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452A - 포장구 - Google Patents

포장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452A
KR20060049452A KR1020050044119A KR20050044119A KR20060049452A KR 20060049452 A KR20060049452 A KR 20060049452A KR 1020050044119 A KR1020050044119 A KR 1020050044119A KR 20050044119 A KR20050044119 A KR 20050044119A KR 20060049452 A KR20060049452 A KR 20060049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packaging
packaging too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754B1 (ko
Inventor
도모하루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28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 B65D71/30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unitary, i.e. integral with the tubular pack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28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 B65D71/3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formed by finger-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38Holes
    • B65D2571/00444Holes for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56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462Straps made by two slits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rt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와 다르지 않은 판두께의 종이재 등을 사용하면서 잘 파단되지 않는 포장구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원통 형상의 용기를 복수개 합쳐 포장하는 포장구 (1) 로서, 각각 판상재로 이루어진 상면부 (1A), 측면부 (1B1, 1B2) 및 저면부 (1C1, 1C2) 를 구비하고, 상면부 (1A) 에서 각 측면부 (1B1, 1B2) 로 2개의 절단선 (13) 을 형성하여 파지부 (11) 를 형성하고, 각 절단선 (13) 사이로서 상면부 (1A) 와 각 측면부 (1B1, 1B2) 의 경계 영역에 소정의 폭 및 높이를 갖는 개구부 (21) 를 형성하고, 개구부 (21) 를, 파지부 (11) 가 끌어올려져 개구부 (21) 가 용기 상단부측에 근접한 경우에, 개구부 (21) 의 폭방향 양단이 용기 상단부에 접촉하기에 앞서 개구부 (21) 의 하부 가장자리 (21a) 가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한다.
포장구

Description

포장구{PACKAGING MEAN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개시된 포장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 는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B) 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2(B) 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특히 파지부를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2 에 개시된 포장구의 사시도로서, 특히 파지부를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구의 개구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5(A) 는 사각형 형상과 삼각형 형상을 조합한 경우이고, 도 5(B) 는 사각형 형상과 원호 형상을 조합한 경우 이다.
도 6 은 종래의 포장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개시한 포장구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포장구 11: 파지(把持)부
13: 절단선 21: 개구부
21a: 하부 가장자리 25: 절단선 (원호 형상 절단선)
1A: 상면부 1B1, 1B2: 측면부
1C1, 1C2: 저면부 Wo: 개구부 폭
Lo: 개구부 높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28670호 (도 2, 요약)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551호 (도 3, 요약)
[특허문헌 3] 일본 공개실용실안공보 평7-11566호 (도 1)
본 발명은 포장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 형상의 용기를 복수개 합쳐 포장하는 포장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청량 음료수, 맥주 또는 소주 등의 음료를 수납하는 원통 형상의 용기를 복수개 합쳐 포장하는 포장구가 여러 가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캔용 멀티팩」 이라는 명칭으로, 판상의 골판지재로 입방체 형상을 만들어, 이것에 6개의 캔 용기를 수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캔용 멀티팩에는 상판으로부터 측판의 상부를 베어내어 밴드 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밴드 형상의 손잡이를 잡음으로써, 캔 용기가 수용된 멀티 팩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런데, 단순히 상판 및 측판의 상부를 베어내어 손잡이를 형성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멀티팩 내에 캔 용기가 빈틈없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멀티팩을 구성하는 골판지가 변형되지 않아, 손잡이에 손을 넣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변형성을 높이기 위해서, 멀티팩와 캔 용기 사이에 큰 간극을 형성하면, 캔 용기가 멀티팩에서 어긋나, 경우에 따라서는 멀티팩에서 빠져서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포장용 결속구도 개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포장용 결속구 (101) 는 파지부 (125) 를 형성하기 위해서 2개의 절단선 (124) 을 형성하고, 이들 절단선 (124) 사이에 별도의 절단선 (130) 을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별도의 절단선 (130) 은 수용되는 캔의 상단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지부 (125) 를 들어올리면 포장용 결속구 (101) 의 상단이 캔의 상단측에 근접하여, 절단선 (130) 이 벌어져 캔의 상단 가장자리가 들어간다. 