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717A - 벨트식 무단 변속기 - Google Patents

벨트식 무단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717A
KR20060044717A KR1020050024715A KR20050024715A KR20060044717A KR 20060044717 A KR20060044717 A KR 20060044717A KR 1020050024715 A KR1020050024715 A KR 1020050024715A KR 20050024715 A KR20050024715 A KR 20050024715A KR 20060044717 A KR20060044717 A KR 20060044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variable transmission
groove
continuously variable
bel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587B1 (ko
Inventor
노부오 기노
마꼬또 요시다
요시아끼 가또
야스오 이또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52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 F16H55/56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of which the bearing parts are relatively axially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63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with means allowing lubr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55/38Means or measures for increasing adhe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ley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벨트와 풀리와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 계수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연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판상 엘리먼트의 측면이며 풀리와의 접촉면에 풀리의 직경 방향에 대해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를 형성하고, 적어도 입력 풀리의 테이퍼면에 동심원 또는 나선 형상으로 미세 홈을 형성하고,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 폭과,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인접하는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까지의 정상부 사이와의 합을 판상 엘리먼트의 볼록부 폭 이하로 하였다.
입력축, 출력축, 제1 풀리, 제2 풀리, 벨트, 판상 엘리먼트

Description

벨트식 무단 변속기 {BELT TYPE CONTINOUS VARIABLE TRANSMISSION}
도1은 제1 실시예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개략도.
도2는 제1 실시예의 벨트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예의 판상 엘리먼트의 측면과 각 풀리의 접촉면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4는 제1 실시예의 미끄럼 이동 실험에 의한 표면 거칠기(Ra)와 마찰 계수(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제1 실시예의 미끄럼 이동 실험에 의한 피치(Sm)와 마찰 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제1 실시예의 풀리 초기 Ra와 시험 전후의 Ra 변화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제1 실시예의 풀리 초기 Ra와 시험 종료 후의 엘리먼트 볼록부의 마찰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제1 실시예의 풀리 표면 형상의 개략도.
도9는 제1 실시예의 Ra × Sm/4와 마찰 계수(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제1 실시예의 시료 표면의 미세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조감도.
도11은 제1 실시예의 시료 표면의 미세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조감도.
도12는 제1 실시예의 시료 표면의 미세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조감도.
도13은 제1 실시예의 시료 표면의 미세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조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nput : 입력축
Output : 출력축
1 : 제1 풀리
2 : 제2 풀리
3 : 벨트
11, 21 : 고정측 풀리
12, 22 : 가동측 풀리
30 : 판상 엘리먼트
40 : 무단부 밴드
[문헌 1] 일본 특허 제3209323호 공보
본 발명은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와 풀리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미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벨트와 풀리의 접촉면의 마찰 계수를 증대시키 는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벨트의 판상 엘리먼트의 풀리 벽면과 접촉하는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고, 이에 의해 접촉면의 마찰 계수를 증대시키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209323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는 판상 엘리먼트측의 표면 형상으로 가공을 실시하였다고 해도 충분한 마찰 계수가 