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108B1 - 고속충전용 발전기 - Google Patents

고속충전용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108B1
KR102179108B1 KR1020190065162A KR20190065162A KR102179108B1 KR 102179108 B1 KR102179108 B1 KR 102179108B1 KR 1020190065162 A KR1020190065162 A KR 1020190065162A KR 20190065162 A KR20190065162 A KR 20190065162A KR 102179108 B1 KR102179108 B1 KR 102179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bbin
electromagnet
permanent magne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뫼비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뫼비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뫼비온
Priority to KR102019006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04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6Devices for sensing voltage, or actuated thereby, e.g.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7Devices for sensing current,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안전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축부의 일측을 감싸며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는 요크몸체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는 영구자석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을 감싸며 배치되되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며 극성방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전압조절코일이 연결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회전로터부; 상기 회전로터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회전로터부를 감싸며 중공형으로 구비되는 코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부 및 상기 전자석부의 외주 각각을 감싸며 유도자계가 형성되도록 구획 권선된 유도코일이 구비되는 스테이터부; 및 상기 전압조절코일에 순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한방향으로 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속충전용 발전기{apparatus of generator for high-speed charge}
본 발명은 고속충전용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는 고속충전용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데, 가솔린과 디젤은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여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가솔린 및 디젤 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원유가 고갈되고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각 산업계에서 대체에너지 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전기에너지를 통해 운행되는 전기 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수 전기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이용함 없이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로써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라 명칭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 자동차와 같이 엔진이 없고 순수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로만 운행되는 차량은 배터리의 에너지가 방전되면 이를 충전해야만 주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전기 자동차의 보급에 비하여 전기 충전을 지원하는 충전스테이션의 설치 등 전기 자동차에 대한 인프라가 그에 턱없이 미치지 못함에 따라 충전장소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운전자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 도중, 예기치 않은 배터리의 방전 또는 충전이 필요한 상황에서 긴급 출동한 렉카 등의 견인차량에 구비된 비상전력공급장치를 이용해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견인차량의 엔진에 연결된 발전기의 로터가 수 만 분당회전수(RPM)로 고속 회전됨에 따라 전기 자동차에 공급 가능한 전력이 생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터가 회전됨에 따라 생산된 교류전압은 정류기를 통해 직류전압으로 바뀌어 전기 자동차에 공급되거나 보조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터리는 니켈-카드뮴 또는 니켈-메탈하이드라이드와 같은 니켈계열의 배터리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고성능 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온 배터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격전압 이상의 전력 과잉 공급, 과전류 발생, 저전압으로 인한 방전에 의해 리튬 이온 기반의 상기 보조배터리에 부하가 걸려 과열되는 경우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며, 방전시 상기 보조배터리의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9797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는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축부의 일측을 감싸며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는 요크몸체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는 영구자석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을 감싸며 배치되되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며 극성방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전압조절코일이 연결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회전로터부; 상기 회전로터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회전로터부를 감싸며 중공형으로 구비되는 코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부 및 상기 전자석부의 외주 각각을 감싸며 유도자계가 형성되도록 구획 권선된 유도코일이 구비되는 스테이터부; 및 상기 전압조절코일에 순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한방향으로 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부는 상기 코어부의 축방향 일측에 상기 영구자석부과 대향되는 상기 유도코일이 권선되도록 복수개의 규소 강판으로 적층되어 구비되는 제1보빈과, 상기 코어부의 축방향 타측에 상기 전자석부와 대향되는 상기 유도코일이 권선되도록 복수개의 규소 강판으로 적층되어 구비되는 제2보빈과, 상기 영구자석부 및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유도코일의 유도자계가 각각 구획되도록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 사이에 연결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빈은 상기 영구자석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영구자석부와 상호간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보빈은 상기 전자석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전자석부와 상호간 이격 배치되되, 상기 구획부는 스테인레스 스틸 강판이 적층되어 형성되되, 복수개의 스틸 강판으로 형성되는 상기 구획부의 직경은 규소 강판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의 직경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 상기 제1보빈, 그리고 상기 제2보빈의 내면 및 외면 프로파일은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은 상호 연속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유도코일은 상기 영구자석부 및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자계가 각각 구획되도록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에 각각 구획 권선되되, 상호간 일체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전자석부의 극성방향을 제어부 및 극성변환부를 통해 조절하여 영구자석부 및 스테이터부의 유도코일 간에 발생되는 교류전압을 보강 및 상쇄시켜 자동 조절하므로 엔진부와 연동된 회전로터부의 고속 회전시에도 제품의 과부하가 방지되며 전력 생산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내구성 및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영구자석부과 대향되는 스테이터부의 제1보빈과 전자석부와 대향되는 제2보빈에 유도코일이 각각 권선되되 제1보빈 및 제2보빈 사이에 구비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구획부에 의해 각 유도코일이 구획되므로 유도자계 간의 간섭 및 누설이 최소화됨에 따라 최종 출력되는 교류전압이 오차없이 정밀 제어될 수 있다.
