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939Y1 -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 Google Patents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939Y1
KR200177939Y1 KR2019980006594U KR19980006594U KR200177939Y1 KR 200177939 Y1 KR200177939 Y1 KR 200177939Y1 KR 2019980006594 U KR2019980006594 U KR 2019980006594U KR 19980006594 U KR19980006594 U KR 19980006594U KR 200177939 Y1 KR200177939 Y1 KR 200177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corrosion
composite pip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082U (ko
Inventor
권윤노
전부곤
Original Assignee
전부곤
권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부곤, 권윤노 filed Critical 전부곤
Priority to KR2019980006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939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9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10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관의 내·외부에 합성수지가 피복된 복합관용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에 관한 것으로, 관연결구의 일측에 이중관 구조로 형성된 내,외측 연결관 사이의 삽입공간으로 복합관을 삽입시킨 다음 조임너트를 나사조임하여 압착링이 복합관의 외주면을 압착케 하는 구성으로 복합관을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연결관 사이의 삽입공간의 폐쇄단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상기 복합관의 알루미늄관 두께보다 큰 요홈이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부식방지링을 구비하여서 된 것과 상기 요홈을 부식방지링의 양면에 형성한 것 그리고 상기 부식방지링의 재질이 합성수지나 고무와 같은 절연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황동재의 관연결구에 복합관을 연결하였을시 이질 재질의 전위차에 의한 전이현상으로 인하여 복합관의 알루미늄관이 전이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본 고안은 알루미늄관의 내·외부에 합성수지가 피복된 복합관용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이나 가스관 및 보일러의 냉·난방용 배관은 주로 주철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알루미늄과 합성수지가 일체로 제조된 복합관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복합관은 알루미늄관의 내·외부에 합성수지가 피복된 상태로 구성되어 경량이고 부식현상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복합관을 사용하여 수도관 및 가스관을 배관할 경우 상기 복합관의 연결부위에 전이(轉移)에 의한 부식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게 되며, 이러한 단점은 곧 배관내에 흐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즉, 종래 기술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관연결구(1)의 일측에 이중관 구조로 된 내,외측 연결관(11)(12) 사이의 삽입공간(13)으로 복합관(2)을 삽입시킨 다음 조임너트(3)를 조여주게 되면 압착링(4)이 조여들면서 복합관(2)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되므로서 복합관(2)을 견고하게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복합관(2)의 연결단부 예를 들어, 복합관(2)을 구성하고 있는 알루미늄관(21)과 내,외측 합성수지 피복층(22)(23)의 단부가 삽입공간(13)의 폐쇄단(13a)에 맞닿은 상태가 되는데, 상기 관연결구(1)의 재질은 황동이기 때문에 삽입공간(13)의 폐쇄단(13a)에 맞닿고 있는 상기 복합관(2)의 알루미늄관(21)과는 재질이 서로 다르므로 상기 폐쇄단(13a)에 맞닿고 있는 알루미늄관(21) 사이에는 전위차에 의한 전이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전이현상에 의하여 부식이 발생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은 점차로 커지게 된다. 이렇게 전이에 의한 부식이 커지면 커질수록 관연결구(1)에 연결된 복합관(2)의 연결부위는 강도가 점차로 약해지게 되므로 연결부위의 기밀성도 파괴되어 도관내에 흐르는 유체가 누설될 염려가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복합관(2)을 사용하여 수도관이나 가스관을 배관하였을 경우에는 일정주기마다 새로운 배관으로 교체하는 배관공사를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복합관으로 배관공사를 시행하였을 때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관연결구에 연결되는 복합관의 연결단부의 알루미늄관이 상기 관연결구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전위차에 의한 전이현상이 발생되지 못하게 하는 부식방지링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관연결구의 일측에 이중관 구조로 형성된 내,외측 연결관 사이의 삽입공간으로 복합관을 삽입시킨 다음 조임너트를 나사조임하여 압착링이 복합관의 외주면을 압착케 하는 구성으로 복합관을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연결관 사이의 삽입공간의 폐쇄단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상기 복합관의 알루미늄관 두께보다 큰 요홈이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부식방지링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요홈을 부식방지링의 양면에 형성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 상기 부식방지링의 재질이 합성수지나 고무와 같은 절연재로 된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한 분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는 부식방지링을 설치한 상태에서 복합관을 연결하기 전 상태이며,
도 3은 부식방지링을 설치한 상태에서 복합관을 연결한 상태이다.
