재(206)의 하단부(207)를 유지부(203)의 삽입 구멍(205) 내로 삽입함으로써 현수 부재(204)의 유지 구멍(204a)에 유지부(203)를 끼우고, 현수 부재(204)를 스토퍼 부재(206)에 의해 유지부(203)에 유지하고, 브러시 커터(도시 생략)를 현수 부재(204)의 후크(208)에 매달아 유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서스펜더(200)에 있어서는,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206)를 위로 잡아당기고, 그 하단부(207)를 삽입 구멍(205)으로부터 빼냄으로써, 현수 부재(204)를 유지부(20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브러시 커팅 작업 중에, 필요에 따라 브러시 커터를 서스펜더(200)로부터 즉시 분리할 수 있다.
클로 부분(211; claw part)이 지지 핀(210)을 매개로 현수 부재(204)에 스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클로 부분(211)은 후크(208)의 마우스를 폐쇄하도록 스프링 부재(도시 생략)의 스프링력에 의해 압박된다. 이 때문에, 브러시 커터를 현수 부재(204)의 후크(208)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먼저 한 손으로 클로 부분(211)을 화살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 핀(210)의 둘레에서 스윙시킨다. 클로 부분(211)의 스윙에 의하여, 클로 부분(211)의 선단을 후크(208)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며, 이 상태를 한 손으로 유지하면서, 다른 손으로 클로 부분(211)의 선단과 후크(208)의 선단 사이의 개구로부터 브러시 커터를 분리한다.
여기서, 클로 부분(211)은 비교적 작고,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은 비교적 크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이 작을 경우에는 클로 부분(211)을 폐쇄 위치로 유지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한 손으로 후크(208)로부터 브러시 커터를 분리하면서 다른 손으로 클로 부분(211)을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미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곤란하므로, 조작 편의성의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존재한다. 즉, 브러시 커터를 후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이 우수한 서스펜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어깨 벨트와; 상기 어깨 벨트에 부착된 지지판과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유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유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후크 결합되는 후크 부재와; 상기 후크 부재를 유지부에 후크 결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유지부 내로 삽입되는 삽입/분리 가능한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는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를 제공하며, 상기 후크 부재는 후크부와 탄성편을 포함하고, 이 탄성편은 후크부의 개구를 개방/폐쇄할 수 있도록 유지부 내로 삽입된 스토퍼 부재의 하단부와 마주하도록 위치 결정되며, 상기 스토퍼 부재는, 스토퍼 부재가 후크 부재를 유지부 상에 유지하고 있는 유지 위치로부터 후크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 위치로 하향 압박되며, 상기 탄성편은 스토퍼 부재의 하단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후크부의 개구가 개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토퍼 부재를 하향 압박함으로써, 탄성편은 스토퍼 부재의 하단부에 의해 압박되고, 탄성편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폐쇄되었던 후크부가 개방된다. 스토퍼 부재는 후크부를 개방한 상태로 탄성편의 복원 스프링력에 의해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스토퍼 부재로부터 하향 압박력을 해제한 때에도, 후크부의 개구는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브러시 커터를 후크부의 개구를 통하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후크 부재를 유지부 상에 현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 이외에도, 스토퍼 부재는 탄성편을 압박하는 기능도 또한 실행한다. 따라서, 탄성편을 가압하기 위한 신규의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부품의 수를 억제할 수 있고, 비용을 경감할 수 있으며,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더에 있어서는, 탄성편의 기단부는 후크 부재에 부착되어 있고, 탄성편의 말단부는 후크부와 접촉하고, 탄성편에 있어서, 기단부로부터 대략 중심까지 연장되며 하향 경사를 갖는 상측 아암부는 상측 아암부로부터 말단부까지 연장되며 하향 경사를 갖는 하측 아암부보다 더 가파른 경사를 갖고, 스토퍼 부재가 유지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하향 압박된 때에, 상측 아암부는 스토퍼 부재의 하단부에 의해 압박되어, 탄성편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측 아암부를 보다 가파른 경사로 형성함으로써, 스토퍼 부재의 하단부가 상측 아암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를 원활하게 하향 압박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측 아암부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탄성편의 말단부는 후크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고, 후크부는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에 걸린 브러시 커터를 후크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로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서스펜더(10)는 작업자(11)의 양쪽 어깨(12, 12)에 걸 수 있는 어깨 벨트(13)를 구비한다. 작업자(11)의 등(16)에 닿는 어깨 벨트(13)의 후방 부분에 마련된 버클(14)과 설형편(15)에 의하여, 어깨 벨트(13)를 작업자(11)의 상체에 부착할 수 있다. 어깨 벨트(13)는 연결 부재(17)를 구비하고, 이 연결 부재(17)에 서스펜더 본체(2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서스펜더 본체(20)에 후크 결합되는 브러시 커터(21)의 부착 부재(22; 도 9a 내지 도 9c 참조)에 의하여, 브러시 커터(21)가 서스펜더(10)에 매달린다.