셋째, 복수개의 규소 강판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1보빈 및 제2보빈 사이에 스테인레스 스틸 강판으로 구비되는 구획부가 상호 연속적인 내면 및 외면 프로파일로 적층되므로 유도코일과 영구자석부 및 전자석부 간에 각각 발생되는 유도자계의 간섭 및 누설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나타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에서 전자석부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에서 전자석부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300)는 회전로터부(20), 스테이터부(130), 및 제어부(6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로터부(20)는 회전축부(21), 요크몸체부(22), 영구자석부(23), 테이퍼고정부(24), 전자석부(2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속충전용 발전기(300)는 차량 또는 선박 등의 엔진부(10)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 및 발전시스템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테이터부(130)는 코어부(130a), 유도코일(131), 제1커버부(130b), 제2커버부(130c)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부(130)의 코어부(130a)는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로터부(2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코어부(130a)는 상기 회전로터부(20)의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전자석부(25) 외주를 감싸며 배치되되, 상기 회전로터부(20)와 상호간 기설정된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부(130a)는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 및 상기 전자석부(25)의 외주를 감싸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코어부(130a)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 및 상기 전자석부(25)를 포함하는 상기 회전로터부(20)의 축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어부(130a)의 내경은 상기 회전로터부(20)의 외경을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어부(130a)는 제1보빈(133a) 및 제2보빈(133b)를 포함하는 중공형의 보빈(133)과, 상기 제1보빈(133a) 및 상기 제2보빈(133b) 사이에 구비되는 중공형의 구획부(1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보빈(133a)은 상기 코어부(130a)의 축방향 일측에 상기 영구자석부(23)과 대향되는 상기 유도코일(131)이 권선되도록 복수개의 규소 강판으로 적층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보빈(133a)은 상기 구획부(132)를 기준으로 상기 코어부(130a)의 축방향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보빈(133a)은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영구자석부(23)와 상호간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획부(132)를 기준으로 상기 코어부(130a) 축방향 일측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상기 요크몸체부(22),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보빈(133b)은 상기 코어부(130a)의 축방향 타측에 상기 전자석부(25)와 대향되는 상기 유도코일(131)이 권선되도록 복수개의 규소 강판으로 적층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보빈(133b)은 상기 구획부(132)를 기준으로 상기 코어부(130a)의 축방향 타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보빈(133b)은 상기 전자석부(25)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전자석부(25)와 상호간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획부(132)를 기준으로 상기 코어부(130a) 축방향 타측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상기 전자석부(2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132)는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전자석부(25)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유도코일(131)의 유도자계가 각각 구획되도록 상기 제1보빈(133a) 및 상기 제2보빈(133b) 사이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도자계는 상기 회전로터부(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부(130) 간에 발생되는 회전자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구획부(132)는 상기 코어부(130a)의 축방향 중앙부에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전자석부(25)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유도코일(131)의 유도자계가 각각 구획되도록 비자성체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자성체 재질이라 함은 자성을 갖지 않는 재질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132)는 복수개의 스테인레스 스틸(SUS) 강판이 적층되어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코일(131)은 상기 회전로터부(20)가 회전됨에 따라 유도자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보빈(133)의 슬롯에 권선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도코일(131)은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전자석부(25)의 외주 각각을 감싸며 유도자계가 형성되도록 상기 보빈(133)의 슬롯에 구획 권선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도코일(131)은 3상 코일로 권선됨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보빈(133)의 슬롯은 상기 보빈(133)의 내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획부(132)의 내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보빈(133)의 슬롯과 대응되는 연장슬롯이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코일(131)은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전자석부(25)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자계가 각각 구획되도록 상기 구획부(132)를 기준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보빈(133a) 및 상기 제2보빈(133b)에 각각 구획 권선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도코일(131)은 상기 구획부(132)를 기준으로 구획되어 상기 코어부(130a)의 축방향 일측 및 타측에 권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코일(131)이 상호간 일체로 연결되되 비자성체 재질의 상기 구획부(132)를 기준으로 상기 제1보빈(133a)에 권선된 유도코일(131)과 상기 제2보빈(133b)에 권선된 상기 유도코일(131)이 상호간 구획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유도코일(131) 간에 발생되는 유도자계와, 상기 전자석부(25) 및 상기 유도코일(131) 간에 발생되는 유도자계가 독립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로터부(20)가 상기 엔진부(10)에 연동되어 상기 엔진부(10)의 회전속도에 대응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부(130)의 유도코일(131)에서 교류전압이 발생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영구자석부(23)에 의해 발생된 교류전압이 상기 엔진부(10)의 회전속도와 관계없이 기설정치로 유지되도록 상기 전자석부(25)의 극성방향이 자동 조절되어 상기 스테이터부(130)에 발생되는 교류전압이 조절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영구자석부(23)과 대향되는 상기 제1보빈(133a)과 상기 전자석부(25)와 대향되는 상기 제2보빈(133b)에 상기 유도코일(131)이 각각 구획 권선되되 상기 제1보빈(133a) 및 상기 제2보빈(133b) 사이에 구비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구획부(132)에 의해 각 상기 유도코일(131)이 구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유도코일(131)에서 발생되는 유도자계 간의 간섭 및 누설이 최소화됨에 따라 최종 출력되는 교류전압이 오차없이 정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유도코일(131)에 의한 유도자계와 상기 전자석부(25) 및 상기 유도코일(131)에 의한 유도자계가 각각 상호 구획되어 발생되므로 최종 출력되는 교류전압의 출력이 증가되며 출력감도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132), 상기 제1보빈(133a), 그리고 상기 제2보빈(133b)은 상호 연속적으로 적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획부(132), 상기 제1보빈(133a), 그리고 상기 제2보빈(133b)의 내면 및 외면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132)는 상기 코어부(130a)의 축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되 비자성체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획부(132)는 복수개의 스테인레스 스틸 강판이 적층되어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세히, 복수개의 스틸 강판으로 형성되는 상기 구획부(132)의 직경은 규소 강판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보빈(133)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132)가 상기 제1보빈(133a) 및 상기 제2보빈(133b) 사이의 