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334A - 관 조인트 - Google Patents

관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334A
KR20060051334A KR1020050086217A KR20050086217A KR20060051334A KR 20060051334 A KR20060051334 A KR 20060051334A KR 1020050086217 A KR1020050086217 A KR 1020050086217A KR 20050086217 A KR20050086217 A KR 20050086217A KR 20060051334 A KR20060051334 A KR 20060051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cap nut
circumferential surface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565B1 (ko
Inventor
히로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히로시 이노우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히로시 이노우에 filed Critical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external piece comprising segments pressed against the hose by wedge sha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10Hose-clips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Abstract

큰 힘을 요하지 않고 체결하여 접속가능하며, 또한, 파이프로의 강한 인발저지력을 가지고, 확실하게 또한 견고하게 접속할 수 있는 관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나사부(19)를 가지는 조인트 본체(13)와, 수나사부(19)에 나사 부착되는 캡 너트(5)를 구비하는 동시에, 조인트 본체(13)가, 소성변형 가능한 피접속용 파이프(12)의 선단부(12b)를 외측 끼우기·내측 끼우기 형상으로 유지하는 외측 끼우기 통부(38)와 내측 끼우기 통부(36)를 가진다. 또, 원주에 1개의 잘린 부분를 가지고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 내에 배치되는 C자 형상 빠짐방지 링(1)을 구비한다. 빠짐방지 링(1)은, 그 내주면(1c)에서 외주면(1b)으로 관통 설치된 유지 오목형상부(31)를 가진다. 유지 오목형상부(31) 내에 자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에 맞닿는 동시에 파이프(12)의 외주면(12a)에 둘레 오목홈(4)을 소성변형하면서 파이프(12)의 선단부(12b)를 확장 개방 형상의 테이퍼부(15)로 변형하는 회전자(32)를 구비한다.
조인트 본체, 캡 너트, 관 조인트, 빠짐방지 링, 오목형상부, 소성변형, 회전자, 걸림 볼록라인부, 관 조인트.

Description

관 조인트{PIPE JOINT}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관 조인트의 실시의 1형태를 도시한 단면측면도이다.
도 2는, 단면측면도이다.
도 3은, 빠짐방지 링을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캡 너트와 빠짐방지 링을 도시한 일부단면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요부 확대 단면측면도이다.
도 8은, 요부 확대 단면측면도이다.
도 9는, 요부 확대 단면측면도이다.
도 10은, 빠짐방지 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1은, 관 조인트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단면측면도이다.
도 12는, 체결 링체를 도시한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관 조인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측면도이다.
도 14는, 단면측면도이다.
도 15는, 요부 확대 단면측면도이다.
도 16은, 빠짐방지 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C화살표로 봤을 때의 확대 단면도로서, (A)는 1실시예를 도시한 C-C화살표로 봤을 때의 확대 단면도이며, (B)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C-C화살표로 봤을 때의 확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빠짐방지 링 1a 잘린 부분
1b 외주면 1c 내주면
4 오목 홈 5 캡 너트
6 테이퍼부 7 체결 링체
8 외측 플랜지부 9 맞춤 끝면
10 공극 11 파이프 삽입부
12 파이프 12a 외주면
12b 선단부 12c 내주면
13, 13A, 13B 조인트 본체 15 테이퍼부
17 실링재 19 수나사부
20 유지 홈부 25 구멍부
31 유지 오목형상부 32 회전자
33 걸림 볼록라인부 36 내측 끼우기 통부
37 외주면 37b 둘레 홈
38 외측 끼우기 통부 38c 내주면
44 체결 오목홈 L 축심
본 발명은, 관 조인트(管繼受)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관 조인트로서, 조인트 본체의 테이퍼 암나사부에 리테이너의 수나사부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리테이너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 복수개의 소원반의 외측정상부가 파이프의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고, 파이프가 축심방향으로 뽑아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특허문헌1]일본국 특허 제3122385호 공보
이 종래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는 소원반을 파이프의 외주면 주위에 나선 형상으로, 또한 점차 깊게 파고 들어가는 방법이므로, 리테이너를 조인트 본체에 비틀어 넣기 위해서, 매우 큰 체결력을 요하고, 작업의 효율이 나쁘다. 더군다나, 파이프의 외주면에 파고 들어간 수 개의 소원반에 의해 인발(引拔)을 저지하는 구조이므로, 접속 완료 후에 파이프에 큰 인발력이 가해지면, 파이프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의 긁힘 흔적을 남기면서 빠지거나, 또는, 소원반이 파손되서 파이프가 빠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큰 힘을 요하지 않고 체결해서 접속 가능하며, 또한, 파 이프로의 강한 인발 저지력을 가지고, 확실하게 또한 견고하게 접속할 수 있는 관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관 조인트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조인트 본체와, 이 수나사부에 나사 부착되는 캡 너트를 구비하고; 원주에 1개의 잘린 부분을 가지고 상기 캡 너트의 구멍부의 테이퍼부 내에 배치되는 C자 형상 빠짐방지 링을 구비하고; 이 빠짐방지 링은 그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으로 관통 설치된 유지 오목형상부(保持雌部)를 가지고; 또한, 이 유지 오목형상부 내에 자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캡 너트의 구멍부의 테이퍼부에 맞닿는 동시에 피접속용 파이프의 외주면에 둘레 오목홈을 소성 변형으로 형성하는 회전자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빠짐방지 링은 그 내주면에 상기 둘레 오목홈에 걸리는 걸림 볼록라인부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관 조인트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조인트 본체와, 이 수나사부에 나사 부착되는 캡 너트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조인트 본체가 소성변형 가능한 피접속용 파이프의 선단부를 외측 끼우기(外嵌)·내측 끼우기(內嵌) 형상으로 유지하는 외측 끼우기 통부와 내측 끼우기 통부를 가지고; 원주에 1개의 잘린 부분을 가지고 상기 캡 너트의 구멍부의 테이퍼부 내에 설치되는 C자 형상 빠짐방지 링을 구비하고; 이 빠짐방지 링은, 그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으로 관통 설치된 유지 오목형상부를 가지고; 또한, 이 유지 오목형상부 내에 자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캡 너트의 구멍부의 테이퍼부에 맞닿는 동시에 파이프의 외주면에 둘레 오 목홈을 소성변형하면서 이 파이프의 상기 선단부를 확장 개방 형상의 테이퍼부로 변형하는 회전자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조인트 본체의 상기 외측 끼우기 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파이프의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 이 선단부가 상기 테이퍼부로 변형 가능하게 되는 공극을 가지고; 또한, 상기 조인트 본체의 상기 내측 끼우기 통부의 외주면은, 상기 파이프에 상기 둘레 오목홈을 소성변형할 때에 이 둘레 오목홈에 대응해서 내주면을 내경방향으로 환상으로 직경 수축가능하게 하는 둘레 홈을 가진다.
