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996A - 지폐정리기 - Google Patents

지폐정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996A
KR20060051996A KR1020050092905A KR20050092905A KR20060051996A KR 20060051996 A KR20060051996 A KR 20060051996A KR 1020050092905 A KR1020050092905 A KR 1020050092905A KR 20050092905 A KR20050092905 A KR 20050092905A KR 20060051996 A KR20060051996 A KR 2006005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s
accumulation
old
unit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652B1 (ko
Inventor
아키토 구로다
겐이치 하토리
겐지 히로사와
Original Assignee
글로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918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40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94192A external-priority patent/JP46197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94177A external-priority patent/JP4619739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60User-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8Setting of parameters; Software upd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지폐정리기는 지폐를 거두어들이는 취입수단(101)과, 상기 취입수단에 의해 거두어들인 지폐의 신구/상태/금액 등을 식별하는 식별수단(105)과, 상기 식별수단의 식별결과에 따라 결속대상의 소정 종류의 지폐를 집적하는 복수의 집적부(111~115)와, 결속대상 지폐의 종류 및 결속대상외 지폐의 분류방법을 지정하는 지정수단(11)과, 상기 식별수단에서 식별된 지폐를 상기 지정수단의 지정에 따라 상기 집적부 및 상기 외부집적부로 분배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구비한다. 상기 식별수단의 식별결과에 따라 결속대상외의 소정 종류의 지폐를 집적하는 적어도 2개의 외부집적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집적부의 수는 결속대상 지폐의 종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는 상기 식별수단에서 식별된 지폐를 상기 지정수단의 지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집적부로 분배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집적부 중 하나가 가득 차 그 금액과 같은 금액의 지폐가 예비집적부에 집적되는 중에 다른 집적부가 곧 가득차려고 하는 경우, 취입수단으로부터의 취입을 간헐취입으로 전환하여 상기 식별수단에서 1장씩 금액 등을 확인하고, 새로운 예비집적부가 생길 때까지 이 간헐취입을 계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정리, 결속, 인자

Description

지폐정리기{Apparatus for sorting paper curr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정리기의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각종 모드의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구권을 통상 처리한 금액선택 띠두름 모드에서의 설정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는 구권을 통상 처리한 다이렉트 띠두름 모드에서의 설정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는 구권을 통상 처리한 입금모드 및 패치모드에서의 설정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6은 구권을 거절 처리한 금액선택 띠두름 모드에서의 설정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7은 구권을 거절 처리한 다이렉트 띠두름 모드에서의 설정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8은 구권을 거절 처리한 입금모드 및 패치모드에서의 설정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9는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 처리한 금액선택 띠두름 모드에서의 설정 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0은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 처리한 다이렉트 띠두름 모드에서의 설정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1은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 처리한 입금모드 및 패치모드에서의 설정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2는 띠두름 모드를 실행중인 조작표시부에서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입금 모드를 실행중인 조작표시부에서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패치 모드를 실행중인 조작표시부에서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 처리하기 위한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여러가지 설정을 한 경우, 각종 상태분류, 신구권이 어느 집적부, 외부집적부에 집적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7은 외부집적부에서의 확정데이터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집적부가 가득찼을 때 이루어지는 특별한 제어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입금구에서의 개선점을 설명하는 모식적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지폐정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낱장 상태의 지폐를 들여보내, 금액, 상태, 신구권별로 분류하고, 소정 매수마다 결속(띠두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에서는 회수한 지폐 등을 정리하기 위하여 지폐정리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 지폐정리기는 예를 들어, 여러 금액의 지폐가 정상권(이하, '정권'이라고 함)과 손상권(때나 파손에 의해 손상이 큰 지폐)이 섞여 있는 상태에서 투입된 경우, 이것들을 식별하여 금액별, 상태별로 분류하여 추출하거나, 혹은 통상 100장 단위로 띠종이를 두르는 처리를 하는 것이다.
이전의 지폐정리기는 일본 화폐로 천엔, 5천엔, 만엔의 3가지 종류의 지폐에 대응하기에 충분하였고, 전형적인 예는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등록제25977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제2597752호 공보에서는 외부집적부가 3개 존재하여 상기 각 금액에 각각 외부집적부가 대응하는 동시에, 결속용 집적부분이 2개 존재한다.
하지만, 이 외부집적부는 금액과의 대응관계가 고정되어 있어 단순히 각 금액별로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집적내용을 바꾸어 예를 들어, 정권과 손상권, 신권과 구권과 같이 분류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일본 화폐의 경우, 2001년 2천엔권 지폐가 도입된 이래, 종래의 천엔, 5천엔, 만엔의 3종류의 지폐에 더하여 2천엔권까지 4종류의 지폐에 대한 대응이 요 구되었다.
이와 같은 대응을 꾀한 종래의 지폐정리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2-197509호 공보에 개시된 금액별 집적부를 4개 가지는 것이 있다.
또한, 지폐의 디자인이 바뀌는 경우도 있어,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전 디자인으로 된 구권을 회수하기 위해 신권과 구권의 식별 및 분류도 필요한데, 종래의 지폐정리기는 신권과 구권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금액별 집적부를 4개 가지는 것이더라도 4종류의 지폐 종류에 띠종이를 두르는 경우, 4개의 집적부 모두에 지폐가 존재하고, 그 중 하나라도 가득차면 투입을 정지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경우, 가득찼다는 검지가 이루어지기 직전에 투입된 지폐는 정상권이어도 거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투입이 정지한 경우에는 가동효율이 떨어지고 처리효율도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득찬 것을 결속하기 위한 반송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집적부로부터의 것과 같은 종류의 지폐가 더욱 투입되어왔을 때 다시 정지되거나 전부 거절된다.
또한, 가득찼다는 검지가 이루어지기 직전에 투입된 지폐는 정상권이어도 거절되거나, 거절부에 진짜 거절권과 정상권이 혼재되어 다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기는 신권과 구권을 나누어 띠두름 처리를 할 수는 있어도 다른 조건과 함께 분류, 띠두름하는 것은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여러 차례 처리기에 통과시키지 않으면 원하는 분류를 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기기는 같은 금액의 경우, 신구 분류와 상태별 분류를 조합하여 분류할 수는 있지만, 2가지 금액에 대해서는 동시에 분류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2가지 금액에 대해서는 적어도 2번 처리기에 통과시키지 않으면 원하는 분류를 할 수 없었다.
