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424A - 새로운 정공 주입 또는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새로운 정공 주입 또는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424A
KR20060044424A KR1020050022762A KR20050022762A KR20060044424A KR 20060044424 A KR20060044424 A KR 20060044424A KR 1020050022762 A KR1020050022762 A KR 1020050022762A KR 20050022762 A KR20050022762 A KR 20050022762A KR 20060044424 A KR20060044424 A KR 20060044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mmol
layer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390B1 (ko
Inventor
김지은
이재철
김공겸
배재순
장준기
전상영
강민수
조욱동
전병선
김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4011638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50118098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6004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3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7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92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sulfur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8Metal complexes of other metals not provided for in one of the previous group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4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 효율 및 열적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이 유기화합물 층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에 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카바졸, 이형고리 화합물, 유기 화합물층

Description

새로운 정공 주입 또는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NEW MATERIALS FOR INJECTING OR TRANSPORTING HOL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S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전기 발광 소자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간략한 설명>
1: 기판 2: 양극
3: 정공 주입층 4: 정공 수송층
5: 유기 발광층 6: 전자 수송층
7: 음극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 효율 및 열적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이 유기화합물 층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고도의 정보화 시대에 많은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하여 멀티 미디어용 고성능 평판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평판 디스플레이의 대부분을 액정 디스플레이가 차지하고 있으나 보다 경제적이고 성능이 뛰어나면서 액정 디스플레이와 차별화된 새로운 평판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로 각광을 받고 있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비해 낮은 구동 전압, 빠른 응답 속도, 높은 효율 및 광시야각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기 전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모듈의 총 두께를 2mm이내로 만들 수 있고 0.3mm이하의 플라스틱 기판 위에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박형, 경량화 추세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정 디스플레이보다 양산시 제작 비용이 저렴한 장점도 갖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유기물 박막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여기자를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1965년에 Pope 등에 의해 안트라센의 단결정으로부터 유기 발광 물질이 처음 발견되었다. 이어 1987년 코닥사의 Tang에 의하여 유기 재료를 정공 수송층과 발광층의 2층으로 나눈 기능 분리형의 적층 구조를 갖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는 10V 이하의 저 전압에도 불구하고 1000cd/m2 이상의 높은 발광휘도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면서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커다란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 시작하였다(Tang, C. W.; VanSlyke, S. A. Appl. Phys. Lett. 1987, 51, 913). 이러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는 크게 형광을 이용하는 것과 이론적으로 형광 효율의 3배까지 나타낼 수 있는 인광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지며,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물질의 분자량에 따라서 진공승화의 공정에 의하여 소자를 형성하는 저분자 방식과, 스핀코팅이나 잉크젯 프린팅, 롤 코팅 등 용액공정을 사용하는 고분자 방식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일반적인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구조는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양극, 정공을 양극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정공주입층, 정공을 이송하는 정공 수송층,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빛을 내는 발광층, 전자를 음극으로부터 받아들여 발광층으로 전달하는 전자 수송층, 그리고 음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박막층들은 진공증착법에 의해 형성되는데,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다층 박막 구조로 제작하는 이유는 유기물질의 경우 정공의 이동 속도가 전자의 이동 속도보다 훨씬 빠르므로 적절한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사용하면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발광층에서 정공과 전자의 밀도가 균형을 이루도록 하면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기판 1은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지지체로 실리콘 웨이퍼, 석영 또는 유리판, 금속판,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이 사용되며 유리판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설폰 등의 투명한 합성수지의 판이 바람직하다.
기판 1 위에는 제 1 전극(양극) 2가 설치된다. 양극은 정공 주입층 3으로 정공을 주입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금, 은, 니켈, 팔라듐, 백금 등의 금속, 인듐-주석 산화물, 인듐-아연 산화물 등의 금속산화물, 할로겐화금속, 카본블랙, 또는 폴리 (3-메틸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등의 전도성 고분자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제 1전극인 양극 2 위에는 정공 주입층 3이 위치된다. 이러한 정공주입층의 물질로 요구되는 조건은 양극으로부터의 정공주입 효율이 높으며, 주입된 정공을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온화 포텐셜이 작고 가시광선에 대한 투명성이 높으며, 정공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해야 한다.
정공을 주입시키는 정공 주입 물질로 양극과 안정된 계면을 유지하면서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의 코닥사에서 연구되어 미국특허 제 4,356,429호에 게재된 포피린계 구리 착화합물인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이 있다. 정공주입층으로 CuPc가 가장 안정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청색 및 적색영역에서의 흡수가 있기 때문에 풀컬러 (full color) 디스플레이 제작의 경우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청색 영역에서 흡수가 없는 Starburst형의 방향족 아릴 아민계 화합물들이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 5,256,945호, 일본특허공개 1999-219788호; 하기 화학식 4-12 참조). 특히, 청색 영역에서의 흡수가 없는 Starburst형의 아민류 중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이고 안정성이 뛰어난 화학식 8-12의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다.
Figure 112005014390017-PAT00001
Figure 112005014390017-PAT00002
최근에는 유리 전이 온도가 좀 더 높고 열 안정성이 우수한 정공 주입 물질들이 많이 보고되었는데, 이러한 물질들의 대부분은 코닥사에서 정공 수송 물질로 개발한 NPB로부터 유도된 화합물들이며 이 물질들은 화학식 13-17에 나타나 있다(일본특개평 9-301934호, 미국특허 6,334,283호 및 6,541,129호).
Figure 112005014390017-PAT00003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3-238501호에는 한 분자내에 5개 이상의 질소원자를 갖는 방향족 올리고 아민 유도체가 발표되었다(화학식 18, 19).
Figure 112005014390017-PAT00004
이외에도 최근에 일본 특허공개 2003-317966호 및 미국특허 6,660,410호에 카바졸기를 포함한 물질이 발표되었는데 이러한 물질은 인광을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층을 형성하는 호스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기존의 CBP(Carbazole BiPhenyl)에 비하여 수명이 향상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화학식 20). 정공 주입층으로 사용된 화합물은 화학식 21-27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5014390017-PAT00005
Figure 112005014390017-PAT00006
정공 주입층 3 위에는 정공 수송층 4가 설치된다. 이러한 정공 수송층은 정공 주입층으로부터 정공을 전달받아 그 위에 위치되는 유기발광층 5로 수송하는 역할을 하며, 높은 정공 이동도와 정공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며, 전자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일반적 요구 이외에 차체 표시용으로 응용할 경우 소자에 대한 내열성이 요구되며, 유리 전이 온도(Tg)가 80℃ 이상의 값을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물질들로는 NPB, 스피로-아릴아민계화합물, 페릴렌-아릴아민계화합물, 아자시클로헵타트리엔화합물, 비스(디페닐비닐페닐)안트라센, 실리콘게르마늄옥사이드화합물, 실리콘계아릴아민화합물 등이 있다.