또, 상기 빠짐방지 링은 그 내주면에 상기 둘레 오목홈에 걸리는 걸림 볼록라인부를 가진다.
또, 상기 조인트 본체의 상기 내측 끼우기 통부는 그 외주면에, 환상 유지 홈부가 형성되고, 이 유지 홈부에 유지되고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맞닿는 실링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파이프 삽입부의 반대측에 상기 파이프의 축심에 직교하는 평탄형상의 맞춤 끝면이 형성되는 동시에 외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한 쌍의 조인트 본체를 구비하고, 이 한 쌍의 조인트 본체의 맞춤 끝면끼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외측 플랜지부를 협지하는 체결 오목홈을 가지는 착탈 자유로운 체결 링체를 구비하고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9에 본 발명에 관한 관 조인트의 실시 1형태를 도시한다. 이들 도 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조인트(C)는, 수나사부(19)를 가지는 조인트 본체(13)와, 수나사부(19)에 나사 부착되는 캡 너트(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캡 너트(5)는, (피접속용의) 파이프(12)가 삽입되는 구멍부(25)를 가지고, 구멍부(25)는너트(5)의 후측(25a)에 형성되고 파이프(12)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부(27)와, 삽입 구멍부(27)의 전후 중간에 형성되고 파이프(12)의 외주면(12a)에 밀착하는 실링재(17)를 유지하는 환상 유지 홈부(21)와, 삽입 구멍부(27)로부터 전방으로 직경 확대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6)와, 구멍부(25)의 전측(25b)에 형성되고 조인트 본체(13)의 수나사부(19)에 나사 부착되는 암나사부(18)를 가진다.
여기에서, 파이프(12)의 축심(L)의 방향에 있어서 캡 너트(5)를 조인트 본체(13)에 대하여 나사 결합하는 방향을 전방(F)으로 정의한다.
또, 파이프(12)는 스테인레스나 금속 등의 소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조인트 본체(13)는 파이프(12)의 선단부(12b)가 끼워 넣어지고 외측 끼우기·내측 끼우기 형상으로 유지하는 외측 끼우기 통부(38)와 내측 끼우기 통부(36)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끼우기 통부(36)의 외주면(37)은 후단측에 설치된 파이프(12)를 끼워 넣기 쉽도록 완만한 테이퍼 형상의 파이프 삽입부(37a)와, 파이프 삽입부(37a)의 전단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12)에 둘레 오목홈(4)을 소성변형할 때에 둘레 오목홈(4)에 대응해서 파이프(12)의 내주면(12c)을 내 경방향으로 환상으로 직경 축소 가능하게 하는 둘레 홈(37b)과, 둘레 홈(37b)의 전단에 둘레 단차부(40)를 가지고 전방으로 완만한 테이퍼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회전 방지 테이퍼부(37c)를 가진다.
또한, 외주면(37)에는 파이프 삽입부(37a)와 둘레 홈(37b)과의 사이에 환상 유지 홈부(20)가 형성되고, 유지 홈부(20)에는파이프(12)의 내주면(12c)에 밀착하는 실링재(17)가 유지된다.
혹은, 도시 생략하였지만, 유지 오목형상부(20)를 형성하는 대신에, 둘레 홈(37b)을 (도시예보다도) 깊게 형성하고, 실링재(17)를 둘레 홈(37b)의 후단에 유지하는 것도 좋다. 이 경우, 실링재(17)는 둘레 홈(37b)의 후단주변부와 상기 파이프 삽입부(37a)의 전단주변부를 연속 형상으로 하는 단차벽부에 맞닿는다.
다음에, 외측 끼우기 통부(38)는 외주면에 캡 너트(5)의 나사 부착 완료 시에 캡 너트(5)의 테이퍼부(6)와 맞닿는 테이퍼 형상 외면부(38a)를 가지는 동시에, 테이퍼 형상 외면부(38a)의 후단에 파이프(12)의 축심(L)과 직교 형상의 가압 후단면(38b)을 가진다. 또한, 가압 후단면(38b)의 내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내주면(38c)이 형성되고, 이 내주면(38c)은 파이프(12)의 선단부(12b)와의 사이에 선단부(12b)가 선단방향 확장 개방 형상의 테이퍼부(15)로 변형 가능하게 되는 공극(10)을 가진다. 가압 후단면(38b)은 내측 끼우기 통부(36)의 외주면(37)의 둘레 홈(37b)의 중간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빠짐방지 링(1)에 맞닿게 된다.
또, 외측 끼우기 통부(38)의 테이퍼 형상 외면부(38a)는 그 전방에 환상 유 지 홈부(24)가 형성되고, 이 유지 홈부(24)에는 캡 너트(5)를 나사 부착했을 때에 캡 너트(5)의 구멍부(25)에 밀착하는 실링재(17)가 유지된다.
또한, (도 1, 도 2에 있어서,) 이 조인트 본체(13)는, 일부분만을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 조인트 본체(13)의 전체는 스트레이트, 엘보, 치즈, 소켓 등의 각종의 것이며, 또한, (도 11, 도 12에 있어서 후술하지만,) 도면 외의 타단측(전방(F)측)에 동일한 구조의 관 조인트를 축심(L)방향 반대방향으로 하여 합체 분리 자유롭게 부착해도 좋다.
조인트 본체(13), 캡 너트(5)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관 조인트(C)는,원주에 1개의 잘린 부분(1a)를 가지는 C자 형상 빠짐방지 링(1)을 구비하고,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 내에 배치된다. 빠짐방지 링(1)의 외주면(1b)은, 캡 너트(5)의 테이퍼부(6)와 같은 경사각도를 가지고 (전측에서 후측에 걸쳐서 직경 축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빠짐방지 링(1)은끼워지는 파이프(12), 조인트 본체(13), 캡 너트(5)와 접촉해도 전식(電蝕)을 일으키지 않는 재질이며, CAC406 C(포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빠짐방지 링(1)은 잘린 부분(1a)의 일단(2)근처에,제1 유지 오목형상부(31)가 형성되고, 또한, 빠짐방지 링(1)의 가상 중심점(O)에 대하여 제1 유지 오목형상부(31)와 대칭위치에, 제2 유지 오목형상부(3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빠짐방지 링(1)이 파이프(12)주위에 화살표(M1)와 같이 나사 결합할 때의 선두측을, 일 단(2)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타단(22)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오목형상부(31)는, 빠짐방지 링(1)의 전후 중간위치에 공동(空洞)형상으로 형성되고 빠짐방지 링(1)의 내주면(1c)측에서 외주면(1b)에 걸쳐서 관통 설치된 원반 형상 대경공간부(31a)와, 빠짐방지 링(1)에 파이프(12)의 축심(L)에 평행한 축심(L31)방향으로 관통 설치되고 대경공간부(31a)와 연결 형상의 소경구멍부(31b)로 이루어진다.
