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520A - 음상정위장치 - Google Patents

음상정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520A
KR20060048520A KR1020050055088A KR20050055088A KR20060048520A KR 20060048520 A KR20060048520 A KR 20060048520A KR 1020050055088 A KR1020050055088 A KR 1020050055088A KR 20050055088 A KR20050055088 A KR 20050055088A KR 20060048520 A KR20060048520 A KR 20060048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audio signal
function
audio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야마다
고유루 오키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복수의 독립음상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청취시킨다.
입력 오디오 신호(SA)로부터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무상관화 함수와, 복수의 오디오 신호 각각의 음상을 임의의 음원위치에 정위 시키기 위해 음상정위함수를 일괄한 1쌍의 출력함수(hl(x) 및 hr(x))를 이용하고, 입력 오디오 신호에 대한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신호처리수단(11L, 11R)으로 일괄하여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복수의 독립음상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상정위장치{Sound image localization apparatus}
도 1은, 제 1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FIR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제 1의 실시형태의 음상정위처리부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무상관화 처리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무상관화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6은, 무상관화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7은, 제 1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에 의한 음상정위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 이다.
도 8은, 제 2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제 2의 실시형태의 음상정위처리부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제 2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에 의한 음상정위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이다.
도 11은, 제 3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는, 제 3의 실시형태의 음상정위처리부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은, 제 3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에 의한 음상정위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이다.
도 14는, 음상정위처리 순서의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15는, 종래의 헤드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6은, 헤드폰장치에 의한 음상정위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이다.
도 17은, FIR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8은, 복수 음원의 경우의 전달함수의 설명에 제공하는 약선도이다.
도 19는, 2채널 대응의 헤드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20, 30, 100, 101. 헤드폰장치
11, 21, 31. 음상정정위 처리부
본 발명은 음상정위장치에 관하여, 예를 들면 헤드폰으로 재생되는 음상을 임의의 위치에 정위시키는 경우에 적용하여 매우 적합한 것이다.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공급하여 재생했을 경우, 그 음상은 청취자의 전방에 정위한다. 이것에 대하여 동일 오디오 신호를 헤드폰장치에 공급하여 재생했 을 경우, 음상은 청취자의 두내(頭內)에 정위하고, 이것에 의해 극히 부자연스러운 음장을 구성해 버린다.
이와 같은 헤드폰장치에 있어서의 음상정위의 부자연스러움을 개선하기 위해, 임의의 스피커 위치에서 청취자의 양쪽귀까지의 임펄스응답을 측정 혹은 계산해 두고, 디지털 필터등을 이용하여 상기 임펄스응답을 오디오 신호에 콘벌루트(convolute)하여 재생함으로써, 마치 실제의 스피커로부터 재생한 것 같은 자연스러운 음상의 두외(頭外)정위(定位)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헤드폰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도 15는, 1채널의 오디오 신호의 음상을 두외정위 시키는 헤드폰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헤드폰장치(100)는, 입력단자(1)를 거쳐서 입력된 1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회로(2)로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SD)를 생성하고, 이것을 디지털 처리회로(3L 및 3R)에 공급한다. 디지털 처리회로(3L 및 3R)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SD)에 대하여 두외정위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실시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위시키려고 하는 음원(SP)이 청취자(M)의 정면에 위치하고 있으면, 상기 음원(SP)으로부터 출력된 소리는 전달함수(HL 및 HR)를 가지는 경로를 거쳐서 청취자(M)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에 도달한다. 이와같은 전달함수(HL 및 HR)를 시간축으로 변환한, 왼쪽 채널 및 오른쪽 채널의 임펄스응답을 미리 측정 혹은 계산해 둔다.
디지털 처리회로(3L 및 3R)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SD)에 대하여 각각 상술 한 왼쪽 채널 및 오른쪽 채널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트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SDL 및 SDR)로서 출력한다. 덧붙여서, 디지털 처리회로(3L 및 3R)는,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FIR(Finite Impulse Response)필터로 구성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4R)는, 각각 디지털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L 및 SAR)를 생성하고, 대응하는 앰프(5L 및 5R)로 증폭하여 헤드폰(6)에 공급한다. 그리고 헤드폰(6)의 음향 유닛(전기·음향변환소자)(6L 및 6R)는, 각각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L 및 SAR)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헤드폰(6)으로부터 출력되는 좌우의 재생음은, 도 16에 나타내는 음원(SP)으로부터 전달함수(HL, HR)를 가지는 경로를 각각 거쳐서 도달한 소리와 동등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 청취자가 헤드폰(6)을 장착하고 그 재생음을 들을 때, 그 음상은 도 16에 나타내는 음원(SP)의 위치에 정위한다(즉 두외정위).