브러시 커터(21)의 부착 부재(22)가 조작봉(24)의 기단부(24a)의 근처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단부(24a)에 엔진(25)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봉(24)의 내부를 통과하는 구동 샤프트(26; 도 9a 내지 도 9c 참조)에 의해 엔진(25)의 회전을 전달한다. 구동 샤프트(26)가 절단날(27)을 회전시킨다. 절단날(27)은 조작봉(24)의 말단부(24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평면도로 보아 조작봉(24)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핸들 홀더(29)에 의하여 조작봉(24)의 대략 중간에 핸들(28)이 장착되어 있다. 핸들(28)은 정면도로 보았을 때 대략 U 형상이고, 좌우 그립(31, 32)을 포함한다.
어깨 벨트(13)를 상체에 부착한 후에, 작업자(11)는 브러시 커터(21)의 부착 부재(22)를 서스펜더 본체(20)에 후크 결합함으로써 브러시 커터(21)를 맬 수 있으며, 좌우 그립(31, 32)을 잡고 조작봉(24)을 좌우로 스윙하면서 엔진(25)에 의해 절단날(27)을 회전시킴으로써 잡초(36)를 자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스펜더 본체(20)의 상세 사시도이다.
서스펜더 본체(20)는 진동 방지 스프링(37)에 의하여 어깨 벨트(13)에 마련된 연결 부재(17)에 연결된 지지 부재(4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40)는 판 부분(41)과 유지부(42)로 이루어진다. 유지부(42)는 후크 부재(43)를 유지한다. 삽입/제거 가능한 스토퍼 부재는 후크 부재(43)가 후크 결합된 상태로 유지부(42) 내로 유지 위치(P1)까지 삽입된다. 유지 위치(P1)는 후크 부재(43)가 삽입된 스토퍼 부재(45)에 의해 유지부(42)에 유지되어 있을 때의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의 위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브러시 커터(21)는 후크 부재(43)의 후크부(46)에 후크 결합된다.
진동 방지 스프링(37)은, 그것의 상단부(37a)를 연결 부재(17)의 부착 구멍(17a)을 통하여 후크 결합하고, 그것의 하단부(37b)를 지지 부재(40)의 부착 구멍 (40a)을 통하여 후크 결합함으로써 판 부분(41)을 연결 부재(17)에 연결한다. 이러한 진동 방지 스프링(37)은 지지 부재(40)의 진동이 연결 부재(17)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판 부분(41)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의 볼트 및 너트(48, 49; 도 6 참조)에 의해 구획 보드(50)의 상단부(51)에 고정되어 있다. 판 부분(41)의 중앙 근처에는 상측 및 하측 슬릿(52, 53)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42)가 판 부분(41)의 하측 중간부(41b)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약간 하향으로 돌출한다.
스트랩(55)의 단부(55a)가 상측 및 하측 슬릿(52, 53)을 통과하고, 하측 슬릿(53)을 통하여 돌출하는 단부(55a) 부분은 이중 절곡되고, 이중 절곡된 부분은 볼트 및 너트(57, 58; 도 5 참조)에 의해 판 부분(41)의 하측 중간부(41b)에 고정되어 있다.
후크 부재(43)는 유지부(42)에서 유지될 수 있는 링크(71)와, 링크(71)의 하측 중간부(71a)에 마련되어 있는 후크부(46; 도 4 참조)와, 링크(71)의 하측 중간부(71a)에 부착된 탄성편(72)을 구비한다.
링크(71)의 하측 중간부(71a)는 스토퍼 부재(45)가 유지부(42)를 통과한 때에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와 마주하는 부분이다.
도 4를 참고로 후크 부재(43)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에 있어서 유지부(42)와 분리된 후크 부재(43)를 도시하고 있다.
유지부(42)는 상측 돌출부(61)와 하측 돌출부(63)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돌출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부(62)에서 절곡되어 있다. 상측 돌출부(61)는 판 부분(41)의 하측 중간부(41b)로부터 하향 경사각(θ1)으로 말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하측 돌출부(63)는 상측 돌출부(61)와 평행하게 상측 돌출부(61)의 말단부의 절곡부(62)에서 절곡되어 있고, 상측 돌출부(61)에 대하여 예정된 간격(S1)을 갖는다.
절곡부(62)의 근처에서 상측 돌출부(61)에는 삽입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62)로부터 삽입 구멍(61a)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결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63a)의 단부(63b, 63c; 도 5 참조) 중에서, 판 부분(41) 근처의 단부(63b)와 삽입 구멍(61a)의 대응 단부(61b)는 대략 동일 평면에 있다(도 5 참조). 스토퍼 부재(45)는 삽입 구멍(61a)과 절결부(63a)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 부재(45)는 예컨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편 형상의 금속판이다. 스토퍼 부재(45)의 판 두께와 폭은 삽입 구멍(61a)과 절결부(63a)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이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는 하방을 향하여 판 부분(41)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져 있다. 볼트 및 너트(67, 68)에 의해 스트랩(55)과 조작판(65)을 스토퍼 부재(45)의 상단부(45b)에 부착한다.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된 조작판(65)의 기단부를 볼트 및 너트(67, 68)에 의해 설형 스토퍼 부재(45)의 상단부(45b)에 부착한다. 조작판(65)의 조작 아암(65a)은 기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판 부분(41)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 한다. 조작판(65)의 기단부와 스토퍼 부재(45) 사이에 스트랩(55)이 이중 절곡된 상태로 개재되어 있다.