한편, 실제 사용현장에서는 회수하는 지폐와, 거스름용 지폐(예를 들어, 신권의 정권)를 분류하여 종이띠를 두르는 것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는 신권과 구권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 구권과 신권의 손상권은 회수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같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분류 방법은 종래의 지폐의 신구권과 상태를 조합하여 같은 금액으로 분류하는 방식에서는 실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4종류의 지폐의 자유도 높은 처리에 대응하면서, 디자인의 변경에 따른 구권 회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지폐정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득찼을 때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한 지폐정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정리기는, 지폐를 거두어들이는 취입수단과, 상기 취입수단에 의해 거두어들인 지폐의 신구/상태/금액 등을 식별하는 식별수단과, 상기 식별수단의 식별결과에 따라 결속대상의 소정 종류의 지폐를 집적하는 복수의 집적 부와, 결속대상 지폐의 종류 및 결속대상외 지폐의 분류방법을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상기 식별수단에서 식별된 지폐를 상기 지정수단의 지정에 따라 상기 집적부로 분배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는 복수의 결속지폐용 집적부 외에 2개의 외부집적부를 설치하고, 결속해야할 지폐의 종류와 결속하지 않을 지폐의 분류방법을 지정하여 집적부 및 외부집적부로 나누도록 하였기 때문에, 결속대상외가 된 지폐 종류 이외의 지폐를 분류할 수 있어, 그 후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집적부와 외부집적부를 어느 종류의 지폐에 대하여 사용할지를 지정수단에 의해 조작할 때마다 여러가지로 설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지폐정리시에 높은 자유도로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속대상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부를 유통중인 지폐의 금액 종류보다 많은 5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금액이면서 디자인이 다른 신권과 구권이 존재하는 경우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서 취급함으로써, 신권과 구권이 혼재하여 유통되고 있는 경우에도, 거스름돈 준비금이 되는 신권의 정권과, 회수대상이 되는 신권의 손상권 및 구권의 2가지 분류로 효율적으로 종이띠를 두를 수 있다. 또한, 집적부를 현행의 4종류의 지폐갯수 이상인 5개 이상으로 함으로써, 동시에 2가지 금액으로 마찬가지의 띠두름을 할 수 있는 동시에, 하나의 집적부가 가득차도 5번째 집적부를 예비집적부로서 사용할 수 있어 처리를 효율화하고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정리기는 지폐를 거두어들이는 취입수단과, 상기 취입수단에 의해 거두어들인 지폐의 신구/상태/금액 등을 식별하는 식별수단과, 상기 식 별수단의 식별결과에 따라 결속대상 종류의 지폐를 소정 매수 집적하는, 지폐 종류보다 하나 많은 복수의 집적부와,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소정 매수의 지폐를 결속하는 결속수단과, 결속대상 지폐의 종류 및 결속대상외 지폐의 분류방법을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상기 식별수단에서 식별된 지폐를 상기 지정수단의 지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집적부로 분배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집적부 중 하나가 가득차 그 금액과 같은 금액의 지폐가 예비집적부로 집적되는 중에 다른 집적부가 곧 가득채워지려고 하는 경우, 취입수단으로부터의 취입을 간헐취입으로 전환하여 상기 식별수단에서 1장씩 금액 등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예비집적부가 생길 때까지 이 간헐취입을 계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폐정리기에서는 결속대상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부의 갯수를 결속대상의 지폐 종류보다 하나 많게 하여, 집적중인 집적부 중 어느 하나가 가득찼을 때의 예비집적부로 하고, 어느 하나가 가득차 예비집적부를 사용하는 중에 또 다른 집적부가 가득차려고 하는 경우에는, 집적할 곳이 없을 가능성을 예측하여 연속수송을 멈추고 간헐수송으로 전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투입을 정지하거나 전부 거절할 필요가 없어,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정리기의 일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지폐정리기(10)는 최상부에 조작표시부(11)를 가지고, 주로 앞면 윗부분의 분류집적부(100), 앞면 아랫부분의 지폐결속부(200), 뒷면의 반송부(300)로 구성되 어 있다.
(분류집적부(100))
앞면의 거의 중앙부에 처리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입금구(101)가 설치되며, 여기에 투입된 금액이 혼합된 지폐는 투입롤러(102,103)에 의해 투입되어, 반송로(104)를 따라 반송된다.
반송로(104)의 도중에는 식별부(105)가 설치되며, 여기에서 금액, 손상정도, 진위, 이표면을 식별한다. 한편, 여기서 나타내는 식별부(105)는 같은 금액이지만 디자인이 다른 신구권 지폐도 식별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송로는 식별부(105) 앞에서 나뉘어져 있으며, 식별부(105)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손상권, 위권(僞券) 등은 거절 지폐로서 거절지폐 집적부(106)에 집적된다. 한편, 정권이면서 진권인 것은 표리(表裏)반전부(107)에서 식별부(105)에 의한 이표면 판정결과에 따라 모든 지폐의 이표면이 일치하게 되며, 또한 판정된 금액 등에 따라 결속대상 지폐를 수납하는 집적부(111~115) 중 어느 한 곳에 집적된다.
이 각 집적부들(111~115)은 각각 집적용 스테이지(111a~115a)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들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서 각 집적부(111~115)는 집적가능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즉, 윗쪽 약 2/3부분에 설치된 벽부재(111b~115b)의 하단 위치에 스테이지(111a~115a)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된 지폐는 벽부재(111b~115b)에 닿아 정지하고 집적된다. 이 때, 지폐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집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집적량에 따라 회전운동 가능한 압착판(111c~115c)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스테이 지(111a~115a) 및 벽부재(111b~115b)에는 후술하는 반송부의 핸드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결속대상외의 지폐는 다시 반송되어 외부집적부(121,122)에 집적된다.
이들 집적부(111~115) 및 외부집적부(121,122)에 대하여 집적해야할 대상을 여러가지로 설정할 수 있어 여러가지 처리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금액/상태/신구권 등의 종류의 조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 설정내용 자체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가 없기 때문에,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표시조작부(11) 아래에는 결속대상이 되었지만 결속가능 매수에 도달하지 못한 단수지폐를 반각하기 위한 단수지폐 반각부(130)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수지폐 반각트레이(131)의 아랫면에 설치된 돌출부재(132)의 선단부(132a)가 뒷면으로부터 밀림으로써 단수 반각트레이(131)가 전진하고, 앞면에 설치된 셔터(133)가 열려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나아가 단수지폐를 꺼낼 수 있다. 이 부분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폐결속부(200))
분류집적부(100)의 아래에 설치된 지폐결속부(200)는, 소정 매수(통상 100매)에 도달한 분류·집적된 지폐에 종이띠를 감아 띠를 두르는 부분이다.
집적부(111~115)에서 집적 매수가 소정 장수에 도달하면, 후술하는 반송부(300)에 의해 세트부(201)로 이송되어 사이에 끼워진다.