[특허 문헌1] 특개 2000-227350 공보
이상은 음상이 1개의 경우에 대한 설명이지만, 상술한 구성을 복수 설치함으로써, 복수 음상을 각각 다른 음원위치에 정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상을 청취자 왼쪽 전방의 음원(SPa) 및 오른쪽 전방의 음원(SPb)의 2개소에 각각 두외정위 시키는 다채널 대응의 헤드폰장치(101)를,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왼쪽 전방 음원(SPa)에서 청취자(M)의 양쪽귀로의 전달함수(HaL 및 HaR), 오른쪽 전방 음원(SPb)에서 청취자 (M)의 양쪽귀로의 전달함수(HbL 및 HbR)를 각각 시간축으로 변환한 임펄스응답을, 미리 측정 혹은 계산해 둔다.
도 19에 있어서, 헤드폰장치(101)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회로(2a)는, 입력단자(1f)를 거쳐서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a)를 디지털 변환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SDa)를 생성하고, 이것을 후단의 디지털 처리회로(3aL 및 3aR)에 공급한다. 동일하게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회로(2b)는, 입력단자(1b)를 거쳐서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b)를 디지털 변환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SDb)를 생성하고, 이것을 후단의 디지털 처리회로(3bL 및 3bR)에 공급한다.
디지털 처리회로(3fL 및 3uL)는, 각각 디지털 오디오 신호(SDf 및 SDu)에 대하여 왼쪽 귀로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트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SDf 및 SDuL)로서 가산회로(7L)에 공급한다. 동일하게 하여 디지털 처리회로(3fR 및 3uR)는, 각각 디지털 오디오 신호(SDf 및 SDu)에 대하여 오른쪽 귀로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트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SDfR 및 SDuR)로서 가산회로(7R)에 공급한다. 각 디지털 처리회로(3fL 및 3fR, 3uL 및 3uR)는, 어느 것도 도 17에 나타내는 FIR필터로 구성된다.
가산회로(7L)는, 임펄스응답이 콘벌루트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SDfL 및 SDuL)를 가산하고 왼쪽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SDL)를 생성한다. 동일하게 가산회로(7R)는, 임펄스응답이 콘벌루트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SDfR 및 SDuR)를 가산하고 오른쪽 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SDR)를 생성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4R)는, 각각 디지털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아날로그 변환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L 및 SAR)를 생성하고, 대응하는 앰프(5L 및 5R)로 증폭하고 헤드폰(6)에 공급한다. 그리고 헤드폰(6)의 음향유닛(6L 및 6R)은, 각각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L 및 SAR)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때 헤드폰(6)으로부터 출력되는 좌우의 재생음은, 도 18에 나타내는 정면 음원(SPf)에서 전달함수(HfL 및 HfR)를 가지는 경로를 거쳐서 도달한 소리 및 윗쪽 음원(SPu)에서 전달함수(HuL 및 HuR)를 가지는 경로를 거쳐서 도달한 소리와 동등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 청취자가 헤드폰(6)을 장착하고 그 재생음을 들을 때, 그 음상은 정면 음원(SPf) 및 위쪽 음원(SPu)의 위치에 정위한다.
한편, 복수의 무상관화 필터나 밴드패스필터를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부터 복수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의사적으로 생성하는 다채널화 장치가 있다.
이 다채널화 장치와 상술한 다채널 대응의 헤드폰장치(101)를 조합하면,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기본으로 하여 다수의 음상을 형성 할 수 있는 헤드폰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실제상, 음상의 수에 따른 무상관화 필터나 디지털 처리회로가 필요하고, 이것에 의해 장치 전체의 규모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이한 구성으로, 복수의 독립음상을 형성하고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는 음상정위장치를 제안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음상정위장치에 대해서는,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한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음상이 임의의 음원위치에 정위하도록 좌우 채널의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음상정위장치에 있어서,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무상관화 함수와 복수의 오디오 신호 각각의 음상을 임의의 음원 위치에 정위시키기 위한 음상정위함수를 일괄한 1쌍의 출력함수를 이용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함으로써, 좌우 채널의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음상정위장치에 설치하도록 했다.
무상관화 함수와 음상정위함수를 일괄한 1쌍의 출력함수를 이용하고, 입력 오디오 신호에 대한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신호처리수단으로 일괄하여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복수의 독립음상을 형성하고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는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음상정위방법에 있어서는,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한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음상이 임의의 음원위치에 정위하도록 좌우채널의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음상정위방법에 있어서,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무상관화 함수를 결정하는 무상관화 함수 결정 스텝과, 복수의 오디오 신호 각각의 음상을 임의의 음원위치에 정위시키기 위한 음상정위함수를 결정하는 음상정위함수 결정 스텝과, 무상관화 함수 및 음상정위함수를 일괄한 1쌍의 출력함수를 결정하는 출력함수 결정 스텝과, 1쌍의 출력함수를 이용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함으로써, 좌우 채널의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용 오디오 신호 생성 스텝을 설치하도록 했다.
무상관화 함수와 음상정위함수를 일괄한 1쌍의 출력함수를 이용하고, 입력 오디오 신호에 대한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일괄하여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고 쉬운 처리로, 복수의 독립음상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는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음상정위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정보처리 장치에 대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한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의 각각의 음상이 임의의 음원위치에 정위하도록 좌우 채널의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음상정위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무상관화 함수를 결정하는 무상관화 함수 결정 스텝과, 복수의 오디오 신호 각각의 음상을 임의의 음원 위치에 정위시키기 위한 음상정위함수를 결정하는 음상정위 함수 결정 스텝과, 무상관화 함수 및 상기 음상정위함수를 일괄한 1쌍의 출력함수를 결정하는 출력함수 결정 스텝과, 1쌍의 출력함수를 이용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함으로써, 좌우 채널의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용 오디오 신호 생성 스텝을 설치하도록 했다.