경계면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용접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스테인레스 스틸 강판으로 적층 형성되어 상기 보빈(13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규소 강판으로 적층 형성되는 상기 제1보빈(133a) 및 상기 제2보빈(133b) 사이에 스테인레스 스틸 강판으로 구비되는 상기 구획부(132)가 상호 연속적인 내면 및 외면 프로파일을 형성하며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코일(131)과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전자석부(25) 간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자계의 간섭 및 누설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부(130b) 및 상기 제2커버부(130c)는 상기 코어부(130a)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간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커버부(130b)는 상기 전자석부(25)에 인접한 상기 코어부(130a)의 단부측에 배치되되, 일측이 개구된 원주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코어부(130a)의 외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커버부(130b)의 반경방향 중앙부는 상기 회전축부(21)의 커버캡(21a)과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축부(21)의 타측방향으로 돌설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커버부(130b) 및 상기 커버캡(21a)이 이격되어 상기 스테이터부(130) 내부에 배치된 상기 회전축부(21) 및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전자석부(25)가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커버부(130c)는 상기 요크몸체부(22)에 인접한 상기 코어부(130a)의 단부측에 배치되되, 일측이 개구된 원주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코어부(130a)의 외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커버부(130c)는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내경이 상기 회전축부(21)의 일단부 외경보다 미세하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커버부(130c)의 내주 및 상기 회전축부(21)의 일단부 사이에 베어링 등의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부(130a), 상기 제1커버부(130b), 상기 제2커버부(130c)를 포함하는 상기 스테이터부(130) 내부에 상기 엔진부(10)에 연동된 상기 회전로터부(20)가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로터부(20)는 상기 회전축부(21), 상기 요크몸체부(22), 상기 영구자석부(23), 상기 테이퍼고정부(24), 상기 전자석부(2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21)는 기설정된 길이의 원주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로터부(20)의 각 구성요소가 상기 회전축부(21)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로터부(20)의 각 구성요소라 함은 상기 회전축부(21)를 감싸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상기 요크몸체부(22), 상기 전자석부(25)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로터부(20)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시 축방향 전체길이가 상기 회전축부(21)의 축방향 길이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21)에 상기 회전로터부(20)의 각 구성요소가 삽입 및 고정시 상기 회전축부(21)의 축방향 양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부(21)는 SUS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21)의 외주에는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일측이 걸림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돌설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21)는 상기 회전로터부(20)의 각 구성요소가 상기 회전축부(21)에 삽입 및 결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단부에 구비되는 커버캡(21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캡(21a)은 원주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부(21)에 대향되는 일면이 개구되며, 개구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캡(21a)이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회전축부(21)의 일단부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21)에 상기 회전로터부(20)의 각 구성요소가 삽입된 뒤에 상기 커버캡(21a)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로터부(20)의 각 구성요소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크몸체부(22)는 상기 회전축부(21)의 외주 일측을 감싸는 중공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부(21)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요크몸체부(22)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중공의 내경은 상기 회전축부(21)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요크몸체부(22)가 상기 회전축부(21)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21)의 단턱에 걸림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몸체부(22)는 비자성체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요크몸체부(22)는 알루미늄 재질의 중공형 원주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크몸체부(22)에는 축방향 양단부 내측단으로부터 축방향 양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스토퍼단턱(22c,22d)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체 부피가 감소되도록 제1스토퍼링부(41a) 및 제2스토퍼링부(41c)의 각 중공이 각 상기 스토퍼단턱(22c,22d)에 삽입되어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외주에는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를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 체결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는 복수개의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미도시)은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삼각형 및 역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및 역사다리꼴, 또는 "V"자 및 역방향 "V"자 형상의 가상 라인을 따라 복수개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홈(미도시)은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외주에 축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제1각도 및 제2각도의 가상의 사선 라인상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이퍼고정부(24)에는 상기 체결홈(미도시)과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홈(미도시)의 위치에 대응되어 복수개소 관통홀(24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요크몸체부(22)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상호간 나사 체결되어 상기 영구자석(23a,23b)이 정렬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외주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체결홈(미도시)에 대응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부(24)에 복수개의 관통홀(24a)이 관통 형성되어 상호간 정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퍼고정부(24)에 의해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외주에 밀착 커버되는 상기 영구자석부(23)가 균일하게 정렬되므로 설치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구자석부(23)는 상기 요크몸체부(22)의 반경방향 외측에 외주를 감싸며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부(23)는 상기 회전축부(21)를 기준으로 회전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원주방향 양측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확장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23a,23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영구자석부(23)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길이가 테이퍼지게 확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함은 원주방향 양측면이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형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이 절곡 형성되며 단차지게 형성되는 형태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23a,23b)은 강한 자장을 통해 착자된 네오디움 자석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23a,23b)은 16개 구비되어 인접하는 상기 영구자석(23a,23b)과의 자극 방향이 상이하게 배치되도록 교번되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영구자석의 