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625B1 -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625B1
KR100677625B1 KR1020050128702A KR20050128702A KR100677625B1 KR 100677625 B1 KR100677625 B1 KR 100677625B1 KR 1020050128702 A KR1020050128702 A KR 1020050128702A KR 20050128702 A KR20050128702 A KR 20050128702A KR 100677625 B1 KR100677625 B1 KR 10067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portion
document
reading apparatus
image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625B1/ko
Priority to US11/601,637 priority patent/US7852528B2/en
Priority to CNA2006101711364A priority patent/CN198858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3Using a dedicated sheet guide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Abstract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에 따르면, 원고를 누르는 것으로 원고의 주주사 방향 폭보다 길게 연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마련되는 탄성 리브를 구비하는 밀착 부재가 마련되고, 작업 공수와 품질 관리 비용이 절감되며, 밀착 부재가 균일한 탄성력으로 원고를 눌러 독취 불량이 방지되고, 두꺼운 원고에 대하여도 원고 주변부의 백색 독취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an auto document fee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 부재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 부재의 일 실시예에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c는 도 4b의 A-A'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 부재의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 부재의 다른 실시예에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c는 도 5b의 B-B'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동급지장치 20...급지대
30...배지대 40...표시패널
50...제1 평판유리 51...제2 평판유리
70...원고안내부재 90...스캐닝 모듈(scanning module)
99...스캐닝 유니트 100...인쇄 유니트
101...인쇄 유니트 본체 110...급지 카세트(cassette)
300...배지 트레이(tray) 501...자동급지장치 본체
502...고정 홈 503...규제부
510...제1 롤러 520...제2 롤러
530...제3 롤러 540...가이드(guide)
600...밀착 부재 610...몸체부
620...고정 후크(hook) 630...탄성 부재
본 발명은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고가 이동되면서 화상이 독취되는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독취장치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장치이다. 화상독취장치의 예를 들면, 스캐너(scanner), 팩시밀리(facsimile), 복합기 등이 있다.
화상독취장치에는 원고에 인쇄된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이 마련된다. 스캐닝 모듈은 원고에 광을 주사하여 원고에 인쇄된 가시 화상을 광 신호의 형태로 독취하고,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독취장치에 마련된 신호 처리 모듈로 보낸다.
원고를 독취하기 위하여는 스캐닝 모듈이 이동되거나, 원고가 이동될 필요가 있다. 스캐닝 모듈이 이동되는 화상독취장치를 보통 플랫-베드형(flat-bed type) 화상독취장치라고 한다. 이와 구별되는 개념으로써 원고가 이동되는 방식의 쉬트-피드형(sheet-feed type) 화상독취장치가 있다. 플랫-베드형 화상독취장치에 자동급지장치(ADF :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하여 쉬트-피드형을 겸하는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화상독취장치도 있다.
화상독취장치는 원고를 올려놓는 평판유리를 구비하고, 평판유리의 배면에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다. 스캐닝 모듈은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 주사부, 원고를 독취하여 획득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구비한다.
광 주사부는 평판유리의 배면에서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광원은 원고의 주주사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할로겐 램프이며,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일시에 광을 주사한다. 이하에서 부주사 방향은 원고가 이송되는 방향을 말하며, 주주사 방향은 부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이미지 센서부는 예를 들어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CIS(Contact image sensor) 센서 등의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보 드를 구비한다.
자동급지장치는 평판 유리의 상면에 마련되며 원고를 이송한다. 평판 유리의 배면에 정지 상태로 위치한 스캐닝 모듈은 상기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한다. 단색 화상독취장치에서, 스캐닝 모듈은 원고에서 반사된 광량의 차이에 따라 원고의 화상을 독취한다. 원고에서 반사된 광량이 많을수록 스캐닝 모듈에서 독취되는 화상은 백색에 가깝다.