무상관화 함수와, 음상정위함수를 일괄한 1쌍의 출력함수를 이용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에 대한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일괄하여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고 쉬운 처리로, 복수의 독립음상을 형성하고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는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상술한다.
(1) 제 1의 실시의 형태
(1-1) 헤드폰장치의 전체 구성
도 15 및 도 19와의 공통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내는 도 1에 있어서, 10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를 나타내고, 입력되는 1 채널의 오디오 신호(SA)로부터 n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음상을 다른 위치에 정위시켜 청취자에 청취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음상정위장치로서의 헤드폰장치(10)는, 입력단자(1)를 거쳐서 입력된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SA)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회로(2)로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SD)를 생성하고, 이것을 본원 발명의 특징인 음상정위처리부(11)에 공급한다. 음상정위처리부(11)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L 및 11R)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IR필터로 구성된다.
음상정위처리부(11)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L 및 11R)는, 오디오 신호(SD)에 대하여 후술하는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개의 음상이 각각 다른 음원위치(SP1~SPn)에 정위하는 바와 같이 왼쪽 채널 및 오른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생성하고, 후단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4R)에 공급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4R)는, 각각 디지털의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아날로그 변환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SAL 및 SAR)를 생성하고, 후단의 앰프(5L 및 5R)로 증폭하고 헤드폰(6)에 공급한다. 그리고 헤드폰(6)의 음향 유닛(6L 및 6R)은, 각각 오디오 신호(SAL 및 SAR)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1-2) 음상정위처리부의 등가처리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인 음상정위처리부(11)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상정위처리부(11)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처리와 등가인 처리가 행해진다. 우선 무상관화 처리회로(12)는 미리 정해진 전달함수에 근거하여, 입력한 오디오 신호(SD)(이것을 입력신호(x)로 한다)를, 서로 상관성이 낮은 무상관신호 y1=f1(x), y2=f2(x),……yn=fn(x)으로 분리한다.
이 무상관화 처리회로(1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FIR 필터를 병렬로 설치하여 구성된다. 각 FIR 필터는 각각 무상관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FIR필터가 각각 고유의 저지 대역을 가지고 있거나, 혹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FIR필터가 각각 고유의 대역으로 신호위상을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입력신호(x)로부터 분리된 무상관신호 y1=f1(x), y2=f2(x),……yn=fn(x)는, 각각 후단의 음상정위필터(13aL 및 13aR, 13bL 및 13bR,……13nL, 13nR)에 입력되며, 각각 다른 음상위치로의 정위처리가 실시된다.
예를 들면 음상정위필터(13aL 및 13aR)는, 무상관신호 y1=f1(x)에 대하여 도 7에 나타내는 gl1 및 gr1로 되는 전달함수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트함으로써, 그 음 상이 음원위치(SP1)에 위치하도록 정위신호(gl1(y1) 및 gr1(y1))를 생성하고, 각각을 가산기(14L 및 14R)에 공급한다.
이하 동일하게 음상정위필터(13bL 및 13bR,……13nL 및 13nR)는, 각각 무상관신호(y2=f2(x),……yn=fn(x))에 대하여 도 7에 나타내는 gl2 및 gr2,……gln 및 grn로 되는 전달함수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트함으로써, 그 음상이 음원위치(SP2,……SPn)에 위치하는 정위신호 gl2(y2) 및 gr2(y2),……gln(yn) 및 grn(yn)를 생성하고, 각각을 가산기(14L 및 14R)에 공급한다.
가산기(14L)는, 정위신호(gl1(y1), gl2(y2),……gln(yn))를 합성하고 출력신호(hl(x))를 생성하고, 이것을 왼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L)로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앰프(5L)를 거쳐서 헤드폰(6)에 공급한다. 또 가산기(14R)는, 정위신호(gr1(y1), gr2(y2),……grn(yn))를 합성하고 출력신호(hr(x))를 생성하고, 이것을 왼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R)로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R) 및 앰프(5R)를 거쳐서 헤드폰(6)에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헤드폰장치(10)는, 입력한 1채널의 오디오 신호(SA)로부터, n개의 음상이 각각 다른 위치에 정위하도록 음장을 형성하고 청취자(M)에게 청취시킬 수 있다.
(1-3) 음상정위처리부에 있어서의 실제처리
다음에, 음상정위처리부(11)에 있어서의 실제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 술한 가산기(14L) 및 가산기(14R)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hl(x) 및 hr(x))는, 각각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hl(x)=gl1(y1)+gl2(y2)+……+gln(yn)
hr(x)=gr1(y1)+gr2(y2)+……+grn(yn)  ……(1)
여기서, y1=f1(x), y2=f2(x),……yn=fn(x)이기 때문에, y1, y2,……yn는 어느 것도 입력신호(x)에 의존하는 함수이다. 이 때문에 출력신호(hl(x) 및 hr(x))도 입력신호(x)에 의존하는 함수로 된다.