한편, 정공 수송층용 유기 단분자 물질은 높은 정공 이동 속도와 전기적 안정성이 뛰어난 아릴아민계가 대표적 물질이다. 아릴아민계 물질의 열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나프틸 치환체나 스피로 그룹을 도입한 정공수송물질이 보고되었다 (미국특허 제 5,554,459호 및 5,840,217호). 초기의 정공수송층 유기 물질로는 N,N'-디페닐-N,N'-비스(3-메틸페닐)-1,1'-디페닐-4,4'-디아민 (TPD)이 흔히 사용되었으나 60℃ 이상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유리 전이 온도가 좀더 높은 N-나프틸-N- 페닐-1,1'-디페닐-4,4'-디아민(NPD)계열 또는 좀 더 많은 방향족기가 치환된 아민류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정공수송층 유기 단분자 물질은 정공 이동속도가 빨라야 하며 발광층과 접하여 계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정공수송층-발광층 계면 여기자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이온화포텐셜이 정공주입층과 발광층 사이의 적절한 값을 갖고 발광층에서 이동되어 오는 전자를 적절히 제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정공 수송층 4 위에는 유기 발광층 5가 설치되는데 양극과 음극으로부터 각각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여 발광을 하는 층으로 양자효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발광을 하는 발광층용 유기 단분자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크게 호스트(host) 물질과 게스트(guest)용 물질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호스트용 또는 게스트용 물질 단독으로 빛을 낼 수 있으나, 효율 및 휘도가 낮고 같은 분자들끼리 셀프패킹(self-packing) 현상 때문에 각 분자 고유의 특성이 아닌 엑사머(excimer) 특성이 함께 나타나므로, 호스트에 게스트를 도핑(dopping)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한다.
먼저 녹색 발광층으로는 8-히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염(Alq3)이 독보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효율을 높이기 위해 퀴나클리돈(quinacridone)이나 C545t와 같은 양자 효율이 높은 물질을 도핑하여 사용한다. 청색 발광층용 유기 물질들은 녹색 발광체인 Alq3에 비해 융점과 초기 상태의 발광 안정성이 낮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청색 발광층용 물질들은 순수한 청색이 아닌 하늘색(light blue)이기 때문에 여전히 풀컬러화 디스플레이에 부적합하며, 녹색의 경우처럼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페릴렌(perylene)이나 디스트릴계(DSA)계 아민 등을 도핑하여 사용한다. 대표적인 청색 발광층용 유기 물질들은 방향족 탄화수소, 스피로(spiro)형 물질, 알루미늄을 포함한 유기금속 화합물, 이미다졸기를 가진 이형고리 화합물, 퓨즈드(fused)된 방향족 화합물 등이 있는데 이들은 미국특허 제 5,516,577호, 5,366,811호, 5,840,217호, 5,150,006호 및 5,645,948호에 게재되었다. 적색 발광층의 경우 밴드갭(band gap)이 작은 적색 발광의 특성상 다량의 녹색 발광물질에 적색 발광물질을 소량 도핑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여전히 분자 구조상의 문제점 때문에 장수명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유기 발광층 5 위에 사용된 전자 수송층 6은 음극 7(제2전극)로부터 전자주입 효율이 높고 주입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물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자 친화력과 전자 이동속도가 크고 전자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재료로서는, 테트라 페닐 부타디엔 등의 방향족 화합물(일본 특개소57-51781호), 8-히드록시 퀴놀린의 알루미늄 등의 금속착제 (일본 특개소59-194393호), 10-히드록시 벤조[h] 퀴놀린의 금속 착제 (일본 특개평6-322362호), 시클로 펜타디엔 유도체 (일본 특개평2-289675호), 비스 스티릴 벤젠 유도체 (일본 특개평1-245087호 및 2-222484호), 페릴렌 유도체 (일본 특개평2-189890호 및 3-791호), p-페닐렌 유도체 (일본 특개평3-33183호 및 11-345686호)에 게재된 옥사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용 유기 단분자 물질로는 전자에 대한 안정도와 전자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유기금속착제들이 좋은 후보들이다. 그 중에서 안정성이 우수하고 전자 친화도가 큰 Alq3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기존에 공고된 전자 수송용 물질로는 치소(Chisso)사에서 발표한 플라본 (Flavon)이나 실롤(silol) 계통의 물질 등이 알려져 있다.
이외에 전자주입층용 유기 물질은 특별히 뛰어난 후보물질들이 없으며 주로 전자 수송층용 물질과 음극용 금속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리튬플루라이드(LiF)과 같은 무기물들이 사용되고 있다.
음극 7은 유기 발광층 5에 전자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음극으로 사용하는 재료는 상기 양극 2에 사용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효율적인 전자 주입을 위해서는 일 함수가 낮은 금속이 바람직하며 리튬, 세슘, 나트륨, 주석, 마그네슘, 인듐, 칼슘, 알루미늄, 은 등의 적당한 금속, 또는 그러한 합금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각각의 층에 대한 적절한 유기 단분자 물질들을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전반적으로 소자의 수명이 짧고, 보존내구성 및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원인들로서는 유기물질의 물리, 화학적인 변화, 광화학적, 전기화학적인 변화, 음극의 산화, 박리현상 및 유기화합물의 용융, 결정화, 열분해 현상들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볼 수 있듯이 CuPC와 같은 유기금속 착제와 아릴 아민계 및 카바졸기를 포함하는 정공 주입 물질들은 풀 칼라의 구현에 어려움을 갖고 있거나 소자의 안정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바졸기를 포함하는 신규 유기물질들을 합성하였고 상기 신규 물질들을 정공 주입 및 수송 물질로 적용해 본 결과 기존의 물질들보다 효율, 소자의 수명 및 열적 안정성이 훨씬 우수한 결과를 얻는데 성공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기 전기발광 소자는 적절한 유기 단분자 물질의 구조를 변화시켜 임의의 발광색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호스트 게스트 시스템에 의한 여러가지의 고효율의 유기 전기발광 소자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실용화 수준에서의 사용할 때 만족스러운 휘도 특성, 수명 및 내구성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광효율, 안정성 및 소자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한 정공 주입 및 수송층용 물질과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진공증착 공정에 필요한 승화성을 갖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이 유기화합물 층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Figure 112005014390017-PAT00007
상기 식에서 A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08
]또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09
] 이고,
B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10
] 또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11
] 이고,
C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12
] 또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13
] 이며,
D는 H,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14
] 또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15
] 이다.
상기 식 중, R1 내지 R10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 1-20의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 수소, 또는 니트로, 니트릴기, 할로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 치환체를 갖는 실리콘기; 헤테로고리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니트로, 니트릴기, 할로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헤테로고리 방향족 탄화수소;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 또는 탄소수 6-24의 방향족 탄화수소로 치환된 티오펜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로 치환된 붕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하여 포함하며, 상기 Ar은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니트로, 니트릴기, 할로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이다.