사이에 끼인 지폐의 소정 부분에 띠종이 테이프를 감기 위한 회전기구(202)가 설치되고, 띠종이 테이프 집적부(203)로부터 나온 띠종이 테이프(204)의 선단을 테이프 스톱퍼(205)로 멈추게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결속지폐를 얻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결속 후, 테이프의 선단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206) 및 그 선단부를 열접착하기 위한 히터(207)도 설치되어 있다.
띠종이를 두른 결속지폐는 벨트식 반송기구(208)에 의해 결속지폐 투출구(209)로 투출되는데, 반송도중에는 처리를 한 금융기관의 도장을 띠종이 위에 압인하는 은행명 스탬프부(210), 손상권인 것을 띠종이 위에 압인하는 손상권 스탬프부(211)가 설치되어 있다.
띠종이 테이프(204)의 투입부에는 처리일자, 처리시각, 일련번호,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처리정보, 담당자 번호 등을 찍는 인자부(21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결속지폐는 이 실시예와 같이 결속지폐 투출구에 투출되는 경우 외에,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3-141606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와 같이, 결속지폐를 묶음 수납부로 수납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어서, 뒷면에 설치된 반송부(300)는 집적부(111~115)와 지폐결속부(200) 또는 단수지폐 반각부(130)와의 사이에서 결속대상 지폐 또는 단수지폐를 반송하는 것이다.
(반송부(300))
반송부(300)는 장치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에 걸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축(301), 이 가이드축(301)에 걸어맞추어지면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승강유니트(310), 이 승강유니트(31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벨트(302)를 구비한다.
승강유니트(310)는 벨트기구(311)에 의해 전진후퇴가 가능한 블록(312)을 가 지고 있으며, 이 블록(312)은 고정된 하부핸드(313)와, 벨트(316)에 의해 축(315)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부핸드(314)를 가지고 있다. 핸드(313, 314)는 집적부(111~115)에 집적된 결속대상 지폐 혹은 단수지폐를 사이에 끼워 꺼내고, 지폐결속부(200) 혹은 단수지폐 반각부(130)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400))
본 지폐정리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400)는 제어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프로센서 및 이 제어수단과 예를 들어 금융기관의 센서 등에 설치된 상위 컴퓨터 등과 통신회로로 접속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통신수단을 통하여 장치 안의 모든 상황 데이터가 상위 컴퓨터로 차례로 송신된다.
도 1에서 제어수단(400)은 편의상 지폐결속부(200)의 아래에 도시되어 있지만, 설계에서 확보된 공간이면 장치 안의 모든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지폐정리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띠종이를 두른 지폐를 위한 집적부와 띠종이를 두르지 않은 지폐에 대하여 집적을 하는 외부집적부를 금액, 정권인지 손상권인지의 종류, 신권인지 구권인지의 종류에 대하여 여러가지로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는 조작표시부에 표시되는 모드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며, 가장 왼쪽 열의 가장 윗쪽에 있는 설정버튼을 눌렀을 때의 화면이다. 이 화면은 터치패널로 되어 있으며, 오퍼레이터가 화면위의 해당 부분을 접촉함으로써 각종 조작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화면 중, 좌단의 1렬, 우단의 2렬에 있는 여러가지의 설정버튼을 누름으로써 집적부 및 외부집적부에 집적해야 할 지폐의 금액, 상태, 신구를 지정할 수 있다.
왼쪽에서 2번째 난은 각 집적부의 설정내용 및 취급한 금액을 나타낸다. 가장 윗단의 두줄은 외부집적부(121,122)에 대한 설정내용, 다음 네줄은 집적부(111~114)에서의 설정내용을 나타낸다. 한편, 집적부(115)는 집적부(111~114) 중 어느 것이 가득 채워졌을 때 예비로 사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의 외부집적부(121,122) 모두 혼합이며, 4개의 집적부(111~114)는 각각 일본화폐로 5천엔 지폐의 정권을 신구혼합, 5천엔 지폐의 손상권을 신구혼합, 2천엔 지폐의 정권을 신구혼합, 2천엔 지폐의 손상권을 신구혼합이라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의 혼합, 신구혼합 등의 의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설정표시들의 아랫 부분은 실제로 투입된 각 지폐의 금액 및 총합계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정리기에서 설정할 수 있는 각종 처리설정을 나타내는 도표, 도 12 내지 도 14는 처리중인 설정내용 및 실적을 나타내는 화면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구권을 신권과 구별하지 않고 통상의 처리를 하는 경우로, 도 3은 띠종이를 두르는 금액을 선택하는 경우를, 도 4는 띠종이를 두르는 조합을 직접 선택하는 경우, 도 5는 띠종이를 두르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3은 띠두름 모드에서 띠종이를 두르는 금액을 선택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띠두름 모드는 초기값(디폴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적부가 5개 있기 때문에, 일본 화폐로 만엔, 오천엔, 이천엔, 천엔의 각 금액에 대하여 하나씩 집적부를 할당할 수 있다. 디폴트값은 4가지 금액을 전부 지정하는 경우이지만, 정리시 이들 전부에 대하여 띠묶음을 희망한다고만은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 4종류로부터 임의의 1가지 금액, 2가지 금액, 3가지 금액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현실적인 사용양을 고려하여 1가지 금액을 선택한 경우의 초기값은 만, 2가지 금액을 선택한 경우의 초기값은 만과 천, 3가지 금액을 선택한 경우의 초기값은 만, 오천, 천으로 되어 있는데, 임의의 금액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금액들에 대하여 결속대상 지폐의 상태구분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상태구분으로는 정권, 손상권, 혼합정권, 혼합손상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초기값은 정권이다. 한편, 혼합정권이란, 정권과 손상권을 구별하지 않고 혼합 집적하여 띠종이를 둘러 손상권도 정권으로 취급하는 경우, 반대로 혼합손상권이란, 혼합 집적하여 띠종이를 두른 것은 손상권이라고 취급하여, 띠종이에 '손상' 스탬프를 찍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신구권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디자인이 변경된 금액에 대하여 신권 혹은 구권을 지정하고, 또는 양자를 구별하지 않는 신구권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초기값은 신권이다.
이상과 같이 집적부에 집적되는 내용이 금액, 상태구분, 신구권으로 지정되 는 경우, 이 지폐 종류 이외의 것은 결속대상이 아니며, 이것들은 집적부에 집적되지 않고 외부집적부로 보내진다.
이 외부집적부에서의 지정 지폐 종류 이외의 지폐에 대한 집적조건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집적부가 2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태별 분류, 신구분류, 혼합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할 수 있다.
