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356A - 안경테 및 렌즈걸이 - Google Patents

안경테 및 렌즈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356A
KR20060047356A KR1020050033231A KR20050033231A KR20060047356A KR 20060047356 A KR20060047356 A KR 20060047356A KR 1020050033231 A KR1020050033231 A KR 1020050033231A KR 20050033231 A KR20050033231 A KR 20050033231A KR 20060047356 A KR20060047356 A KR 20060047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nnular groove
hanger
support hole
specta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6839B1 (ko
Inventor
기요시 히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21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21
Publication of KR2006004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02C5/005Glasses allowing access to one eye, e.g. for make-up appl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는 그 말단부에 렌즈커넥터(26)를 구비하는 한 쌍의 렌즈걸이(20)와, 눈썹바(19)에 결합되어 렌즈걸이(20)의 기단부를 좌/우방향의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구(19)를 포함한다. 고정구(19)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공(16)과, 이 지지공(16)과 같은 중심을 가진 소정의 곡률반경의 외주면(17)과, 이 외주면(17)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공(16)과 같은 중심을 가진 환상홈(18)을 구비한다. 렌즈걸이(20)는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고정구(19)의 지지공(16)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축부(21)와, 고정구(19)의 환상홈(18)에 부합되는 계합부(22)와, 이 지축부(21)와 계합부(22)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계합부(22)를 환상홈(18)으로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부(27)를 포함한다.
안경테, 렌즈걸이, 분리, 보조렌즈

Description

안경테 및 렌즈걸이{Spectacle frame and lens hanger}
도1은 본 발명의 안경테의 하나의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투영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안경테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의 확대도,
도4는 도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 Ⅳ의 확대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안경테의 또 다른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투영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안경테의 평면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Ⅷ-Ⅷ선에 따른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안경렌즈 ML : 주안경렌즈 SL : 보조안경렌즈
10 : 안경테 11 : 돌기부 12 : 눈썹바
13 : 패드아암 14 : 클립부 15 : 코패드
16 : 지지공 17 : 외주면 18 : 환상홈
19 : 고정구 20 : 렌즈걸이 21 : 지축부
22 : 계합부 23 : 절단부 24 : 접합면
25 : 정지부 26 : 렌즈커넥터 27 : 스프링부
28 : 안경다리 29 : 클립부 30 : 핀
31 : 단덮개 32 : 힌지 33 : 힌지구
34 : 환상홈 35 : 접합부 36 : 외주면
37 : 지지공 38 : 지축부 39 : 계합부
40 : 스프링부
본 발명은 안경테 및 안경테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렌즈걸이에 관한 것이다.
시력교정용 안경의 착용자가 선글래스, 편광선글래스, 루페(loupe) 또는 노안경(老眼鏡)을 사용할 경우 전용으로 조정된 선글래스, 편광선글래스, 루페 또는 노안경을 새로 구입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 따른 구입은 구입자에게 경제적인 부담 뿐만 아니라 바꾸어 써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선글래스, 편광선글래스, 또는 루페와 같은 보조 안경렌즈들은 안경테에서 현재 사용되는 안경렌즈의 상부에서 앞을 덮으면서 사용되도록 하는 제안들이 많았다.
일본의 심사미청구된 특허공보(공개) 11-264956호에서는 안경테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조 선글래스가 개시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보조 선글래스의 테는 눈썹바(brow bar)나 지지바에 끼워 넣어 보조 선글래스에 결합된 스프링부재의 탄성에 의해서 안경테에 대해서 개폐가능하게 된다. 이 보조 선글래스에 따르면, 안경렌즈 단독으로 또는 필요하다면 보조 선글래스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의 심사미청구된 특허공보(공개) 11-264956호에서 개시된 도약식(jumping-up type) 보조 선글래스는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안경테들에 사용가능한 일반적 용도를 가진 형태이다. 특히, 개폐가능한 기능을 가진 것들은, 그러나, 스프링부재들 또는 다른 것들의 결합에 의해 중량이 증가되기 쉽다. 따라서, 디자인에서 비호환성이 크고 중량밸런스가 좋지 않아 안경테가 착용 중에 미끄러질 수가 있다는 점에서 감소된 중량을 가지는 최근의 안경테에는 특히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안경테는 착용감이 그리 좋지 못하고 많은 미세한 부품을 가지며 내구성이 떨어진다.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현미경 또는 망원경을 사용할 경우 특히, 아이포인트(eye point)가 짧은 접안경을 통해 사용할 경우, 안경을 벗을 필요가 있는데 이럴 경우 작업성이 종종 극히 악화된다. 그런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도약식 안경테가 일본의 심사미청구된 특허공보(공개) 10-115811호 또는 다른 것들에서 제안되었다. 일본의 심사미청구된 특허공보(공개) 10-115811호 또는 다른 것들에서 개시된 도약식 안경테는 안경테의 눈썹바에 대해서 안경렌즈가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테두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의 심사미청구된 특허공보(공개) 10-115811호에 개시된 도약식 안경테는 좌,우 테두리들이 서로 이어진 상태에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임의의 회전 위치에서 테두리들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테두리들 및 렌즈의 중량에 대응해서 예를 들어 비틀린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균형기(balancer)를 결합시키거나 회전중심에 강한 마찰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균형기를 결합시키는 작업은 부품수가 많아져 거기에 따른 중량이 증가되고 안경테의 외관이 나빠진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한편, 테두리의 회전위치가 마찰력에 의해 유지되는 구조에서는 안경렌즈를 약한 힘으로 올리기가 어려워 안경테의 조작감을 악화시킨다. 