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883A -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883A
KR20060044883A KR1020050025758A KR20050025758A KR20060044883A KR 20060044883 A KR20060044883 A KR 20060044883A KR 1020050025758 A KR1020050025758 A KR 1020050025758A KR 20050025758 A KR20050025758 A KR 20050025758A KR 20060044883 A KR20060044883 A KR 2006004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system
optical element
scann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637B1 (ko
Inventor
카즈타카 이노구치
아키라 야마모토
쇼이치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2Composite shades, i.e. shades being made of distinc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02B17/0856Catadioptric systems comprising a refractive element with a reflective surface, the reflection taking place inside the element, e.g. Mangin mirrors
    • G02B17/086Catadioptric systems comprising a refractive element with a reflective surface, the reflection taking place inside the element, e.g. Mangin mirrors wherein the system is made of a single block of optical material, e.g. solid catadioptric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correcting geometrical aberrations, distor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Abstract

광이용효율이 높은 컴팩트한 화상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화상표시장치에는, 광원과,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2차원적으로 주사하는 주사부재와, 상기 주사용의 주사부재에 의해 편향된 광을 관찰자에게 향하게 하는 광학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학계에는, 굴절면과 내부반사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학면이 매질상에 형성되어 있는 광학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사용의 주사부재에 의해 편향된 광은, 상기 광학소자에 형성된 복수의 광학면의 일부를 통해서 소정의 면 위에 2차원 상을 형성한다. 상기 광학소자에 형성된 복수의 광학면은, 해당 광학소자의 입사면의 유효영역과 내부반사면의 유효영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IMAGE DISPLAY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광로를 표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주사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확산반사판을 사용한 경우의 광로를 표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광로를 표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광로를 표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광로를 표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P: 사출동공(안구) LS: 광원
A: 반사면(확산반사면) 1: 제 1광학소자
2: 제 2광학소자 3: 주사부재
4: 집광광학계 5: 다이크로익 프리즘의 더미유리
6: 광학소자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주사형 화상표시장치, 특히, 예를 들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HMD) 등에 적합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기술의 설명
현재, HMD에 사용되는 표시소자로서는, 투과형 액정표시소자,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EL소자 등을 이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소자는, 표시에 필요한 모든 화소를 그 안에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화소결함이 발생하기 쉽고, 소자 자체의 가격도 매우 높아진다.
이에 대해서, 액정표시소자 혹은 EL소자 등의 2차원 화상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선형상의 빔을 방출하는 광원과 해당 빔을 주사하는 주사부재(스캐너)를 사용해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개시 및 제안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467,104호에는, 3색, 즉, 적(R), 녹(G), 청(B)의 광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주사하고, 광학계를 통해서 망막상에 화상을 직접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 제 5,467,104호에 개시된 주사형 화상표시장치에서는, 매우 고속으로 광을 주사할 것이 요구되므로, 광으로 주사하는 미러 등의 주사부로서 매우 소형의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주사되는 광빔이 매우 얇은 것으로 되어, 관찰자의 동공위치에서의 광빔의 직경이 매우 작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작은 사출 동공직경을 확대하는 방법으로서, 미국특허 제 5,701,132호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미국특허 제 5,701,132호에서는, 주사 부재에 의해 렌즈어레이나 확산판 등의 피주사면에 변조한 빔을 주사해서 상을 형성하고, 해당 피주사면을 투과해서 관찰시키는 상을 관찰자에게 제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 평 11-84291호 공보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폴리곤미러형상의 편향기를 통과시킨 후, 자유곡면 프리즘을 이용해서 중간상을 형성하고, 해당 중간상을 자유곡면 프리즘을 이용해서 관찰자에게 향하게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1-4955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1-194617호 공보에는, 편심자유곡면 광학계를 이용해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다소 두꺼운 빔으로 작성해서, 해당 빔을 주사부재에 의해 반사시켜서 안구로 향하게 하는 비교적 소형의 광학계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소형 직경의 빔을 이용하면서 사출동공을 확대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 5,701,132호에 개시된 구성을 사용한 경우, 중간상 투과형의 피주사면을 이용하므로, 이것은 광로가 길어져 장치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주사부재에 입사하는 빔직경을 크게 해서 사출동공을 크게 하면, 주사부재를 통해서 피주사면 위에 형성되는 중간상의 수차보정이 곤란해지므로, 높은 광학성능의 실현이 곤란해지고, 광학계의 크기가 증대한다. 또, 대형의 주사부재가 필요하게 되므로, 이것은, 장치가 대형화하고, 주사에 요하는 전력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를 초 래하게 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광학계의 더욱 소형화할 수 있고, 특히 긴 광로 길이를 필요로 하는 광학계에 대해서도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화상표시장치는, 광원과,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2차원적으로 주사하는 주사부재와, 상기 주사부재에 의해 주사된 광을 관찰자에게 향하게 하는 광학계를 지니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의 광학계에는, 굴절면과 내부반사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학면이 하나의 동일한 매질상에 형성되어 있는 광학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사부재에 의해 주사된 광은, 상기 광학소자의 복수의 광학면의 일부를 통해서 소정의 면 위에 2차원 상을 형성한다. 상기 광학소자에 형성된 복수의 광학면은, 해당 광학소자의 입사면의 유효영역과 내부반사면의 유효영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화상표시장치의 광학계의 수직단면에 있어서의 광로를 표시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1)은 유효빔에 대해서 편심한 3 개이상의 광학면을 동일 매질 위에 지닌 프리즘형상의 제 1광학소자이다. 상기 광학소자(1)에 형성된 광학면은, 곡률을 지닌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2)는 유효빔에 대해서 편심한 광학면을 지닌 프리즘형상의 제 2광학소자이고, (3)은 반사형 2차원 주사부재, (4)는 집광 광학계이다. (LS)는 광원이고, (EP)는 주사부재(3)에 대략 공액인 광학계의 사출동공이다.
도 1에 있어서, 광원(LS)은 표시화상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의거해서 적절하게 변조된 빔을 방사한다. 해당 광원(LS)으로부터 방사된 빔은, 집광 광학계(4)에 의해 집광되어, 주사부재(3)에 입사한다. 상기 빔은 주사부재(3)에 의해 2차원 방향으로 편향되어, 면(2c)을 통해서 광학소자(2)에 입사한다. 광학소자(2)에 입사한 빔은 반사면(2b)에서 반사되어, 광학소자(1)의 면(1b)에 접합된 투과면(2a)을 통과해서 광학소자(2)로부터 나와, 광학소자(1)에 입사한다. 광학소자(1)에 입사한 광은, 면(1a)에 의해 반사되어, 소정의 피주사면 위에 중간상을 형성한다. 이 때, 피주사면은 중간상이 결상되는 위치를 함께 결합해서 구성된 면이며, 상기 광학소자(1)의 내부 또는 광학면과 대략 일치해서 생성된다.