N극에서 인접한 영구자석의 S극으로 형성된 자기력선이 복수개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고정부(24)는 상기 영구자석(23a,23b)의 원주방향 양측면에 배치되되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체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원주방향 양측이 상기 영구자석(23a,23b)을 밀착 커버하도록 상기 영구자석(23a,23b)과 맞물림 밀착되며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축소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길이가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각 상기 테이퍼고정부(24)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길이가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이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각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원주방향 양측면이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의 원주방향 양측면을 밀착 커버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 및 각 상기 테이퍼고정부(24) 사이의 밀착되는 경계면이 직선형, 곡선형, 단차진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더라도 각 상기 경계면이 밀착되며 형합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체결홈(미도시)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관통홀(24a)에 나사(24b)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요크몸체부(22)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상호간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요크몸체부(22)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상호간 고정되되 상기 영구자석부(23)가 상기 테이퍼고정부(24) 및 상기 요크몸체부(22) 사이에 밀착 커버됨에 따라 회전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용접 또는 접착부재에 의해 영구자석이 요크의 외주에 접합되던 종래와 달리, 상기 영구자석(23a,23b) 및 상기 요크몸체부(22) 사이에 별도의 접합수단 없이도 상기 영구자석(23a,23b)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양측이 테이퍼지게 축소된 복수개의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양측이 테이퍼지게 확장된 복수개의 상기 영구자석(23a,23b)을 밀착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요크몸체부(22)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23a,23b)이 별도의 접합수단 없이도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반경방향 내측단 및 상기 요크몸체부(22) 사이에는 연통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통공간은 상기 체결홈(미도시) 및 관통홀(24a)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은 축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길이가 협소화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의 형상이 삼각형 및 역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및 역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상호간 통일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형상은 중공형 원주 형상에서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의 형상을 제외한 공간에 대응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형상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각도 및 상기 제2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기울어진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의 장방형 판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순차 배치된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결합된 전체 형상이 중공형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크몸체부(22)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테이퍼고정부(24)는 축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구획되되 구획된 일측이 상기 영구자석부(23)의 원주방향 측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분할된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상기 영구자석부(23)의 원주방향 측면에 연결되되, 축방향 외측 및 내측 중 어느 일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분할된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일체로 연결되어 복수개 구비되어 상호간 밀착되며 배치됨에 따라 상기 요크몸체부(22)의 반경방향 외주에 배치시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퍼고정부(24)는 상기 영구자석부(23)와 개별 구비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술된 방식으로 일체로 연결 구비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 및 각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교번되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의 사이에 각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밀착 커버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이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영구자석(23a,23b)의 원주방향 길이가 협소화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2방향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을 의미한다. 즉, 삼각형 및 역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및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각 상기 영구자석(23a,23b) 사이에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규칙적인 배열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순차 배치된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 간 결합된 전체 형상이 중공형 원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구자석부(23)가 상기 요크몸체부(22)의 반경방향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이고 균일한 분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축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삼각형 형상으로 원주방향 길이가 협소화된 각 상기 영구자석의 배치방향이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외주를 따라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유도전력의 발생시 자력 밸런스가 유지되며 노이즈가 최소화되므로 과전류 발생 가능성이 감소되어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축방향 양단부에는 중공형 원판 형상으로 비자성체의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는 SUS 재질 등의 비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결합홀(미도시)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크몸체부(22)에는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의 각 상기 결합홀(미도시)과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결합홀(미도시)의 위치에 대응되어 축방향으로 관통 또는 함몰된 체결공(22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 사이에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결합된 상기 요크몸체부(22)가 배치되어 상호간 나사 체결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의 외경은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외경보다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의 외경은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외주를 감싸며 배치된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의 원주방향 외주면이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원주방향 외주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축방향 양측으로 이탈됨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중공은 상기 회전축부(21)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로터부(20)의 전체 부피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의 각 중공이 각 상기 스토퍼단턱(22c,22d)에 삽입되어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의 축방향 외면과 각 상기 스토퍼단턱(22c,22d)의 축방향 외면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구비되어 상호간 결합되던 종래와 달리, 각 상기 스토퍼단턱(22c,22d)은 상기 요크몸체부(22)의 내측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돌설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별 구비된 