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505A - 인쇄 유닛 - Google Patents

인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505A
KR20060048505A KR1020050054695A KR20050054695A KR20060048505A KR 20060048505 A KR20060048505 A KR 20060048505A KR 1020050054695 A KR1020050054695 A KR 1020050054695A KR 20050054695 A KR20050054695 A KR 20050054695A KR 20060048505 A KR20060048505 A KR 20060048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roll paper
pivoting
lever
unlock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895B1 (ko
Inventor
쿠니유키 스즈키
지로 모모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49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77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98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0765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98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08353A/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5/00Receipt-giv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제 1 프레임 부재는 뒷쪽에 롤지를 수납하도록 된 수납부를 갖는다. 프린트 헤드는 상기 롤지로부터 인출된 부분에 인쇄를 수행하는 동작이 가능하다. 제 2 프레임 부재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고 제 1 프레임 부재의 앞쪽상에 지지되어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잠금 기구는 제 1 위치에 제 2 프레임 부재를 잠근다. 잠금 해제 레버는 제 2 프레임 부재 방향으로 당겨지면 제 2 프레임 부재의 잠겨진 상태를 해제한다.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2 위치에 배치되면 적어도 수납부에 관한 사용자의 접근이 허락된다.
인쇄 유닛

Description

인쇄 유닛{Print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정보 단말 장치에 내장된 도 1의 인쇄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전방으로 피벗팅된 도 2의 인쇄 유닛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인쇄 유닛에 있어서의 기초 프레임, 가동 프레임 및 잠금 해제 레버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 1 샤프트와 제 1 베어링(bearing)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인쇄 유닛의 전방부의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인쇄 유닛의 전방부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인쇄 유닛의 잠김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인쇄 유닛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인쇄 유닛의 전방으로 완전히 피벗팅된 전방부를 나타내는 우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인쇄 유닛의 뒷쪽으로부터 보여지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인쇄 유닛의 앞쪽으로부터 보여지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인쇄 유닛내의 잠금 기구의 수정된 예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인쇄 유닛의 뒷쪽으로부터 보여지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인쇄 유닛내에 설치된 롤지로부터 인출된 선단부의 초기 배치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유닛의 사시도로서, 전방부가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인쇄 유닛의 사시도로서, 전방부가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 유닛의 사시도로서, 전방부가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인쇄 유닛의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인쇄 유닛의 사시도로서, 전방부가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인쇄 유닛의 사시도로서, 전방부가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인쇄 유닛의 전방부가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 다.
도 22는 도 20의 인쇄 유닛의 사시도로서, 전방부가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인쇄 유닛의 전방부가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키오스크 단말 장치(kiosk terminal) 또는 자동 금전 출납 기기(ATM)등의 설치형 정보 단말 장치에 내장된 인쇄 유닛에 관한 것이다.
기차역, 공항, 편의점 등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 장치, ATM, 주차장 또는 가스 충전소등에 설치되어 소정의 정보를 기록지에 인쇄해서 결과 용지를 발행하는 계수 기록 단말 장치, 또는 극장 티켓등의 티켓 예매 및 발권기등의 다양한 설치형 정보 단말 장치가 있다. 이러한 설치형 정보 단말 장치는 소정의 용지상에 거래 명세, 구매, 티켓 예약 정보의 세부사항과 같은 소정의 정보를 인쇄하여 결과 용지를 발행하도록 기록 용지의 롤(롤지)을 수납하는 인쇄 유닛을 구비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설치형 정보 단말 장치는 점포등의 한정된 영업 공간에 설치된다. 따라서, 설치형 정보 단말 장치는 가능한한 작은 설치 면적을 차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 단말 장치에 내장된 인쇄 유닛은 소형일 것과 작은 설치 공간을 차지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키오스크 단말 장치가 설치된 편의점등에서, 매장 면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장 면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키오스크 단말 장치는 일반적으로 벽면 또는 상품 진열장의 벽면 앞에 설치된다.
키오스크 단말 장치의 배면과 우측 및 좌측도 중요한 매장 면적의 부분이고, 이 부분을 보수용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로서 점유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상기 상황에서, 롤지 교환이나 키오스크 단말 장치의 우측, 좌측, 또는 후측으로부터 보수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키오스크 단말 장치를 이동하거나 키오스크 단말 장치의 우측, 좌측, 또는 후측에 놓여진 상품을 이동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간단한 롤지 교환등의 보수 작업조차도 매우 복잡해진다. 이것은 점포 운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관점에서, 일본 특허 제2002-11917호 공보에는 인쇄 장치의 구성요소를 앞쪽에 노출함으로써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프린터 유닛(인쇄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인쇄 유닛에서, 롤지 교환과 보수 작업은 인쇄부와 롤지 수납부등의 거의 모든 구성요소를 장착한 가동(可動) 프레임을 앞쪽을 향해 기울이고 인쇄 유닛의 거의 모든 내부 구조를 앞쪽에 노출함으로써 정보 단말 장치의 앞쪽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인쇄 유닛에, 의도하지 않은 가동 프레임 경사도 조작을 방지하도록 잠금 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잠금 기구와 경사도 기구는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프린터 유닛의 내부에 접속하기 위해 경사도 조작 전에 잠금 해제를 실행하고나서 가동 프레임을 기울임으로써 인쇄 유닛의 내부를 노출할 필요가 있다. 양 손에 의한 조작이 필요하고; 즉, 잠금 해제 조작을 한손으로 수행하고 경사도 조작을 다른 손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양손으로 프린터 유닛을 개방한 후 롤지를 교환할 필요가 있고, 롤지 교환 작업의 효율이 따라서 저하된다. 또한, 인쇄 유닛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구조는 프린터 유닛의 내부가 예컨대, 상품의 낙하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롤지 교환 작업과 같은 일과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롤지 설치 후 운송로내의 롤지의 기록부 설정 효율의 증가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장치의 전방부가 롤지 교환 또는 보수 작업의 용도로부터 자유롭게 하고 전방부를 자유롭게 하기 위한 잠금 해제 조작과 개방 조작이 한손으로 수행될 수 있는 인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지 교환에 적은 설치 면적을 필요로하여 롤지등을 교환하는 작업 효율의 증가가 가능한 인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프레임 부재의 뒷쪽에 롤지를 수납하도록 된 수납부를 갖는 제 1 프레임 부재;
롤지로부터 인출된 프린트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조작이 가능한 프린트 헤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 1 프레임 부재의 앞쪽 과 연결되고 프린트 헤드를 지지하는 제 2 프레임 부재;
제 1 위치내의 제 2 프레임 부재를 잠그는 잠금 기구; 및
잠금 기구와 맞물릴 수 있는 잠금 해제 레버로서, 제 2 프레임 부재 방향으로 당겨질 경우 제 2 프레임 부재의 잠긴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 레버를 포함하고,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2 위치에 배치될 경우 적어도 수납부가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이 제공된다.