이중 절곡된 스트랩(55)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55b)을 접착제 의해 단부(65a)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한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조작 아암(65a)의 상면과 하면을 스트랩(55)의 상기 부분(55b)에 의해 덮는다. 이중 절곡된 스트랩(55)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55c)을 도중에 절곡된 상태로 이중 절곡하고 리벳 고정하며, 단부(55a)를 상측 및 하측 슬릿(52, 53)을 통하여 삽입한다.
하측 슬릿(53)으로부터 돌출하는 단부(55a)를 이중으로 절곡하고, 볼트 및 너트(57, 58)에 의해 판 부분(41)의 하측 중간부(41b)에 고정한다(도 5 참조). 이러한 조처에 의해, 조작판(65)과 스토퍼 부재(45)는 스트랩(55)에 의해 지지 부재(40)에 연결되어 있다.
손가락으로 조작판(65)의 조작 아암(65a)을 파지하고, 이 조작 아암을 삽입 구멍(61a) 및 절결부(63a)로부터 잡아당김으로써, 후크 부재(43)의 링크(71)를 유지부(4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스토퍼 부재(45)와 조작판(65)이 스트랩(55)에 의해 판 부분(4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45)를 삽입 구멍(61a)과 절결부(63a)로부터 잡아당길 때에 스토퍼 부재(45)와 조작판(65)을 분실할 우려가 없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크 부재(43)를 도시하고 있다.
후크 부재(43)의 링크(71)는 봉을 절곡함으로써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이다. 후크부(46)는 봉을 절곡함으로써 대략 J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크부(46)의 기단부(46a)는 용접에 의해 링크(71)의 하측 중간부(71a)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74)의 절곡부(76)를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링크(71)의 하측 중간부(71a)에 후크 결합함으로써, 링크(71)의 하측 중간부(71a)와 후크부(46)의 기단부(46a)가 커버(74)에 의해 덮인다.
탄성편(72)의 기단부(72a)는 화살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커버(74)의 상단부(상측 절곡부; 74a)에 현수되어 있다. 커버(74)의 양측의 돌출부(77, 77)를 화살표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구부림으로써, 탄성편(72)의 고정편(78)을 덮는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고정편(78)은 커버(74)의 절곡부(76)와 양측의 돌출부(77, 77)에 의해 이들 사이에 개재된다.
이 상태에서, 링크(71)의 하측 중간부(71a)와 후크부(46)의 기단부(46a)를 커버(74)로 덮는다.
탄성편(72)의 기단부(72a)는 커버(74)의 절곡부(74a)에 위치 결정되어 있고, 탄성편(72)의 말단부(72b)는 후크부(46)의 말단부(46b)와 접촉한다(도 3 및 도 5 참조). 이러한 조처에 의해, 후크부(46)의 개구(47)는 탄성편(72)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3 및 도 5 참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더 본체(2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탄성편(72)의 상측 아암부(81)는 커버(74)의 상단부(74a)로부터 후크부(46)의 말단부(46b)를 향하여 개구부(47)의 도중까지 하향 경사각(θ2)으로 연장된다. 탄성편(72)의 하측 아암부(82)는 상측 아암부(81)의 단부로부터 후크부(46)의 말단부(46b)를 향하여 하향 경사각(θ3)으로 연장된다. 탄성편(72)의 말단부(72b)는 후크부(46)의 말단부(46b)와 접촉한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후크부(46)의 개구(47)는 탄성편(72)의 상측 아암부(81) 및 하측 아암부(82)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상측 아암부(81)의 경사각(θ2)은 하측 아암부(82)의 경사각(θ3)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탄성편(72)의 기단부(72a)로부터 중앙 부근까지 연장되는 상측 아암부(81)의 하향 경사를 상측 아암부(81)로부터 말단부(72b)까지 연장되는 하측 아암부(82)의 하향 경사보다 가파르게 함으로써, 상측 아암부(81)와 하측 아암부(82)는 개다리(dog-leg)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토퍼 부재(45)를 유지부(42)의 절결부(63a)와 삽입 구멍(61a)을 통하여 삽입하면,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는 탄성편(72)의 상측 아암부(81)와 접촉한다.
상측 아암부(81)를 하측 아암부(82)보다 가파른 경사를 갖도록 형성한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구획 보드(50)의 상단부(51)를 두 세트의 볼트 및 너트(48, 49; 도 6 참조)에 의해 판 부분(41)에 고정함으로써, 볼트(57)의 헤드를 구획 보드(50)의 상단부(51)로 덮는다.