또한, 회전부품의 마모로 인해 안경렌즈의 도약 상태를 유지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또한, 도약작용을 자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 안경렌즈들을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경량의 안경테 및 이 안경테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렌즈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극히 가벼운 도약식 보조 선글래스 및 이것을 부착할 수 있는 전용의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1태양은 힌지를 통해 좌,우 양단의 돌기부에 안경다리들이 각각 연결된 눈썹바와, 이 눈썹바에 결합되어 말단부(distal end)에 안경렌즈가 부착되는 렌즈걸이의 기단부(proximal end)를 좌,우방향의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공과, 이 지지공과 같은 중심을 가진 소정의 곡률반경의 외주면과, 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공과 같은 중심을 가진 환상홈을 구비하는 안경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한 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의 기단부는 안경테의 눈썹바에 결합된 고정구에 부착되어, 필요에 따라서 고정구의 지지공을 중심으로 렌즈걸이를 회전하여 좌우의 안경렌즈의 개폐가 서로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본 발명의 제1태양의 안경테에 따르면, 렌즈걸이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고정구가 현저히 작아지고, 안경테의 디자인의 자유도가 증가되어, 도약식 안경테의 경량화가 촉진된다. 또한, 좌,우의 안경렌즈를 서로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예를 들면 현미경이나 망원경을 통한 한쪽 눈에 의한 관찰, 사격, 시력훈련, 눈 화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안경테에 있어서 고정구는, 환상홈의 일부에 형성되어 렌즈걸이의 회전단들의 일방에 정의된 렌즈사용위치에서 렌즈걸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정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런 경우에 렌즈걸이의 회전이 렌즈걸이의 회전단들의 일방인 렌즈사용위치에서 제한되므로, 안경렌즈는 올바른 회전위치에서 항상 유지되는 동안에 사용가능하다.
고정구는 그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렌즈걸이의 회전단의 타방에 정의된 렌즈분리위치에서 렌즈걸이의 분리를 촉진시키는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렌즈걸이의 회전단의 타방인 렌즈분리위치에서 눈썹바의 고정구로부터 렌즈걸이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옵터 선글래스, 편광 선글래스, 루페 또는 원시경(farsighted glass)과 같은 소망하는 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를 준비하는 경우 소망하는 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를 안경테 의 눈썹바상의 고정구에 극히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적인 안경렌즈를 위해 개별적인 안경테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은 좌,우 양단부의 돌기부에 힌지를 통해 각각 안경다리가 연결되는 눈썹바와, 말단부에 렌즈부착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렌즈걸이와, 상기 눈썹바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걸이의 기단부를 좌,우방향의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공과, 이 지지공과 같은 중심을 가지는 소정의 곡률반경의 외주면과, 이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annular groove)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걸이는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의 지지공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축부(支軸部)와, 상기 고정구의 환상홈에 부합가능한 계합부(係合部)와, 이 지축부와 계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계합부를 상기 환상홈측으로 탄성적으로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는 안경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한 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의 지축부는 안경테의 눈썹바에 결합된 고정구의 지지공 내부로 결합되고, 렌즈걸이의 스프링부에 의해 고정구의 환상홈에 렌즈걸이의 계합부가 눌려 져서, 렌즈걸이는 고정구에 연결된다. 좌,우 안경렌즈의 개폐는 필요하다면 고정구의 지지공을 중심으로 렌즈걸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안경테에 따르면, 안경렌즈가 부착되는 렌즈걸이의 중량이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이 렌즈걸이를 지지하는 안경렌즈측의 부분을 압축시킬 수 있어 안경테의 디자인 자유도가 대개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안경테에 있어서, 안경테는 렌즈부착부를 통해 좌,우렌즈걸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브릿지(bridg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렌즈걸이의 강성(剛性)이 더 향상되고 좌,우 안경렌즈들의 개폐동작이 더 안정화된다.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태양에 따른 안경테에 있어서, 안경테는 기단부가 눈썹바에 결합되어 말단부에 코패드(nose pad)가 부착된 패드아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코패드를 렌즈걸이에 부착하기 위한 패드아암을 제공할 필요가 없어 안경이 부착되는 렌즈걸이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안경테를 착용하는 동안 안경렌즈가 개폐된다 할지라도 코패드는 사용자의 코와 항상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태양은 기단부가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안경테의 눈썹바에 결합되는 고정구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렌즈걸이에 있어서, 말단부에 렌즈부착부를 구비하고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의 지지공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축부와, 상기 고정구의 환상홈에 부합되는 계합부와, 이 지축부와 계합부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져 계합부를 상기 환상홈으로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렌즈걸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한 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의 지축부는 렌즈분리위치에서 안경테의 눈썹바에 결합되는 고정구의 지지공에 결합되고, 렌즈걸이의 계합부는 렌즈걸이의 스프링부에 의해 고정구의 환상홈에 눌려 져서 렌즈걸이를 고정 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안경렌즈를 교환할 경우에는 렌즈걸이를 렌즈분리위치까지 회전시켜 렌즈걸이의 지축부를 고정구의 지지공으로부터 당긴다. 