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240A -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240A
KR20060053240A KR1020050096401A KR20050096401A KR20060053240A KR 20060053240 A KR20060053240 A KR 20060053240A KR 1020050096401 A KR1020050096401 A KR 1020050096401A KR 20050096401 A KR20050096401 A KR 20050096401A KR 20060053240 A KR20060053240 A KR 2006005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rush holder
gear motor
ro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랑 로벵
미카엘 르브르주아
마리-피에르 브나
Original Assignee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6005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자(4), 기어모터를 제어하는 기판(22), 및 상기 기판과 전기접촉하는 브러쉬 홀더(20)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 홀더(20)는 기어모터(10)에 있는 기판(22)을 고정시키고, 상기 기판과 상기 브러쉬 홀더는 상기 회전자의 축방향으로 삽입하는데 적합한 기어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어모터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어모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조립비용을 절감한다.
기어모터, 브러쉬 홀더, 기판

Description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 조립방법{Geared Motor And Method For The Assembly Of The Geared Motor}
도 1은 기어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기어모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브러쉬 홀더의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브러쉬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8: 인터페이스(interface) 9: 고정자(stator)
10: 기어모터 12: 모터
13: 하우징 14: 회전자(rotor)
16: 정류자 18: 브러쉬
20: 브러쉬 홀더(brush holder) 22: 기판
23: 탭(tab) 24: 플레이트(plate)
25: 돌출부 26,28: 암(arm)
30: 후미부
본 발명은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윈도우 레귤레이터 또는 썬 루프와 같은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장비는 특히 기어모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기어모터는 벤트(vent)를 구동시키기 위해 벤트에 연결된 감속기어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의 코일에는 브러쉬를 통한 공급전류를 수용하는 정류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브러쉬는 기어모터에 대해 고정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정류자와 전기 마찰접촉된다. 또한 기어모터에는 기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판(control board)이 제공된다.
따라서, 기어모터는 복수의 부품을 구비하게 되고 이는 부품의 조립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모터 제어용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전기접촉하고 상기 기어모터에 제어기판을 고정시키는 브러쉬 홀더(brush holder)를 구비함으로써, 기어모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조립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쉬 홀더는 기어모터에서의 기판의 이동을 방지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어모터는 회전자(rotor)를 구비하고, 브러쉬 홀더가 기판의 상기 회전자를 따른 이동을 방지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어모터는 또한 회전자와 브러쉬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는 회전자에 대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브러쉬를 지지하는 2개의 암(arms)을 구비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쉬 홀더는 암을 통해 제어기판과 전기접촉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어모터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브러쉬가 상기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강제로 기대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어기판과 브러쉬 홀더를 기어모터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러쉬 홀더를 고정시키고 상기 브러쉬 홀더와 상기 기판을 전기접촉상태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어모터의 조립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어모터는 회전자 슬롯(rotor slot)을 구비하고, 기판과 브러쉬 홀더가 회전자 슬롯을 따라 삽입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어모터는 감속기어와 하우징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어는 하우징에 있고, 제어기판과 브러쉬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쉬 홀더가 강제로 하우징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명백해진다.
본 발명은 기어모터 및 브러쉬 홀더를 제어하는 기판을 구비하는 기어모터에 관한 것이다; 브러쉬 홀더는 기판과 전기접촉되고 기어모터에 있는 기판을 고정시킨다. 이는 기어모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조립비용을 절감한다.
도 1은 기어모터(10)의 횡단면도이다. 기어모터(10)는 모터(12)와 하우징(13)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13)에 고정된다. 모터(12)는 회전 샤프트상에 코일로 이루어진 (도면에서는 샤프트만이 도시됨) 고정자(stator)(9)와 회전자(14)를 구비한다. 회전자(14)는 자체적으로 (회전자상에) 웜(worm)과 기어휠(gear wheel)로 이루어진 미도시된 감속기어(reduction gear)를 구동시킨다. 감속기어는 하우징(13)내에 있다. 회전자(14)의 코일에는 회전자(14)와 일체로 형성된 정류자(16)와 공급전류를 모터에 전달하는 브러쉬(18)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브러쉬(18)는 심지어 정류자가 회전중이더라도 공급전류를 정류자(16)에 전달되게 한다. 브러쉬(18)는 브러쉬 홀더(20)를 사용하여 기어모터에 보유된다. 브러쉬 홀더(20)는 브러쉬(18)가 정류자 맞은편에 보유되고 위치되게 한다; 브러쉬(18)는 정류자(16)에 대해 대각선으로 마주보고 있다. 모터는 회전자(14)의 도입용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13)의 인터페이스(8)에 고정된다.
