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122A - 방현 필름 - Google Patents

방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122A
KR20060051122A KR1020050083811A KR20050083811A KR20060051122A KR 20060051122 A KR20060051122 A KR 20060051122A KR 1020050083811 A KR1020050083811 A KR 1020050083811A KR 20050083811 A KR20050083811 A KR 20050083811A KR 20060051122 A KR20060051122 A KR 20060051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ne particles
glare
particles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이치 사쿠라이
겐사쿠 히가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ublication of KR2006005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단독으로 착색이 없는 방현 필름을 제공하며, 또한, 백라이트나 액정 셀과 조합한 디스플레이의 상태에서, 불필요한 착색을 제거하여 양호한 발색성을 부여한다. 투명 기판과, 적어도 한쪽 면 위에 형성된 방현층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표면용 방현 필름에 있어서, 방현층이 수지 미립자를 투명 수지 중에 분산시켜 구성되고, 또한 수지 미립자가 각각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적어도 2 종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방현 필름{ANTI-GLARE FILM}
도 1 은 볼형상 수지 미립자의 상면도.
도 2 는 볼형상 수지 미립자의 측단면도.
도 3 은 편평형상 수지 미립자의 측단면도.
도 4 는 볼형상 수지 미립자와 구형상 수지 미립자를 투명 수지에 분산시킨 방현층을 투명 기판에 적층한 방현 필름의 일례의 단면도.
도 5 는 실시예 1 의 방현 필름의 광투과 스펙트럼.
도 6 은 비교예 1 의 방현 필름의 광투과 스펙트럼.
도 7 은 비교예 2 의 방현 필름의 광투과 스펙트럼.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형상 수지 미립자 2 : 구형상 수지 미립자
3 : 투명 수지 4 : 방현층
5 : 투명 기판
본 발명은, 각종 디스플레이 표면에 점착하여 사용하는 방현(防眩) 필름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단독으로 착색이 없고 액정 디스플레이에 양호한 발색성을 부여하는 방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CRT, EL 등으로 대표되는 화상 표시 장치(이하에서, 이것을「디스플레이」라고 칭한다)는, TV나 컴퓨터를 비롯하여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는, 얇고, 경량이며, 또한 범용성이 풍부한 디스플레이로서, 박형 TV나 휴대전화, PC, 디지털 카메라, PDA, 기타 각종 디바이스용의 표시 매체로서 보급이 현저하다.
이들 디스플레이를 옥외나 형광등 아래 등의 비교적 밝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 태양광이나 형광등 등의 외부광에 의한 디스플레이로의 반사(glare; 눈부심) 가 문제가 되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반사되는 외부광을 난반사시키는 방현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현 처리는, 디스플레이 표면 재료에 대하여 샌드블래스트 등에 의해 조면(粗面)을 형성하거나, 요철을 갖는 부형(賦型) 필름이나 롤(Roll)로 투명 수지층의 부형 처리를 하거나, 투명 수지 중에 무기나 유기의 투명 미립자를 분산시킨 도료를 코팅하여 디스플레이 표면에 방현층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이들 기술 중, 마지막에 언급한 투명 수지와 투명 미립자를 사용하는 방현 처리는, 미립자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 또는 투명 수지와 미립자와의 굴절률차에 의해 외부광을 산란시킬 수 있고,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의 확대 효과도 기 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되었으며,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31496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5-162261호 공보 및 일본공개특허 평7-181306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용도로서, TV가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고, 그 때문에 종래로부터 발색성 내지 색재현성이 훨씬 중요시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투명 수지와 투명 미립자를 사용하는 방현 처리에서는, 양자의 계면에 있어서의 빛의 반사나 굴절, 그리고 미립자 사이에서의 빛의 회절ㆍ간섭(무지개나 오일막과 같이) 등의 작용에 의해 불필요한 착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단독으로 착색이 없는(상기 기술한 간섭색을 방지하는) 방현 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백라이트나 액정 셀과 조합한 디스플레이의 상태로, 불필요한 착색을 제거하여 양호한 발색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현층 중에 분산시키는 수지 미립자가 광학 특성에 부여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수지 미립자의 종류나 형상, 사이즈에 따라, 방현층의 투과 스펙트럼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기판과, 그 적어도 한쪽 면 위에 형성된 방현층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표면용 방현 필름에 있어서, 방현층이 수지 미립 자를 투명 수지 중에 분산시켜 구성되고, 또한 그 수지 미립자가 각각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적어도 2 종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기판과, 그 적어도 한쪽 면 위에 방현층 및 반사 방지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표면용 방현 필름에 있어서, 그 방현층이 수지 미립자를 투명 수지 중에 분산시켜 구성되고, 또한 그 수지 미립자가 각각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적어도 2 종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포함되는 상기 수지 미립자의 적어도 1 종류는, 입자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움푹 패인 볼(bowl) 형상 수지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2 종류의 수지 미립자는, 상이한 형상의 수지 미립자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어도 2 종류의 수지 미립자가
A)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에 있어서, 장파장 영역을 향해 투과율이 증가하는 것,