구획 보드(50)는, 수지제의 보드 본체(84)의 2 면 중에서, 지지 부재(40)와 마주하는 전방측(84b)과 반대측의 후방측(84a)에 스폰지(85)가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 스폰지(85)는 천 조각(86)으로 덮여 있고, 천 조각(86)의 둘레부(86a)는 보드 본체(84)의 둘레에서 전방측(84b)으로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부분 (86b)은 보드 본체(84)의 둘레를 따라 봉합사(87; stitching thread)로 꿰매어져 있다.
구획 보드(50)의 천 조각(86)측을 작업자(11; 도 1 참조)에 닿게 함으로써, 브러시 커터(21) 작동 중의 진동 및 가압력이 스폰지(85)에 의해 흡수된다.
도 6은 서스펜더 본체(20)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유지부(42)의 상측 돌출부(61)와 하측 돌출부(63)는 소정의 간격(S1)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45)는 상측 돌출부(61)의 삽입 구멍(61a)과 하측 돌출부(63)의 절결부(63a)를 통하여 삽입된다.
스토퍼 부재(45)의 좌변(45c)은 2개의 면, 즉 상측 돌출부(61)에 형성된 삽입 구멍(61a)의 좌측면(61c)과 하측 돌출부(63)에 형성된 절결부(63a)의 좌측면(63d)에 의해 구속되고, 스토퍼 부재(45)의 우변(45d)은 2개의 면, 즉 삽입 구멍(61a)의 우측면(61d)과 절결부(63a)의 우측면(63e)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45)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하향 압박할 수 있다.
도 7은 스토퍼 부재(45)를 압박하여 후크 부재(43)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손가락(91; 도 10b 참조)으로 위로부터 조작판(65)을 눌러서, 조작판(65)에 하향 압박력(F1)을 가한다. 이러한 하향 압박력(F1)에 의해, 스토퍼 부재(45)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72)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유지 위치(P1; 도 2 및 도 5 참조)로부터 개방 위치(P2)까지 하향 압박된다. 스토퍼 부재(45)가 개방 위치(P2)로 하향 압박됨으로써, 탄성편〔72, 특히 상측 아암부(81)〕이 스토퍼 부 재(45)의 하단부(45a)에 의해 하향 압박되어, 후크부(46)의 개구(47)를 개방한다.
여기서, 도 5를 기초로 하여 상측 아암부(81)를 하측 아암부(82)보다 가파른 경사로 형성한 이유를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편(72)은 후크부(46)의 개구(47)를 개폐할 수 있는 부재로서, 예컨대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편(72)의 상측 아암부(81)가 하측 아암부(82)보다 가파른 구배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가 유지 위치(P1)에서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조작판(65)에 하향 압박력(F1)을 가하면,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가 상측 아암부(81)의 상면 위에서 미끄러져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커버(74)를 따라 원활하게 하향 압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탄성편(72)은 기단부(72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탄성편(72)의 탄성 변형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72)의 말단부〔72b; 구체적으로 하측 아암부(82)의 말단부〕가 후크부(46)의 말단부(46b)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후크부(46)의 말단부(46b)와 탄성편(72)의 말단부(72b)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후크부(46)의 개구(47)가 개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측 아암부(81)를 하측 아암부(82)보다 가파른 경사로 형성함으로써, 후크부(46)의 개구(47)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상측 아암부(81)의 경사각(θ2)을 15 내지 25°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θ2)이 15°보다 작으면, 상측 아암부(81)와 하측 아암부(82) 사이의 벤딩 각도가 너무 커져서, 스토퍼 부재(45)를 하향 압박할 때,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가 상측 아암부(81)로부터 하측 아암부(82)로 이동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후크부(46)의 개구(47)를 원활하게 개방하기가 어렵다.
다른 한편으로, 경사각(θ2)이 25°보다 크면, 상측 아암부(81)의 경사가 너무 완만하게 되어, 스토퍼 부재(45)가 하향 압박될 때,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가 커버(74)로부터 멀어지게 상측 아암부(81)를 따라 미끄러지고, 상측 아암부(81)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향이 있어서, 후크부(46)의 개구(47)를 원활하게 개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측 아암부(81)의 경사각(θ2)은 후크부(46)의 개구(47)가 스토퍼 부재(45)에 의해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15 내지 25°로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스펜더 본체(20)에 있어서는, 후크 부재(43)를 유지부(42)에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스토퍼 부재(45)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 부재는 탄성편(72)을 압박하는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따라서, 탄성편(72)을 압박하기 위한 신규의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간단한 구조의 탄성편(72)을 압박할 수 있고, 부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브러시 커터용 서스펜더 본체(20)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8a 내지 도 8c를 기초로 하여 브러시 커터(21)를 서스펜더 본체(20)에 거는 예를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46)의 말단부(46b)가 부착 부재(22)의 돌출부(22a)에 형성된 현수 구멍(22b) 내로 삽입된다. 브러시 커터(21)는 자중에 의 해 화살표 D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강한다.