스토퍼단턱의 축방향 각 외측에 결합되던 종래와 달리, 중공형으로 구비된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가 각 상기 스토퍼단턱(22c,22d)에 삽입되어 밀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의 축방향 폭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축방향 전체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회전로터부(20)의 전체 부피가 현저히 감소되어 경량화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공형으로 구비된 비자성체의 제1스토퍼링부(41a) 및 제2스토퍼링부(41c)가 상기 요크몸체부(22)의 축방향 양단부의 내측단으로부터 연장 돌설된 스토퍼단턱(22c,22d)에 삽입되는 컴팩트한 구성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로터부(20) 및 상기 스테이터부(130)의 부피가 종래에 비해 감소됨에 따라 소형화 및 경량화되므로 발전성능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속충전용 발전기(300)가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전력공급차량에 적재되면 상기 전력공급차량에 추가적인 장비 적재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전력공급차량이 소형화되면 산간지방 등의 좁고 험준한 지형에서도 운용 가능하므로 상기 전력공급차량의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의 반경방향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요크몸체부(22)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제1연장돌기(41e) 및 제2연장돌기(41c)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연장돌기(41e) 및 상기 제2연장돌기(41c)는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제2스토퍼링부(41c)의 반경방향 외주부로부터 상기 요크몸체부(22)에 대향되는 축방향으로 각각 단턱지게 절곡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축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제1연장돌기(41e) 및 상기 제2연장돌기(41c)와 형합되도록 단턱형합부(23c,23d)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반경방향 외곽측 축방향 길이는 반경방향 내측 축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축방향 양단부에 각 상기 단턱형합부(23c,23d)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연장돌기(41e,41c)가 각 상기 단턱형합부(23c,23d)에 형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21)를 기준으로 회전시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가 분리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됨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돌기(41e) 및 상기 제2연장돌기(41c)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테이퍼고정부(24)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영구자석부(23)가 상기 테이퍼고정부(24)에 밀착 커버되며 각 상기 연장돌기(41e,41c)가 각 상기 단턱형합부(23c,23d)에 형합되는 이중 이탈 방지 구조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호간 접착력이 증가되도록 각 상기 단턱형합부(23c,23d)와 상기 제1연장돌기(41e) 및 상기 제2연장돌기(41c) 사이에는 에폭시 수지가 주입되어 경화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로터부(20)는 상기 회전축부(21)의 타측을 감싸며 배치되되 상기 회전축부(21)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며 반경방향 내측에 전압조절코일(26)이 연결되는 상기 전자석부(2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요크몸체부(22)는 상기 회전축부(21)의 일측을 감싸며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부(25)는 상기 회전축부(21)의 외주 타측을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요크몸체부(22) 및 상기 전자석부(25)는 탠덤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부(10)에 연결된 상기 회전축부(2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부(23)가 반경방향 외주에 배치된 상기 요크몸체부(22)와 상기 전자석부(25)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부(130)에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전자석부(25)에 의해 발생되는 각각의 자계가 상호간 간섭받지 않으며 발생되고, 상기 전자석부(25)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 교류전압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는 상기 회전로터부(20) 및 상기 전자석부(25) 사이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 및 상기 전자석부(25)는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상호간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SUS 재질 등의 비자성체로 구비된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전자석부(25)가 상호간 절연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석부(25)는 제1전자석몸체(25a), 제2전자석몸체(25b), 그리고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이 연결된 전자석(25c)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전자석몸체(25a)는 상기 요크몸체부(2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제1스토퍼링부(41a)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자석몸체(25b)는 상기 제1전자석몸체(25a)의 축방향 외측에 상호간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자석몸체(25a) 및 상기 제2전자석몸체(25b)는 상기 전압조절코일(26)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착자되도록 철 등의 강자성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자석몸체(25a) 및 상기 제2전자석몸체(25b)는 중공형 원판으로 각각 구비된 링부와, 상기 링부의 외곽으로부터 상호간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복수개소 연장 돌설된 삼각돌기(25d,25e)를 각각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부는 제1링부 및 제2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삼각돌기(25d,25e)는 상기 제1삼각돌기(25d) 및 상기 제2삼각돌기(25e)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제1삼각돌기(25d) 및 각 상기 제2삼각돌기(25e)는 상기 제1전자석몸체(25a) 및 상기 제2전자석몸체(25b)의 각 상기 링부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단부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양측이 협소화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상기 제1삼각돌기(25d) 및 각 상기 제2삼각돌기(25e)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삼각돌기(25d) 및 상기 제2삼각돌기(25e)는 각 상기 링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상호간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설되되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복수개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삼각돌기(25d) 및 상기 제2삼각돌기(25e)는 각각 동일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형성되되, 상호간 대향되는 간극에 교차되며 삽입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상기 제1삼각돌기(25d)는 각 상기 제2삼각돌기(25e)의 원주방향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삽입 배치됨과 동시에, 각 상기 제2삼각돌기(25e)는 각 상기 제1삼각돌기(25d)의 원주방향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삽입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제1삼각돌기(25d) 및 각 상기 제2삼각돌기(25e)는 상호 교번되며 배치되되, 상호간 기설정된 축방향 이격거리가 유지되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링부에 형성된 중공은 상기 회전축부(21)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링부의 내측단에는 링형으로 구비된 상기 전자석(25c)의 내주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호간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돌설된 연장링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링부는 제1연장링부 및 제2연장링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전자석몸체(25a) 및 상기 제2전자석몸체(25b)에 각각 형성된 각 상기 연장링부가 상호간 접촉되되, 각 상기 제1삼각돌기(25d) 및 각 상기 제2삼각돌기(25e)는 상호간 기설정된 축방향 이격거리가 유지되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석(25c)은 상기 제1전자석몸체(25a) 및 상기 제2전자석몸체(25b)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압조절코일(26)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25c)은 중공형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경이 각 상기 