도 1에서는, 도 1의 단면내(수직방향)에서 주사부재(3)가 진동하는 방법을 표시하고 있고, 주사부재(3)가 기준상태의 시간을 실선으로 , 주사부재(3)가 1방향으로 최대로 진동하는 상태를 점선으로, 주사부재(3)가 역방향으로 최대로 진동하는 상태를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주사부재(3)의 각각의 상태에서 반사된 빔은, 각각 실선, 점선 및 일점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면(1c)은 피주사면 근방에 배치된 반사면이고, 광원으로부터 집광 광학계 (4), 광학소자(2) 및 광학소자(1)의 반사면(1a)을 통해서 반사면(1c)에 입사한 광이 재차 광학소자(1)의 반사면(1a)에 입사하도록, 빔을 역방향으로 반사하는 되접어 꺾은 반사면이다. 상기 반사면(1c)에 의해 반사된 빔은, 면(1a)에 의해 재차 반사되고, 이어서, 반사면(1b)에 의해 반사된 후, 투과면(1a)을 통과해서 주사부재(3)와 대략 공액인 사출동공(EP)을 형성한다. 관찰자는 사출동공(EP) 근방에 그의 눈을 둠으로써, 피주사면 위에 형성된 화상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빔이 주사부재(3)로부터 나와서 피주사면에 도달할 때까지의 광로 위에 놓여 있는 광학소자(2)의 투과면(2c)과 반사면(2b), 광학소자(2)와 광학소자(1)의 접합면인 투과면(2a) 및 광학소자(1)의 반사면(1a)은 주사광학계로서의 작용을 지니고, 이들은, 집광 광학계(4)와 함께, 광원(LS)으로부터 방출된 빔을 피주사면 위에 결상시키는 투사광학계로서 작용하고 있다. 한편, 피주사면으로부터 면(1a), (1b) 및 (1a)의 순서로 사출동공(EP)을 형성하는 광로 위에 놓인 광학소자(1)에 의해 구성된 광학계는, 피주사면 위에 형성된 화상을 관찰자가 확대 관찰하기 위한 접안광학계로서의 작용을 지닌다.
도 1에 있어서는, 피주사면 근방의 되접어 꺾은 반사면(1c)에 의해 광로를 되접어 꺽고, 광학소자(1)에 2개의 광학계, 즉, 투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로서의 작용을 부여함으로써, 적은 소자수로 광학계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 2개의 광학계, 즉, 투사광학계 및 접안 광학계의 광로를 광학소자(1)내에 수용하고 있으므로, 전체의 광로길이에 대해서 광학계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피주사면 근방의 반사면(1c)의 앞뒤에 반사면(1a)을 공용하도록 배치 함으로써 주사광학계의 광로(주사광로)와 접안광학계의 광로(접안광로)와의 대부분을 광학소자(1)내에 수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광학계의 컴팩트화에 대한 효과가 크다. 즉, 주사부재(3) 및 광학소자(2)를 거쳐서 광학소자(1)에 입사한 광을 광학소자내의 반사면(1a)에 의해 반사시키고 있기 때문에, 광학소자의 크기에 비해서 광학소자내의 주사광로를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다(주사광로를 보다 길게 소형의 광학소자내에 수용할 수 있다). 또, 접안광로는, 복수의 편심 반사면(1a), (1b)을 이용해서 되접어 꺾도록 구성해서, 해당 접안광로를 보다 길게 컴팩트한 광학소자내에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광학소자를 1방향으로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광학계는, 투사광학계에 있어서의 광학소자(1)에의 입사면(2a)을 광학소자(1)내에서의 반사면(1b)과 접합해서 면(1b)의 일부로서 이용하면서, 광학소자에의 입사면(2a)의 빔유효영역과 접안광학계에 있어서의 광학소자(1)내에서의 반사면(1a), (1b)의 빔유효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광학소자(1)가 2개의 광학계, 즉, 투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의 작용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광량손실이 적은, 밝은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입사면(2a)을 반사면(1b)에 접합함으로써, 광학소자(1), (2)로 이루어진 광학부재를 강고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광원, 주사부재 등과 위치조정되는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최종 조립시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사부재(3)로서 반사형의 주사부재를 이용하고 있다. 주사부재(3)로서 반사형의 주사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빔의 편향각을 주사 부재의 편향각의 2배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적은 전력으로 주사부재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사부재(3)는 2차원 주사부재이다. 이것은, 1차원 광원어레이와 1차원 주사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에 대해서는 광원수의 삭감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가져온다. 또한, 1차원 주사부재를 2개 이용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주사부재(3)의 수의 삭감과 함께 광학계 구성의 간소화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2차원 주사부재의 채용결과, 저비용 및 컴팩트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차원 주사부재의 일례로서,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반도체 프로세스 기술에 의해 작성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편향디바이스(301)를 표시하고 있다. 해당 편향디바이스(301)는 편향면(반사면)을 지니는 미소 미러(302)가 토션 바(303) 및 (304)에 의해 지지된 구성을 지닌다. 미소 미러(302)는 토션바(303)가 변형됨으로써 축(305)을 대략 중심으로 한 공진왕복운동을 행하고, 또한, 토션바(304)가 변형됨으로써 축(306)을 대략 중심으로 한 왕복운동을 행한다. 이러한 왕복운동에 의해, 편향면(30)의 법선 방향이 2차원적으로 변화함으로써, 미소 미러(302)에 입사하고 있는 빔을 반사시켜서, 2차원 방향으로 주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주사면과 반사면(1c)을 서로 대략 일치시키고, 또 반사면(1c)을 곡면으로 함으로써, 투사광학계에 의해 형성된 중간상의 결상에는 거의 기여하지 않고 주광선만을 편향시키는 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투사광학계와 접안광학계에 기인한 왜곡을 상쇄시켜서, 관찰자 에게 변형없는 화상을 관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계는, 투사광학계와 접안광학계의 양쪽을 유효빔을 구성하는 임의의 광선에 대해서 편심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광학소자(1)에 투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의 양 작용을 겸용시키고, 또한, 광학소자(1)내에 되접어 꺾은 반사면(1c)을 이용해서 광로를 서로 중첩시켜서 광로길이에 대해서 광학계를 컴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광학소자(1)에의 입사면(2a)(면(1b)과의 접합면)과 광학소자(1)의 반사면(1b)을 서로 분리시킴으로써 밝은 광학계를 제공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면(1b)의 굵은 선으로 표시한 부분에 반사막을 형성해서 접안광학계의 빔반사면으로서 사용하고, 반사막 비형성부인 부분으로부터 빔을 입사시키는 투사광학계로서의 기능을 부여해서, 광량의 손실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컴팩트한 밝은 광학계를 실현하기 위해서 곡률을 지닌 편심면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공축회전대칭 광학계에서는 생기지 않는 비회전대칭인 수차(편심수차)가 발생한다. 