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227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227A
KR20060048227A KR1020050048542A KR20050048542A KR20060048227A KR 20060048227 A KR20060048227 A KR 20060048227A KR 1020050048542 A KR1020050048542 A KR 1020050048542A KR 20050048542 A KR20050048542 A KR 20050048542A KR 20060048227 A KR20060048227 A KR 20060048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absorbent
absorbent article
napki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443B1 (ko
Inventor
마유미 키무라
야수히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4Dielectric heating, e.g. high-frequency welding, i.e. radio frequency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e.g. PV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in the form of recurring patterns
    • B29C66/2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in the form of recurring patterns being in the form of a sinusoidal w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in the form of recurring patterns
    • B29C66/22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in the form of recurring patterns being in the form of a triangle wave or of a sawtooth wave, e.g. zigzag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71Underwear
    • B29L2031/4878Diapers, napk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에 한쌍의 사이드시트(6; side sheets)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1)이며, 각 사이드시트(6)는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접합선(8)에서 흡수성 본체에 접합되어 있다. 접합선(8)은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CL)에 가까운 부분(81)과 이 중심선(CL)으로부터 먼 부분(82)을 번갈아 각각 복수 가지고 있으며, 각 사이드시트(6)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게 접하는 상기 가까운 부분(81, 81) 끼리 사이에 포켓(84)이 형성되어 있다.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흡수성 물품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표면시트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접합선의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접합선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착용상태에 있어서 포켓이 개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접합선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접합선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의 냅킨을 표면시트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Ⅱ-Ⅱ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배설 대향부 및 전방부의 접합선의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포켓이 개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점액시트), 실금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피부 당접면(當接面)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사이드시트(발수성 부직포 등)를 사용해 포켓을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5-51328호 공보(이하, 문헌 1이라함)에는 날개부를 형성시키는 액체 배리어시트의 내측연부측(內側緣部側)의 일부를 표면시트상에 겹쳐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배리어시트를 그 내측연에서 이간(離間)한 위치에 있어서 표면시트에 접합하고, 배리어시트와 표면시트의 사이에 포켓을 형성한 생리용 냅킨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2001-327535호 공보(이하, 문헌 2라함)에는 흡수체의 길이방향 중간부의 폭을 전후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한 흡수성 물품이며, 그 양측부에 배치하는 사이드 부직포의 내측연(inner edge)형상을 상기 흡수체의 측연(side edge)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사이드 부직포의 내측연측을 표면시트에 접착하지 않고, 상기 사이드 부직포와 흡수성 코어와의 사이에 체액 봉함 포켓을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문헌 1 기재의 생리용 냅킨은 날개부의 근방에만 포켓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포켓은 날개부를 배면 시트의 외면측으로 되접어 꺽을 때의 땡김에 의해서 개부(開部)시키게끔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날개부를 가지지 않은 냅킨이나, 냅킨의 날개부 근방 이외에 그와 같은 포켓을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문헌 1 기재의 포켓은 착용 중에 가압되어 그 전체가 뭉개지거나, 부분적으로 뒤집어짐이 발생하거나 하기 쉽다.
나아가 종래의 사이드시트를 구비한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는 사이드시트를 냅킨의 길이방향에 따른 직선형상의 히트실링(heat sealing)부에 의해서 고정하는 경우가 많고, 사이드시트를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서 매끄럽게 굴곡할 수 없거나, 히트실링부가 딱딱하고, 피부 접촉이 나쁜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착용시에 착용자의 신체형상에 양호하게 피트하는 동시에 누수방지성을 얻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켓에 의한 누수방지 효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양호하게 만곡(curve)해 착용자의 신체형상에 양호하게 피트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액체 보유성의 흡수층 및 액체 불투과성의 누수방지층을 갖춘 실실적으로 세로길이의 흡수성 본체와, 이 흡수성 본체의 피부 당접면측에 있어서의 양측부 각각에 배치된 한쌍의 사이드시트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이며, 상기 각 사이드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접합선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합선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가까운 부분과 상기 중심선에서 먼 부분을 번갈아 각각 복수 가지고 있고, 상기 각 사이드시트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게 