이 구조에 있어서, 제 2 위치로 제 2 프레임 부재를 피벗팅하도록 잠금 해제 레버를 유지한 후, 운전자는 제 2 프레임 부재 방향으로 잠금 해제 레버를 움직일 수 있다. 즉, 운전자는 한손으로 잠금 해제 레버를 유지한 후 제 2 위치로 제 2 프레임 부재를 피벗팅(pivoting)하여 다른 어떤 조작을 행할 필요없이 제 2 프레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롤지에 접근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 부재가 인쇄 유닛의 앞쪽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경우에, 설치 면적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지는 방향이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제 2 프레임 부재의 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이 때, 잠금 해제 레버는 제 2 프레임 부재와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프레임 부재의 잠긴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이 가능한 작동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있어서, 제 2 프레임 부재는 사용자 방향으로 잠금 해제 부재를 당기는 동안 제 2 프레임 부재를 잡음으로써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잠금 해제 될 수 있고,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 부재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될 수 있고; 제 2 프레임 부재의 피벗팅 중심은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지면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있어서, 제 2 프레임 부재는 잠긴 상태가 해제되면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적당한 부하가 잠금 해제 조작시에 발생하고, 사용자는 잠금 해제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이 부하의 장점에 의해, 잠금 해제는 도구등이 잠금 해제 레버와 우연히 부딪히더라도 쉽게 영향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프레임 부재의 안정된 피벗팅 조작이 가능해진다.
이 때, 제 1 프레임 부재는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 2 프레임 부재는 제 1 위치에 제 2 프레임 부재를 잠그기 위해 돌기에 맞게 형성된 홈 형태로 형성되고; 돌기는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질 때 홈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해제 레버는 제 2 프레임 부재상에 피벗팅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잠금 해제 레버의 작동부는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질 때 제 1 프레임 부재와 접촉되어, 피벗팅 중심이 이동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 1 프레임 부재는 고정 피벗팅 샤프트로 형성되고; 제 2 프레임 부재는 고정 피벗팅 샤프트를 수용하는 슬롯으로 형성되고; 잠금 해제 레버의 작동부는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질 때 피벗팅 샤프트와 접촉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인쇄 유닛은 제 2 프레임 부재와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 3 위치와 제 4 위치 사이로 이동되는 완충 부재; 완충 부재와 맞물리고 완충 부재를 제 3 위치로 강제하는 제 1 강제 부재, 롤지의 프린트 용지가 완충 부재에 의해 휘는 것처럼 롤지의 용지로에 배치되는 제 3 위치에서의 부드러운 완충 부재; 및 완충 부재가 롤지의 프린트 용지로부터 수축되고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질 때 제 4 위치로 이동되는 것처럼 잠금 해제 레버와 완충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기를 포함한다.
이 구조에 있어서, 완충 부재는 롤지에 접근하기에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도록 잠금 해제 레버의 이동과 협력하여 통상의 위치로부터 해제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 구조는 보수 작업이 수행될 때 완충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연결기는 굴절성 부재, 잠금 해제 레버와 완충 부재가 연결되는 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굴절성의 연결기의 사용은 잠금 해제 레버와 완충판(plate)을 서로 쉽게 간단한 구조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연결기는 연장된 굴절성 부재를 보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사용은 와이어와 같은 연결기의 동작을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두개 이상의 가이드 부재의 사용은 완충 부재의 더 정확한 해제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완충 부재는 구멍이 형성되고, 연결기는 구멍에 맞는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부재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연결기는 맞물림 부재와 맞물린 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와이어와 같은 굴절성 연장된 부재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교환 또는 와이어등의 확장 또는 내구성에 의해 요구되어지는 것처럼 와이어등의 표준 조정용 보수가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높은 내구성의 해제 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쇄 유닛은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2 위치에 배치될 때 제 4 위치에 완충 부재를 보유하도록 완충 부재와 맞물리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한다. 리테이너는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1 위치로 이동될 때 완충 부재로부터 해제된다.
이 구조에 있어서, 롤지에 접근한 사용자는 완충 부재에 의해 불안해지지 않을 것이다. 보수 작업이 완료된 후에,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1 위치로 되돌아옴으로써, 완충 부재도 자동적으로 제 3 위치로 돌아온다.
이 때, 리테이너는: 제 2 프레임 부재상에 설치되고 완충 부재와 맞물린 제 5 위치와 완충 부재로부터 해제되는 제 6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후크(hook) 부재; 후크 부재와 맞물리고 제 5 위치 방향으로 후크 부재를 강제하는 제 2 강제 부재; 및 후크 부재와 맞물리고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2 위치에 배치될 때 제 2 강제 부재의 도움으로 제 5 위치에 후크 부재를 배치하는 엑츄에이터와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1 위치에 배치될 때 제 2 강제 부재의 강제력에 반대하여 제 6 위치에 후크 부재를 배치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2 위치에 배치될 때에 만 제 4 위치에 완충 부재를 보유한다. 따라서,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1 위치로 돌아오면, 리테이너는 잠금이 해제되고, 완충 부재는 자동적으로 제 3 위치로 돌아온다. 이것은 리테이너의 잠금 해제의 실패를 방지한다.
이 때, 엑츄에이터의 제 1 단부는 후크 부재와 연결되고 엑츄에이터의 제 2 단부는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1 위치에 배치될 때 제 1 프레임 부재와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엑츄에이터의 제 2 단부는 제 2 프레임 부재가 제 2 위치에 배치될 때 제 1 프레임 부재로부터 해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있어서, 간단한 구조는 리테이너가 제 2 프레임 부재의 피벗팅 움직임과 협력하여 정확히 동작하게 한다.
이 때, 엑츄에이터는 바-형상(bar-shaped) 부재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린터 유닛은:
기초 프레임 부재;
기초 프레임 부재에 피벗팅가능하게 부착된 전방부로서, 닫힌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될 수 있는 전방부;
전방부에 부착된 프린트 헤드;
전방부와 기초 프레임 부재 사이에 연결된 잠금 기구로서, 닫힌 위치에서 전방부를 잠그는 동작이 가능한 잠금 기구; 및
잠금 해제 레버가 피벗팅 축에 대하여 피벗팅될 때 잠금 기구를 해제하는 해제 구조와 피벗팅 축을 포함하는 잠금 해제 레버를 포함한다.
