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478A - 유아용 시트 및 유아용 의자 - Google Patents

유아용 시트 및 유아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478A
KR20060044478A KR1020050023159A KR20050023159A KR20060044478A KR 20060044478 A KR20060044478 A KR 20060044478A KR 1020050023159 A KR1020050023159 A KR 1020050023159A KR 20050023159 A KR20050023159 A KR 20050023159A KR 20060044478 A KR20060044478 A KR 20060044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ouble structure
infant
plat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051B1 (ko
Inventor
유키오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6Children's chair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2Fold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8Children's chairs convertible to a rocking chair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유아용 시트는 주로 유아의 엉덩이가 걸쳐지는 시트부[坐部](10)와, 이 시트부(10)의 후방에 배치되고, 리클라이닝 기구(11a)를 갖고 있는 등받이부[背部](11)와, 시트부(10)의 전방에 설치된 스텝(step)(13)을 구비하고 있다. 리클라이닝 기구(11a)에 의해, 등받이부(11)를 의자로 사용 가능한 상태와 침대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10) 및 등받이부(11)에서의 유아의 등으로부터 엉덩이의 범위를 지지하는 부분이 제 1 및 제 2 이중 구조체(32a, 32b)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및 제 2 이중 구조체(32a, 32b)의 시트판(28) 및 등받이판(30b)에 다수의 공기 구멍(28, 30)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이중 구조체(32a, 32b)의 전후에 공기 유통구(29, 28a)가 형성되어 있다.
등받이부, 카 시트, 의자, 침대, 공기 유통구, 레버, 유모차

Description

유아용 시트 및 유아용 의자{CHILD SEAT AND CHILD CHAIR}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아용 의자의 측면도.
도 3은 유아용 시트를 침대로 사용 가능하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과 시트 지지 부재의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유아용 의자를 로(low) 포지션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유아용 시트의 종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아용 시트
1a : 유아용 의자
2 : X자각(지지각)
7 : 시트 지지 부재
9 : 힌지 결합부
10 : 리클라이닝 기구
11 : 등받이부[背部]
11a : 리클라이닝 기구
13 : 스텝
13a : 측벽
16 : 슬라이드 바
19 : 조절 구멍
20 : 핀
21 : 스프링
22 : 레버
25 : 축
본 발명은 신생아, 젖먹이 또는 아동 등의 유아를 위해 사용되는 유아용 시트(seat) 및 유아용 시트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유아용 시트에 리클라이닝 기구를 설치하고, 유아를 재운 상태로 하거나 또는 앉힌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용 시트를 지지하는 각부(脚部)에 바퀴를 설치하여 실내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하고 또한 식사할 때 등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의자가 제안되어 실용화되어 있다. 즉 상기 유아용 의자로서는 전각과 후각의 중간부를 서로 피봇 부착함으로써 X자 형상으로 구성된 좌우 한 쌍의 X자각(脚)에 의해서 유아용 시트를 지지하도록 하고, 바퀴가 설치된 X자 형상의 전각과 후각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 로 회동(回動)시킴으로써 유아용 시트의 높이 조절을 행할 수 있었다. 또한 실내에서의 이동시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특히 전각의 선단부에 캐스터(caster)가 설치되어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3―24189호 공보
그런데, 특히 여름철 등에 상기 유아용 의자를 침대로 사용하는 경우에 유아의 몸에서 나는 땀에 의해서 유아의 등이나 엉덩이가 짓무르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짓무름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유아용은 시트의 시트부 및 등받이부에 공기 구멍을 설치하여 공기가 이면측으로 유통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유아의 몸에서 나는 땀의 양이 많아 유아용 시트의 등받이부나 시트부의 표면측에 땀으로 인한 물방울이 고이는 경우가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유아용 시트의 시트부 및 등받이부에 공기 구멍을 설치한 정도로는 물방울의 굄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유아에 밀착되어 있는 시트부 및 등받이부에 땀이 고이는 것과 같은 것이 경우가 없고, 위생적인 유아용 시트 및 유아용 의자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로 유아의 엉덩이가 걸쳐지는 시트부와, 이 시트부의 후방에 배치된 등받이부와, 등받이부에 