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483A - 화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8483A KR20060048483A KR1020050054221A KR20050054221A KR20060048483A KR 20060048483 A KR20060048483 A KR 20060048483A KR 1020050054221 A KR1020050054221 A KR 1020050054221A KR 20050054221 A KR20050054221 A KR 20050054221A KR 20060048483 A KR20060048483 A KR 200600484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ument
- stacking
- stacking means
- recording material
- orig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8—Construction of the 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1—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for separating inclined-stacked articles with separator rollers above the st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B65H3/565—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for reintroducing partially separated articles in the st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2—Squaring-up pi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5—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in or on special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2—D-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3—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 처리 장치의 통상의 구성은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적재 수단과, 기록재가 적재되는 기록재 적재 수단과, 원고 적재 수단 또는 기록재 적재 수단으로부터 원고 또는 기록재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롤러를 포함한다. 급송 롤러는 기록재 적재 수단 위에 위치되고, 적어도 기록재 적재 수단의 하단부는 급송 롤러로 접근하거나 급송 롤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원고 적재 수단은 기록재 적재 유닛 위에 기록재 적재 유닛와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된다. 또한, 원고 적재 수단은 급송 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를 갖지 않고 기록재 적재 수단이 이동됨에 따라 이동된다.
화상 처리 장치, 원고 적재 수단, 기록재 적재 수단, 급송 롤러, 자동 급송기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2는 원고 및 기록재가 설정되지 않은 자동 급송기의 사시도.
도3은 원고 및 기록재가 설정되지 않은 자동 급송기의 정면도.
도4a 및 도4b는 원고만이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a 및 도5b는 자동 급송기에서의 압판과 급송 롤러의 이동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6a 및 도6b는 급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7은 분리 유닛의 분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8은 자동 급송기의 반환 멈춤쇠 또는 반환 레버의 사시도.
도9a, 도9b 및 도9c는 자동 급송기에 대한 반환 레버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0은 자동 급송기에 대한 반환 레버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1은 예시적인 종래의 화상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트리지
3: 압판
10: 반송 롤러
16: 핀치 롤러
17: 전달 롤러
18: 박차
28: 리브
81: 급송 롤러
82: 압판
83: 압판 스프링
84: 분리 패드
93: 분리 롤러
94: 분리 패드
100: 팩시밀리기
101: 화상 기록 유닛
102: 화상 판독 유닛
103: 자동 급송기
131: 주 분리 유닛
132: 통로 제어 벽
본 발명은 원고 및 기록재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반송로를 포함하는 팩시밀리기와 같은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반송로의 일부가 원고 및 기록재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팩시밀리기와 같은 화상 처리 장치가 소형화 및 비용 저감을 위해 제안되었다.
이런 구성의 일 예가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도11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적재 트레이 상에 적재된 적층물의 기록재를 분리해서 개별적으로 반송하기 위한 ASF 유닛(301)과, 내부에 적재된 적층물의 원고 시트를 분리해서 개별적으로 반송하기 위한 ADF 유닛(302)과, ASF 유닛(301) 또는 ADF 유닛(302)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재 또는 원고를 반송하기 위한 보조 반송 롤러(303)와, 소정 속도로 기록재 또는 원고를 반송하기 위한 주 반송 롤러(304)와, 기록재 또는 원고를 장치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롤러(305)와, 원고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스캐너(306)와,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기록 유닛(307)을 포함한다. 이런 구성에서, 함께 반송로를 형성하는 보조 반송 롤러(303), 주 반송 롤러(304), 전달 롤러(305) 및 안내 부재는 화상 처리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저감을 달성하기 위해 원고와 기록재에 공통으로 이용된다. 이런 배열 구조의 팩시밀리기가 예컨대 미국 특허 제5,727,890호에 개시되어 있다.
