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884A - 차량용 교류발전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교류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884A
KR20060044884A KR1020050025761A KR20050025761A KR20060044884A KR 20060044884 A KR20060044884 A KR 20060044884A KR 1020050025761 A KR1020050025761 A KR 1020050025761A KR 20050025761 A KR20050025761 A KR 20050025761A KR 20060044884 A KR20060044884 A KR 2006004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inclined surface
frame
rectifying elemen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624B1 (ko
Inventor
마사토시 고우무라
고우이치 이하타
아키히토 고이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6004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7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with openings in the casing specially adapted for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4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rectification
    • H02K11/049Rectifiers associated with stationary parts, e.g. stator cores
    • H02K11/05Rectifiers associated with casings, enclosures or bra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16Synchronous generators
    • H02K19/22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windings each turn of which co-operates alternately with poles of opposite polarity, e.g. heteropola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류발전기(1)는 홀더핀(7a)에 압입 끼워맞춰진 음극측 정류소자(7b)를 포함하고 홀더핀(7a)의 일면에 정류소자(7b)의 저면(7b2)이 배치된다. 홀더핀(7a)은 정류소자(7b)의 저면(7b2)이 교류발전기(1)의 후방프레임(6)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정류소자(7b)에 대한 냉각풍C이 흐르는 간극이 후방프레임(6)과 저면(7b2) 사이에 형성된다. 후방프레임(6)은 교류발전기(1)의 보호커버(8)의 개구부(8a)를 통해 정류소자(7b)로 유입되는 냉각풍C을 안내하기 위하여 외측벽면에 경사면(6c)을 제공한다. 따라서, 경사면(6c)에 의하여 안내된 냉각풍C는 정류소자(7b)의 저면(7b2)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어 정류소자(7a)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교류발전기, 정류장치, 후방프레임, 간극, 경사면, 정류소자, 냉각

Description

차량용 교류발전기{AC GENERATOR FOR VEHICLE}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단면도.
도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정류장치 및 그의 주변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단면도.
도5는 제3실시예에 따른 방열리브의 측면도.
도6은 제3실시예에 따른 교류발전기의 작용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단면도.
도8은 제4실시예에 따른 방열리브의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용 교류발전기 3: 로터
5: 전방프레임 6: 후방프레임
6c: 경사면 6c1: 경사면의 시작단부
6c2: 경사면의 종단부 7: 정류장치
7a: 마이너스 전위에서의 홀더핀 7b: 음극측 정류장치
8: 보호커버 8a: 개구부
10, 11: 냉각팬 17: 냉각풍의 간극
19: 방열리브
본 발명은 차량용 교류발전기(AC generato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교류발전기의 내부에 위치된 정류장치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용 교류발전기에서는 고출력화를 요구하면서도 교류발전기의 내부에 위치되고 통전전류의 증가에 의하여 많은 양의 열을 발생시키는 정류장치에 대하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상기 정류장치의 냉각을 위하여 팬(fan)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는 팬의 소음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팬의 냉각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소음에 대한 차량객실의 정숙성을 고려해 볼 때 항상 적절한 것은 아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1-037142호, 미국특허 제6,184,602호 및 미국특허 제5,949,166호(일본특허 제3438577호)에는 정류장치를 냉각하기 위하여 후방프레임과 보호커버 사이의 공기통로를 통해 흐르고 정류장치(rectifier)가 위치된 홀더핀 (holder fin)과 접촉하도록 냉각풍인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한 교류발전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공지의 기술에 따르면, 상기 공기통로는 홀더핀의 후방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정류장치는 냉각풍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배치되지 않아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과 홀더핀 