이 중, 상태별 분류의 경우, 예를 들어 외부집적부(121)에는 띠두름 지정지폐 종류 이외의 정권, 외부집적부(122)에는 띠두름 지정지폐 종류 이외의 손상권을 금액, 상태 혼합으로 집적한다. 이와 같이 정권과 손상권을 분류함으로써 손상권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 처리시에는 정권만을 삽입할 수 있어,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신구분류의 경우, 예를 들어 외부집적부(121)에는 띠두름 지정지폐 종류 이외의 신권, 외부집적부(122)에는 띠두름 지정지폐 종류 이외의 구권을 집적한다. 이와 같은 신구분류를 함으로써 구권을 확실하게 제거하여, 유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혼합을 지정했을 때에는, 외부집적부(121)가 가득찼을 때(통상 200장 정도) 외부집적부(122)에 집적하도록 한다. 이 외부집적부(122)로의 집적중에 외부집적부(121) 안의 집적지폐를 빼내면, 외부집적부(122)가 가득한 후에 다시 외부집적부(121)로 집적할 수 있다. 한편, 외부집적부로부터 가득찬 지폐를 빼낸 내용을 표시부에 확정데이터로서 표시하고, 제어부(400)의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위 컴퓨터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띠두름 모드를 실행중인 조작표시부에서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가장 윗단의 두줄은 2개의 외부집적부에서의 집적내용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지정지폐 종류 이외의 지폐가 정권과 손상권, 신구를 구별하지 않고 집적되어 있다.
다음 네줄은 4개의 집적부에 대한 설정내용이 나타나 있으며, 또한 종이띠를 두른 묶음 갯수, 단수의 매수도 나타나있다. 여기서는 만엔짜리 정권의 구권, 만엔짜리 손상권의 구권, 5천엔짜리 정권의 구권, 5천엔짜리 손상권의 구권을 집적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가장 아랫단의 다섯줄에는 4종류의 금액에 대하여 투입되어 처리된 금액 및 그 합계금액이 나타나 있다.
도 4는 구권을 통상권으로서 취급하고 종이띠를 두를 때 여러가지 태양을 다이렉트로 지정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이 실시예에서 지정할 수 있는 것은, 만, 오천, 이천, 천의 4가지 금액 중 1가지 금액(초기값: 만)에 대하여 정권과 손상권을 2개의 집적부에서 각각 집적하는 1가지 금액 상태구분, 4가지 금액 중 2가지 금액(초기값: 만, 천)에 대하여 정권과 손상권을 4개의 집적부에서 각각 집적하는 2가지 금액 상태구분, 만, 오천, 천의 3가지 금액 중 1가지 금액(초기값: 만)에 대하여 신권과 구권을 2개의 집적부에서 각각 집적하는 1가지 금액 신구권 구분, 3가지 금액 중 2가지 금액(초기값: 만, 천)에 대하여 신권과 구권을 4개의 집적부에서 각각 집적하는 2가지 금액 신구권 구 분, 및 정권/손상권 2의 5가지 모드가 있다. 이 정권/손상권 2는 4가지 금액 중 2가지 금액(초기값: 만,천)을 선택하고, 신구구분으로서 신권, 구권, 신구권 중 어느 하나(초기값: 신권)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 모드에서는 1가지 금액 신권권 구분, 2가지 금액 신구권 구분의 경우와 달리, 정권, 손상권, 혼합정권, 혼합손상권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태구분을 선택할 수 없다.
이러한 다이렉트 지정의 경우에도, 결속대상외 지폐의 외부집적부로의 집적시, 혼합, 상태분류, 신구분류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할 수 있다.
도 5는 구권을 통상권으로서 취급하여, 종이띠를 두르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입금모드인데, 입금구에 여러가지 지폐 종류를 포함한 지폐를 세트하면, 이표면을 정리하여 외부집적부에 원하는 종류를 집적하는 것이다. 이 모드에서는 2개의 외부집적부의 사용태양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외부집적부에 대한 선택은 불가능하여 설정버튼을 눌러도 반응하지 않는다. 한편, 식별불능권은 거절지폐 집적부(106)에 집적된다. 이 입금모드에는 다음 4가지 처리가 있다.
초기값인 분류 처리는 만, 오천, 이천, 천의 4가지 종류의 금액 중 1가지 금액(초기값: 만)에 대하여 신권, 구권, 신구권 중에서 지정된 어느 하나(초기값: 신권)의 지폐의 정권을 외부집적부(121)로, 지정된 지폐의 손상권 및 지정되지 않은 지폐 종류를 외부집적부(122)로 집적하는 처리이다. 따라서, 당연히 정권 및 손상권에 관한 분류는 선택할 수는 없다.
그 밖의 혼합, 상태구분, 신구 처리의 경우에는 금액 선택이 불가능하며, 모 든 금액은 혼합이 된다.
먼저, 혼합 처리는 신권, 구권, 신구권의 중에서 지정된 어느 한(초기값: 신권) 지폐 종류를 모든 금액 혼합, 상태 혼합으로 반송하여 외부집적부(121)에 집적하고, 이것이 가득차면 외부집적부(122)에 집적하는 처리이다. 지정되지 않은 지폐 종류는 거절지폐 집적부(106)에 집적된다.
상태구분 처리는, 지정된 지폐 종류의 정권을 외부집적부(121)로, 지정된 지폐 종류의 손상권을 외부집적부(122)로 집적한다. 지정되지 않은 지폐 종류는 거절지폐 집적부(106)에 집적된다.
신구 처리는, 금액, 상태, 신구권의 선택이 없이, 신권은 외부집적부로, 구권은 외부집적부(122)로 집적하는 처리이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상태구분 및 신구구분 처리의 경우에는 금액을 선택할 수 없도록 하고 있지만, 금액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지정되지 않은 금액 종류는 거절지폐 집적부(106)에 집적된다.
도 13은 입금모드를 실행중인 조작표시부에서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가장 윗단의 두줄은 2개의 외부집적부에서의 집적내용을 나타내고, 이 예에서는 혼합 모드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금액의 지폐가 정권과 손상권, 신구를 구별하지 않고 집적되어 있다.
4개의 집적부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정내용 표시는 없으며, 가장 아랫단에는 투입되어 처리될 금액 및 그 합계 금액이 나타나 있다.
이어서, 패치 처리인데, 이는 지폐 투입구에 세트된 지폐를 세고, 이표면을 정리하여 지정매수만큼 외부집적부로 집적하는 것이다.