빠짐방지 링(1)의 각각의 유지 오목형상부(31) 내에는 회전자(32)가 파이프(12)의 축심(L)에 평행한 축심(L31)주위로 자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자(32)는유지 오목형상부(31)의 소경구멍부(31b)에 피벗식 지지되는 짧은 원기둥 형상 축부(32b)와, 축부(32b)의 전후 중앙위치에 구비되고 유지 오목형상부(31)의 대경공간부(31a) 내에 자전 자유롭게 유지되는 원반부(32a)로 이루어진다. 원반부(32a)의 외주부는, 종단면으로 봤을 때, 반원형상(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회전자(32)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 홈(4)에 빠짐방지 링(1)의 내주면(1c)의 걸림 볼록라인부(33)가 확실하게 걸린다.
회전자(32)는 빠짐방지 링(1)이나 파이프(12)와 전식을 일으키지 않고, 큰 강도를 가지는 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빠짐방지 링(1)은, 그 내주면(1c)(의 전후 중앙위치)에, 파이프(12)의 외주면(12a)에 형성되는 오목 홈(4)에 걸리는 걸림 볼록라인부(33)가, 일단(2)에서 타단(22)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볼록라인부(33)의 내주부는, 종단면에 있어서, 직사각형 돌출형상이다.
또, 도 10은 빠짐방지 링(1)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빠짐방지 링(1)은 3개의 유지 오목형상부(31…)를 가지고, 각각의 유지 오목형상부(31…)내에 회전자(32…)가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3개의 유지 오목형상부(31…)가, 빠짐방지 링(1)의 일단(2)과 타단(22)의 (둘레 방향)중간부위에 원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유지 오목형상부(31) 및 회전자(32)는도 1∼도 9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도시 생략하였지만, 빠짐방지 링(1)에 4개 이상의 유지 오목형상부(31…)를, 원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각각의 유지 오목형상부(31)에, 회전자(32)를 회전 자유롭게 유지시키는 것도 자유이다.
또,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관 조인트(C, C)가 각각의 파이프 삽입부(11, 11)를 반대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합체된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관 조인트(C)의 조인트 본체(13)는 (내측 끼우기 통부(36)·외측 끼우기 통부(38)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삽입부(11)의 반대측에 파이프(12)의 축심(L)에 직교하는 평탄형상의 맞춤 끝면(9)이 형성되는 동시에, 외측 플랜지부(8)를 가진다.
그리고, 한 쌍의 조인트 본체(13A, 13B)의 외측 플랜지부(8, 8)는 각각의 맞춤 끝면(9, 9)끼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 링체(7)로 착탈 자유롭게 협지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체결 링체(7)는 반원호 형상의 한 쌍의 반 링체(43, 43)와, 각각의 반 링체(43)의 양단에 있어서 맞춤면(48, 48)에 뚫어진 나사구멍(47, 47)과, 나사구멍(47, 47)에 통과하는 2개의 볼트(45, 45)와, 일방의 반 링체(43)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타방의 반 링체(43)의 나사구멍(47, 47)에 통과한 볼트(45, 45)가 나사 부착되는 너트부(46, 46)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반 링체(3)는, 내주면에 외측 플랜지부(8, 8)를 협지하는 체결 오목홈(44)이 형성되는 동시에, 양단부에, 맞춤면(48, 48)을 가진다.
체결 링체(7)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혹은, 도시 생략하였지만, 한 쌍의 반 링체(43, 43)를, 각각의 일단끼리로 피벗식 부착하고, 각각의 반 링체(43, 43)의 타단끼리를, 볼트·너트 결합해서 환상으로 체결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 일방의 조인트 본체(13A)의 맞춤 끝면(9)에, 환상 유지 홈부(26)를 형성하고, 유지 홈부(26)에, 타방의 조인트 본체(13B)의 맞춤 끝면(9)에 밀착하는 실링재(16)를 유지한다.
다음에, 도 13, 도 14,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관 조인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이 관 조인트(C)는, 수나사부(19)를 가지는 조인트 본체(13)와, 수나사부(19)에 나사 부착되는 캡 너트(5)를 구비하고, 캡 너트(5)는, 삽입 구멍부(27)에 환상 유지 홈부(2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따라서, 상기 실링재(17)도 구비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도 1∼도 9의 관 조인트(C)의 것과 상위한다.
또, 조인트 본체(13)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이프(12)가 삽입되는 구멍부(3)을 가지고, 구멍부(3)에, O링 등의 실링재(39)를 유지하는 유지 홈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본체(13)는 후부외주면에, 상기 나사 부착 완료 시에 캡 너트(5)의 테이퍼부(6)와 맞닿는 테이퍼 형상 외면부(23)를 가진다.
또, 구멍부(3)는, 그 안쪽부(3a)에, 삽입된 파이프(12)의 선단(전단)부(12b)가 맞닿는 둘레 마주침용 단차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방지 링(1), 및, 회전자(32…)는, 도 1∼도 9의 관 조인트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도 13, 도 14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3)는, 일부분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 조인트 본체(13)의 전체는 스트레이트, 엘보, 치즈, 소켓 등의 각종의 것이다. 또, 도시 생략하였지만, 이 관 조인트(C)를, 도 11, 도 1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형성하고, 한 쌍의 관 조인트(C, C)를 합체하고, 체결 링체(7)로 착탈 자유롭게 협지하는 것도 좋다.
또, 도 16, 도 17은 빠짐방지 링(1)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이 빠짐방지 링(1)은 각 유지 오목형상부(31)가 대경공간부(31a)만으로 이루어지고 소경구멍부(31b)를 가지고 있지 않고, 또한, 회전자(32)가 원반부(32a)만으로 이루어지고 축부(32b)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점에서 도 1∼도 9에 도시한 것과 상위하다.
빠짐방지 링(1)과 회전자(32)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경공간부(31a)는 완만한 만곡팽출부 형상으로 (바꿔 말하면, 공간부(31a)를 형성하는 빠짐방지 링(1)의 양측벽부가 완만한 만곡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자(32)의 원반부(32a)의 양측벽부는 완만한 만곡팽출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자(32)는 빠짐방지 링(1)의 유지 오목형상부(31)의 대경공간부(31a) 내에 강제적으로 가압해서 끼워 넣어지고, 그리고, 갑자기 빠져 나오지 않 고, 파이프(12)의 축심(L)에 평행한 축심(L31)주위로 자전 자유롭게 유지된다.