이 편심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광학계를 구성하는 면을 비회전대칭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안광학계로서 작용하는 면(1a), (1b)에 있어서는, 중간결상면으로부터의 빔을 집중시키는 광학 파워를 반사면으로서만 작용하는 면(1b)에 주로 부여시키면, 해당 반사면의 곡률이 투과면의 곡률과 동일하더라도 투과면에 비해서, 큰 광학 파워를 얻을 수 있으므로, 광학소자(1)를 관찰자의 시선축 방향으로 박형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반사면(1b)을 광학 파워가 가장 강한 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파워가 큰 편심반사곡면에서는 편심수차의 발생도 크므로, 면(1b)을 비회전대칭면으로 만들어서 편심수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수차보정상 바람직하다. 또, 면(1a)도 비회전대칭면으로 하고 접안광학계 전체에 의해 편심수차를 보정하면, 광학성능이 향상한다. 한편, 투사광학계의 주사광학계 부분에 상당하는 면(2c), (2b), (2a), (1a)에 대해서도, 편심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적당히 비회전대칭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회전대칭면의 수를 증가시키면, 수차보정의 자유도가 향상하므로, 주사광학계에 있어서, 재차, 마찬가지로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들 편심광학면으로 구성된 투사광학계와 접안광학계에 의한 왜곡을 상쇄시키기 위해서, 되접어 꺾은 반사면(1c)도 비회전대칭면으로 해서 비회전대칭인 왜곡을 보정하면, 관찰자에게 매우 왜곡이 적은 화상을 제시할 수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는, 반사면(1c)이 확산작용을 지니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반사면(1c)을 확산반사면으로 함으로써, 동공직경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주사면 근방의 되접어 꺾은 반사면(1c)을 확산반사면으로 한 때에, 확산반사면(1c)이 가지는 반사확산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광원(LS)으로부터 방사되고, 주사부재에 의해 적절히 편향되어서, 프리즘 광학계에 입사한 광은, 반사면(1c)을 피주사면으로 해서 주사되어, 반사면(1c) 위에 중간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반사면(1c)에 입사하는 빔은, 가는 집속빔이지만, 반사면(1c)에 확산작용을 부여함으로써, 사출하는 빔은 굵은 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퍼짐이 큰 빔으로 된다. 빔의 퍼짐이 커지므로, 사출동공(EP)에 도달하는 빔은 그 직경이 확대된다. 따라서, 광학계의 사출동공의 중심으로부터의 관찰 자의 동공위치의 마진이 증대하므로, 용이하게 화상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반사면(1c)을 확산반사면으로 할 경우에는, 투사광학계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상면(피주사면)과 반사면(1c)을 서로 대략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투사광학계에 의한 최소 착란 원직경이, 피주사면 위에 형성되는 결상면의 크기와 해상도에 의해 결정되는 화소피치의 2배이하로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확산반사에 의해 사출동공직경을 확대하면서, 극단의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사광학계에 의한 최소 착란 원직경이 피주사면 위에 형성되는 결상면의 크기와 해상도에 의해 결정되는 화소피치와 등배이하로 하도록 설계하면, 실질적인 화질의 저하가 생기지 않아, 보다 고화질에서의 화상관찰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 이와 같은 확산반사면(1c)으로서, 반사면 위에 주기적인 요철구조를 지닌 반사형 회절광학소자 등이 사용가능하지만, 그의 격자 피치를 화소피치 이하로 함으로써 해상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확산반사면이 주기적이지 않은 랜덤한 요철구조인 경우에도, 요철의 최대피치가 화소피치이하로 되도록 설계하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1 및 도 3에 있어서는, 광원(LS)으로서 1개의 광원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적, 녹, 청의 광을 서로 독립적으로 발사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색합성수단에 의해 함께 조합해서, 각 색의 광원을 영상신호에 따라 변조함으로써, 컬러화상을 관찰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투사광학계의 광로중에 중간상을 지니는 일없 이, 역상으로서 빔을 집광시키므로, 각 면의 광학 파워를 약하게 해서 곡률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은 광학면수로 주사광학계의 성능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되접어 꺾은 반사면을 광학소자(1)의 면(1c)으로서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립해서 조정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최종 조립에 있어서의 공정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조립조정의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되접어 꺾은 반사면(1c)을 기준으로서 고려하면, 되접어 꺾은 반사면(1c)의 앞뒤에서 빔을 동일 면(1a)에 의해서 반사시켜서 면(2a)으로부터 면(1b)까지의 광로를 중복시키고 있고, 적은 광학면수로 이들 광로간의 중복도를 높여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반사면(1a)을 투사광학계의 반사면과 접안광학계의 반사면으로서 공유시킴으로써, 광로(2a)((1b)와 동일 면) →(1a) →(1c) →(1a) →(1b)처럼, 면(1c)을 되접기 지점으로서 지니는 왕복광로를 프리즘내에 형성함으로써 두 광학계의 광로중복부분을 증가시키고 있다.