본원 발명의 헤드폰장치(10)는 이것을 이용하여, 각각 1개의 FIR필터로 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L 및 11r)에 의해서, 출력신호(hl(x) 및 hr(x))를 하나의 처리로 생성한다.
(1-4)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헤드폰장치(10)의 음상정위처리부(11)는, 오디오 신호(SD)에 대하여 무상관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n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음상정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n개의 음상이 각각 다른 음원위치(SP1~SPn)에 정위하는 왼쪽 채널 및 오른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생성한다.
이 때 헤드폰장치(10)는, n채널의 오디오 신호가 어느 것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SD)로부터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1쌍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L 및 11r)에서 통합적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헤드폰장치(10)는, FIR필터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L 및 11r)를 1쌍 설치하는 것만으로, 1개의 오디오 신호(SD)로부터, n개의 독립음상을 구성하는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헤드폰장치(10)는, 오디오 신호(SD)에 대한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1쌍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L 및 11r)에 의하여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복수의 독립음상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는 헤드폰장치(10)를 실현할 수 있다.
(2) 제 2의 실시형태
(2-1) 헤드폰장치의 전체 구성
도 1과의 공통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는 도 8에 있어서, 20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를 나타내고,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SAa)로부터 2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오디오 신호(SAb)로부터도 2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합계 4채널의 음상을 다른 위치에 정위시켜 청취자에게 청취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음상정위장치로서의 헤드폰장치(20)는, 입력단자(1a 및 1b)를 거쳐서 입력된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SAa 및 SAb)를, 각각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회로(2a 및 2b)로 디지털 변환하고 디지털의 오디오 신호(SDa 및 SDb)를 생성하고, 이것을 음상정위처리부(21)에 공급한다. 음상정위처리부(21)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는, 어느 것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IR필터로 구성된다.
음상정위처리부(21)는, 오디오 신호(SDa 및 SDb)에 대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에 의하여 후술하는 무상관화처리 및 음상정위 처리를 실시한 후, 신호합성수단으로서의 가산기(22L 및 22R)로 합성함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 4개의 음상이 각각 다른 음원위치(SP1~SP4)에 정위하도록 왼쪽 채널 및 오른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생성하고, 후단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4R)에 공급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4R)는, 각각 디지털의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SAL 및 SAR)를 생성하고, 후단의 앰프(5L 및 5R)로 증폭하여 헤드폰(6)에 공급한다. 그리고 헤드폰(6)의 음향 유닛(6L 및 6R)은, 각각 오디오 신호(SAL 및 SAR)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2-2) 음상정위처리부의 등가처리
다음으로, 음상정위처리부(21)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음상정위처리부(21)에서는, 오디오 신호(SDa)에 대하여 무상관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생성한 2개의 오디오 신호를, 도 10에 나타내는 왼쪽 전방의 음원(SP1) 및 왼쪽 후방의 음원(SP3)의 위치에 정위시키는 동시에, 오디오 신호(SDb)에 대하여 무상관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생성한 2개의 오디오 신호를, 도 10에 나타내는 오른쪽 전방의 음원(SP1) 및 오른쪽 후방의 음원(SP3)의 위치에 정위시킨다.
이 때 음상정위처리부(21)는, 상술한 제 1의 실시형태의 음상정위처리부(11)와 동일하게 각각 1개의 FIR필터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처리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에 의하여 통괄적으로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우선, 음상정위처리부(21)에 의한 처리의 등가처리를,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무상관화 처리회로(23a)는 미리 정해진 전달함수에 근거하여, 입력한 오디오 신호(SDa)(이것을 입력신호(x1)로 한다)를, 서로 상관성이 낮은 무상관신호 y1=f1(x1) 및 y2=f2(x1)로 분리한다.
오디오 신호(SDa)로부터 분리된 무상관신호 y1=f1(x1) 및 y2=f2(x1)는, 각각 후단의 음상정위필터(24aL 및 24aR, 24bL 및 24bR)에 입력되며, 다른 음상위치로의 정위처리가 실시된다.
즉 음상정위필터(24aL 및 24aR)는, 무상관신호 y1=f1(x1)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gl1및 gr1로 이루어지는 전달함수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트함으로써, 그 음상이 음원위치(SP1)에 위치하도록 정위신호(gl1(y1) 및 gr1(y1))를 생성하고, 각각을 가산기(25L 및 25R)에 공급한다.
동일하게 음상정위필터(24bL 및 24bR)는, 무상관신호 y2=f2(x1)에 대하여 도 도 10에 나타내는 gl2 및 gr2로 이루어지는 전달함수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트함으로써, 그 음상이 음원위치(SP2)에 위치하는 정위신호(gl2(y2) 및 gr2(y2))를 생성하고, 각각을 가산기(25L 및 25R)에 공급한다.