접하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에 가까운 부분끼리 사이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층 및 누수방지층을 갖춘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 당접면측에 있어서의 양측부 각각에 배치된 한쌍의 사이드시트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이며, 한쌍의 상기 사이드시트는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중앙측에 향해서 오목형상을 이루는 제1접합선 및 상기 제1접합선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 전후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에 교차하게끔 연장하는 제2접합선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접합되어 있고, 한쌍의 상기 사이드시트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1접합선과 내측연부의 사이에 착용시에 개구하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접합선은 상기 내측연부에 가까운 부분과 상기 내측연부로부터 먼 부분을 번걸아 가지고 있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내측연부에 가까운 부분끼리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접합선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1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액체 보유성의 흡수층(11) 및 액체 불투과성의 누수방지층(13)을 갖추고, 실질적으로 세로길이의 흡수성 본체(10)와, 상기 흡수성 본체(10)의 피부 당접면측에 있어서의 양측부 각각에 배치된 한쌍의 사이드시트(6, 6)를 가진다. 한쌍의 사이드시트(6, 6)에는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CL)에 가까운 부분(81)과 상기 중심선(CL)으로부터 먼 부분(82)을 번갈아 각각 복수 가지는 접합선(접합실(joint seal); 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선(CL)에 가까운 부분(81, 81)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포켓(8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흡수층(11)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시트(2) 및 액체 보유성의 흡수체(4)로부터 이루어지며, 누수방지층(13)은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3)으로부터 이루어진다. 표면시트(2)는 흡수체(4)의 상면의 전체영역을 피복하고 있고, 흡수체(4)의 양측연 각각에서부터 약간 연장한 위치에 직선모양의 양측연을 가지고 있다. 배면시트(3)는 흡수체(4)의 하면의 전체영역을 피복하고, 흡수체(4)의 양측연 각각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 부분을 가지고, 그 연장부분이 사이드시트(6)와 함게 냅킨(1)의 양측부에 사이드플랩(7)을 형성하고 있다. 편의상, 냅킨(1)은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배설부 대향부(A), 전방부(C) 및 후방부(B)로 구별된다. 사이드플랩부(7)는 배섧 대향부(A)에 있어서 폭방향 바깥쪽으로 크게 연장해 날개부(70)를 형성하고 있다. 흡수체(4)는 약 길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시트(2)와 배면시트(3)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사이드시트(6)는 흡수성 본체(10)의 피부 당접면측(도 2 중, 상측)에 있어서의 양측부 각각에, 각각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각각 냅킨(1)의 약 전체 길이에 걸치게끔 배치되어 있다.
각 사이드시트(6)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냅킨(1)의 폭방향 중앙쪽에 위치하는 부분(6A)은 시트의 되접어 꺽음에 의해 2층으로 되어 있고, 그 되접어 꺽음부가 사이드시트(6)의 내측연부(61)로 되어 있다. 내측연부(61)는 냅킨(1)의 폭방향 중앙부측에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3, 7 및 8에 있어서는 냅킨의 좌측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우측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시트(6)는 이와 같이 되접어 꺽음부가 냅킨(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중앙부측에 위치하게끔, 2층으로 되접어 꺽으면 장착시에 포켓이 개구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사이드시트(6)에 있어서의 상기 부분(6A)은 냅킨(1)의 전후단부에 있어서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해 표면시트(2)와 함께 배면시트(3)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시트(6)에 있어서의 냅킨(1)의 폭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6B)은 도시하지 않은 접착체에 의해 배면시트(3)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부분(6B) 중, 냅킨(1)의 주연부(14)에 위치하는 부분은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해 배면시트(3)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표면시트(2)와 배면시트(3)는 냅킨(1)의 주연부(14)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 사이드시트(6)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접합선(8)으로, 상기 흡수성 본체(10)에 접합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은 냅킨이나 펜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에 있어서는 장착시에 착용자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합선(8)은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해 냅킨(1)의 폭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부분(6A)의 일부를 표면시트(2)와 접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접합선(8)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이드시트(6)가 표면시트(2)에만 접합되어 형성된 것, 또는 사이드시트(6)가 표면시트(2)와 같이 흡수체에도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접합선 해당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인 경우, 흡수성 물품이 한층 부드러워지며,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접합선(8)은 사이드시트를 표면시트 및 흡수체와 함께 일체적으로 압착해 형성된 것이여도 좋다. 이 경우, 접합선 부분에 생긴 홈에 의해 액체의 번짐이나 확산이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접합선(8)은 냅킨(1:흡수성 물품)을 배설부 대향부(A) 및 그 전후에 위치하는 전방부(C) 및 후방부(B)로 구분한 경우에, 배설부 대향부(A)뿐만 아니라, 전방부(C)와 후방부(B)의 사이에 걸치게끔 형성되어 있다. 본 냅킨(1)과 같이 속옷 등의 의류 외면에 고정하는 날개부(71)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배설부 대향부(A)는 그 양측부에 날개부를 가지는 부분이다.