따라서 포장용 결속구 (101) 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파지부 (125) 를 크게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장 대상물인 병 등의 헤드부를 거는 구멍 (208) 이 형성된 포장용 결속구도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이 포장용 결속구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의 헤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역삼각형 형상의 구멍 (208) 을 형성하여, 당해 구멍 (208) 에 병의 헤드부가 끼워짐으로써 병의 어긋 남이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 의 포장용 결속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파지부 (125) 사이에 형성된 절단선 (130) 이 짧기 때문에, 파지부 (125) 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경우에, 즉시 캔의 상단 가장자리가 절단선 (130) 의 양단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캔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일반적으로 상부 뚜껑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리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돌기가 절단선 (130) 의 양단부를 파고들어 각 단부에 큰 응력이 가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절단선 (130) 의 양단부가 파단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절단선 (130) 이 단순한 선 형상의 절단선이기 때문에 특히 현저히 발생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 의 포장용 결속구는 단순히 병 등의 용기의 어긋남이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구멍 (208) 이 병의 형상에 대응한 형태로 되어있다. 그래서, 손잡이 (236) 를 끌어올린 경우에, 구멍 (208) 의 하부 가장자리에 병의 외주면으로부터 힘이 가해짐과 동시에, 구멍 (208) 의 양단부에 병의 헤드부로부터의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손잡이 (236) 가 끌어올려질 때에 발생되는 힘은 즉시 구멍의 양단에 가해지고, 이 구멍 (208) 의 양단에 큰 응력이 발생하여 포장용 결속구가 파단되어 버린다.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포장구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파단되기 쉬운 상기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절단선 (130) 이나, 상기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구멍 (208) 의 둘레 가장자리를 보강재로 보강하여 잘 파단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수단은 재료비의 상승을 초래하고, 또한 후자의 수단에 있어서는 이러한 보강재가 방해가 되어 용기를 포장하기 어렵게 하거나, 또는 포장구의 외관을 손상시킨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후술하는 개구부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종래와 다르지 않은 판두께의 종이재 등을 사용하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발견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특히 청구항 1 의 발명에서는 원통 형상의 용기를 복수개 합쳐 포장하는 포장구로서, 각각 판상재로 이루어진 상면부, 측면부 및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부로부터 각 측면부로 2개의 절단선을 형성하여 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절단선의 사이로서 상기 상면부와 각 측면부의 경계 영역에 소정의 폭 및 높이를 갖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상기 파지부가 끌어올려져 상기 개구부가 용기 상단부측에 근접한 경우에, 상기 개구부의 폭방향 양단이 용기 상단부에 접촉하기에 앞서 개구부의 하부 가장자리가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파지부를 들어올리더라도 개구부의 양단에 큰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개구부 양단의 파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 의 발명에서는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파지부가 끌어올려 져 상기 개구부가 용기 상단부측에 근접한 경우라도, 상기 용기 상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폭방향 양단에 접촉하지 않는 폭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청구항 1 의 발명의 작용에 더불어, 용기 상단부에서 개구부 양단으로 직접적으로는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포장구의 파단이 더한층 방지된다.
청구항 3 의 발명에서는 상기 개구부는 역삼각형 형상을 갖는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청구항 1 또는 2 의 발명의 작용에 더불어, 개구부의 삼각형의 2변이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이 부분에서 균일하게 외력을 받아낸다. 따라서, 개구부의 각 정점에 가해지는 응력이 저감된다.
청구항 4 의 발명에서는 상기 개구부는 상기 용기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청구항 1 또는 2 의 발명의 작용에 더불어, 개구부의 원호 형상 가장자리부에서 용기의 외주면과 균일하게 접촉하므로, 파지부로부터 큰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이 힘을 원호 형상 가장자리부에서 균일하게 받아낼 수 있다. 그 결과, 포장구의 파단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청구항 5 의 발명에서는 상기 개구부의 정점에 상당하는 부분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청구항 1∼4 의 발명의 작용에 더불어, 개구부의 각 정점에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종래와 같은 선 형상의 개구부에 비교하여 응력이 한 곳에 집중되기 어렵게 되어, 포장구의 파단이 더한층 억제된다.