혹은, 도 17(B)는 도 17(A)의 것과 상위하고, 유지 오목형상부(31), 공간부(31a)를 형성하는 빠짐방지 링(1)의 양측벽부에 파이프(12)의 축심(L)에 평행한 축심(L31)방향으로 오목 설치된 한 쌍의 회전 오목부(31c, 31c)를 가진다. 또한, 회전자(32)는 원반부(32a)의 양측에 돌출 설치되고 유지 오목형상부(31)의 회전 오목부(31c, 31c)에 피벗식으로 지지되는 한 쌍의 회전 볼록부(32c, 32c)를 가진다.
적용되는 파이프(12)가 A1 등의 연성 금속재질, 또는 그러한 연성 금속재질층과 합성 수지층을 적층한 복합 파이프일 경우에는, 빠짐방지 링(1), 및, 회전자(32)는, 모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1∼도 9와 동일한 재질로 해도 된다.
또, 도시 생략하였지만, 빠짐방지 링(1) 및 회전자(32)는 설계변경 자유롭고, 이하와 같이 하는 것도 좋다. 즉, 회전자(32)는 도 1∼도 9에 도시한 것과 상위하고, 전후 2장의 원반부(32a, 32a)를 가지고, 또한, 빠짐방지 링(1)이 전후 한 쌍의 대경공간부(31a, 31a)와, 전후 2열의 걸림 볼록라인부(33, 33)를 가진다.
다음에, 상기의 관 조인트의 사용 방법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5,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우선, 빠짐방지 링(1)을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 내에 배치하고, 회전자(32…)의 원반부(32a…)를 테이퍼부(6)에 맞닿게 한다(도 5, 도 6 참조).
그리고, 파이프(12)를 캡 너트(5)의 실링재(17)에 밀착시키면서 삽입 구멍부 (27), 빠짐방지 링(1)의 내주면(1c)에 삽입한다. 이어서, 파이프(12)를 조인트 본체(13)의 내측 끼우기 통부(36)의 외주면(37)의 파이프 삽입부(37a)에 실링재(17)에 밀착시키면서 삽입하고, 또한, 회전 방지 테이퍼부(37c)에 끼워 넣어 걸리게 한다(도 1, 도 7 참조).
그리고, 조인트 본체(13)의 맞춤 끝면(9)(도 11 참조)에 (도시 생략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를 부착하고, 해머 등으로 보호 커버를 축심(L) 후방으로 두드리고, 파이프(12)의 선단부(12b)를 조인트 본체(13)의 회전 방지 테이퍼부(37c)에 강하게 들어가게 하여 걸리게 한다. 이 작업에 의해, 파이프(12)는 조인트 본체(13)에 견고하게 걸리고, 파이프(12)의 내주면(12c)은 회전 방지 테이퍼부(37c)로부터 화살표(F1)로 나타내는 강한 걸림력을 받는다. 이 걸림력(F1)에 의해, 캡 너트(5)의 나사 부착 개시 시에, 파이프(12)가 조인트 본체(1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강고하게 방지된다.
또, 도 1, 도 7에서는, 파이프(12)는 그 선단부(12b)가 회전 방지 테이퍼부(37c)의 전후 중간위치에 걸릴 때까지 삽입되어 있지만, 더욱 안쪽부까지 삽입하고, 선단부(12b)가 조인트 본체(13)의 (회전 방지 테이퍼부(37c)와, 외측 끼우기 통부(38)의 내주면(38c)의 전단둘레부에 연속하는) 안쪽벽부(41)에 맞닿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캡 너트(5)를 조인트 본체(13)에 대하, 화살표(M5)(오른 나사 방향)의 방향으로 나사 결합시키면, 빠짐방지 링(1)은 조 인트 본체(13)의 외측 끼우기 통부(38)의 가압 후단면(38b)에 맞닿으면서, 파이프(12)의 외주면(12a)의 정위치의 주위를 상기 화살표(M5)와 같은 회전 방향의 화살표(M1)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시에, 회전자(32)의 원반부(32a)가 상기 화살표(M5)와 같은 회전 방향의 화살표(M32)의 방향으로 자전하면서, 캡 너트(5)의 테이퍼부(6)를 직경 축소측(후방측)으로 슬라이드하면서 파이프(12) 주위를 공전한다. 화살표(M1, M5)의 크기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방지 링(1)의 회전의 크기는 캡 너트(5)의 회전의 크기보다도 작다.
이 나사 결합 동안, 파이프(12)는 상기 걸림력(F1)에 의해 조인트 본체(13)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빠짐방지 링(1)은 파이프(12)의 정위치의 주위를 화살표(M1)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점차 직경 축소해가고, 회전자(32…)가 축심(L31)주위로 화살표(M32)의 방향으로 자전하면서 소성변형으로 파이프(12)의 외주면(12a)의 정위치에 둥근 환상의 오목 홈(4)을 형성하면서, 파이프(12)의 선단부(12b)가 점차 확장 개방 테이퍼 형상으로 변형해 간다.
그리고, 도 2,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12b)는 이 테이퍼 형상 확장 개방 변형에 따라 내측 끼우기 통부(36)의 회전 방지 테이퍼부(37c)로부터 이간(離間)하고 걸림력(F1)이 저감해 가고, 이 개소에서의 회전 방지 작용이 해제되지만, 이간하기 전에, 회전자(32)에 의한 체결에 의해 파이프(12)의 내주면 (12c)이 내측 끼우기 통부(36)의 파이프 삽입부(37a)의 전측 둘레 단부(50)에 강하게 가압되고, 파이프(12)의 내주면(12c), 전측 둘레 단부(50)로부터, 화살표(F2)로 나타내는 걸림력을 받는다.
이렇게, 캡 너트(5)를 나사식 전진해 감에 따라 걸림력(F2)이 증대하고, 이 개소에서 강한 회전 방지 작용이 일어난다.
따라서, 캡 너트(5)의 나사 부착 개시로부터 완료까지 끊임없이 조인트 본체(13)에 대한 파이프(12)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 조인트 본체(13)의 내측 끼우기 통부(36)의 둘레 홈(37b)에 의해 파이프(12)의 내주면(12c)이 내측 끼우기 통부(36)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파이프(12)는 스무스하게 소성 변형해서 직경이 축소된다.
또한, 파이프(12)의 선단부(12b)와, 외측 끼우기 통부(38)의 내주면(38c)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공극(10)에 의해 파이프(12)의 선단부(12b)는, 내주면(38c)에 맞닿지 않고, 스무스하게 테이퍼부(15)로 변형한다.
상기 나사 부착 작업을 수동으로 행하거나, 혹은, 파이프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해서 행해도 좋다.