사이에서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간극(clearance)은 협소하여 부식을 일으킬 수 있는 흙탕물(muddy water)이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팬능력의 증대없이 정류장치의 냉각성을 향상시키고, 보호커버 내측으로 유입된 흙탕물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차량용 교류발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회전자, 경사면을 갖는 프레임, 냉각팬, 보호커버 및 정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는 예를 들면 엔진에 의하여 발생되어 전달되는 토크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프레임을 회전자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냉각팬은 회전자에 고정되고 회전자와 함께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외측으로부터 냉각풍을 흡입한다. 상기 프레임과 보호커버는 냉각풍을 흡입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보호커버는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정류장치는 프레임과 보호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제1단면과 제2단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1단면은 프레임을 향하며 제2단면은 상기 프레임에 대향된다. 상기 프레임의 경사면은 정류장치를 향한다. 상기 경사면과 정류장치의 제1단면 사이의 간극은 프레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1)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자(2), 회전자(3), 브러시(4), 프레임(5, 6), 정류장치(7) 및 보호커버(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2)는 프레임(5, 6)에 의하여 지지되는 고정자코어(2a) 및 상기 고정자(20에 권선되는 전기자권선(armature winding)(2b)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3)의 회전은 전기자권선(2b)에서 교류전압을 유도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전기자권선(2b)은 Y 결선 또는 델타(delta) 결선에 의하여 연결되는 세 개의 전기자코일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자(3)는, 엔진(미도시)에 의하여 발생된 토크를 풀리(9)를 통해 전달받는 회전샤프트(3a), 상기 회전자샤프트(3a)에 고정된 한 쌍의 폴코어(pole core)(자극(magnetic pole)(3b), 및 상기 폴코어(3b)에 권선된 계자권선(field winding)(3c)을 구비한다. 상기 풀리(9)는 회전자샤프트(3a)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벨트(미도시)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 풀리(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폴코어(3b)의 축방향 양단면에는 냉각팬(10, 11)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냉각팬(10, 11)은 회전자(3)와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5, 6)의 외측으로부터 냉각풍(외부공기)을 흡입한다.
상기 회전자샤프트(3a)의 타단부측에 제공된 슬립링(12)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브러시(4)는 상기 계자권선(3c)에 여자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프레임(5, 6)은 베어링(13)에 의하여 회전자샤프트(3a)의 일단부측을 지지하는 전방프레임(5), 및 베어링(14)에 의하여 회전자샤프트(3a)의 타단부측을 지지하는 후방프레임(6)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5, 6)은 이들 사이에 개재된 고정자코어(2a)를 지지하고, 볼트(15)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다. 상기 전방프레임(5)은 냉각풍을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창(air intake window)(5a) 및 냉각풍을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창(5b)을 구비한다. 유사하게, 상기 후방프레임(6)은 냉각풍을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창(6a) 및 냉각풍을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창(6b)을 구비한다.
상기 정류장치(7)는 전기자권선(2b)에서 유도된 교류전압을 전파정류(full wave rectification)에 의하여 직류전압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정류장치(7)는 마이너스 전위(negative potential)의 홀더핀(7a)에 고정되는 음극측 정류소자(다이오드)(7b) 및 플러스 전위의 홀더핀(7c)에 고정된 양극측 정류소자(미도시)로 구성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류장치(7)는 후방프레임(6)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볼트(16)로 체결함으로써 후방프레임(6)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음극측 정류소자(7b)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홀더핀(7a)에 압입 끼워맞춰진다. 상기 정류소자(7b)의 일단면은 전기자권선(2b)에 연결되는 리드부(lead)(7b1)를 구비한다. 상기 리드부(7b1)에 대향하는 정류소자(7b)의 타단면(저면)(7b2)은 홀더핀(7a)의 일면에서 노출된다.
상기 보호커버(8)는 몰딩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커버(8)는 정류장치(7), 브러시(4), 교류발전기(1)의 출력전압을 소정 전압으로 조절하기 위한 전압조절기(18) 등의 상부를 커버하고, 볼트(16)에 의하여 홀더핀(7a)과 함께 후방프레임(6)에 고정된다.