상기 식 중에서 l, m 및 n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며, o는 0 이상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 m, n 는 모두 1이며 o는 0이다. 단, R1, R2, R3, R4, R5 및 R6가 모두 수소 원자이고 상기 D도 수소원자인 경우는 제외된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는 페닐, 비페닐, 터페닐 등의 단환식 방향족환 및 나프틸, 안트라세닐, 페난트렌, 파이레닐, 페릴레닐 등의 다환식 방향족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헤테로 방향족탄화수소는 티오펜, 퓨란, 피롤, 이미다졸, 티아졸, 옥사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트리아졸, 피리딜, 피리다질, 피라진, 퀴놀린, 이소퀴놀린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a 내지 2e 중 어느 하나의 화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5014390017-PAT00016
Figure 112005014390017-PAT00017
Figure 112005014390017-PAT00018
Figure 112005014390017-PAT00019
Figure 112005014390017-PAT00020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3a 내지 3n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112005014390017-PAT00021
Figure 112005014390017-PAT00022
Figure 112005014390017-PAT00023
Figure 112005014390017-PAT00024
Figure 112005014390017-PAT00025
Figure 112005014390017-PAT00026
Figure 112005014390017-PAT00027
Figure 112005014390017-PAT00028
Figure 112005014390017-PAT00029
Figure 112005014390017-PAT00030
Figure 112005014390017-PAT00031
Figure 112005014390017-PAT00032
Figure 112005014390017-PAT00033
Figure 112005014390017-PAT00034
상기 화학식 2a 내지 2e 및 화학식 3a 내지 3n에서 R1 내지 R8은 화학식 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유기화합물들은 정공 주입 및 수송능력을 가진 물질로서, 이들은 유기 발광소자에서 정공 주입, 정공 수송 및 발광 중 적어도 하나의 작용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들은 카바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이들은 정공을 용이하게 받아들이고 수송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카바졸기에 존재하는 고리구조 및 카바졸기에 결합된 아릴기의 존재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은 정공 주입층이나 정공 수송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 내에서 정공과 전자가 결합되어 발광을 하도록 하는 발광층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화합물은 정공 주입, 정공 수송 및 발광 중 적어도 하나의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유기 발광소자에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유기발광 소자에서 정공 주입-수송층, 정공 주입-수송-발광 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바졸기의 아릴기 또는 상기 카발졸기에 결합된 치환기로서의 아릴기 및 카바졸기에 의하여 상기 화합물은 정공을 안정하고 안정되게 받아들이고 수송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기 카바졸기에 결합된 치환기는 아민기에서 유래된 치환기로서 이러한 치환기는 정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정공의 이동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는 소자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그 결과 수명이 길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치환기인 R1-R10은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이 유기 발광 소자 중 유기물층에서 일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다른 치환기인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여컨대, R1-R10이 알킬기이거나 알킬기로 치환된 치환체인 경우, 알킬기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알킬기의 길이는 화합물의 공액 길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화합물의 파장이나 소자의 특성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만 부수적으로 화합물의 유기 발광 소자에의 적용 방법, 예컨대 진공증착법 또는 용액도포법의 적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에 포함될 수 있는 알킬기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의 R1-R10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의 예로는 페닐, 비페닐, 터페닐 등의 단환식 방향족환 및 나프틸, 안트라세닐, 파이레닐, 페릴레닐 등 의 다환식 방향족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헤테로 방향족화합물의 예로는 티오펜, 퓨란, 피롤, 이미다졸, 티아졸, 옥사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트리아졸, 피리딜, 피리다질, 피라진, 퀴놀린, 이소퀴놀린 등이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 탄화수소는 직쇄 지방족 탄화수소와 분지쇄 지방족 탄화수소를 모두 포함하며, 이들의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sec-부틸기, 이소-부틸기, 터-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의 알킬기; 스티릴과 같은 이중결합을 갖는 알케닐기; 및 아세틸렌기와 같은 삼중결합을 갖는 알키닐기가 있다.
상기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 화학식 28-260의 화합물들이 있다.
Figure 112005014390017-PAT00035
Figure 112005014390017-PAT00036
Figure 112005014390017-PAT00037
Figure 112005014390017-PAT00038
Figure 112005014390017-PAT00039
Figure 112005014390017-PAT00040
Figure 112005014390017-PAT00041
Figure 112005014390017-PAT00042
Figure 112005014390017-PAT00043
Figure 112005014390017-PAT00044
Figure 112005014390017-PAT00045
Figure 112005014390017-PAT00046
Figure 112005014390017-PAT00047
Figure 112005014390017-PAT00048
Figure 112005014390017-PAT00049
Figure 112005014390017-PAT00050
Figure 112005014390017-PAT00051
Figure 112005014390017-PAT00052
Figure 112005014390017-PAT00053
Figure 112005014390017-PAT00054
Figure 112005014390017-PAT00055
Figure 112005014390017-PAT00056
Figure 112005014390017-PAT00057
Figure 112005014390017-PAT00058
Figure 112005014390017-PAT00059
Figure 112005014390017-PAT00060
Figure 112005014390017-PAT00061
Figure 112005014390017-PAT00062
Figure 112005014390017-PAT00063
Figure 112005014390017-PAT00064
Figure 112005014390017-PAT00065
Figure 112005014390017-PAT00066
Figure 112005014390017-PAT00067
Figure 112005014390017-PAT00068
Figure 112005014390017-PAT00069
Figure 112005014390017-PAT00070
Figure 112005014390017-PAT00071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된 유기 화합물들은 출발 물질로부터 3단계 내지 8단계 내에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법의 일례로서, 상기 화합물들은 카바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카바졸을 할로겐 원자 또는 또는 할로겐화 벤젠으로 처리하여 할로겐 및/또는 할로겐화 벤젠으로 치환된 출발물질을 제조한 후, 여기에 상기 화학식 1의 A, B, C, D 또는 R1-R10에 해당하는 물질을 도입하여 상기 출발물질의 할로겐 원자와 치환함으로써 상기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에서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할로겐 원자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일반적으로 브롬, 염소 등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의 구조식을 참고하여 적절한 합성방법을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물질들의 합성예는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한 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양극과 음극 사이의 유기 화합물층, 즉,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 및 수송층, 또는 전공 주입-수송 및 발광층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CBP와 같은 에너지 밴드갭이 큰 호스트 물질에 페닐피리딘 이리듐과 같은 유기 인광물질을 도핑하여 고효율 소자를 얻는데 성공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현재까지의 싱글렛-싱글렛 전이 (singlet-singlet transition)에 의한 한계효율을 트리플렛-싱글렛 전이(triplet-singlet transition)로 극복한 예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정공 주입 물질을 인광 발광 호스트 물질로 적용할 경우 훨씬 높은 발광효율과 긴 수명을 갖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얻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 Adachi, M. A. Baldo, and S. R. Forrest, Applied Physics Letter, 77, 904, 2000., C. Adachi, M. A. Baldo, S. R. Forrest, S. Lamansky, M. E. Thompsom, and R. C. Kwong, Applied Physics Letter, 78, 1622, 2001).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화학식 1-3 및 28-260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이 유기물층에 적용된 유기 전기발광 소자는 효율과 수명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소자의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대표되는 유기 화합물의 합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제조는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합성을 위해서 하기 화학식 a 내지 h 의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5014390017-PAT00072
[화학식 a] [화학식 b]
Figure 112005014390017-PAT00073
[화학식 c] [화학식 d] [화학식 e]
Figure 112005014390017-PAT00074
[화학식 f] [화학식 g]
Figure 112005014390017-PAT00075
[화학식 h]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할로겐 원자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학식 a-h에서 X가 Br인 것을 출발 물질로 선택하였으며, 이들의 제조는 하기 제조예 1 내지 8에 예시되어 있다.
