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505A - 밀착 부재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 Google Patents

밀착 부재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505A
KR20070060505A KR1020050120035A KR20050120035A KR20070060505A KR 20070060505 A KR20070060505 A KR 20070060505A KR 1020050120035 A KR1020050120035 A KR 1020050120035A KR 20050120035 A KR20050120035 A KR 20050120035A KR 20070060505 A KR20070060505 A KR 20070060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scanning module
scanning
original
fla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0505A/ko
Publication of KR2007006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76Arrangements for regulating environment, e.g.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H04N1/00994Compensating for electric noise, e.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47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subscanning direction, e.g. picture start or line-to-lin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Abstract

밀착 부재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에 따르면, 평판 유리; 원고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밀착 부재를 구비하는 자동급지장치; 원고를 독취할 때는 밀착 부재와 대면되는 제1 위치에 정지되고, 대기 상태에서는 밀착 부재에 유기된 전자파 노이즈를 회피할 수 있도록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스캐닝 모듈; 을 포함하며, 밀착 부재에 유기된 전자파 노이즈가 스캐닝 모듈 또는 주위로 방사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스캐닝 모듈의 안정적인 동작은 물론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허용 규격을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밀착 부재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paper press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이격 거리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의 측정값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동급지장치 20...급지대
30...배지대 40...표시패널
50...제1 평판유리 51...제2 평판유리
70...원고안내부재 90...스캐닝 모듈(scanning module)
99...스캐닝 유니트 100...인쇄 유니트
101...인쇄 유니트 본체 110...급지 카세트(cassette)
300...배지 트레이(tray) 501...자동급지장치 본체
502...고정 홈 503...규제부
510...제1 롤러 520...제2 롤러
530...제3 롤러 540...가이드(guide)
600...밀착 부재 610...몸체부
620...고정 후크(hook) 630...탄성 부재
본 발명은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고가 이동되면서 화상이 독취되는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독취장치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장치이다. 화상독취장치의 예를 들면, 스캐너(scanner), 팩시밀리(facsimile), 복합기 등이 있다.
화상독취장치에는 원고에 인쇄된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이 마련된다. 스캐닝 모듈은 원고에 광을 주사하여 원고에 인쇄된 가시 화상을 광 신호의 형태로 독취하고,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독취장치에 마련된 신호 처리 모듈로 보낸다.
원고를 독취하기 위하여는 스캐닝 모듈이 이동되거나, 원고가 이동될 필요가 있다. 스캐닝 모듈이 이동되는 화상독취장치를 보통 플랫-베드형(flat-bed type) 화상독취장치라고 한다. 이와 구별되는 개념으로써 원고가 이동되는 방식의 쉬트- 피드형(sheet-feed type) 화상독취장치가 있다. 플랫-베드형 화상독취장치에 자동급지장치(ADF :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하여 쉬트-피드형을 겸하는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화상독취장치도 있다.
화상독취장치는 원고를 올려놓는 평판유리를 구비하고, 평판유리의 배면에 스캐닝 모듈을 구비한다. 스캐닝 모듈은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 주사부, 원고를 독취하여 획득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구비한다.
광 주사부는 평판유리의 배면에서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광원은 원고의 주주사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할로겐 램프이며,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일시에 광을 주사한다. 이하에서 부주사 방향은 원고가 이송되는 방향을 말하며, 주주사 방향은 부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이미지 센서부는 예를 들어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CIS(Contact image sensor) 센서 등의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를 구비한다.
자동급지장치는 평판 유리의 상면에 마련되며 원고를 이송한다. 평판 유리의 배면에 정지 상태로 위치한 스캐닝 모듈은 상기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한다. 단색 화상독취장치에서, 스캐닝 모듈은 원고에서 반사된 광량의 차이에 따라 원고의 화상을 독취한다. 원고에서 반사된 광량이 많을수록 스캐닝 모듈에서 독취되는 화상은 백색에 가깝다.