상기 보호커버(8)의 반경반향 주연부에는 상기 후방프레임(6)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냉각풍을 안내하기 위한 개구부(8a)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8)의 축방향 외벽에는 냉각풍을 안내하기 위한 통기창(8b)들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프레임(6)은 정류장치(7)를 향하는 그의 반경방향 주연부에 경사면(6c)을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8a)를 통해 음극측 정류소자(7b)로 유입되는 냉각풍을 안내한다.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6c)은 그 경사면(6c)과 홀더핀(7a) 사이의 거리(17)가 경사면(6c)의 반경방향 내측단부인 시작단부(6c1)로부터 경사면(6c)의 반경방향 외측단부인 종단부(6c2)까지 점차 증가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기 경사면(6c)의 경사각은 그 경사면(6c)을 따라 유입되는 냉각풍이 정류소자(7b)의 저면(7b2)과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경사면(6c)의 경사각은, 정류소자(7b)가 도2의 점선으로 나타낸 경사면(6c)의 연장선과 홀더핀(7a)의 교점(node) 보다 반경방향 외측(도1의 하부측)에 배치되도록 설정된다.
이하 제1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토크에 의하여 회전자(3)가 회전할 경우, 상기 회전자(3)와 일체로 회전하는 냉각팬(10, 11)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풍 A, B, C를 발생시킨다. 전방 냉각팬(10)에 의하여 발생된 냉각풍A는 공기흡입창(5a)을 통해 전방프레임(5)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공기배출창(5b)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후방 냉각팬(11)에 의하여 발생된 냉각풍B는 보호커버(8)에 형성된 통기창(8b)을 통해 보호커버(8)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다음, 공기흡입창(6a)을 통해 후방프레임(6)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며, 후방프레임(6)의 공기배출창(6b)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후방 냉각팬(11)에 의하여 발생된 냉각풍C는 개구부(8a)를 통해 보호커버(8)로 유입된 다음, 공기흡입창(6a)을 통해 후방프레임(6)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후방프레임(6)에 형성된 공기배출창(6b)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냉각팬(10, 11)은 적어도 원심식 팬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후방 냉각팬(11)은 전방 냉각팬(10)의 블레이드(blade) 보다 큰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냉각팬(10, 11) 각각은 폴코어(3b)의 축방향 단면에 고정된 원형 베이스부(base portion) 및 상기 베이스부에 직립되게 제공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는 원형 형태의 열(circular row)로 배열되고, 그의 반경방향 내측에 흡기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냉각팬(10, 11)은 그의 축방향을 따라 교류발전기(1)의 양단부측으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교류발전기(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외부공기를 배출시킨다.
상기 후방 냉각팬(11)은 후방프레임(6)의 단면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흡입창(6a)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공기흡입창(6a)은 대략 부채꼴 형태(sector-shape)의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후방프레임(6)의 중앙에 위치된 베어링(14)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박스 주위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후방프레임(6) 및 보호커버(8)는 이들 사이로 냉각풍을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보호커버(8)는 적어도 후방프레임(6)의 공기흡입창(6a)을 커버하고, 후방프레임(6)의 축방향 단면에 배치되고 그에 고정된다. 상기 외부공기는 보호커버(8)의 축방향 단면에 제공된 복수개의 통기창(8b)을 통해 흡입된다.
또한, 외부공기는 상기 보호커버(8)의 접시 형태(dish-shape)의 벽면 주연부에서 개구부(8a)를 통해 흡입된다. 상기 개구부(8a)는 교류발전기(1)의 대략 원통 형태의 반경방향 외벽면에서 개구된다.