설치되고, 의자로 사용 가능한 상태와 침대로 사용 가능한 상태 사이에서 등받이부를 요동(搖動)하여 유지하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구 비하고, 시트부 및 등받이부는 시트판과 제 1 저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이중 구조체 및 등받이판과 제 2 저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이중 구조체를 각각 갖고, 시트판 및 등받이판에 각각 다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고,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는 서로의 내부가 연통하며 또한 제 1 이중 구조체의 전부(前部) 및 제 2 이중 구조체의 후부(後部)에 각각 공기 유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가 전부 및 후부에 공기 유통구가 형성된 오목부와, 오목부 위에 배치된 시트판 및 등받이판을 갖는 일체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제 1 저판과 제 2 저판은 일체가 되어서 오목부의 저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가 시트부와 등받이부 중 유아의 등으로부터 엉덩이의 범위까지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오목부 위에 설치된 시트판이 오목부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제 1 이중 구조체와 제 2 이중 구조체가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와, 전각과 후각을 갖고, 유아용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각(支持脚)을 구비하고, 유아용 시트는 주로 유아의 엉덩이가 걸쳐지는 부분과, 이 시트부의 후방에 배치된 등받이부와, 등받이부에 설치되고, 의자로 사용 가능한 상태와 침대로 사용 가능한 상태 사이에서 등받이부를 요동하여 유지하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구비하고, 시트부 및 등받이부는 시트판과 제 1 저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이중 구조체 및 등받이판과 제 2 저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이중 구조체를 각각 갖고, 시트판 및 등받이판에 각각 다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고,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는 서로의 내부가 연통하며, 또한 제 1 이중 구조체의 전부(前部) 및 제 2 이중 구조체의 후부(後部)에 각각 공기 유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이다.
본 발명은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가 전부 및 후부에 공기 유통구가 형성된 오목부와, 오목부 위에 배치된 시트판 및 등받이판을 갖는 일체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제 1 저판과 제 2 저판은 일체가 되어서 오목부의 저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이다.
본 발명은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가 시트부와 등받이부 중 유아의 등으로부터 엉덩이의 범위까지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이다.
본 발명은 오목부 위에 설치된 시트판이 오목부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이다.
본 발명은 제 1 이중 구조체와 제 2 이중 구조체가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의 시트부 및 등받이부에서의 유아의 등으로부터 엉덩이의 범위를 지지하는 부분이 서로 연통하는 제 1 이중 구조체와 제 2 이중 구조체를 갖고, 제 1 및 제 2 이중 구조부체의 시트판 및 등받이판에 다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며, 제 1 이중 구조체의 전부(前部) 및 제 2 이중 구조체의 후부(後部)에 공기 유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아에 밀착되어 있는 시트부 및 등받이부에 괸 땀을 발산시킬 수 있어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유아용 의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그 측면도이다. 유아용 의자(1a)는 유아용 시트(1)와, 유아용 시트(1)를 시트 지지 부재(7)를 통해서 지지하는 동시에 좌우 한 쌍의 X자 형상으로 형성된 X자각(脚)(지지각)(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X자각(2)은 전각(3) 및 후각(4)으로 이루어지고, 전각(3)과 후각(4)의 중간부가 핀(5)에 의해서 서로 피봇 부착되어 있다. 좌우의 전각(3)은 전부(前部) 연결간(杆)(6a)에 의해 연결되고, 좌우의 후각(4)은 후부(後部) 연결간(6b)(도 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각(4)의 상단부는 시트 지지 부재(7)의 전부에 설치된 보스(8)에 피봇 부착되어 있으며, 전각(3)의 상단부는 시트 지지 부재(7)의 후부에 그 시트 지지 부재(7)에 대하여 전후(前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 결합부(9)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 지지 부재(7)의 외측면에는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시트 지지 부재(7) 및 상기 보스(8) 및 힌지 결합부(9)의 상부를 덮는 커버(7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 지지 부재(7) 위에 상기 유아용 시트(1)가 전후로 요동 가능하도록 올려져 있다.