이하에서 주변부란 주주사 방향을 따라 원고의 폭을 벗어난 영역을 말한다. 주주사 방향으로 원고의 폭이 스캐닝 모듈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원고의 주변부는 흑색으로 독취된다. 원고의 주변부에 주사된 광이 이미지 센서로 반사되지 못하고 주위로 발산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급지장치에는 밀착 부재가 마련된다. 밀착 부재는 원고를 사이에 두고 스캐닝 모듈과 대면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밀착 부재는 원고의 주변부에 주사된 광을 그대로 이미지 센서에 반사하여 원고의 주변부를 백색으로 독취시킨다.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를 동작시키면, 스캐닝 모듈은 밀착 부재와 대면되는 위치에서 원고의 독취를 준비하는 대기 모드(stand by mode) 상태이다. 또한,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유니트를 구비한 복합기의 경우, 인쇄 작업 수행시에 스캐닝 모듈은 밀착 부재와 대면되는 위치에서 작업 대기 상태로 있다.
밀착 부재로서, 금속 또는 비금속의 모든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비금속 재질로 밀착 부재가 마련되는 경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인하여 열에너지가 축적되어 밀착 부재의 치수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는 급지 성능을 저하시킨다.
열적 변형에 강한 금속 재질이 사용되는 경우, 주주사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밀착 부재는 전자파 노이즈에 대하여 안테나 역할을 한다. 금속성의 밀착 부재는 화상독취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유기하여, 밀착 부재와 대면되는 위치에서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스캐닝 모듈로 방사하는 중요한 경로가 된다. 밀착 부재에 유기된 전자파 노이즈는 스캐닝 모듈로 방사되며 스캐닝 모듈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한다.
한편, 스캐닝 모듈의 구동시 전자파 노이즈의 발생 소스(source)가 되며 스캐닝 모듈에 대면되는 금속성의 밀착 부재는 전자파 노이즈의 안테나 역할을 하므로, 화상독취장치의 구동시 주위로 방사되는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허용 규격을 충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밀착 부재에 유기된 전자파 노이즈가 스캐닝 모듈 또는 주위로 방사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스캐닝 모듈의 안정적인 동작은 물론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허용 규격을 충족시킬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상면에 원고가 놓여지는 평판 유리;
상기 평판 유리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원고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동되는 원고를 탄력적으로 누르는 밀착 부재를 구비하는 자동급지장치;
상기 평판 유리의 배면에 마련되며 부주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기 이동되는 원고를 독취할 때는 상기 밀착 부재와 대면되는 제1 위치에 정지되고,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밀착 부재에 유기된 전자파 노이즈를 회피할 수 있도록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스캐닝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캐닝 모듈은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 환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의 동작 주파수를 포함한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상기 전자파 노이즈의 피크치를 허용 규격 이하로 억제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의 이격 거리는 적어도 상기 스캐닝 모듈의 부주사 방향 폭의 2배 이상이 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상독취장치는 상기 스캐닝 모듈을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밀착 부재는, 상기 원고의 주변부를 백색으로 독취하기 위하여 상기 원고의 주주사 방향보다 길게 연장되며 상기 원고를 누르는 쪽의 색상이 백색인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동일한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화상독취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스캐닝과 인쇄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복합기가 도시된다.
화상독취장치는 인쇄 유니트(100) 및 스캐닝 유니트(99)를 구비한다. 도시된 인쇄 유니트(100)는 전자사진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한다. 도시된 스캐닝 유니트(99) 는 자동급지장치(10)를 구비하여 플랫-베드 방식 및 쉬트-피드 방식으로 화상을 독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이다. 인쇄 유니트(100)에서 화상의 인쇄 작업이 수행될 때 스캐닝 유니트(99)에 마련되는 스캐닝 모듈(90)은 대기(stand by) 위치에서 원고의 독취를 준비하며 정지해 있다.
인쇄 유니트(100)는 광주사 유니트(180), 현상 카트리지(140), 정착기(160), 급지 카세트(110)를 포함한다. x축 방향은 기록 매체(P) 및 원고(S)가 배출되는 부주사 방향이다. y축 방향은 부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주주사 방향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잉크젯 방식이나 염료 승화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유니트(100)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가능하다.
광주사 유니트(180)는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142)에 주사하여 감광체(142)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인쇄 유니트 본체(1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 카트리지(140)는 대전롤러(141), 감광체(142), 현상롤러(143), 공급롤러(144), 교반기(145), 토너 저장부(146)를 구비한다. 토너 저장부(146)는 토너를 저장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토너 저장부(146)에 저장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x축 음의 방향으로 핸들(147)을 밀면 인쇄 유니트 본체(101)에 장착되고, x축 양의 방향으로 핸들(147)을 당기면 인쇄 유니트 본체(101)에서 분리된다.