매수 설정은 외부집적부의 용량 범위(200장 정도) 내에서 숫자키로 이루어지며(초기값: 150장), 금액은 자동, 만, 오천, 이천, 천의 5가지 종류 중 1가지(초기값: 자동)를 선택할 수 있고, 상태구분은 통상 구별하지만, 구별하지 않는 경우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신권, 구권, 신구권 중에서도 어느 하나(초기값: 신권)를 선택할 수도 있다. 신권, 구권, 신구권 중에서 지정된 지폐 종류의 손상권과 지정되지 않은 지폐 종류는 거절지폐 집적부(106)에 집적된다.
한편, 여기서 자동이란, 지폐투입구에 놓인 지폐가 반송되었을 때, 첫번째 장의 금액을 외부집적부로반송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처음에 반송되어 온 첫번째 지폐가 만엔인 경우, 자동으로 만엔짜리 금액이 선택되게 된다.
도 14는 패치 모드를 실행중인 조작표시부에서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가장 윗단의 두줄은 2개의 외부집적부에서의 집적내용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만엔짜리 정권의 구권이 지정되어 있다. 그 아래 패치 매수를 지정하는 난이 있으며, 여기서는 150장이 지정되어 있다. 한편, 이 패치처리를 여러번 반복할 수 있어, 그를 위한 패치 횟수도 지정할 수 있다.
4개의 집적부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정내용 표시는 없으며, 가장 아랫단에는 투입되어 처리될 금액 및 그 합계 금액이 나타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구권을 거절처리로 하는 경우의 각종 모드를 나타내는 도 표이다. 이것들은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대응하며, 내용은 유사하므로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금액을 선택하는 경우인데, 신구권 구별은 구권을 거절처리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신권으로 고정되어, 선택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밖에는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어서, 도 7의 다이렉트 띠두름 선택의 경우에는, 구권이 거절처리되는 것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1가지 금액 신구권 구분, 및 2가지 금액 신구권 구분의 모드는 선택할 수 없으며, 정권/손상권 2 모드에서도 신구권의 선택이 불가능하며 신권 고정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도 8의 띠두름 없음 모드에 대해서는, 입금모드의 신구 처리는 있을 수 없으므로 선택할 수 없고, 그 밖의 분류 처리, 혼합 처리, 상태구분 처리에서는 신구권 선택이 불가능하며 신권 고정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패치 처리에서도 신구권의 선택은 불가능하며 신권 고정으로 되어 있다.
도 15의 설정 화면에서는, 하늘방향의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늘방향이란 이표면이 정돈된 지폐의 방향이 정립상태에 있는 것을 하늘방향 정, 도립(倒立)상태에 있는 것을 하늘방향 역(逆)이라고 정의하고, 결속대상으로서 집적되는 지폐를 전부 하늘방향 정으로 하는 것이 하늘방향 온 모드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만엔에 종이띠를 두를 때, 하늘방향 온의 경우에는 지폐를 지폐투입구(101)에 놓고 식별부(105)의 식별결과에 따라 표리반전부(107)에서 이표면 반전후, 하늘방향 정인 지폐는 집적부(111~115)에 집적하여 종이띠를 두 르고, 하늘방향 역인 지폐는 외부집적부(121,122)로 배출한다. 이 배출된 지폐는 하늘방향 역 상태로 놓여져 있기 때문에, 다시 지폐 투입구에 놓으면, 하늘방향 정의 방향으로 정돈되어 띠두름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늘방향 오프의 경우, 집적부에서는 하늘방향 정인 것과 하늘방향 역인 것이 혼재 집적되어 띠종이가 둘러진다.
도 9 내지 도 11은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 처리하는 경우의 각종 모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실제 사용현장에서는 회수하는 지폐와 거스름용 지폐(예를 들어, 신권의 정권)를 분류하여 종이띠를 둘러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신권과 구권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 회수해야 할 구권과 신권의 손상권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 취급하기 위해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설정화면에서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서 선택하여 처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식별부(106)에서 구권이라고 판단된 것은 정권, 손상권에 관계없이 신권의 손상권으로서 취급된다.
도 9 내지 도 11도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대응하며, 내용은 유사하므로 서로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9의 금액을 선택하는 경우인데, 신구권 구별은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서 처리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신구권으로 고정되어, 선택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밖에는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어서, 도 10의 다이렉트 띠두름 선택의 경우에는, 구권이 신권의 손상권으 로 취급되는 것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1가지 금액 신구권 구분, 및 2가지 금액 신구권 구분의 모드는 선택할 수 없으며, 정권/손상권 2 모드에서도 신구권의 선택이 불가능하며 신구권 고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 2가지 금액 상태구분의 모드에서는, 2가지 금액 예를 들어, 만엔과 오천엔에 대하여 신권의 정권과, 구권이 포함된 신권의 손상권으로 분류되어 각각 결속처리되기 때문에, 가장 처리효율이 높다.
이어서, 도 11의 띠두름 없음 모드에 대해서는, 입금모드에서의 신구 처리는 있을 수 없으므로 선택할 수 없고, 그 밖의 분류 처리, 혼합 처리, 상태구분 처리에 있어서 신구권 선택은 불가능하며 신구권 고정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패치 처리에서도 신구권의 선택은 불가능하며 신구권 고정으로 되어 있다.
이상, 여러가지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전형적인 몇가지 예에 대하여 각 집적부의 사용상황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와 같이 집적부를 5개, 외부집적부를 2개 가지는 경우, 만엔과 오천엔의 2가지 금액에 대하여 띠두름을 위한 여러가지 설정을 한 경우, 각종 상태별, 신구별 지폐가 어디에 집적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이 도면에서는 집적부(111~115)를 각각 A~E, 외부집적부(121,122)를 각각 F, G, 거절지폐 집적부(106)를 H로 표기한다.
이에 따르면, 제 1 케이스는 구권을 통상권으로 취급하고, 1가지 금액의 상태구분 처리로서 만엔에 대하여 정권과 손상권을 신구권별로 집적하는 경우, 제 2 케이스는 구권을 통상권으로서 취급하고, 2가지 금액의 상태구분 처리로서 만엔과 오천엔에 대하여 정권과 손상권을 신구권별로 집적하는 경우, 제 3 케이스는 구권을 통상권으로서 취급하고, 1가지 금액의 신구권구분 처리로서 만엔의 정권을 신구권별로 집적하는 경우, 제 4 케이스는 구권을 통상권으로서 취급하고 2가지 금액의 신구권구분 처리로서 만엔과 오천엔에 대하여 정권을 신구권별로 집적하는 경우, 제 5 케이스는 구권을 거절처리하는 1가지 금액의 상태구분 처리의 경우, 제 6 케이스는 구권을 거절처리하는 2가지 금액의 상태구분 처리의 경우, 제 7 케이스는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서 처리하는 1가지 금액의 상태구분 처리의 경우, 제 8 케이스는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서 처리하는 2가지 금액의 상태구분 처리의 경우, 제 9 케이스는 만엔짜리 신권의 정권, 손상권, 구권의 정권, 손상권, 오천엔짜리 신권의 정권에 각각 집적부 A~E를 할당하고, 오천엔짜리 신권의 손상권과 구권의 신권에 각각 외부집적부 F, G를 할당하여 집적하도록 한 특별한 설정의 경우를 나타낸다.