잠금 해제 레버는 잠금 해제 레버가 피벗팅 축에 대하여 피벗팅될 때 기초 프레임 부재 또는 전방부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지렛받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부는 닫힌 위치에서 개방된 위치로의 잠금 해제 레버가 잠금 기구를 해제하도록 피벗팅 방향에서 피벗팅가능한 피벗팅 방향으로 피벗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앞 방향으로 향하는 정보 단말 장치의 동작 요소로서 설치형 정보 단말 장치용 인쇄 유닛은 롤지를 수납하는 롤지 하우징(rolled paper housing), 기초 프레임 부재, 기초 프레임 부재에 피벗팅 가능하도록 부착된 전방부, 및 전방부에 부착된 프린트 헤드를 포함하고, 전방부는 앞 방향에서 피벗팅 가능하여 그것에 의해 롤지 하우징에 접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참조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유닛(10)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유닛(10)은 외부로 피벗팅될 수 있는 전방부(11), 기초 프레임(40), 및 인쇄 유닛(10) 내의 롤지(90)를 홀딩하는 롤지 홀더(41)를 구비한다. 전방부(11)는 잠금 해제 레버(13)와 가동 프레임(12)을 포함하고 앞쪽으로 당겨짐으로써 들어올려지고, 잠금 해제 레버(13)은 장치의 앞쪽으로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가동 프레임(12)은 잠금 해제되어 앞쪽으로 피벗팅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프레임(12)과 함께 앞쪽으로 잠금 해제 레버(13)를 당김으로써, 모든 전방부(11)은 앞쪽으로 기울어진다. 가동 프레임(12)이 잠금 해제될 수 있고 전방부(11)가 이러한 간단한 조작[잠금 해제 레버(13)를 앞쪽으로 당김]에 의해 단지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앞쪽 부분(front portion)은 한손으로 쉽게 자유로와질 수 있다. 비록 앞쪽 부분이 잠금 해제 레버(13)를 앞쪽으로 당김으로써 자유로와질 수 있지만, 가동 프레임(12)은 잠금 해제되면 들어올려진다. 잠금이 해제될 때 소정의 부하가 발생하고 운전자의 손이 그것에 특유한 느낌을 받기 때문에, 가동 프레임(12)는 쉽게 잠금 해제되고, 따라서 잘못된 조작의 가능성이 낮아진다.
전방부(11)의 구조는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전방부(11)는 프린트 헤드(도시되지 않음), 기초 프레임(40)에 고정된 제 1 샤프트(14)에 의해 피벗팅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가동 프레임(12), 및 피벗팅 이동을 방지하도록 가동 프레임(12)을 잠그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 인쇄 기구(45)가 설치된다.
인쇄 기구(45)는 가동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고 가동 프레임(12)과 함께 이동한다. 잠금 기구는 잠금 해제 레버(13)가 설치되고 락커(locker)(16)는 노치(17)과 핀(18)을 포함한다. 가동 프레임(12)에 고정된 제 2 샤프트(15)에 의해 피벗팅 가능하도록 지지되면, 잠금 해제 레버(13)은 외부로 피벗팅될 때 가동 프레임(12)을 잠금 해제한다. 잠금 해제 레버(13)은 나선형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19)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시계 방향(잠긴 면 방향)으로 강제된다. 잠금 기구, 잠금 해제 기구, 및 피벗팅 이동 기구의 상세한 내용은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인쇄 기구(45)는 프린트 헤드와 플래튼(platen)(둘 모두 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이 부재들은 서로 협력하여 롤지(90)의 기록 영역에 소정의 인쇄 동작을 수행한다. 롤지(90)는 용지 배출구(46)으로부터 인출된다. 인쇄 제어와 종이 공급 제어는 인쇄 제어기와 운반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행된다. 인쇄 제어와 종이 공급 제어는 본 발명의 본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므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롤지(90)의 운송로는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 유닛(10)은 ATM 또는 키오스크 단말 장치[도 2에서, 정보 단말 장치(93)의 외형이 직선에 의해 개략적을로 도시되어 있다]와 같은 정보 단말 장치(93) 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롤지(90)를 교환하거나 새로 공급하기 위해, 정보 단말 장치(93)의 외부 커버를 열어서 인쇄 유닛(10)의 내부에 접근할 필요가 없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 장치(93)의 중앙부의 앞쪽 커버(94)는 개방되고, 잠금 해제 레버(13)은 틈(95)을 통해 한 손을 넣음으로써 앞쪽으로 당겨진다. 잠금 해제 레버(13)가 앞쪽으로 당겨지면, 가동 프레임(12)은 잠금 해제되고 앞쪽으로(즉, 바깥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잠금 해제 레버(13)이 앞쪽으로 당겨지고, 잠금 해제 레버(13)을 가동 프레임(12)과 함께 당기는 것이 계속되면, 전방부(11)은 제 1 샤프트(14)에 대해 약 90°까지 바깥쪽으로 피벗팅된다. 전방부(11)가 바깥쪽으로 피벗팅되면, 인쇄 유닛(10)의 앞쪽 부분은 자유로워져서 앞쪽으로부터 롤지(9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가동 프레임(12)에 고정된 인쇄 기구(45)의 내부는 프린트 기구와 같은 내부 구조의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정보 단말 장치(93)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 방법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93)의 양면과 뒷쪽상에 배치된 상품등을 이동시킬 필요없이 롤지(90)를 홀더(41)등에 부착하는 것과 같은 보수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정보 단말 장치(93)에 설치된 인쇄 유닛(10)의 전방부(11)를 약 90° 로 피벗팅함으로써 자유로워진 앞쪽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키오스크 단말 장치와 같은 정보 단말 장치(93)은 상점의 벽(96)앞의 플로어(97)에 설치된다. 또한, 상품 진열장등은 일반적으로 정보 단말 장치(93)의 양면에 배치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정보 단말 장치(93)에 접근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정보 단말 장치(93)(동작면)의 앞에는 상품을 배치하지 않는다. 이런 관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앞쪽 부분은 자유로워지고 인쇄 기구(45)는 정보 단말 장치(93)의 앞쪽(동작면)으로부터 롤지(90) 교환 또는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앞쪽(외부)으로 전방부(11)를 피벗팅함으로써 정보 단말 장치(93)의 외부로 노출된다.
점선 원(98)은 롤지(90)의 설치 경로(교환)를 표시한다. 상기 방법에 의한 앞쪽 부분을 자유롭게 하는 것은 롤지(90)를 쉽게 설치하고 교환할 수 있게 한다. 이 점선 원(98)은 롤지(90)의 설치 경로로서, 롤지(90)의 부분이 통과하기에 충분한 면적폭을 제공하기에 만족스럽다. 즉, 이 점선 원(98)은 인쇄 유닛(10)에 사용되는 롤지(90)의 직경보다 약간 넓은 폭의 면적을 설치 경로로서 확보하기에 만족스럽다. 전방부(11)가 개방되지 않으면, 인쇄 기구(45)를 포함하는 전방부(11)에 의해 점유되는 상기 피벗팅 이동에 의해 면적이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이 면적은 죽은 공간이 아니다. 앞쪽 부분의 인쇄 기구(45)가 상기 방법에 의해 약 90°로 피벗팅되는 구조의 장점에 의해, 인쇄 유닛(10)이 소형화 될 수 있고 개방 동작에 필요한 동작 면적과 보수 작업 및 롤지의 설치 작업에 필요한 면적등이 아주 소형화 될 수 있다.
인쇄 유닛(10)의 가동 프레임(12)와 잠금 해제 레버(13)의 구조와 동작은 도 4a와 4b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제 1 샤프트(14)는 고정된 샤프트이고 제 1 베어링(bearing)(21)은 제 1 샤프트(14)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이다. 슬롯(20)은 가동 프레임(12)를 통해 형성되고, 제 1 샤프트(14)는 슬롯(20)을 통해 관통하고 기초 프레임(40)의 고정 구멍(42)에 고정된다. 제 2 샤프트(15)와 제 2 베어링(25)는 제 1 샤프트(14)와 제 1 베어링(21)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제 1 샤프트(14)는 제 1 베어링(21)과 슬롯(20)을 통해 관통하는동안 기초 프레임(40)에 고정된다. 제 1 베어링(21)은 플랜지(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샤프트(14)와 제 1 베어링(21)은 피벗팅 지지 부재를 구성하고, 가동 프레임(12)는 제 1 샤프트(14)에 대해 피벗팅될 수 있다. 또한, 제 1 샤프트(14)는 스롯(20)을 통해 관통하므로 슬롯(20) 안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가동 프레임(12)은 슬롯(20)의 안쪽을 따라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기울어져서 이동할 수 있다.