감광체(142)는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통 드럼의 외주 면에 증착 등의 방법으로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된다. 감광체(142)는 대전롤러(141)에 의하여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고, 광주사 유니트(180)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현상롤러(143)는 그 표면에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42)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부착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43)에는 토너를 감광체(142)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143) 및 감광체(142)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되며 현상닙(Nip)을 형성하거나, 상기 외주면이 서로 이격되며 현상갭(Gap)을 형성한다. 현상닙(Nip) 또는 현상갭(Gap)은 현상롤러(143) 및 감광체(142)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로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현상갭이나 현상닙을 통하여 토너가 이동되며 현상이 이루어진다.
공급롤러(144)는 현상롤러(143)에 토너가 부착되도록 토너를 공급해준다. 교반기(145)는 토너 저장부(146)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토너를 교반시키며 이를 공급롤러(144) 쪽으로 이송한다.
전사롤러(150)는 감광체(142)의 외주면에 대면되며, 감광체(142)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기록 매체(P)로 전사되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42)와 전사롤러(15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및 기구적인 접촉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기록 매체(P)로 옮겨진다.
정착기(160)는 서로 마주보는 가열롤러(미도시)와 가압롤러(미도시)를 구비하며, 기록 매체(P)에 전사된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70)는 정착이 완료된 기록 매체(P)를 인쇄 유니트(100) 외부로 배출한다. 인쇄 유니트(100) 외부로 배출된 기록 매체(P)는 배지 트레이(300)에 적재된다.
기록 매체(P)의 이동 경로는 다음과 같다. 인쇄 유니트(100)는 기록 매체(P)가 저장되는 급지 카세트(110)를 구비한다. 픽업롤러(120)는 급지 카세트(110)에 저장된 기록 매체(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피드롤러(130)는 픽업된 기록 매체(P)를 현상 카트리지(140) 방향으로 이송한다. 감광체(142)와 전사롤러(150) 사이에 기록 매체(P)가 통과되며 토너화상이 전사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P)는 정착기(160)의 열과 압력에 의하여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 매체(P)는 배지롤러(170)에 의하여 배지 트레이(300)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스캐닝 유니트(99)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S)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90), 스캐닝 모듈(90)을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도 3에 도시), 원고(S)를 올려놓는 평판 유리(50,51), 자동으로 원고(S)를 급지하는 자동급지장치(10)(ADF :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한다. x축 방향은 부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 모듈(90)이 화상을 독취하며 이동되는 방향이고, y축 방향은 주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 모듈(90)이 원고(S)의 화상을 일시에 독취하는 방향이다.
평판유리(50,51)는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고(S)가 접촉되는 제1평판유리(50)와 정지된 원고(S)가 접촉되는 제2평판유리(51)를 구비한다. 제1평판유리(50)와 제2평판유리(51)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제1 및 제2평판유리(51)의 단부 사이에는 경사면을 가진 원고안내부재(70)가 마련된다. 원고안내부재(70)는 제1평판유리(50)를 통과하는 원고(S)의 선단부를 배지대(30)로 안내한다. 표시패널(40)에는 인쇄 유니트(100) 및 스캐닝 유니트(99)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고, 각종 조작키가 구비된다.
급지대(20)에 적재된 원고(S)는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여 제1평판유리(50)로 이송된다.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정지되어 있는 스캐닝 모듈(90)은 원고(S)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한다. 독취된 원고(S)는 배지대(30)로 배출된다.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지 않고 낱장으로 공급되는 원고(S)는 제2평판유리(51)의 상면에 놓여진다. 스캐닝 모듈(90)이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이송되며 정지된 원고(S)의 화상을 독취한다. 스캐닝 모듈(90)은,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위치할 때는 자동급지장치(10)로 공급되는 원고(S)를 독취하고,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 위치할 때는 정지된 원고(S)를 독취한다.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스캐닝 유니트(99)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에는 구동 모듈과 스캐닝 모듈이 도시된다. 도시된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스캐닝 모듈(90)은 광원(미도시), 원고에 광을 주사하고 원고에서 반사된 광 신호를 받아들이는 렌즈부(92), 렌즈부(92)에서 입수한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93), 및 이들이 결합되는 하우징(91)을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미지 센서부(93) 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구동하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의 실시예로서, 접촉이미지센서(CIS : contact image sensor), CCD 센서(Charge-Coupled Device sensor) 등이 있다.