또, 상기 면(1a)은 상기 빔을 2회 반사시키는 상기 반사면으로서 뿐만 아니라, 접안광학계에 있어서의 광학소자(1)로부터의 빔사출면(투과면)으로서도 작용시키고 있다. 또, 면(1a)을 하프미러로서 반사 및 투과의 두 작용을 부여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반사의 경우에는 유효빔이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면(1a)에 입사하도록 해서 내부 전반사시키고, 투과의 경우에는 유효빔이 임계각이하의 각도로 면(1a)에 입사하도록 해서 광학소자(1)로부터 사출하도록 각 면을 배치하면, 광이용 효율이 매우 높아지므로, 매우 밝은 화상표시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그의 일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수의 변형을 고려할 수 있다. 이하, 수치 실시예를 이용하면서, 그 밖의 예를 들어 설명을 가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2의 광학계의 수직단면에 있어서의 광로를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설명한 실시예 1로부터의 큰 차이는, 되접어 꺾은 반사면(A)을 광학소자(1)와는 별도로 형성하는 점과, 광학소자(1)내에 면(1d), (1e)을 추가해서 광학소자(2)를 생략한 점과, 반사면(1c)의 앞뒤의 반사면인 주사광학계의 반사면(1d)과 접안광학계의 반사면(1a)을 별도의 면으로 구성한 점에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해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광원(LS)은 표시화상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의거해서, 변조된 빔을 방사한다. 광원(LS)으로부터 사출한 빔은, 집광 광학계(4)에 의해 집광되어, 주사부재(3)에 입사한다. 주사부재(3)에 의해 빔은 2차원 방향으로 편향되어, 입사면(1e)으로부터 광학소자(1)에 입사한다. 광학소자(1)에 입사한 빔은, 그의 반사면(1d)에 의해 반사된 후, 그의 투과면(1c)을 통과해서 소정의 피주사면 위에 중간상을 형성한다. (A)는 해당 피주사면 근방에 배치된 반사면이며, 또한, 광원으로부터 집광 광학계(4) 및 광학소자(1)를 통해서 반사면(A)에 입사한 빔이 재차 광학소자(1)에 입사하도록 반사시키는 되접어 꺾은 반사면이다. 반사면(A)에 의해 반사된 빔은, 투과면(1c)으로부터 재차 광학소자(1)에 입사하고, 면(1a)에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입사해서 내부 전반사해서, 반사면(1b)에 의해 반사되는 반면, 면(1a)에 입계각 미만의 각도로 입사해서 광학소자(1)로부터 사출해서 주사부재(3)와 대략 공액인 사출동공(EP)을 형성한다. 관찰자는 사출동공(EP) 근방에 눈을 둠으로써, 피주사면 위에 형성된 화상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빔이 집광광학계(4) 및 주사부재(3)로부터 사출한 후 피주사면에 이르는 광로 위에 놓여 있는 면(1e), (1d), (1c)은, 광원(LS)으로부터 발사된 빔을 피주사면 위에 결상시키는 주사광학계로서의 작용을 지니고, 피주사면으로부터 면(1c), (1a), (1b), (1a)의 순으로 사출동공(EP)을 형성하는 광로 위에 놓여 있는 광학계는, 피주사면 위에 형성된 화상을 관찰자가 확대관찰하기 위한 접안광학계로서의 작용을 지닌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주사면 근방의 반사면(A)에 의해 광로를 되접어 꺾어, 광학소자(1)에 2개의 광학계, 즉, 주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의 작용을 부여함으로써, 적은 소자수로 광학계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2개의 광학계, 즉, 주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의 광로를 광학소자내에 수용하고 있으므로, 전체의 광로길이에 대해서 광학계를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피주사면 근방의 반사면(A)의 앞뒤에 반사면을 배치해서 주사광학계의 광로(주사광로)와 접안광학계의 광로(접안광로)와의 대부분을 광학소자(1)내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광학계의 컴팩트화에 큰 효과를 가져온다.
즉, 주사부재(3)를 거쳐 광학소자에 입사한 광을 광학소자내의 반사면(1d)에 의해 반사시키고 있으므로, 광학소자의 크기에 비해서, 광학소자내의 주사광로를 보다 길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주사광로를 보다 길게 컴팩트한 광학소자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접안광로에 대해서는, 복수의 편심반사면(1a), (1b)을 이용해서 광로를 중첩하도록 구성해서, 접안광로를 보다 길게 컴팩트한 광학소자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광학소자를 1방향으로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투사광학계에 있어서의 광학소자(1)의 입사면(1e)의 빔유효영역과, 접안광학계에 있어서의 광학소자(1)내에서의 반사면(1a), (1b)의 빔유효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계하고 있다. 따라서, 광학소자(1)에 2개의 광학계, 즉, 투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의 작용을 부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광량손실이 적은, 밝은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주사부재(3)로서 반사형의 2차원 주사부재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 표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지닌 컴팩트한 저비용의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반사면(A)을 피주사면에 일치시켜서 확산작용을 부여함으로써, 사출동공의 직경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3색의 광을 서로 독립적으로 발사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색합성수단에 의해 함께 조합시켜, 각 색의 광원은 각각의 빔을 영상신호에 따라 변조함으로써, 컬러화상을 관찰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는, 컬러화상의 표시도 상정해서, 색합성수단으로서 다이크로익 프리즘 등을 이용하는 경우의 더미유리(5)를 배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사광학계의 광로 위에 광원상으로서 중간상을 지니게 하는 일없이, 역상으로서 빔을 집광시키므로, 각 면의 광학 파워를 약하게 할 수 있어, 그의 곡률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되접어 꺾은 미러의 앞뒤에 빔반사면의 양쪽이 면(1a)을 지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을 2개의 면(1a), (1b)으로 분할함으로써, 광학적인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주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의 성능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되접어 꺾은 반사면과 면(1c)을 서로 분리함으로써, 면(1c)에 의한 수차보정도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의 광학소자(1)의 각 면(1a) 내지 (1e)은, 회전대칭축을 지니지 않은 비회전대칭면으로 구성된다. 또, 반사면(1d)과 반사면(1a)은 다른 계수를 지닌 함수로 표기되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공액관계에 있는 주사부재(3)와 사출동공(EP)사이의 광로 위에, 광원(LS)이 역상으로 형성되는 결상면으로서의 피주사면을 1개만 지닌 구성을 취함으로써, 주사부재(3)로부터 피주사면까지의 광로를 짧게 할 수 있어, 광학계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주사광학계와 접안광학계를, 공통으로 이용하는 면을 지니는 1개의 프리즘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광학계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 표 1에 실시예 2에 대응하는 수치실시예의 데이터를 기재한다. 표 1에 있어서, 관찰자의 수평화각은 ±12도(지면에 대해 수직인 단면), 관찰자의 수직화각은 ±9도(지면내의 단면)이다.
주사부재(3)의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편향각(지면내에 있어서 축을 중심으로 해서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주사부재(3)가 진동함)은 ±5.49도, 수직방향의 편향각(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주사부재(3)가 지면내에서 진동함)은 ±4.118도이다. 입사동공의 직경은 1.35㎜이다.