<제조예 1>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출발물질의 제조
카바졸(5.00g, 29.9mmol), 1-브로모-4-요오드벤젠(9.30g, 32.9mmol), K2CO3 (16.5g, 120mmol), Cu(3.80g, 59.8mmol) 및 18-crown-6(0.40g, 1.49mmol)를 50mL의 o-dichlorobenzene에서 15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 키고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물로 3번 씻어주고, MgSO4로 건조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액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출발물질인 화학식 a의 화합물(5.85g, 61%)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8.13-8.11(d, 2H), 7.71-7.69(d, 2H), 7.44-7.21(m, 8H); MS [M+H] 322
<제조예 2> 화학식 b로 표시되는 출발물질의 제조
카바졸(5.00g, 29.9mmol), 1-브로모-3-요오드벤젠(9.30g, 32.9mmol), K2CO3 (16.5g, 120mmol), Cu(3.80g, 59.8mmol) 및 18-crown-6(0.40g, 1.49mmol)를 50 mL의 o-dicholrobenzene에서 15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물로 3번 씻어주고, MgSO4로 건조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액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출발 물질인 화학식 b의 화합물(5.85 g, 61%)을 얻었다. MS [M+H] 322
<제조예 3> 화학식 c로 표시되는 출발물질의 제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출발물질(1.50g, 4.66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20mL)에 녹이고 N-브로모석신이마이드(NBS, 1.82 g, 10.2mmol)를 넣었다. 반응 혼합물을 50~6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물(15 mL)을 넣었다. 생성된 침전물를 여과하고 물로 씻은 후 디클로로메탄/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출발물질인 화학식 c의 화 합물(1.93g, 86%)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8.17(s, 2H), 7.75-7.74(d, 2H), 7.51-7.48(d, 2H), 7.38-7.35(d, 2H), 7.22-7.19(d, 2H); MS [M+H] 478
<제조예 4> 화학식 d로 표시되는 출발물질의 제조
화학식 b로 표시되는 출발 물질 (1.50 g, 4.66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20mL)에 녹이고 N-브로모석신이마이드(NBS, 1.82 g, 10.2 mmol )를 넣었다. 반응 혼합물을 50~6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물(15 mL)을 넣었다. 생성된 침전물를 여과하고 물로 씻은 후 디클로로메탄/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출발물질인 화학식 d의 화합물(1.93 g, 86%)을 얻었다. MS [M+H] 478
<제조예 5> 화학식 e로 표시되는 출발물질의 제조
2,5-Dibromonitrobenzene (12.0g, 42.7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80mL)에 녹이고 Cu(6.0 g, 93.94 mmol)를 넣은 후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3시간 반응시킨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녹지 않는 부분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킨다.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4,4'-dibromo-2,2'-dinitrobiphenyl (10.2g, 60%)을 얻었다. MS[M+] 354
4,4'-dibromo-2,2'-dinitrobiphenyl(6.1g, 15.17mmol)을 HCl 30ml/EtOH 75ml에서 교반하다가 Sn powder (7.2g, 60.68 mmol)을 넣고 24 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10% NaOH solution으로 중화하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4,4'- dibromo-2,2'-diaminobiphenyl (3.5g, 67%)을 얻었다. MS [M+H] 341
4,4'-dibromo-2,2'-diaminobiphenyl (3.5g, 10.23mmol)을 phosphoric acid에 녹이고 190℃에서 24 시간동안 가열한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물을 NaHCO3 (aq)에 천천히 넣어주면 고체가 생성되는데 이것을 여과하여 화학식 e의 화합물 2,7-dibromocarbazole (2.2g, 66%)을 얻었다. MS[M+] 323
<제조예 6> 화학식 f로 표시되는 출발물질의 제조
3,6-디브로모카바졸 (1.63g, 5.00mmol), 4-브로모페닐보로닉산(2.95g, 15.0 mmol), 2M 탄산칼륨 용액(10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29.0mg, 0.25mmol)에 THF 100mL를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환류에서 약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톨루엔과 소금물에 넣은 후 톨루엔층을 층분리하여,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액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출발 물질인 화학식 f의 화합물(1.15g, 48%)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10.1(s, 1H), 7.77(s, 2H), 7.49-7.46(m, 6H), 7.37(d, 4H), 7.30(d, 2H); MS [M+H] 476
<제조예 7> 화학식 g로 표시되는 출발물질의 제조
화학식 f (1.43g, 3.00mmol), 1-브로모-4-요오드벤젠 (1.87g, 6.60mmol), K2CO3 (3.32g, 24mmol), Cu(0.76g, 12.0mmol) 및 18-crown-6(0.08g, 0.30mmol)를 10mL의 o-dicholrobenzene에서 15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물로 3번 씻어주고, MgSO4로 건조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액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출발물질인 화학식 g의 화합물(1.02 g, 54%)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7.77(s, 2H), 7.49-7.40(m, 8H), 7.37(d, 4H), 7.30(d, 2H), 7.20(d, 2H); MS [M+H] 630
<제조예 8> 화학식 h로 표시되는 출발물질의 제조
화학식 c (2.40g, 5.00mmol), 4-브로모페닐보로닉산(3.94g, 20.0mmol), 2M 탄산칼륨 용액(20 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58.0mg, 0.50mmol)에 THF 100mL를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환류에서 약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톨루엔과 소금물에 넣은 후 톨루엔층을 층분리하여,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액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출발 물질인 화학식 h 의 화합물(2.09 g, 59%)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7.77(s, 2H), 7.50-7.46(m, 10H), 7.37(m, 6H), 7.30(m, 4H); MS [M+H] 706
<실시예 1>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00g, 2.08mmol), 디페닐아민(1.16g, 6.86mmol ), pd2(dba)3 (0.125g, 0.13mmol), P(t-Bu)3 (0.04g, 0.2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80g, 18.7mmol)를 크실렌(4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61의 화합물(1.16 g, 75%)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6.78(d, 2H), 6.96(m, 14H), 7.12(m, 6H), 7.25(s, 2H), 7.5-7.51(m, 14H), 7.65(d, 2H); MS [M+H] 745
<실시예 2> 화학식 6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00g, 2.08mmol), N-페닐-1-나프틸아민(1.50g, 6.86 mmol), pd2(dba)3 (0.125g, 0.13mmol), P(t-Bu)3 (0.04g, 0.2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80g, 18.7 mmol)를 크실렌(4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hexane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62의 화합물(1.46g, 79%)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6.78(d, 2H), 6.96-7.12(m, 14H), 7.25(s, 2H), 7.5-7.51(m, 8H), 7.65-7.66(m, 8H), 7.80-7.81(m, 6H), 8.11-8.12(m, 6H); MS [M+H] 895
<실시예 3> 화학식 63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00g, 2.08mmol), N-페닐-2-나프틸아민(1.50g, 6.86 mmol), pd2(dba)3 (0.125g, 0.13mmol), P(t-Bu)3 (0.04g, 0.2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80g, 18.7 mmol )를 크실렌(4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63의 화합물(1.21g, 65%)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6.78(d, 2H), 6.96-7.0(m, 8H), 7.12(m, 3H), 7.25-7.29(m, 8H), 7.51-7.73(m, 16H), 7.94-8.05(m, 9H); MS [M+H] 895
<실시예 4> 화학식 6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1.00g, 2.08mmol), N-페닐-(9-phenanthrenyl)아민 (1.85g, 6.86 mmol), pd2(dba)3 (0.125g, 0.13mmol), P(t-Bu)3 (0.04g, 0.2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80g, 18.7 mmol)를 크실렌(40 mL)에 넣고, 3시간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64의 화합물(0.93g, 43%)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6.78(d, 2H), 6.96-6.97(m, 8H), 7.12(t, 3H), 7.25(s, 2H), 7.41(m, 3H), 7.5-7.51(m, 8H), 7.65(d, 2H), 8.32-8.38(m, 12H), 8.62(d, 6H), 9.43(m, 6H); MS [M+H] 1045
<실시예 5> 화학식 6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00g, 2.08mmol), N-페닐-(9-anthrenyl)아민 (1.85g, 6.86mmol), pd2(dba)3 (0.125g, 0.13mmol), P(t-Bu)3 (0.04g, 0.2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 (1.80g, 18.7mmol )를 크실렌(4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65의 화합물(1.24 g, 57%)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6.78(d, 2H), 6.96-6.6.98(m, 8H), 7.12(t, 3H), 7.23(s, 2H), 7.5-7.51(m, 8H), 7.65-7.66(m, 7H), 7.81-7.84(m, 10H), 8.14-8.15(m, 12H); MS [M+H] 1045