그런 다음 새 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가 렌즈분리위치에서 지지공 내부로 결합되고 렌즈걸이의 계합부가 렌즈걸이의 스프링부에 의해 고정구의 환상홈에 눌려 져서 새 렌즈걸이가 고정구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태양의 렌즈걸이에 따르면, 안경렌즈가 부착되는 렌즈걸이의 중량이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이 렌즈걸이를 지지하는 안경렌즈측의 부분을 압축시킬 수 있어 안경테의 디자인 자유도가 대개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3태양에 따른 렌즈걸이에 있어서, 렌즈걸이는 좌,우 양단부가 렌즈부착부에 각각 결합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좌,우 지축부가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경우에, 렌즈걸이의 강성(剛性)이 더 향상되고 좌,우 안경렌즈들의 개폐동작이 더 안정화된다. 또한 한 쌍의 렌즈걸이의 지축부들의 착탈이 한 쌍의 고정구의 지지공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어 안경렌즈의 교환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 도구나 다른 것들 없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태양은 좌,우 양단부의 돌기부에 각각 힌지를 통해 안경다리가 연결된 눈썹바와, 기단부가 이 눈썹바와 결합되고 말단부에 코패드가 장착되는 패드아암들과, 이 패드아암들의 중앙에 설치되는 주렌즈부착부들과, 상기 눈썹바에 결합되어 말단부가 주안경렌즈를 덮은 보조안경렌즈에 부착되는 렌즈걸이의 기단부를 좌우방향의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좌/우 방향으로 동일하게 연장되는 지지공과, 이 지지공과 같은 중심을 가진 소정의 곡률반경의 외주면과, 이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을 구비하는 안경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한 보조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의 기단부는 안경테의 눈썹바에 결합된 고정구에 부착되고, 렌즈걸이는 필요하다면 고정구의 지지공에 대해 회전되어 좌,우 보조안경렌즈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개폐시킨다. 사용자는 주안경렌즈만 또는 주안경렌즈 위를 덮은 보조안경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태양의 안경테에 따르면, 렌즈걸이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고정구는 현저히 작아지고, 안경테의 디자인 자유도는 더 증가한다. 선글래스, 편광 선글래스, 루페 또는 원시안의 볼록렌즈와 같은 도약식 보조안경렌즈를 착탈시킬 수 있는 안경테의 경량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태양에 따른 안경테에 있어서, 고정구는 그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렌즈걸이의 회전단의 일방에 정의된 렌즈분리위치에서 렌즈걸이의 분리를 촉진시키는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렌즈걸이의 타방에 정의된 렌즈분리위치에서 눈썹바의 고정구로부터 렌즈걸이를 쉽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보조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를 사용자가 준비한다면 사용자가 필요하다면 원하는 보조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태양은 기단부가 본 발명의 제4태양에 있어서의 안경테의 눈썹바에 결합되는 고정구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렌즈걸이에 있어서, 말단부에 렌즈 부착부를 구비하고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의 지지공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축부와, 상기 고정구의 환상홈에 부합되는 계합부와, 이 지축부와 계합부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져 계합부를 상기 환상홈으로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렌즈걸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한 보조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의 지축부는 렌즈분리위치에서 안경테의 눈썹바에 결합되는 고정구의 지지공 내부로 결합되어 렌즈걸이의 스프링부에 의해 고정구의 환상홈에 렌즈걸이의 계합부를 누르는 동안 렌즈걸이는 고정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보조안경렌즈가 교환될 경우 보조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는 렌즈분리위치까지 회전되어 렌즈걸이의 지축부가 고정구의 지지공으로부터 당겨진다. 그런 다음 새로운 보조안경렌즈가 장착된 또 다른 렌즈걸이가 렌즈분리위치에서 고정구의 지지공 내부로 결합되어 렌즈걸이의 스프링부에 의해 고정구의 환상홈에 렌즈걸이의 계합부를 누르는 동안 렌즈걸이는 고정구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5태양의 렌즈걸이에 따르면, 보조렌즈가 부착되는 렌즈걸이의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걸이를 지지하기 위한 안경테의 부분을 압축시킬 수 있어 안경테의 디자인 자유도가 대개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5태양에 따른 렌즈걸이에 있어서, 렌즈걸이는 좌,우 양단부가 보조렌즈부착부에 각각 결합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좌,우 지축부가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경우에, 렌즈걸이의 강성(剛性)이 더 향상되고 좌,우 안경렌즈들의 개 폐동작이 더 안정화된다. 또한 한 쌍의 렌즈걸이의 지축부들의 착탈이 한 쌍의 고정구의 지지공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어 안경렌즈의 교환이 도구나 다른 것들 없이 직접 사용자에 의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 효과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테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것들의 조합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경 및 수정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어떤 다른 기술들에도 적용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2는 그것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3은 도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4는 도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 Ⅳ의 확대도를 나타내며; 도5는 도4에 도시된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는 소위 무테두리식 일점(one- point) 금속테로 분류된다. 이 일점 금속테는 디자인에서 대개 어떤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금속와이어로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좌,우 양단부가 돌기부(11)로 된 직선의 눈썹바(12)의 중앙부, 즉 브릿지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좌,우 패드아암(13)들의 기단부들이 납땜에 의해 일체적으로 되어 있다. 각 패드아암(13)의 와이어직경은 점점 가늘어져 그 말단부에는 탄성변형가능한 클립부(14)를 형성한다. 좌,우 코패드(15)들은 클립부(14)의 탄성변형에 의 해 잡히는 동안 패드아암(13)들의 말단부에 고정된다.