또한, 청구항 6 의 발명에서는 상기 개구부의 폭방향의 양측 근방에, 상기 상면부와 측면부의 경계선과 교차하는 절단선을 형성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청구항 1∼5 의 발명의 작용에 더불어, 가령 개구부의 양단으로부터 포장구가 파단된 경우라도, 해당 절단선에서 파단이 멈추고, 그 이상 진행되는 것이 억제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체 개요]
먼저,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1) 의 전개도이다. 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구 (1) 는 상면부 (1A) 와, 이 상면부 (1A) 의 양측에 이어지는 측면부 (1B1, 1B2) 와, 다시 각 측면부 (1B1, 1B2) 에 이어지는 저면부 (1C1, 1C2) 가 서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재 (1A, 1B1, 1B2, 1C1, 1C2) 는 얇은 종이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면부, 측면부 및 저면부의 경계선에서 서로 절곡되도록 되어 있다. 또, 재료로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골판지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포장구 (1) 의 폭 (W) 은 수용하는 캔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175 ㎜ 로 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의 LA 는 약 125 ㎜, 각 측면부 (1B1, 1B2) 의 LB1, LB2 는 약 170 ㎜ 로 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 (1B1, 1B2) 의 폭방향의 양단에는 용기 (예를 들어, 캔 용기) 를 포장하였을 때에 용기가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 (3)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저면부 (1C1, 1C2) 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면부 (1A) 와 동일한 약 125 ㎜ 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면부 (1C1, 1C2) 끼리의 결합은 일방의 저면부 (1C1) 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구멍 (5) 에 타방의 저면부 (1C2) 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 (7) 를 걸어맞춤하고 있다. 또한 양자를 접착제로 접합하여 실시되는 경우도 있다. 또, 도면 중의 파선은 절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구 (1) 에 포장되는 것은 원통 형상의 캔 용기이고, 높이는 약 170 ㎜, 몸통부분의 외주 직경은 약 66 ㎜, 그리고 테이퍼로 되어 있는 상단부의 직경은 약 60 ㎜ (2 와 6/16인치) 이다. 또한, 그 중량은 1개당 약 500g 정도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6개의 캔 용기를 포장하는 경우, 전체 중량은 약 3000g 이 된다. 단, 이들 치수 및 중량은 일례이고, 캔 용기의 각 부의 치수가 변화되면 그에 따라 포장구 (1) 의 각 부의 치수도 변경된다. 또한, 포장하는 대상물은 캔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 형상의 용기이면 식품을 수용하는 것 등 어떠한 용기에 대응하는 것이면 된다.
[절단선 및 파지부]
상면부 (1A) 에는 파지부 (11) 를 형성하기 위한, 소정의 만곡 형상을 갖는 2개의 절단선 (13)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절단선 (13) 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 절단선 (13) 의 단부는 측면부 (1B1, 1B2) 의 일부에까지 이르고 있다. 각 절단선 (13) 사이에 있는 영역의 폭은 중앙부가 넓고, 각 측면부 (1B1, 1B2) 방향으로 향해 일단 좁게 되어 있다. 그리고 또, 측면부 (1B1, 1B2) 와의 경계 영역을 향해서 다시 넓어져, 이 부분은 이른바 八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 (1B1, 1B2) 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八자 모양으로 되어있다. 여기서, 2개의 절단선 (13) 사이에 있는 영역의 가장 폭이 좁은 부분은 상면부 (1A) 에 존재하고, 그 폭은 예를 들어 30 ㎜ 이다. 단, 이 값은 일례이고, 20 ㎜ 일 수도 있고 40 ㎜ 일 수도 있고, 또한 이들 사이의 값일 수도 있다.