도 8b에 있어서, 브러시 커터(21)가 화살표 D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강함으로써, 돌출부(22a)가 하강한다. 돌출부(22a)가 하강함으로써, 탄성편(72)의 말단부(72b)가 하향 압박된다. 탄성편(72)은 기단부(72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탄성편(72)이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탄성편(72)의 말단부(72b)는 후크부(46)의 말단부(46b)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여, 후크부(46)의 개구(47)를 개방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2a)가 후크부(46)의 개구(47)를 통과하고, 현수 구멍(22b; hanging hole)은 화살표 E로 표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46)를 따라 바닥부(46c)로 하향으로 미끄러진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부착 부재(22)가 후크부(46)에 걸린다.
돌출부(22a)가 후크부(46)의 개구(47)를 통과한 후에, 탄성 변형된 탄성편(72)은 자체의 스프링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탄성편(72)의 말단부(72b)는 후크부(46)의 말단부(46b)와 접촉하여, 후크부(46)의 개구(47)를 폐쇄한다. 이로써, 부착 부재(22)의 돌출부(22a)가 후크부(46)의 개구(47)를 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부착 부재(22)는 후크부(46)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로킹되어, 브러시 커터(21)를 확실하게 걸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 내지 도 9c를 참고로 하여 브러시 커터(21)를 서스펜더 본체(20)로부터 빠르게 분리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에 있어서, 조작판(65)의 조작 아암(65a)을 손(90)으로 파지하여, 조작판(65)을 위로 당긴다. 스토퍼 부재(45)를 화살표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조작판(65)과 함께 위로 당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45)를 삽입 구멍(61a)과 절결부(63a)로부터 나오게 당긴다. 후크 부재(43)의 링크(71)는 브러시 커터(21)의 자중에 의해 화살표 G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유지부(42)의 상측 돌출부(61)의 표면 위에서 미끄러져서, 유지부(42)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유지부(42)의 상측 돌출부(61)는 하향 경사각(θ1; 도 3 참조)으로 유지부의 말단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 부재(43)의 링크(71)는 브러시 커터(21)의 자중에 의해 유지부(42)의 상측 돌출부(61)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된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부재(43)의 링크(71)가 유지부(42)로부터 분리되면, 브러시 커터(21)는 자중에 의해 화살표 H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지 스토퍼 부재(45)를 위로 당기는 것만으로 후크 부재(43)에 접속된 브러시 커터(21)를 서스펜더 본체(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고로 하여 일반적으로 서스펜더 본체(20)에 걸려 있는 브러시 커터(21)를 제거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판(65)의 조작 아암(65a)을 손가락(91)으로 위로부터 눌러서, 조작판(65)에 하향 압박력(F1)을 가한다. 하향 압박력(F1)이 가해진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45)는 탄성편(72)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I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유지 위치(P1)로부터 하향 압박된다.
여기서, 탄성편(72)의 상측 아암부(81)는 하측 아암부(82)보다 가파른 경사를 갖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는 상측 아암부(81)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원활하게 하강한다.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가 하강하면, 탄성편(72)이 화살표 J로 표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72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탄성편(72)의 말단부(72b)는 후크부(46)의 말단부(46b)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45)는 개방 위치(P2)까지 하향 압박된다.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는 탄성편(72)을 도면에 도시된 위치까지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고, 후크부(46)의 개구(47)를 예정된 크기로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탄성편(72)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경향이 있는 스프링력(F2)이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스토퍼 부재(45)가 스프링력(F2)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되어 삽입 구멍(61a)의 단부(61e)와 접촉하며, 이러한 접촉 상태의 마찰력에 의해 스토퍼 부재가 개방 위치(P2)로 유지되고, 상향 복귀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45)로부터 하향 압박력(F1)을 제거한 때에도, 후크부(46)의 개구(47)는 개방 상태로 남아 있다.