확보되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기본적으로,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서는 풀리의 테이퍼면과 판상 엘리먼트와의 접촉부에 있어서 회전 방향의 슬립이 발생되면, 엔진으로부터의 구동 토크의 전달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양자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풀리 사이에 압박력(이하, 풀리 추력이라 기재함)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풀리비가 저변속비인 상태에서는, 입력 풀리의 소직경측에서의 접촉 면적이 작은 것 및 입력 토크가 큰 것에 기인하여, 풀리의 테이퍼면과 판상 엘리먼트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기 쉬워, 풀리 추력을 상당히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높은 유압을 필요로 하고, 오일 펌프 부하의 증대에 수반하는 연비 효율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풀리와 판상 엘리먼트 사이의 이동 마찰 계수는 일반적으로 0.1 내지 0.12이며, 연비 효율을 한층 향상시키기 위해 마찰 계수의 향상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벨트와 풀리와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 계수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연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풀리와 접촉하는 엘리먼트 벽면의 마모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풀리 표면 거칠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적게 함으로써 마찰 계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입력축 방향으로 홈 폭을 변경 가능하게 한 입력측 풀리와, 출력축 방향으로 홈 폭을 변경 가능하게 한 출력측 풀리 사이에 판상 엘리먼트를 그 판 두께 방향으로 다수 겹쳐 무단부 밴드에 의해 묶은 벨트를 걸친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판상 엘리먼트의 상기 풀리와의 접촉면에 상기 풀리의 직경 방향에 대해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를 형성하고, 적어도 상기 입력 풀리의 테이퍼면에 동심원 또는 나선 형상으로 미세 홈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 폭과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인접하는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까지의 정상부 사이와의 합을 상기 판상 엘리먼트의 볼록부 폭 이하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실현하는 최량의 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제1 풀리(1)와 제2 풀리(2) 및 벨트(3)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 풀리(1)는 입력축(Input)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테이퍼면을 갖는 고정측 풀리(11)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측 풀리(12)로 구 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풀리(2)는 출력축(0utput)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고정측 풀리(21)와 가동측 풀리(22)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3)는 고정측 풀리(11, 21)와 가동측 풀리(12, 22)에 의해 형성되는 V 홈에 협지되고, 풀리 추력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변속비를 결정한다.
도2는 벨트(3)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벨트(3)는 판 두께 방향으로 다수 겹쳐진 판상 엘리먼트(30)와, 판상 엘리먼트(30)를 묶은 무단부 밴드(40)로 구성되어 있다. 판상 엘리먼트(30)의 측면(31)에는, 도3의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풀리의 원주 방향과 평행해지는 요철부(31a, 31b)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 윤활유를 회전 방향으로 적절하게 배출함으로써 서핑 효과에 의한 마찰력 저감을 회피하고 있다.
도3은 판상 엘리먼트(30)의 측면과 각 풀리의 접촉면 근방을 직경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3 중 상하 방향은 판상 엘리먼트(30)의 대략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각 풀리의 테이퍼면에는 동심원 형상으로 미세 홈(5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미세 홈(50)은 대체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면 좋고, 나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여기서, 판상 엘리먼트(30)의 볼록부 폭을 W1, 미세 홈(50)의 개구측 단부 폭을 W2, 개구측 단부로부터 인접하는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까지의 정상부 사이를 W3, 미세 홈(50)의 산 높이를 H1이라 한다. 한편, 홈 사이 피치(Sm) = W2 + W3으로 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판상 엘리먼트(30)의 요철부(31a, 31b)와 미세 홈(50)은 개구측 단부 폭(W2)과 정상부 사이(W3)와의 합이 볼록부 폭(W1)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판상 엘리먼트(30)가 어떤 위치에서 테이퍼면과 접촉하였다고 해도, 볼록부(31b) 상에는 반드시 미세 홈(50)이 1개 이상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상 엘리먼트(30)와 테이퍼면과의 접촉부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오일막을 거쳐서 접촉하고 있다. 