도 4는 본 고안을 엘보우에 적용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연결구 2 : 복합관
3 : 압착링 4 : 조임너트링
5 : 부식방지링 11,12 : 내,외측 연결관
13 : 삽입공간 14 : 연결관
15 : 패킹홈 16 : 링형 패킹
21 : 알루미늄관 22,23 : 합성수지 피복층
31 : 선단부 41 : 관통구멍
51 : 요홈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한 분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부식방지링을 설치한 상태에서 복합관을 연결하기 전 상태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부식방지링을 설치한 상태에서 복합관을 연결한 상태이며, 도 4는 본 고안을 엘보우에 적용한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관연결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관연결구(1)는 황동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관연결구(1)의 일측에는 이중관 구조로 된 내,외측 연결관(11)(12)과 그 사이에 삽입공간(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단일관 구조로 된 연결관(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연결관(11) 외주면의 패킹홈(15)에 끼워져 있는 링형 패킹(16)은 상기 삽입공간(13)으로 삽입,연결되는 복합관(2)의 내면에 위치하여 누설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외측 연결관(11)(12)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13)에는 부식방지링(5)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연결관(16)의 선단부에 압착링(3)의 선단부(31)를 탄력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조임너트(4)가 상기 외측 연결관(16)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복합관(2)은 두께가 얇은 알루미늄관(21)의 내·외부에 합성수지 피복층(22)(23)이 형성된 복합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부식방지링(5)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상기 복합관(2)의 알루미늄관(21) 두께보다 큰 요홈(5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요홈(51)은 부식방지링(5)이 금속재일 때에는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며, 합성수지 또는 고무와 같이 절연재일 때에는 상기한 요홈(51)을 반드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관연결구(1)의 일측에 형성된 내·외측 연결관(11)(12) 사이의 삽입공간(13)에 부식방지링(5)을 미리 삽입시킨 상태에서 압착링(3)과 조임너트(4)를 가조립시킨 다음 복합관(2)을 조임너트(4)의 관통구멍(41)을 통해 삽입공간(13)으로 삽입시키는데, 이때 상기 부식방지링(5)의 일면에만 요홈(51)이 형성된 것일 경우에는 상기 요홈(51)이 개구된 쪽 즉, 연결시키고자 하는 복합관(2)쪽을 향하도록 하여야 하며, 상기 요홈(51)이 양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부식방지링(2)을 무작위로 삽입시키더라도 요홈(51)이 복합관(2)쪽을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관연결구(1)에 압착링(3)과 조임너트(4)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조임너트(4)의 관통구멍(41)을 통해 복합관(2)을 삽입공간(13)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복합관(2)의 연결단은 미리 삽입되어 있는 부식방지링(5)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는데, 상기 복합관(2)의 연결단이 밀착되는 부식방지링(5)의 단면에는 알루미늄관(21) 두께보다 큰 요홈(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알루미늄관(21)은 상기한 요홈(51)에 의해 생긴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내·외부측 합성수지 피복층(22)(23)만이 부식방지링(5)과 접촉하는 상태가 되며, 이와같이 복합관(2)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조임너트(4)를 조여주게 되면 압착링(3)이 외측 연결관(12) 속으로 삽입되면서 조여들어 복합관(2)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착하게 되므로서 복합관(2)이 관연결구(1)에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연결된 복합관(2)의 연결부위 즉, 삽입공간(13)속으로 삽입되어 부식방지링(5)과 접촉하고 있는 연결단 중 알루미늄관(21)은 요홈(51)에 의해 부식방지링(5)과 이격된 상태이고 내·외부의 합성수지 피복층(22)(23)만 부식방지링(5)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부식방지링(5)의 재질이 금속재인 경우에도 알루미늄관(21)이 부식방지링(5)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전위차에 의한 전이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전이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부식방지링(5)에 맞닿고 있는 합성수지 피복층(22)(23) 자체는 절연재이므로 관연결구(1)와 알루미늄관(21)과의 사이에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복합관(2)의 내·외부 합성수지 피복층(22)(23)의 심층부에 있는 알루미늄관(21) 자체에 전이부식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관연결구(1)에 연결된 복합관(2)은 오랜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최초에 수밀상태로 연결된 상태를 그대로 보유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관(21) 자체에 전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요홈(51)은 복합관(2)의 내·외부 합성수지 피복층(22)(23)을 단절시킨 상태이므로 복합관(2)의 외주면을 통해 스며든 습기가 내부측 합성수지 피복층(22)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도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식방지링에 요홈없이 평탄한 단면상으로 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복합관의 연결단이 부식방지링의 단면에 면접촉된 상태가 되며 그 면접촉부위에는 아주 가는 틈새(예컨대 모세관)가 형성되어 모세관현상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에 복합관의 외주면으로 스며든 습기가 상기한 틈새(모세관)을 통해 내부 합성수지 피복층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반면에, 복합단의 