실시예중의 설명에서는, 광원측의 광로로부터 차례로 설명을 행하였으나, 수치실시예에서는 관찰자의 동공위치쪽으로부터 역으로 광선을 추적한 형태로 기재를 행한다. 기재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관찰자의 동공위치를 글로벌 좌표계의 기준으로 해서 표기한다. 실시예 3 및 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기준에 의거해서 표기한다.
글로벌 좌표계에 있어서의 3차원의 좌표축을 Z축, Y축 및 X축으로 하고, 각각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Z축은 제 1면의 중심(절대좌표의 원점)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관찰자의 시선의 방향(2차원 주사부재의 편향각이 수평, 수직 모두 ±0도일 때의 반사면(A)에서 정반사해서 사출동공에 이르는 광선이 제 2면으로부터 제 1면으로 주행하는 방향과 평행하고 반대의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한다. Y축은 제 1면의 중심(절대좌표의 원점)을 통과해서 지면에 있어서 Z축에 대해서 수직인 직선의 방향으로서 정의하고, Z축에 대해서 수직인 반시계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정의한다. X축은 원점을 통과해서, Z축 및 Y축에 수직으로 되는 직선으로 지면의 깊이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한다.
광학계를 구성하는 각 광학면에 관해서는, 상기 글로벌 좌표계에 있어서의 각 광학면의 면형상을 표기하기 위한 좌표계(로컬 좌표계)의 원점 위치를 X, Y, Z로 표시하고, 글로벌 좌표계에 있어서의 YZ방향에 대한 로컬좌표계의 yz면내에서의 기울기를 A(지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글로벌 좌표계의 Z축에 대한 로컬 좌표계의 z축의 각도(°))라 하고, 글로벌 좌표계에 있어서의 XZ면에 대한 로컬 좌표계에서의 xz면의 기울기를 B(지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글로벌 좌표계의 Z축에 대한 로컬 좌표계의 z축의 각도(°))라 하고, 또한, 글로벌 좌표계의 XY면에 대한 로컬 좌표계의 xy면의 기울기를 C(지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글로벌 좌표계의 Z축에 대한 로컬 좌표계의 y축의 각도(°))라 한다. 각 면의 로컬 좌표계는, 상기 정의한 x, y 및 z축에 의해 좌표계로서 정의할 수 있다.
또, 각 면에 있어서의 Nd 및 νd는, 각각 그 면 및 후속의 면의 매질의 d선에 대한 굴절률 및 압베수를 표시하고 있다(νd =(Nd-1)/(NF-NC)(여기서, NF는 F선의 굴절률, NC는 C선의 굴절률을 나타냄). 굴절률의 부호의 변화는, 그 면에서 광이 반사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회전대칭축을 지니지 않는 비회전대칭면형상은, 이하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된다.
수치 실시예 1중에서는, 비회전대칭면으로서, 표중 XYP로서 표기된 이하의 식을 이용한다.
Figure 112005016464987-PAT00001
또한, 상기 함수에서, 로컬좌표계에서의 X의 홀수차에 관한 항을 0으로 함으로써, YZ평면에 대해서 대칭인 면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XYP로 표시되는 면은, 기호 A, B, C, 등을 붙이고, 이들 면의 비구면계수 Cij를 표 2에 표기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일부의 면으로서 로컬좌표계의 xz면과 yz면간의 곡률이 다른 애너모르픽(anamorphic) 면을 이용하고 있고, 표중에서 AAS로 표시되어 있고, 통상의 R항에 yz단면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xy단면의 곡률반경은 Rx로서 별도로 부가하고 있다.
또, 상기 면이 비구면일 경우에는 SPH로 표시하고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광학계의 수직단면에 있어서의 광로를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전술한 실시예 1와의 큰 차이는, 되접어 꺾은 반사면(A)을 광학소자(1)와는 별도로 설치한 점, 광학소자(1)와 광학소자(2)를 함께 접합시키지 않고 서로 별체로 이용한 점, 광학소자(2)내에 면(2d)을 추가해서 광학소자(2)내에서의 반사 횟수를 증가시킨 점, 광학소자(1)의 입사면(1d)과 반사면(1b)을 별도의 면으로서 구성한 점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광원(LS)은,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의거해서, 직접 변조된 빔을 방사한다. 광원(LS)으로부터 방사된 빔은, 집광광학계(4)에 의해 집광되어, 주사부재(3)에 입사한다. 주사부재(3)에 의해 빔은 2차원 방향으로 편 향되고, 면(2d)으로부터 광학소자(2)에 입사한다. 광학소자(2)에 입사한 빔은, 반사면(2c), (2b)에서 반사된 후, 투과면(2a)을 통과해서 광학소자(1)를 향한다. 광학소자(1)를 향한 광은 면(1b)으로부터 광학소자(1)에 입사한 후, 면(1a) 위에서 반사되어, 면(1c)을 통과해서 소정의 피주사면 위에 중간상을 형성한다.
(A)는 피주사면 근방에 배치된 반사면이며, 면(A)에서의 반사직전의 반사면(1a)에 의해 반사되어서 반사면(A)에 입사한 광이, 반사면(1a)에 의해 재차 반사될 수 있도록, 빔을 반대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되접어 꺾은 반사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반사면(A)에서 반사된 빔은, 재차 면(1c)으로부터 광학소자(1)에 입사하고, 면(1a)에서 재차 반사되고, 다음에, 반사면(1b)에서 반사된 후, 투과면(1a)을 통과해서 주사부재(3)와 대략 공액인 사출동공(EP)을 형성한다. 관찰자는 사출동공(EP) 근방에 그의 눈을 둠으로써, 피주사면 위에 형성된 화상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주사부재(3)로부터 피주사면까지의 광로 위에 놓여 있는 광학소자(2)의 각 면과, 광학소자(1)의 입사면인 투과면(1b) 및 반사면(1a)과, 광학소자(1)의 사출면인 투과면(1c)은, 주사광학계로서의 작용을 지니고, 또, 집광광학계(4)와 조합해서, 광원(LS)으로부터 발사한 빔을 피주사면 위에 결상시키는 투사광학계로서 작용하고 있다. 한편, 피주사면으로부터 면(1c), (1a), (1b), (1a)의 순으로 광빔이 주행해서 사출동공(EP)을 형성하는 광로 위에 놓여 있는 광학소자(1)로 구성된 광학계는, 피주사면 위에 형성되는 화상을 관찰자가 확대 관찰하기 위한 접안광학계로서의 작용을 지닌다.