이 오일막은 윤활유 중의 첨가제 성분에 의해 흡착되어 전단력을 발생시키는 토크 전달막과 윤활유로서 기능하는 윤활막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오일막을 적정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윤활막의 오일을 적절하게 배출하면서 토크 전달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판상 엘리먼트(30)의 볼록부 폭(W1)에 윤활막의 오일을 배출하는 홈이 반드시 존재하도록 설정하였다. 이에 의해, 윤활막의 오일 배출성을 높임으로써 토크 전달막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고, 볼록부(31b)와 테이퍼면과의 접촉면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마찰 계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미세 홈(50)은, 도1의 제1 풀리 정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풀리(1)의 테이퍼면 상이며, 풀리비 ≥ 1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풀리비 ≥ 1의 영역에서는 특히 큰 토크가 작용하고, 또한 벨트와 풀리와의 접촉 반경이 작으므로 1개의 판상 엘리먼트(30)에 가해지는 토크 분담이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미세 홈(50)의 가공 부위를 필요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가공 공정수를 저감시키면서 높은 마찰 계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 이외의 테이퍼면에 가공을 실시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표면 거칠기(Ra) 및 홈 피치(Sm)의 측정 방법]
지금까지, 도2의 개략도를 이용하여 Ra 및 Sm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여기서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Ra, 홈 피치(Sm)의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Ra라 함은, JISB0601-1994에 기재된 산출 평균 거칠기(Ra)를 가리킨다.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그 평균선의 방향으로 기준 길이(L)만큼 발취하고, 그 발취 부분의 평균선으로부터 측정 곡선까지의 편차의 절대치를 합계하여 평균한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홈 피치(Sm)라 함은, JISB0601-1994에 기재된 거칠기 요철의 평균 간격(Sm)을 가리킨다. Sm은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그 평균선의 방향으로 기준 길이(L)만큼 발취하고, 1개의 산 및 그에 인접하는 1개의 골에 대응하는 평균선의 길이의 합을 구하여 평균한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Ra 및 Sm을 이하에 나타내는 측정 조건 하에서 측정한 값을 이용하였다.
·측정기 : Taylor Hobson 폼 타리사프 S5
·측정 길이 : 5 mm
·평가 길이 : 4 mm
·컷 오프 : 0.8 mm
·필터 : 가우시안
·밴드 폭 : 100 : 1
·촉침의 선단부 반경 : 2 ㎛
[미세 홈의 구성을 규정하는 각종 변수에 대한 평가 시험]
상술한 작용 효과를 달성하는 미세 홈(50)을 규정하는 것으로서, 표면 거칠기(Ra) 및 피치(Sm), 미세 홈의 산 높이(H1)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판상 엘리먼트의 요철부(31)의 피치는 약 200 ㎛이며, 볼록부(31b)의 평탄부 폭(W1)은 약 30 ㎛이다. 이 판상 엘리먼트를 전제로 각 시료와의 비교를 행하였다. 시험 방법으로서는, 판상 엘리먼트에 각 시료(테이퍼면)에 대해 하중을 엘리먼트 1매당 하중 392 N으로 접촉시키고, CVT 윤활유 중(유온 110 ℃)에 있어서, 속도 0 내지 0.8 ㎧의 범위로 상승 및 하강시키고, 연속적으로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 하강측의 마찰 계수를 측정하였다. 이 조건은, 실제의 차량에 탑재하였을 때의 Low 변속비에 상당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마찰 계수(μ)의 값은, 상술한 평가 조건에서 속도 0.7 ㎧시의 측정치를 이용하였다.
[표면 거칠기(Ra)에 대해]
도4는 표면 거칠기(Ra)와 마찰 계수(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는 테이퍼면의 연마에 의해 작성된 다양한 Ra를 갖는 시료의 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는 연마에 의해 작성된 시료의 표면을 배니시 가공에 의해 미세 홈의 산 높이(H1)를 더욱 조정하고, 표면 거칠기(Ra)를 작게 한 시료의 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또한, 도10에는 이 ○에 대응하는 시료 표면의 미세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조감도를 나타낸다. △은 숏 피닝 가공(숏 직경 0.05)에 의해 표면 거칠기(Ra)를 조정한 시료의 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또한, 도11에는 이 △에 대응하는 시료 표면의 미세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조감도를 나타낸다. ▽은 숏 피닝 가공(숏 직경 0.03)에 의해 표면 거칠기(Ra)를 조정한 시료의 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은 숏 직경 0.05의 숏 피닝 가공 후, 연마(필름 랩 가공)를 실시하여 표면 거칠기(Ra)를 조정한 시료의 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또한, 도12에는 이 ▲에 대응하는 시료 표면의 미세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조감도를 나타낸다.