단일한 급송 롤러의 회전과 선회가 수동 급송 포트를 통해 시트 카세트로부터 수용된 기록재의 급송을 위해 제어되는 다른 구성이 제시된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H03-243545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H03-243545호에 개시된 배열 구조 에 따르면, 급송 롤러는 두 개의 기록재 적재 수단 사이에서 회전되고 이동됨으로써, 기록재는 어느 한 적재 수단에 의해 급송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727,890호에 개시된 구조에서, 스캐너(306)는 주 반송 롤러(304)의 상류에 위치되고, 보조 반송 롤러(303)는 ADF 유닛(302)에 대해 주 반송 롤러(304)로 원고를 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불안정한 반송 속도를 유지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원고 및 기록재를 반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다른 반송 수단과 반송 경로에 비해, 단지 전달 롤러(305)만이 공통으로 이용되며,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저감 효과는 만족스럽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H03-243545호에 개시된 구조에서, 급송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와 제어 공정은 복잡하고, 분리 수단은 각각의 적재 수단에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저감 효과는 만족스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소형화와 비용 저감을 위해 한 세트의 분리 급송 기구 세트가 마련됨으로써, 원고 및 기록재의 별도 급송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특히 원활한 급송이 수행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한 통상의 구성은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적재 수단과, 기록재가 적재되는 기록재 적재 수단과, 원고 적재 수단 및 기록재 적재 수단으로부터 원고 및 기록재를 급송하고 기록재 적재 수단 위에 위치되는 급송 롤러를 포함하며, 적어도 기록재 적재 수단의 하단부는 급송 롤러 쪽으로 접근하거나 급송 롤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원고 적재 수단은 기록재 적재 유닛 위에 기록재 적재 유닛와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되며, 원고 적재 수단은 급송 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를 갖지 않고 기록재 적재 수단이 이동됨에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송 롤러와, 분리 유닛과, 원고 및 기록재를 분리해서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는 판독 수단과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는 소형화될 수 있고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비록 이들 구성 요소는 공통적으로 이용되지만, 급송 동안과 급송 후의 후방 장력이 제거될 수 있고 원고의 하부면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와 관련하여, 구성 요소의 크기, 재료, 형상 및 상대적 위치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1은 예로서 팩시밀리기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의 팩시밀리기(100)는 기록 수단의 예인 카트리지(1)를 포함하는 화상 기록 유닛(101)과, 판독 수단의 예인 화상 판독기(28)를 포함하는 화상 판독 유닛(102)과, 복수 개의 기록재(P) 또는 복수 개의 원고(S)를 분리하고 화상 기록 유닛(101) 또는 화상 판독 유닛(102)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기록재(P) 또는 각각의 원고(S)를 급송하는 자동 급송기(103)를 포함한다.
자동 급송기(103)의 하류에는 기록재(P) 또는 원고(S)를 검출하기 위한 페이지엔드(PageEnd) 센서 레버(PE 센서 레버)(21)와, 소정의 속도로 화상 기록 유닛 (101) 및 화상 판독 유닛(102)으로 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유닛과, 기록되거나 주사된 시트를 외부 위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유닛이 있다. 반송 유닛은 금속 샤프트 및 고무 롤러로 이루어진 반송 롤러(10)와, 시트에 대해 교차 방향으로 반송 롤러(10)에 가압되는 복수 개의 핀치 롤러(16)를 포함한다. 전달 유닛은 플라스틱 샤프트와 엘라스토머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전달 롤러(17)와, 전달 롤러(17)에 가압되는 박차(18)를 포함한다. 압판(3)이 ASF 기부(80)로부터 전달 롤러(17)까지 연장되는 시트 통로면으로서 마련된다. 압판(3)의 기록재 지지면 상에는 복수 개의 리브(38)가 기록재에 대해 교차 방향으로 형성되며, 기록재 반송 과정 동안, 기록재(P)는 리브(38)의 상부면을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송 롤러(81)로부터 전달 롤러(17)까지의 반송 경로는 원고 및 기록재가 그를 따라 통과하는 공통 반송 경로이다.
화상 기록 유닛(101)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잉크 카트리지(1)로부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잉크 제트 기록형이다. 카트리지(1)는 캐리지(4) 상에 장착되어서 기록재(P)가 반송되는 방향에 수직한 교차 방향으로 원고를 주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 주사 방향으로 기록 헤드를 이동시키는 직렬형 기록 장치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록 시트가 순차적으로 반송되는 동안 기록 시트에 대한 교차 방향으로 전체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기록 헤드를 이용함으로써 화상을 기록하는 풀-라인(full-line)형 기록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화상 기록 유닛(102)의 화상 판독기(28)는 화상 기록 수단인 접촉 화상 센서(이하, C2라 한다)(22)와, C2(22)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인 CS 홀더(26)와, C2(22) 에 대향하는 상태로 CS 홀더(26)에 의해 유지되는 백색 기준 부재(25)를 포함한다. 화상 판독기(28)는 보통은 압판(3)에서 분리된 대기 위치에 있다(대기 상태). 장치의 본체가 복사 지시 또는 전송 지시와 같은 화상 기록 지시를 수신하면, 화상 판독기(28)는 도1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구동 수단(도시 안됨)에 의해 회전되고, 압판(3)에 대향하는 판독 위치로 이동된다(판독 상태). 화상 판독기(28)는 캐리지(4)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열되기 때문에, 팩시밀리기의 전체 크기는 저감될 수 있다. 화상 기록 작업 동안,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판독기(28)는 캐리지(4)가 이동하는 영역의 외측에 있는 대기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화상 판독기(28)는 캐리지(4)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과 저촉되지 않는다.
화상 기록 유닛(102)으로 급송되는 원고(S)는 기록재(P)에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반송 롤러(10)와 핀치 롤러(16)에 의해 화상 판독기(28)로 반송된다. 그 후, 화상 판독기(28)는 원고(S)가 전달 롤러(17) 및 박차(18) 뿐만 아니라 반송 롤러(10) 및 핀치 롤러(16)에 의해 핀치되어 반송될 때 원고(S)를 주사하고, 그 후 원고(S)는 장치 외측으로 전달된다.