한편 무상관화 처리회로(23b)는 미리 정해진 전달함수에 근거하여, 입력한 오디오 신호(SDb)(이것을 입력신호(x2)로 한다)를, 서로 상관성이 낮은 무상관신호 (y3=f3(x2) 및 y4=f4(x2))로 분리한다.
오디오 신호(SDb)로부터 분리된 무상관신호(y3=f3(x2) 및 y4=f4(x2))는, 각각 후단의 음상정위필터(24cL 및 24cR, 24dL 및 24dR)에 입력되어 각각 다른 음상위치로의 정위처리가 실시된다.
즉 음상정위필터(24cL 및 24cR)는, 무상관신호(y3=f3(x2))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gl3 및 gr3 로 이루어지는 전달함수의 임펄스응답을 간직함으로써, 그 음상이 음원위치(SP3)에 위치하도록 정위신호(gl3(y3) 및 gr3(y3))를 생성하고, 각각을 가산기(22L 및 22R)에 공급한다.
동일하게 음상정위필터(24dL 및 24dR)는, 무상관신호 y4=f4(x2)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gl4 및 gr4 로 이루어지는 전달함수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트함으로써, 그 음상이 음원위치(SP4)에 위치하도록 정위신호(gl4(y4) 및 gr4(y4))를 생성하여, 각각을 가산기(22L 및 22R)에 공급한다.
가산기(22 L)는, 정위신호(gl1(y1), gl2(y2), gl3(y3) 및 gl4(y4))를 합성하여 출력신호(hl(x))를 생성하고, 이것을 왼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L)로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앰프(5L)를 거쳐서 헤드폰(6)에 공급한다. 또 가산기(22R)는, 정위신호(gr1(y1), gr2(y2), gr3(y3) 및 gr4(y4))를 합성하여 출력신호(hr(x))를 생성하고, 이것을 오른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R)로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앰프(5L)를 거쳐서 헤드폰(6)에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헤드폰장치(10)는, 입력한 2 채널의 오디오 신호(SAa 및 SAb)에서, 4개의 음상이 각각 다른 위치에 정위하도록 음장을 형성하고 청취자(M)에게 청취시킬 수 있다.
(2-3) 음상정위처리부에 있어서의 실제처리
다음에, 음상정위처리부(21)에 있어서의 실제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가산기(14L) 및 가산기(14R)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hl(x) 및 hr(x))는, 각각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hl(x)=gl1(y1)+gl2(y2)+gl3(y3)+gl4(y4)
hr(x)=gr1(y1)+gr2(y2)+gr3(y3)+gr4(y4) ……(2)
여기서, y1=f1(x1), y2=f2(x1)이며, y3=f3(x2), y4=f4(x2)이기 때문에, y1 및 y2는 어느 것도 입력신호(x1)에 의존하는 함수이며, y3 및 y4는 어느 것도 입력신호(x2)에 의존하는 함수이다. 이 때문에 출력신호(hl(x) 및 hr(x))도, 입력신호(x1 및 x2)에 의존하는 함수로 된다.
본원 발명의 헤드폰장치(20)는 이것을 이용하여, 각각 1개의 FIR 필터로 이루어지는 4개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에 의하여 출력신호(hl(x) 및 hr(x))를 생성한다.
즉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aL)는, 입력신호(x1)(즉 오디오 신호(SDa))에 유 래하는 왼쪽 채널의 정위신호(gl1(y1)+gl2(y2))를 생성하고, 가산기(22L)에 공급한다. 또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bL)는, 입력신호(x2)(즉 오디오 신호(SDb))에 유래하는 왼쪽 채널의 정위신호(gl3(y3)+gl3(y3))를 생성하고, 가산기(22L)에 공급한다.
그리고 가산기(22L)는, 정위신호(gl1(y1), gl2(y2), gl3(y3) 및 gl3(y3))를 가산하여 출력신호(hl(x))를 생성하고, 이것을 왼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L)로서 출력한다.
또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aR)는, 입력신호(x1)에 유래하는 오른쪽 채널의 정위신호(gr1(y1)+gr2(y2))를 생성하고, 가산기(22R)에 공급한다. 또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bR)는, 입력신호(x2)에 유래하는 오른쪽 채널의 정위신호(gr3(y3)+gr3(y3))를 생성하고, 가산기(22R)에 공급한다.
그리고 가산기(22R)는, 정위신호(gr1(y1), gr2(y2), gr3(y3) 및 gr3(y3))를 가산하여 출력신호(hr(x))를 생성하고, 이것을 오른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R)로서 출력한다.
(2-4)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헤드폰장치(20)의 음상정위처리부(21)는, 오디오 신호(SDa 및 SDb)에 대하여 각각 무상관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합계 4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한층 더 음상정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4개의 음상이 각각 다른 음원위치(SP1~SP4)에 정위하도록 왼쪽 채널 및 오른쪽 채널의 오디오신호(SDL 및 SDR)를 생성한다.