연장링부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25c)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이 권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은 상기 전자석(25c)의 외주와 내주를 감싸며 권선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석(25c)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권선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자석(25c)은 강자성체 재질로 개별 구비되어 표면에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이 권선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코일이 다중 권선되어 형성된 집합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은 선택적으로 전류 흐름을 순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극성변환부(62)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극성변환부(62)는 제어부(61)에 회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한방향의 전류가 상기 전압조절코일(26)에 인가되어 상기 전자석부(25)의 극성방향이 선택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부(130)에 발생되는 유도전력의 세기가 자동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구자석부(23)가 상기 엔진부(10)에 연동되어 상기 엔진부(10)의 회전속도에 대응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부(130)에서 교류전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부(23)에 의해 발생된 교류전압이 상기 엔진부(10)의 회전속도와 관계없이 기설정치로 유지되도록 상기 전자석부(25)의 극성방향이 자동 조절되어 상기 스테이터부(130)에 발생되는 교류전압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석부(25)의 축방향 외측단에는 중공형 원판 형상으로 비자성체의 제3스토퍼링부(42a)가 구비되되,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는 SUS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의 축방향 외측에는 상기 제어부(61), 상기 극성변환부(62), 카본브러쉬(27)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본브러쉬(27)는 상기 전압조절코일(26) 및 상기 극성변환부(62)의 사이에 회로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 및 회로가 복잡하고 코어가공시 연마가 필요해 단가가 높고 고장의 리스크가 높은 브러쉬리스 구조 대신에 상기 카본브러쉬(27)가 구비되므로 단가가 절감되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냉각핀(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핀(43)의 단부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외경이 상기 스테이터부(130)의 내경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기 냉각핀(43)이 구비됨에 따라 발열을 위한 접촉면적이 증가되므로 냉각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 및 상기 전자석부(25) 사이에는 중공형 단열시트부(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시트부(44)의 내경은 상기 회전축부(21)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시트부(44)의 외경은 상기 제2전자석몸체(25b) 및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의 외경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시트부(44)는 단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석부(25) 및 상기 단열시트부(44) 및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는 나사 체결 등의 방식으로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석부(25)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상기 단열시트부(44)에 의해 1차로 차단되되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로 전이된 열이 접촉면적이 증가된 상기 냉각핀(43)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제어부(61), 상기 극성변환부(62), 카본브러쉬(27)의 과열에 따른 고장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부(130b) 및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 사이에는 중공형 비자성체의 연결매개부(42b) 및 슬립링부(42c)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매개부(42b)는 SUS 등의 비자성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매개부(42b)는 중공형 원주 형상으로 구비되되, 외경이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 내경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에 인접한 상기 연결매개부(42b)의 축방향 내측단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턱지게 안착단턱이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매개부(42b)의 일단부 및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 사이는 상기 제어부(61), 상기 극성변환부(62), 상기 카본브러쉬(27)가 배치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매개부(42b)의 축방향 외측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연결부에는 상기 제1커버부(130b)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매개부(42b) 및 상기 제1커버부(130b)가 나사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매개부(42b)가 상기 제1커버부(130b) 및 상기 제3스토퍼링부(42a)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회전로터부(20)의 축방향 타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립링부(42c)는 중공형 원주 형상으로 구비되되,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립링부(42c)에는 축방향 일단부, 중앙부, 타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확장슬립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확장슬립부 사이에 한 쌍의 상기 카본브러쉬(27)가 각각 삽입 및 접촉되도록 제1공간부 및 제2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확장슬립부 사이에는 한 쌍으로 구비된 상기 카본브러쉬(27)가 각각 삽입되어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카본브러쉬(27)는 상기 극성변환부(62)에 각각 회로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극성변환부(62)에 연결된 회로의 일단측이 상기 카본브러쉬(27)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극성변환부(62)에 연결된 회로의 타단측이 상기 카본브러쉬(27)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립링부(42c)는 상기 카본브러쉬(27) 및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의 상호간 연결을 매개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카본브러쉬(27)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카본브러쉬(27)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61)에 회로 연결된 상기 극성변환부(62)에 각 상기 카본브러쉬(27)가 회로 연결되고, 각 상기 카본브러쉬(27)가 상기 슬립링부(42c)에 연결됨에 따라 통전되어 상기 전압조절코일(26)과 회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립링부(42c)의 배치 위치에 대응된 상기 회전축부(21)의 축방향 타측 외주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21)의 축방향 중앙측 외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립링부(42c)의 중공 내경은 상기 회전축부(21)의 축방향 타측을 감싸며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축부(21)의 축방향 타측 외경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립링부(42c)의 각 확장부의 외경은 상기 연결매개부(42b)의 내경 미만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매개부(42b)의 안착단턱 내경을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립링부(42c)가 상기 회전축부(21)에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되, 상기 슬립링부(42c)의 각 확장슬립부 사이에 삽입 및 접촉된 각 상기 카본브러쉬(27)가 고정된 상태로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61), 상기 극성변환부(62), 상기 카본브러쉬(27),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이 상호간 회로 연결되어 통전되므로 상기 전자석부(25)의 극성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카본브러쉬(27) 대신에 브러쉬리스 구조의 전환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슬립링부(43c)와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충전용 발전기(300)는 상기 엔진부(10), 발전부(200), 정류부(51), 측정부(52), 출력부(53), 배터리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전부(200)는 상기 회전로터부(20) 및 상기 스테이터부(13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엔진부(10)는 회전됨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엔진부(10)는 