한 쌍의 고정구(19)들은 예를 들어 한 쌍의 고정구(19)사이의 공간에서 납땜에 의해 패드아암(13)의 기단부와 눈썹바(12)와의 접합부분에 결합되고, 각각의 고정구(19)는 좌,우로 연장되는 지지공(16)과, 이 지지공(16)과 같은 중심으로 위치한 소정의 곡률반경의 외주면(17)과, 이 외주면(17)상에 형성되어 지지공(16)과 같은 중심을 가지는 환상홈(18)을 구비한다. 지지공(16)의 내경은 후술할 렌즈걸이(20)의 지축부(21)의 직경과 대략 일치하고 지지공(16)과 결합되는 지축부(21)의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간격이 형성된다. 환상홈(18)은 지지공(16)의 중심축을 따라 반원의 단면을 가지고 그 곡률반경은 렌즈걸이(20)의 계합부(22)의 그것과 대략 일치한다. 렌즈걸이(20)의 계합부(22)는 환상홈(18)에 끼워진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눈썹바(12)와 패드아암(13)에 대한 고정구(19)의 접합자세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고정구(19)의 일부분 즉, 그 앞쪽은 부드럽게 절단되고 눈썹바(12) 및 패드아암(13)과 접촉하는 동안 납땜이 수행된다. 안경렌즈를 분리시키기 위한 렌즈걸이(20)의 위치(도5에서 2점쇄선 참조)에서 고정구(19)에 대해서 렌즈걸이(20)의 착탈을 촉진시키기 위한 절단부(23)는 고정구(19)의 외주면(17)의 일부 즉, 눈썹바(12)와 패드아암(13)에 대해서 고정구(19)의 접합면(24)에 인접한 그 하측에 형성된다. 절단부(23)와 지지공(16)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는 지지공(16)의 중심선으로부터 환상홈(18)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보다 작도록 설정된다. 절단부(23)와 접합면(24) 둘 다 지지공(16)의 중심축에 평행한 평면이다. 절단부(23)의 대략 반대편에 위치하는 환상홈(18)의 일부 즉, 그 상측에는 렌즈사용위치(도5 에서 실선 참조)에서 후술할 렌즈걸이(20)의 회전단의 일방을 한정하기 위한 정지부(25)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정지부(25)는 환상홈(18)을 그 접선방향으로 V형태로 잘라냄으로써 형성된다. 동일한 목적을 위해 절단부(23)에 근접한 환상홈(18)의 일부를 잘라내어 안경렌즈의 도약위치를 규정하는 제2정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좌,우 안경렌즈(L)는 지지공(16)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구(19)에 연결되는 한 쌍의 좌,우 렌즈걸이(20)들에 본 발명에서 렌즈부착부인 렌즈커넥터(26)를 통해 부착된다. 눈썹바(12)와 패드아암(13)과 동일한 방식으로 금속와이어로 형성되는 렌즈걸이(20)는 고정구(19)의 지지공(16)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축부(21)와, 고정구(19)의 환상홈(18)에 부합되는 계합부(22)와, 이 지축부(21)와 계합부(22)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계합부(22)를 환상홈(18)으로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부(27)를 포함한다. 이 스프링부(27)는 계합부(22)의 연장방향이 지축부(21)의 연장방향과 대략 수직이 되도록 고리 형태로 된다.