이하에서 주변부란 주주사 방향을 따라 원고의 폭을 벗어난 영역을 말한다. 주주사 방향으로 원고의 폭이 스캐닝 모듈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원고의 주변부는 흑색으로 독취된다. 원고의 주변부에 주사된 광이 이미지 센서로 반사되지 못하고 주위로 발산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착 부재가 마련된다. 밀착 부재는 별도로 마련된 탄성 부재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되며 원고를 눌러서 평판 유리에 밀착시킨다. 균일한 탄성력을 얻기 위하여 탄성 부재는 주주사 방향으로 다수의 위치에 마련되어야 하며, 탄성 부재 각각의 탄성 계수, 길이, 외경 등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고 품질 관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탄성부재를 대체하기 위하여 탄성 리브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밀착 부재가 1개의 부품으로 되어 간단하게 조립되며, 추가적인 조립 비용이나 조립 구조의 추가 없이 균일한 탄성력으로 원고를 눌러 독취 불량이 방지되는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 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평판 유리 및 상기 평판 유리의 배면에 위치하며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 스캐닝 유니트; 및
상기 평판 유리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원고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동급지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급지장치에는, 상기 스캐닝 모듈과 대면되며 상기 원고를 누르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마련되는 탄성 리브를 구비하는 밀착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원고의 주변부를 백색으로 독취하기 위하여 상기 원고의 주주사 방향 폭보다 길게 연장되며, 상기 탄성 리브는 상기 원고의 주변부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 상기 몸체부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원고의 두께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 리브는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다수 마련되며, 상기 탄성 리브의 개수에 따라 상기 탄성력의 크기가 조절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 리브는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탄성력이 주주사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 리브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연결되며 주주사 방향으로 휨 변형되는 외팔보(cantilever) 형상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 리브는 그 양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각각 연결되는 양단 지지보 형상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밀착 부재는, 상기 자동급지장치의 고정 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돌출되는 고정 후크를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밀착 부재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동일한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화상독취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스캐닝과 인쇄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복합기가 도시된다. 화상독취장치는 인쇄 유니트(100) 및 스캐닝 유니트(99)를 구비한다. 도시된 인쇄 유니트(100)는 전자사진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한다. 도시된 스캐닝 유니트(99)는 자동급지장치(10)를 구비하여 플랫-베드 방식 및 쉬트-피드 방식으로 화상을 독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이다.
인쇄 유니트(100)는 광주사 유니트(180), 현상 카트리지(140), 정착기(160), 급지 카세트(110)를 포함한다. x축 방향은 기록 매체(P) 및 원고(S)가 배출되는 부 주사 방향이다. y축 방향은 부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주주사 방향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잉크젯 방식이나 염료 승화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유니트(100)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가능하다.
광주사 유니트(180)는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142)에 주사하여 감광체(142)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인쇄 유니트 본체(1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 카트리지(140)는 대전롤러(141), 감광체(142), 현상롤러(143), 공급롤러(144), 교반기(145), 토너 저장부(146)를 구비한다. 토너 저장부(146)는 토너를 저장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토너 저장부(146)에 저장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x축 음의 방향으로 핸들(147)을 밀면 인쇄 유니트 본체(101)에 장착되고, x축 양의 방향으로 핸들(147)을 당기면 인쇄 유니트 본체(101)에서 분리된다.
감광체(142)는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통 드럼의 외주 면에 증착 등의 방법으로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된다. 감광체(142)는 대전롤러(141)에 의하여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고, 광주사 유니트(180)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현상롤러(143)는 그 표면에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42)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부착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43)에는 토너를 감광체(142)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다. 현상롤러(143) 및 감광체(142)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되며 현상닙(Nip)을 형성하거나, 상기 외주면이 서로 이격되며 현상갭(Gap)을 형성한다. 현상닙(Nip) 또는 현상갭(Gap)은 현상롤러(143) 및 감광체(142)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로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현상갭이나 현상닙을 통하여 토너가 이동되며 현상이 이루어진다.
공급롤러(144)는 현상롤러(143)에 토너가 부착되도록 토너를 공급해준다. 교반기(145)는 토너 저장부(146)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토너를 교반시키며 이를 공급롤러(144) 쪽으로 이송한다.
전사롤러(150)는 감광체(142)의 외주면에 대면되며, 감광체(142)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기록 매체(P)로 전사되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42)와 전사롤러(15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및 기구적인 접촉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기록 매체(P)로 옮겨진다.
정착기(160)는 서로 마주보는 가열롤러(미도시)와 가압롤러(미도시)를 구비하며, 기록 매체(P)에 전사된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70)는 정착이 완료된 기록 매체(P)를 인쇄 유니트(100) 외부로 배출한다. 인쇄 유니트(100) 외부로 배출된 기록 매체(P)는 배지 트레이(300)에 적재된다.
기록 매체(P)의 이동 경로는 다음과 같다. 인쇄 유니트(100)는 기록 매체(P)가 저장되는 급지 카세트(110)를 구비한다. 픽업롤러(120)는 급지 카세트(110)에 저장된 기록 매체(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피드롤러(130)는 픽업된 기록 매체(P)를 현상 카트리지(140) 방향으로 이송한다. 감광체(142)와 전사롤러(150) 사이에 기록 매체(P)가 통과되며 토너화상이 전사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P)는 정착기(160)의 열과 압력에 의하여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 매체(P)는 배지롤러(170)에 의하여 배지 트레이(300)로 배출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캐닝 유니트(99)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S)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90), 원고(S)를 올려놓는 평판 유리(50,51), 자동으로 원고(S)를 급지하는 자동급지장치(10)(ADF :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한다. x축 방향은 부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 모듈(90)이 화상을 독취하며 이동되는 방향이고, y축 방향은 주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 모듈(90)이 원고(S)의 화상을 일시에 독취하는 방향이다.