상기 개구부(8a)는 후방프레임(6)과 보호커버(8)의 외주연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8a)는 C자 형태의 정류장치(7)에 대응하여 보호커버(8)의 C자 형태의 범위 또는 보호커버(8)의 원형의 전체 범위에 배열된 슬릿(slit)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 개구부(8a)는 정류소자(7b)의 배열에 대응하여 간헐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보호커버(8) 내측에는 대략 판 형태(plate shape)의 정류장치(7)가 배 치된다. 상기 정류장치(7)는 홀더핀(7a) 및 상기 홀더핀(7a)에 고정된 정류소자(7b)를 포함하는 대략 판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정류장치(7)의 판형부는 교류발전기(1)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가상평면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정류장치(7)의 판형부는 보호커버(8)의 외주연부를 따라 연장하는 대략 C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정류소자(7b)는 정류장치(7)의 판형부에 주연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상기 정류장치(7)의 판형부는 후방프레임(6)의 직경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8)는 후방프레임(6)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정류장치(7)의 판형부의 주연부는 보호커버(8)의 주연부와 약간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거나, 상기 보호커버(8)의 주연부와 접촉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정류장치(7)의 판형부는 보호커버(8)의 내측에서 교류발전기(1)의 축방향으로 공간부를 분할한다. 상기 정류장치(7)는 그 정류장치(7)의 판형부와 후방프레임(6)의 외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후방프레임(6)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후방프레임(6)과 정류장치(7)의 판형부 사이의 간극은 개구부(8a) 및 공기흡입창(6a)과 연통된다. 상기 후방프레임(6) 및 정류장치(7) 사이의 간극과 개구부(8a)는 교류발전기(1)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통로는 반경방향 주연부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교류발전기(1)의 축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도록 반경방향으로 약간 경사진다.
상기 공기통로는 그의 반경방향 외측위치에서 축방향 외측으로 지향된다. 상기 공기통로는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개구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후방프레임 (6)의 벽면은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정류장치(7)의 판형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6c)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면(6c) 및 정류장치(7)의 판형부는 그들 사이에서 축방향의 폭이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공기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정류소자(7b)의 일부분은 정류장치(7)의 판형부의 반경방향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정류소자(7b)는 판형부 일면의 일부분으로서 그의 저면(7b2)이 노출된다. 상기 정류소자(7b)는 그의 저면(7b2)이 후방프레임(6)의 벽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경사면(6c)은 정류장치(7)의 판형부에 위치된 정류소자(7b)로 지향되는 공기흐름을 형성하도록 경사진다. 상기 경사면(6c)은 공기흐름이 정류장치(7)의 판형부에 배치되고 위치된 정류소자(7b)의 저면으로 지향되도록 경사진다. 상기 경사면(6c)은 공기흐름의 유속이 정류소자(7b)의 저면(7b2)에서 최대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방프레임(6)의 경사면(6c)은 보호커버(8)의 개구부(8a)를 통해 정류소자(7b)로 흐르는 냉각풍C를 안내하여, 정류장치(7b)의 저면(7b2)에 접촉되어 상기 정류소자(7b)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킨다. 특히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정류소자(7b)는 경사면(6c)의 가상선과 홀더핀(7a)의 교점(node)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정류소자(7b)는 그 정류소자(7b)의 저면(7b2)에서 경사면(6c)에 의하여 안내된 냉각풍C과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냉각될 수 있어, 냉각팬의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없이 정류소자(7b)에 대하여 충분한 냉각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소자(7b)의 냉각성능이 후방프레임(6)에서 경사면(6c)의 작용에 의하여 향상되기 때문에, 냉각풍C를 정류소자(7b)의 저면(7b2)에 효과적으로 접촉시킬 목적으로 상기 후방프레임(6)과 홀더핀(7a) 사이에 형성되는 거리 즉 간극(17)을 협소하게 설정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상기 거리(17)로 유입되는 흙탕물 등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7c)은 그 경사면(7c)과 홀더핀(7a) 사이의 간극(17)이 시작단부(6c1)로부터 종단부(6c2)로 갈수록 점차 증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부에 흙탕물이 잔존하지 않게 되고 염수(salt water)에 의한 홀더핀(7a)(특히, 정류소자(7b)가 끼워맞춰진 부분)의 부식은 방지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교류발전기(1)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작단부(6c1)가 정류소자(7b)보다 반경방향 내측(도3에서 상측)에 경사면(6c)이 구비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6c)과 정류장치(7b) 사이의 간극(17)은 넓게 이루어질 수 있어, 흙탕물 등이 내부에 잔존되지 않으며 염수 등에 의한 홀더핀(7a)(특히 정류소자(7b)가 압입 끼워맞춰지는 부분)의 부식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 경사면(6c)은 정류소자(7b)의 저면과 효과적으로 접촉하도록 냉각풍을 안내하여 정류소자(7b)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킨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에 따른 교류발전기(1)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너스 전위 의 홀더핀(7a)에 방열리브(rib)(19)를 구비한 경우이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방열리브(19)는 후방프레임(6)측 홀더핀(7a)의 일면에 배치되어, 냉각풍의 흐름방향을 따라 홀더핀(7a)의 반경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홀더핀(7a)의 방열리브(19)는 홀더핀(7a)의 방열면적을 증대시켜 방열성능은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방열리브(19)는 그들 사이에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이로 유입된 흙탕물 등을 배출하여, 흙탕물 등의 배출성능을 보다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6)의 경사면(6c)은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정류소자(7b)의 저면(7b2)과 접촉하고 정류소자(7b)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한 냉각풍C을 안내한다.