한편, 상면부 (1A) 중앙의 폭이 넓은 부분은 약 72 ㎜ 의 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폭이 넓은 부분에는 각각 대략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절곡선 (15) 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삼각형의 1변은 포장구 (1) 의 폭방향에 직각이고, 나머지 2변은 폭방향에 대하여 30°정도 경사져 있다. 그리고,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절곡선 (15) 끼리의 간격은 상기 폭의 가장 좁은 부분의 30 ㎜ 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 (1A) 와 측면부 (1B1, 1B2) 의 경계선 상의 2개의 절단선 (13) 의 간격은 약 110 ㎜ 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절단선 (13) 은 전체 길이에 걸쳐 완전히 절단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곳곳이 접합된 채로 되어 있는 불연속 절단선 (13) 이다. 이것은 파지부 (11) 를 사용하기 전에 파지부 (11) 가 떠올라, 운반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단, 처음부터 전체가 완전히 절단된 연속적인 절단선이 어도 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각 절단선 (13) 의 측면부 (1B1, 1B2) 에 이르는 각 단부는 포장구 (1) 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는 대략 반원호 형상부 (19) 로 되어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 (11) 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절단선 (13) 의 단부에서 포장구 (1) 가 파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개구부]
다음으로, 2개의 절단선 (13) 의 사이에 있으며, 상면부 (1A) 와 측면부 (1B1, 1B2) 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 (21) 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개구부 (21) 는 캔 용기가 포장될 때에, 캔 용기의 상단부가 근접 또는 접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파지부 (11) 가 끌어올려져 개구부 (21) 가 용기 상단부측에 근접한 경우에, 개구부 (21) 의 폭방향 양단이 용기 상단부에 접촉하기에 앞서 개구부의 하부 가장자리 (21A) 가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21) 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고 있고, 2개의 정점이 상면부 (1A) 와 측면부 (1B1, 1B2) 의 경계선 근방에 위치하고, 나머지 정점이 측면부 (1B1, 1B2) 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당해 포장구 (1) 가 조립된 경우에는 개구부 (21) 는 상면부 (1A) 와 측면부 (1B1, 1B2) 를 걸쳐세워 역삼각형의 방향이 된다. 또한, 개구부 (21) 의 각 정점 (23) 은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오려져 있다. 이것은 해당 정점 (23) 에서 포장구 (1) 가 파단되지 않 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이 개구부 (21) 는 용기 상단부측에 근접하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부분과,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5(A) 참조).
개구부 (21) 의 폭 (Wo) 은 포장하는 캔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51 ㎜ 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캔 용기의 상단부의 직경 약 60 ㎜ 와의 관계를 고려하면, 개구부 폭 (Wo) : 상단부 직경 ≒ 5 : 6 의 관계가 성립된다. 이러한 관계가 성립되도록 개구부 폭과 용기 상단부 직경의 비를 정하면, 용기 상단부는 개구부 (21) 의 폭방향 양단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실험에 의해 판명되었다. 또한, 개구부 (21) 의 높이 (Lo; 도면 중의 상하 방향) 는 약 21 ㎜ 로 되어 있다. 또, 이들의 값은 일례이고, 개구부 폭 (Wo) 이 40 ㎜ ∼ 60 ㎜ 정도일 수도 있고, 높이 (Lo) 가 10 ㎜ ∼ 30 ㎜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 (21) 의 폭방향의 양단 근방에는 개구부 (21) 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절단선 (25; 원호 형상 절단선)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 형상 절단선 (25) 은 개구부 (21) 의 양단의 원호를 따르는 방향 (폭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볼록한 원호) 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원호 형상 절단선 (25) 의 길이는 다양하게 선택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면부 (1A) 와 측면부 (1B1, 1B2) 의 경계선을 가운데 두고 약 10 ㎜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작용]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포장구 (1) 의 작용에 관해서 도 2 ∼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포장구 (1) 로 6개의 캔 용기를 포장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아직 파지부 (11) 가 끌어올려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 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캔 용기는 2개씩 3열로 배열되어 포장되어 있고, 중앙의 2개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지부 (11)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도 및 정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의 캔 용기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장구 (1) 의 개구부 (21) 가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도면과 같이 파지부 (11) 가 끌어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캔 용기의 상단부가 개구부 (21) 의 각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3 은 도 2(B) 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특히 파지부 (11) 가 끌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지부 (11) 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파지부 (11) 의 중앙부에서의 양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부분을 포장구 (1) 의 내측으로 절곡한다. 이 때, 만곡되어 있는 부분에는 삼각형 형상의 절곡선 (15)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절곡선 (15) 을 따라 파지부 (11) 의 일부가 절곡되어, 용이하게 캔 용기끼리의 간극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파지부 (11) 의 밑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파지부 (11) 를 잡음으로써, 파지부 (11) 를 끌어올릴 수 있게 된다. 파지부 (11) 를 끌어올리면, 이에 따라 포장구 (1) 의 상단부는 파지부 (11) 의 중심 방향으로 다가간다. 따라서, 포장구 (1) 에 형성된 개구부 (21) 가 캔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에 접근하게 된다.