평판유리(50,51)는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고(S)가 접촉되는 제1평판유리(50)와 정지된 원고(S)가 접촉되는 제2평판유리(51)를 구비한다. 제1평판유리(50)와 제2평판유리(51)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제1 및 제2평판유리(51)의 단부 사이에는 경사면을 가진 원고안내부재(70)가 마련된다. 원고안내부재(70)는 제1평판유리(50)를 통과하는 원고(S)의 선단부를 배지대(30)로 안내한다. 표시패널(40)에는 인쇄 유니트(100) 및 스캐닝 유니트(99)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고, 각종 조작키가 구비된다.
급지대(20)에 적재된 원고(S)는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여 제1평판유리(50)로 이송된다.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정지되어 있는 스캐닝 모듈(90)은 원고(S) 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한다. 독취된 원고(S)는 배지대(30)로 배출된다.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지 않고 낱장으로 공급되는 원고(S)는 제2평판유리(51)의 상면에 놓여진다. 스캐닝 모듈(90)이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이송되며 정지된 원고(S)의 화상을 독취한다. 스캐닝 모듈(90)은,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위치할 때는 자동급지장치(10)로 공급되는 원고(S)를 독취하고,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 위치할 때는 정지된 원고(S)를 독취한다.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스캐닝 유니트(99)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자동급지장치(10)는 이송 수단(미도시)과 밀착 부재(600)를 포함한다.
이송 수단은 제1 롤러(510), 제2 롤러(520), 제3 롤러(530), 및 가이드(540)를 포함한다. 제1 롤러(510)는 급지대(20)에 적재된 원고(S) 중 최상단의 원고(S)를 낱장으로 픽업(pick up)한다. 제2 롤러(5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며 제1 롤러(510)에서 픽업된 원고(S)를 제1 평판 유리(50, 이하 '평판 유리(50)'로 줄여서 부른다.)의 상면으로 이송한다. 스캐닝 모듈(90)은 평판 유리(50)의 상면으로 이송된 원고(S)를 독취하며, 제3 롤러(530)는 독취된 원고(S)를 배지대(30)로 배출한다. 가이드(540)는 원고(S)의 이송을 안내한다.
도 4a 내지 도 6에는 밀착 부재(600)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밀착 부재(600)는 몸체부(610)와 탄성 리브(630a,630b,630c)를 구비한다.
몸체부(610)는 원고(S)를 눌러 평판 유리(50)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탄성 리브(630a,630b,630c)가 몸체부(610)에 탄성력을 작용하면 몸체부(610)가 원고(S)를 누르는 밀착력이 발생된다. 몸체부(610)는 원고(S)의 주변부를 백색으로 독취하기 위하여, 원고(S)에 밀착되는 배면의 색상이 광을 잘 반사하는 색상(예를 들면 백색)이며, 독취 가능한 원고(S)의 최대 폭 보다 주주사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된다. 일 실시예로서, 원고(S)에 밀착되는 몸체부(610)의 배면에는 백색의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화상독취장치가 최대 A3 크기의 원고(S)를 독취할 수 있는 경우, 주주사 방향으로 몸체부(610)의 길이는 A3 원고(S)의 폭 보다 더 크다.
몸체부(610)는 원고(S)의 두께에 따라 주주사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만약, 몸체부(610)가 강체(rigid body)라면 두꺼운 원고(S)를 독취하는 경우 평판 유리(50)에 밀착되지 못하고 Z축으로 들뜨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평판 유리(50)와 몸체부(610) 사이의 갭이 커지면 원고(S)의 주변부가 회색이나 검정색으로 독취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부(61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몸체부(610)는 y축을 따라 휨(bending) 변형되면서 원고(S)에 밀착되는 부분과 원고(S)의 주변부를 덮는 부분 사이에 z축 단차가 발생한다. 몸체부(610) 중 원고(S)의 주변부를 덮는 부분이 평판 유리(50)에 밀착될수록 광을 잘 반사하므로 백색 화상이 독취될 수 있다.