가동 프레임(12)의 바닥 단부는 노치(17)로 형성되고, 기초 프레임(40)에 고정된 핀(18)은 노치(17)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 프레임(12)을 회전하도록 부착된다 하더라도, 가동 프레임(12)은 노치(17)와 맞물린 핀(18)의 장점에 의해 피벗팅될 수 없다. 즉, 노치(17)와 핀(18)은 피벗팅 이동을 방지하는 락커(16)로 작용한다.
잠금 해제 레버(13)는 가동 프레임(12)에 제 2 샤프트(15)에 의해 피벗팅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 2 샤프트(15)는 사이에 끼워진 제 2 베어링(25)에 의해 구멍(24)을 통해 관통하고, 가동 프레임(12)의 고정 구멍(23)에 고정된다. 이 구조에 있어서, 잠금 해제 레버(13)는 제 2 샤프트(15)에 대해 피벗팅 가능하다. 잠금 해제 레버(13)의 바닥 단부는 가동 프레임(12)를 들어올리는 지레받침부(26)이다. 잠금 해제 레버(13)이 시계 방향(도 4에 도시됨)으로 피벗팅되면, 지레받침부(26)은 플랜지(22)와 접촉을 지지하는 동안 제 1 베어링(21)의 플랜지(22)의 외주면상에 미끄러진다. 결과적으로, 지레받침부(26)은 잠금 해제 레버(13)와 가동 프레임(12)을 포함하는 전방부(11)를 들어올린다.
도 5는 잠긴 상태의 가동 프레임(12)과 잠금 해제 레버(13)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잠금 해제 레버(13)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으로 피벗팅된 잠금 해제 레버(13)와 이것에 의해 잠금 해제된 가동 프레임(12)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의 잠금 해제 레버(13)와 가동 프레임(12)의 위치는 굵은선으로 표시되고, 잠금 해제 되지 않은(잠긴) 상태의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잠금 해제 조작에 의해, 운전자의 손은 인쇄 유닛(10)이 장착된 부분의 윗부분을 차지하는 틈(95)를 통해 삽입되고, 잠금 해제 레버(13)의 손잡이(27)은 앞쪽으로 당겨진다. 잠금 해제 레버(13)가 도 6의 굵은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피벗팅되면, 가동 프레임(12)은 들어올려져서 노치(17)는 핀(18)에서 해제되고, 가동 프레임(12)는 잠금 해제된다. 즉, 락커(16)와 잠금 해제 레버(13)는 서로 잠금 기구로서 작용한다.
잠금 해제 레버(13)는 제 2 샤프트(15)를 통하여 가동 프레임(12)에 의해 피벗팅가능하게 지지된다. 잠금 해제 레버(13)를 앞쪽으로 당기기 위해 잠금 해제 레버(13)를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시도하면, 잠금 해제 레버(13)의 바닥의 지레받침부(26)는 제 1 샤프트(14)의 플랜지(22)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제 1 샤프트(14) 가 기초 프레임(40)에 고정되기 때문에, 잠금 해제 레버(13)가 더 피벗팅되면, 지렛대 작용을 하는 잠금 해제 레버(13)의 지레받침부(26)에 의해 잠금 해제 레버(13)상에 들어올리는 힘이 발생된다.
제 2 샤프트(15)를 통하여 가동 프레임(12)에 의해 잠금 해제 레버(13)가 지지되기 때문에, 가동 프레임(12)도 잠금 해제 레버(13)가 들어올려지는 것처럼 제 2 샤프트(15)를 통해 들어올려진다. 가동 프레임(12)이 슬롯(20)을 통하여 제 1 샤프트(14)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가동 프레임(12)는 슬롯(20)을 따라 들어올려진다. 가동 프레임(12)는 소정의 길이 이상까지 슬롯(20)을 따라 위쪽으로 기울어져서 들어올려지고, 락커(16)의 노치(17)는 도 6의 굵은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핀(18)에서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가동 프레임(12)이 잠금 해제되고, 인쇄 기구(45)가 가동 프레임(12)에 부착되기 때문에, 전체 전방부(11)는 바깥쪽으로 피벗팅되고 인쇄 유닛(10)의 앞쪽 부분은 가동 프레임(12)을 피벗팅함으로써 자유로워진다.
도 7 내지 9는 가동 프레임(12)이 잠긴 때로부터 잠금 해제되고 전방부(11)가 시계 방향으로 약 90°까지 피벗팅된 때까지 수행된 동작의 연결을 나타낸다. 도 10과 11은 도 8과 9에 각각 대응하는 좌측 단면도이다.
도 7은 인쇄 유닛(10)이 정보 단말 장치(93)에 장착되어 인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핀(18)은 락커(16)의 노치(17)에 삽입되어 가동 프레임(12)이 잠겨진다(즉, 피벗팅될 수 없다). 잠금 해제 레버(13)의 손잡이(25)가 도 7의 상태로부터 앞쪽으로 당겨지고 잠금 해제 레버(13)이 도 8의 상태로 피벗팅되면(도 10), 잠금 해제 레버(13)과 가동 프레임(12)는 지레받침부(26)에 의 해 위쪽으로 기울어져서 들어올려진다. 결과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락커(16)의 노치(17)는 핀(18)로부터 해제되고, 이것에 의해 가동 프레임(12)은 시계 방향으로 피벗팅될 것이다(즉, 잠금 해제된다).
잠금 해제 레버(13)과 인쇄 기구(45)가 가동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이 부재들은 가동 프레임(12)와 함께 피벗팅된다. 따라서, 피벗팅 이동 각이 약 90°가 될 때까지 가동 프레임(12)의 피벗팅을 지속함으로써, 전제 전방부(1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벗팅된다(도 11). 결과적으로, 롤지(90)의 교환과 인쇄 기구(45)의 보수 또는 수리가 가능해진다. 도 7 내지 9에서, 인쇄 기구(45)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휘어진 부재는 종이 공급용 완충판(30)이다.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탄성 부재에 의해 강제되면 완충판(30)은 롤지(90)의 기록 부분의 경로로 여분을 공급한다(나중에 상세히 설명됨).