본 실시예는, 피주사면 근방의 되접어 꺾은 반사면(A)에 의해 광로를 되접어 꺾어, 광학소자(1)에 2개의 광학계, 즉, 광투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의 작용을 부여함으로써, 적은 소자수로 광학계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2개의 광학계, 즉, 투사광학계 및 접안 광학계의 광로를 광학소자(1)내에 수용하고 있으므로, 전체의 광로길이에 대해서 광학계를 컴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피주사면 근방의 반사면(A)의 앞뒤에서 면(1c), (1a)을 공용하도록 배치해서, 투사광학계의 광로(투사광로)와 접안광학계의 광로(접안광로)와의 대부분을 광학소자(1)내에 수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광학계의 컴팩트화에 대한 효과가 크다.
즉, 투과면(1d)으로부터 주사부재(3) 및 광학소자(2)를 거쳐서 광학소자(1)에 입사한 광을 광학소자(1)내의 반사면(1a)에서 반사시켜서, 광학소자(1)의 투과면(1c)을 통해서 반사면(A)으로 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광학소자의 크기에 비해서 광학소자내의 주사광로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주사광로를 보다 길게 소형의 광학소자내에 수용할 수 있다). 또, 접안광로에 대해서는, 투과면(1c)으로부터 광학소자(1)에 입사시킨 광빔의 광로를 복수의 편심 반사면(1a), (1b)을 이용해서 되접어 꺾도록 설계해서, 접안광로를 보다 길게 컴팩트한 광학소자내에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광학소자를 1방향으로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투사광학계에 있어서의 광학소자(1)에의 입사면(1d)을 광학소자(1)내에서의 반사면(1b)과 별개로 해서 광학성능을 향상시키면서, 광학소자(1)에의 입사면(1a)의 빔유효영역과 접안광학계에 있어서의 광학소자(1)내에서의 반사면(1a), (1b)의 빔유효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설계하고 있다. 그 때문에, 광학 소자(1)에 2개의 광학계, 즉, 투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의 작용을 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광손실이 적은, 밝은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주사부재(3)로서 반사형의 2차원 주사부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컴팩트한 저비용의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사면(A)에 확산작용을 부여함으로써, 동공의 직경을 확대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컬러화상의 표시도 상정해서, 색합성수단으로서 다이크로익 프리즘 등을 이용하는 경우의 더미유리(5)를 배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주사광학계의 광로 위에, 광원상이 중간상을 지니는 일없이 역상으로서 집광되므로, 각 면의 광학파워를 약하게 할 수 있고, 그의 곡률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의 광학소자(1)의 면(1a) 내지 (1c) 및 광학소자(2)의 면(2a) 내지 (2d)의 각각은, 회전대칭축을 지니지 않는 비회전대칭면으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편심수차를 보정한 광학계를 제공해서, 해상력이 높은 광학계를 실현하는 동시에, 평면의 되접어 꺾은 반사면(A)을 이용해도, 주사광학계를 포함하는 투사광학계의 왜곡과 접안광학계의 왜곡을 서로 상쇄하여 왜곡이 매우 적은 광학계로 하고 있다.
이하의 표 3에 실시예 3에 대응하는 수치실시예의 데이터를 기재한다. 표 3에 있어서, 관찰자의 수평화각은 ±25도(지면에 대해 수직인 단면), 관찰자의 수직화각은 ±14도(지면내의 단면)이다.
주사부재(3)의 수평방향의 편향각(지면내에 있어서 축을 중심으로 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진동함)은 ±5.49도, 수직방향의 편향각(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지면내에서 진동함)은 ±4.11도이다. 또, 입사동공의 직경은 1.4㎜이다.
또, 표 3에 표시한 수치실시예 2 및 이하에 설명하는 표 5에 표시한 수치실시예 3에서, 표중 FFS라 표시된 비회전대칭면형상은 이하의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수치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두 YZ면에 대해서 대칭인 형상이므로, 이하의 식에 있어서는, X의 홀수차항을 미리 제거하고 있다.
Figure 112005016464987-PAT00002
상기 FFS로 표현되는 면은, 부호 A, B, C, 등으로 부여하고, 이들 면의 비구면계수 Cij는 표 4에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인 광학계의 수직단면의 광로를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전술한 실시예 1과의 큰 차이는, 되접어 꺾은 반사면을 광학소자(1)와는 별개로 형성하고, 필드 렌즈의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소자(6)의 이면반사면(6b)으로 한 점과, 광학소자(2)를 추가해서 광학소자(2)내의 반사 횟수를 증가시킨 점, 주사부재와 반사면(6b)과의 사이에 중간상도 형성되도록 설계한 점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광원(LS)으로부터 발사된 빔은, 집광광학계(4)에 의해 집광되어, 주사부재(3)에 입사한다. 이 빔은, 주사부재(3)에 의해 2차원 방향으로 편향되어 면(2e)으로부터 광학소자(2)에 입사한다. 광학소자(2)에 입사한 빔은, 반사면(2d)에서 반사된 후, 중간상을 형성하고, 또한, 반사면(2c), (2b)에서 반사된 후, 광학소자(2)의 면(1b)에 접합된 면인 투과면(2a)을 통과해서, 광학소자(1)에 입사한다. 광학소자(1)에 입사한 광은, 임계각보다도 큰 각으로 면(1a)에 입사해서, 내부 전반사되어, 면(1c)을 통과해서 광학소자(6)로 향한다. 광학소자(6)로 향하는 광은, 면(6a)으로부터 광학소자(6)에 입사한 후, 면(6b) 근방의 피주사면 에 2회째의 중간상을 형성한다. 면(6b)은 피주사면 근방에 배치된 반사면이고, 본 실시예에서의 되접어 꺾은 반사면의 역활을 수행하는 이면경이고, 반사면(6b) 직전의 반사면(1a)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면(6b)에 입사한 광은, 재차 반사면(1a)에서 반사된다. 반사면(6b)에서 반사된 빔은, 면(6a)을 통해서 광학소자(6)로부터 나와, 재차 면(1c)으로부터 광학소자(1)에 입사하고, 임계각보다도 큰 각도로 면(1a)에 입사해서, 재차 내부 전반사하고, 다음에, 반사면(1b)에서 반사된 후, 임계각보다도 작은 각도로 면(1a)에 입사해서, 투과면(1a)을 통과해서 주사부재(3)와 대략 공액인 사출동공(EP)을 형성한다. 관찰자는, 사출동공(EP) 근방에 그의 눈을 둠으로써, 피주사면 위에 형성된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여기서, 주사부재(3)로부터 피주사면까지의 광로 위에 놓여 있는 광학소자(2)의 면과, 광학소자(1)의 반사면(1a) 및 투과면(1b)과, 광학소자(6)의 투과면(6a)은, 주사광학계로서의 작용을 지니고, 또, 집광광학계(4)와 조합해서, 광원(LS)으로부터 발사한 광을 피주사면 위에 결상시키는 투사광학계로서 작용하고 있다. 한편, 피주사면으로부터 면(6a), (1c), (1a), (1b), (1a)의 순으로 광이 주행해서 사출동공(EP)을 형성하는 광로 위에 놓여 있는 광학소자(6), (1)에 의한 광학계는, 피주사면 위에 형성되는 화상을 관찰자가 확대 관찰하기 위한 접안광학계로서의 작용을 지닌다.