그 밖의 지폐, 상태구분, 신구권 구분에 대해서는 설정조건에 따라 외부집적부(121,122) 또는 거절지폐 집적부(106) 중 어느 한 곳에 집적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집적부, 2개의 외부집적부에서의 집적내용을 여러가지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결속을 하면서 결속지정외의 지폐 종류를 조작시마다 최적의 분류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어, 다음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외부집적부(121,122)로의 집적내용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먼저 외부집적부(121)에 집적되고, 이것이 가득차면 다음 외부집적 부(122)에 집적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은 전제한 바와 같다. 이 경우, 외부집적부(122)로 집적하는 중에 외부집적부(121)로부터 집적된 지폐를 꺼내면, 여기에 다음 집적을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외부집적부로 반송된 지폐를 꺼내어도 확정되었는지 여부가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빼낸 외부집적부의 지폐가 현재 몇장으로 확정되었는지를 알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집적부로부터 가득찬 지폐를 꺼내는 내용을 표시부에 확정데이터로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도 17은 이 확정데이터의 표시화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외부집적부로부터 빼낸 지폐를 표시부에 금액마다 매수를 표시하고 있다. 단, 이 표시는 필요성이 높은 띠두름 모드일때 외부집적부 혼합설정시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표시 타이밍은 외부집적부가 가득찬 상태에서 처리기가 대기중인 경우에 제거된 시점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집적부가 가득차지 않은 상태에서 제거한 경우에는 확정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확정데이터는 센터 등에 설치된 상위 컴퓨터 등으로 유선 혹은 무선의 통신수단에 의해 송신되어 격납된다.
이와 같은 표시를 함으로써, 가득찬 상태에서 제거한 후, 표시부에 집적부 독자의 확정 매수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집적부 제거 확정매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오퍼레이터로서는 가득차서 꺼냈는지 여부를 표시부의 매수가 늘었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긴장감없이 기계를 다룰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서의 특징적인 동작인 어느 집적부가 가득찼을 때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제어는 결속대상의 지폐 종류가 4가지이고, 집적부의 수가 5개이기 때문에, 하나가 예비집적부가 되는 케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투입이 개시되고(스텝 S1), 식별 결과에 따라 4개의 집적부로 분류 집적이 이루어지는데, 어느 집적부가 가득찼다고 판단되지 않을 때는(스텝 S2), 투입이 종료할 때까지(스텝 S10) 처리가 계속된다. 이 경우 투입은 연속투입이다.
어느 한 집적부가 가득찼을 때에는(스텝 S2), 이 가득찬 집적부에서 집적하고 있던 지폐의 종류는 예비집적부로 집적된다(스텝 S3). 한편, 이 가득차거나, 후술하는 곧 가득찰 상태는, 각 집적부에 설치된 카운터에 의해 계산된다.
어느 한 집적부가 가득차, 예비집적부로 집적하는 중에도 빈 집적부가 생기지 않는 경우(스텝 S4)에는, 투입이 간헐투입으로 변경된다(스텝 S5). 이 간헐투입은 연속투입과 같이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지폐를 한장 투입하고 식별부에서 금액/상태/신구 등을 확인한 후에 다음 지폐를 투입하는 것으로, 투입 속도는 대폭 떨어지지만, 동작은 계속되게 된다. 이 간헐투입은 빈 집적부가 생기지 않는 한 계속된다(스텝 S6).
한편, 이미 가득찬 지폐가 띠두름을 위해 빼내어짐으로써 빈 집적부가 생겼을 때에는, 이 새롭게 생긴 빈 집적부를 예비집적부로서 사용하기 위해 집적할 곳이 변경된다(스텝 S7).
이 상태에서는 고속 투입도 가능하기 때문에, 간헐투입으로부터 연속투입으로의 변경이 이루어진다(스텝 S8).
이 상태에서 투입이 종료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여(스텝 S9), 종료하였다면 전체 동작이 정지되는데, 종료되지 않았다면 스텝 S2 앞으로 되돌아가 마찬가지의 제어가 반복되어 속행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있어서, 곧 가득찰 상태는 임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100장을 가득찬 것으로 하여 97~99장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카운터의 가산 타이밍으로는 현실적으로 집적부에 수납되었을 때이어도, 식별부에서 집적할 집적부가 결정된 단계이어도 좋다.
또한, 설정치를 예를 들어, 99로 설정해 두고, 현재 카운터 값이 98이 되었을 경우에는, 투입한 시점에서 99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간헐투입으로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가득찰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하에 제어를 한다.
한편, 집적부 중 한 곳이 가득차고, 곧 가득찰 다른 집적부가 또 가득찼을 때에는, 투입된 지폐의 집적부가 없어, 지폐를 보낼 곳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경우에 한하여 모든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집적부가 가득찬 것이 전제되어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2개의 집적부가 동시에 곧 가득차려고 하는 상태가 되어 간헐투입으로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어를 채용함으로써 투입은 정지되지 않지만 투입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반송중에 빈 집적부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져 정상권을 거절하거나 장치 를 정지시키는 일이 줄어든다. 이 때문에, 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9는 입금구(101)에서의 개선점을 설명하는 모식적 정면도로, 입금구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이 입금구는 상자모양의 재치부(1011) 안에 지폐(150)가 세트되게 되며, 그 상부에는 상하운동 가능한 지폐압착판(10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폐압착판은 종래에는 세트된 낱장 지폐를 세트 초기부터 모든 지폐가 없어질 때까지 누르도록 되어 있으며,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상승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지폐압착판이 장해가 되어 지폐를 추가 투입하기가 불편하였다. 일반적으로 세트된 지폐의 양이 많을 때에는 지폐자체의 중량이 있기 때문에, 투입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하지만, 투입된 양이 많을 때에는 이것에 지폐압착판의 압력이 더해져 하중이 과대해지고, 경우에 따라 지폐를 손상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투입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정도의 지폐량이 된 것을 검지하는 센서를 재치부벽에 설치하고, 이 위치보다 지폐량이 적어졌을 때에만 지폐압착판이 기능하도록 하였다.
이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세트로 한 것이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양이 많고,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지폐가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지폐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지폐압착판이 윗쪽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지폐의 추가투입이 용이하다. 또한, 하중이 과대해지지도 않는다.