탄성 리브(630a,630b,630c)는 몸체부(610)와 일체로 마련되며 몸체부(610)를 원고(S) 및 평판 유리(50)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킨다. 밀착 부재(600)는 몸체부(610)와 탄성 리브(630a,630b,630c)를 일체로 구비한다. 도3을 참조하면, 자동급지장치(10)에 대한 밀착 부재(600)의 조립 방법으로서, 몸체부(610)의 양측에 돌출된 고정 후크(620)를 자동급지장치(10)에 마련된 고정 홈(502)에 탄력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후크(620)는 고정 홈(502)에 삽입된 후 고정 홈(502)의 z축 방향 높이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몸체부(610) 및 탄성 리브(630a,630b,630c)의 탄성 변형시 고정 후크(620)가 고정 홈(502) 내부에서 z축 방향으로 접촉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 후크(620)는 z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x축 방향의 탄성을 가지므로 고정 홈(502)에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고정 후크(620)의 말단은 x축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므로, 고정 후크(620)가 일단 고정 홈(502)에 삽입된 뒤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가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되는 종래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탄성 리브(630a,630b,630c) 각각의 물성치를 균일하게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며, 밀착 부재(600)의 조립 공정수 및 조립 비용이 절감된다.
일 실시예로서, 밀착 부재(60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탄성 리브(630a,630b,630c)는 몸체부(610)와 동일한 재질로써 동일한 사출 공정에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리브(630a,630b,630c)가 마련되는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시된 탄성 리브(630a,630b,630c)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밀착 부재(600)에서는 외팔보 형상의 탄성 리브(630a)가 구비된다. 도 4a는 밀착 부재(600)와 자동급지장치(1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밀착 부재(600)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4c는 도 4b의 A-A'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탄성 리브(630a)의 일 단부는 몸체부(610)의 배면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자동급지장치 본체(501)에 마련된 규제부(503)에 접촉된다. 몸체부(610)가 원고(S)나 평판 유리(50)에 접촉 간섭되면 탄성 리브(630a)가 y축 방향으로 휨(bending) 변형되면서 몸체부(610)에 탄성력을 작용한다. 탄성 리브(630a)의 하면과 몸체부(610)의 상면 사이에는 공간부(640)가 형성된다. 공간부(640)는 탄성 리브(630a)의 탄성 변형 공간이 된다. 밀착 부재(600)의 사출 성형시에 금형의 코어(core)는 x축으로 분리 가능하며 밀착 부재(600)의 양산성이 확보된다.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밀착 부재(600)에서는 양단 지지보 형상의 탄성 리브(630b)가 구비된다. 도 5a는 밀착 부재(600)와 자동급지장치(1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밀착 부재(600)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5c는 도 5b의 B-B'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탄성 리브(630b)의 양단부는 몸체부(610)의 x축 방향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다. 탄성 리브(630b)의 중앙부는 자동급지장치 본체(501)에 마련된 규제부(503)에 접촉된다. 몸체부(610)가 원고(S)나 평판 유리(50)에 접촉 간섭되면 탄성 리브(630b)가 x축 방향으로 휨(bending) 변형되면서 몸체부(610)에 탄성력을 작용한다. 탄성 리브(630b)의 하면과 몸체부(610)의 상면 사이에는 공간부(640)가 형성된다. 공간부(640)는 탄성 리브(630b)의 탄성 변형 공간이 된다. 밀착 부재(600)의 사출 성형시에 금형의 코어(core)는 y축으로 분리 가능하며 밀착 부재(600)의 양산성이 확보된다.
도 6에 도시된 밀착 부재(600)에서도 양단 지지보 형상의 탄성 리브(630c)가 구비된다. 도시된 탄성 리브(630c)의 양단부는 몸체부(610)의 배면에 y축 방향을 따라 각각 연결된다. 몸체부(610)가 원고(S)나 평판 유리(50)에 접촉 간섭되면 탄 성 리브(630c)가 y축 방향으로 휨(bending) 변형되면서 몸체부(610)에 탄성력을 작용한다. 밀착 부재(600)의 사출 성형시에 금형의 코어(core)는 x축으로 분리 가능하며 밀착 부재(600)의 양산성이 확보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한다. 탄성 리브(630a,630b,630c)는 몸체부(610) 중 원고(S)를 덮는 부분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원고(S)를 평판 유리(50)에 밀착시킨다. 뿐만 아니라, 탄성 리브(630a,630b,630c)는 몸체부(610) 중 원고(S)의 주변부로 연장된 부분에도 탄성력을 작용하여 몸체부(610)와 평판 유리(50) 사이의 갭을 줄여 준다.