이하, 자동 급송기(103)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원고(S)와 기록재(P)가 설정되지 않은 자동 급송기(103)의 사시도이다. 도3은 원고(S)와 기록재(P)가 설정되지 않은 자동 급송기(103)의 정면도이다. 도4a 및 도4b는 원고(S)만이 설정된 자동 급송기(103)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a 및 도5b는 자동 급송기(103)의 압판 및 반송 롤러의 움직임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6a 및 도6b는 시트 급송 동안 자동 급송기(103)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7 은 분리 유닛의 분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8은 자동 급송기(103)의 반환 레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a 내지 도9c와 도10은 자동 급송기(103)의 반환 레버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2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급송기(103)의 프레임인 ASF 기부(80)는 기부면(80a), 우측판(80b), 좌측판(80c), 선단 기준면(80d) 및 시트 통로면(80e)으로 구성된다.
급송 롤러(81)는 베어링을 거쳐 우측판(80b)과 좌측판(80c)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압판(82)의 지지 축(82c)은 베어링을 거쳐 우측판(80b)과 좌측판(80c)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압판(82)은 압판(82)의 이면과 ASF 기부(80)의 기부면(80a) 사이에 마련되는 압판 스프링(83)에 의해 급송 롤러(81)쪽으로 가압된다.
또한, 도2,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캠(81b)이 급송 롤러(81)의 축 위로 끼워져 있으며, 종동 캠(82a)이 압판(82)에 마련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판(82)은 압판 스프링(83)에 의해 발현되는 힘을 이용하여 시트 급송 동안 급송 롤러(81)쪽으로 기록재(P) 또는 원고(S)의 적재물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급송 동안이 아닌 시간 동안, 압판(82)은 종동 캠(82a)에 의해 하향 가압됨으로써, 원고(S)와 기록재(P)를 설정하기 위한 간극이 압판(82)과 급송 롤러(81) 사이에 한정되고 압판(82)은 기록재 적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즉, 급송 롤러(81)가 회전됨에 따라, 압판(82)은 급송 롤러(81)로부터 분리되거나 급송 롤러(81)에 접촉되고, 구동 캠(81b)과 종 동 캠(82a)은 분리/접촉 수단을 구성한다.
급송 롤러(81)의 축과 일체 형성된 센서 플래그(81a)는 급송 롤러(81)의 위상을 식별하도록 ASF 센서(비도시)와 결합한다. 단면에 있어, 급송 롤러(81)는 호형부(81d) 및 선형부(81c)를 갖는 소위 D 절개 롤러이다. 구동 캠(81b)과 급송 롤러(81)의 반원형 위상은 압판(82)이 급송 롤러(81)로부터 분리될 때 분리 수단의 예로서 분리 패드(84)가 선형부(81c)에 대향하고(도4a) 압판(82)이 전방으로 밀릴 때 압판(82)이 급송 롤러(81)의 호형부(81d)와 접촉하도록(도4b) 설계된다.
분리 패드(84)는 압판(82)의 선단부의 중심에 부착되며, 가압 상태에서 시트 급송 동안 분리 패드(84)와 급송 롤러(81)는 서로 대향한다. 또한,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패드(84)는 기록재 적재면(82b)으로부터 급송 롤러(81) 쪽으로 약간 돌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 패드(84)는 적재된 최대 수의 원고(S)의 두께에 동등한 거리만큼 돌출한다.
분리 수단의 예인 분리 롤러(93)는 급송 롤러(81)와 분리 패드(84) 사이에 닙부로부터 하류에 배열되고, 급송 롤러(81)와 접한다. 토오크 리미터를 포함하는 분리 롤러(93)는 반송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수용하며, 급송 롤러(81)로부터 분리되고 급송 롤러(81)와 접촉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동 급송기(103)는 두 개의 분리 구역인, 전방 분리 유닛과 주 분리 유닛(131)으로 분리된다. 전방 분리 유닛은 압판(82)의 분리 패드(84)와, 급송 롤러(81)와, 통로 제어 벽(132)으로 구성된다. 통로 제어 벽(132)은 급송 롤러(81) 및 ASF 기부(80) 사이의 통로 구역에 한정된 간극이 약 1 mm가 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약 50 장의 기록재가 설정될 때, 통로 제어 벽(132)은 이들 기록재를 분리함으로써, 여러 장의 시트는 같은 수의 시트가 주 분리 유닛(131)에 의해 처리될 때마다 주 분리 유닛(131)으로 반송될 수 있게 된다. 주 분리 유닛(131)은 급송 롤러(81)와 분리 롤러(93)로 구성되며, 상술한 처리를 이용하는 전방 분리 유닛에 의해 급송된 여러 장의 시트를 분리한다. 주 분리 유닛(131)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될 제2의 후속 시트는 분리 롤러(93)와 급송 롤러(81) 사이의 닙 부분(98) 근처에서 유지된다.