B)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에 있어서, 장파장 영역을 향해 투과율이 저하하는 것,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의하면, 가시광 영역(파장 400nm 내지 800nm)의 광투과 스펙트럼을 조정함으로써, 방현층 자체의 착색을 방지하고, 또한 백라이트나 액정 셀 주변의 각종 광학 필름이 갖는 색조를 보정하여,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에 양호한 발색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수지 중에 적어도 2 종류의 수지 미립자를 분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2 종류의 수지 미립자는, 각각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을 형성한 경우의 가시광 영역의 광투과 스펙트럼이 상이하다는 성질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사용되는 투명 기판으로는, 공지의 투명한 필름,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적 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염화비닐(PVC), 시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노르보르넨 함유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셀로판,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각종 수지 필름 및 석영 유리, 소다 유리 등의 유리 기재(基材)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 기판은 PET, TAC, COC, 노르보르넨 함유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투명 기판의 투명성은 높은 것일수록 바람직하고, 광선 투과율(JIS K-7105)로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만약 광선 투과율이 80% 미만이면, 디스플레이용의 필름으로서는 어두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들 투명 기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0㎛ 이고, 그 생산성을 고려하면 5 내지 200㎛ 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현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염화비닐(PVC), 시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노르보르넨 함유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등의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로는, 페놀 수지, 푸란 수지, 자일렌ㆍ포름알데히드 수지, 케톤ㆍ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아닐린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복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에폭시기, 비닐에테르기, 옥세탄기 등, 중합성 불포화 결합이나 그와 비슷한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올리고머, 프리폴리머를 적절하게 혼합한 조성물이 사용된다. 모노머의 예로는, 아크릴산메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톡 시폴리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머, 프리폴리머로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알키드아크릴레이트, 멜라민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나 각종 지환식 에폭시 등의 에폭시계 화합물,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디[1-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등의 옥세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복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현층에 사용되는 투명 수지의 투명성은 높을수록 좋고, 광선 투과율(JIS K-7105)로는, 투명 기판과 동일하게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바람직하다. 만약 광선 투과율이 80% 미만이면, 디스플레이용의 필름으로는 어두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사용되는 수지 미립자로는, 구형상, 볼형상, 편평형상 등 여러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형상 수지 미립자란, 그 형상이 진구(眞球) 또는 진구에 가까운 구형상의 형태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현탁 중합법이나 폴리머 용액의 분무 건조법 등에 의해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볼형상 수지 미립자는, 볼(bowl)과 같이 중앙에 오목부를 갖는 형태의 수지 미립자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움푹 패인 형상을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볼형상 수지 미립자의 상면도, 도 2 는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평균 입경 D, 구경 a, 두께 b 및 높이 h 의 관계가 하기 식을 만족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 < a < D, 보다 바람직하게는 0.2D < a < 0.8D
0 < b < 0.75D, 보다 바람직하게는 0.1D < b < 0.5D
b < h < D,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D < h < 0.75D
편평형상 수지 미립자는, 진구형상 수지 미립자 또는 볼형상 수지 미립자를 찌그러뜨린 듯한 형태의 수지 미립자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도 3 에 나타나 있는, 평균 입경 D, 높이 h 의 관계가 하기 식을 만족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D/h > 2,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D/h > 2,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D/h > 2
이와 같은 수지 미립자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스티렌 수지, 멜라민 수지, 스티렌ㆍ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등이 있고, 방현층에 사용되는 투명 수지와의 친화성이나, 그 투명 수지와 상이한 굴절률을 고려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산성의 향상이나 굴절률을 컨트롤할 목적으로, 그 수지 미립자에 대하여, 유지류, 실란커플링제, 금속 산화물 등의 유기ㆍ무기 재료에 의한 표면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은 수지 미립자의 굴절률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정한 광산란을 발생시키기 위해, 투명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수지 미립자를 투명 수지 중에 분산시킨 방현층은, 그 수지 미립자의 재질이나 형상, 사이즈에 따라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에 의해, 착색이 없는 방현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확산 필름, 휘도 향상 필름, 편광판, 위상차판 등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광학 필름이 갖는 미묘한 색조를, 이 방현층에 의해 조정하여 양호한 발색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서는, 각각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수지 미립자를 적어도 2 종류 조합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각각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이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6과 도 7 의 관계를 말하며, 도 6에서 사용된 볼형상 수지 미립자와 도 7에서 사용된 진구형상 수지 미립자를 병용하여 2 종류로 하고, 이것을 투명 수지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방현층이 얻어진다.