■는 테이퍼면 연마 후, 필름 랩 가공을 실시하여 표면 거칠기(Ra)를 조정한 시료의 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는 하드 터닝 가공을 실시하여 표면 거칠기(Ra)를 조정(Sm = 15 ㎛)한 시료의 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는 하드 터닝 가공을 실시하여 표면 거칠기(Ra)를 조정(Sm = 10 ㎛)한 시료의 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또한, 도13에는 이 ◆에 대응하는 시료 표면의 미세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조감도를 나타낸다.
표면 거칠기(Ra)라 함은, 산 높이의 중심선에서 골을 되접어 그 중심선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의 단위 길이당 면적을 길이로 나눈 값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표면 거칠기(Ra)와 피치(Sm) 및 산 높이(H1)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Ra = kㆍf(Sm)ㆍg(H1)
의 관계가 성립된다. 한편 함수(f, g)는 미세 홈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평균치를 나타내는 함수이며, k는 정수이다. 기본적으로는 Sm이 커지면 f(Sm)는 커지고, H1이 커지면 g(H1)도 커진다.
[연마와 연마 + 롤러 배니시 가공과의 대비]
종래 기술에서는, 도4의 해칭 부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면의 표면 거칠기(Ra)는 0.28 이상으로 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마찰 계수도 0.113 미만으로 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연마만을 실시한 ○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Ra)를 0.25 이하로 함으로써 마찰 계수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연마만을 실시한 ○에 대해 롤러 배니시 가공에 의해 산 높이(H1)를 작게 하고, Ra를 작게(구체적으로는 Ra ≤ 0.25) 한 ●에서는 마찰 계수의 향상을 더욱 달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롤러 배니시 가공에 의해 산 높이(H1)를 조정할 때, Ra를 작게 할 뿐만 아니라 테이퍼면의 볼록부 표면을 적절하게 평활화하게 된다. 이에 의해, 토크 전달막을 확보하는 면적이 증대되어 마찰 계수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단, Ra가 0.05 미만일 때는 미세 홈에 의한 윤활유의 배출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Ra ≥ 0.05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표면 거칠기(Ra)에 대응하는 산 높이(H1)로서는 0.5 ㎛ 내지 2.5 ㎛의 범위에 대응하므로, 이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와 연마 + 필름 랩 가공과의 대비]
다음에, 연마만을 실시한 ○에 대해 필름 랩 가공에 의해 산 높이(H1)를 작게 하고, Ra를 작게 (구체적으로는 Ra ≤ 0.2) 한 ■에서는, 마찰 계수의 향상을 더욱 달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Ra가 0.03 미만일 때에는 미세 홈에 의한 윤활유의 배출 효과가 저하되므로 Ra ≥ 0.03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표면 거칠기(Ra)에 대응하는 산 높이(H1)로서는 0.5 ㎛ 내지 2.5 ㎛의 범위에 대응하므로 이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숏 피닝 가공과 숏 피닝 + 필름 랩 가공과의 대비]
숏 피닝 가공을 실시할 때, 숏 직경을 0.05로부터 0.03으로 작게 함으로써 표면 거칠기(Ra)는 그다지 변화하지 않지만, 숏 직경이 작은 쪽이 마찰 계수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숏 직경이 0.05인 것에 필름 랩 가공을 실시하면, 숏 직경을 작게 하는 것보다도 높은 마찰 계수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윤활유를 적절하게 배출하면서 토크 전달막을 보다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숏 피닝 가공과 연마에 의해 미세 홈을 형성한 것을 비교하면,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면 표면에는 도10에서 나타낸 미세 홈 구조가 나타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같은 정도의 표면 거칠기(Ra)로 비교한 경우 숏 피닝 가공보다도 우수한 마찰 