그리고, 캡 너트(5)를 조인트 본체(13)에 완전히 나사식 전진 종료하여 나사 부착이 완료된다. 이 때, 빠짐방지 링(1)의 걸림 볼록라인부(33)가 파이프(12)의 오목 홈(4)에 끼워 넣어 걸린다(도 9 참조).
오목 홈(4)은 종단면에 있어서, 회전자(32)의 원반부(32a)에 대응하여 반원 형상이므로, (직사각형 형상의 내주단의) 걸림 볼록라인부(33)가 확실하게 걸리고, 더군다나, 파이프(12)의 선단부(12b)가, 테이퍼부(15)로 변형하고 있으므로, 파이프(12)는 인발력에 대하여 빠지는 않고, 관 조인트(C)에 강고하게 접속된다.
또, 빠짐방지 링(1)은 캡 너트(5)의 테이퍼부(6)의 후단벽(14)에 맞닿아 있어, 빠짐방지 링(1)이 조인트 본체(13) 및 캡 너트(5)에 대하여 슬라이드하지 않아, 파이프(12)는 관 조인트(C)에 대하여 갑자기 축심(L)방향으로 슬라이드하지 않는다.
또, 도 10에 도시한 빠짐방지 링(1)에 의하면 3개의 회전자(32…)가 캡 너트(5)의 구멍부(25) 및 파이프(12)의 외주면(12a)에 맞닿기 때문에, 캡 너트(5)의 나사 부착에 따라, 파이프(12)의 외주면(12a)에 오목 홈(4)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빠짐방지 링(1)이 균등하게 직경이 축소되고, 캡 너트(5)의 나사 부착이 매우 스무스하게 된다.
또, 도 11, 도 12에 있어서, 사용예를 설명하면, 한 쌍의 관 조인트(C, C)에 파이프(12, 12)를 끼워 넣고, 도 1, 도 5, 도 6 및 도 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조인트 본체(13)의 맞춤 끝면(9)에 보호 커버를 부착하고, 해머로 두드리고, 파이프(12)를 내측 끼우기 통부(36)의 회전 방지 테이퍼부(37c)에 강하게 걸리게 한다.
그리고, 보호 커버를 떼고, 조인트 본체(13A, 13B)의 맞춤 끝면(9, 9)을 맞닿게 하고, 외측 플랜지부(8, 8)를 체결 링체(7)로 협지한다.
그리고, 각각의 캡 너트(5)를 나사 부착하고, 파이프(12)가 관 조인트(C)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접속하면 접속 작업은 완료한다. 도 11은 일방의 (우측의) 캡 너트(5)만을 나사 부착 종료된 상태이다.
또, 본 발명의 관 조인트에서, 실제로 접속 작업의 시험을 행하여 측정한 바, 캡 너트(5)(빠짐방지 링(1))을 단단히 조일 때의 체결 토크는, 350∼430[㎏·㎝]이었다.
또, 접속 완료 후에 있어서의 이 관 조인트(C)에 의한 파이프(12)의 인발(인장)저지력은, 약 62 [kN]이며 환산 수압값은 215∼235[㎏/㎠]이었다.
상기의 체결 토크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관 조인트보다도 가볍고, 안정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고, 더군다나, 2배 이상의 내수압능력을 가지는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다음에, 도 13∼도 15에 도시한 관 조인트(C)의 사용 방법(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빠짐방지 링(1)을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내에 배치하고, 파이프(12)를 캡 너트(5)의 삽입 구멍부(27), 빠짐방지 링(1)의 내주면(1c), 조인트 본체(13)의 구멍부(3)로, 순서대로 삽입하고, 파이프(12)의 선단부(12b)를 조인트 본체(13)의 구멍부(3)의 마주침용 단차부(30)에 맞닿게 하여, 도 13의 상태로 한다.
그리고, 캡 너트(5)를 조인트 본체(13)에 대하여 화살표(M5)(오른 나사 방향)의 방향으로 나사 결합한다(도 6 참조). 그러면, 도 1∼도 9의 작용에서 기술 한 바와 같이, 빠짐방지 링(1)은 파이프(12)의 정위치의 주위를 화살표(M1)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점차 직경 축소해 나가므로, 회전자(32…)가 축심(L31) 주위로 화살표(M32)의 방향으로 자전하면서 파이프(12)의 외주면(12a)에 둥근 환상의 오목 홈(4)을 소성변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빠짐방지 링(1)이 캡 너트(5)의 (삽입 구멍부(27) 전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둘레 단부(28)에 맞닿을 때까지, 캡 너트(5)를 나사 부착하면, 나사 부착 완료가 된다. 이 때, 빠짐방지 링(1)이 직경 축소하고, 걸림 볼록라인부(33)가 파이프(12)의 오목 홈(4)에 끼워 넣어 걸려 있다. 또한, 빠짐방지 링(1)은 캡 너트(5)의 단부(28) 및 조인트 본체(13)의 후단면(13a)에 강하게 협착된다.
따라서, 파이프(12)는, 인발력에 대하여 빠지지 않고, 관 조인트(C)에 강고하게 접속된다.
또, 도 16,도 17에 도시한 빠짐방지 링(1)에 의하면, 회전자(32…)가 빠짐방지 링(1)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고 스무스하게 회전하고, 기술한 빠짐방지 링(1)과 마찬가지로, 파이프(12)에 접속이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관 조인트는 수나사부(19)를 가지는 조인트 본체(13)와, 수나사부(19)에 나사 부착되는 캡 너트(5)를 구비하고, 원주에 1개의 잘린 부분(1a)를 가지고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 내에 배치되는 C자 형상 빠짐방지 링(1)을 구비하고, 빠짐방지 링(1)은 그 내주면(1c)에서 외주면(1b) 으로 관통 설치된 유지 오목형상부(31)를 가지고, 또한, 유지 오목형상부(31) 내에 자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에 맞닿는 동시에 피접속용 파이프(12)의 외주면(12a)에 둘레 오목홈(4)을 소성변형으로 형성하는 회전자(32)를 구비하고, 또한, 빠짐방지 링(1)은 그 내주면(1c)에 둘레 오목홈(4)에 걸리는 걸림 볼록라인부(33)를 가지므로, 캡 너트(5)를 조인트 본체(13)에 나사식 전진하면, 빠짐방지 링(1)이 직경 축소하고, 걸림 볼록라인부(33)가, 회전자(32)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 홈(4)에 끼워 넣고, 확실하게 걸린다.
따라서, 파이프(12)는 관 조인트에 확실하게 접속되어 인발 저지력이 극히 커져, 시공 후에 갑자기 뽑혀 버릴 우려가 없다.