접합부(8)는 배설부 대향부(A)로부터 전방부(C) 및 후방부(B)의 어느 한쪽에 걸치게끔 형성 가능하며, 배설부 대향부(A)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합부(8)의 형상은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포켓(84)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하나 하나의 포켓이 작고, 사이드시트의 뒤집어짐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착용 중의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나 뒤집어진 부근에 있어서 신체와의 틈새가 발생하는 일 없이 누수를 일으키기 어렵다. 또한 복수의 포켓(8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신체와 밀착해 있는 부분의 포켓(84)은 뭉개져 있지만(이와 같은 상태라도 신체와 밀착해 있기 때문에 액체는 흡수체(4)에 흡수됨), 밀착 상태가 낮은 부분의 포켓(84)의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나아가 접합선(8)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시에 있어서 흡수체(4)와 겹쳐져 있는 것이 포켓에서 흡수한 액체가 스무스하게 흡수체에 흡수되며, 누수방지성이 한층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포켓에서 흡수한 액체는 포켓의 앞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흡수체(4)에 흡수되거나, 혹은 포켓의 안쪽에 도착한 다음 흡수체측으로 되돌아와서 흡수된다.
평면시에 있어서 흡수체(4)와 겹쳐 있는 것은 접합선(8)의 전체 또는 일부가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도 1에 있어서는 흡수체의 윤곽을 나타내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접합선(8)은 냅킨(1)의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CL)에 가까운 부분(81)에서 상기 중심선(CL)에서 먼 부분(82)까지의 범위에 존재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체(4)와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까운 부분(81)에서 상기 먼 부분(82)까지의 범위에 존재하는 부분의 전체가 흡수체(4)와 겹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는 접합선(8)이 흡수체(4)와 겹쳐 있는 부분은 배설부 대향부(A)의 일부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설부 대향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냅킨의 전후단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접합선(8)의 약 전체 길이에 걸쳐서 흡수체(4)와 겹치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림직하다.
접합선(8)은 냅킨(1; 흡수성 물품) 전체 길이의 60%이상의 길이, 특히 냅킨(1; 흡수성 물품) 전체 길이의 80%이상의 길이로 걸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연속함이라 함은 본 실시형태와 같은 연속하는 접합선 외에 복수의 접합부를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과 평행한 임의의 직선을 상정한 경우에 이 직선과 겹치지지 않는 부분이 없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한 것이나, 미시적으로 보면 비연속의 다수의 접합부로 이루어지지만, 전체로서 보면 선상의 접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취지이며,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단척(短尺)의 접합부(85)를 서로의 일부를 중복시키게끔 해서 냅킨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치해 이루어지는 접합선도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접합선이다. 단, 접합부(85) 서로간의 최단거리는 2mm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의 접합선(8)의 형상이 나타내져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접합선(8)은 평면시해서 연속 파형(波形)형상이며,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선(CL)에 가까운 부분(81)과 상기 중심선(CL)으로부터 먼 부분(82)을 번갈아 각각 복수 가지고 있다. 즉 길이방향 중심선(CL)에 대하여 가까운 부분(81)과 먼 부분(82)이 냅킨(1)의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반복해서 존재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가깝다" 및 "멀다"는 먼 부분에 비해서 가깝고, 가까운 부분에 비해서 멀다고 하는 상대적인 의미이다.
접합선(8)은 냅킨의 폭방향 중앙측에 향해서 볼록(凸)의 원호형상부분과, 냅킨의 폭방향 중앙측에 향해서 오목(凹)의 원호형상부분이 번갈아 늘어선 형상이며, 냅킨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
각 사이드시트(6)에 있어서의 내측연부(61)와 접합부(8)의 사이의 부분(83)은 표면시트(2)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부분(83)과 표면시트(2)의 사이에 포켓(84)이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84)은 냅킨(1;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각 사이드시트(6)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는 상기 가까운 부분(81, 81)끼리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포켓(84)의 숫자는 각각 냅킨(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의 길이 2cm당 1~5개, 특히 2~4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선(8)은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CL)에 가까운 부분(81)과 상기 중심선(CL)에서 먼 부분(82)과의 이간거리(W; 도 3 참조)가 4~20mm, 특히 5~10mm인 것이 누수방지성이 높은 포켓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은 종래의 냅킨과 마찬가지로 배면시트(3)의 면(피부 당접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제(도시 생략)에 의해 속옷 등의 의류의 내면에 고정해서 사용된다.
냅킨(1)은 착용시에 그 전후방향으로 막곡하지만, 상술한 접합선(8)에 의해 냅킨(1)이 만곡해도 딱딱한 절곡부를 일으키거나, 사이드시트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무리한 변형에 의한 구김을 일으키거나 하는 일 없이 길이방향으로 부드럽게 만곡해 착용자의 신체형상에 양호하게 피트한다. 그 때문에 전후에서의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냅킨(1)의 만곡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냅킨(1)의 폭방향 중앙부측에 향해서 다수의 포켓(84)이 자연적으로 개구하고, 이들의 포켓(84)은 일부의 포켓(84)이 가압에 의해 뭉개져도 다른 포켓(84)의 개구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본 냅킨(1)에 의하면 길이방향의 부드럽고 만곡한 것에 의한 양호한 피트성과, 개구상태가 유지되기 쉬운 다수의 포켓(84)에 의해 냅킨(1)의 측부에서의 샘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냅킨(1)의 폭방향에 있어서, 각 접합선(8)의 전체가 상기 흡수체(4)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몸에 따른 안정적인 흡수면이 흡수체(4)상에 형성되며, 흡수체 측부의 구김이 방지되어 보다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각 접합선(8)의 전체가 흡수체(4)상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대신해 내측연부(61)측의 일부 등, 접합선(8)의 일부만이 흡수체(4)상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사이드시트(6)의 형성 재료로서는 각종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발수성의 부직포나 수지 필름제의 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발수성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피부 접촉의 양호함과, 옆샘(side leakage) 방지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사이드시트(6)로서는 부직포와 수지 필름의 라미네이트체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다.