따라서 지축부(21)가 고정구(19)의 지지공(16) 내부로 결합되는 동안 계합부(22)는 스프링부(27)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구(19)의 환상홈(18)에 눌려 져서 렌즈걸이(20)의 지축부(21)가 고정구(19)의 지지공(16)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즉, 렌즈걸이(20)의 계합부(22)가 고정구(19)의 환상홈(18)으로부터 외주면(17)으로 탈출하도록 탄성변형시켜 렌즈걸이(20)를 고정구(19)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반대로 새로운 렌즈걸이(20)를 고정구(19)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다만, 그런 경우에 특별한 펜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절단부(23) 가 이 실시예에 따른 렌즈걸이(20)의 렌즈분리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고정구(19)의 외주면(17)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5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안경렌즈(L)를 도약시켜 안경렌즈를 분리시키기 위한 위치까지 렌즈걸이(2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링부(27)의 탄성력을 방출하는 동안 계합부(22)는 환상홈(18)으로부터 분리되어 렌즈걸이(20)의 지축부(21)를 고정구(19)의 지지공(16)으로부터 쉽게 당겨 낼 수 있다. 물론 그 역(逆)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눈썹바(12), 후술할 안경다리(28) 또는 다른 것들을 포함하는 안경테(10)의 주된 부품의 교체 없이 렌즈걸이(20)를 안경렌즈(L)와 함께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안경렌즈를 구입할 때 안경테(10)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무테두리식이므로 고정구(19)에 가해지는 렌즈걸이(20)의 스프링부(27)의 탄성력이 강할 필요가 없어 약한 힘으로 안경렌즈(L)의 개폐가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안경렌즈(L)의 도약조작의 반복으로 인해 고정구(19)의 환상홈(18)에 대한 렌즈걸이(20)의 계합부(22)의 압력이 감소될 경우에는 렌즈걸이(20)는 고정구(19)로부터 분리되고 긴코펜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스프링부(27)가 약간 변형된다. 그러면 초기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계합부(22)는 안경렌즈가 사용되는 렌즈걸이(20)의 회전단의 일방에서 적당한 딸깍 소리와 함께 정지부(25)상에 안착되므로, 사용자는 이 딸깍 소리에 의해 안경렌즈(L)가 사용하기 적합한 위치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경렌즈(L)가 사용되고 있는 위치에서 렌즈분리위치까지 계합부(22)는 적당한 마찰력으로 고정구(19)의 환상홈(18)에 눌려 지고 렌즈걸이(20)는 안경렌즈(L)와 함께 부드럽 게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좌,우 안경렌즈(L)들의 어느 한 쪽 또는 둘다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렌즈커넥터(26)는 렌즈걸이(20)의 말단부에 형성된 탄성변형가능한 클립부(29)를 통해 렌즈걸이(20)에 의해 잡혀진다. 렌즈(L)는 커넥터(26)의 핀(30)과 결합되는 동안 보이지 않는 접착제로 커넥터(26)에 고정된다. 눈썹바(12)의 좌단 또는 우단에 형성된 돌기부(11)와 단덮개(31)의 전 길이를 따라 형성된 안경다리(28)의 기단부 사이에 개재된 힌지(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구(19)와 렌즈걸이(20)의 기단부 사이의 연결구조와 동일한 것을 채택한다. 상술한 고정구(19)와 근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힌지구(33)의 환상홈(34)에 납땜 등에 의해 접합되는 반원 접합부(35)는 돌기부(11)에 형성된다. 접합부(35)는 힌지구(33)의 환상홈(34)에 결합된다. 그 외주면(36)이 원형인 힌지구(3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공(37)과 그 외주면(36)에 형성된 환상홈(34)을 구비한다. 안경다리(28)의 기단부에는, 힌지구(33)의 지지공(37) 내부로 결합되는 지축부(38)와, 힌지구(33)의 환상홈(34)과 부합되는 계합부(39)와, 이 지축부(38) 및 계합부(39) 사이에 형성되어 환상홈(34)으로 계합부(39)를 치우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40)가 있다. 이 스프링부(40)는 계합부(39)의 연장방향이 지축부(38)의 연장방향과 대략 수직하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축부(38)가 힌지구(33)의 지지공(37) 내부로 결합되는 상태에서, 계합부(39)는 스프링부(40)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구(33)의 환상홈(34)에 눌려 져서 안경다리(28)의 지축부(38)가 힌지구(33)의 지지공(37)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계합부(39)는 적당한 마찰력으로 환상홈(34)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 안경다리(28)의 부드러운 회전을 실현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안경다리(28)가 돌기부(11)를 통해 눈썹바(12)에 연결될 때, 안경다리(28)의 계합부(39)가 힌지구(33)의 외주면(36)을 지나쳐서 환상홈(34)에 들어가도록 스프링부(40)와 함께 계합부(39)를 탄성변형시켜 안경다리(28)의 지축부(38)를 힌지구(33)의 지지공(37) 내부로 결합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돌기부(11)에서 반원 접합부(35)의 말단은 안경다리(28)에 대한 열린 쪽 정지기(stopper)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안경테는 전술한 고정구(19)를 접합시킬 수 있는 눈썹바(12)를 구비한다면 어떤 형태로든 가능하다. 따라서, 돌기부(11), 패드아암(13), 렌즈를 부착시키는 렌즈커넥터(26), 안경다리(28), 힌지(32) 등은 이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테두리가 있는 렌즈걸이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절단부(23)가 고정구(19)에 형성되어 좌,우 렌즈걸이(20)들이 어떠한 공구의 사용 없이 서로 독립적으로 렌즈분리위치에서 안경테(10)의 눈썹바(12)의 고정구(19)에 쉽게 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그런 절단부(23)를 없애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는 한 안경테(10)로부터 렌즈걸이(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좌,우 렌즈걸이(20)는 브릿지를 통해 함께 연결되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좌,우 안경렌즈(L)는 더 안정적으로 동시에 회전가능하다. 