본 실시예는, 피주사면 근방의 되접어 꺾은 반사면(면(6b))에 의해 광로를 되접어 꺾어, 광학소자(6)의 투과면(6a)과 광학소자(1)에 2개의 광학계, 즉, 광투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의 작용을 부여함으로써, 적은 소자수로 광학계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2개의 광학계, 즉, 투사광학계 및 접안 광학계의 광로를 광학소자(6), (1)내에 수용하고 있으므로, 전체의 광로길이에 대해서 광학계를 컴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피주사면 근방의 반사면(6b)의 앞뒤에 반사면(1a), (1b), (1c)을 공용하도록 배치해서, 투사광학계의 광로와 접안광학계의 광로의 대부분을 광학소자(1)내에 수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광학계의 컴팩트화에 대한 효과가 크다.
즉, 투과면(1b)(2a)으로부터 주사부재(3) 및 광학소자(2)를 거쳐서 광학소자 (1)에 입사한 광을 광학소자(1)내의 반사면(1a)에 의해 반사시켜서, 광학소자(1)의 투과면(1c)을 통해서 반사면(6b)으로 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광학소자의 크기에 비해서 광학소자내의 주사광로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접안광로에 대해서는, 투과면(1a)으로부터 광학소자(1)에 입사시킨 광의 광로를 복수의 편심 반사면(1a), (1b)을 이용해서 되접어 꺾도록 설계함으로써, 접안광로를 보다 길게 컴팩트한 광학소자내에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광학소자를 1방향으로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는, 투사광학계에 있어서의 광학소자(1)에의 입사면(2a)을 광학소자(1)내에서의 반사면(1b)과 접합해서, 면(1b)의 일부로서 이용하면서, 광학소자(2)에의 입사면(2a)의 빔유효영역과 접안광학계에 있어서의 광학소자(1)내에서의 반사면(1a), (1b)의 빔유효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설계하고 있다. 그 때문에, 광학소자(1)에 2개의 광학계, 즉, 투사광학계 및 접안광학계의 작용을 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광손실이 적은, 밝은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사면(6b)에 확산작용을 부여함으로써, 동공의 직경을 확대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컬러화상의 표시를 상정해서, 색합성수단으로서 다이크로익 프리즘 등을 이용하는 경우의 더미유리(5)를 배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주사광학계의 광로 위에, 광원상으로서 중간상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각 면의 광학파워는 강하게 하고 있으나, 반사면(2b), (2c), (2d)에서 광로를 서로 교차시킴으로써 광학소자(2)를 컴팩트화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소자(6)의 투과면을 비회전대칭면으로 구성해서, 반사면(6b)을 평면의 이면반사면으로 하면서, 주사광학계를 포함하는 투사광학계의 왜곡과 접안광학계의 왜곡을 서로 충분히 상쇄시켜, 왜곡이 매우 적은 광학계를 제공하고 있다. 또, 면(6a)을 양의 굴절력을 지닌 굴절면으로 하여, 광학 파워가 강한 반사면(1b)에서 생기는 상면만곡을 보정하도록 해서, 접안계 단독의 광학성능도 향상시키고 있다.
또, 면(1b)과 접합된 면(2a)으로부터 광학소자(1)에 빔이 입사할 때에, 면(2a) 근방에 광학계의 입사동공인 주사수단의 반사면(3)과 공액인 동공을 형성함으로써, 면(1b)을 대형화시키는 일없이 주사 빔의 입사용의 면(1b)의 부분과 접안 빔의 반사용의 면(1b)의 다른 부분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형화와 광이용효율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6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학소자(1)에의 주사빔 입사면(2a)(1b)의 앞뒤의 반사면인 반사면(2b)과 반사면(1a)과의 사이에 동공이 형성되어 있고, 주사광학계 빔의 입사영역을 좁게 함으로써, 면(1b)을 소형화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집광광학계(4) 및 더미유리(5)가 광학소자(1), (2)와 간섭하고 있는 것처럼 그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점선으로 표시된 미러(VM)를 배치해서, 광로를 지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휘게 함으로써, 집광광학계와 더미유리가 광학소자들과 간섭하는 일이 없는 컴팩트한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하기 표 5에 실시예 4에 대응하는 수치실시예 3의 데이터를 기재한다. 표 5에 있어서, 관찰자의 수평화각은 ±25도(지면에 대해 수직인 단면), 관찰자의 수 직화각은 ±14도(지면내의 단면)이다.
주사부재(3)의 수평방향의 편향각(지면내에 있어서 축을 중심으로 해서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함)은 ±5.49도, 수직방향의 편향각(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지면내에서 진동함)은 ±4.118도이다. 또, 입사동공의 직경은 1.4㎜이다.
표 6에는, 표 5중에서 FFS로 표현되는 면들을 부호 A, B, C, 등으로 부여하고, 이들 면의 비구면계수 Cij를 표시하였다.
Figure 112005016464987-PAT00003
Figure 112005016464987-PAT00004
Figure 112005016464987-PAT00005
Figure 112005016464987-PAT00006
Figure 112005016464987-PAT00007
Figure 112005016464987-PAT00008
이 출원은, 여기에 참고로 편입된 2004년 3월 31일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 2004-104634호로부터 우선권을 청구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광학계의 더욱 소형화, 특히 긴 광로를 필요 로 하는 광학계에 대해서도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 가능해진다.