차량 또는 선박 등에 구비되는 엔진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엔진부(10)는 상기 전력공급차량에 설치된 엔진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부(10)는 상기 회전축부(21)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엔진부(10)의 구동력이 상기 회전축부(21)의 회전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부(200)는 상기 회전로터부(20)와, 상기 스테이터부(13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로터부(20)의 회전축부(21)가 상기 엔진부(10)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부(21)가 회전되면 상기 요크몸체부(22), 상기 영구자석부(23), 상기 테이퍼고정부(24), 상기 전자석부(25)가 동시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부(10)의 회전시 상기 회전로터부(20)가 동시에 회전되면 상기 스테이터부(130)의 코어부(130a)에 권선된 상기 유도코일(131)에 유도자계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류부(51)는 일측이 상기 유도코일(131)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유도코일(131)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류부(51)는 정류기 회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칩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구조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정류부(51)는 두 개의 다이오드가 직렬 연결된 회로가 세 쌍으로 구비되되 상호간 병렬 연결되며, 다이오드의 출력단측이 플러스전압단자로 구비되고 다이오드의 입력단측이 마이너스전압단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3상 코일로 구비되어 상기 코어부(130a)에 3개소로 권선된 상기 유도코일(131)이 직렬 연결된 각 상기 다이오드의 사이로 각각 회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전자석부(25)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도코일(131)에 발생된 약 200V의 교류전압이 상기 정류부(51)에서 약 280V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부(52)는 상기 정류부(51)에서 변환된 직류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도록 상기 정류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52)는 전압측정부와, 전류측정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정류부(51)의 플러스전압단자에 병렬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류측정부는 상기 정류부(51)의 플러스전압단자 및 마이너스전압단자에 직렬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52)는 상기 제어부(61)측으로 직류전압 및 전류 세기 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제어부(6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측정부(52)로부터 측정된 직류전압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석부(25)의 극성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속충전용 발전기(300)는 상기 측정부(52) 및 상기 배터리부(54) 사이에 과전류 발생시 전류 흐름이 차단되도록 회로 연결된 릴레이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부(55)는 상기 측정부(52)의 출력단 및 상기 배터리부(54)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54)는 상기 정류부(51)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에 의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부(54)는 상기 측정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상기 릴레이부(55)의 출력단측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출력부(53)의 입력단에 회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53)는 상기 고속충전용 발전기(300)가 전력공급차량에 탑재되는 경우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부(54)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전기 자동차 등의 충전대상체에 공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53)는 상기 정류부(51)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상기 충전대상체에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부(54)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속충전용 발전기(300)는 상기 배터리부(54)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부(54)에 과충전 및 방전 방지, 과전류 차단, 단락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비엠에스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측정부(52)에서 발전된 전압을 기설정치와 비교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전압조절코일(26)에 순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한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은 상기 정류부(51)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이 기설정치로 유지되도록 선택적으로 전류 흐름을 순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극성변환부(62)에 회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극성변환부(62)는 별도로 구비된 직류공급부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직류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류 방향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상기 제어부(61)에 신호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극성변환부(62)는 동일한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4개 이용하여 구성한 브릿지회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극성변환부(62)는 동일한 반도체 스위칭소자인 제1스위칭소자, 제2스위칭소자, 제3스위칭소자, 제4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2스위칭소자, 상기 제3스위칭소자, 상기 제4스위칭소자의 각 일측 노드에는 다이오드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소자의 입력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칭소자, 상기 제2스위칭소자, 상기 제3스위칭소자, 상기 제4스위칭소자의 각 타측 노드에는 상기 다이오드의 입력단과, 상기 트랜지스터소자의 출력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트랜지스터소자는 상기 제어부(61)에 각각 신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일측 노드는 병렬 연결되어 상기 직류공급부의 플러스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4스위칭소자의 타측 노드는 병렬 연결되어 상기 직류공급부의 플러스단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스위칭소자의 타측 노드 및 상기 제3스위칭소자의 일측 노드는 상호간 연결되되 상기 카본브러쉬(27) 중 어느 하나에 병렬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타측 노드 및 상기 제4스위칭소자의 일측 노드는 상호간 연결되되 상기 카본브러쉬(27) 중 다른 하나에 병렬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의 일단에서 타단으로의 전류 흐름이 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의 타단에서 일단으로의 전류 흐름이 역방향으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순방향 및 역방향은 전류의 방향을 특정하기 위해 서술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방향이 상호간 전환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도코일(131)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이 상기 정류부(51)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됨이 바람직하다(s10). 또한, 상기 측정부(52)에서 측정된 직류전압이 기설정치를 초과하는지 비교 판단함이 바람직하다(s11).
여기서, 상기 측정부(52)에서 측정된 직류전압이 기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61)가 상기 전압조절코일(26)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함이 바람직하다(s12). 예컨대, 상기 측정부(52)에서 측정된 직류전압이 기설정치인 200V를 초과하면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을 통과하는 전류 흐름이 역방향으로 자동 제어됨에 따라 직류전압이 200V에 근접하게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유도코일(131)간에 발생되는 전압 및 전류 방향과 상기 전자석부(25) 및 상기 유도코일(131)간에 발생되는 전압 및 전류 방향이 상호간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유도전력이 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52)에서 측정된 직류전압이 기설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61)가 상기 전압조절코일(26)에 순방향 전류를 인가함이 바람직하다(s13). 예컨대, 상기 측정부(52)에서 측정된 직류전압이 기설정치인 200V 미만이면 상기 전압조절코일(26)을 통과하는 전류 흐름이 순방향으로 자동 제어됨에 따라 직류전압이 200V에 근접하게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유도코일(131)간에 발생되는 전압 및 전류 방향과 상기 전자석부(25) 및 상기 유도코일(131)간에 발생되는 전압 및 전류 방향이 상호간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유도전력이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부(25)의 극성방향을 상기 제어부(61) 및 상기 극성변환부(62)를 통해 조절하여 상기 영구자석부(23) 및 상기 유도코일(131) 간에 발생되는 교류전압을 보강 및 상쇄시켜 자동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엔진부(10)와 연동된 상기 회전로터부(20)의 고속회전시에도 제품의 과부하가 방지되며 전력 생산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내구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엔진부 20: 회전로터부