이 때 헤드폰장치(20)는, 4채널의 오디오 신호가 2개의 오디오신호(SDa 및 SDb)로부터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2쌍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로 통합적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헤드폰장치(20)는, FIR필터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를 2쌍 설치되는 것만으로, 2개의 오디오 신호(SDa 및 SDb)로부터, 4개의 독립음상을 구성하는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헤드폰장치(20)는, 오디오 신호(SDa 및 SDb)에 대한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2쌍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에 의하여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복수의 독립음상을 형성하고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는 헤드폰장치(20)를 실현할 수 있다.
(3) 제 3의 실시형태
도 1 및 도 8과의 공통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내는 도 8에 있어서, 30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를 나타내고, 제 2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20)와 동일하게 오디오 신호(SDa 및 SDb) 각각으로부터 2채널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데 더하여, 오디오 신호 생성수단으로서의 무상관화 회로(32)에 의하여 오디오 신호(SAa 및 SAb)로부터 새로운 제 3의 오디오 신호(SDc)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SDc)로부터 2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계 6채널의 음상을 다른 위치에 정위시켜 청취자에게 청 취시키도록 되어 있다.
음상정위처리부(31)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에 의한 처리는, 제 2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20)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이 제 3실시예에서 새롭게 부가된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31cL 및 31cR)에 있어서 설명을 행한다.
이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31cL 및 31cR)의 등가처리를,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무상관화 처리회로(33)는 미리 정해진 전달함수에 근거하여, 입력한 오디오 신호(SDc)(이것을 입력신호(x3)로 한다)를, 서로 상관성이 낮은 무상관신호 y5=f5(x3) 및 y6=f6(x3)로 분리한다.
분리된 무상관신호 y5=f5(x3) 및 y6=f6(x3)은 각각 후단의 음상정위필터(34aL 및 34aR, 34bL 및 34bR)에 입력되며, 각각 다른 음상위치로의 정위처리가 실시된다.
즉 음상정위필터(34aL 및 34aR)는, 무상관신호 y5=f5(x)에 대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gl5 및 gr5로 되는 전달함수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트함으로써, 그 음상이 음원위치(SP5)에 위치하는 정위신호(gl5(y5) 및 gr5(y5))를 생성하고, 각각을 가산기(22L 및 22R)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음상정위필터(34bL 및 34bR)는, 무상관신호(y6=f6(x))에 대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gl6 및 gr6로 되는 전달함수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트함으로써, 그 음상이 음원위치(SP6)에 위치하는 정위신호(gl6(y6) 및 gr6(y6))를 생성하고, 각각을 가산기(22L 및 22R)에 공급한다.
가산기(22L)는, 음상정위필터(24aL, 24bL, 24cL, 24dL)(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정위신호(gl1(y1), gl2(y2), gl3(y3) 및 gl4(y4))와 음상정위필터(34aL 및 34bL)로부터 공급되는 정위신호(gl5(y5) 및 gl6(y6))를 합성하여 출력신호(hl(x))를 생성하고, 이것을 왼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R)로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앰프(5L)를 거쳐서 헤드폰(6)에 공급한다.
또 가산기(22R)는, 음상정위필터(24aR, 24bR, 24cR, 24dR)(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정위신호(gr1(y1), gr2(y2), gr3(y3) 및 gr3(y3))와, 음상정위필터(34aR 및 34bR)로부터 공급되는 정위신호(gr5(y5) 및 gr5(y5))를 합성하여 출력신호(hr(x))를 생성하고, 이것을 왼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R)로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4L) 및 앰프(5L)를 거쳐서 헤드폰(6)에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헤드폰장치(10)는, 입력한 2채널의 오디오 신호(SAa 및 SAb)로부터, 6개의 음상이 각각 다른 위치에 정위하는 음장을 형성하여 청취자(M)에게 청취시킬 수 있다.
여기서, y5=f5(x3) 및 y6=f6(x3)은 어느 것도 입력신호(x3)에 의존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정위신호(gl5(y5) 및 gl6(y6))와, 정위신호(gr5(y5) 및 gr6(y6))는, 각각 하나의 FIR필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헤드폰장치(30)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31cL)로 정위신호(gl5(y5) 및 gl6(y6))를 생성하는 동시에,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31cR)로 정위신호(gr5(y5) 및 gr6(y6))를 생성하도록 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헤드폰장치(30)의 음상정위처리부(31)는, 오디오 신호(SDa 및 SDb)에 대하여 각각 무상관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합계 4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오디오 신호(SDa 및 SDb)로부터 새롭게 생성한 오디오 신호(SDc)에 대하여 무상관화 처리를 실시하고 2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음상정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6개의 음상이 각각 다른 음원위치(SP1~SP6)에 정위하도록 왼쪽 채널 및 오른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생성한다.
이 때 헤드폰장치(30)는, 오디오 신호(SDa 및 SDb)로부터 4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2쌍의 디지털 신호처리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로 통합적으로 실행하는 동시에, 오디오 신호(SDc)로부터 2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1쌍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31cL 및 31cR)로 통합적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헤드폰장치(30)는, FIR 필터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 31cL 및 31cR)를 3쌍 설치하는 것만으로, 2의 오디오 신호(SDa 및 SDb)로부터, 6개의 독립음상을 구성하는 오디오 신호(SDL 및 SDR)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헤드폰장치(30)는, 오디오 신호(SDa 및 SDb)에 대한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3쌍의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21aL 및 21aR, 21bL 및 21bR, 31cL 및 31cR)에 의하여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복수의 독립음상을 형성하고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는 헤드폰장치(30)를 실현할 수 있다.