<실시예 6> 화학식 6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00g, 2.08mmol), 디-(1-나프틸)아민(1.85g, 6.86mmol), pd2(dba)3 (0.125g, 0.13mmol), P(t-Bu)3 (0.04g, 0.2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80g, 18.7 mmol)를 크실렌(4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68의 화합물(1.04g, 48%)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6.78(d, 2H), 7.0-7.05(m, 8H), 7.25(s, 2H), 7.50-7.66(m, 16H), 7.80-7.81(m, 12H), 8.11-8.16(m, 12H); MS [M+H] 1045
<실시예 7> 화학식 69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00g, 2.08mmol), 디-(2-나프틸)아민(1.85g, 6.86mmol), pd2(dba)3 (0.125g, 0.13mmol), P(t-Bu)3 (0.04g, 0.2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80g, 18.7 mmol)를 크실렌(4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 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68의 화합물(0.89 g, 41%)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6.78(d, 2H), 7.0(d, 2H), 7.26-7.29(m, 14H), 7.5-7.53(m, 16H), 7.94-8.05(m, 18H);MS [M+H] 1045
<실시예 8> 화학식 7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50g, 3.13mmol), p,p'-ditolyamine(2.03g, 10.3mmol), pd2(dba)3 (0.19g, 0.21mmol), P(t-Bu)3 (0.06g, 0.31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05g, 10.96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71의 화합물(1.31 g, 50%)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2.55(s, 18H), 6.48-6.70(m, 16H), 6.95-7.01(m, 14H), 7.2-7.35(m, 4H); MS [M+H] 829
<실시예 9> 화학식 7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50g, 3.13mmol), m,m'-ditolyamine (1.96ml, 10.3mmol), pd2(dba)3 (0.19g, 0.21mmol), P(t-Bu)3 (0.06g, 0.31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 (1.05g, 10.96 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72의 화합물(1.55 g, 60%)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2.55(s, 18H), 6.48-6.70(m, 16H), 6.95-7.01(m, 14H), 7.2-7.35(m, 4H); MS [M+H] 829
<실시예 10> 화학식 89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50g, 3.13mmol), 3-메틸디페닐아민(1.88g, 10.3mmol), pd2(dba)3 (0.19g, 0.21mmol), P(t-Bu)3 (0.06g, 0.31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05g, 10.96 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89의 화합물(1.62 g, 66%)을 얻었다. MS [M+H] 787
<실시예 11> 화학식 9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50g, 3.13mmol), N-(3-메틸페닐)-1-나프틸아민(2.40g, 10.3 mmol), pd2(dba)3 (0.19g, 0.21mmol), P(t-Bu)3 (0.06g, 0.31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05g, 10.96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95의 화합물(1.92 g, 65%)을 얻었다. MS [M+H] 937
<실시예 12> 화학식 96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50g, 3.13mmol), N-(4-메틸페닐)-1-나프틸아민(2.40g, 10.3mmol), pd2(dba)3 (0.19g, 0.21mmol), P(t-Bu)3 (0.06g, 0.31 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 (1.05g, 10.96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96의 화합물(1.92 g, 65%)을 얻었다. MS [M+H] 937
<실시예 13> 화학식 10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50g, 3.13mmol), N-(3-메틸페닐)-2-나프틸아민(2.40g, 10.3 mmol), pd2(dba)3 (0.19g, 0.21mmol), P(t-Bu)3 (0.06g, 0.31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 (1.05g, 10.96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01의 화합물(1.92g, 65%)을 얻었다. MS [M+H] 937
<실시예 14> 화학식 10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50g, 3.13mmol), N-(4-메틸페닐)-2-나프틸아민(2.40g, 10.3 mmol), pd2(dba)3 (0.19g, 0.21mmol), P(t-Bu)3 (0.06g, 0.31 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05g, 10.96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02의 화합물(1.92g, 65%)을 얻었다. MS [M+H] 937
<실시예 15> 화학식 113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d (1.00g, 2.08mmol), 디페닐아민(1.16g, 6.86mmol), pd2(dba)3 (0.125g, 0.13mmol), P(t-Bu)3 (0.04g, 0.2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80g, 18.7mmol)를 크실렌(4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13의 화합물(1.16g, 75%)을 얻었다. MS [M+H] 745
<실시예 16> 화학식 1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d (1.00g, 2.08mmol), N-페닐-1-나프틸아민(1.50g, 6.86mmol), pd2(dba)3 (0.125g, 0.13mmol), P(t-Bu)3 (0.04g, 0.2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80g, 18.7 mmol)를 크실렌(4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hexane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14의 화합물(1.46g, 79%)을 얻었다. MS [M+H] 895
<실시예 17> 화학식 1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d (1.00g, 2.08mmol), N-페닐-2-나프틸아민(1.50g, 6.86mmol), pd2(dba)3 (0.125g, 0.13mmol), P(t-Bu)3 (0.04g, 0.2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 (1.80g, 18.7 mmol)를 크실렌(4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15의 화합물(1.21g, 65%)을 얻었다. MS [M+H] 895
<실시예 18> 화학식 116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d (1.50g, 3.13mmol), 3-메틸디페닐아민(1.88g, 10.3mmol), pd2(dba)3 (0.19g, 0.21mmol), P(t-Bu)3 (0.06g, 0.31 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05g, 10.96 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16의 화합물(1.62g, 66%)을 얻었다. MS [M+H] 787
<실시예 19> 화학식 1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d (1.50g, 3.13mmol), N-(3-메틸페닐)-1-나프틸아민(2.40g, 10.3 mmol), pd2(dba)3 (0.19g, 0.21mmol), P(t-Bu)3 (0.06g, 0.31 mmol) 및 소듐 t-부톡 사이드(1.05g, 10.96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20의 화합물(1.92g, 65%)을 얻었다. MS [M+H] 937
<실시예 20> 화학식 1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d (1.50g, 3.13mmol), N-(3-메틸페닐)-2-나프틸아민(2.40g, 10.3 mmol), pd2(dba)3 (0.19g, 0.21mmol), P(t-Bu)3 (0.06g, 0.31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05g, 10.96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21의 화합물(1.92g, 65%)을 얻었다. MS [M+H] 937
<실시예 21> 화학식 19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1) 화학식 e (5.0g, 15.38mmol), di-tert-butyl-dicarbonate(5.04g, 23.08 mmol)을 50mL의 THF에 녹이고 4-(dimethylamino)pyridine(0.19g, 1.54mmol)을 넣어 주고 상온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생성물(6.16g, 94 %)을 얻었다.
2) 상기 1)에서 합성한 물질(6.16g, 14.49mmol), 디페닐아민(5.89g, 34.78 mmol), sodium tert-butoxide (4.18g, 43.47mmol), pd2(dba)3 (0.17g, 0.29mmol), P(t-Bu)3 (0.06g, 0.29mmol)을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합물(5.88g, 67%)을 얻었다.
3) 2)에서 합성한 물질(5.88g, 9.77mmol)을 trifluoroacetic acid/ chloroform = 50ml/50ml에 녹이고 3시간동안 환류(reflux)시켰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NaOH 수용액으로 quenching하고 MC로 추출한 후 물로 여러 번 씻었다. Magnesium sulfate로 건조시키고 evaporation시켰다. crude product를 column chromatography (EA/Hex = 1/9)로 정제하여 화합물(2.9g, 59%)을 얻었다.
4) 상기 3) 에서 합성한 물질(2.9g, 5.78mmol), 4-bromophenyl-다이페닐아민(1.36g, 4.21mmol), pd2(dba)3 (0.05g, 0.084mmol), P(t-Bu)3 (0.017g, 0.084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21g, 12.63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92의 화합물(1.5 g, 49%)을 얻었다. MS [M+H] 745
<실시예 22> 화학식 19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1) 화학식 e (5.0g, 15.38mmol), di-tert-butyl-dicarbonate(5.04g, 23.08 mmol)을 50ml의 THF에 녹이고 4-(dimethylamino)pyridine(0.19g, 1.54mmol)을 넣어주고 상온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생성물(6.16g, 94 %)을 얻었다.