원고 적재 수단의 예인 원고 테이블(제1 적재 수단)(85)은 기록재 적재면(82b) 위에 평행하게 소정 간극을 두고 압판(8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원고 테이블(85)은 압판(82)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압판(82)이 급송 롤러(81)로부터 분리되거나 이와 접촉하도록 피봇될 때, 이에 따라 원고 테이블(85)은 축(82c)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원고 테이블(85)과 압판(82)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유지된다. 원고 테이블(85)은 급송 롤러(81)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를 갖지 않지만, 급송 롤러(81)가 회피되는 위치에서 예시적인 원고 안내 부재(제2 적재 부재)인 우측 원고 브리지(86) 및 좌측 원고 브리지(87)를 포함한다.
우측 원고 브리지(86)는 원고 테이블(85)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후방 단부에서 지지축(86c)에 끼워진다. 마찬가지로, 좌측 원고 브리지(87)는 원고 테이블(85)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후방 단부에서 지지축(87c)에 끼워진다. 우측 원고 브리지(86) 및 좌측 원고 브리지(87)의 자유 말단부는 급송 롤러(81)에 가까운 위치까지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으로 연장된다. 원고 테이블(85)이 압판(82)에 부착되는 동안, 원고 브리지(86, 87)의 말단부의 하부면은 예시적인 규제부인 ASF 기부(80)의 리세스부(80f)에 의해 조절된다. 이런 배열 구조에 의하면, 원고 브리지(86, 87)와 압판(82)의 기록재 적재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얻어질 수 있다(도4a). 리세스부(80f)가 선단 기준면(80d)에 형성되고, 우측 원고 브리지(86) 및 좌측 원고 브리지(87)는 원고(S)가 선단 기준면(80d)에 도달할 때까지 원고(S)를 유지한다. 원고 브리지(86, 87)의 상향 회전은 규제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고(S)가 설정되지 않을 때, 원고 브리지(86, 87)는 기록재(P)에 의해 밀려서 기록재(P)와 급송 롤러(81) 사이의 닙 부분보다 더 위로 회전된다.
기록재 트레이(8)는 압판(82)에서 시작하는 기록재 적재면을 연장시키기 위해 ASF 기부(80)에 부착된다. 또한, 원고 트레이(88)는 이것이 원고 적재면을 연장시키도록 고정된다. 활주 정지 부재(89)가 원고 트레이(88)의 말단부(반송 방향의 말단부)에 마련된다. 원고 트레이(88)와 원고 트레이(85)에 의해 지지되는 길이는 A4 크기의 약 2/3이다. A4 원고가 설정될 때 후방 단부의 1/3이 자유롭고, 원고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 종이일 때 종이의 무게로 인해 원고가 후방으로 하강함으로써 후방 단부는 기록재 트레이(8)에 의해 지지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안내부(90)는 기록재(P)가 급송 롤러(81)에 의해 반송되는 방향에 수직한 화살표(C)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압판(82)에 부착된다. 또한, 원고 테이블(85)에는 원고 활주기(30)가 화살표(C)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부착된다. 기록재(P)가 설정될 때, 기록재(P)의 우측은 교차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압판(82)의 기록재 교차 방향 기준면(91)에 접하고, 기록재(P)의 좌측은 측면 안내부(90)의 안내면(90a)을 따라 제어되고, 선단부는 선단 기준면(80d)을 따라서 지지되고, 전체 기록재(P)는 압판(82)의 기록재 적재면(82b)과 기록재 트레이(8)에 의해 지지된다(도1 및 도3). 원고(S)가 설정될 때, 원고(S)의 좌측은 교차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원고 테이블(85)의 원고 교차 방향 기준면(85a)에 접하고, 원고(S)의 우측은 원고 슬라이더(30)의 안내면(30a)을 따라 조절되고, 원고(S)의 선단부는 선단 기준면(80d)을 따라서 지지되고, 전체 원고(S)는 원고 트레이(88), 원고 트레이(85) 및 원고 브리지(86, 87)에 의해 지지된다(도1, 도3, 도4a 및 도4b).
장치의 좌측과 우측 상에 위치된 기록재 교차 방향 기준면(91)과 원고 교차 방향 기준면(85a)은 서로에 대해 교차 방향으로 약 30 ㎜만큼 이동된다. 따라서, 기록재(P)와 원고(S) 모두가 설정될 때, 비록 최대 폭을 갖는 것이라도 기록재(P)는 원고(S)의 기준측으로부터 약 30 ㎜의 범위 내에는 원고(S) 아래에 존재하지 않는다(도3). 원고(S)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가 기록재(P)가 설정되지 않은 영역 내에 배열된다. 이 센서는 광 차단기와, 홀더(비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DS 액츄에이터(92)로 구성된다. 원고(S)가 설정되면, 원고(S)는 아암(92a)과 접촉하게 되고 DS 액츄에이터(92)는 광 차단기를 턴 온하거나 턴 오프하도록 회전된다(도1). 좌측 원고 브리지(87)는 원고(S)가 적재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말단 분지형 단부를 가지며, 기록재가 적재된 영역으로부터 기록재가 적재되지 않은 영역까지 연장된다. DS 액츄에이터(92)의 아암(92a)은 분지형 단부의 근원부에 서 이동된다(도2).