기어모터(10)는 또한 기어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판(22)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기판(22)은 모터의 시동, 회전방향의 역전 또는 정지를 제어한다. 기판은 인쇄회로기판 타입이다. 브러쉬 홀더(20)는 기판(22)에 전기연결되고, 따라서 기판(22)이 브러쉬 홀더(20)를 향한 전류의 통과를 제어하게 한다. 또한, 브러쉬 홀더(20)는 기어모터에 있는 기판(22)을 고정시켜, 추가적인 기판고정소자를 불필요하게 한다; 이는 브러쉬 홀더(20)의 삽입이 브러쉬 홀더의 위치지정과 동시에 기판(22)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기어모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기판(22)은 기어모터내에, 즉, 하우징(13)내에 있다. 따라서, 기판을 위한 추가적인 후미부의 소용을 피하며, 이는 기어모터를 더 컴팩트하게 한다. 따라서, 기어모터의 부피가 감소된다. 더욱이, 기판의 외부 후미부의 제거로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3)은 기판(22)이 삽입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22)과는 별개의 부품인 브러쉬 홀더(20)가 특히 홈에서의 기판(2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22)은 (기판의 가장 큰 치수를 따라) 회전자(14)에 평행하게 확장될 수 있고, 브러쉬 홀더(20)는 기판(22)의 회전자(14)를 따른 이동을 방지한다. 이는 회전자(14)와 기판(22)이 동일한 축을 따라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기판(22)이 이 축을 따라 브러쉬 홀더(20)에 의해 간단히 고정되기 때문에 기어모터의 조립에 이점적이다.
도 2는 기어모터(10)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회전자(14), 기판(22) 및 브러쉬를 보유하는 브러쉬 홀더(20)가 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브러쉬(18)는 정류자(16)의 높이(level)에 보유된다. 브러쉬 홀더(20)는 특히 회전자(14)를 따라 하우징에 삽입될 때 기판(22)을 고정되게 한다. 정류자(16)의 높이에서 브러쉬(18)의 위치지정을 가능하게 하는 암이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선택된다.
브러쉬 홀더(20)에 의한 기판(22)의 고정은 기판(22)을 하우징(13)에 맞닿게 강제하는 브러쉬 홀더(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쉬 홀더(20)는 기판의 수용홈(이들 홈은 하우징(13)상의 돌출부(25)를 따라 하우징내에 위치됨)으로 브러쉬 홀더(20)의 힘에 의한 도입에 의해 기판(2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22)은 하우징(13)의 바닥과 하우징의 개구에 있는 브러쉬 홀더(20) 사이에 고정된다. 대안으로, 브러쉬 홀더(20)는 도 2에서 위쪽으로 회전자(14)에 횡방향으로 하우징(13)에 대하여 기판(22)을 밀 수 있다. 하우징의 인터페이스(8)에 있는 기판(22)의 수용홈의 개구는 공동쪽으로 기판(22)에 대해 횡으로 넓혀질 수 있다; 브러쉬 홀더(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자(14)와 기판(22) 사이의 공동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브러쉬 홀더(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판(22)아래에 있고 기판을 하우징(13)에 강제로 기대게 한다.
또한, 기판 고정의 강건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동으로 돌출한 하우징(13)의 탭(23)이 형성될 수 있다. 탭(23)은 탄성적으로 브러쉬 홀더(20)를 기판(22)에 기대게 강제하고 따라서 기판(22)이 하우징(13)에 강제로 기대게 한다.
또한, 기판(22)과 회전자(14) 사이에 브러쉬 홀더(20)가 있음으로 해서 도 3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접촉이 용이하게 설정되게 한다.
도 3은 브러쉬 홀더(20)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브러쉬 홀더(20)는 암(26,28)이 뻗어있는 플레이트(plate)(24)를 구비한다. 브러쉬(18)가 정류자의 높이에 보유되게 하는 브러쉬 홀더(20)는 회전자(14)보다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브러쉬 홀더(20)는 정류자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후미부(30)를 갖는다. 이는 브러쉬 홀더(20)에 기인한 기어모터의 크기에서의 증가가 피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암(26,28)은 플레이트(24)의 어느 한 측상에 뻗어있다. 암은 브러쉬(18)를 유지하기 위해 플레이트(24)의 일측면(24a)으로부터 돌출된다. 암은 또한 제어기판(22)과 함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플레이트(24)의 타측(24b)으로부터 돌출된다.