2) 상기 1)에서 합성한 물질(6.16g, 14.49 mmol), N-페닐-1-나프틸아민(7.63 g, 34.78mmol), sodium tert-butoxide(4.18g, 43.47mmol), pd2(dba)3 (0.17g, 0.29mmol), P(t-Bu)3 (0.06g, 0.29mmol)을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합물(6.0g, 59%)을 얻었다.
3) 2)에서 합성한 물질(6.0g, 8.54mmol)을 trifluoroacetic acid/chloroform = 50ml/50ml에 녹이고 3시간동안 환류(reflux)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NaOH 수용액으로 quenching하고 MC로 추출한 후 물로 여러 번 씻었다. Magnesium sulfate로 건조시키고 evaporation시켰다. crude product를 column chromatography (EA/Hex = 1/9)로 정제하여 화합물(3.8g, 74%)을 얻었다.
4) 상기 3)에서 합성한 물질(3.8g, 6.31mmol), 4-bromophenyl-N-phenyl-1-나프틸아민(1.57g, 4.21mmol), pd2(dba)3 (0.05g, 0.084mmol), P(t-Bu)3 (0.017g, 0.084 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21g, 12.63 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93의 화합물(1.2 g, 32%)을 얻었다. MS [M+H] 895
<실시예 23> 화학식 19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1) 화학식 e (5.0g, 15.38 mmol), di-tert-butyl-dicarbonate (5.04g, 23.08 mmol)을 50ml의 THF에 녹이고 4-(dimethylamino)pyridine (0.19g, 1.54mmol)을 넣어주고 상온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생성물(6.16g, 94%)을 얻었다.
2) 상기 1)에서 합성한 물질(6.16g, 14.49mmol), N-페닐-2-나프틸아민(7.63 g, 34.78mmol), sodium tert-butoxide (4.18g, 43.4 mmol ), pd2(dba)3 (0.17g, 0.29mmol), P(t-Bu)3 (0.06g, 0.29mmol)을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합물(6.0g, 59%)을 얻었다.
3) 2)에서 합성한 물질(6.0g, 8.54mmol)을 trifluoroacetic acid/chloroform = 50ml/50ml에 녹이고 3시간동안 환류(reflux)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NaOH 수용액으로 quenching하고 MC로 추출한 후 물로 여러 번 씻었다. Magnesium sulfate로 건조시키고 evaporation시켰다. crude product를 column chromatography ( EA/Hex= 1/9 )로 정제하여 화합물(3.8g, 74%)을 얻었다.
4) 상기 3)에서 합성한 물질(3.8g, 6.31mmol), 4-bromophenyl-N-phenyl-2-나프틸아민(1.57g, 4.21 mmol), pd2(dba)3 (0.05g, 0.084 mmol), P(t-Bu)3 (0.017g, 0.084 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21g, 12.63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94의 화합물(1.2g, 32%)을 얻었다. MS [M+H] 895
<실시예 24> 화학식 19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1) 화학식 e (5.0g, 15.38mmol), di-tert-butyl-dicarbonate (5.04g, 23.08 mmol)을 50ml의 THF에 녹이고 4-(dimethylamino)pyridine (0.19g, 1.54mmol)을 넣어주고 상온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생성물(6.16g, 94%)을 얻었다.
2) 상기 1)에서 합성한 물질(6.16g, 14.49mmol), 3-메틸-디페닐아민(6.37g, 34.78mmol), sodium tert-butoxide (4.18g, 43.47mmol), pd2(dba)3 (0.17g, 0.29mmol), P(t-Bu)3 (0.06g, 0.29mmol)을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합물(6.3g, 69%)을 얻었다.
3) 2)에서 합성한 물질(6.3g, 10.0mmol)을 trifluoroacetic acid/chloroform = 50ml/50ml에 녹이고 3시간동안 reflux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NaOH 수용액으로 quenching하고 MC로 추출한 후 물로 여러 번 씻었다. Magnesium sulfate로 건조시키고 evaporation시켰다. crude product를 column chromatography (EA/Hex = 1/9)로 정제하여 화합물(3.8g, 71%)을 얻었다.
4) 상기 3)에서 합성한 물질(3.8g, 7.17mmol), 4-bromophenyl-(3-메틸)-디페닐아민(1.42g, 4.21mmol), pd2(dba)3 (0.05g, 0.084mmol), P(t-Bu)3 (0.017g, 0.084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21g, 12.63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197의 화합물(1.2 g, 36%)을 얻었다. MS [M+H] 787
<실시예 25> 화학식 2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1) 화학식 e (5.0g, 15.38mmol), di-tert-butyl-dicarbonate (5.04g, 23.08 mmol)을 50ml의 THF에 녹이고 4-(dimethylamino)pyridine (0.19g, 1.54mmol)을 넣어주고 상온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생성물(6.16g, 94%) 을 얻었다.
2) 상기 1)에서 합성한 물질(6.16g, 14.49mmol), 디페닐아민(5.89g, 34.78 mmol), sodium tert-butoxide (4.18g, 43.47mmol), pd2(dba)3 (0.17g, 0.29mmol), P(t-Bu)3 (0.06g, 0.29mmol)을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합물(5.88g, 67%)을 얻었다.
3) 2)에서 합성한 물질(5.88g, 9.77mmol)을 trifluoroacetic acid/ chloroform = 50ml/50ml에 녹이고 3시간동안 reflux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NaOH 수용액으로 quenching하고 MC로 추출한 후 물로 여러 번 씻었다. Magnesium sulfate로 건조시키고 evaporation시켰다. 그리고 crude product를 column chromatography (EA/Hex = 1/9)로 정제하여 화합물(2.9g, 59%)을 얻었다.
4) 상기 3)에서 합성한 물질(2.9g, 57.8mmol), 4-bromophenyl-N-phenyl-1-나 프틸아민(1.57g, 4.21 mmol), pd2(dba)3 (0.05g, 0.084mmol), P(t-Bu)3 (0.017g, 0.084 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21g, 12.63 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218의 화합물(1.5g, 45%)을 얻었다. MS [M+H] 795
<실시예 26> 화학식 219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1) 화학식 e (5.0g, 15.38mmol), di-tert-butyl-dicarbonate (5.04g, 23.08 mmol)을 50ml의 THF에 녹이고 4-(dimethylamino)pyridine (0.19g, 1.54mmol)을 넣어주고 상온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생성물(6.16g, 94%)을 얻었다.
2) 상기 1)에서 합성한 물질(6.16g, 14.49mmol), N-페닐-2-나프틸아민(7.63g, 34.78mmol), sodium tert-butoxide (4.18 g, 43.47mmol), pd2(dba)3 (0.17g, 0.29mmol), P(t-Bu)3 (0.06g, 0.29mmol)을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합물(6.0g, 59%)을 얻었다.
3) 2)에서 합성한 물질(6.0g, 8.54mmol)을 trifluoroacetic acid/chloroform = 50ml/50ml에 녹이고 3시간동안 reflux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NaOH 수용액으로 quenching하고 MC로 추출한 후 물로 여러 번 씻었다. Magnesium sulfate로 건조시키고 evaporation시켰다. 그리고 crude product를 column chromatography (EA/Hex = 1/9)로 정제하여 화합물(3.8g, 74%)을 얻었다.