또한, 수지 미립자의 적어도 1 종류는, 볼형상 수지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형상과 구형상과 같이 적어도 2 종류의 상이한 형상의 수지 미립자를 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방현 필름의 착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지 미립자를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시켜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에 있어서, 한쪽의 수지 미립자가 장파장 영역을 향해 투과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또 다른 한쪽이 장파장 영역을 향해 투과율이 저하되는 경향을 갖는 것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목적으로 하는 광투과 스펙트럼을 얻기 위해서는, 이들 투과 스펙트럼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수지 미립자를 적량 혼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지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0.3 내지 10.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7.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크기는, 구형 미립자에서는 직경에 상당하고, 볼형상이나 편평형상 미립자에서는 장경(長徑)에 상당하는 것이며, 이들의 평균 입경이 0.3㎛ 보다 작으면, 가시광 파장보다도 작아지기 때문에 양호한 광확산성을 얻을 수 없고, 한편, 10.0㎛를 초과하면, 필름에 수지 미립자의 입상감(粒狀感)이 나타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들 입자 사이즈의 값은, 전자 현미경에 의한 형상 관찰에 의해 구해진다.
본 발명의 방현층을 구성하는 수지 미립자와 투명 수지의 배합비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99 내지 30/70 사이이고, 5/95 내지 25/7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미립자와 투명 수지의 배합비가 1/99 보다도 작은 경우는 충분한 방현성을 얻을 수 없고, 또한 30/70 보다도 수지 미립자가 많은 경우는, 광확산성이 지나치게 강하여 표시가 흐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의 방현층의 두께는 0.5 내지 2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이다. 이 두께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0.5㎛ 이하에서는 충분한 방현성을 얻을 수 없고, 또한 20㎛ 이상에서는 불필요하게 두꺼워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광확산성이 지나치게 강하여 표시가 흐려져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있어서는, 방현층의 요철 표면의 평균 조도 Ra 가 0.1 내지 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1㎛ 내지 0.5㎛ 의 범위이다. 평균 조도 Ra 가 0.1㎛ 보다 작으면, 표면 요철이 지나치게 작아 외부광이 반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현성의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1.0㎛ 보다 크면 요철이 커서 백미(白味)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의 방현층에는,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수지 미립자가 포함되고, 이들 수지 미립자와 투명 수지의 굴절률차 및 이들 수지 미립자에 기인하는 표면 요철에 의해 양호한 방현성이 얻어지게 된다. 도 4에 볼형상 수지 미립자(1)와 구형상 수지 미립자(2)를 투명 수지(3)에 분산시켜 이루어진 방현층(4)을 투명 기판(5)에 적층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의 일례를 나타낸다. 각각의 형태의 수지 미립자의 사이즈나 배합량을 변경함으로써 표면의 요철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디스플레이 표면의 광선 반사율을 저감할 목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최외층을 구성하도록 반사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기판의 적어도 한쪽 면 위에 방현층 및 반사 방지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으로는,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에 의한 드라이 코팅으로 실리카 등의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거나, 산화 티탄과 실리카의 다층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저렴하고 양산성이 우수한 것은 웨트 코팅이다. 이 경우 반사 방지층을 1 층 형성하는 구성 A (방현층/저굴절률층), 및 반사 방지층을 2 층 형성하는 구성 B (방현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 가 일반적이고, 각각의 구성에 있어서 각 층의 굴절률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즉, 구성 A 에서는, 방현층의 굴절률은 높고,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은 가능한 한 낮게 한 것이 최종적인 표면 반사율을 낮게 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 바람직한 굴절률은 방현층에서 1.6 이상, 저굴절률층은 1.4 이하이다. 또한, 구성 B 에서는, 반사 방지층으로서의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에 대하여 방현층을 중굴절률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굴절률로는, 방현층이 1.5 내지 1.6, 고굴절률층이 1.65 이상, 저굴절률층이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층은, 중굴절률의 방현층과 디스플레이 최표면의 저굴절률층 사이에 위치하고, 통상 0.1㎛ 정도의 건조막 두께를 갖는다. 재료적으로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수지 재료에, 방향환(芳香環), 불소 이외의 할로겐기, 유황 등을 도입하거나, ZnO, TiO2, CeO2 등의 고굴절률을 나타내는 초미립자를 함유시킴으로써 조제된다.