22: 요크몸체부 23: 영구자석부
24: 테이퍼고정부 25: 전자석부
26: 전압조절코일 41a: 제1스토퍼링부
61: 제어부 62: 극성변환부
130: 스테이터부 130a: 코어부
130b: 제1커버부 130c: 제2커버부
131: 유도코일 132: 구획부
133: 보빈 300: 고속충전용 발전기

Claims (6)

  1.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축부의 일측을 감싸며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는 요크몸체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는 영구자석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을 감싸며 배치되되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며 극성방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전압조절코일이 연결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회전로터부;
    상기 회전로터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회전로터부를 감싸며 중공형으로 구비되는 코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부 및 상기 전자석부의 외주 각각을 감싸며 유도자계가 형성되도록 구획 권선된 유도코일이 구비되는 스테이터부; 및
    상기 전압조절코일에 순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한방향으로 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부는
    상기 코어부의 축방향 일측에 상기 영구자석부과 대향되는 상기 유도코일이 권선되도록 복수개의 규소 강판으로 적층되어 구비되는 제1보빈과,
    상기 코어부의 축방향 타측에 상기 전자석부와 대향되는 상기 유도코일이 권선되도록 복수개의 규소 강판으로 적층되어 구비되는 제2보빈과,
    상기 영구자석부 및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유도코일의 유도자계가 각각 구획되도록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 사이에 연결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빈은 상기 영구자석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영구자석부와 상호간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보빈은 상기 전자석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전자석부와 상호간 이격 배치되되,
    상기 구획부는 스테인레스 스틸 강판이 적층되어 형성되되, 복수개의 스틸 강판으로 형성되는 상기 구획부의 직경은 규소 강판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의 직경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 상기 제1보빈, 그리고 상기 제2보빈의 내면 및 외면 프로파일은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은 상호 연속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유도코일은 상기 영구자석부 및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자계가 각각 구획되도록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보빈 및 상기 제2보빈에 각각 구획 권선되되, 상호간 일체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충전용 발전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절코일은 선택적으로 전류 흐름을 순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극성변환부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극성변환부는 상기 제어부에 회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충전용 발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유도코일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변환된 직류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도록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발전된 전압을 기설정치와 비교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전압조절코일에 순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한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충전용 발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터부 및 상기 전자석부 사이에는 상기 영구자석부 및 상기 전자석부가 상호간 절연되도록 비자성체 재질의 제1스토퍼링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충전용 발전기.
KR1020190065162A 2019-06-03 2019-06-03 고속충전용 발전기 KR102179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62A KR102179108B1 (ko) 2019-06-03 2019-06-03 고속충전용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62A KR102179108B1 (ko) 2019-06-03 2019-06-03 고속충전용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108B1 true KR102179108B1 (ko) 2020-11-16

Family

ID=7367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162A KR102179108B1 (ko) 2019-06-03 2019-06-03 고속충전용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1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5518A (ja) * 1993-06-14 1996-06-11 エコエア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電圧調整器付きハイブリッド交流発電機
JP3063106B2 (ja) * 1990-03-14 2000-07-12 株式会社デンソー 発電装置
KR20060044884A (ko) * 2004-03-29 2006-05-1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교류발전기
KR101197593B1 (ko) * 2010-09-17 2012-11-08 도태환 병렬구조 영구자석을 장착한 회전자
KR20150097978A (ko) 2014-02-19 2015-08-27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차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2086456B1 (ko) * 2018-11-12 2020-03-09 주식회사 스타리온 전동 및 발전용 회전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3106B2 (ja) * 1990-03-14 2000-07-12 株式会社デンソー 発電装置
JPH08505518A (ja) * 1993-06-14 1996-06-11 エコエア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電圧調整器付きハイブリッド交流発電機
KR20060044884A (ko) * 2004-03-29 2006-05-1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교류발전기
KR101197593B1 (ko) * 2010-09-17 2012-11-08 도태환 병렬구조 영구자석을 장착한 회전자
KR20150097978A (ko) 2014-02-19 2015-08-27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차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2086456B1 (ko) * 2018-11-12 2020-03-09 주식회사 스타리온 전동 및 발전용 회전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50233A1 (en) Vehicle motor-generator apparatus utilizing synchronous machine having field winding
US7589449B2 (en) Electric rotating machine
JP5794525B2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ー充電装置およびレスキュー車
US9227518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and in-vehicle rotary electric machine system
CN114303303B (zh) 旋转电机
US20120187877A1 (en) Motor and drive system provided therewith
WO2020175225A1 (ja) 電機子及び回転電機
JP2008278567A (ja) 回転電機及び交流発電機
WO2020175334A1 (ja) 電機子
US8569921B2 (en) Permanent-magnet type electric rotating machine
JP2017175699A (ja) 回転電機
JP7363379B2 (ja) 制御装置及び回転電機システム
JP7388071B2 (ja) 車輪駆動装置
WO2020175332A1 (ja) 回転電機
JP6305364B2 (ja) 回転電機システム
KR102179108B1 (ko) 고속충전용 발전기
US20140167556A1 (en) Electric rotating machine
KR102086456B1 (ko) 전동 및 발전용 회전구동장치
JP7447953B2 (ja) 電機子及び回転電機
KR20210016721A (ko) 디지털 파워 발전 시스템
WO2022113936A1 (ja) 回転電機
JP7367413B2 (ja) 回転電機
WO2020105490A1 (ja) 回転電機
WO2020175497A1 (ja) 回転電機
US20190103795A1 (en) Permanent magnet rotor with enhanced demagnetization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