(4) 다른 실시의 형태
또한 상술의 제 1 내지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는, 어느 것도 음상을 두외정위 시키는 헤드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했을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음상을 임의의 위치에 정위시키는 스피커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의 제 1 내지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행하는 일련의 신호처리를, 디지털 처리회로등의 하드웨어로 처리하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이들 일련의 신호처리를,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같은 정보처리 수단상에서 실행되는 신호처리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신호처리 프로그램의 예로서, 제 1의 실시형태의 헤드폰장치(10)에 상당하는 신호처리를 행하는 음상정위처리 프로그램을 도 14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헤드폰장치의 정보처리 수단은, 음상정위처리 순서 루틴(RT1)의 개시 스텝부터 들어가 스텝(SP1)로 옮기고, 우선 입력신호(x)를 서로 무상관화하는 함수 y1=f1(x), y2=f2(x),……yn=fn(x)를 결정하고, 다음의 스텝(SP2)으로 옮긴다.
스텝(SP2)에 있어서 헤드폰장치의 정보처리 수단은, 음원에서 청취자의 귀까지의 전달함수에 근거하여 음원정위함수(gl1(y1), gr1(y1), gl2(y2), gr2(y2),……gln(yn) 및 grn(yn))를 결정하고, 다음의 스텝(SP3)으로 옮긴다.
스텝(SP3)에 있어서 헤드폰장치의 정보처리 수단은, 출력신호함수 hl(x)=gl1(y1)+gl2(y2)+……+gln(yn) 및 hr(x)=gr1(y1)+gr2(y2)+……+grn(yn)를 결정하고, 다음의 스텝(SP4)으로 옮긴다.
스텝(SP4)에 있어서 헤드폰장치의 정보처리 수단은, 출력신호함수(hl(x) 및 hr(x))를 실현하는 임펄스응답(h1(t) 및 h2(t))을 산출하고, 다음 스텝(SP5)으로 옮긴다.
스텝(SP5)에 있어서 헤드폰장치의 정보처리 수단은, 입력신호(x)를 소정 시간으로 구분한 구분 입력신호(x)(t)를 독해하고, 다음 스텝(SP6)으로 옮긴다.
스텝(SP6)에 있어서 헤드폰장치의 정보처리 수단은, 입력신호(x0)(t)에 대하여 상술한 임펄스응답(h1(t) 및 h2(t))을 콘벌루트하고, 그 결과를 왼쪽 채널 및 오른쪽 채널의 오디오 신호(SDL 및 SDR)로서 출력하고 스텝(SP1)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하여 행하는 경우에서도, 입력신호(x)를 무상관화하는 함수나 음원정위함수등을 일괄하고 출력신호함수(hl 및 hr(x))로서 취급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임펄스응답(h1(t) 및 h2(t))을 입력신호(x)에 콘벌루트하도록 함으로써 무상관화 처리 및 음상정위처리의 처리 부 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무상관화 함수를 결정하는 무상관화 함수와 복수의 오디오 신호 각각의 음상을 임의의 음원위치에 정위시키기 위한 음상정위함수를 일괄한 1쌍의 출력함수를 이용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함으로써,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복수의 독립음상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는 음상정위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음상을 임의의 위치에 정위시키는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무상관화 함수와, 상기 복수의 오디오 신호 각각의 음상을 임의의 음원위치에 정위시키기 위한 음상정위함수를 통합한 1쌍의 출력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오디오신호를 신호처리함으로써, 좌우채널의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갖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상정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1쌍의 FIR(Finite Impulse Response)필터로 구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상정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신호처리수단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상기 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상기 좌우채널의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수단을 갖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상정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새로운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새로운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상기 출력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갖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상정위장치.
  5.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무상관화 함수를 결정하는 무상관화 함수결정스텝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신호 각각의 음상을 임의의 음원위치에 정위시키기 위한 음상정위함수를 결정하는 음상정위함수 결정스텝과,
    상기 무상관화 함수 및 상기 음상정위함수를 통합한 1쌍의 출력함수를 결정하는 출력함수결정 스텝과,
    상기 1쌍의 출력함수를 이용하고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함으로써, 좌우채널의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용 오디오 신호 생성스텝을 갖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상정위방법.