한편 저굴절률층은, 방현층 위, 또는 방현층의 표면에 고굴절률층을 통해 적층되는 것으로, 통상 0.1㎛ 정도의 건조막 두께를 갖는다. 이 저굴절률층은 디스플레이의 최표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저굴절률일 뿐만 아니라, 내찰상성(耐擦傷性)이나 발수성, 내약품성, 방오성(防汚性)도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이 저굴절률층 의 재료로는, 가수분해성 실란 화합물 및/또는 그 가수분해물로 형성되는 실리카나, 폴리머의 주쇄(主鎖) 또는 측쇄(側鎖)에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소 함유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또한, 발수성이나 방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퍼플루오로알킬에테르 화합물을 소량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현층에는, 상기 기술한 굴절률 제어나 대전 방지, 하드코팅성, 표면 요철을 제어할 목적으로, 광확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재료를 개질제로서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 방현층 중의 투명 수지 재료에 방향환, 불소 이외의 할로겐기, 유황 등을 도입하거나, ZnO, TiO2, CeO2, ZrO2 등의 초미립자를 첨가하거나, 대전 방지를 위해서는, 각종 유기 도전 재료나, ATO, ITO, ZnOㆍSb2O5 등의 도전성 초미립자를 배합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와 같이 가교성의 관능기를 동일 분자 중에 복수 보유하는 경화 성분을 투명 수지 중에 배합하거나, 표면 요철의 제어를 위해 실리카 등의 미립자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수지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한 용액에, 복수의 수지 미립자를 첨가하여 분산시켜 도공액을 조제하고, 그것을 투명 기판 위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도공막을 경화시켜 방현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각종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LCD의 양면에 부착한 편향판의 시인측(視認側)에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구성하는 투명 기판을 점착층을 통해 점착하고, 방현층 또는 방현층 위의 반사 방지층이 시 인측에 최외층이 되도록 적층하면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투명 수지로서, 굴절률 1.67 의 지르코늄 함유 UV 아크릴레이트 수지(상품명 : KZ7391, 고형분 농도 42%, JSR 제조)를 100 부, 굴절률 1.51의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18부 혼합하여, 경화시의 굴절률이 1.60, 고형분 농도 51%의 투명 수지 용액을 얻었다. 이 투명 수지 용액 100부와, 광개시제로서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1부, 수지 미립자로서, 굴절률 1.42, 평균 입경 2.4㎛의 실리콘 수지 제조 볼형상 수지 미립자(높이 1.7㎛, 구경 1.8㎛, 두께 0.35㎛) 3.6부와, 굴절률 1.42, 평균 입경 2.4㎛ 의 실리콘 수지 제조 진구형상 수지 미립자 5.4부, 용매로서 메틸이소부틸케톤 41부를 첨가하고, 샌드밀로 30분간 분산시킴으로써 도료를 얻었다. 얻어진 도료를 막두께 80㎛, 투과율 94% 의 TAC로 이루어진 투명 기판 위에 리버스 코팅 방식으로 도포하고, 100℃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120W/cm 집광형 고압 수은등 1등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조사 거리 10cm, 조사 시간 30초) 도공막을 경화시켜, 두께 1.8㎛ 의 방현층을 갖는 실시예 1의 방현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2 종류의 수지 미립자를, 굴절률 1.42, 평균 입경 2.4 ㎛ 의 실리콘 수지 제조 볼형상 수지 미립자(높이 1.7㎛, 직경 1.8㎛, 두께 0.35㎛) 9부로 변경한 것 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8㎛의 방현층을 갖는 비교예 1의 방현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2 종류의 수지 미립자를, 굴절률 1.42, 평균 입경 2.4㎛의 실리콘 수지 제조 진구형상 수지 미립자 9부로 변경한 것 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0㎛의 방현층을 갖는 비교예 2의 방현 필름을 제작했다.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를 이하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광투과 스펙트럼 측정)
UV-가시 분광 광도계(UV-3300 : 시마즈제작소사 제조)에 의해, 400 내지 800nm의 광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도 5에 실시예 1의 방현 필름의 광투과 스펙트럼을, 도 6 및 도 7에 각각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광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진구형상 수지 미립자와 볼형상 수지 미립자를 혼합 사용한 실시예 1의 광투과 스펙트럼 도 5에서는, 가시광 영역에서 피크가 없는 거의 평탄한 투과율 곡선이 나타나 있고, 이것에 의해 실시예 1의 방현 필름이 광학적으로 착색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볼형상 수지 미립자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광투과 스펙트럼 도 6 에서는, 장파장 영역을 향해 서서히 투과율이 증가하며, 또한, 진구형상 수지 미립자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광투과 스펙트럼 도 7에서는, 400 내지 500nm 의 범위에서 피크를 가지며, 장파장 영역을 향해 투과율이 저하하고 있어, 불필요한 착색 방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인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투명 기판과, 그 적어도 한쪽 면 위에 형성된 방현층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표면용 방현 필름에 있어서,