지폐의 투입이 진행되어,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위치보다도 지폐의 양이 적어졌을 때에는, 지폐압착판(1013)이 내려와 지폐를 눌러, 안정된 투입이 가능해진다. 이 지폐압착판(1013)의 하강시에는 지폐압착판 자체를 센서가 검지하여 다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2초간은 센서가 감시를 하지 않게 되어 있다.
한편, 지폐압착판이 위로 올라간 상태일 때 투입불량이 발생한 경우, 재시도를 지령하면 지폐압착판이 내려오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폐의 세트상태가 변하여 투입불량이 해소될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투입불량 때문에 동작이 종료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센서의 기능을 이용하면 도 1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사이를 불투광성 물체로 차단하면 지폐압착판이 상승하고, 지폐의 추가투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센서를 지폐압착판 상승을 위한 스위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지폐의 추가투입시에는 추가투입할 지폐로 센서사이를 차광한다. 이에 의해 지폐압착판이 상승하고, 센서가 감시를 중단하는 기간동안 추가지폐를 세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한손으로도 지폐의 추가투입이 가능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집적부는 처리하는 금액 종류의 수보다 하나 많은 5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4개의 집적부에서의 집적내용을 여러가지로 설정함으로써 2가지 금액에 대하여 동시에 회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집적부에 각각 집적하는 중에 어느 금액(혹은 어느 지폐 종류)의 집적부가 가득찼을 때에도, 예비적으로 설치된 5번째 집적부에 반송중인 금액의 지폐를 집적함으로써 정상 지폐가 거절되거나 장치가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용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서 처리함으로써, 상태 분류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구권을 결속하여 회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구권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현재의 4가지 금액이 존재하고, 그 중 만엔, 오천엔, 천엔의 각 지폐에 디자인 변경이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집적부의 수를 5개로 하였지만, 이후 금액의 종류가 늘어났을 경우, 집적부의 수가 금액 종류의 수보다 1개 이상 많으면 효율적인 처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4종류의 지폐의 자유도 높은 처리에 대응하면서, 디자인의 변경에 따른 구권의 효율적인 회수가 가능하며, 가득찼을 때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한 지폐정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지폐를 거두어들이는 취입수단과,
    상기 취입수단에 의해 거두어들인 지폐의 신구/상태/금액 등을 식별하는 식별수단과,
    상기 식별수단의 식별결과에 따라 결속대상의 소정 종류의 지폐를 집적하는 복수의 집적부와,
    결속대상 지폐의 종류 및 결속대상외 지폐의 분류방법을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상기 식별수단에서 식별된 지폐를 상기 지정수단의 지정에 따라 상기 집적부로 분배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지폐정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수단의 식별결과에 따라 결속대상외의 소정 종류의 지폐를 집적하는 적어도 2개의 외부집적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수단에서 식별된 지폐를 상기 지정수단의 지정에 따라 상기 집적부 및 상기 외부집적부로 분배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결속대상외 지폐를 정권과 손상권으로 분류하도록 지 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결속대상외 지폐를 신권과 구권으로 분류하도록 지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결속대상외 지폐를 혼합하여 집적하도록 지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결속대상외 지폐의 분류방법으로서 정권과 손상권의 분류집적, 신권과 구권의 분류집적, 혼합직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지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결속대상 지폐의 분류방법으로서 지정 금액에 관한 정권과 손상권의 분류집적 또는 혼합집적, 지정 금액에 관한 신권과 구권의 분류집적 또는 혼합집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지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집적부는 적어도 2개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결속대상외 지폐를 혼합집적하도록 하는 지정이 있었을 때, 상기 외부집적부 중 하나에 집적하고, 이것인 가득찼을 때에는 다른 외부집적부로 집적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집적부는 적어도 2개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결속대상외 지폐를 혼합집적하도록 하는 지정이 있었을 때, 상기 외부집적부 중 하나에 집적하고, 이것인 가득찼을 때에는 다른 외부집적부로 집적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정리기는 또한 조작표시부 및 상위 제어수단과의 통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집적부에서 가득찬 것을 꺼내는 경우, 꺼내는 금액을 상기 조작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그 금액을 상기 상위 제어수단에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적부는 결속대상 금액의 종류수보다 하나 많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구권을 신권의 손상권으로서 처리하도록 지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부는 5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지정수단은 2가지 금액 종류를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14. 지폐를 거두어들이는 취입수단과,
    상기 취입수단에 의해 거두어들인 지폐의 신구/상태/금액 등을 식별하는 식별수단과,
    상기 식별수단의 식별결과에 따라 결속대상 종류의 지폐를 소정 매수 집적하는, 지폐 종류보다 하나 많은 복수의 집적부와,
    상기 집적부에 집적된 소정 매수의 지폐를 결속하는 결속수단과,
    결속대상 지폐의 종류 및 결속대상외 지폐의 분류방법을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상기 식별수단에서 식별된 지폐를 상기 지정수단의 지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집적부로 분배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집적부 중 하나가 가득차 그 금액과 같은 금액의 지폐가 예비집적부로 집적되는 중에 다른 집적부가 곧 가득채워지려고 하는 경우, 취입수단으로부터의 취입을 간헐취입으로 전환하여 상기 식별수단에서 1장씩 금액 등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예비집적부가 생길 때까지 이 간헐취입을 계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지폐정리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적부 중 하나가 가득차고, 곧 가득찰 다른 집적부도 또한 가득찼을 때에는, 지폐의 투입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대상의 지폐가 4가지 종류이며, 상기 집적부의 수가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정리기.