도6은 주위온도가 90℃이고 회전자(3)의 회전수가 2500rpm에서 경사면(6c)을 갖는 교류발전기의 냉각능력과 경사면을 갖지 않은 교류발전기의 냉각능력을 비교한 실험예에 따라 경사면(6c)에 의한 작용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각 교류발전기(1)는 여섯개의 정류소자(7b)를 구비한다. 본 실험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6c)은 2℃ 내지 4℃ 이상으로 정류소자(7b)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에 따른 교류발전기(1)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실시예와 유사하게 마이너스 전위의 홀더핀(7a)에 방열리브(19)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리브(19)는 후방프레임(6)의 경사면(6c)을 따라 높이가 변화된다. 다시 말해서,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열리브(19)의 높이는 방열리브(19) 사이의 간극이 대략 일정하게 이루지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점차 증가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홀더핀(7a)의 방열리브(19)는 홀더핀(7a)의 방열면적을 더 증대시켜, 방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킨다. 또한,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열리브(19)는 보호커버(8)의 개구부(8a)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8a)를 통해 보호커버(8) 내부공간으로 흙탕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5실시예)
제5실시예에 따른 교류발전기(1)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한 경사면(6c)을 구비한다.
제1실시예에서의 경사면(6c)은 편평한 반면에, 제5실시예에서의 경사면(6c)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6c)과 홀더핀(7a) 사이의 간극(17)이 점차 증가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 즉 경사면(6c)에 의하여 정류소자(7b)로 냉각풍을 안내함으로써 정류소자(7b)를 냉각시키는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팬능력의 증대없이 정류장치의 냉각성을 향상시키고, 보호커버의 내측으로 유입된 흙탕물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며, 염수에 의한 정류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달된 토크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회전자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외측으로부터 냉각풍을 흡입하는 냉각팬;
    상기 냉각풍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과의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보호커버; 및
    상기 프레임과 보호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제1단면과 상기 프레임에 대향되는 제2단면을 구비하는 정류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정류장치를 향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경사면과 정류장치의 제1단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프레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증가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장치는 홀더핀과 상기 홀더핀에 고정되는 정류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소자의 리드부는 상기 정류장치의 제2단면에 배치되며;
    상기 정류소자의 단면은 상기 정류장치의 제1단면으로 노출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정류장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소자는
    상기 경사면이 가상 연장선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소자는
    상기 경사면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장치의 제1단면에 배치되고, 각각 냉각풍의 공기흐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방열리브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열리브의 가장자리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각 방열리브의 높이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점차 증가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
KR1020050025761A 2004-03-29 2005-03-29 차량용 교류발전기 KR100649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94918A JP4111162B2 (ja) 2004-03-29 2004-03-29 車両用交流発電機
JPJP-P-2004-00094918 2004-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884A true KR20060044884A (ko) 2006-05-16
KR100649624B1 KR100649624B1 (ko) 2006-11-27

Family

ID=3487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761A KR100649624B1 (ko) 2004-03-29 2005-03-29 차량용 교류발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16022B2 (ko)
EP (1) EP1583204B1 (ko)
JP (1) JP4111162B2 (ko)
KR (1) KR100649624B1 (ko)