4) 상기 3)에서 합성한 물질(3.8g, 6.31mmol), 4-bromophenyl-N-phenyl-1-나프틸아민(1.57g, 4.21 mmol), pd2(dba)3 (0.05g, 0.084mmol), P(t-Bu)3 (0.017g, 0.084 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21g, 12.63mmol)를 크실렌(30mL)에 넣고, 3시간 가량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액을 THF와 H2O의 혼합액에 넣었다. 유기층을 층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농축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219의 화합물(1.2g, 32%)을 얻었다. MS [M+H] 895
<실시예 27> 화학식 25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c (1.00g, 2.08mmol), 트라이페닐아민-4-보로닉산(1.99g, 6.87mmol), 2M 탄산칼륨 용액(10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07g, 0.06 mmol)에 THF 40mL를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환류에서 약 24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톨루엔과 소금물에 넣은 후 톨루엔층을 층분리 하여,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액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화학식 252의 화합물(1.15 g, 55%)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6.76-6.82(m, 18H), 6.92-6.95(m, 6H), 7.31-7.35(m, 12H), 7.53-7.60(m, 10H), 7.76-8.07(m, 6H); MS [M+H] 973
<실시예 28>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ITO(indium tin oxide)가 1000Å의 두께로 박막 코팅된 유리 기판을 세제를 녹인 증류수에 넣고 초음파로 세척하였다. 사용한 세제는 피셔(Fischer Co.)사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밀리포어(Millipore Co.)사 제품의 필터(Filter)로 2차로 걸러진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ITO를 30분간 세척한 후 증류수로 2회 반복하여 초음파 세척을 10분간 진행하였다. 증류수 세척이 끝나면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 메탄올 순서로 초음파 세척을 하고 건조시킨 후 플라즈마 세정기로 이송시켰다. 또한 산소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을 5분간 세정한 후 진공 증착기로 기판을 이송시켰다.
이렇게 준비된 ITO 투명전극(제 1 전극에 해당) 위에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600Å의 두께로 열 진공 증착하여 정공주입층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정공을 이송하는 물질인 NPB(400Å)를 진공 증착한 후 발광층 역할과 전자의 주입 및 이송 역할을 하는 Alq3을 500Å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유기물층의 박막 형성을 완료하였다. 상기의 Alq3 층위에 순차적으로 15Å의 두께로 리튬 플루라이드 (LiF)와 2500Å의 두께의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음극(제 2 전극에 해당)을 형성하였다. 상기의 과정에서 유기물의 증착속도는 0.5~1.0Å/sec를 유지하였고 리튬플루라이드는 0.2Å/sec, 알루미늄은 2~3Å/sec의 증착속도를 유지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17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87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9>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실시예 28에서와 같이 준비된 ITO 투명 전극 위에 상기 화학식 62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800Å의 두께로 열 진공 증착하여 정공주입층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정공을 이송하는 물질인 NPB(400Å)를 진공 증착한 후 발광층 역할과 전자의 주입 및 이송 역할을 하는 Alq3을 300Å의 두께로 진공증착하여 유기물층의 박막 형성을 완료하였다. 이하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하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8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86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0>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6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8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8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1>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6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8.1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61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2>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6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8.0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82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3>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7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6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4.4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4>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7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8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4.15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5>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8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5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4.3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6>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9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 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3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4.5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7>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9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2 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4.4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8>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1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7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4.2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9>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1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 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6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4.1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0>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1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7.8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98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1>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실시예 28에서와 같이 준비된 ITO 투명 전극 위에 상기 화학식 19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800Å의 두께로 열 진공 증착하여 정공주입층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정공을 이송하는 물질인 NPB(300Å)를 진공 증착한 후 발광층 역할과 전자의 주입 및 이송 역할을 하는 Alq3을 300Å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유기물층의 박막 형성을 완료하였다. 이하 상기 실시예 28과 동일하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6.7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7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2>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192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19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6.9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6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3>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192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19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6.8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5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4>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192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19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6.9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9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5>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192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2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6.8 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8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6>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192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21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6.8 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6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7>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상기 화학식 192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25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유기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 유기발광 소자에 6.88 V의 순방향 전계를 가한 결과,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2 cd/A 밝기의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이상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을 정공 주입층으로 사용하는 전기 유기발광 소자는 6.88V의 순방향 전계 및 100 mA/㎠의 전류밀도에서 3.2-4.5 cd/A 정도의 밝기를 나타내어 우수한 전기발광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정공을 이송하는 물질로서 NPB를 사용하고 발광층과 전자 주입 및 이송 물질로서 Alq3를 사용하는 전기 유기 발광소자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으로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종래에 비하여 우수한 전기발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물질들은 전기 발광 소자인 유기 박막 전계 발광(유기 EL; organic electroluminescence) 소자의 유기화합물층에 함유되어 발광 효율 및 수명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5014390017-PAT00076
    상기 식에서 A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77
    ]또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78
    ] 이고,
    B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79
    ] 또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80
    ] 이고,
    C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81
    ] 또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82
    ] 이며,
    D는 H,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83
    ] 또는 -[
    Figure 112005014390017-PAT00084
    ] 이며,
    상기 식 중, R1 내지 R10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 1-20의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 수소, 또는 니트로, 니트릴기, 할로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 치환체를 갖는 실리콘기; 헤테로고리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니트로, 니트릴기, 할로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헤테로고리 방향족 탄화수소;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 또는 탄소수 6-24의 방향족 탄화수소로 치환된 티오펜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로 치환된 붕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하여 포함하며,
    상기 Ar은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니트로, 니트릴기, 할로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이며,
    상기 식 중에서 l, m, n 각각 1 이상의 정수이고, o는 0 이상의 정수이며,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가 동시에 수소 원자이면서 D도 H인 경우는 제외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는 페닐, 비페닐, 터페닐, 나프틸, 안트라세닐, 페난트렌, 파이레닐 및 페릴레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 방향족탄화수소는 티오펜, 퓨란, 피롤, 이미다졸, 티아졸, 옥사졸, 옥사디아졸, 티아디아졸, 트리아졸, 피리딜, 피리다질, 피라진, 퀴놀린 및 이소퀴놀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a 내지 화학식 2e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2a]
    Figure 112005014390017-PAT00085
    [화학식 2b]
    Figure 112005014390017-PAT00086
    [화학식 2c]
    Figure 112005014390017-PAT00087
    [화학식 2d]