개구(47)가 예정된 크기로 개방된 상태에서, 브러시 커터(21)는 상승하고, 부착 부재(22)의 돌출부(22a)는 후크부(46)의 말단부(46b)를 향해 이동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재(22)의 돌출부(22a)가 개구(47)를 통과한 후에, 돌출부(22a)는 화살표 L로 표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46)의 말단부(46b) 로부터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45)를 단지 조작판(65)에 의해 개방 위치(P2)로 하향 압박함으로써 후크부(46)의 개구(47)를 개방할 수 있고, 더욱이 하향 압박력(F1; 도 10a 및 도 10b 참조)을 스토퍼 부재(45)로부터 제거한 때에도 후크부(46)의 개구(47)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후크부(46)의 개구(47)로부터 브러시 커터(21)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부재(45)를 설형 금속판으로 구성하고 있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대안으로 금속봉과 같은 일부 다른 부재로 스토퍼 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를 경사지게 하고 있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그 대안으로 하단부(45a)를 경사지게 하지 않고 수직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하단부의 경사각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볼트 및 너트(48, 49)에 의해 구획 보드(50)의 상단부(51)를 지지 부재(40)의 판 부분(41)에 고정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리벳과 같은 일부 다른 체결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볼트 및 너트(57, 58)에 의해 스트랩(55)의 이중 절곡부를 판 부분(41)에 고정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리벳과 같은 일부 다른 체결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볼트 및 너트(67, 68)에 의해 스트랩(55) 및 조작판(65)을 스토퍼 부재(45)에 고정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리벳과 같은 일부 다른 체결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러시 커터를 후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조작 편의성이 우수한 서스펜더가 제공된다. 이러한 서스펜더에 의하여, 탄성편을 가압하기 위한 신규의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부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Claims (2)
- 어깨 벨트(13)와,상기 어깨 벨트(13)에 부착된 지지판(41)과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유지부(42)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40)와,상기 유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후크 결합되는 후크 부재(43)와,상기 후크 부재를 유지부에 후크 결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유지부 내로 삽입되는 삽입/분리 가능한 스토퍼 부재(45)를 구비하는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로서,상기 후크 부재(43)는 후크부(46)와 탄성편(72)을 포함하고, 이 탄성편은 후크부의 개구(47)를 개방/폐쇄할 수 있도록 유지부(42) 내로 삽입된 스토퍼 부재(45)의 하단부(45a)와 마주하도록 위치 결정되며,상기 스토퍼 부재는, 스토퍼 부재가 후크 부재를 유지부 상에 유지하고 있는 유지 위치(P1)로부터 후크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 위치(P2)로 하향 압박되며, 상기 탄성편은 스토퍼 부재의 하단부(45a)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후크부의 개구가 개방되는 것인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72)의 기단부(72a)는 후크 부재(43)에 부착되어 있고, 탄성편의 말단부(72b)는 후크부(46)와 접촉하고,탄성편에 있어서, 기단부로부터 대략 중심까지 연장되며 하향 경사를 갖는 상측 아암부(81)는 상측 아암부로부터 말단부(72b)까지 연장되며 하향 경사를 갖는 하측 아암부(82)보다 더 가파른 경사를 갖고,스토퍼 부재(45)가 유지 위치(P1)로부터 개방 위치(P2)를 향하여 하향 압박된 때에, 상측 아암부는 스토퍼 부재의 하단부(45a)에 의해 압박되어, 탄성편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인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339554 | 2004-11-24 | ||
JP2004339554A JP4369349B2 (ja) | 2004-11-24 | 2004-11-24 | 刈払機の吊具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8042A true KR20060058042A (ko) | 2006-05-29 |
KR101178357B1 KR101178357B1 (ko) | 2012-08-29 |
Family
ID=3573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2927A KR101178357B1 (ko) | 2004-11-24 | 2005-11-24 |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8857682B2 (ko) |
EP (1) | EP1661446B1 (ko) |
JP (1) | JP4369349B2 (ko) |
KR (1) | KR101178357B1 (ko) |
CN (2) | CN2838242Y (ko) |
AU (1) | AU2005234669B2 (ko) |
BR (1) | BRPI0505032B1 (ko) |
CA (1) | CA2527289C (ko) |
DE (1) | DE602005005137T2 (ko) |
ES (1) | ES2302116T3 (ko) |
TW (1) | TWI34378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69349B2 (ja) * | 2004-11-24 | 2009-11-1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刈払機の吊具構造 |
US20080172844A1 (en) * | 2004-12-09 | 2008-07-24 | Edward Patrick Hurley | Yard tool harness tie-dow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
DE102005001843B4 (de) * | 2005-01-14 | 2020-12-17 | Andreas Stihl Ag & Co. Kg | Tragesystem für ein Arbeitsgerät und Verfahren zum Baumschneiden |
WO2008007483A1 (fr) * | 2006-07-10 | 2008-01-17 | Satoru Tanaya | Outil poussé à la main à traction par courroie épaulière |
DE102007048104A1 (de) * | 2007-10-06 | 2009-04-09 | Andreas Stihl Ag & Co. Kg | Haken und Traganordnung |