이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같이, 가동 프레임(12)은 가동 프레임(12)의 피벗팅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잠금 해제 레버(13)를 피벗팅함으로써 잠금 해제된다. 인쇄 유닛(10)의 앞쪽 부분은 잠금 해제 레버(13)와 가동 프레임(12)을 같은 방향으로의 피벗팅을 지지함으로써 자유로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단한 구조는 한손으로 앞쪽 부분을 자유롭게 하고 다른손으로 인쇄 유닛(10)의 앞쪽으로부터 롤지(90)의 교환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예의 구조에 있어서, 가동 프레임(12)은 잠금 해제 레버(13)을 앞쪽으로 당겨서 들어올림으로써 잠금 해제된다. 이 구조에 있어서, 가동 프레임(12)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전체 가동 프레임(12)의 무게를 들어올리는 부하가 요구된다.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가동 프레임(12)은 가동 프레임의 무게에 의해 단단히 잠긴다. 이것은 부주의한 잠금 해제과 가동 프레임(12)의 잠금 실패가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잠금/잠금 해제 기구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는 잠금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가동 프레임(50)의 바닥부는 홈(51)으로 형성된다. 가동 프레임(50)은 잠금 부재(52)가 홈(51)과 맞물리리면 잠기고 홈(51)으로부터 해제되면 잠금 해제된다. 잠금 부재(52)는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53)에 의해 홈(51) 방향으로 강제된다. 잠금 부재(51)는 가동 프레임(50)의 옆면 방향으로 연장된 맞물림 단부(57)를 갖는다. 가동 프레임(50)과 잠금 해제 레버(55)는 회전 샤프트(54)를 가진 기초 프레임(40)에 의해 피벗팅되도록 지지된다. 잠금 해제 레버(55)의 선단부는 캠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캠 페이스(cam face)(56)는 잠금 부재(52)의 단부(57)와 맞물린다. 잠금 해제 레버(55)가 가동 프레임(50) 방향(즉, 시계 방향)으로 피벗팅되면, 잠금 부재(52)는 캠 페이스(56)에 의해 아래로 밀리고, 가동 프레임(50)은 잠금 해제된다.
이 실시예는 가동 프레임(12) 또는 (50)과 잠금 해제 레버(13) 또는 (55) 둘 다 피벗팅되도록 지지될 경우에 적합하다. 그러나, 가동 프레임 (12) 또는 (50)에 대응하는 부분은 경첩 구조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어질 것이다. 또한, 잠금 해제 부재(55)는 연결 부재에 의해 잠금 부재(52)를 움직일 것이다.
다음으로, 완충판(30)의 해제 기구가 설명될 것이다. 완충판(30)은 기록될 롤지(90)가 꺼내질 부분에 발생하는 초기 부하를 막도록 롤지(90)의 기록부의 운송 에 여분을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충판(30)은 잠금 해제 레버(13)의 손잡이(27)아래에 배치된다. 완충판(30)은 가동 프레임(12)(도 5)에 고정된 피벗팅 샤프트(31)에 의해 피벗팅되도록 지지되고, 탄성 부재에 의해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강제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완충판(30)은 롤지(90)로부터 인출된 부분의 운송로에 여분을 제공한다. 상기 부분이 갑자기 완충판(30)을 통해 인쇄 기구(45)로 꺼내지면, 완충판(30)은 용지 공급 방향으로 쉬프트되어 선단부의 이러한 갑작스런 운송을 조절한다. 상기 여분의 장점에 의해, 완충판(30)은 용지 공급 시작점의 운송 롤러에 부하의 갑작스런 응용을 방지하여 리딩 단부의 정확한 운송과 정확한 인쇄가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완충판(30)은 수평 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현재 상태로 지지된 완충판(30)과 함께 전방부(11)를 앞쪽으로 기울임으로써 앞쪽 부분이 자유로워지면, 완충판(30)은 수직으로 세워져(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롤지(90)의 설치 또는 교환을 방해하거나 손상될 수도 있다[점선 원(98)로 도시됨].
상기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판(30)은 도 3의 굵은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피벗팅 이동과 동시에 위쪽으로 해제되는 원인이 된다.
완충판(30)이 이 방법에서 해제되기 때문에, 전방부(1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울어지면, 완충판(30)은 롤지(90)의 부드러운 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완충판(30)의 손상을 방지하는 새로운 롤지(90)의 설치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롤지(90) 교환등에 필요한 작업 면적의 감소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완충판(30)의 해제은 롤지(90)의 리딩 단부의 초기 배치를 쉽게한다. 일반적으로, 리딩 단부(91)은 도 14의 굵은선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그러나, 리딩 단부(91)은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리딩 단부(91)가 굵은선 경로와 점선 경로중 어느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지는 롤지(90)의 부분이 위로 배치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롤지(90)로부터 꺼내진 리딩 단부(91)는 완충판(30)의 아래로(도 4에서 우측) 형성된 용지 입구(48)를 통해 삽입되고 용지 배출구(46)로부터 배출된다. 롤지(90)를 교환하고 리딩 단부(91)를 설치할 운전자는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통로를 따라 리딩 단부(91)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완충판(30)이 해제되지 않음에 따라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배치되면, 운전자는 용지 입구(48)을 볼 수 없고, 용지 입구(48)를 손으로 더듬는 동작에 의해 리딩 단부(91)를 삽입하기가 힘들어진다. 반대로, 완충판(30)은 굵은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달하면, 운전자는 용지 입구(48)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쉽게 리딩 단부(91)를 설치할 수 있다.
완충판(30)의 해제 기구의 구조는 도 5와 6을 다시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28)의 한 단부는 잠금 해제 레버(13)의 고정부(29)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완충판(30)에 부착된다. 와이어(28)는 완충판(30)에 가까이 배치된 가이드 부재(33)을 통해 완충판(30)에 부착된다. 따라서, 잠금 해제 레버(13)가 잠금 해제 방향으로 피벗팅되면, 와이어(28)는 당겨진다. 피벗팅 샤프트(31)에 의해 피벗팅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완충판(30)은 탄성 부재(도시되 지 않음)에 의해 강제된다. 잠금 해제 레버(13)가 잠금 해제 위치 방향으로 피벗팅되어 이동되면, 와이어(28)가 당겨져서 완충판(30)은 와이어 가이드(33) 방향으로 당겨진다.이 방법에 있어서, 완충판(30)은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해제을 야기한다). 와이어(28)가 가동 프레임(12)와 접촉하는 벤더(bender)(34)(도 6)가 형성되어 미끄럼 마찰이 감소하고 또는 마찰을 감소할 수 있는 물질로 제작된다. 선택적으로, 롤러등은 미끄럼 마찰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것이다.
잠금 해제 레버(13)와 인쇄 기구(45)가 가동 프레임(12)에 부착되기 때문에, 전체 전방부(11)는 가동 프레임(12)이 잠금 해제되어 약 90°까지 전방으로 피벗팅되는 것처럼 바깥쪽으로 피벗팅되어 인쇄 유닛(10)의 앞쪽 부분이 자유로워진다. 이 동작 중, 완충판(30)은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해제되기 때문에, 완충판(30)은 롤지(90)의 설치를 방해하지 않고, 완충판(30)이 손상될 위험이 없다. 완충판(30)의 동작은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비록 이 실시예에서 와이어(28)는 완충판(30)의 해제을 위해 채택된 것이긴 하지만, 와이어(28)는 금속 와이어 또는 합성 수지등으로 제작된 인조 섬유 와이어일 수 있고 단일 와이어 또는 꼬인 와이어일 수 있다. 정확한 폭을 갖는 밴드 형상(용지 형상) 와이어는 끈 형상 와이어(28)를 대신해 사용될 수 있다. 복수 가이드 부재를 가이드 와이어(28)에 적절히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드러운 당김 동작과 회복 동작을 위해, 가이드 부재상의 미끄럼 마찰을 감소하는 다양한 종래 기술중 어느 하나(예컨대, 롤러의 사용과 특별한 물질의 사용 또는 미끄러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재)가 채택될 수 있다.