CN (1) CN10034005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108B1 (ko) * 2019-06-03 2020-11-16 주식회사 뫼비온 고속충전용 발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7774B2 (ja) * 2006-04-21 2011-10-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タンデム式車両用交流発電機
JP4389974B2 (ja) * 2007-06-26 2009-12-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DE102010038879A1 (de) * 2010-08-04 2012-02-09 Robert Bosch Gmbh Gleichrichteranordnung, welche Einpressdioden aufweist
DE102013200893A1 (de) * 2013-01-21 2014-07-24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zum Betreiben einer elektrischen Maschine
FR3062531B1 (fr) * 2017-01-27 2019-06-07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munie d'un obturateur limitant un rebouclage d'air chaud
KR102086456B1 (ko) 2018-11-12 2020-03-09 주식회사 스타리온 전동 및 발전용 회전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584Y2 (ko) * 1980-05-09 1989-06-06
US5095235A (en) * 1989-12-04 1992-03-10 Mitsubishi Denki K.K. Vehicle ac generator
JP3342978B2 (ja) * 1994-12-27 2002-11-1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FR2752109B1 (fr) * 1996-07-30 1998-10-30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sipateur pour pont redresseur d'alternateur de vehicule automobile, ensemble redresseur et alternateur comportant de tels dissipateurs
JP3438577B2 (ja) 1997-09-25 2003-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US5949166A (en) 1997-09-25 1999-09-07 Denso Corporation Rectifying apparatus for an automotive AC generator
JP3956524B2 (ja) 1999-03-03 2007-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JP4038939B2 (ja) 1999-07-14 2008-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US6655562B2 (en) 2000-09-22 2003-12-02 Vigor Sports Hitch-mounted pivotable racking assembly
JP4284860B2 (ja) * 2000-11-21 2009-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JP3750851B2 (ja) * 2002-01-18 2006-03-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JP4007229B2 (ja) 2002-08-30 2007-11-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108B1 (ko) * 2019-06-03 2020-11-16 주식회사 뫼비온 고속충전용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7796A (zh) 2005-10-05
KR100649624B1 (ko) 2006-11-27
US7116022B2 (en) 2006-10-03
JP2005287123A (ja) 2005-10-13
US20050212368A1 (en) 2005-09-29
CN100340050C (zh) 2007-09-26
EP1583204A3 (en) 2006-07-19
EP1583204B1 (en) 2012-06-06
JP4111162B2 (ja) 2008-07-02
EP1583204A2 (en)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624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JP2661545B2 (ja) 回転電機
US7242120B2 (en) Alternator
JPS62221839A (ja) 自動車用交流発電機
JP3750851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4340305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H07303359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1045726A (ja) 交流発電機
JPH09154256A (ja) 交流発電機
JP4375456B2 (ja) ブラシレス車両用交流発電機
US7633196B2 (en) Vehicle-use alternator
US20060214523A1 (en) Vehicle AC generator having cooling fins of voltage regulator protruding to positions external to a housing which covers a main body of the voltage regulator
US7619336B2 (en) Vehicle-use generator with reduced fan noise
KR100234063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JPS63181637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KR0160550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브라켓
KR200151842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KR970004359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냉각팬 구조
JP2007325330A (ja) 二輪車用交流発電機
JP4110693B2 (ja) 回転ファン
KR0137144Y1 (ko) 교류발전기의 정류기 냉각장치
KR0147937B1 (ko) 저소음형 자동차용 교류발전기
JPS6155332B2 (ko)
JPH0919108A (ja) 車両用発電機
JPH09327156A (ja) 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