계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마찰 계수에 미치는 Ra 축소화의 효과는 크고, 다양한 공법에 의해 Ra를 작게 하여 본 발명의 Ra : 0.05 내지 0.25, Ra : 0.03 내지 0.2로 함으로써 마찰 계수가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도6에 풀리 초기 Ra와 시험 전후의 Ra 변화량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를 작게 하여 Ra ≤ 0.2로 함으로써 거칠기(Ra)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시험 전후의 변화)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Ra ≤ 0.2로 함으로써 풀리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표면 형상 및 거칠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칠기에 크게 영향을 받는 마찰 계수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7에 풀리 초기 Ra와 시험 종료 후의 엘리먼트 볼록부의 마모량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를 작게 하여 Ra ≤ 0.2로 함으로써 엘리먼트 볼록부의 마모량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Ra ≤ 0.2로 함으로써 풀리 의 마모를 억제하여, 표면 형상 및 거칠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먼트의 마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치(Sm)에 대해]
전술한 도4에 있어서, 피치(Sm)의 크기별로 플롯을 분류하였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Ra라도 피치(Sm)가 작을수록 마찰 계수가 증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5는 Ra < 0.25에서의 피치(Sm)와 마찰 계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숏 피닝 가공만 실시한 경우, 평균 피치(Sm)는 40 ㎛를 넘게 되어, 역시 충분한 마찰 계수는 확보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해, 필름 랩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피치(Sm)를 30 ㎛ 정도로 조정하면 마찰 계수가 증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하드 터닝 가공 등에 의해 피치(Sm)를 20 ㎛ 이하(Sm = 15 ㎛), 15 ㎛ 이하(Sm = 10 ㎛)로 더욱 작게 조정하면 마찰 계수가 대폭 증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표면 거칠기(Ra)를 적절하게 설정하면서 피치(Sm)를 30 ㎛ 정도, 또는 20 ㎛ 이하, 15 ㎛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마찰 계수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피치(Sm)의 조정은 정밀 연삭 등 하드 터닝 이외의 공법이라도 좋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연마에 의해 미세 홈을 형성한 후, 롤러 배니시 가공이나 필름 랩 가공을 실시하는지 여부는 기본적으로 피치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산 높이(H1)에 영향을 주는 가공이므로, 피치(Sm)로서는 거의 동일한 값(30 ㎛ 이하)으로서 나타나 있다. 하드 터닝 가공이나 연마에 의한 미세 홈의 형성에서는, 표면 거칠기 (Ra) 및 피치(Sm)의 양방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연마와 하드 터닝 가공과의 대비]
연마만을 실시한 ○에 대해, 하드 터닝 가공에 의해 피치(Sm)를 작게(구체적으로는 Sm < 20 ㎛, Sm < 15 ㎛) 한 ◆에서는, 마찰 계수의 향상을 더욱 달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Ra × Sm/4에 대해]
도8에 풀리 표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8에서 엘리먼트와 접촉하는 복수의 거친 돌기부 중 한 산의 평균적인 단면적은,
S = (Ra × Sm/2)/2
로 근사할 수 있다.
도9에 Ra × Sm/4와 마찰 계수(μ)의 관계를 나타낸다. 지금까지 Ra 및 피치(Sm) 각각을 작게 함으로써 마찰 계수가 향상하는 것을 설명해 왔지만, 도9로부터 거친 돌기부 중 한 산의 단면적[S = (Ra × Sm/2)/2]이 작을수록 μ은 향상하고, (Ra × Sm/2)/2 < 1.5로 함으로써 대폭적인 마찰 계수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 및 효과]
이하, 상기 실시예 및 시험 결과를 기초로 한 작용 효과를 열기한다.