그러나, 개구부 (21) 의 폭 (Wo) 은 종래의 것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구부 (21) 의 양단이 캔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에 접촉하기에 앞서, 개구부의 하부 가장자리 (21a) 가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이 점은 개구부 (21) 의 주변을 확대한 사시도인 도 4 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 (21) 의 양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이 부분이 파단되지 않는다. 가령, 예상을 넘는 큰 외력이 가해져 개구부 (21) 의 양단이 파단된 경우라도, 상기 원호 형상 절단선 (25) 이 양측 근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단이 이 원호 형상 절단선 (25) 에서 멈추어,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개구부 (21) 의 2개의 하부 가장자리 (21a) 는 파지부 (11) 가 끌어올려짐에 따라 캔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이 때, 개구부 (21) 는 2개의 하부 가장자리 (21a) 에 의해서 역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각 하부 가장자리 (21a) 가 긴 범위에서 캔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각 하부 가장자리 (21a) 에는 국부적으로 큰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는 없고, 또한, 하부 가장자리 (21a) 는 직선이므로 이 하부 가장자리 (21a) 로부터 포장구 (1) 가 파단되는 경우도 없다. 또, 당해 2개의 하부 가장자리 (21a) 대신에, 개구부 (21) 의 하부 가장자리 전체를 하방으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캔 용기의 외주면이 접촉하는 개구부 (21) 의 하부 가장자리를 원호 형상으로 함으로써, 보다 균일하게 캔 용기와 접촉하게 되어 포장구의 파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개구부 (21) 는 용기 상단부측에 근접하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부분과,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대략 원호 형상의 부분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5(B) 참조).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에서는 개구부 (21) 의 폭방향 양단이 용기 상단부에 접촉하는 경우도 상정되지만, 용기의 치수나 포장구의 재료 강도 등도 고려하여, 개구부 (21) 의 양단이 용기 상단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부 (1B1, 1B2) 까지 이르고 있는 절단선 (13) 의 단부는 포장구 (1) 의 중심측으로 향하는 반원호 형상부 (19) 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단선 (13) 의 단부를 중심측으로 향하게 한 경우, 파지부 (11) 에 큰 힘이 가해지더라도 절단선 (13) 의 단부에서 포장구 (1) 가 잘 파단되지 않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종이 등의 재료로 제조되는 포장구로서, 중량이 있는 캔 용기 등을 복수개 합쳐 포장하는 포장구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구에서는 포장구의 상단부에 폭이 넓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구부의 양단에 용기의 상단부가 접촉하기에 앞서, 개구부의 하부 가장자리부가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이 하부 가장자리에서 힘을 받아내므로, 개구부 양단에서의 파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원통 형상의 용기를 복수개 합쳐 포장하는 포장구로서,
    각각 판상재로 이루어진 상면부, 측면부 및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부로부터 각 측면부로 2개의 절단선을 형성하여 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절단선의 사이로서 상기 상면부와 각 측면부의 경계 영역에 소정의 폭 및 높이를 갖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상기 파지부가 끌어올려져 상기 개구부가 용기 상단부측에 근접한 경우에, 상기 개구부의 폭방향 양단이 용기 상단부에 접촉하기에 앞서 개구부의 하부 가장자리가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파지부가 끌어올려져 상기 개구부가 용기 상단부측에 근접한 경우라도, 상기 용기 상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폭방향 양단에 접촉하지 않는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역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용기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정점에 상당하는 부분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폭방향의 양측 근방에, 상기 상면부와 측면부의 경계선과 교차하는 절단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구.