가이드 구멍(94)은 가이드 샤프트(460)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스캐닝 모듈(90)을 슬라이딩시킨다. 가이드 구멍(94)과 가이드 샤프트(460) 사이의 갭(gap)량, 가이드 구멍(94) 및 가이드 샤프트(460)의 갯수, 가이드 샤프트(460)의 표면 조도 등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스캐닝 모듈(90)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스캐닝 모듈(90)의 진동은 독취불량을 야기하므로, 진동량이 감소되도록 가이드 샤프트(460)는 제1타이밍벨트(400a)에 인접되는 위치에 1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이나 제1타이밍벨트(400a)의 주행 속도 편차 등으로 야기되는 가이드 샤프트(460)와 제1타이밍벨트(400a) 사이의 모멘트력 편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가이드 샤프트(460)의 양 단부는 가이드 샤프트 홀더(461)로 고정된다.
구동 모듈은 스캐닝 모듈(9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타이밍벨트(400a, 400b), 제1 및 제2타이밍벨트(400a, 400b)를 각각 주행시키도록 치형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벨트풀리(417, 427), 제1 및 제2벨트풀리(417, 427)를 동심축으로 연결하는 연결샤프트(430), 구동모터(411), 및 구동력 전달부재로서 구동모터(411)와 제1벨트풀리(417)를 직접 연결하는 기어열(412,413,414,415,416)을 구비한다.
제1타이밍벨트(400a) 및 이를 주행시키는 제1벨트풀리(417)와, 제2타이밍벨 트(400b) 및 이를 주행시키는 제2벨트풀리(427)에는 치형이 형성된다. 이로써, 스캐닝 모듈(90)의 슬라이딩 부하에 불구하고 타이밍벨트(400a, 400b)와 벨트풀리(417, 427)간의 슬립(slip)이 억제된다. 구동 모듈은 제1벨트풀리(417), 구동모터(411), 및 기어열(412,413,414,415,416)을 지지하는 제1브라켓(410)과, 제2벨트풀리(427)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42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타이밍벨트(400a)의 타 단부는 제3벨트풀리(437)가 결합되고, 제2타이밍벨트(400b)의 타 단부는 제4벨트풀리(447)가 결합된다. 제3 및 제4벨트풀리(437, 447)에도 치형이 형성된다. 제3벨트풀리(437)는 제3브라켓(435)에 의하여, 제4벨트풀리(447)는 제4브라켓(445)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및 제2벨트풀리(417, 427)는 연결샤프트(430)에 의하여 동심축으로 연결되므로, 스캐닝 모듈(90)의 양 단부는 슬라이딩 속도가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급지장치(10)는 이송 수단(도 4에 도시)과 밀착 부재(600)를 포함한다.
이송 수단은 제1 롤러(510), 제2 롤러(520), 제3 롤러(530), 및 가이드(540)를 포함한다. 제1 롤러(510)는 급지대(20)에 적재된 원고(S) 중 최상단의 원고(S)를 낱장으로 픽업(pick up)한다. 제2 롤러(5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며 제1 롤러(510)에서 픽업된 원고(S)를 제1 평판 유리(50)의 상면으로 이송한다. 스캐닝 모듈(90)은 제1 평판 유리(50)의 상면으로 이송된 원고(S)를 독취하며, 제3 롤러(530)는 독취된 원고(S)를 배지대(30)로 배출한다. 가이드(540)는 원고(S)의 이송을 안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밀착 부재(600)는 몸체부(610)와 탄성 부재(630)를 구비한다. 몸체부(610)는 원고(S)를 눌러 제1 평판 유리(50)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탄성 부재(630)가 몸체부(610)에 탄성력을 작용하면 몸체부(610)가 원고(S)를 누르는 밀착력이 발생된다. 몸체부(610)는 원고(S)의 주변부를 백색으로 독취하기 위하여, 원고(S)에 접촉되는 배면이 광을 잘 반사하는 색상(예를 들면 백색)이며, 독취 가능한 원고(S)의 최대 폭 보다 주주사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된다. 일 실시예로서, 원고(S)에 접촉되는 몸체부(610) 배면에는 백색의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화상독취장치가 최대 A3 크기의 원고(S)를 독취할 수 있는 경우, 주주사 방향으로 몸체부(610)의 길이는 A3 원고(S)의 폭 보다 더 크다.