(1) 풀리의 테이퍼면에 동심원 또는 나선 형상으로 미세 홈(50)을 형성하고, 미세 홈(50)의 개구측 단부 폭(W3)과, 미세 홈(50)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인접하는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까지의 정상부 사이(W2)와의 합[홈 피치(Sm)]을 판상 엘리먼트 측면의 볼록부 폭(W1) 이하로 하였다. 따라서, 판상 엘리먼트 측면의 볼록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미세 홈이 확실하게 존재하게 되어, 윤활유의 배출성을 확보하면서 토크 전달막과 판상 엘리먼트와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2) 미세 홈(50)이 마련된 테이퍼면의 표면 거칠기를 Ra = 0.05 ㎛ 내지 0.25 ㎛의 범위로 형성하였다. 이 범위에 있어서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마찰 계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3) 미세 홈(50)이 마련된 테이퍼면의 표면 거칠기를 Ra = 0.03 ㎛ 내지 0.2 ㎛의 범위로 형성하였다. 이 범위에 있어서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마찰 계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범위에 있어서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칠기(Ra)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시험 전후의 변화)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Ra ≤ 0.2 ㎛로 함으로써 풀리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표면 형상 및 거칠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칠기에 크게 영향을 받는 마찰 계수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범위에 있어서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먼트 볼록부의 마모량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Ra ≤ 0.2 ㎛로 함으로써 풀리의 마모를 억제하여, 표면 형상 및 거칠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먼트의 마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미세 홈(50)의 산 높이(H1)를 0.5 ㎛ 내지 2.5 ㎛의 범위로 형성하였다. 적정한 표면 거칠기(Ra)에 대응하는 산 높이(H1)를 규정함으로써, 미세 홈 사이의 볼록부 정상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토크 전달막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5) 미세 홈(50)의 홈 피치(Sm)를 30 ㎛ 이하로 형성하였다. 이 범위에 있어서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표면 거칠기라도 더욱 양호한 마찰 계수를 확보할 수 있다.
(6) 미세 홈(50)의 홈 피치(Sm)를 20 ㎛ 이하로 형성하였다. 이 범위에 있어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표면 거칠기라도 더욱 양호한 마찰 계수를 확보할 수 있다.
(7) 미세 홈(50)의 홈 피치(Sm)를 15 ㎛ 이하로 형성하였다. 이 범위에 있어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표면 거칠기라도 더욱 양호한 마찰 계수를 확보할 수 있다.
(8) Ra × Sm/4 < 1.5가 되도록 미세 홈(50)을 형성하였다. 이 범위에 있어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폭적인 마찰 계수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9) 미세 홈(50)을, 테이퍼면 상이며, 풀리비 ≥ 1의 영역에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높은 마찰 계수가 요구되는 부분만 가공하므로 풀리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판상 엘리먼트의 볼록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미세 홈이 확실하게 지나가게 되고, 접촉면에 있어서의 윤활유의 배출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접촉면의 마찰 계수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에 의한 토크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연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입력축 방향으로 홈 폭을 변경 가능하게 한 입력측 풀리와 출력축 방향으로 홈 폭을 변경 가능하게 한 출력측 풀리 사이에, 판상 엘리먼트를 그 판 두께 방향으로 다수 겹쳐 무단부 밴드에 의해 묶은 벨트를 걸친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판상 엘리먼트의 측면이며 상기 풀리와의 접촉면에 상기 풀리의 직경 방향에 대해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를 형성하고,
    적어도 상기 입력 풀리의 테이퍼면에 동심원 또는 나선 형상으로 미세 홈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 폭과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인접하는 미세 홈의 개구측 단부까지의 정상부 사이와의 합(이하, 홈 피치라 기재함)을 상기 판상 엘리먼트의 볼록부 폭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이 마련된 테이퍼면의 표면 거칠기를 Ra = 0.05 ㎛ 내지 0.25 ㎛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이 마련된 테이퍼면의 표면 거칠기를 Ra = 0.03 내지 0.2 ㎛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의 산 높이를 0.5 ㎛ 내지 2.5 ㎛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의 상기 홈 피치를 30 ㎛ 이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의 상기 홈 피치를 20 ㎛ 이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의 상기 홈 피치를 15 ㎛ 이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거칠기를 Ra, 상기 홈 피치를 Sm이라 하였을 때,
    Ra × Sm/4 < 1.5
    가 되도록 상기 미세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을 상기 테이퍼면 상이며, 풀리비 ≥ 1의 영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