상기 유아용 시트(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아가 주로 엉덩 이를 걸치는 시트부(10)와, 이 시트부(10)의 후방에 배치된 등받이부(11)와, 등받이부(11)의 상방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12) 및 시트부(10)의 전방(前方)에 설치된 스텝(13)을 구비하고 있다.
등받이부(11)에는, 등받이부(11)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워서 의자로 사용 가능한 상태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젖혀서 침대로 사용 가능한 상태 사이에서 요동하여 유지하는 리클라이닝 기구(11a)가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침대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등받이부(11)를 젖혔을 때에는 상기 등받이부(11)의 후방으로의 요동에 대응하여 스텝(13)도 상방으로 요동하여 유아의 발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텝(13)의 양 측부에는 측벽(13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침대로 사용 중에 유아의 전락(轉落)이 방지되는 동시에 혹시 떨어질지도 모른다는 시각적인 불안감이 없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전각(3) 및 후각(4)과 시트 지지 부재(7)의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후각(4)의 상단부가 시트 지지 부재(7)의 보스(8)에 핀(14)에 의해 피봇 부착되고, 전각(3) 상단부가 힌지 결합부(9)에 핀(15)에 의해 피봇 부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에는 슬라이드 바(16)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슬라이드 바(16)가 시트 지지 부재(7) 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바(16)에는 전후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힌지 결합부(9)까지 연장되는 긴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17)에 대하여 시트 지지 부재(7)에 소정 간격으로 돌출 설치된 2 개의 핀(18)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긴 구멍 (17)과 핀(18)의 결합에 의해 슬라이드 바(16)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바(16)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도 4 중 좌(左) 방향, 즉 X자각(2)이 연장되어 높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슬라이드 바(16)는 단면 사각형을 하고 있으며, 그 슬라이드 바(16)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조절 구멍(19)이 열(列) 형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시트 지지 부재(7)에는 상기 조절 구멍(19)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핀(2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핀(20)은 스프링(21)에 의해서 삽입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또한 핀(20)의 직경이 확대된 부분에 고정되는 레버(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22)는 시트 지지 부재(7)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핀(20)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지지 부재(7)의 외측으로부터 레버(22)를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스프링(2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핀(20)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조절 구멍(19)으로부터 분리된다. 핀(20)이 조절 구멍(19)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슬라이드 바(16)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도면 중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X자 형상으로 교차하여 힌지 결합되어 있는 X자각(2)이 연장되어 의자의 높이가 높아진다.
한편 이 상태에서 핀(20)을 조절 구멍(19)에서 뽑고, 시트 지지 부재(7)를 밀어 내리면 슬라이드 바(16)가 힌지 결합부(9)와 함께 도 2에서 우(右)방향으로 이동하여 전각(3) 및 후각(4)의 경사각이 작아지게 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9)가 가장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핀(20)을 조절 구멍(19)에 결합시키면 높이가 낮게 접힌 상태로 된다. 이 접힌 상태를 도 5에 나타내었다.
한편 모든 전각(3) 및 후각(4)의 하단부에는 각각 쌍륜식의 캐스터(24)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캐스터(24)에 의해 유아용 의자는 전후 좌우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선회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회전이 가능하여 좁은 실내에서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상기 유아용 시트(1)의 종단 측면도이며, 시트부(10)에 대하여 등받이부(11)가 세워져서 의자로 사용 가능한 상태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젖혀서 침대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등받이부(11)는 축(25)를 중심으로 하여 경사 가능하도록 회동하고, 리클라이닝 기구(11a)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시트부(10)는 다수의 공기 구멍(27)이 설치된 시트판(28)과 제 1 저판(26a)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이중 구조체(32a)를 가지며, 등받이부(11)도 다수의 공기 구멍(30)이 설치된 등받이판(30a)과 제 2 저판(30b)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이중 구조체(32b)를 갖고 있다. 이 제 1 이중 구조체(32a)는 유아의 엉덩이의 범위에 연장하고, 제 2 이중 구조체(32b)는 유아의 등의 범위에 연장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이중 구조체(32a)와 제 2 이중 구조체(32b)는 유아의 엉덩이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오목부(26)와, 오목부(26) 위에 배치된 시트판(28a) 및 등받이판(30a)으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이중 구조체로 되어 있고, 이를 위해서 제 1 이중 구조체(32a)와 제 2 이중 구조체(32b)는 서로의 내부가 연통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이중 구조체(32a)의 제 1 저판(26a)과 제 2 이중 구조체(32b)의 제 2 저판(30b)에 의해서 오목부(26)의 저판이 구성된다.