밀착 부재(600)는 몸체부(610)와 탄성 부재(630)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630)는 몸체부(610)를 원고(S) 및 제1 평판 유리(50)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킨다. 자동급지장치(10)에 대한 밀착 부재(600)의 조립 방법으로서, 몸체부(610)의 양측에 돌출된 고정 후크(620)를 자동급지장치(10)에 마련된 고정 홈(502)에 탄력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후크(620)는 고정 홈(502)에 삽입된 후 고정 홈(502)의 z축 방향 높이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탄성 부재(630)의 탄성 변형시 고정 후크(620)가 고정 홈(502) 내부에서 z축 방향으로 접촉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 후크(620)는 z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x축 방향의 탄성을 가지므로 고정 홈(502)에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고정 후크(620)의 말단은 x축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므로, 고정 후크(620)가 일단 고정 홈(502)에 삽입된 뒤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630)가 마련되는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시된 탄성 부재(630)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탄성 부재(630)의 일 단부는 몸체부(610)의 배면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자동급지장치 본체(501)에 마련된 규제부(503)에 접촉된다. 몸체부(610)가 원고(S)나 제1 평판 유리(50)에 접촉 간섭되면 탄성 부재(630)가 Z축 방향으로 탄성 압축되면서 몸체부(610)에 탄성력을 작용한다. 탄성 부재(630)는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다수 마련된다. 탄성 부재(630)의 개수에 따라 몸체부(610)에 작용하는 탄성력의 크기가 조절 가능하다. 탄성 부재(630)는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므로 상기 탄성력은 주주사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한다. 따라서, 이송되는 원고(S)의 스큐(Skew)가 방지된다.
도 4에는 스캐닝 모듈(90)의 제1 및 제2 위치(L1,L2)가 도시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 제1 위치(L1) 및 제2 위치(L2)의 이격 거리(△L)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의 측정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며 전자파 노이즈의 회피 방안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캐닝 모듈(90)은, 자동급지장치(10)로 이동되는 원고(S)를 독취할 경우에는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의 제1 위치(L1)에 정지되어 있고, 제2평판유리(51)의 상면에 정지 상태로 놓여진 정지된 원고(S)를 독취할 경우에는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서 부주사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스캐닝 모듈(90)은 제2 위치(L2)에서 원고(S)의 독취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 한다. 주주사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성 밀착 부재(600)는 화상독취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노이즈에 대하여 안테나 역할을 한다. 만약, 스캐닝 모듈(90)이 제1 위치(L1)에서 대기한다면 전자파 노이즈가 유기된 밀착 부재(600)와 근거리에 위치하므로 전자파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다. 스캐닝 모듈(90)은 금속성 밀착 부재(600)에 유기된 전자파 노이즈를 회피할 수 있도록 제1 위치(L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2 위치(L2)에서 정지 상태로 대기한다. 제1 위치(L1)와 제2 위치(L2)의 이격 거리(△L)가 증가되면 전자파 노이즈의 회피 효과는 증대되나 원고(S)의 독취 작업을 위하여 제1 위치(L1)로 복귀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고려하여, 제1 위치(L1) 및 제2 위치(L2)의 이격 거리(△L)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즉, 전자파 노이즈의 허용 규격(C)이 만족되는 한도 내에서 제1 위치(L1) 및 제2 위치(L2)의 이격 거리(△L)를 최소로 해야 한다.
화상독취장치의 인쇄 유니트(100) 및 스캐닝 유니트(99)는 그 동작시 전자파 노이즈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스캐닝 모듈(90)의 이미지 센서부(93, 도3 참조)에 마련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 및 제어 보드(미도시)는 그 동작시에 전자파 노이즈를 발생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주위로 방사되는 전자파 노이즈가 측정되고 이를 주파수별로 분석한 그래프(FFT graph : fast fourier transform graph)가 도시된다. 수평축은 주파수 대역을 MHz단위로 나타내고, 수직축은 측정용 챔버에 놓여진 화상독취장치에서 주위로 방사되는 전자파 노이즈를 dB(㎶/m)단위로 나타낸다.