Claims (6)

  1. 광원과;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광으로 2차원적으로 주사하는 주사부재와;
    굴절면과 내부반사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학면이 매질 위에 형성되어 있는 광학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주사용의 주사부재에 의해 편향된 광을 관찰자에게 향하게 하는 광학계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용의 주사부재에 의해 편향된 광은, 상기 광학소자의 복수의 광학면의 일부를 통해서 소정의 면 위에 2차원 상을 형성하고;
    상기 광학소자에 형성된 복수의 광학면은, 해당 광학소자의 입사면의 유효영역과 내부반사면의 유효영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면은 상기 광학소자에 형성된 광학면 위에 혹은 해당 광학면 근방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면이 위에 혹은 그 근방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광학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반사부재를 또 지니고, 상기 소정의 면은, 상기 반사부재의 반사면 위에 혹은 해당 반사면 근방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면은 확산반사면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6. 광원과;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광으로 2차원적으로 주사하는 주사부재와;
    되접어 꺾은 반사면과 해당 되접어 꺾은 반사면의 앞뒤의 광로에 존재하는 광학면을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주사용의 주사부재에 의해 편향된 광을 관찰자에게 향하게 하는 광학계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용의 주사부재에 의해 편향된 광에 의해 상기 되접어 꺾은 반사면 위에 혹은 해당 반사면 근방에 2차원 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050025758A 2004-03-31 2005-03-29 화상표시장치 KR100709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4634A JP4636808B2 (ja) 2004-03-31 2004-03-31 画像表示装置
JPJP-P-2004-00104634 200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883A true KR20060044883A (ko) 2006-05-16
KR100709637B1 KR100709637B1 (ko) 2007-04-23

Family

ID=3490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758A KR100709637B1 (ko) 2004-03-31 2005-03-29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45706B2 (ko)
EP (1) EP1584966B1 (ko)
JP (1) JP4636808B2 (ko)
KR (1) KR100709637B1 (ko)
CN (1) CN100378502C (ko)
DE (1) DE60200500795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8406A (ja) * 2004-11-25 2006-07-06 Konica Minolta Opto Inc 投影光学系
JP5042168B2 (ja) * 2008-08-29 2012-10-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射装置、並びに、プリズム、プリズム系、及び投射光学系
JP2010250275A (ja) * 2009-03-23 2010-11-04 Olympus Corp 視覚表示装置
CN102033319B (zh) * 2010-10-25 2015-07-15 北京理工大学 一种应用全息元件的视度型显示装置
JP2014081481A (ja) * 2012-10-16 2014-05-08 Olympus Corp 観察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観察装置
KR102493498B1 (ko) * 2013-11-27 2023-01-27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가상 및 증강 현실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6255983B2 (ja) * 2013-12-25 2018-0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US9798154B2 (en) * 2014-02-28 2017-10-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 of polarization and diffractive artifact resolution in retro-imaging systems
JP2015215478A (ja) * 2014-05-12 2015-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ー
US10732414B2 (en) * 2016-08-17 2020-08-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canning in optical systems
US20200333586A1 (en) * 2018-02-22 2020-10-22 Maxell, Ltd. Image formation device
CN108354584B (zh) * 2018-03-06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眼球追踪模组及其追踪方法、虚拟现实设备
CN108873344A (zh) * 2018-07-09 2018-11-23 歌尔科技有限公司 光学系统及头戴显示设备
JP7131145B2 (ja) * 2018-07-10 2022-09-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7183610B2 (ja) * 2018-07-30 2022-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EP3955043A4 (en) * 2019-04-12 2022-06-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OPTICAL SYSTEM
JP7340789B2 (ja) * 2019-05-29 2023-09-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学系、画像投写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7120259B2 (ja) * 2020-01-24 2022-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光学系、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CN113933998A (zh) * 2021-10-22 2022-01-14 小派科技(上海)有限责任公司 光学模组/系统、显示装置、头戴式显示设备和显示系统
CN116661154B (zh) * 2023-06-16 2023-11-10 宁波鸿蚁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路多次折叠的光学系统及头戴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104A (en) * 1992-10-22 1995-11-14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Virtual retinal display
JP3189104B2 (ja) * 1993-01-27 2001-07-16 コニ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363647B2 (ja) * 1995-03-01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5701132A (en) * 1996-03-29 1997-12-23 University Of Washington Virtual retinal display with expanded exit pupil
JP3787399B2 (ja) * 1996-11-25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観察光学系
US6426841B1 (en) * 1997-08-27 2002-07-30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JPH1184291A (ja) * 1997-09-11 1999-03-26 Olympus Optical Co Ltd 走査光学系
JP2000180783A (ja) * 1998-12-16 2000-06-30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
JP2000187177A (ja) * 1998-12-22 2000-07-04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
JP4372891B2 (ja) * 1999-06-22 2009-11-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4574774B2 (ja) * 2000-01-06 2010-11-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3870071B2 (ja) * 2001-11-14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4012007B2 (ja) * 2002-08-09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型表示光学系、走査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走査型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4077825A (ja) * 2002-08-19 2004-03-11 Fuji Photo Optical Co Ltd 投写光学系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画像表示装置
KR20050025758A (ko) * 2003-09-08 2005-03-14 주식회사 콘프로덕츠코리아 팥앙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45706B2 (en) 2006-12-05
EP1584966B1 (en) 2008-07-09
EP1584966A1 (en) 2005-10-12
CN1677163A (zh) 2005-10-05
CN100378502C (zh) 2008-04-02
US20050219671A1 (en) 2005-10-06
JP4636808B2 (ja) 2011-02-23
JP2005292308A (ja) 2005-10-20
KR100709637B1 (ko) 2007-04-23
DE602005007955D1 (de)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637B1 (ko) 화상표시장치
JP4522253B2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3994896B2 (ja) 映像表示装置
US7605775B2 (en) Displaying optical system
EP1225470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EP1566972A2 (en) Two dimensional scanning apparatus and scanning type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035476B2 (ja) 走査光学系、走査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4372891B2 (ja) 映像表示装置
JP4933056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1306155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を搭載した車両
JP4006313B2 (ja) 走査型表示光学系及び走査型表示装置
JP4681825B2 (ja) 走査型表示光学系
US7206135B2 (en) Image observing apparatus
JP4082075B2 (ja) 画像表示装置
JP4574774B2 (ja) 映像表示装置
JP4689266B2 (ja) 画像表示装置
JP4371705B2 (ja) 走査型画像表示装置
JP4174288B2 (ja) 2次元走査装置及び走査型画像表示装置
JP201611880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を搭載した車両
JPH06313858A (ja) 走査型映像表示装置
JP4630892B2 (ja) 走査光学系、走査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2196260A (ja) 観察光学系および光学機器
JP2007328364A (ja) 走査型表示光学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