도 15와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유닛을 나타낸다. 이 인쇄 유닛은 도 1 내지 14의 인쇄 유닛(10)과 잠금 해제 레버(32)와 완충판(30) 해제 기구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해제 레버(32)는 돌출부(35)로 형성되고 완충판(30)에 평행하게 확장된 엑츄에이터 샤프트(36)는 돌출부(35)의 선단부에 부착된다. 완충판(30)은 구멍을 갖는 연결부(37)의 양면상에 형성된다. 엑츄에이터 샤프트(36)는 연결부(37)의 구멍을 통해 관통하는 상태에서의 잠금 해제 레버(32)에 부착된다. 따라서, 잠금 해제 레버(32)는 연결부(37)를 통해 완충판(30)에 연결되고, 돌출부(35), 엑츄에이터 샤프트(36), 및 연결부(37)은 연결 기구를 구성한다. 잠금 해제 레버(32)가 시계 방향으로 피벗팅되면, 엑츄에이터 샤프트(36)는 잠금 해제 레버(32)의 축으로서 완충판(30)을 위쪽으로 기울어지게 들어올리는 제 2 샤프트(15)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완충판(30)이 가동 프레임(12)에 고정된 피벗팅 샤프트(31)에 의해 피벗팅되도록 지지되기 때문에, 완충판(30)은 피벗팅 샤프트(31)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피벗팅한다. 즉, 가동 프레임(12) 방향으로 이동한다(해제된다).
와이어가 사용되면, 와이어의 확장, 내구성등 때문에, 보통의 기초상에 교체되고 조정될 필요가 있다. 연결 기구의 사용은 이러한 보수를 필요없게 한다.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 유닛을 나타낸다. 이 인쇄 유닛은 도 1 내지 16의 인쇄 유닛과 완충판(30) 해제 기구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해제 레버(80)은 잠긴 상태에서 소정의 각까지 안 쪽으로 기울어진다. 잠금 해제 레버(80)는 소정의 각으로 구부러져 완충판(30)을 기동시키는 엑츄에이터 판(81)이 형성된다. 완충판(30)은 피벗팅 샤프트(31)을 통해 가동 프레임(12)에 의해 피벗팅되도록 지지되고, 뒤쪽에 위쪽으로 굽혀지고 엑츄에이터 판(81)과 맞물리는 맞물림부(38)가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잠금 해제 레버(80)가 피벗팅되면, 엑츄에이터 판(81)은 맞물림부(38)를 시계 방향으로 밀고 그것에 의해 완충판(30)이 도 19에 도시된 방향으로 해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실시예보다 간단한 기구에 의해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완충판(30)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유닛에 있어서, 완충판(30)의 피벗팅 가능한 범위는 연결부(37)의 구멍의 형상과 사이즈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 유닛은 이러한 제한에서 자유롭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인쇄 유닛(10)의 인쇄 기구(45)를 포함하는 전방부(11)를 제 1 샤프트(14)에 대해 약 90°까지 피벗팅함으로써 앞쪽 부분이 접근 가능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정보 단말 장치(93)의 앞쪽으로부터 롤지(90)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완충판(30)이 잠금 해제 조작과 동시에 해제되기 때문에, 앞쪽 부분을 피벗팅한 후 넓은 면적이 나타난다. 이것은 완충판(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롤지(90)의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완충판 홀딩 기구를 갖는 인쇄 유닛(60)을 나타내고, 완충판(30)이 아직 해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2점쇄선으로 완충판(30)이 해제된 상태에서 아래로부터 기울어지게 보여진 완충판 홀 딩 기구를 나타낸다. 도 22는 2점쇄선으로 표시된 아직 해제되지 않은 완충판(30)에서 앞쪽(바깥쪽; 도 20에서 오른쪽)에 대하여 90°까지 인쇄 유닛(60)의 전방부(61)을 기울임으로써, 앞쪽 부분이 자유로워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은 완충판(30)이 해제된 상태의 완충판 홀딩 기구를 나타낸다.
인쇄 유닛(60)은 롤지 홀더(41)와 바깥쪽(도 20의 시계 방향)으로 피벗팅 가능하고 기초 프레임(40)에 부착된 피벗팅 샤프트(62)에 의해 피벗팅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전방부(61)로 형성된다. 전방부(61)는 인쇄 기구(45), 완충판(30), 및 해제 위치에서 완충판(30)을 홀딩하는 기구(70)로 형성된다. 롤지(90)의 중심을 홀딩하는 중심 홀더(92)는 롤지 홀더(41)에 의해 지지된다. 완충판(30)은 고정 나사(69)로 전방부(61)의 벽면(68)에 고정된 지지 가이드(67)의 피벗팅 샤프트(31)에 의해 피벗팅되도록 지지된다. 완충판(30)은 탄성 부재와 같은 강제 부재에 의해 강제되어 시계 방향(도 21)으로 피벗팅된다. 용지 입구(48)(도 22)는 롤지(90)로부터 꺼내진 리딩 단부를 인쇄 기구(45)로 삽입하는 것을 통해 완충판(30) 아래에 형성된다.
홀딩 기구(70)는 후크 부재(71), 후크 엑츄에이터(72), 및 나선형 스프링과 같은 강제 부재(73)로 형성된다. 후크 부재(71)는 전방부(61)의 벽면(68)에 고정된 피벗팅 샤프트(66)에 의해 피벗팅되도록 지지되므로 전방부(61)의 벽면(68)과 평행하게 피벗팅될 수 있다. 후크 엑츄에이터(72)는 벽면(68)에 부착된 지지 가이드(63a, 63b)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지지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같이, 강제 부재(73)의 한 단부는 후크 부재(71)의 맞물 림 피스(71a)와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전방부(61)의 옆벽으로부터 연장된 맞물림 돌출부(65)와 연결된다. 강제 부재(73)는 그것에 의해 후크 부재(71)를 강제하여 벽면(68)에 평행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후크 부재(71)의 맞물림 피스(71a)는 후크 엑츄에이터(72)의 선단부(72a)와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후크 엑츄에이터(72)는 강제 부재(73)의 힘에 의해 아래로 눌려진다.
후크 엑츄에이터(72)의 바닥 단부(72b)는 기초 프레임(40)의 상면(49)와 접촉하고 있고, 따라서 후크 엑츄에이터(72)는 아래로의 이동으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전방부(61)가 닫힌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후크 엑츄에이터(72)는 기초 프레임(40)의 상면(49)와 접촉하고 있고, 더이상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후크 부재(71)는 피벗팅으로부터 보호되고, 도 20에 도시된 위치에 여전히 세워진다. 후크 부재(71)가 이 위치에 배치되면, 맞물림 피스(71a)에 반대 단부에 형성된 후크부(71b)는 완충판(30)과 맞물리는 아래 위치로 배치된다(도 21). 후크부(71b)는 완충판(30)의 맞물림 구멍(39)과 맞물릴 수 없으므로 해제 위치에서 완충판(30)을 홀딩할 수 없다.