US7942294B2 (en) * | 2008-05-15 | 2011-05-17 | Alan Clifford Burton | Machine and process for personal, side mounted biomechanically engineered lifting device; a device for lifting awkward and heavy loads |
EP2243347B1 (en) | 2009-04-24 | 2012-01-04 | Makita Corporation | Harness for a handheld power equipment |
WO2012036597A1 (en) * | 2010-09-13 | 2012-03-22 | Husqvarna Ab | Handle arrangement for a power tool |
DE102011016788A1 (de) * | 2011-04-12 | 2012-10-18 | Andreas Stihl Ag & Co. Kg | Anordnung aus Arbeitsgerät und Traganordnung |
US8534515B2 (en) * | 2011-08-04 | 2013-09-17 | M Group, Inc. | Pivoting elastic shoulder support |
JP5960484B2 (ja) * | 2012-04-19 | 2016-08-02 | 株式会社やまびこ | 携帯作業機用ショルダーハーネス |
JP5944212B2 (ja) * | 2012-04-19 | 2016-07-05 | 株式会社やまびこ | 携帯作業機用ショルダーハーネス |
JP6250978B2 (ja) * | 2013-08-21 | 2017-12-20 | 株式会社やまびこ | 携帯作業機用のショルダーハーネス |
USD772577S1 (en) | 2015-01-20 | 2016-11-29 | M Group, Inc. | Elastic shoulder support with shoulder pad and pivot |
DE102015000731A1 (de) * | 2015-01-21 | 2016-07-21 | Andreas Stihl Ag & Co. Kg | Anordnung mit einem handgeführten Arbeitsgerät und mit einer Abstützvorrichtung und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
DE102015108750B4 (de) * | 2015-06-02 | 2017-05-11 | Cabbygo UG (haftungsbeschränkt) | Vorrichtung zum Anlegen im Bereich des Torsos |
DE102016013145A1 (de) | 2016-10-31 | 2018-05-03 | Andreas Stihl Ag & Co. Kg | Aufnahmeklammer für ein Arbeitsgerät, Anordnung aus Tragesystem für ein Arbeitsgerät und Aufnahmeklammer und Anordnung eines Tragesystems, einer Aufnahmeklammer und eines Arbeitsgerätes |
US10905907B1 (en) * | 2016-11-14 | 2021-02-02 | Alexander Dold | System and method for leverage-assisted tool and harness |
US10517376B2 (en) | 2017-04-22 | 2019-12-31 | Impax Marketing, LLC | Tool support strap |
DE102017008754A1 (de) * | 2017-09-15 | 2019-03-21 | Andreas Stihl Ag & Co. Kg | Tragvorrichtung zum Tragen eines handgeführten Arbeitsgerätes durch einen Benutzer |
US10939743B2 (en) * | 2018-02-14 | 2021-03-09 | M Group, Inc. | Portable powered appliance support strap |
JP6878334B2 (ja) * | 2018-02-27 | 2021-05-26 | 株式会社マキタ | 携帯用切断機 |
CN108353616A (zh) * | 2018-04-26 | 2018-08-03 | 浙江天泰机械有限公司 | 快脱结构 |
EP3685655B1 (en) * | 2018-11-30 | 2022-01-19 | Honda Motor Co., Ltd. | Work machine pad |
CN111511193B (zh) * | 2018-11-30 | 2022-11-18 |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 作业机用支撑带 |
CN109578787B (zh) * | 2018-12-03 | 2024-01-02 |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 一种工具携带装置 |
US11284699B2 (en) * | 2020-02-10 | 2022-03-29 | Rolland Fontaine | Body-worn aid for decedent removal and other load-moving applications |
USD1012372S1 (en) | 2020-11-13 | 2024-01-23 | LifeHandle, LLC | Weight distributing harness |
US11432639B2 (en) * | 2020-02-19 | 2022-09-06 | LifeHandle, LLC | Versatile sling system, apparatus and hub |
USD970876S1 (en) | 2020-03-12 | 2022-11-29 | Christopher H. W. Roy | Umbrella with a sidewall |
USD970875S1 (en) | 2020-03-12 | 2022-11-29 | Christopher H. W. Roy | Ventilated umbrella blind with die-cut camouflage sidewall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66615A (en) * | 1923-03-01 | 1923-08-28 | Falstrault Alfred | Tire-chain hook |
US1875274A (en) * | 1932-04-04 | 1932-08-30 | Soule Henry | Snap hook |
US3685660A (en) * | 1970-11-23 | 1972-08-22 | John H Saunders | Toothbrush holder |
US3815756A (en) * | 1972-10-13 | 1974-06-11 | Etamco Ind | Guarded insert and gadget supporting device |
JPS53936B2 (ko) | 1974-02-07 | 1978-01-13 | ||
JPS5716424Y2 (ko) * | 1976-06-22 | 1982-04-06 | ||
JPS53936A (en) | 1976-06-25 | 1978-01-07 | Hitachi Ltd | Display method |
JPS5914718A (ja) * | 1982-07-15 | 1984-01-25 | 富士ロビン株式会社 | 刈払機の吊りバンド構造 |
US4526335A (en) * | 1983-10-03 | 1985-07-02 | Clamp Swing Pricing Co. | Merchandise holder and display device |
US4630763A (en) * | 1985-05-28 | 1986-12-23 | Friedman Daniel J |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weight of a banjo in adjustable proportions from both the torso and the shoulders of a player |
USD294530S (en) * | 1985-05-31 | 1988-03-01 | Cutless Associates, Inc. | Holder for hairstyling appliances or the like |
US4653637A (en) * | 1985-06-17 | 1987-03-31 | The Stanley Works | Fold-up rack for screwdrivers and the like |