좌,우 렌즈걸이(20)가 브릿지를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좌,우 렌즈걸이(20)의 지축부(21)는 대칭되기 보다는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브릿지 또는 렌즈걸이(20)가 구 부려지지 않거나 눈썹바(12)가 구부려지지 않더라도 눈썹바(12)의 좌,우 고정구(19)에 대한 좌,우 렌즈걸이(20)의 지축부(21)의 탈부착이 더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보조안경렌즈를 사용한 본 발명의 안경테의 또다른 실시예의 외관이 도6에 분해식으로 렌즈걸이(20)와 함께 나타나며, 도7에는 그것의 평면도로 도시되며, 도8에는 도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가 확대되어 도시된다. 그렇지만, 이전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부여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패드아암(13)의 중앙부에는 주안경렌즈(ML)가 고정되는 렌즈커넥터(41)를 잡기 위한 클립부(42)가 형성된다. 주안경렌즈(ML)는 클립부(42)에 고정된 커넥터(41)에 고정된다. 주렌즈(ML)는 안경테(10)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종래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의도이다. 다시 말해서, 이전 실시예와 본 실시예의 차이점은 이전 실시예의 패드아암(13)은 커넥터(41)가 주안경렌즈(ML)를 부착하기 위해 고정되도록 수정된다는 것이다. 즉, 이전 실시예에서는 렌즈걸이(20)의 렌즈커넥터(26)에 부착되는 것은 보조안경렌즈(SL)이다. 이 보조안경렌즈(SL)는 필요하다면 주안경렌즈(ML)의 위에 놓여져 사용된다. 물론 보조렌즈(SL)가 불필요할 경우에는 안경테(10)로부터 분리되거나 위로 도약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좌,우 렌즈걸이(20)는 브릿지(43)를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좌,우 렌즈걸이(20)의 지축부(21)는 동일한 방향으로 향한다. 이에 의해, 렌즈걸이(20)가 눈썹바(12)에 결합된 한 쌍의 고정구(19)와 부착 또는 분리될 때 좌,우 렌즈걸이(20)의 지축부(21)의 착탈은 브릿지 및 렌즈걸이(20) 또는 눈썹바(12)를 구부리지 않고 동일한 방향으로 쉽게 수행된다. 브릿지(43)의 좌,우단은 각각 클립부(14)를 통해 렌즈걸이(2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되었고,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그에 의해 넓은 해석에 있어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상기로부터 명백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모든 그런 변경과 수정을 포함하는 것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의 발명이다.
필요한 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의 기단부는 안경테의 눈썹바에 결합된 고정구에 부착되어, 필요에 따라서 고정구의 지지공을 중심으로 렌즈걸이를 회전하여 좌우의 안경렌즈의 개폐가 서로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그리고 렌즈걸이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고정구가 현저히 작아지고, 안경테의 디자인의 자유도가 증가되어, 도약식 안경테의 경량화가 촉진된다. 그리고 렌즈걸이의 강성(剛性)이 더 향상되고 좌,우 안경렌즈들의 개폐동작이 더 안정화된다.
또한, 렌즈걸이의 타방에 정의된 렌즈분리위치에서 눈썹바의 고정구로부터 렌즈걸이를 쉽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보조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를 사용자가 준비한다면 필요하다면 원하는 보조안경렌즈가 장착된 렌즈걸이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Claims (12)

  1. 힌지를 통해 좌,우 양단의 돌기부에 안경다리들이 각각 연결된 눈썹바; 및
    상기 눈썹바에 결합되어 말단부에 안경렌즈가 부착되는 렌즈걸이의 기단부를 좌,우방향의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공과, 상기 지지공과 같은 중심을 가진 소정의 곡률반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공과 같은 중심을 가진 환상홈을 구비하는 안경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환상홈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걸이의 회전단들의 일방에 정의된 렌즈사용위치에서 상기 렌즈걸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그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걸이의 회전단의 타방에 정의된 렌즈분리위치에서 상기 렌즈걸이의 분리를 촉진시키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
  4. 좌,우 양단부의 돌기부에 힌지를 통해 각각 안경다리가 연결되는 눈썹바;
    말단부에 렌즈부착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렌즈걸이; 및
    상기 눈썹바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걸이의 기단부를 좌,우방향의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공과, 상기 지지공과 같은 중심을 가지는 소정의 곡률반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걸이는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의 지지공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축부(支軸部)와, 상기 고정구의 환상홈에 부합가능한 계합부(係合部)와, 상기 지축부와 계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계합부를 상기 환상홈측으로 탄성적으로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는 안경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착부를 통해 상기 좌,우렌즈걸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브릿지(bridge)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
  6.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기단부가 상기 눈썹바에 결합되고 그 말단부에 코패드(nose pad)가 부착된 패드아암을 더 포함하는 안경테.