탄성 리브(630a,630b,630c)는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다수 마련된다. 탄성 리브(630a,630b,630c)의 개수에 따라 몸체부(610)에 작용하는 탄성력의 크기가 조절 가능하다. 탄성 리브(630a,630b,630c)는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므로 상기 탄성력은 주주사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한다. 따라서, 이송되는 원고(S)의 스큐가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탄성 부재를 대체하기 위하여 탄성 리브가 몸체부와 일체로 마련되므로 밀착 부재의 제조 공수와 품질 관리 비용이 절감되고, 밀착 부재가 1개의 부품으로 되어 자동급지장치에 간단하게 조립되며 균일한 탄성력으로 원고를 눌러 독취 불량이 방지되고, 두꺼운 원고에 대하여도 원고 주변부의 백색 독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평판 유리 및 상기 평판 유리의 배면에 위치하며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 스캐닝 유니트; 및
    상기 평판 유리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원고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동급지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급지장치에는, 상기 스캐닝 모듈과 대면되며 상기 원고를 누르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마련되는 탄성 리브를 구비하는 밀착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원고의 주변부를 백색으로 독취하기 위하여 상기 원고의 주주사 방향 폭보다 길게 연장되며,
    상기 탄성 리브는 상기 원고의 주변부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 상기 몸체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원고의 두께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브는,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다수 마련되며, 상기 탄성 리브의 개수에 따라 상기 탄성력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브는,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탄성력이 주주사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브는,
    그 일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연결되며 주주사 방향으로 휨 변형되는 외팔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브는,
    그 양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각각 연결되는 양단 지지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부재는,
    상기 자동급지장치의 고정 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돌출되는 고정 후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부재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KR1020050128702A 2005-12-23 2005-12-23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KR10067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02A KR100677625B1 (ko) 2005-12-23 2005-12-23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US11/601,637 US7852528B2 (en) 2005-12-23 2006-11-20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auto document feeder
CNA2006101711364A CN1988588A (zh) 2005-12-23 2006-12-25 包括自动文档送进器的图像读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02A KR100677625B1 (ko) 2005-12-23 2005-12-23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625B1 true KR100677625B1 (ko) 2007-02-02

Family

ID=3810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702A KR100677625B1 (ko) 2005-12-23 2005-12-23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52528B2 (ko)
KR (1) KR100677625B1 (ko)
CN (1) CN19885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8104B (zh) * 2009-08-04 2011-06-22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扫描装置
US8520272B1 (en) * 2012-02-29 2013-08-27 Xerox Corporation Sheet feeder having curved calibration stri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2994A (en) * 1986-11-10 1988-08-09 Ibm Corp. Compact optical scanner driven by a resonant galvanometer
JPH0591243A (ja) 1991-09-27 1993-04-09 Mutoh Ind Ltd 用紙搬送型スキヤナ
JPH0918675A (ja) 1995-07-04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読取り媒体密着装置
US6229139B1 (en) * 1998-07-23 2001-05-08 Xros, Inc. Handheld document scanner
JP2001233491A (ja) * 2000-02-24 2001-08-28 Murata Mach Ltd 自動シート搬送装置
JP4080156B2 (ja) 2000-12-20 2008-04-23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42975B2 (ja) * 2002-07-18 2007-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2555257Y (zh) 2002-08-08 2003-06-11 力捷电脑股份有限公司 压纸机构
JP4332443B2 (ja) * 2003-03-07 2009-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38162B2 (ja) 2003-09-10 2008-01-23 株式会社リコー 圧板機構、自動原稿送り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94536B2 (ja) * 2004-06-23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8149473B2 (en) * 2005-12-27 2012-04-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JP4808034B2 (ja) * 2006-02-10 2011-11-02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除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52528B2 (en) 2010-12-14
CN1988588A (zh) 2007-06-27
US20070146828A1 (en)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7648A (ko) 이미지 센서, 화상판독장치 및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US20060114523A1 (en) Image reader for image-forming device
US11388305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83043B2 (ja) 読取装置および複合装置
US20040240083A1 (en) Lens mounting device
KR100677627B1 (ko) 스캐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US2008025294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77625B1 (ko)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CN108459410B (zh) 光扫描装置及图像形成装置
CN112180706B (zh) 成像装置
US9227802B2 (en) Scanner device and multifunction apparatus with supply path, discharge path, and re-supply path integrally formed together
US11800027B2 (en) Housing,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13122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33085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複合機
JP4340474B2 (ja) 転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80747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394590B2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344308B2 (en)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restricting member for restricting deformation of a substrate
JP6337079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原稿押さえ装置
KR20070060505A (ko) 밀착 부재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JP5639906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複合装置
JP6075530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原稿押さえ装置
JP2023102438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207438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70593A (ja) 原稿押さ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