기록재(P)만이 설정된 경우, 원고(S)는 도4a에 도시된 상태에 있으면서 제거된다. 급송 롤러(81)가 회전되면, 압판(82)은 압판(82)이 급송 롤러(81)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동 캠(81b)에 의해 이동되고(도5b) 급송 롤러(81)는 최상부 기록재(P)와 접촉한다. 이 때, 원고 브리지(86, 87)는 급송 롤러(81)가 회피되는 위치에서 교차 방향으로 기록재(P)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원고 브리지(86, 87)는 급송 롤러(81)로부터 상향으로 후퇴되어서 분리 과정과 저촉되지 않는다(도2 및 도3).
원고(S)와 기록재(P) 모두가 설정된 경우, 장치는 도4a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 급송 롤러(81)가 회전되면, 압판(82)은 압판(82)이 급송 롤러(81)에 대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동 캠(81b)에 의해 이동되고(도5b), 원고(S)는 기록재(P)를 거쳐 밀리게 되고, 최상부 원고(S)는 급송 롤러(81)와 접촉한다. 이 때, 원고 브리지(86, 87)는 기록재(P)와 원고(S)에 의해 조여진다. 그러나,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패드(84)는 기록재 적재면(82b)으로부터 돌출되고 원고 브리지(86, 87)는 교차 방향으로 급송 롤러(81)를 피하기 때문에, 편의력이 원고(S)를 별도로 변위시키지 않고도 원고(S)와 급송 롤러(81) 사이에 발생된다. 또한, 기록재(P)는 기준측 상에서 약 30 ㎜의 범위 내에는 원고(S) 아래에 존재하지 않지만 원고(S)는 좌측 원고 브리지(87)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원고(S)는 하류측 방향으로 하강하지 않는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원고 브리지(87)가 분지형 단부들을 갖고 이들 단부 중 하나가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기록재(P) 상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고(S)는 설정된 기록재(P) 수의 변화에 따라 지지될 수 있다.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S)만이 설정된 경우, 원고(S)는 압판(82)에 대해 직접 눌리고, 최상부 원고(S)는 급송 롤러(81)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원고 브리지(86, 87)는 압판(82)과 원고(S) 사이에 조여진다. 그러나, 분리 패드(84)는 기록재 적재면(82b)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분리 패드(84)와 원고 브리지(86, 87)는 사실상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되고 소정의 편의력이 원고(S)를 별도로 변위시키지 않고도 원고(S)와 급송 롤러(81) 상에 발생된다. 분리 패드(84)와 기록재 적재면(82b)이 동일한 높이에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급송 롤러(81)에 대해 원고(S)를 가압하기 위해, 원고(S)는 원고 브리지(86, 87)의 두께와 동등한 거리만큼 교차 방향으로 변위되어야만 한다. 그 후, 적절한 편의력이 급송 롤러(81)에 대해 발생되지 않으면서 압판(82)의 편의력이 원고(S)만을 변위시키도록 사용되고, 급송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원고(S)와 기록재(P)가 분리 롤러(93) 및 급송 롤러(81)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될 때, 제2의 후속하는 시트들은 분리 롤러(93)와 급송 롤러(81) 사이에서 닙 부분(98) 근처에서 정지된다. 시트들이 이 위치에 남아 있는 경우, 정상 시트 급송은 후속 급송 시 또는 추가 시트들이 설정될 때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닙 부분(98)에 있는 시트들을 설정 위치로 반환시키기 위한 시트 반환 기구가 마련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반환 기구는 ASF 기부(80)의 시트 통로면(80e)의 반대측에서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반환 레버(133)와, 반환 레버(133)를 작동시키기 위해 캠을 사용하는 제어 캠(134)을 포함한다. 반환 레버(133)는 축 (133a)과 복수 개의 멈춤쇠(133b)를 포함하며, 제어 캠(134)은 축(133a)의 일 단부에 끼워진다. 제어 캠(134)은 화살표(E)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압박 스프링(135)에 의해 압박되고, 후술하는 제어 캠(134)의 종동부(134a)와 제어 기어(97)의 구동 캠(97a)에 의해 반환 레버(133)는 도9a 내지 도9c에 도시된 세 개의 위치를 획득한다.
도9a에 도시된 반환 레버(133)의 위치는 시트 급송 작업시의 대기 상태에 대한 위치이다. 대기 상태에서, 시트 급송 작업 동안, 반환 레버(133)의 말단부는 시트 통과 경로 내로 삽입되고 반환 레버(133)는 스토퍼로 기능함으로써, 설정된 기록재(P) 또는 원고(S)의 선단 모서리가 자동 급송기(103) 내로 잘못해서 깊이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9b에서, 반환 레버(133)에 대해 도시된 위치는 도9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화살표 G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조금 회전된 후 가정되는 위치이고, 시트 급송 작업이 시작되어서 시트가 닙 부분으로부터 설정 위치로 반환된 직후의 상태에 있다. 시트 급송이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새로운 기록재 또는 원고가 적재될 가능성은 아주 높기 때문에, 시트 급송 작업이 시작된 직후 시트의 선단부는 소정의 선단 기준면(80d)으로 반환된다. 반환 레버(133)가 이 위치에 도달할 때(도9b), 전방으로 반송되는 기록재(P) 또는 원고(S)의 선단부는 선단 기준면(80d)으로 완전히 반환된다.