  7. 그 기단부가 제3항에 기재된 안경테의 눈썹바에 결합되는 고정구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말단부에 렌즈부착부를 구비하며,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의 지지공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축부;
    상기 고정구의 환상홈에 부합되는 계합부; 및
    상기 지축부와 계합부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져 상기 계합부를 상기 환상홈으로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렌즈걸이.
  8. 제7항에 있어서, 좌,우 양단부가 렌즈부착부에 각각 결합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 지축부들이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렌즈걸이.
  9. 좌,우 양단부의 돌기부에 각각 힌지를 통해 안경다리가 연결된 눈썹바;
    그 기단부가 상기 눈썹바와 결합되고 말단부에 코패드들이 장착되는 패드아암들;
    상기 패드아암들의 중앙에 설치되는 주렌즈부착부들; 및
    상기 눈썹바에 결합되어, 말단부가 주안경렌즈를 덮은 보조안경렌즈에 부착되는 렌즈걸이의 기단부를 좌우방향의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좌/우 방향으로 동일하게 연장되는 지지공과, 상기 지지공과 같은 중심을 가진 소정의 곡률반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을 구비하는 안경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그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렌즈걸이의 회전단의 일방에 정의된 렌즈분리위치에서 렌즈걸이의 분리를 촉진시키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
  11. 그 기단부가 제10항에 기재된 안경테의 눈썹바에 결합되는 고정구에 분리가 능하게 부착되고, 그 말단부에 렌즈부착부를 구비하며,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의 지지공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축부;
    상기 고정구의 환상홈에 부합되는 계합부; 및
    상기 지축부와 계합부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져 상기 계합부를 상기 환상홈으로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렌즈걸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좌,우 양단부가 보조렌즈부착부에 각각 결합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 지축부가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렌즈걸이.
KR1020050033231A 2004-07-20 2005-04-21 안경테 및 렌즈걸이 KR100646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2154 2004-07-20
JP2004212154A JP3885072B2 (ja) 2004-07-20 2004-07-20 眼鏡フレームおよびレンズハンガ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356A true KR20060047356A (ko) 2006-05-18
KR100646839B1 KR100646839B1 (ko) 2006-11-23

Family

ID=3493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231A KR100646839B1 (ko) 2004-07-20 2005-04-21 안경테 및 렌즈걸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31726B2 (ko)
EP (1) EP1619537A1 (ko)
JP (1) JP3885072B2 (ko)
KR (1) KR100646839B1 (ko)
CN (1) CN100388057C (ko)
AU (1) AU2005201569B2 (ko)
CA (1) CA2504180C (ko)
HK (1) HK1083128A1 (ko)
TW (1) TWI2953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523B1 (ko) * 2013-12-18 2015-06-12 (주)반도옵티칼 보조안경과 도수안경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1039B2 (en) * 2004-06-24 2006-09-05 Maling Chris E Durable eyeglasses frame assembly
US7458679B2 (en) * 2005-10-14 2008-12-02 The Hilsinger Company Spring-bridge for eyewear
US9285592B2 (en) * 2011-08-18 2016-03-15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8970960B2 (en) 2011-12-22 2015-03-03 Mattel, Inc. Augmented reality head gear
JP2013195853A (ja) * 2012-03-21 2013-09-30 21:Kk 複式跳ね上げ眼鏡
US20140185002A1 (en) * 2012-12-28 2014-07-03 Smith Optics, Inc. Eyewear and eyewear frames with contoured temples
CN107209398B (zh) * 2014-11-24 2019-10-08 G·帕利亚奇 具有防止镜片受到碰撞或者摩擦的闭合位置的眼镜架
US10690918B2 (en) 2016-12-19 2020-06-23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sa Optical head-mounted displays for laser safety eyewear
KR20180099081A (ko) 2017-02-28 2018-09-05 박찬영 금속제 안경테 전용 렌즈 지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291A (en) * 1915-05-19 1916-05-02 Fred C Clarke Sun-glasses.