연결단이 접촉하는 부분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습기가 이동하는 틈새 즉, 모세관의 단절된 상태가 되어 습기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복합관(2)의 연결단이 밀착되는 부식방지링(5)에 형성된 요홈(51)은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식방지링(5)이 합성수지 또는 고무와 같은 절연재일 경우에는 부식방지링(5) 자체가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므로 관연결구(1)와 알루미늄관(21)과의 사이에 전이에 의한 부식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절연재로 된 부식방지링(5)의 경우에도 요홈(51)을 형성하게 되면 앞에서 설명한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관연결구(1)가 "L"자형으로 된 엘보우의 이중관 구조로 된 내,외측 연결관(11)(12)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13)에 부식방지링(5)을 설치한 상태에서 복합관(2)을 연결하였을 때에도 알루미늄관(21)의 전이부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T"자형 엘보우로 된 관연결구(1)에 부식방지링(5)을 설치하였을 경우에도 전이에 의한 부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황동재로 된 관연결구 일측에 이중관 구조로 형성된 내,외측 연결관 사이의 삽입공간에 미리 삽입시킨 부식방지링의 요홈이 연결되는 복합관의 알루미늄관을 수용하여 상기 알루미늄관이 관연결구와 이격된 상태가 되게하는 작용으로 상기한 관연결구와 알루미늄관과의 사이에서 전이에 의한 부식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같은 전이부식방지는 관연결구과 복합관과의 수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장구히 유지되게 하므로서 복합관의 설치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키는 효과와 함께 수도관 및 가스관의 유지보수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져다 주며, 또한 상기 합성수지나 고무와 같은 절연재로 부식방지링을 구성한 경우에는 요홈을 형성시키지 않고도 전이부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알루미늄의 내·외부에 합성수지 피복층을 형성시킨 복합관을 이용한 수도 및 가스배관공사에 있어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를 절감시킴과 아울러 유체의 누설방지 및 설치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관연결구의 일측에 이중관 구조로 형성된 내,외측 연결관 사이의 삽입공간으로 복합관을 삽입시킨 다음 조임너트를 나사조임하여 압착링이 복합관의 외주면을 압착케 하는 구성으로 복합관을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연결관 사이의 삽입공간의 폐쇄단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상기 복합관의 알루미늄관 두께보다 큰 요홈이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부식방지링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을 부식방지링의 양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링의 재질이 합성수지나 고무와 같은 절연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KR2019980006594U 1998-04-24 1998-04-24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KR200177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94U KR200177939Y1 (ko) 1998-04-24 1998-04-24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94U KR200177939Y1 (ko) 1998-04-24 1998-04-24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82U KR19990040082U (ko) 1999-11-25
KR200177939Y1 true KR200177939Y1 (ko) 2000-04-15

Family

ID=1953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594U KR200177939Y1 (ko) 1998-04-24 1998-04-24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9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65B1 (ko) 2004-09-29 2012-05-02 히로시 이노우에 관 조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1984A (zh) * 2018-04-20 2018-07-27 中山市庆谊金属制品企业有限公司 一种双公牙接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65B1 (ko) 2004-09-29 2012-05-02 히로시 이노우에 관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82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9112C1 (ru) Блокируемый стык между гладким концом од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и концом друг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оснащенным раструбом
US3700268A (en) Positive locking terminal bushings for flexible pipe
JPS61248991A (ja) ソケツト継手
KR200177939Y1 (ko) 관연결구의 부식방지링
EP0371063A1 (en) FIRE RESISTANT PIPE FITTINGS.
JPH0637953B2 (ja) 管 継 手
CN113454384A (zh) 管道组件隔热和蒸汽屏障
US4909548A (en) Compound-taper flange assembly
JPH06330542A (ja) 分岐サドル装置
KR102161323B1 (ko) 파이프용 패킹구조
KR101358060B1 (ko) 가동형 제수밸브
RU2325581C2 (ru) Герметичное 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CA2401202A1 (en) Sealing system
KR200252276Y1 (ko) 관연결구용 패킹
KR102475769B1 (ko) 유니언 너트를 보호하는 클램프
CN220186115U (zh) 一种消防钢管管道连接结构
JP3720122B2 (ja) 補修用管継手
CN219933226U (zh) 一种不锈钢无缝管
JP2008275005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3139941B2 (ja) 管継手の防食構造
JPH0113900Y2 (ko)
KR200203032Y1 (ko) 패킹
KR200165066Y1 (ko) 관연결구용패킹
GB2080466A (en) Compression joints
RU2014542C1 (ru) Штуцерно-тор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