    방현층이 수지 미립자를 투명 수지 중에 분산시켜 구성되고, 또한 수지 미립자가 각각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적어도 2 종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2. 투명 기판과, 그 적어도 한쪽 면 위에 방현층 및 반사 방지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표면용 방현 필름에 있어서,
    방현층이 수지 미립자를 투명 수지 중에 분산시켜 구성되고, 또한 수지 미립자가 각각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적어도 2 종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미립자의 적어도 1 종류는, 입자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움푹 패인 볼형상 수지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미립자의 적어도 1 종류는, 입자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움푹 패인 볼형상 수지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종류의 수지 미립자는, 상이한 형상의 수지 미립자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종류의 수지 미립자는, 상이한 형상의 수지 미립자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종류의 수지 미립자가
    A)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에 있어서, 장파장 영역을 향해 투과율이 증가하는 것,
    B)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에 있어서, 장파장 영역을 향해 투과율이 저하하는 것,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종류의 수지 미립자가
    A)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에 있어서, 장파장 영역을 향해 투과율이 증가하는 것,
    B) 단독으로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되어 얻어지는 방현층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 스펙트럼에 있어서, 장파장 영역을 향해 투과율이 저하하는 것,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KR1020050083811A 2004-09-09 2005-09-08 방현 필름 KR20060051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1750 2004-09-09
JP2004261750A JP2006078710A (ja) 2004-09-09 2004-09-09 防眩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122A true KR20060051122A (ko) 2006-05-19

Family

ID=3603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811A KR20060051122A (ko) 2004-09-09 2005-09-08 방현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57344A1 (ko)
JP (1) JP2006078710A (ko)
KR (1) KR20060051122A (ko)
CN (1) CN1746745A (ko)
TW (1) TWI33208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363A1 (en) * 2008-12-24 2010-07-01 Cheil Industries Inc. Anti-glare film comprising anti-glare agent with a shape overlapped two anti-glare p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27561A (ko) * 2013-09-04 2015-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483B1 (ko) * 2004-03-29 2007-04-24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방현 필름
JP2007207521A (ja) * 2006-01-31 2007-08-16 Tdk Corp Elパネル
EP1873126A1 (en) * 2006-02-22 2008-01-02 Central Glass Co., Ltd. Anti-Glare Glass Substrate
JP5220286B2 (ja) * 2006-06-15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098662B2 (ja) * 2007-01-22 2012-12-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EP2113950A4 (en) * 2007-02-21 2015-05-27 Panasonic Ip Man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UE028311T2 (en) * 2007-05-16 2016-12-28 Lg Chemical Ltd Composition for non-glare films and non-glare films made using it
US8216669B2 (en) * 2007-05-16 2012-07-10 Lg Chem, Ltd. Composition for anti-glare film and anti-glare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US7902266B2 (en) * 2007-11-30 2011-03-08 Taiflex Scientific Co., Ltd. Composition of anti-glare coating