표면시트(2), 배면시트(3) 및 흡수체(4)의 형성재료로서는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종래 이용되어지고 있는 각종의 것 등을 특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접합선은 파형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성인 것이 포켓을 형성하고, 장착시에 포켓을 개구시켜 옆샘을 방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파형형상으로서는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파형형상 외에,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파형형상이여도 좋다. 도 6에 지그재그형상의 접합선의 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그 두께가 0.5~3.5mm, 특히 1.0~2.0mm인 것이 장착시에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고, 신체의 전후방향에 따라서 보다 피트하고, 장착시에 포켓이 개구하기 쉽고 샘 방지성이 한층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두께의 하한값은 주로 장착시의 구김이 생기기 어려운 관점에서의 하한값이다.
냅킨(1; 흡수성 물품)의 두께는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할 수 있다.
<두께 측정방법>
제품을 평평한 장소에 주름이나 구김이 없도록 정치(靜置)하고, 제품의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상면에, 5cN/cm2의 하중을 걸고, 그 상태에서의 두께를 측정한다. 냅킨 장착시의 장착압은 신체의 부위, 개인차, 상태(앉아 있다/움직이고 있다) 등에 의해 다르지만, 허벅지 사이 중앙영역(배설포인트 부근)에서는 속옷 등의 의류를 착용하는 이외에 외압이 없는 상태에 있어서, 무하중~5cN/cm2의 하중이 되기 때문에, 이 하중(5cN/cm2)에서의 측정을 행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두께의 측정에는 PEACOCK DIAL UPRIGHT GAUGES R5-C(OZAKI MFG. CO. LTD. 제품)를 사용하였다. 이 때, 두께합 선단부와 제품 간의 측정부분에 플레이트(두께 5mm정도의 아 크릴판)를 배치하고, 하중이 5cN/cm2가 되게끔 플레이트의 크기를 조정한다(플레이트의 형상은 원형 혹은 정방형으로 함).
도 8~도 11에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1')을 나타낸다.
생리용 냅킨(1')에 대해서는 상술한 생리용 냅킨(1)과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냅킨(1)과 동일하다. 도 8~도 11에 있어서는 상술한 생리용 냅킨(1)의 부재와 동일의 부재에는 동일의 부호를 부기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의 한쌍의 사이드시트(6,6)는 각각 제1접합선(8') 및 제2접합선(9)에서 흡수성 본체(10)와 접합되어 있다. 즉, 각 사이트시드(6)는 흡수성 본체(10)의 폭방향 중앙측에 향해서 오목형상을 이루는 제1접합선(8') 및 상기 제1접합선(8')의 전후에 위치하고,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도록 연장하는 제2접합선(9)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10)와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사이드시트(6,6) 각각에 있어서의 제1접합선(8')과 내측연부(61)의 사이(83)에 착용시에 개구하는 포켓(8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의 한쌍의 사이드시트(6,6) 각각에 있어서의 제1접합선(8')은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냅킨(1')의 배설부 대향부(A) 및 상기 배설부 대향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B)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이하, 배설부 대향부(A)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접합부를 8A, 후방부(B)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접합선을 8B라고도 말함). 본 냅킨(1')과 같이 속옷 등의 의류 외면에 고정하는 날개부(71)를 갖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배설부 대향부(A)는 그 양측부에 날개부를 가지는 부분이다.
한쌍의 사이드시트(6, 6)는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각 제1접합선(8A) 및 제1접합선(8B)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10)에 접합되어 있다. 제1접합선(8A) 및 제1접합선(8B)은 각각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은 냅킨이나 팬티라이너, 실금패드 등에 있어서는 장착시에 착용자의 전후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연부(61)와 평행한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배설부 대향부(A)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접합선(8A)과 후방부(B)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접합선(8B)은 형성되어 있는 부위가 다른 이외는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하에 있어서는 배설부 대향부(A)의 제1접합선(8A)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지만, 그들의 설명은 제1접합선(8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접합선(8A)은 도 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원호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내측연부(61)에 가까운 부분(81, 81)과 내측연부(61)로부터 먼 부분(82)을 가지고 있다. 제1접합선(8A)의 길이방향의 길이(L1; 도 10 참조), 제1접합선(8A)의 내측연부에 가까운 부분(81)과 내측연부로부터 먼 부분(82)의 이간거리(W1; 도 10 참조 이하, 요동폭이라고도 함)이 L1>W1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L1은 제품길이에 대해 10~50%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W1은 제품폭에 대하여 3~30%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제품폭이란 냅킨(1')에 있어서의 한쌍의 날개부(71, 71) 각각의 전후단부(前後端部)사이의 폭방향의 길 이를 말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가깝다" 및 "멀다"는 먼 부분에 비해서 가깝고, 가까운 부분에 비해서 멀다고 하는 상대적인 의미이다.