급송 롤러(81)와 분리 롤러(93) 사이에서 닙 부분에 조여 있는 기록재(P)는 선단부가 반환 레버(133)에 의해 밀림에 따라 설정 위치로 반환된다. 그러나, 이 때, 기록재(P)는 45°이상으로 직립해서 적재되기 때문에, 기록재(P)는 그 무게를 받으며 경사지게 상향으로 밀린다. 기록재(P)의 강도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기록재(P)는 상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으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S)의 선단부(S1)만이 반환됨으로써, 기록재(P)는 비록 이것이 말려지더라도 접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재(P)는 약 100 ㎛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기록재(P)는 그 길을 따라 접혀지지 않고도 그 설정 위치로 반환된다. 그러나, 슬립지(slip)와 같은 약 60 ㎛의 두께를 갖는 얇은 시트가 원고(S)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런 원고(S)가 반환 레버(133)에 의해 반환되는 경우, 원고(S)는 하향 공간이 존재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하향 공간을 규제하기 위한 시트 통로면이 원고 브리지(86, 87)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얇은 시트도 접히지 않고 설정 위치로 반환될 수 있다.
도9c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어 캠(134)의 종동부(134a)는 제어 기어(97)의 구동 캠(97a)과 분리된다(도8). 반환 레버(133)는 압박 스프링(135)의 편의력에 의해 화살표(H)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되고, 시트를 포획하지 않도록 시트 통로면으로부터 완전히 후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고 적재 수단 또는 기록재 적재 수단으로부터 원고 또는 기록재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롤러와, 원고 또는 기록재를 분리하기 위해 급송 롤러와 작용하는 분리 유닛과, 원고 또는 기록재가 통과하는 반송 경로가 마련된다. 따라서, 장치의 구성은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장치의 크기와 비용은 저감될 수 있다.
특히, 원고 적재 수단은 기록재 적재 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사실상 평행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기록재 적재 수단이 급송 롤러에 대해 가압될 때 소정 간극이 여전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원고 적재 수단에 의해 기록재가 물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시트 급송 동안 그리고 급송 후 후방 장력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열 구조에 따르면, 기록재가 설정될 때, 원고는 압판에 의해 기록재를 거쳐 급송 롤러에 대해 밀리게 된다. 이때, 기록재는 원고의 기준측 상에서 약 30 ㎜의 범위 내에서 원고 아래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원고의 단부가 아래로 말리면 원고는 선단 기준면을 통과할 수 없고 오급송 또는 사행 급송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재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도, 원고의 하부면은 원고 안내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원고는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원고 안내 부재는 기록재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기록재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원고는 설정된 기록재와 동일한 높이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원고는 안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오급송 또는 사행 급송과 같은 급송 실패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원고 안내 부재는 수직하게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원고는 적재된 기록재의 수의 변화에 따라 지지됨으로써, 원고는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원고가 안정적으로 적재되는 배열 구조로 인해, 이 원고는 접히지 않고도 반환 레버에 의해 설정 위치로 정밀하게 반환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화상 형성 처리 장치는 크기와 비용이 저감될 수 있고 원고와 기록재를 별도로 급송할 수 있고 특히 원활한 급송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5)
-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적재 수단과,기록재가 적재되는 기록재 적재 수단과,원고 적재 수단 또는 기록재 적재 수단으로부터 원고 또는 기록재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롤러를 포함하며,급송 롤러는 기록재 적재 수단 위에 위치되고 적어도 기록재 적재 수단의 하단부는 급송 롤러로 접근하거나 급송 롤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원고 적재 수단은 기록재 적재 수단 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사실상 평행하게 부착되며,원고 적재 수단은 급송 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를 갖지 않고 기록재 적재 수단이 이동될 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원고 적재 수단은 원고의 하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원고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원고 안내 부재는 급송 롤러가 회피되는 위치에서 원고의 교차 방향으로 위치되며, 원고 안내 부재의 후방 단부는 원고 적재 수단에서 수직하게 이동되고 전방 단부는 급송 롤러의 근처까지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원고 안내 부재의 전방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규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규제 수단은 원고 안내 부재의 하향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원고 안내 부재가 기록재 적재 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원고 적재 수단과 기록재 적재 수단에 대한 교차 방향으로의 기준은 일 측면 기준이고 원고 적재 수단의 기준면과 기록재 적재 수단의 기준면은 화상 처리 장치의 대향하는 양 측면 상에 설정되며, 원고 적재 수단의 기준면과 기록재 적재 수단의 기준면 사이의 간격은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최대 크기의 기록재의 폭보다 크도록 한정되며, 원고 안내 부재는 원고가 적재되는 영역에 위치되고 기록재가 적재되는 영역으로부터 기록재가 적재되지 않은 영역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기록재가 적재되는 기록재 적재 수단과,원고가 적재되고 기록재 적재 수단 위에 위치된 원고 적재 수단과,원고가 원고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될 때 원고를 급송하고 원고가 원고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되지 않을 때 기록재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되는 기록재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롤러와,기록재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된 기록재의 선단부의 시트 급송 방향으로의 위치와 원고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된 원고의 선단부의 시트 급송 방향으로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규제 