KR1020050044119A 2004-05-31 2005-05-25 포장구 KR101041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61240A JP4427386B2 (ja) 2004-05-31 2004-05-31 包装具
JPJP-P-2004-00161240 2004-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452A true KR20060049452A (ko) 2006-05-19
KR101041754B1 KR101041754B1 (ko) 2011-06-17

Family

ID=3548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119A KR101041754B1 (ko) 2004-05-31 2005-05-25 포장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27386B2 (ko)
KR (1) KR101041754B1 (ko)
CN (1) CN100513270C (ko)
HK (1) HK1081503A1 (ko)
TW (1) TW2006004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706513A2 (pt) * 2006-01-12 2011-03-29 Graphic Packaging Int Inc embalagem de transporte, método para transportar uma embalagem de transporte, e matriz
JP5850605B2 (ja) * 2010-08-31 2016-02-03 ミードウエストベコ 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 頂部把持型カートンの組み立て方法
US10093447B2 (en) * 2014-02-14 2018-10-09 Riken Technos Corporation Packing box
US10093467B2 (en) 2014-05-23 2018-10-09 Sca Hygiene Products Ab Package containing rolls of absorbent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1A (ja) * 1994-06-17 1996-01-09 Rengo Co Ltd 包装用結束具
GB9413865D0 (en) * 1994-07-08 1994-08-24 Mead Corp Carton and divider panel
US5595292A (en) * 1995-01-04 1997-01-21 The Mead Corporation Carton having shock-absorbing carrying handle and package formed therefrom
US5609251A (en) * 1995-12-01 1997-03-11 Riverwood International Corporation Wrap-around carrier with partial end panels
GB9713015D0 (en) * 1997-06-20 1997-08-27 Mead Corp Article carrier
JP2004359256A (ja) * 2003-06-02 2004-12-24 Suntory Ltd マルチパック用包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27386B2 (ja) 2010-03-03
CN100513270C (zh) 2009-07-15
TW200600422A (en) 2006-01-01
KR101041754B1 (ko) 2011-06-17
HK1081503A1 (en) 2006-05-19
TWI326665B (ko) 2010-07-01
CN1704320A (zh) 2005-12-07
JP2005335804A (ja)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5812A (en) Multi-container package
JP4077790B2 (ja) 缶用のキャリアおよび缶用のキャリアのための厚紙半製品
EP0639511B1 (en) Container package with composite carrier
JP4921688B2 (ja) 横方向ストラップハンドルを有したカートン
KR101041754B1 (ko) 포장구
CZ20021491A3 (cs) Nádoba, která můľe být opětovně uzavřena, s vylévacím otvorem
WO2000043279A2 (en) Reinforced bottle having integral handles
EP0587700A1 (en) Top-gripping doublerow article carrier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gripping
EP1077185B1 (en) Carrier and package
JPH1059319A (ja) 包装具
SK11212003A3 (sk) Obopínací kartónový obal a prírez
US4566626A (en) End loading can carton
JP5588192B2 (ja) マルチパック及びマルチパック展開体
KR200485659Y1 (ko) 손잡이가 마련된 포장상자
JP5586510B2 (ja) 手詰めマルチパック
JP3092115U (ja) 冷凍食品用パッケージ
RU2805096C1 (ru) Несу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руппировк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абора банок для напитков
JPH0635111U (ja) 提げ手付きカートン
KR200244917Y1 (ko) 용기손잡이
JP3133527U (ja) 角部取手穴付きカートンケース
KR200423233Y1 (ko) 포장용 용기
JP3837984B2 (ja) 梱包
JP3059386U (ja) 包装用かご
JP3114888U (ja) 手穴つき包装箱
KR200423231Y1 (ko) 포장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