물론 제 1 이중 구조체(32a)와 제 2 이중 구조체(32b)를 별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로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부분에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오목부(26)에는 다수의 공기 구멍(27)이 설치된 시트판(28)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26)의 제 1 저부(26a)와 시트판(28)에 의해 제 1 이중 구조체(32a)가 구조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6)의 전벽부(前壁部)에는 공기 유통구(29)가 형성되고, 오목부(26)의 후부는 대기 중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6)의 전부 및 후부에는 각각 공기 유통구(28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등받이부(11)의 제 2 구조체(32b)의 등받이판(30a)에도 다수의 공기 구멍(30)이 설치되며, 등받이부(11)를 젖힌 상태일 때에 시트부(10)의 시트판(28)의 공기 구멍(28)과 등받이판(30b)의 공기 구멍(30)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1)에서 자고 있는 유아가 흘린 땀은 상기 등받이부(11)의 등받이판(30a)의 공기 구멍(30) 및 시트부(10)의 시트판(28)의 공기 구멍(27)을 거쳐서 상기 오목부(26)와 시트판(28) 및 등받이판(30b)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이중 구조체(32a, 32b) 내로 유입된다. 이 때문에 유아에 밀착되어 있는 시트부(10) 및 등받이부(11)의 표면에 땀이 고이는 경우가 없고,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이중 구조체(32a, 32b) 내로 유입된 땀은 오목부(26)의 전부 및 후부에 형성된 공기 유통구(29, 28a)를 거쳐서 제 1 및 제 2 이중 구조체(32a, 32b) 내를 유통하는 외기(外氣)에 의해 발산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시트판(28)을 분리하여 오목부(26) 내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유아용 시트(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히 상기 시트(1)가 전후로 요동 스윙 가능하게 X각(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윙 동작에 의해 외기가 제 1 및 제 2 이중 구조체(32a, 32b) 내로 적극적으로 유통되어 제 1 및 제 2 이중 구조체(32a, 32b) 내에 괸 땀 등의 수분이 효과적으로 발산되어 위생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구조체를 형성하고 이 이중 구조체의 시트면과 등받이면에 다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가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시트부와 등받이부에 고인 땀을 발산시킬 수 있으므로, 쾌적하고 위생적인 유아용 시트 및 유아용 의자가 제공된다.

Claims (10)

  1. 주로 유아의 엉덩이가 걸쳐지는 시트부와,
    시트부의 후방에 설치된 등받이부와,
    등받이부에 설치되고, 의자로 사용 가능한 상태와 침대로 사용 가능한 상태 사이에서 등받이부를 요동(搖動)하여 유지하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구비하고,
    시트부 및 등받이부는 시트판과 제 1 저판(底板)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이중 구조체 및 등받이판과 제 2 저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이중 구조체를 각각 갖고,
    시트판 및 등받이판에 각각 다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고,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는 서로의 내부가 연통하며, 또한 제 1 이중 구조체의 전부(前部) 및 제 2 이중 구조체의 후부(後部)에 각각 공기 유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는 전부 및 후부에 공기 유통구가 형성된 오목부와, 오목부 위에 배치된 시트판 및 등받이판을 갖는 일체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제 1 저판과 제 2 저판은 일체가 되어서 오목부의 저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는 시트부와 등받이부 중 유아의 등으로부터 엉덩이의 범위까지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오목부 위에 설치된 시트판은 오목부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이중 구조체와 제 2 이중 구조체는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6. 유아용 시트와,
    전각과 후각을 갖고, 유아용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각(支持脚)을 구비하고,
    유아용 시트는,
    주로 유아의 엉덩이가 걸쳐지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배치된 등받이부와,
    등받이부에 설치되고, 의자로 사용 가능한 상태와 침대로 사용 가능한 상태 사이에서 등받이부를 요동하여 유지하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구비하고,
    시트부 및 등받이부는 시트판과 제 1 저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이중 구조체 및 등받이판과 제 2 저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이중 구조체를 각각 갖고,