또한 제1 및 제2접합선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1개의 접합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접합선과 제2접합선은 각각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접합선이며, 또한 제1접합선과 제2접합선의 사이도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것이란 본 실시형태와 같은 연속하는 접합선 외에 복수의 접합부를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과 평행한 임의의 직선을 상정한 경우에 상기 직선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이 없게끔 연속적으로 배치한 것이나, 미시적으로 보면 비연속의 다수의 접합부로부터 이루어지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선상의 접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취지이며, 접합부 서로의 일부를 중복시키게끔 해서 냅킨의 길이방향에 다수 배치해 이루어지는 접합선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단척의 접합부(85)를 서로의 일부를 중복시키게끔 해서 냅킨의 길이방향에 다수 배치해 이루어지는 접합선도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접합선이다. 단 접합부(85)끼리 사이의 최단 거리는 2mm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설부대향부(A)에 설치되어 있는 제1접합선(8A)의 길이(L10; 도 8 참조)는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날개부(71)의 기부(基部)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의 제1접합선(8A)은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해 냅킨(1')의 폭방향 중앙쪽에 위치하는 부분(6A)의 일부를 표면시트(2)와 접합해 형성되어 있다.
제1접합선(8A)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이드시트(6)가 표면시트(2)와만 접합 되어 형성된 것, 또는 사이드시트(6)가 표면시트(2)와 함께 흡수체에도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1접합선 해당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인 경우, 흡수성 물품이 한층 부드러워지며,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접합선(8A)은 사이드시트(6)를 표면시트(2) 및 흡수체(4)와 함게 일체적으로 압착해서 형성된 것이면 좋다. 이 경우, 제1접합선(8A) 부분에 생긴 홈에 의해 액체의 스며듬이나 확산이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한쌍의 사이드시트(6, 6) 각각에 있어서의 내측연부(61)와 제1접합선(8A)의 사이의 부분(83; 도 10 참조)은 표면시트(2)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부분(83)과 표면시트(2)와의 사이에 포켓(8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84)은 도 1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착용시에 개구하고, 그 개구한 포켓(84)에 냅킨의 폭방향으로 이동한 체액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관에도 폭방향의 누수방지성이 높은 것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안심감을 주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접합선(8A)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시에 있어서 흡수체(4)와 겹쳐 있는 것이 포켓(84)에서 흡수한 액체가 스무스하게 흡수체에 흡수되며, 누수방지성이 한층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포켓(84)에서 흡수한 액체는 포켓(84)의 앞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흡수체(4)에 흡수되거나 혹은 포켓(84)의 안쪽에 도착한 후 흡수체측으로 되돌아와서 흡수된다.
평면시에 있어서 흡수체(4)와 겹쳐있는 것은 제1접합선(8A)의 전체 또는 일 부가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도 8에 있어서는 흡수체의 윤각을 나타내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접합선(8A)은 요동폭(W1)내에 존재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체(4)와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요동폭(W1)내에 존재하는 부분의 전체가 흡수체(4)와 겹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접합선(8A)은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요동폭(W1)내에 존재하는 부분의 전체가 흡수체(4)와 겹쳐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 제1접합선(8A)의 전후에는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각 제2접합선(9C) 및 제2접합선(9A)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1접합선(8B)의 전후에는 각각 제2접합선(9A) 및 제2접합선(9B)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접합선(8A)은 제2접합선(9A)을 통해서 제1접합선(8B)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접합선(9C) 및 제2접합선(9A)은 냅킨(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한쌍의 날개부(71, 71)의 전후단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사이드시트(6, 6)는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각 제2접합선(9A), 제2접합선(9B) 및 제2접합선(9C)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10)에 접합되어 있다. 제2접합선(9A), 제2접합선(9B) 및 제2접합선(9C)은 각각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제2접합선(9A)은 도 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측연부에 가까운 부분(91)과 상기 내측연부에서 먼 부분(92)을 번갈아 가지게끔 사행(蛇行)하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방향에 따라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내측연부에 가까운 부분(91)과 상기 내측연부에서 먼 부분(92)과의 사이는 제2접합선(9A)을 형성하고 있는 접합선이 길이방향으로 교차하게끔 연장해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접합선(9A)은 냅킨(1')의 폭방향 중앙측에 향해서 볼록의 원호형상부분과, 냅킨(1')의 폭방향 중앙측에 향해서 오목의 원호형상부분이 번갈아 연결된 형상이고, 냅킨(1')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제2접합선(9A)은 2개의 상기 오목의 원호형상부분을 가지고 있고, 각각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합선(9A)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내측연부에 가까운 부분끼리 사이의 거리(L2)가 도 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접합선(8A)의 길이방향의 길이(L1)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상기 거리(L2)는 서로 이웃하는 내측연부에 가까운 부분(91)끼리에 있어서, 각각의 내측연부에 가장 가까운 점끼리 사이의 거리를 길이방향에 따라서 측정한 길이이다.