수단과,급송 롤러로 접근하거나 급송 롤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록재 적재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을 포함하며,원고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된 원고는 선단부까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원고 적재 수단의 일부는 규제 수단에 형성된 리세스부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원고 적재 수단은 급송 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고를 유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원고 적재 수단은 기록재 적재 수단에 일체로 부착된 제1 적재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적재 부재와 기록재 적재 수단의 적재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제1 적재 부재는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기록재 적재 수단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제1 적재 부재는 규제 수단에서 거리를 두고 위치되고 제1 적재 부재와 규제 수단 사이에서 원고를 지지하는 제2 적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0 항에 있어서, 제2 적재 부재의 일 단부는 제1 적재 부재를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제2 적재 부재의 타 단부는 규제 부재에 형성된 리세스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제2 적재 부재는 급송 롤러에 대향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급송 롤러는 기록재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된 기록재와 접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제2 적재 부재가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기록재 적재 수단에 의해 밀려 이동됨에 따라, 원고는 급송 롤러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제2 적재 부재가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기록재 적재 수단 상에 적재된 기록재에 의해 밀려 이동됨에 따라, 원고는 급송 롤러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제2 적재 부재는 이동될 때 리세스부로부터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184537A JP4194536B2 (ja) | 2004-06-23 | 2004-06-23 | 画像処理装置 |
JPJP-P-2004-00184537 | 2004-06-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8483A true KR20060048483A (ko) | 2006-05-18 |
KR100656323B1 KR100656323B1 (ko) | 2006-12-13 |
Family
ID=3493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4221A KR100656323B1 (ko) | 2004-06-23 | 2005-06-23 | 화상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556255B2 (ko) |
EP (1) | EP1609605B1 (ko) |
JP (1) | JP4194536B2 (ko) |
KR (1) | KR100656323B1 (ko) |
CN (1) | CN100534800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07338B2 (ja) * | 2004-06-23 | 2009-08-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JP2006293067A (ja) * | 2005-04-12 | 2006-10-26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4500727B2 (ja) * | 2005-04-28 | 2010-07-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記録装置 |
KR100677625B1 (ko) * | 2005-12-23 | 2007-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
US7448609B2 (en) * | 2006-12-28 | 2008-11-11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feeding device |
KR101330736B1 (ko) * | 2008-01-09 | 2013-1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US20140339760A1 (en) * | 2013-05-15 | 2014-11-20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edia Stack Compression |
US11613135B2 (en) * | 2019-11-11 | 2023-03-28 | Seiko Epson Corporation | Recording apparatus |
JP2022026754A (ja) * | 2020-07-31 | 2022-02-1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媒体排出装置及び画像読み取り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49961A (en) | 1980-09-10 | 1982-03-24 | Sharp Corp | Paper feeder of copying machine |
JPH0657464B2 (ja) * | 1985-04-09 | 1994-08-03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印字装置 |
JPS63280272A (ja) | 1987-05-12 | 1988-11-17 | Canon Inc | 記録装置 |
JPH0194327U (ko) | 1987-12-11 | 1989-06-21 | ||
US5043763A (en) | 1988-09-19 | 1991-08-27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heater in contact with a film to fix a toner image |
US4998121A (en) | 1988-10-03 | 1991-03-05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
US5083168A (en) | 1988-11-15 | 1992-01-21 | Canon Kabushiki Kaisha | Fixing device and fixing heater for use in the same |
US5162634A (en) | 1988-11-15 | 1992-11-10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ixing apparatus |
DE68917688T2 (de) | 1988-11-25 | 1995-01-05 | Canon Kk | Bildfixiergerät. |
EP0372478B1 (en) | 1988-12-05 | 1997-10-22 | Canon Kabushiki Kaisha | Curl correction apparatus |
US5027160A (en) | 1988-12-08 | 1991-06-25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ixing apparatus with movable film and means for controlling film position |
JP2708867B2 (ja) | 1989-03-31 | 1998-02-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加熱定着装置 |
US5448268A (en) | 1989-11-15 | 1995-09-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anual paper loading device |
US5118920A (en) | 1989-12-11 | 1992-06-02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ixing apparatus |
JP2789753B2 (ja) | 1990-01-09 | 1998-08-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定着装置 |
EP0437204B1 (en) | 1990-01-11 | 1994-09-14 | Canon Kabushiki Kaisha | Lateral shift control for endless belt and fixing apparatus using same |