브러쉬 홀더의 전기접촉은 다음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레이트(24)의 측(24b)상에서, 암(26,28)이 플레이트(24)에 대하여 밀어진다; 따라서, 암(26,28)은 기판(22)과 접촉을 확립할 수 있는 도체(34,36)를 형성한다. 도 2와 관련하여, 브러쉬 홀더(20)가 기판(22) 및 회전자(14) 사이에 있다; 도체(34,36) 자체가 전기접촉면을 갖는 기판(22)에 대하여 밀어넣어진다. 탭(23)에 의해 브러쉬 홀더(20)를 기판(22)에 기대게 하는 밀기(pressing)로 전기접촉이 보장된다.
도 4는 브러쉬 홀더(2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횡단면에 있는 플레이트(24), 상기 플레이트(24)로부터 뻗어있는 하나의 암(28), 도체(36) 및 브러쉬 홀더(20)에 의해 유지되는 브러쉬(18)가 도시되어 있다. 암(28)은 L형이어서, 정류자(16)쪽의 회전자를 따라 브러쉬(18)를 밀게한다. 암(28)의 모양은 도 4에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어모터내의 이용가능한 공간에 그리고 정류자(16)에 대해 기판(22)을 고정시키는 브러쉬 홀더(20)의 위치에 적합하게 맞추어진다. 암은 또한 변형을 통해 브러쉬(18)가 정류자(16)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밀려지게 할 수 있다; 이는 장시간의 사용주기 후에도 정류자와 브러쉬 사이의 양호한 전기접촉을 보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기어모터는 조립방법의 주제일 수 있다. 기어모터는 회전하는 회전자를 갖는 모터, 상기 모터가 고장되고 상기 회전자가 뻗어있는 하우징,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자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하우징내의 감속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내에 모터와 모터의 회전자를 조립하기 전에, 본 방법은 기어모터에 제어기판과 브러쉬 홀더의 조립을 제안한다. 본 방법은 제어기판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러쉬 홀더를 기어모터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 어기판과 브러쉬 홀더는 회전자를 따라 하우징에 삽입된다. 회전자의 삽입방향으로 기판과 브러쉬 홀더의 삽입은 하우징의 구조를 간단히 하는 이들 구성부품에 대하여 하우징내에 단 하나의 공통개구를 제공하게 한다.
그런 후 본 방법은 브러쉬 홀더(20)를 고정하는 단계 및 기판(20)과 브러쉬 홀더(20) 사이의 전기접촉을 하게 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따라서 기판과 브러쉬 홀더의 조립이 간단하고 빠르며 어떠한 임의의 추가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어모터에 브러쉬 홀더를 고정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특히 이 용도로 제공된 공동에, 브러쉬 홀더(20)와 함께 하우징(13)에 기대게 기판(22)을 밀어제침으로써 수행된다; 이점적으로, 하우징(13)내에 기판(22)의 고정 및 기판(22)과 브러쉬 홀더(20)의 전기접촉을 향상시키는 브러쉬 홀더가 하우징에 강제로 삽입된다.
본 방법은 또한 하우징(13)에 회전자(14)의 조립물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자(14)는 정류자(16) 및 코일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자(14)가 브러쉬 홀더(20)에 의해 고정된 기판(22)에 평행하게 하우징에 도입된다. 따라서, 고정된 기판(22) 및 브러쉬 홀더(20)는 회전자(14)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브러쉬 홀더(20)의 암(26,28)은 별도로 이동될 수 있어 정류자(16)가 전기접촉을 확립하도록 브러쉬(1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13)에 고정자를 포함하는 케이싱(9)을 조립하고 고정시킴으로써 모터의 장착이 완료된다.
물론, 본 발명은 예로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기어모터는 차량벤트(vehicle vent)용 구동장비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 조립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브러쉬 홀더는 기판과 전기접촉되고 기어모터에 있는 기판을 고정시킴으로써 기어모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조립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을 위한 추가적인 후미부의 소용을 피하며, 기어모터를 더 컴팩트하게 함으로써, 기어모터의 부피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회전자(4);
    기어모터를 제어하는 기판(22); 및
    상기 기판과 전기접촉하는 브러쉬 홀더(brush holder)(20)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 홀더(20)는 기어모터(10)에 있는 기판(22)을 고정시키고, 상기기판과 상기 브러쉬 홀더가 상기 회전자의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기어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홀더(20)가 상기 기어모터내에 상기 기판(22)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어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홀더(20)는 상기 기판(22)의 상기 회전자(14)를 따른 이동을 방지하는 기어모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터는 또한 브러쉬(18)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 홀더(20)는 상기 회전자(14)에 대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상기 브러쉬(18)를 지지하는 2개의 암(arms)(26,28)을 구비하는 기어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홀더(20)는 상기 암(26,28)을 통해 상기 기판(22)과 전기접촉하는 기어모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터는 하우징(13)을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 홀더(20)는 상기 기판(22)이 상기 하우징(13)에 강제로 기대게하는 기어모터.