또한 제2접합선(9A)의 내측연에 가까운 부분(91)과 내측연부에서 먼 부분(92)과의 이간거리(W3: 도 10 참조 이하, 요동폭이라 함)는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한 제1접합선(8A)의 실폭(W2: 도 10 참조)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합선(8A)은 소정의 폭을 가지고 있고, 제1접합선(8A)의 양측연은 미시적으로는 평행한 2개의 직선으로 간주되므로 실폭(W2)은 평행한 상기 2직선 간의 거리를 말한다.
한쌍의 사이드시트(6, 6) 각각에 있어서의 제2접합선(9A)과 내측연부(61)과의 사이의 부분(93; 도 10 참조)은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부분(93)과 표면시트(2)와의 사이에는 포켓(94; 이하, 작은 포켓이라고도 함)이 형성되어 있다. 착용시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포켓이 개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접합선(9A)은 제1접합선(8A)과 마찬가지로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해 냅킨(1')의 폭방향 중앙쪽에 위치하는 부분(6A)의 일부를 표면시트(2)와 접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 외, 제2접합선(9A)과 흡수성본체(10)와의 접합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접합선(8A)에 있어서의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나아가 제2접합선(9A)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시에 있어서 흡수체(4)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포켓(94)에서 흡수한 액체가 스무스하게 흡수체에 흡수되며, 누수방지성이 한층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접합선(9A)은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요동폭(W3)내에 존재하는 부분의 전체가 흡수체(4)와 겹쳐 있다. 그 외, 제2접합선(9A)과 흡수성본체(10)와의 겹쳐짐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접합선(8A)에 있어서의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주로 제2접합선(9A)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지만, 특히 구애받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해서 제2접합선(9B) 및 제2접합선(9C)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한쌍의 사이드시트(6, 6) 각각에 있어서 제2접합선(9)에서 형성되는 작은 포켓(94)은 큰 포켓(84)의 전후에 각각 1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부(B)에 제1접합선(8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배설부 대향부(A)의 제1접합선(8A)의 길이방향 전후단부에서 냅킨(1')이 전후단연까지 제2접합선(9)의 사행이 반복되어 있어도 좋다. 후방부(B)에 제1접합선(8B)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접합선(8A)과 제1접합선(8B)의 사이에 작은 포켓을 적어도 1개 가지고 있으면 좋은데, 복수의 포켓인 것이 바람직하고, 2~5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제2접합선에 의해 작은 포켓(94)이 형성된 영역은 제1접합선의 전후 각각에 있어서 제1접합선 길이(L1)에 대해서 10%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포켓(94)의 냅킨 길이방향의 길이는 L1에 대하여 4%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배설부 대향부(A)와 후방부(B)에 걸쳐 있는 제2접합선(9A)은 2개의 작은 포켓(94, 94)을 형성하고 있고, 전방부(C)의 제2접합선(9C)은 4개의 작은 포켓(94, 94...)을 형성하고 있고, 후방부(B)의 제2접합선(9B)은 3개의 작은 포켓(94, 94, 94)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 있어서의 제1접합선(8A)의 길이방향의 길이(L1)는 40~1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접합선(9A)의 길이방향의 길이(사행이 반복되는 영역)는 4~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L1의 쪽이 긴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접합선(9A)에 있어서의 상기 거리(L2)는 4~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L2/L1은 4~7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접합선(8A)의 요동폭(W1)은 2~1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접합선(9A)의 요동폭(W3)은 2~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W1은 W3과 동일하거나 W3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1')에 의하면 착용시에 뒤틀림이 발생하기 쉬운 배설부 대향부(A)에 큰 포켓(84)을 혀성하고 있는 제1접합선(8A)을 가지는 동시에 그 전후에 제2접합선(9A, 9C)을 가지기 때문에 냅킨(1')에 뒤틀림이 생겨도 제2접합선(9A, 9C)가 형성하는 작은 포켓(94)이 변형해서 냅킨(1')의 뒤틀림이 흡수된다. 그 때문에 배설부 대향부(A)에 있어서의 큰 포켓(84)은 뒤틀림에 의해서 뭉개지는 일 없이 폭방향으로 이동한 액체를 흡수할 수가 있다. 나아가 냅킨(1')은 착용시에는 힙부분에도 뒤틀림이 생기기 쉬우나, 상기 후방부(B)에도 제1접합선(8B) 및 그 전후에 제2접합선(9A, 9B)을 가지고 있어 누수방지성이 한층 향상되어 있다.