US1545281A (en) * 1924-08-25 1925-07-07 Royak Louis Eyeglasses
GB452266A (en) 1935-08-29 1936-08-19 Stephen Wisema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ti-dazzle spectacles
GB698066A (en) 1951-11-30 1953-10-07 Nordex Ltd Improvements in or connected with sun glasses or like eye protectors
US2786390A (en) * 1955-04-05 1957-03-26 Zanetti Louis Pivotable lens spectacles
US3252747A (en) * 1960-03-23 1966-05-24 Betty N Robins Eyeglasses having lens frame pivotally attached to support frame
US3238005A (en) * 1963-07-30 1966-03-01 Foster Grant Co Inc Spectacle frame comprising a support frame and pivoted lens frame
US3383707A (en) * 1966-05-03 1968-05-21 Bachmann Bros Inc Flip-up sunglass construction
US3990788A (en) * 1975-09-26 1976-11-09 Angelo Ley Choy Turn and tilt spectacles
US4196981A (en) * 1978-06-21 1980-04-08 Waldrop Jefferson P Eyeglasses having magnetically positioned flip-up lenses
US4740069A (en) * 1986-12-22 1988-04-26 Baum Richard M Eyeglasses for intermittent use
DE19515238A1 (de) 1994-09-10 1996-03-14 Tesch Ag Brillengestell mit Haltebügeln, die mit der Fassung für die Brillengläser durch Gelenke verbunden sind
US5652636A (en) 1994-11-21 1997-07-29 Designs For Vision, Inc. Locking flip-up telescopic lens assembly
JP2784996B2 (ja) * 1995-02-21 1998-08-13 株式会社オナガメガネ 眼鏡のレンズ保持機構一体式スクリューレス蝶番
US5694193A (en) 1996-02-12 1997-12-02 Designs For Vision, Inc. Locking pivoting lens assembly with hinge detent
US5598232A (en) * 1996-02-20 1997-01-28 Pronesti; George R. Bifocal-compensating eyeglass attachment
IT242021Y1 (it) 1996-08-05 2001-05-24 Gb Srl Astina per occhiali con camma di elasticizzazione da applicare acerniere di filo sagomato.
FR2753283A1 (fr) 1996-09-06 1998-03-13 Marius Morel Ets Articulation pour relier une branche d'une monture de lunettes a un tenon lateral de ladite monture
GB2317966B (en) * 1996-10-07 1998-09-30 Marjorie Anne Moyse Magnifying spectacles
FR2754913B1 (fr) * 1996-10-23 1998-12-11 Airess Monture de lunettes en fil metallique
JP4004191B2 (ja) * 1999-09-01 2007-11-07 株式会社ニコンアイウェア ネジ無し丁番を有する眼鏡
JP3110736B1 (ja) * 2000-01-12 2000-11-20 増永眼鏡株式会社 リムレス眼鏡フレームおよびリムレス眼鏡
US6264325B1 (en) * 2000-06-02 2001-07-24 Leonie S. Peressini Rotatable lens eyeglasses
US6357874B1 (en) * 2000-08-04 2002-03-19 Noboru Miyazawa Connecting structure of endpiece and temple
US20020093622A1 (en) 2000-12-22 2002-07-18 Brian Tostado Flip-up eyewear
TWI225554B (en) 2002-07-16 2004-12-21 21 Two One Co Ltd Eyeglass with simple connection structure and screwless hinge
AU2003900468A0 (en) 2003-02-05 2003-02-20 Lyons, Jeffrey Michael Mr Protective eyewear with rotating len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523B1 (ko) * 2013-12-18 2015-06-12 (주)반도옵티칼 보조안경과 도수안경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83128A1 (en) 2006-06-23
CA2504180C (en) 2008-06-10
TW200604616A (en) 2006-02-01
AU2005201569B2 (en) 2006-06-29
US7131726B2 (en) 2006-11-07
CN1725062A (zh) 2006-01-25
TWI295386B (en) 2008-04-01
KR100646839B1 (ko) 2006-11-23
JP3885072B2 (ja) 2007-02-21
AU2005201569A1 (en) 2006-02-09
JP2006030807A (ja) 2006-02-02
US20060017882A1 (en) 2006-01-26
EP1619537A1 (en) 2006-01-25
CA2504180A1 (en) 2006-01-20
CN100388057C (zh)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839B1 (ko) 안경테 및 렌즈걸이
EP3364234B1 (en) Combined glasses structure, frameless glasses, half-frame glasses and full-frame glasses
US8613515B2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EP1350134B1 (en) Rimless spectacles with lens holding stability
JPH01134421A (ja) 眼鏡枠にレンズを固定する装置
EP3585198B1 (en) A spectacle mounting for a visor on a helmet
JP3214278U (ja) 眼鏡状のフレーム
US4549792A (en) Adjustable nose piece and incorporating sunglasses
WO2007148650A1 (ja) 眼鏡セット
KR101853486B1 (ko) 안경 다리용 힌지 장치
CN217718307U (zh) 一种镜架及眼镜
CN209070244U (zh) 套镜
KR101488791B1 (ko) 클립안경
JP3175372U (ja) メガネフレームの鼻当てパットの取付け構造
KR200172708Y1 (ko) 착탈식 보조안경
JPS628023Y2 (ko)
JPS6217779Y2 (ko)
JP2007507733A (ja) レンズをクリップした眼鏡
JPH0710722U (ja) 前掛け式メガネフレーム
JP2952482B1 (ja) フロント傾動可能な眼鏡フレーム
JP2003075779A (ja) 眼鏡レンズのワンタッチ止着機構
WO2020202566A1 (ja) 前掛け眼鏡および装着部材
JP4467576B2 (ja) 眼鏡
JP2005031416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JP3583768B2 (ja) ねじ無し丁番を備えた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