또, 이 나사식 전진 시에, 회전자(32)가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에 맞닿아 구르므로(자전하므로), 캡 너트(5)의 회전 토크가 매우 작다. 따라서, 빠짐방지 링(1)의 캡 너트(5)로의 체결은 용이하며 각별히 수고도 들지 않으므로, 나사식 전진에 의한 접속 작업을 신속하게 또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오목 홈(4)은 소성변형에 의해 형성되므로, 파이프(12)로부터 절삭 부스러기가 발생하지 않고, 스무스하게 캡 너트(5)를 나사식 전진할 수 있고, 작업이 편하며, 여러가지 장소에서 배관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관 조인트는 수나사부(19)를 가지는 조인트 본체(13)와, 수나사부(19)에 나사 부착되는 캡 너트(5)를 구비하는 동시에, 조인트 본체(13)가 소성변형 가능한 피접속용 파이프(12)의 선단부(12b)를 외측 끼우기·내측 끼우기 형상으로 유지하는 외측 끼우기 통부(38)과 내측 끼우기 통부(36)를 가지고, 원주 에 1개의 잘린 부분(1a)를 가지고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 내에 배치되는 C자 형상 빠짐방지 링(1)을 구비하고, 빠짐방지 링(1)은 그 내주면(1c)에서 외주면(1b)으로 관통 설치된 유지 오목형상부(31)를 가지고, 또한, 유지 오목형상부(31) 내에 자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에 맞닿는 동시에 파이프(12)의 외주면(12a)에 둘레 오목홈(4)를 소성변형하면서 파이프(12)의 선단부(12b)를 확장 개방 형상의 테이퍼부(15)로 변형하는 회전자(32)를 구비하고, 또한, 조인트 본체(13)의 외측 끼우기 통부(38)의 내주면(38c)은, 파이프(12)의 선단부(12b)와의 사이에 선단부(12b)가 테이퍼부(15)로 변형 가능하게 되는 공극(10)을 가지고, 또한, 조인트 본체(13)의 내측 끼우기 통부(36)의 외주면(37)은 파이프(12)에 둘레 오목홈(4)을 소성변형할 때에 둘레 오목홈(4)에 대응해서 내주면(12c)을 내경방향으로 환상으로 직경 축소 가능하게 하는 둘레 홈(37b)을 가지므로, 캡 너트(5)를 조인트 본체(13)에 나사식 전진시키면, 파이프(12)의 선단부에 둘레 오목홈(4)이 소성에 의해 형성되고, 회전자(32)가 파이프(12)의 오목 홈(4)에 걸리고, 더군다나, 파이프(12)의 선단부(12b)가, 테이퍼부(15)로 변형되므로, 이들의 상승효과에 의해,빠짐방지 링(1)이 파이프(12)의 오목 홈(4)에 걸리는 걸기 힘은 매우 커진다.
따라서, 파이프(12)는, 관 조인트에 확실하게 접속되고, 인발 저지력이 극히 커져, 시공 후에 갑자기 뽑혀 버릴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캡 너트(5)의 나사식 전진 시에, 회전자(32)가,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에 맞닿아 구르므로(자전하므로), 캡 너트(5)의 회전 토크가 매우 작다.
더군다나, 파이프(12)의 선단부(12b)는, 소성변형을 개시하고 나서 테이퍼부(15)가 될 때까지의 사이에, 조인트 본체(13)의 내측 끼우기 통부(36)의 외주면(37) 및, 외측 끼우기 통부(38)의 내주면(38c)에 맞닿지 않고, 스무스하게 테이퍼부(15)로 변형하므로, 캡 너트(5)의 회전 토크를 한층 더 경감할 수 있다.
이렇게, 나사식 전진에 의한 접속 작업을 신속하게 또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오목 홈(4)은 소성변형에 의해 형성되므로, 파이프(12)로부터 절삭 부스러기가 발생하지 않고, 스무스하게 캡 너트(5)를 나사식 전진할 수 있고, 작업이 편하고, 여러가지 장소에서 배관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 빠짐방지 링(1)은 그 내주면(1c)에 둘레 오목홈(4)에 걸리는 걸림 볼록라인부(33)를 가지므로, 파이프(12)에 소성변형되는 오목 홈(4)에 회전자(32) 및 걸림 볼록라인부(33)가 끼워 넣어지므로, 빠짐방지 링(1)이 파이프(12)의 오목 홈(4)에 걸리는 걸림력은 매우 커진다. 따라서, 관 조인트로부터의 파이프(12)의 인발이 강하게 방지된다.
또, 조인트 본체(13)의 내측 끼우기 통부(36)는 그 외주면(37)에 환상 유지 홈부(20)가 형성되고, 유지 홈부(20)에 유지되고 파이프(12)의 내주면(12c)에 맞닿는 실링재(17)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실링재(17)에 의해 파이프(12) 내를 흐르는 물이 내측 끼우기 통부(36)로부터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이 확실하게 막아진다. 더군다나, 캡 너트(5)를 나사 부착하면, 회전자(32)가 파이프(12)를 체결하고, 내주 면(12c)이 이 실링재(17)에 강하게 밀착하므로, 한층 더 물이 새어나가는 것이 막아진다.
또, 파이프 삽입부(11)의 반대측에 파이프(12)의 축심(L)에 직교하는 평탄형상의 맞춤 끝면(9)이 형성되는 동시에 외측 플랜지부(8)를 가지는 한 쌍의 조인트 본체(13A, 13B)를 구비하고, 한 쌍의 조인트 본체(13A, 13B)의 맞춤 끝면(9, 9)끼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외측 플랜지부(8, 8)를 협지하는 체결 오목홈(44)을 가지는 착탈 자유로운 체결 링체(7)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한 쌍의 파이프(12, 12)를 용이하게 견고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관 조인트끼리를 축심(L)과 직교방향으로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기설 파이프의 도중부를 떼어버리고, 새롭게 파이프에 바꾸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현저하게 큰 효과를 가진다.
캡 너트를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전진시키면, 파이프의 선단부에 둘레 오목홈이 소성에 의해 형성되고, 회전자 및 걸림 볼록라인부가 이 파이프의 홈에 걸리고, 더군다나, 파이프의 선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변형되므로, 이들의 상승효과에 의해 빠짐방지 링이 파이프의 홈에 걸리는 걸림력은, 매우 커진다.
따라서, 파이프는 관 조인트에 확실하게 접속되고, 인발 저지력이 극히 커지고, 시공 후에 갑자기 뽑혀 버릴 우려가 없다.
또, 상기 캡 너트의 나사식 전진 시에, 회전자가 캡 너트의 구멍부의 테이퍼 부에 맞닿아 구르므로(자전하므로), 캡 너트의 회전 토크가 매우 작다.