또한 냅킨(1')은 한쌍의 사이드시트(6, 6)의 길이방향의 약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각각 복수의 제1접합선(8') 및 제2접합선(9)이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고, 특히 작은 포켓(94)을 형성하고 있는 제2접합선(9)이 배설 대향부(A), 전방부(C) 및 후방부(B)의 3곳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의 약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규칙적으로 휘어지므로 전후로 만곡하기 쉽고 피트성이 뛰어나다.
본 실시형테의 냅킨(1')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냅킨(1')의 폭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제1접합선(8') 및 제2접합선(9)의 전체가 상기 흡수체(4)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몸에 따른 안정적인 흡수면이 흡수체(4)상에 형성되며, 흡수체측부의 구김이 방지되고, 보다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해진다. 복수의 제1접합선(8') 및 제2접합선(9)의 전체가 흡수체(4)상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대신해서, 내측연부(61)쪽의 일부 등, 제1접합선(8') 및 제2접합선(9) 각각의 일부만이 흡수체(4)상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한쌍의 사이드시트(6, 6)에 있어서의 제1접합선(8') 및 제2접합선(9) 각각은 폭방향 중앙측에 오목형상인 포켓을 형성하고, 착용시에 포켓을 개구시키므로 냅킨(1')의 옆샘의 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은 범위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날개부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접합선은 사이드시트를 표면시트·흡수체·백시트 등에 초음파실, 고주파실, 접착제 등으로 접합해서 형성된 것이여도 좋다.
또한 사이드실(6)은 그 자체에 신축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그 내측연부(61)부근에 실모양·띠모양의 탄성재(예를 들면, 실고무나 평고무)를 배치하고, 상기 탄성재를 내측연부(61)에서 되접어 꺽은 사이드시트(6)로 끼워넣거나 해서 포켓 형성(개구)을 용이하게 해도 좋다. 탄성재를 고정할 경우, 접합선에 의해 탄성재를 고정해도 좋고, 별도 핫멜트형 점착제 등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또한 접합선(8)은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그 일부가 사이드시트의 내측연부(61)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선(CL)에 근접한 방향으로 튀어나아 있어도 좋다. 접합선의 다른 부분과 동일하게 형성된, 그와 같이 튀어나온 부분은 사이드시트와 다른 부재를 접합하고 있지 않은 부분이여도 접합선의 일부로 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접합선(8)은 사이드시트(6)와 표면시트(2)와의 적층체에 히트실 가공을 시행해서 형성한 것이지만, 그 히트실 가공을 양시트가 적층된 부분과 표면시트만의 부분에 걸쳐지도록 처리한 때문에 튀어나온 부분이 생긴 것이다.
상술한 냅킨(1')과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폭방향 중앙측에 향해서 오목형상을 이루는 제1접합선(8A)과, 흡수성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연장하는 제2접합선(9)에서, 사이드시트(6)와 흡수성 본체(10)를 접합할 경우, 제2접합선 은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연장하고 있으면 좋고, 사행하는 연속선이 아니여도 좋다. 제2접합선은 폭방향으로 평행하지 않은 직선이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사행 형상이 불연속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접합선은 하나만이여도 좋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제1접합선에 있어서의 요동폭(W1) 및 길이(L1)가 L1>W1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제1접합선의 사이에 있어서 요동폭(W1) 및/또는 길이(L1)는 달라 있어도 좋다.
1개의 제2접합선(9)에 있어서의 상기 거리(L2) 및 요동폭(W3)은 지그재그 형상 중에서 달라 있어도 좋다.
상술한 냅킨(1')에 있어서 제2접합선은 지그재그형상이였지만, 곡선을 가지는 파형형상이여도 좋다.
또한 제1접합선(8') 및 제2접합선(9)은 그 일부가 사이드시트의 내측연부(61)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폭방향 중앙측에 튀어나와 있어도 좋다.
사이드시트(6)은 제1접합선(8') 및 제2접합선(9)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 이외에 팬티라이너(점액시트), 실금패트 등이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포켓을 장착시에 개구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시에 길이방향으로 부드럽게 만곡해 착 용자의 신체형상에 양호하게 피트하는 동시에 복수의 포켓에 의해 뛰어난 누수방지성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제1 및 제2접합선을 형성하면, 착용 중에 포켓에 의한 누수방지 효과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흡수성 물품이 보다 양호하게 만곡해 착용자의 신체형상에 피트성이 향상한다.