KR1020050024715A 2004-03-26 2005-03-25 벨트식 무단 변속기 KR101088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91984 2004-03-26
JPJP-P-2004-00091984 2004-03-26
JP2005069942A JP4210661B2 (ja) 2004-03-26 2005-03-11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JP-P-2005-00069942 2005-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717A true KR20060044717A (ko) 2006-05-16
KR101088587B1 KR101088587B1 (ko) 2011-12-06

Family

ID=3498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15A KR101088587B1 (ko) 2004-03-26 2005-03-25 벨트식 무단 변속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06793B2 (ko)
JP (1) JP4210661B2 (ko)
KR (1) KR101088587B1 (ko)
DE (1) DE10200501420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0661B2 (ja) 2004-03-26 2009-01-21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3691836B1 (ja) 2004-08-27 2005-09-07 東洋炭素株式会社 膨張黒鉛シート
JP4851105B2 (ja) * 2005-03-07 2012-01-11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ベルト伝動装置
JP4797769B2 (ja) * 2006-04-20 2011-10-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用シーブ
JP2008039177A (ja) * 2006-07-12 2008-02-21 Yamaha Motor 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鞍乗型車両、および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シーブの製造方法
JP5030492B2 (ja) * 2006-07-12 2012-09-1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および鞍乗型車両
JP4206112B2 (ja) * 2006-08-30 2009-01-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無段変速機用プーリ
JP2008232410A (ja) * 2007-03-23 2008-10-02 Jatco Ltd 無段変速機および無段変速機の製造方法
JP4641319B2 (ja) 2008-05-12 2011-03-02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ベルト
JP2011137492A (ja) 2009-12-28 2011-07-14 Honda Motor 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用プーリーの製造方法
JPWO2012144023A1 (ja) * 2011-04-20 2014-07-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2251578A (ja) * 2011-06-01 2012-12-20 Nissan Motor Co Ltd チェーン式無段変速伝動機構
US11136800B2 (en) * 2011-09-30 2021-10-05 Charles Larsen Gate roller with tapered side walls and related methods
NL1039278C2 (en) * 2011-12-30 2013-07-03 Bosch Gmbh Robert BELT-AND-PULLEY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NL1039559C2 (en) * 2012-04-23 2013-10-28 Bosch Gmbh Robert Belt-and-pulley-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104334917B (zh) * 2012-07-06 2016-03-0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金属带用元件
US10851884B2 (en) 2014-03-14 2020-12-01 ZPE Licensing Inc. Super charger components
US11041558B2 (en) * 2014-03-14 2021-06-22 ZPE Licensing Inc. Super charger components
US10655723B2 (en) * 2014-03-14 2020-05-19 ZPE Licensing Inc. Super charger components
US9382995B2 (en) * 2014-12-01 2016-07-05 Extreme Industrial Coatings, LLC Pulley for use with a non-synchronous drive belt
US9789701B1 (en) * 2016-09-19 2017-10-17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on a three-dimensional (3D) curved object
US10794663B2 (en) 2017-05-11 2020-10-06 ZPE Licensing Inc. Laser induced friction surface on firearm
JP6651557B2 (ja) * 2017-08-09 2020-0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プーリの製造方法
CN109386587A (zh) * 2017-08-09 2019-02-2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无级变速器用带轮及无级变速器用带轮的制造方法
WO2019112026A1 (ja) * 2017-12-07 2019-06-1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伝達ベルトおよび無段変速機並びにエレメントの設計方法、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IT201800000645A1 (it) * 2018-01-09 2019-07-09 Megadyne S P A Cinghia con protuberanz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4270A (ja) 1986-02-07 1987-08-1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ベルト駆動式無段変速機
JP2686973B2 (ja) * 1988-07-14 1997-12-08 スズキ株式会社 ベルト駆動式無段変速機用ディスクの製法
NL8900266A (nl) * 1989-02-03 1990-09-03 Doornes Transmissie Bv Overbrenging voorzien van een drijfriem en v-vormige poelies.