US8502939B2 (en) * 2008-11-11 2013-08-06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US20110033662A1 (en) * 2009-07-23 2011-02-10 Nitto Denko Corporation Laminated film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10254444B2 (en) * 2011-07-26 2019-04-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Anti-glare film,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4011328A1 (en) 2012-07-09 2014-01-16 Corning Incorporated Anti-glare and anti-sparkle transparent structures
KR101534337B1 (ko) * 2012-12-18 2015-07-06 제일모직주식회사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4035147B (zh) * 2014-06-12 2015-09-30 中国科学院上海技术物理研究所 以锗为基底的具有太阳光反射功能的长波红外增透膜
CN110062787A (zh) * 2016-12-19 2019-07-26 日本制纸株式会社 硬涂膜
CN115407437A (zh) * 2021-05-26 2022-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抗眩光膜及其制造方法,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9011B2 (ja) * 1992-05-20 2001-11-12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おわん状微粒子とその製法
JP3515401B2 (ja) * 1998-12-18 2004-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透過型表示装置
JP3515426B2 (ja) * 1999-05-28 2004-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53922B2 (ja) * 2001-10-18 2007-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光学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3822102B2 (ja) * 2001-12-27 2006-09-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拡散フイ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711483B1 (ko) * 2004-03-29 2007-04-24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방현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363A1 (en) * 2008-12-24 2010-07-01 Cheil Industries Inc. Anti-glare film comprising anti-glare agent with a shape overlapped two anti-glare p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34712B1 (ko) * 2008-12-24 2011-05-17 제일모직주식회사 두 개의 방현입자가 중첩된 형태의 방현제를 포함하는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8256909B2 (en) 2008-12-24 2012-09-04 Cheil Industries, Inc. Antiglare film having particles for use in a displa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ntiglare film
KR20150027561A (ko) * 2013-09-04 2015-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57344A1 (en) 2006-03-16
CN1746745A (zh) 2006-03-15
JP2006078710A (ja) 2006-03-23
TW200615351A (en) 2006-05-16
TWI332088B (en)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1122A (ko) 방현 필름
JP5158112B2 (ja) 透明導電材料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3679976B2 (ja) ディスプレイ用貼着フィルム
KR100711483B1 (ko) 방현 필름
KR101487039B1 (ko) 광학 적층 필름
WO2011065531A1 (ja) 光学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TWI628247B (zh) Anti-glare film, anti-glare film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471692B1 (ko)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10037841A (ko)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US8488079B2 (en) Optical sheet for use as a display surface
CN106461820B (zh) 光扩散性片及包含该片材的背光装置
KR20080101800A (ko)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CN101900841A (zh) 抗反射膜和包括其的偏振板
KR20080053462A (ko) 방현성 광학 적층체
JP2006116754A (ja) 減反射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画像表示装置
KR20090104712A (ko)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6213804B2 (ja) 光学フィルム用基材、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90233048A1 (en) Anti-glare material and optical layered product
CN110998371A (zh) 抗反射膜
KR102027593B1 (ko) 화상 표시 장치, 방현성 필름 및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TW200848772A (en) Light-scatter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080256A (ja) 防眩フィルム
JP2004047456A (ja) 透明導電材料およびタッチパネル
CN111103637A (zh) 防反射薄膜
US8422135B2 (en) Optical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