전방부(61)이 도 20에 상태로부터 바깥쪽으로 약 90°까지 기울어지기 때문에, 도 22의 상태가 발생한다. 전방부(61)가 피벗팅되기 때문에, 후크 엑츄에이터(72)의 바닥 단부(72b)는 기초 프레임(40)의 상면(49)로부터 분리되어 후크 엑츄에이터(72)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후크 엑츄에이터(72)는 강제 부재(73)에 의해 강제된 후크 부재(71)에 의해 밀려지고, 후크 엑츄에이터(72)는 E-ring이 미끄러짐 지지 가이드(63b)와 접촉하는 위치(도 21과 23)에 대해 아래로 이동된다. 따라서, 후크 부재(71)는 전방부(61)의 벽면(68)과 평행하게 시계 방향으로 피벗팅되어, 후크부(71b)는 완충판(30)의 맞물림 구멍(39)와 맞물릴 수 있는 위치(도 23)에 대해 위로 이동된다. 따라서, 후크부(71b)는 완충판(30)이 해제 위치에서 홀딩되는 해제 위치로 완충판(30)을 이동함으로써 완충판(30)의 맞물림 구멍(39)과 맞물린다.
즉, 도 22에 도시된 위치로 전방부(61)를 기울인 후 2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배치된 완충판(30)을 해제 위치쪽으로 손으로 이동하면, 완충판(30)의 선단은 후크부(71b)와 접촉한다. 후크부(71b)가 부드러운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완충판(30)이 해제 위치쪽으로 더 이동하면, 완충판(30)의 선단은 후크부(71b)의 경사면으로 미끄러지고, 강제 부재(73)의 힘에 대항하여 후크부(71b)를 아래로 누른다. 완충판(30)이 소정의 해제 위치로 이동되면, 후크부(71b)는 완충판(30)의 맞물림 구멍(39)와 맞물리고, 완충판(30)은 해제 위치에서 홀딩된다. 완충판(30)이 해제 위치에서 홀딩되면, 용지 입구(48)는 용지 입구(48)를 통해 롤지(90)의 리딩 단부(9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노출된다.
롤지(90)의 교환과 리딩 단부(91)의 설치가 완료되면, 운전자는 도 20에 도시된 위치로 전방부(61)을 들어올린다. 결과적으로, 후크 엑츄에이터(72)의 바닥 단부(72b)는 기초 프레임(40)의 상면(49)와 접촉하여, 후크 엑츄에이터(72)는 강제 부재(7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위로 밀린다. 후크 엑츄에이터(72)가 위로 밀리기 때문에, 상단부(72a)는 강제 부재(73)의 힘에 대항하여 후크 부재(7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후크부(71b)는 아래로 이동된다. 따라서, 후크부(71)는 맞물림 구 멍(39)으로부터 해제되고, 완충판(30)은 자동적으로 가이드 강제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도 20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손으로 완충판(3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없고, 운전자가 그것을 복귀시키는데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전방부(61)가 피벗팅되는 것처럼 완충판(30)이 와이어 부재, 연결 기구등에 의해 해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판(30)을 홀딩하는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완충판(30)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이 구조에 있어서, 손으로 완충판(30)을 이동할 필요가 없고, 완충판(30)을 해제하게 하는것의 실패에 의해 완충판(30)이 손상될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복잡한 와이어 배열과 기구 운전은, 실패율과 조작의 필요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수작업에 의한 해제은 간단하고, 높은 내구성 구조에 의해 의도한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청소, 급유등에 의해 완충판(30)이 더 잘 해제되게 하지않을 것이다. 완충판(30)을 해제되게 할지의 여부는 어떤 형태의 보수가 행해지는지와 관련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비록 가동 프레임(12)이 잠금 해제 레버(13)를 가동 프레임(12)의 피벗팅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피벗팅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지만, 가동 프레임(12)을 잠금 해제하는데 적당한 부하가 발생한다. 즉, 소정의 각 이상까지 잠금 해제 레버(13)를 피벗팅함으로써 가동 프레임(12)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까지 모든 전방부(11)를 들어올릴 필요는 없다. 이것은 잠금 해제 레버(13)의 잘못된 조작이 가동 프레임(12)을 잠금 해제하고 가동 프레임(12)을 기울어지게하는 사고를 방지한다.
현재 고려된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가 무엇이지와 관련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는 동안, 본 발명은 밝혀진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지만 반대로, 다양한 개량과 이하 청구항의 정신과 영역의 범위내로 포함된 동등한 배치를 커버하는 것이 의도되었다는 것이 이해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긴 하지만 안전하고 우수한 동작성의 자유롭게 하는 기구를 갖춘 프린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충판이 동작을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해제되게 함으로써 롤지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Claims (20)

  1. 제 1 프레임 부재의 뒷쪽에 롤지를 수납하도록 된 수납부를 갖는 제 1 프레임 부재;
    상기 롤지로부터 인출된 프린트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동작이 가능한 프린트 헤드;
    상기 프린트 헤드를 지지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의 앞쪽과 결합되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프레임 부재;
    상기 제 1 위치에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를 잠그는 잠금 기구; 및
    상기 잠금 기구와 맞물릴 수 있는 잠금 해제 레버로서,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의 잠긴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되면, 적어도 상기 수납부가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레버는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레버는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의 잠긴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이 가능한 작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 가능하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의 피벗팅 중심은 상기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지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이룬 홈이 형성되어 이 제 2 프레임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에 잠그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홈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레버는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상에 피벗팅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잠금 해제 레버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피벗팅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에는 고정된 피벗팅 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에는 상기 고정된 피벗팅 샤프트를 수용하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 해제 레버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피벗팅 샤프트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 3 위치와 제 4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완충 부재;
    상기 완충 부재와 맞물려 상기 제 3 위치 방향으로 상기 완충 부재를 미는 제 1 강제 부재로서 제 3 위치에 있는 완충 부재가 상기 롤지의 용지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롤지의 상기 프린트 용지가 상기 완충 부재에 의해 휘어지는 제 1 어징(urging)부재; 및
    상기 잠금 해제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잠금 해제 레버와 상기 완충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완충 부재가 상기 롤지의 상기 프린트 용지로부터 후퇴되어 상기 제 4 위치로 이동되게하는 연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는 상기 잠금 해제 레버와 상기 완충 부재에 각각 연결된 단부를 갖는 연장된 유연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는 상기 연장된 유연성 부재의 경로를 정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기는 상기 구멍에 맞물리는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는 상기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는 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완충 부재와 맞물 려 상기 제 4 위치에 상기 완충 부재를 보유할 수 있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완충 부재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완충 부재와 맞물리는 제 5 위치와 상기 완충 부재로부터 해제되는 제 6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후크 부재;
    상기 후크 부재와 맞물리고 상기 제 5 위치 방향으로 상기 후크 부재를 미는 제 2 어징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와 맞물리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 2 어징 부재의 도움으로 상기 제 5 위치에 상기 후크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 2 어징 부재의 미는힘에 대항하여 상기 제 6 위치에 상기 후크 부재를 배치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의 제 1 단부는 상기 후크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엑츄에이터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와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제 1 프레임 부재로부터 해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바-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17. 기초 프레임 부재;
    상기 기초 프레임 부재에 피벗팅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닫힌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 가능하게 되는 전방부;
    상기 전방부에 부착된 프린트 헤드;
    상기 전방부와 상기 기초 프레임 부재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전방부를 잠그는 동작이 가능한 잠금 기구; 및
    상기 피벗팅 축을 중심으로 피벗팅되면, 상기 잠금 기구를 해제하는 해제 구조체와 피벗팅 축을 포함하는 잠금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레버는 상기 잠금 해제 레버가 상기 피벗팅축을 중심으로 피벗팅되면 상기 기초 프레임 부재 또는 상기 전방부 중의 하나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전방부를 편향시키고 상기 잠금 기구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지레받침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는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된 위치로의 피벗팅 방향으로 피벗팅되고, 상기 잠금 해제 레버는 상기 잠금 기구를 해제하도록 상기 피벗팅 방향으로 피벗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유닛.