DE3536676A1 (de) * | 1985-10-15 | 1987-04-16 | Stihl Maschf Andreas | Freischneidegeraet |
US4871135A (en) * | 1988-10-28 | 1989-10-03 | Trion Industries Inc. | Two-part shelf hook |
JPH07264914A (ja) * | 1994-03-31 | 1995-10-17 | Minawa Kogyo Kk | 動力作業機用連結装置 |
US5620121A (en) * | 1995-05-17 | 1997-04-15 | Watson; Elton G. | Quick releasing support for line trimmers |
JPH11173321A (ja) * | 1997-12-09 | 1999-06-29 | Taisei Corp | フック遠隔開閉装置 |
JP3157493B2 (ja) * | 1998-02-13 | 2001-04-16 | 富士ロビン株式会社 | 刈払機の吊り金具 |
WO1999042981A1 (en) * | 1998-02-20 | 1999-08-26 | Display Edge Technology Ltd. | Shelf-edge display system |
US6364260B1 (en) * | 1998-02-26 | 2002-04-02 | Moore Push-Pin Company | Reusable single part bend to grip partition and door hardware |
US6102349A (en) * | 1998-11-19 | 2000-08-15 | Hall; Richard L. | Pail holder and an animal feeding assembly including same |
US6158636A (en) * | 1999-06-25 | 2000-12-12 | Latiolais; Jerry J. | Weed trimmer shoulder strap assembly |
SE520705C2 (sv) * | 2001-12-17 | 2003-08-12 | Electrolux Ab | Upphängningsögla |
US20040094592A1 (en) * | 2002-11-18 | 2004-05-20 | Worth Brown | Wearable carrier for holding a personal item |
JP4369349B2 (ja) * | 2004-11-24 | 2009-11-1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刈払機の吊具構造 |
US7201355B1 (en) * | 2005-03-01 | 2007-04-10 | Miller Manufacturing Company | Support bracket for differently sized buckets |
-
2004
- 2004-11-24 JP JP2004339554A patent/JP436934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11-14 TW TW094139931A patent/TWI343782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11-15 ES ES05024930T patent/ES2302116T3/es active Active
- 2005-11-15 DE DE602005005137T patent/DE602005005137T2/de active Active
- 2005-11-15 EP EP05024930A patent/EP1661446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5-11-17 CA CA2527289A patent/CA252728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1-18 AU AU2005234669A patent/AU2005234669B2/en not_active Ceased
- 2005-11-23 US US11/286,381 patent/US885768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1-23 CN CNU2005201331135U patent/CN2838242Y/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5-11-23 CN CNB2005101233476A patent/CN10044665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1-24 KR KR1020050112927A patent/KR10117835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5-11-24 BR BRPI0505032-4A patent/BRPI0505032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778158A (zh) | 2006-05-31 |
BRPI0505032B1 (pt) | 2012-10-30 |
CN100446654C (zh) | 2008-12-31 |
JP4369349B2 (ja) | 2009-11-18 |
TW200624037A (en) | 2006-07-16 |
TWI343782B (en) | 2011-06-21 |
BRPI0505032A (pt) | 2006-07-11 |
US8857682B2 (en) | 2014-10-14 |
JP2006141359A (ja) | 2006-06-08 |
CN2838242Y (zh) | 2006-11-22 |
AU2005234669A1 (en) | 2006-06-08 |
AU2005234669B2 (en) | 2010-12-16 |
EP1661446B1 (en) | 2008-03-05 |
CA2527289C (en) | 2012-10-16 |
CA2527289A1 (en) | 2006-05-24 |
ES2302116T3 (es) | 2008-07-01 |
US20060108387A1 (en) | 2006-05-25 |
DE602005005137T2 (de) | 2008-06-12 |
DE602005005137D1 (de) | 2008-04-17 |
KR101178357B1 (ko) | 2012-08-29 |
EP1661446A1 (en) | 2006-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8357B1 (ko) | 브러시 커터용의 서스펜더 | |
US5450670A (en) | Knife having detachable hook | |
EP2022721B1 (en) | Device for attaching fasteners | |
JP2002262921A (ja) | 携帯品装着用の取付装置 | |
JP4140295B2 (ja) | 草取り器具 | |
JPH0216663Y2 (ko) | ||
US2104614A (en) | Self-shaking dust mop | |
KR102012244B1 (ko) |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전자동우산 | |
JPH06154145A (ja) | モップ支持具及びモップ組立体 | |
KR102003854B1 (ko) | 트랙터 작업기 편이 연결장치 | |
JP3152396U (ja) | 替刃式刃物の収納具 | |
JP3152079U (ja) | 工具袋取付具 | |
JP7105355B1 (ja) | 工具ホルダ | |
CN217986907U (zh) | 一种易安装的指甲钳 | |
JP6990145B2 (ja) | ホルダ付玩具 | |
JP3096809U (ja) | 爪切り | |
JP3184002B2 (ja) | 親綱緊張器 | |
JP3228703U (ja) | 足場板固定装置のベルト締結ユニット | |
JPH0748374Y2 (ja) | ブレーキシューリターンスプリング脱着用工具 | |
JP2022019955A (ja) | ホルダ付玩具 | |
KR0140434Y1 (ko) | 명찰용 클립 | |
JPH1189779A (ja) | モップ保持具 | |
JPH07300997A (ja) | 型枠用返し板の受金具 | |
JP3967789B2 (ja) |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 | |
JPH0154067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