  6. 정보처리 장치에 음상정위처리를 실행시키는 음상정위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서로 상관성이 낮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무상관화 함수를 결정하는 무상관화 함수 결정스텝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신호 각각의 음상을 임의의 음원위치에 정위시키기 위한 음상정위 함수를 결정하는 음상정위함수 결정스텝과,
    상기 무상관화 함수 및 상기 음상정위함수를 통합한 1쌍의 출력함수를 결정하는 출력함수 결정스텝과,
    상기 1쌍의 출력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함으로써, 좌우채널의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용 오디오 신호 생성스텝을 갖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50055088A 2004-06-29 2005-06-24 음상정위장치 KR20060048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1953A JP4594662B2 (ja) 2004-06-29 2004-06-29 音像定位装置
JPJP-P-2004-00191953 2004-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520A true KR20060048520A (ko) 2006-05-18

Family

ID=3494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088A KR20060048520A (ko) 2004-06-29 2005-06-24 음상정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58585B2 (ko)
EP (1) EP1613128A3 (ko)
JP (1) JP4594662B2 (ko)
KR (1) KR20060048520A (ko)
CN (1) CN17288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99958B1 (en) 2005-05-26 2013-08-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an audio signal
JP4988717B2 (ja) 2005-05-26 2012-08-0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オーディオ信号の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装置
WO2007083955A1 (en) * 2006-01-19 2007-07-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media signal
JP2009526263A (ja) 2006-02-07 2009-07-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符号化/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2010000464A (ja) 2008-06-20 2010-01-07 Japan Gore Tex Inc 通気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987002A (zh) * 2013-03-23 2014-08-13 卫晟 全息录音技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5507A (en) * 1990-07-24 1992-03-10 Lowe Danny 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coherent multiples of a monaural input signal for sound image placement
JPH0559499A (ja) 1991-09-02 1993-03-09 Kojima Press Co Ltd 放電加工用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65485A (ja) 1991-12-13 1993-07-02 Fujitsu Ten Ltd 残響付加装置
US5173944A (en) * 1992-01-29 1992-12-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pseudo-stereophony
JPH0622399A (ja) 1992-07-06 1994-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相関化装置
US5572591A (en) * 1993-03-09 1996-1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field controller
US5371799A (en) * 1993-06-01 1994-12-06 Qsound Labs, Inc. Stereo headphone sound source localization system
JPH07319483A (ja) 1994-05-24 1995-12-08 Roland Corp 音像定位装置
JPH10201000A (ja) * 1997-01-09 1998-07-31 Sony Corp Fir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ヘッドホン装置並びにスピーカ装置
EP1025743B1 (en) * 1997-09-16 2013-06-19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Utilisation of filtering effects in stereo headphone devices to enhance spatialization of source around a listener
JP2000069599A (ja) 1998-08-24 2000-03-03 Victor Co Of Japan Ltd 残響音生成装置及び方法
JP4499206B2 (ja) 1998-10-30 2010-07-07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処理装置及びオーディオ再生方法
JP4159163B2 (ja) 1999-02-05 2008-10-01 大阪瓦斯株式会社 判定装置
US6175631B1 (en) * 1999-07-09 2001-01-16 Stephen A. Davis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rrelating audio signals
JP2002044797A (ja) 2000-07-27 2002-02-08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及びスピーカ装置
JP3557177B2 (ja) 2001-02-27 2004-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ヘッドホン用立体音響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2002345096A (ja) 2001-05-15 2002-11-29 Nippon Hoso Kyokai <Nhk> 拡散音場再現装置
FI118370B (fi) * 2002-11-22 2007-10-15 Nokia Corp Stereolaajennusverkon ulostulon ekvalisoint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3128A2 (en) 2006-01-04
JP2006014219A (ja) 2006-01-12
US8958585B2 (en) 2015-02-17
CN1728891B (zh) 2010-12-15
CN1728891A (zh) 2006-02-01
JP4594662B2 (ja) 2010-12-08
US20050286726A1 (en) 2005-12-29
EP1613128A3 (en)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223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virtual sound of two channels
KR100703891B1 (ko) 오디오 처리장치 및 오디오 재생방법
US8605914B2 (en) Nonlinear filter for separation of center sounds in stereophonic audio
JP2005223713A (ja) 音響再生装置、音響再生方法
KR100410794B1 (ko) 사운드 이미지 정위 처리 장치
JP3513850B2 (ja) 音像定位処理装置および方法
EP0724378A2 (en) Surr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20060048520A (ko) 음상정위장치
EP1968348B1 (en) Stereophonic sound output apparatus and early reflection generation method thereof
JP2001103594A (ja) オーディオ処理装置
JP3219752B2 (ja) 疑似ステレオ化装置
JP3618159B2 (ja) 音像定位装置およびそのパラメータ算出方法
WO200703505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tion virtual sound of two channels
JP2944424B2 (ja) 音響再生回路
JP2910891B2 (ja) 音響信号処理装置
JP2985704B2 (ja) サラウンド信号処理装置
JP2003111198A (ja) 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再生システム
JPH1132400A (ja) デ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2002135899A (ja) 多チャンネル音声回路
JP3925633B2 (ja) 音声再生装置
JP3311701B2 (ja) 疑似ステレオ化装置
JP2005347872A (ja) 音像定位装置
JP2000069598A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サラウンド再生装置及びマルチチヤンネルサラウンド再生における残響音生成方法
KR20100083477A (ko) 다채널 서라운드 스피커 시스템
JP2002044795A (ja) 音声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