  20. 설치형 정보 단말 장치용 인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 장치의 동작 요소는 전방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인쇄 유닛은 롤지를 수납하는 롤지 하우징, 기초 프레임 부재, 상기 기초 프레임 부재에 피벗팅 가능하도록 부착된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에 부착된 프린트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는 전방 방향으로 피벗팅됨으로써 상기 롤지 하우징에 접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형 정보 단말 장치용 인쇄 유닛.
KR1020050054695A 2004-06-23 2005-06-23 인쇄 유닛 KR100738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4918A JP4517743B2 (ja) 2004-06-23 2004-06-23 印刷ユニット
JPJP-P-2004-00184918 2004-06-23
JPJP-P-2004-00189860 2004-06-28
JPJP-P-2004-00189861 2004-06-28
JP2004189861A JP2006007656A (ja) 2004-06-28 2004-06-28 印刷装置
JP2004189860A JP2006008353A (ja) 2004-06-28 2004-06-28 印刷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505A true KR20060048505A (ko) 2006-05-18
KR100738895B1 KR100738895B1 (ko) 2007-07-12

Family

ID=3493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695A KR100738895B1 (ko) 2004-06-23 2005-06-23 인쇄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17165B2 (ko)
EP (1) EP1609606B1 (ko)
KR (1) KR100738895B1 (ko)
TW (1) TWI2793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8724B2 (en) 2005-12-27 2011-02-0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JP5460365B2 (ja) * 2010-02-10 2014-04-02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FI124584B (fi) * 2010-12-08 2014-10-31 Valmet Technologies Inc Menetelmä ja laite taakkojen käsittelyssä
CN102180380B (zh) * 2011-04-08 2012-12-26 江苏省电力公司太仓市供电公司 一种收线机的底座固定机构
KR101432362B1 (ko) * 2011-06-29 2014-08-20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프린터 장치
TWI471229B (zh) * 2012-01-05 2015-02-01 Hiti Digital Inc 可於不同位置固定熱列印頭模組之固定機構及其熱昇華式印表機
CN107053864A (zh) * 2013-01-24 2017-08-18 艾利丹尼森公司 打印机
USD973765S1 (en) * 2021-04-26 2022-12-27 Top Vending Machine Electronics Co., Ltd. Printing machine
USD980902S1 (en) * 2021-07-12 2023-03-14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Printer
CN116619921B (zh) * 2023-06-25 2023-11-10 杭州兆臻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助打印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0297A (en) * 1951-02-06 Collapsible office machine frame
JPH0162059U (ko) * 1987-10-14 1989-04-20
CA1324027C (en) * 1988-06-21 1993-11-09 Susumu Mitsushima Thermal printing system
JP2720615B2 (ja) * 1991-03-27 1998-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7256978A (ja) * 1994-03-25 1995-10-09 Sato:Kk サーマルプリンタ
JP3545830B2 (ja) * 1995-04-27 2004-07-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3376216B2 (ja) * 1995-07-18 2003-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309038B2 (ja) 1995-09-29 2002-07-29 アンリツ株式会社 サーマルヘッド保持構造
JPH09123568A (ja) 1995-10-31 1997-05-13 Tec Corp ジャーナルプリンタ
JPH09254461A (ja) 1996-03-22 1997-09-30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H10250167A (ja) 1997-03-11 1998-09-22 Tokiko Fukushima Kk 車載用プリンタ装置
JP3858478B2 (ja) 1998-10-12 2006-1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紙用プリンタ
JP4221866B2 (ja) 2000-01-31 2009-0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紙装填機構およびロール紙プリンタ
KR100566221B1 (ko) * 1999-09-22 2006-03-2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롤지 수용부를 구비한 프린터
US6390697B1 (en) * 1999-10-29 2002-05-21 Fargo Electronics, Inc. Printhead mounting guide frame
JP4621335B2 (ja) * 2000-06-28 2011-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端末用プリンタユニット
JP2002145500A (ja) 2000-11-09 2002-05-22 Citizen Watch Co Ltd プリンタ
JP2002154719A (ja) * 2000-11-15 2002-05-28 Tatsuno Corp 給油装置のプリンタ構造
DE60211596T2 (de) * 2001-06-25 2006-12-21 Seiko Epson Corp. Drucker
EP1475237B1 (en) * 2003-05-08 2008-09-17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17165B2 (en) 2009-04-14
EP1609606B1 (en) 2014-03-05
EP1609606A3 (en) 2006-12-13
TWI279322B (en) 2007-04-21
KR100738895B1 (ko) 2007-07-12
EP1609606A2 (en) 2005-12-28
TW200615147A (en) 2006-05-16
US20050286954A1 (en)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895B1 (ko) 인쇄 유닛
US7824116B2 (en) Self-centering media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215465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CA2278320C (en) Device for thermal printing of a rolled paper strip, in particular for a plug-in or cordless portable payment terminal
CN100379573C (zh) 打印单元
US8196919B2 (en) Lock mechanism
BR102012018259A2 (pt) cassete de meios
US20060024114A1 (en) Printer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4919058A (en) Door operating mechanism for business machines
EP0440029A2 (en) Stationary thermal printer for using detachable cassette
KR20120042646A (ko) 명함지갑
JP5355427B2 (ja) 自動取引装置のシャッタ構造
US6527139B2 (en) Secure dispensing magazine for an article dispenser
JP4863964B2 (ja) 鍵管理装置
US8262083B2 (en) Media cassette
KR10152577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JP7066482B2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08353A (ja) 印刷ユニット
JP5184133B2 (ja) 遊技台用台間機のロック機構
JPH0816907A (ja) 硬貨収納構造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4509418B2 (ja) 通帳処理装置
JP4187515B2 (ja) 自動販売機の扉閉鎖装置
KR200350041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밀림 방지장치
JP200426521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構造
JP3830152B2 (ja) 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