KR1020050092905A 2004-10-04 2005-10-04 지폐정리기 KR101110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1853A JP4624058B2 (ja) 2004-10-04 2004-10-04 紙幣処理機
JPJP-P-2004-00291853 2004-10-04
JP2004294192A JP4619740B2 (ja) 2004-10-06 2004-10-06 紙幣処理機
JPJP-P-2004-00294192 2004-10-06
JPJP-P-2004-00294177 2004-10-06
JP2004294177A JP4619739B2 (ja) 2004-10-06 2004-10-06 紙幣処理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996A true KR20060051996A (ko) 2006-05-19
KR101110652B1 KR101110652B1 (ko) 2012-03-13

Family

ID=3558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905A KR101110652B1 (ko) 2004-10-04 2005-10-04 지폐정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20638B2 (ko)
EP (2) EP1643462A3 (ko)
KR (1) KR101110652B1 (ko)
CN (1) CN10192374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985B1 (ko) * 2006-12-06 2009-09-2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지폐 정리장치
KR20100017271A (ko) * 2007-04-24 2010-02-16 타라리스 홀딩스 리미티드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0638B2 (en) 2004-10-04 2012-07-1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urrency sorter
US20100126915A1 (en) * 2007-01-22 2010-05-27 Glory Ltd Banknote handling apparatus
WO2008129228A1 (en) * 2007-04-24 2008-10-30 Talaris Holding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DE102007020776A1 (de) * 2007-05-03 2008-11-06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Annahme und Ausgabe von Wertdokumenten
CN101796551B (zh) * 2007-08-30 2013-01-23 光荣株式会社 纸币处理机
AT505308B1 (de) * 2007-09-07 2008-12-15 Oebs Gmbh Verfahren zum verteilen von wertdokumenten
WO2009107207A1 (ja) * 2008-02-27 2009-09-0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WO2009110068A1 (ja) * 2008-03-04 2009-09-1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US9027829B2 (en) * 2008-12-09 2015-05-12 Glory Ltd. Banknote handling apparatus having a sorted-banknote stacking device and bundling device
EP2357620B1 (en) * 2008-12-09 2013-07-24 Glory Ltd. Paper currency receiving-treating apparatus, and paper currency receiving-treating method
EP2402918A4 (en) * 2009-02-27 2013-01-02 Glory Kogyo Kk DEVICE FOR SORTING AND BINDER PROCESSING OF BANKNOTES
JP5351957B2 (ja) * 2009-03-26 2013-11-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分類結束処理装置及び紙幣分類集積設定方法
JP5631571B2 (ja) * 2009-09-28 2014-11-2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2011113152A (ja) * 2009-11-24 2011-06-09 Glory Ltd 紙幣処理装置、紙幣分類方法及び紙幣分類プログラム
US8733531B2 (en) 2010-01-29 2014-05-27 Glory Ltd. Banknote handling apparatus and banknote handling method
KR101229727B1 (ko) 2011-09-07 2013-02-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처리 장치
JP5933292B2 (ja) 2012-02-27 2016-06-0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WO2013186865A1 (ja) * 2012-06-13 2013-12-1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2014059830A (ja) * 2012-09-19 2014-04-03 Glory Ltd 紙幣処理装置および紙幣処理方法
JP2016048481A (ja) * 2014-08-27 2016-04-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2016103238A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東芝 紙幣処理装置
CN104574651A (zh) * 2015-01-26 2015-04-29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清点方法
JP6599623B2 (ja) * 2015-03-13 2019-10-30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システム
JP6653142B2 (ja) * 2015-08-20 2020-02-2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NL2015589B1 (nl) * 2015-10-08 2017-05-02 Bandall Productie B V Inrichting voor het banderolleren van producten.
JP6681234B2 (ja) * 2016-03-18 2020-04-1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CN106023417B (zh) * 2016-05-05 2019-05-14 韶关学院 一种钱币分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9390A (ja) 1985-04-16 1986-10-24 株式会社東芝 自動入出金装置
JP2507326B2 (ja) * 1986-06-17 1996-06-12 株式会社東芝 結束装置付集計機
GB8927225D0 (en) * 1989-12-01 1990-01-31 Ncr Co Depository apparatus for envelopes and single sheets
US5295196A (en) * 1990-02-05 1994-03-15 Cummins-Alli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urrency discrimination and counting
JP2597752Y2 (ja) 1992-11-10 1999-07-12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紙葉類整理機
JP3332533B2 (ja) * 1993-07-08 2002-10-07 株式会社東芝 紙幣処理装置
JPH0737138A (ja) * 1993-07-16 1995-02-07 Toshiba Corp 貨幣処理装置
JP3313472B2 (ja) * 1993-09-21 2002-08-12 株式会社東芝 現金処理システム
JP3369450B2 (ja) * 1997-11-14 2003-01-20 株式会社 沖情報システムズ 自動取引装置
JP2001291146A (ja) 2000-04-06 2001-10-19 Glory Ltd 紙幣処理装置
JP3878791B2 (ja) * 2000-05-02 2007-02-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4363541B2 (ja) 2000-12-27 2009-11-1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整理装置
JP2002197510A (ja) * 2000-12-27 2002-07-12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JP4108316B2 (ja) 2001-11-07 2008-06-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2003216999A (ja) 2002-01-22 2003-07-31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US6913260B2 (en) * 2002-03-06 2005-07-05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processing system with fitness detection
JP4379022B2 (ja) 2002-12-25 2009-12-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US20040182675A1 (en) * 2003-01-17 2004-09-23 Long Richard M. Currency processing device having a multiple stage transport path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7635082B2 (en) * 2003-02-07 2009-12-22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dispenser
US8220638B2 (en) * 2004-10-04 2012-07-1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urrency sor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985B1 (ko) * 2006-12-06 2009-09-2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지폐 정리장치
KR20100017271A (ko) * 2007-04-24 2010-02-16 타라리스 홀딩스 리미티드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3462A2 (en) 2006-04-05
US8220638B2 (en) 2012-07-17
CN101923744A (zh) 2010-12-22
US20060076212A1 (en) 2006-04-13
EP1643462A3 (en) 2007-04-18
CN101923744B (zh) 2012-11-07
KR101110652B1 (ko) 2012-03-13
EP1998294A1 (en)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652B1 (ko) 지폐정리기
KR20060051995A (ko) 지폐정리기
JP4949414B2 (ja) 紙幣処理装置
CN1790426B (zh) 纸币整理机
JP5631571B2 (ja) 紙幣処理装置
KR100938654B1 (ko) 지폐정리장치
EP2413295B1 (en) Bill categorizing and bundl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categorization and collection of bill
US4825378A (en) Bundler including bill handling system which keeps track of unbundled bills
US20090057093A1 (en) Bill/coin processing system
US20040003980A1 (en) Currency processing and strapping systems and methods
US20090229949A1 (en) Verification system and banknote-and-coin handling system
US20090229950A1 (en) Verification system and banknote-and-coin handling system
WO2009118838A1 (ja) 貨幣処理装置
EP2407386B1 (en) Banknote binding device and banknote binding method
US20090260948A1 (en) Money handling machine
JP2006107029A (ja) 紙幣処理機
JP4619740B2 (ja) 紙幣処理機
KR101014632B1 (ko) 지폐정리 장치
US20100125515A1 (en) Fund management system
JP2012137981A (ja) 貨幣管理装置および貨幣管理システム
JP4972996B2 (ja) 紙幣取扱装置
JP5172919B2 (ja) 紙幣処理機
WO2016063658A1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JP2000099793A (ja) 複数金種・任意枚数の紙幣を施封する紙幣処理装置
JP4619739B2 (ja) 紙幣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