도 6에는 스캐닝 모듈(90)이 제1 위치(L1)에서 대기할 때 측정된 전자파 노이즈가 도시된다. 도 7에는 스캐닝 모듈(90)이 제1 위치(L1)로부터 스캐닝 모듈(90)의 폭 크기(W, 도 3 및 도 4 참조)만큼 이격된 제2 위치(L2)에서 대기할 때 측정된 전자파 노이즈가 도시된다. 도 8에는 스캐닝 모듈(90)이 제1 위치(L1)로부터 스캐닝 모듈(90)의 폭 크기(W, 도 3 및 도 4 참조)의 2배 만큼 이격된 제2 위치(L2)에서 대기할 때 측정된 전자파 노이즈가 도시된다. 즉, 제1 및 제2 위치(L1,L2)의 이격 거리(△L)는 도 6에서 0 이고, 도 7에서 스캐닝 모듈(90)의 폭 크기인 W 이며, 도 8에서는 2W 이다. 참조부호 C 는 전자파 노이즈의 허용 규격을 나타낸다. 전자파 노이즈 피크치의 허용 규격(C)은 미리 정해지며,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에서는 허용 규격(C)이 230M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 30dB(㎶/m)이고 230MHz 초과된 주파수 대역에서 37dB(㎶/m)이다.(CE : Conformite European 규격 기준)
이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부의 동작 주파수 및 그 체배(harmonic) 주파수는 물론이고 인쇄 유니트(100) 및 스캐닝 유니트(99)의 동작 주파수 및 그 체배 주파수를 포함한 광범위한 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 노이즈의 피크(peak)치가 발생되고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이격 거리(△L)가 0 일 때 200MHz 근처에서 전자파 노이즈의 피크치가 허용 규격(C)을 초과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자파 노이즈의 피크치들이 모두 허용 규격(C) 범위 내로 억제된다. 이격 거리(△L)가 2W 인 도 8의 경우, 전자파 노이즈의 피크치들은 허용 규격(C)에 대비하여 소정의 마진(margin)을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위치(L1,L2)의 이격 거리(△L)는 스캐 닝 모듈(90)의 폭 크기의 2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캐닝 모듈(90)의 폭 크기의 2배보다 상기 이격 거리(△L)를 더 증가시킬 경우, 그 증가량의 크기는 스캐닝 모듈(90)이 제1 위치(L1)로 복귀되는 시간의 증가를 어느 범위까지 허용할 수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에 따르면, 밀착 부재에 유기된 전자파 노이즈가 스캐닝 모듈 또는 주위로 방사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스캐닝 모듈의 안정적인 동작은 물론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허용 규격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상면에 원고가 놓여지는 평판 유리;
    상기 평판 유리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원고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동되는 원고를 탄력적으로 누르는 밀착 부재를 구비하는 자동급지장치;
    상기 평판 유리의 배면에 마련되며 부주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기 이동되는 원고를 독취할 때는 상기 밀착 부재와 대면되는 제1 위치에 정지되고,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밀착 부재에 유기된 전자파 노이즈를 회피할 수 있도록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스캐닝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은,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의 동작 주파수를 포함한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상기 전자파 노이즈의 피크치를 허용 규격 이하로 억제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의 이격 거리는,
    적어도 상기 스캐닝 모듈의 부주사 방향 폭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을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부재는,
    상기 원고의 주변부를 백색으로 독취하기 위하여 상기 원고의 주주사 방향보다 길게 연장되며 상기 원고를 누르는 쪽의 색상이 백색인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KR1020050120035A 2005-12-08 2005-12-08 밀착 부재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KR20070060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035A KR20070060505A (ko) 2005-12-08 2005-12-08 밀착 부재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035A KR20070060505A (ko) 2005-12-08 2005-12-08 밀착 부재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505A true KR20070060505A (ko) 2007-06-13

Family

ID=3835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035A KR20070060505A (ko) 2005-12-08 2005-12-08 밀착 부재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05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8182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728413B2 (en) Illuminating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the illumin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image reading apparatus
US7672636B2 (en) Image reader for image-forming device
EP2773095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reduced vibration transmission between scanning shaft and scanning carriage, and composite apparatus including said image reading apparatus
US8570352B2 (en) Suppressing unstable electrical coupling between a bottom plate and a cable by providing a recess on the bottom plate for attachment of the cable
JP2017112520A (ja) 画像読取装置
US889114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ultifunction apparatus
EP213122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188893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1637943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60505A (ko) 밀착 부재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KR100677625B1 (ko) 자동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KR101813640B1 (ko)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기
US20210364961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247867B2 (en) Sheet feeding device
US20170094092A1 (en) Noise suppress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14512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344308B2 (en)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restricting member for restricting deformation of a substrate
JP2010016497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210843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US836328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wo image sensors
US8736911B2 (en)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bottom wall having a convex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JP2010010741A (ja) 光電変換ユニット、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61406A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送受信装置
JP200420559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