JPH0510405A (ja) 1991-06-28 1993-01-19 Toyota Motor Corp ベルト式伝動装置
JP3209323B2 (ja) 1996-10-11 2001-09-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型無段変速機用板状エレメントおよびベルトならびにベルト型無段変速機
US5829135A (en) * 1996-12-05 1998-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joining a stationary pulley and shaft assembly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NL1006776C2 (nl) * 1997-08-15 1999-02-16 Doornes Transmissie Bv Drijfriem, schakel daarvoor en constructie waarin zulks is toegepast.
JP2000130527A (ja) * 1998-10-30 2000-05-12 Nissan Motor Co Ltd Vベルト式無段変速機用プーリー及び無段変速機
US6290397B1 (en) * 1998-11-30 2001-09-18 The Timken Company Ooze flow bearing
JP3692837B2 (ja) * 1999-06-22 2005-09-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01065651A (ja) 1999-09-01 2001-03-16 Nissan Motor 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02139114A (ja) 2000-11-02 2002-05-17 Aichi Mach Ind Co Ltd ベルト駆動システム
DE10057726A1 (de) 2000-11-22 2002-06-13 Luk Lamellen & Kupplungsbau Getriebe
JP2003083407A (ja) 2001-09-11 2003-03-19 Toyota Motor Corp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04091984A (ja) 2002-08-30 2004-03-25 Mitsubishi Rayon Co Ltd 発熱性及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性を有する繊維
JP2005069942A (ja) 2003-08-26 2005-03-17 Univ Kanazawa 位相シフト法による計測方法と装置
JP4210661B2 (ja) 2004-03-26 2009-01-21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14207B4 (de) 2018-05-24
KR101088587B1 (ko) 2011-12-06
US7806793B2 (en) 2010-10-05
US20050221938A1 (en) 2005-10-06
DE102005014207A1 (de) 2005-10-13
JP4210661B2 (ja) 2009-01-21
JP2005321090A (ja)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587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
KR100620940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용 풀리의 제조 방법
KR20090117987A (ko) 무단 변속기용 벨트
EP0950830B1 (en) Metal belt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EP1167819A2 (en) Toroid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102272475B (zh) 驱动带
JP5717145B2 (ja) チェーン式無段変速機用プーリ
JP5304917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KR102647465B1 (ko) 원추 롤러 베어링
EP1972831A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876615B2 (en) Pulley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ethod of producing pulley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1524451A1 (en) Push belt
US20110028258A1 (en) High load drive v-belt
EP2798237B1 (en) Belt-and-pulley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1893889B1 (en)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verse element for such a drive belt
KR20120101562A (ko) 볼록한 풀리 시브를 구비한 변속기용 구동 벨트
KR101113355B1 (ko) 횡방향 요소 및 밴드 세트를 구비한 구동 벨트
JP2021110389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937307B (zh) 具有承载环和横向段的传动带
KR101909302B1 (ko) 표면 프로파일이 구비된 가요성 금속 링 및 이러한 링의 적층된 세트를 포함하는 구동 벨트
JP6711184B2 (ja) チェーン式無段変速伝動機構
JP6322992B2 (ja) チェーン式無段変速伝動機構の製造方法
WO2013150999A1 (ja) V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プーリ推力調整装置及び方法
KR20080077375A (ko)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WO2006068458A1 (en) Drive belt for a continuosly variable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