더군다나, 파이프의 선단부는 소성변형을 시작하고 나서 테이퍼부가 될 때까지의 사이에 조인트 본체의 내측 끼우기 통부의 외주면 및 외측 끼우기 통부의 내주면에 맞닿지 않고 스무스하게 테이퍼부로, 변형하므로, 캡 너트의 회전 토크를 한층 더 경감할 수 있다.
이렇게, 나사식 전진에 의한 접속 작업을 신속하게 또한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오목홈은 소성변형에 의해 형성되므로, 파이프로부터 절삭 부스러기가 발생하지 않고, 스무스하게 캡 너트를 나사식 전진할 수 있고, 작업이 편하며, 여러가지 장소에서 배관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수나사부(19)를 가지는 조인트 본체(13)와, 이 수나사부(19)에 나사 부착되는 캡 너트(5)를 구비한 관 조인트에 있어서,
    원주에 1개의 잘린 부분(1a)을 가지고 상기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 내에 배치되는 C자 형상 빠짐방지 링(1)을 구비하고,
    이 빠짐방지 링(1)은 그 내주면(1c)에서 외주면(1b)으로 관통 설치된 유지 오목형상부(31)를 가지고,
    또한, 이 유지 오목형상부(31)내에 자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상기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에 맞닿는 동시에 피접속용 파이프(12)의 외주면(12a)에 둘레 오목홈(4)을 소성변형으로 형성하는 회전자(32)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빠짐방지 링(1)은 그 내주면(1c)에 상기 둘레 오목홈(4)에 걸리는 걸림 볼록라인부(3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2. 수나사부(19)를 가지는 조인트 본체(13)와, 이 수나사부(19)에 나사 부착되는 캡 너트(5)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조인트 본체(13)가 소성변형 가능한 피접속용 파이프(12)의 선단부(12b)를 외측 끼우기·내측 끼우기 형상으로 유지하는 외측 끼우기 통부(38)와 내측 끼우기 통부(36)를 가지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
    원주에 1개의 잘린 부분(1a)을 가지고 상기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 내에 배치되는 C자 형상 빠짐방지 링(1)을 구비하고,
    이 빠짐방지 링(1)은 그 내주면(1c)에서 외주면(1b)으로 관통 설치된 유지 오목형상부(31)를 가지고,
    또한, 상기 유지 오목형상부(31) 내에 자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캡 너트(5)의 구멍부(25)의 테이퍼부(6)에 맞닿는 동시에 파이프(12)의 외주면(12a)에 둘레 오목홈(4)을 소성변형하면서 이 파이프(12)의 상기 선단부(12b)를 확장 개방 형상의 테이퍼부(15)로 변형하는 회전자(32)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상기 외측 끼우기 통부(38)의 내주면(38c)은, 상기 파이프(12)의 상기 선단부(12b)와의 사이에 이 선단부(12b)가 상기 테이퍼부(15)로 변형 가능하게 되는 공극(10)을 가지고,
    또한,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상기 내측 끼우기 통부(36)의 외주면(37)은 상기 파이프(12)에 상기 둘레 오목홈(4)을 소성변형할 때에 이 둘레 오목홈(4)에 대응해서 내주면(12c)을 내경방향으로 환상으로 직경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둘레 홈(37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방지 링(1)은 그 내주면(1c)에 상기 둘레 오목홈(4)에 걸리는 걸림 볼록라인부(3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상기 내측 끼우기 통부(36)는 그 외주면(37)에, 환상 유지 홈부(20)가 형성되고,
    이 유지 홈부(20)에 유지되어 상기 파이프(12)의 내주면 (12c)에 맞닿는 실 링재(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삽입부(11)의 반대측에 상기 파이프(12)의 축심(L)에 직교하는 평탄형상의 맞춤 끝면(9)이 형성되는 동시에 외측 플랜지부(8)를 가지는 한 쌍의 조인트 본체(13A, 13B)를 구비하고,
    이 한 쌍의 조인트 본체(13A)(13B)의 맞춤 끝면(9, 9)끼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외측 플랜지부(8, 8)를 협지하는 체결 오목홈(44)을 가지는 착탈이 자유로운 체결 링체(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KR1020050086217A 2004-09-29 2005-09-15 관 조인트 KR101140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2889 2004-09-29
JP2004282889A JP3847312B2 (ja) 2004-09-29 2004-09-29 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334A true KR20060051334A (ko) 2006-05-19
KR101140565B1 KR101140565B1 (ko) 2012-05-02

Family

ID=3542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217A KR101140565B1 (ko) 2004-09-29 2005-09-15 관 조인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300076B2 (ko)
EP (1) EP1643178B1 (ko)
JP (1) JP3847312B2 (ko)
KR (1) KR101140565B1 (ko)
CN (1) CN100416151C (ko)
CA (1) CA2519496C (ko)
DE (1) DE602005014834D1 (ko)
ES (1) ES2324918T3 (ko)
HK (1) HK1088652A1 (ko)
SG (1) SG121054A1 (ko)
TW (1) TWI2909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80B1 (ko) * 2020-09-04 2021-04-22 문재일 배관 연결용 조인트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5181A1 (en) * 2003-06-03 2007-02-01 Mixpac Systems Ag Device for connecting a tubule to a mixer
US20070001451A1 (en) * 2005-06-29 2007-01-04 Struven Kenneth C Spring-loaded stay-tight retaining nut assembly for a tubing fitting
JP4852368B2 (ja) * 2006-07-18 2012-01-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継手
JP4852369B2 (ja) * 2006-07-18 2012-01-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継手
JP2008057574A (ja) * 2006-08-29 2008-03-13 Higashio Mech Co Ltd 管継手
TWI432664B (zh) * 2007-09-10 2014-04-01 Omega Flex Inc 使用於管路圍阻系統的接頭
CN101307791B (zh) * 2008-05-27 2011-08-03 曾瑞娟 一种固定元件
JP5091191B2 (ja) * 2009-05-22 2012-12-05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管継手
US9523454B2 (en) * 2009-10-21 2016-12-20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Anti-rotation gripper ring
US9506592B2 (en) 2009-10-21 2016-11-29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Supply stop with connection verification
US9494268B2 (en) * 2009-10-21 2016-11-15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Supply stop with connection verification
US9464743B2 (en) * 2009-10-21 2016-10-11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Bias release cartridge
JP5554556B2 (ja) * 2009-12-22 2014-07-23 株式会社キッツ 樹脂管用ワンタッチ継手
US8925976B2 (en) * 2010-03-02 2015-01-06 Omega Flex, Inc. Flanged fitting for use with tubing containment system