Claims (9)

  1. 액체 보유성의 흡수층 및 액체 불투과성의 누수방지층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세로길이의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 당접(當接)면측에 있어서의 양측부 각각에 배치된 한쌍의 사이드시트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이며,
    상기 각 사이드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접합선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합선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가까운 부분과 상기 중심선에서 먼 부분을 번갈아 각각 복수 가지고 있고,
    상기 각 사이드시트에 있어서의 서로 이웃하게 접하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선에 가까운 부분끼리 사이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시트 및 액체 보유성의 흡수체로부터 이루어지며, 상기 접합선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시트가 발수성의 부직포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선이 평면시해서 파형(波形)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가 0.5~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사이드시트가 각각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중앙측에 향해서 오목(凹)형상을 이루는 제1접합선, 및 상기 제1접합선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 전후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교차하게끔 연장하는 제2접합선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와 접합되어 있고,
    한쌍의 상기 사이드시트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1접합선과 내측연부의 사이에 착용시에 개구하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접합선은 상기 내측연부에 가까운 부분과 상기 내측연부로부터 먼 부분을 번갈아 가지고 있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내측연부에 가까운 부분끼리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접합선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사이드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2접합선은 파형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시트 및 액체 보유성의 흡수체로부터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합선 및 상기 제2접합선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선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배설부 대향부 및 상기 배설부 대향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50048542A 2004-06-07 2005-06-07 흡수성 물품 KR101148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8042 2004-06-07
JP2004168042A JP4152349B2 (ja) 2004-06-07 2004-06-0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227A true KR20060048227A (ko) 2006-05-18
KR101148443B1 KR101148443B1 (ko) 2012-05-23

Family

ID=3549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542A KR101148443B1 (ko) 2004-06-07 2005-06-0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52349B2 (ko)
KR (1) KR101148443B1 (ko)
CN (1) CN1706354B (ko)
TW (1) TWI3501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214B1 (ko) * 2013-10-11 2014-09-23 (주)웰크론 생리대 구조
KR20190017064A (ko) * 2016-07-29 2019-02-1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개선된 배설물 샘방지 플랩을 보유한 흡수 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9284B2 (ja) * 2006-09-04 2011-08-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49283B2 (ja) * 2006-09-04 2011-08-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036279B2 (ja) * 2006-11-09 2012-09-26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859596B2 (ja) * 2006-09-04 2012-01-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63906B2 (ja) * 2006-09-06 2012-06-2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80189B2 (ja) * 2006-10-06 2012-11-21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5390976B2 (ja) * 2009-07-31 2014-01-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85415B2 (ja) * 2010-10-27 2015-03-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2095833A (ja) * 2010-11-02 2012-05-24 Kao Corp 吸収性物品
JP5607500B2 (ja) * 2010-11-05 2014-10-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2110413A (ja) * 2010-11-22 2012-06-14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73B2 (ja) * 1987-03-20 1995-03-22 ユニ・チヤ−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KR0183407B1 (ko) * 1992-01-13 1999-04-01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생리용 냅킨
CN2182610Y (zh) * 1994-03-08 1994-11-16 佟永强 超薄型卫生巾
JP3922897B2 (ja) * 2001-07-12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278963B2 (ja) * 2002-03-26 2009-06-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214B1 (ko) * 2013-10-11 2014-09-23 (주)웰크론 생리대 구조
KR20190017064A (ko) * 2016-07-29 2019-02-1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개선된 배설물 샘방지 플랩을 보유한 흡수 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6354B (zh) 2010-05-05
CN1706354A (zh) 2005-12-14
TW200608943A (en) 2006-03-16
TWI350164B (en) 2011-10-11
JP2005342368A (ja) 2005-12-15
JP4152349B2 (ja) 2008-09-17
KR101148443B1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443B1 (ko) 흡수성 물품
JP4836639B2 (ja) 吸収性物品
JP4484747B2 (ja) 吸収性物品
JP5080189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5264270B2 (ja) 吸収性物品
JP4484765B2 (ja) 吸収性物品
JP5070022B2 (ja) 吸収性物品
JP4148594B2 (ja) 吸収性物品
JP4937225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4889451B2 (ja) 吸収性物品
KR101070348B1 (ko)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JP5030510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包装構造
WO2010117015A1 (ja) 吸収性物品
JP2008136739A (ja) 吸収性物品
JP2003245306A (ja) 吸収性物品
WO2016002097A1 (ja) 吸収性物品
JP4540698B2 (ja) 吸収性物品
JP2012096079A (ja) 生理用ナプキン
JP4252439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4372628B2 (ja) 吸収性物品
JP4757180B2 (ja) 吸収性物品
JP4671855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AU2645601A (en) Absorbent article
JP4090453B2 (ja) 吸収性物品
JP4749288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