EP0437203B1 (en) | 1990-01-11 | 1996-04-03 | Canon Kabushiki Kaisha | Lateral shift control apparatus for an endless belt and fixing device using the same |
EP0437205B1 (en) | 1990-01-12 | 1996-04-03 | Canon Kabushiki Kaisha | An image fixing apparatus |
EP0443806B1 (en) | 1990-02-20 | 1996-07-31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ixing means error detector |
JP2928309B2 (ja) | 1990-02-20 | 1999-08-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US5427462A (en) * | 1991-04-16 | 1995-06-27 | Hewlett-Packard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paper control and skew correction in a printer |
JP3359077B2 (ja) | 1993-03-02 | 2002-12-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
JP3286031B2 (ja) | 1993-07-23 | 2002-05-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複合画像形成装置 |
US5651623A (en) | 1993-10-29 | 1997-07-29 | Hewlett-Packard Company | Multiple-function printer with common feeder/output path mechanisms and method of operation |
US5727890A (en) * | 1993-10-29 | 1998-03-17 | Hewlett-Packard Company | Multiple-function printer with common mounting chassis feeder/output path mechanisms |
US5738454A (en) | 1993-10-29 | 1998-04-14 | Hewlett-Packard Company | Multiple-function printer with common output path mechanism with floating guide ribs to accommodate media and documents of different thickness |
DE69404801T2 (de) | 1993-10-29 | 1998-03-12 | Hewlett Packard Co | Drucker für Mehrfachfunktionen mit gemeinsamen Ein/Ausgabeweg |
DE69512574T2 (de) | 1994-07-06 | 2000-05-04 | Canon K.K., Tokio/Tokyo | Bilderzeugungsgerät mit einer Steuerung zur Prioritätsunterbrechung |
JP3501503B2 (ja) | 1994-07-25 | 2004-03-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後処理装置 |
JP3471935B2 (ja) | 1994-11-11 | 2003-12-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レイアウト決定方法 |
US5800083A (en) * | 1996-09-19 | 1998-09-01 | Hewlett-Packard Co. | Multiple-function printer document deflector actuation coupled to service station actuation |
IT1291006B1 (it) * | 1997-01-13 | 1998-12-14 | Olivetti Lexikon Spa | Dispositivo per alimentare selettivamente fogli da due cassetti in una macchina per ufficio. |
JP3281568B2 (ja) | 1997-03-27 | 2002-05-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
KR100225084B1 (ko) * | 1997-11-24 | 1999-10-15 | 윤종용 | 복합기기의 매뉴얼/자동 겸용급지장치 |
KR100286262B1 (ko) * | 1999-01-19 | 2001-03-15 | 윤종용 | 복합기기의 용지 공급장치 |
JP4217340B2 (ja) | 1999-04-15 | 2009-01-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材検出装置及び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4115268B2 (ja) | 2002-12-24 | 2008-07-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記録装置 |
-
2004
- 2004-06-23 JP JP2004184537A patent/JP419453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5-31 US US11/139,522 patent/US755625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6-07 EP EP05012230.8A patent/EP160960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5-06-23 CN CNB2005100774677A patent/CN10053480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6-23 KR KR1020050054221A patent/KR10065632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09605B1 (en) | 2015-11-18 |
EP1609605A2 (en) | 2005-12-28 |
JP2006008273A (ja) | 2006-01-12 |
CN100534800C (zh) | 2009-09-02 |
KR100656323B1 (ko) | 2006-12-13 |
EP1609605A3 (en) | 2009-03-11 |
US20050286942A1 (en) | 2005-12-29 |
CN1712230A (zh) | 2005-12-28 |
JP4194536B2 (ja) | 2008-12-10 |
US7556255B2 (en) | 2009-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6323B1 (ko) | 화상 처리 장치 | |
EP2466867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6171904B2 (ja) |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 |
US7883085B2 (en) | Guide device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US9315348B2 (en) | Sheet conveyor device and image recording device | |
JP7214506B2 (ja)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6185405B1 (en) | Image reading apparatus and sheet guide therefor | |
US7618035B2 (en) | Image recording apparatus | |
JP3680312B2 (ja) | 給紙装置 | |
US7448609B2 (en) | Sheet feeding device | |
JP4444876B2 (ja) | 画像読取記録装置 | |
KR100748281B1 (ko) | 화상 처리 장치 | |
JP7114249B2 (ja) | 記録媒体の給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 |
JP2000313530A (ja) | 原稿給紙装置 | |
JP6896371B2 (ja) | シート排出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11780697B2 (en) | Recording apparatus | |
JP7199838B2 (ja) | 画像記録装置 | |
JP7277138B2 (ja) | 給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 |
JP7040059B2 (ja) | 画像読取装置 | |
JP2024145590A (ja) | 画像読取装置 | |
JP2023114081A (ja) | 画像読取装置、及び記録装置 | |
JP2004202892A (ja) | 画像読取記録装置 | |
JPH0640585A (ja) | 原稿給送装置 | |
JP2011026063A (ja) | シート給送装置 | |
JP2009166990A (ja) | 給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