    시트판 및 등받이판에 각각 다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고,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는 서로의 내부가 연통하며, 또한 제 1 이중 구조체의 전부(前部) 및 제 2 이중 구조체의 후부(後部)에 각각 공기 유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는 전부 및 후부에 공기 유통구가 형성된 오목부와, 오목부 위에 배치된 시트판 및 등받이판을 갖는 일체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제 1 저판과 제 2 저판은 일체가 되어서 오목부의 저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이중 구조체 및 제 2 이중 구조체는 시트부와 등받이부 중 유아의 등으로부터 엉덩이의 범위까지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9. 제 7 항에 있어서,
    오목부 위에 설치된 시트판은 오목부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10.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이중 구조체와 제 2 이중 구조체는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KR1020050023159A 2004-03-30 2005-03-21 유아용 의자 KR101228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99644 2004-03-30
JP2004099644A JP4566600B2 (ja) 2004-03-30 2004-03-30 幼児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78A true KR20060044478A (ko) 2006-05-16
KR101228051B1 KR101228051B1 (ko) 2013-01-31

Family

ID=3504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159A KR101228051B1 (ko) 2004-03-30 2005-03-21 유아용 의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66600B2 (ko)
KR (1) KR101228051B1 (ko)
CN (1) CN100563516C (ko)
TW (1) TW2005364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433A1 (ko) 2018-04-03 2019-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6794B2 (en) 2011-03-14 2014-06-10 Tiny Love Ltd. Infant bouncer
JP6109639B2 (ja) * 2013-05-15 2017-04-05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DE202014104056U1 (de) * 2014-08-29 2014-09-19 Cybex Gmbh Kindersitz für ein Kraftfahrzeug
JP6957023B2 (ja) * 2018-02-01 2021-11-02 コンビ株式会社 幌及び幌を備えた育児器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27Y2 (ko) * 1987-08-31 1993-02-03
JPH1134705A (ja) * 1997-07-23 1999-02-09 Minoru Kasei Kk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1071800A (ja) * 1999-09-02 2001-03-21 Komatsu Ltd 車両用シートの送風機構
JP4572471B2 (ja) * 2000-02-29 2010-11-04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JP4896310B2 (ja) * 2001-07-16 2012-03-14 コンビ株式会社 幼児用椅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433A1 (ko) 2018-04-03 2019-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90115706A (ko)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63516C (zh) 2009-12-02
TW200536499A (en) 2005-11-16
TWI357316B (ko) 2012-02-01
JP2005279016A (ja) 2005-10-13
CN1676063A (zh) 2005-10-05
KR101228051B1 (ko) 2013-01-31
JP4566600B2 (ja)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295B2 (ja) 輸送機関のためのシート
CN100584247C (zh) 幼儿用座椅
JP5194294B2 (ja) 乳幼児用ベッドの支持構造
JP3416329B2 (ja) 子供用座席装置
JPH1059034A (ja) 座面高さ可変の車両用シート
CN107334317B (zh) 儿童高脚椅
KR101228051B1 (ko) 유아용 의자
JPH02106448A (ja) 子供用椅子を合体した車シート構造
JP2003024189A (ja) 幼児用椅子
JPH07148047A (ja) 乗物用座席
EP1442680B1 (en) Seat hammock for a child
JP2592766B2 (ja) 椅 子
KR200428121Y1 (ko) 유아용 식탁 의자
JP3823223B2 (ja) キャスター付き介護用椅子
JP6829403B2 (ja) 車両
KR102083102B1 (ko) 유아용 변기시트
JPS6342848Y2 (ko)
KR101224934B1 (ko) 육아 기구 및 육아 기구용 시트
KR200423606Y1 (ko) 3인용 쇼파
KR200333281Y1 (ko) 카시트
JP2006198186A (ja) 揺動椅子
JPH03182870A (ja) 乳母車の座席
KR200450137Y1 (ko) 영유아용 안전 시트
JPH054817Y2 (ko)
JP2004229925A (ja)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