CN102384326B8 (zh) * 2011-08-10 2016-08-31 威海鸿通管材股份有限公司 一种拉挤复合管材的连接结构
JP5393866B1 (ja) * 2012-11-22 2014-01-22 株式会社エム・ケイ企画 管継手用保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管継手
US9512947B2 (en) * 2013-01-16 2016-12-06 Consolidated Edison Company Of New York, Inc. Safety connector
JP5592573B1 (ja) * 2014-01-06 2014-09-17 井上スダレ株式会社 冷媒用管継手構造
JP5723470B1 (ja) * 2014-07-15 2015-05-27 井上スダレ株式会社 冷媒用管継手構造
EP3181973A1 (en) * 2015-12-16 2017-06-21 Raufoss Water & Gas AS Support liner for a connection between a tube end and a mechanical coupling device
US10317001B2 (en) * 2017-03-15 2019-06-11 Tylok International, Inc. Axial swaged fitting
US11079049B2 (en) * 2018-08-10 2021-08-03 Petrotechnologies, Inc. Connector with apparatus for relieving torsional strain on sealing elements
US11560967B2 (en) 2018-09-04 2023-01-24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Rotation-resistant push-on conduit coupling cartridge
CN109162889A (zh) * 2018-09-10 2019-01-08 杭州蓝捷氢能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密封性液氢泵
CN110255879B (zh) * 2019-06-28 2024-05-03 吴江南玻玻璃有限公司 管道锁紧机构及管道与辊同步转动装置
CN112303025A (zh) * 2020-09-26 2021-02-02 兀帅帅 一种帆布风管连接的消防风机
CN114719069B (zh) * 2021-01-05 2024-03-26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节流装置的自锁结构及自锁方法
CN113108139A (zh) * 2021-04-02 2021-07-13 东莞汉旭五金塑胶科技有限公司 液管与液管接头的锁固式防漏组装结构
CN115164536B (zh) * 2022-06-09 2023-09-26 安徽宏远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沥水装置
CN117404536B (zh) * 2023-12-14 2024-03-05 济南大正东智车用管路有限公司 一种钢管和软管一体的管路连接总成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9053A (en) * 1938-06-11 1940-10-22 Alden E Osborn Pipe joint
US2283975A (en) * 1940-12-06 1942-05-26 Stephen V Dillon Pipe coupling
US2628111A (en) * 1948-08-30 1953-02-10 Smalline Harry Pipe union
US2570224A (en) * 1949-01-24 1951-10-09 Thomas M Fason Tube coupling
US3653688A (en) * 1970-02-28 1972-04-04 Akira Sakakibara Pipe coupling device
JPS5497821A (en) * 1978-01-19 1979-08-02 Hisaharu Kurachi Device for connecting hose* pipe* or similars
JPS5993589A (ja) 1982-11-17 1984-05-30 倉地 久治 ホ−ス類の接続装置
JPH0718515B2 (ja) * 1988-08-29 1995-03-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継手
JPH03711U (ko) * 1989-05-24 1991-01-08
CN2084144U (zh) * 1990-08-02 1991-09-04 蒋笃义 速接管件
JPH04113092A (ja) * 1990-08-31 1992-04-14 Rigaku Corp 管用カップリング
US5074599A (en) * 1990-10-30 1991-12-24 Crawford Fitting Co. Tube fitting
CN2152129Y (zh) * 1993-03-18 1994-01-05 开泰制管股份有限公司 管路接头装置
JP3000711U (ja) * 1994-02-03 1994-08-16 前澤給装工業株式会社 伸縮可とう式継手
DE19503722A1 (de) * 1995-02-04 1996-08-08 Gardena Kress & Kastner Gmbh Schlauchanschluß, insbesondere zum Anschluß von Schläuchen, wie Gartenschläuchen
US5681058A (en) * 1996-08-20 1997-10-28 Hwang; Biing-Yih Assembly for joining a pipe to a pipe fitting
JP3122385B2 (ja) 1997-02-19 2001-01-09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管継手
CN2358322Y (zh) * 1998-02-28 2000-01-12 佛山市日丰企业有限公司 铝塑复合管管接头
KR200177939Y1 (ko) 1998-04-24 2000-04-15 전부곤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DE10114059C1 (de) * 2001-03-22 2002-06-27 Joiner S Bench Ag Sondermaschb Verfahren zum Abdichten und Verbinden von Rohren
JP2002317887A (ja) 2001-04-20 2002-10-31 Motonori Ooi 薄肉金属管メカニカル継手
JP2003172484A (ja) * 2001-12-04 2003-06-20 Taiheiyo Tokushu Chuzo Kk 給水装置用管継手
JP4208226B2 (ja) * 2002-03-14 2009-01-14 ニチアス株式会社 チューブ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80B1 (ko) * 2020-09-04 2021-04-22 문재일 배관 연결용 조인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97747A (ja) 2006-04-13
CN1755179A (zh) 2006-04-05
CA2519496A1 (en) 2006-03-29
SG121054A1 (en) 2006-04-26
EP1643178B1 (en) 2009-06-10
KR101140565B1 (ko) 2012-05-02
CN100416151C (zh) 2008-09-03
US7300076B2 (en) 2007-11-27
HK1088652A1 (en) 2006-11-10
EP1643178A3 (en) 2008-06-18
TW200610914A (en) 2006-04-01
ES2324918T3 (es) 2009-08-19
TWI290996B (en) 2007-12-11
CA2519496C (en) 2009-09-08
DE602005014834D1 (de) 2009-07-23
EP1643178A2 (en) 2006-04-05
US20060066099A1 (en) 2006-03-30
JP3847312B2 (ja) 200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565B1 (ko) 관 조인트
US6361260B1 (en) Quick locking fastener
US5957509A (en) Pipe coupling
KR20100068282A (ko) 관 이음매
JP2010048330A (ja) プラスチック樹脂パイプ用の管継手
GB2112483A (en) Pipe joint
JP4787780B2 (ja) 流体管継手
JP4476263B2 (ja) 管継手
JP3506669B2 (ja) 継 手
RU2419019C2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варианты)
JP4597889B2 (ja) 管継手
JP5911895B2 (ja) 樹脂管用継手
JP2008057574A (ja) 管継手
JP3876258B2 (ja) 管継手
JP4046540B2 (ja) 合成樹脂管用管継手
JP3904698B2 (ja) 管の固定装置
JP4476262B2 (ja) 管継手
KR19990077532A (ko) 클램프가능한파이프커플링
JPS5949475B2 (ja) 管継ぎ手
JP7269105B2 (ja) 合成樹脂管の接続構造
JP3940112B2 (ja) 管継手
JPH0542313Y2 (ko)
JP2005351440A5 (ko)
JP7185877B2 (ja) 管継手
JP4580840B2 (ja) メカニカルタイプの管継手、およびその管継手におけるクランプの締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