  7. 기판(22)과 브러쉬 홀더(20)를 회전자의 축방향으로 기어모터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러쉬 홀더(20)를 고정시키고 상기 브러쉬 홀더(20)와 상기 기판을 전기접촉상태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어모터의 조립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터는 회전자(14)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과 상기 브러쉬 홀더는 상기 회전자(14)를 따라 삽입되는 기어모터의 조립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터는 감속기어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어는 상기 하우징내에 있고, 상기 기판과 상기 브러쉬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기어모터의 조립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홀더가 강제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기어모터의 조립방법.
KR1020050096401A 2004-10-15 2005-10-13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 조립방법 KR20060053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10940 2004-10-15
FR0410940A FR2876844A1 (fr) 2004-10-15 2004-10-15 Motoreducteur et procede d'assemblage du motoreduct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240A true KR20060053240A (ko) 2006-05-19

Family

ID=3495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401A KR20060053240A (ko) 2004-10-15 2005-10-13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 조립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082246A1 (ko)
EP (1) EP1648076A1 (ko)
JP (1) JP2006115689A (ko)
KR (1) KR20060053240A (ko)
CN (2) CN1761126A (ko)
BR (1) BRPI0504880A (ko)
FR (1) FR2876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7484A1 (fr) * 2006-02-15 2007-08-17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Dispositif d'entrainement,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ligne equipotentielle dans un dispositif d'entrainement
US8662368B2 (en) * 2007-10-18 2014-03-04 Shootsac, Inc. Wearable camera lens bag and laptop bag
CN103492287B (zh) * 2011-03-01 2015-10-07 约翰逊父子公司 驱动模块组件、分配系统及其组装方法
JP2014187819A (ja) * 2013-03-25 2014-10-02 Mitsuba Corp 電動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DE102014104418A1 (de) * 2014-03-28 2015-10-01 Küster Holding GmbH Elektrisch schaltbare Kraftfahrzeugverglas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3155A1 (de) * 1985-04-12 1986-10-23 Licentia Gmbh Antriebsmotor fuer ein geraet
DE3538940A1 (de) * 1985-10-31 1987-05-07 Black & Decker Inc Verdrahtungsanordnung fuer den motor eines elektrowerkzeugs
DE59005769D1 (de) * 1990-12-07 1994-06-23 Siemens Ag Bürstensystem für einen Kommutatormotor.
JPH1118391A (ja) * 1997-06-25 1999-01-22 Jidosha Denki Kogyo Co Ltd 小型モータ
DE19805185A1 (de) * 1998-02-10 1999-08-12 Bosch Gmbh Robert Antriebsvorrichtung, insbesondere zum Verstellen eines Schiebedachs eines Fahrzeugs
CN1288822C (zh) * 2001-03-17 2006-12-06 罗伯特·博施有限公司 伺服驱动机构及装配伺服驱动机构的方法
US6969933B2 (en) * 2002-01-22 2005-11-29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Electric motor drive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1126A (zh) 2006-04-19
EP1648076A1 (fr) 2006-04-19
FR2876844A1 (fr) 2006-04-21
JP2006115689A (ja) 2006-04-27
BRPI0504880A (pt) 2006-06-27
CN2842852Y (zh) 2006-11-29
US20060082246A1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185B2 (ja) ポンプ装置、ポンプ装置の組み付け方法、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US6969933B2 (en) Electric motor drive system and method
US5287028A (en) Miniature motor
KR20060053240A (ko)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 조립방법
EP0511876B1 (en) A choke-coil fixture for miniature motors
KR100633570B1 (ko) 모터
JP2003500997A (ja) 電気モータ、特に車両ユニットのための電気的な変速機付モータ
EP1396923B1 (en) Geared motor
US6617745B1 (en) Engine pump unit
US6822367B1 (en) Brush holder device for dynamoelectric machine
JP6809246B2 (ja) モータ装置
JP2009268207A (ja) 回転電機
JP4652925B2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組立方法
CN101022231A (zh) 驱动装置、汽车通风装置以及用于在驱动装置中产生等位线的方法
JP2863996B2 (ja) 直流モータにおけるブラシ配線部構造
JP4738861B2 (ja) モータ
CN214380350U (zh) 永磁同步电机及转子组件
JP4823173B2 (ja) ブラシホルダ
JP3757240B2 (ja) 小型モータ
JPH10108402A (ja) 小型モータ
JP4860208B2 (ja) 回路部品の製造方法
US20220140689A1 (en) Brushless gear motor with plastic insulation parts
JP4755857B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CN216872992U (zh) 马达及电动泵
JPH10108403A (ja) 小型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