    Figure 112005014390017-PAT00088
    [화학식 2e]
    Figure 112005014390017-PAT00089
    여기서, 상기 l, m, n, o 및 상기 R1 내지 R8는 제 1항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a 내지 화학식 3n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3a]
    Figure 112005014390017-PAT00090
    [화학식 3b]
    Figure 112005014390017-PAT00091
    [화학식 3c]
    Figure 112005014390017-PAT00092
    [화학식 3d]
    Figure 112005014390017-PAT00093
    [화학식 3e]
    Figure 112005014390017-PAT00094
    [화학식 3f]
    Figure 112005014390017-PAT00095
    [화학식 3g]
    Figure 112005014390017-PAT00096
    [화학식 3h]
    Figure 112005014390017-PAT00097
    [화학식 3i]
    Figure 112005014390017-PAT00098
    [화학식 3j]
    Figure 112005014390017-PAT00099
    [화학식 3k]
    Figure 112005014390017-PAT00100
    [화학식 3l]
    Figure 112005014390017-PAT00101
    [화학식 3m]
    Figure 112005014390017-PAT00102
    [화학식 3n]
    Figure 112005014390017-PAT00103
    여기서 상기 R1 내지 R8는 제 1항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1 내지 화학식 227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Figure 112005014390017-PAT00104
    Figure 112005014390017-PAT00105
    Figure 112005014390017-PAT00106
    Figure 112005014390017-PAT00107
    Figure 112005014390017-PAT00108
    Figure 112005014390017-PAT00109
    Figure 112005014390017-PAT00110
    Figure 112005014390017-PAT00111
    Figure 112005014390017-PAT00112
    Figure 112005014390017-PAT00113
    Figure 112005014390017-PAT00114
    Figure 112005014390017-PAT00115
    Figure 112005014390017-PAT00116
    Figure 112005014390017-PAT00117
    Figure 112005014390017-PAT00118
    Figure 112005014390017-PAT00119
    Figure 112005014390017-PAT00120
    Figure 112005014390017-PAT00121
    Figure 112005014390017-PAT00122
    Figure 112005014390017-PAT00123
    Figure 112005014390017-PAT00124
    Figure 112005014390017-PAT00125
    Figure 112005014390017-PAT00126
    Figure 112005014390017-PAT00127
    Figure 112005014390017-PAT00128
    Figure 112005014390017-PAT00129
    Figure 112005014390017-PAT00130
  7.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상기 두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화합물층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화합물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유기화합물층에는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화합물이 1 종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화합물이 1 종 이상 함유되어 있는 유기화합물층은 정공 주입 및 수송 기능을 가지는 정공 주입 및 수송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9. 제 7항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화합물이 1 종 이상 함유되어 있는 유기화합물층은 정공 주입, 정공 수송 및 발광 기능을 가지는 정공 주입, 수송 및 발광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10. 제 7항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화합물이 1 종 이상 함유되어 있는 유기화합물층은 정공 주입 기능을 가지는 정공 주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가 아래로부터 기판, 양극,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음극을 포함하며,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화합물이 1 종 이상 함유되어 있는 유기화합물층은 상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050022762A 2004-03-19 2005-03-18 새로운 정공 주입 또는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KR100664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77 2004-03-19
KR20040018877 2004-03-19
KR1020040116388A KR20050118098A (ko) 2004-03-19 2004-12-30 새로운 정공 주입 또는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KR1020040116388 2004-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24A true KR20060044424A (ko) 2006-05-16
KR100664390B1 KR100664390B1 (ko) 2007-01-02

Family

ID=3499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762A KR100664390B1 (ko) 2004-03-19 2005-03-18 새로운 정공 주입 또는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98801B2 (ko)
EP (1) EP1725632B1 (ko)
JP (1) JP5242917B2 (ko)
KR (1) KR100664390B1 (ko)
WO (1) WO20050905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69A1 (en) * 2012-08-01 2014-02-06 Sk Chemicals Co., Ltd. Compound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35344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098A (ko) * 2004-03-19 2005-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새로운 정공 주입 또는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WO2006043647A1 (en) * 2004-10-19 2006-04-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arbazole derivative, and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carbazole derivative
JP4869690B2 (ja) * 2004-11-30 2012-02-0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発光装置および複合材料
WO2006059745A1 (en) 2004-11-30 2006-06-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WO2007007885A1 (en) * 2005-07-14 2007-01-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arbazole derivative, and light emitting element material, light emitting element, and electronic appliance obtained using the same
WO2007013537A1 (en) 2005-07-27 2007-0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thracene derivative, material for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CN101243038A (zh) * 2005-08-12 2008-08-1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芳胺化合物及其合成方法
KR101433304B1 (ko) 2006-09-28 2014-08-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안트라센 유도체, 및 안트라센 유도체를 사용한 발광소자, 발광 장치, 전자기기
JP5164501B2 (ja) * 2006-09-28 2013-03-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アントラセン誘導体、およびアントラセン誘導体を用いた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
CN103254113A (zh) 2006-11-24 2013-08-21 出光兴产株式会社 芳香族胺衍生物及使用其的有机电致发光元件
KR101434632B1 (ko) 2006-12-08 2014-08-27 에이전시 포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앤드 리서치 아릴아민 화합물 및 전자 장치
US8835018B2 (en) * 2007-04-25 2014-09-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compound, anthracene derivative, an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anthracene derivative is used
EP2031036B1 (en) 2007-08-31 2012-06-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KR20090048299A (ko)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WO2009061145A1 (en) * 2007-11-08 2009-05-14 Lg Chem, Ltd. New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WO2009066779A1 (ja) * 2007-11-22 2009-05-28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素子
CN104387314B (zh) * 2007-12-03 2018-09-21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咔唑衍生物,以及使用咔唑衍生物的发光元件、发光器件和电子器件
KR101026173B1 (ko) * 2008-06-13 2011-04-05 덕산하이메탈(주) 신규한 카바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CN102197027A (zh) 2008-08-22 2011-09-21 株式会社Lg化学 用于有机电子器件的材料以及使用所述材料的有机电子器件
TWI583253B (zh) 2009-01-21 2017-05-1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元件,發光裝置以及電子裝置
US8367222B2 (en) * 2009-02-27 2013-02-05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WI480277B (zh) * 2009-03-20 2015-04-11 Semiconductor Energy Lab 具有雜芳香族環之咔唑衍生物及使用具有雜芳香族環之咔唑衍生物的發光元件、發光裝置和電子裝置
US8329917B2 (en) * 2009-03-31 2012-12-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ligh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588895B1 (ko) * 2009-08-06 2016-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N102482216B (zh) * 2009-08-28 2014-11-19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具有咔唑环结构的化合物及有机电致发光器件
US8586205B2 (en) 2009-09-16 2013-11-19 Nitto Denko Corporation Compound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missive layers
JP5716270B2 (ja) * 2009-10-20 2015-05-13 東ソー株式会社 カルバ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KR101801412B1 (ko) * 2009-10-20 2017-11-24 토소가부시키가이샤 카바졸 화합물 및 그 용도
JP5585044B2 (ja) * 2009-10-20 2014-09-10 東ソー株式会社 カルバゾール化合物及びその用途
US8808879B2 (en) 2010-07-19 2014-08-19 Nitto Denko Corporation Phototherapy devices and methods comprising substituted carbazole compounds
JP5623996B2 (ja) 2010-09-21 2014-11-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カルバゾール誘導体
KR101333610B1 (ko) 2010-10-28 2013-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인광 물질
JP5872861B2 (ja) 2010-11-30 2016-03-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カルバゾール化合物
JP5927875B2 (ja) * 2010-12-20 2016-06-01 東ソー株式会社 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KR101385215B1 (ko) 2011-05-25 2014-04-14 주식회사 엘엠에스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US9051274B2 (en) 2011-06-24 2015-06-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riarylamine compoun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CN104011022B (zh) 2011-10-26 2016-08-24 东曹株式会社 4-氨基咔唑化合物及其用途
KR101474798B1 (ko) * 2011-12-23 2014-12-22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3827257B (zh) * 2012-02-27 2017-05-10 株式会社Lg化学 有机发光二极管
DE112013007782B3 (de) 2012-08-03 2022-02-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WO2014088047A1 (ja) * 2012-12-05 2014-06-12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アミン誘導体、有機発光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6307690B2 (ja) * 2012-12-05 2018-04-11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アミン誘導体、有機発光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4106524A2 (de) * 2013-01-03 2014-07-10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FR3024144B1 (fr) 2014-07-28 2017-05-19 Univ De Tours Francois-Rabelais Nouveaux synthons pour l'elaboration de semi-conducteurs organiques
JP2016100364A (ja) 2014-11-18 2016-05-3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6446254B2 (ja) 2014-12-15 2018-12-26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カルバゾール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6116528A1 (de) * 2015-01-20 2016-07-28 Cynora Gmbh Symmetrische organische moleküle zur verwendung i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n
JP6954284B2 (ja) * 2016-07-26 2021-10-27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ニクス材料
WO2018020571A1 (ja) * 2016-07-26 2018-02-01 日立化成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ニクス材料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429A (en) 1980-07-17 1982-10-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cell
US4539507A (en) 1983-03-25 1985-09-03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ies
US4769292A (en) * 1987-03-02 1988-09-0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modified thin film luminescent zone
JPH01245087A (ja) 1987-12-11 1989-09-29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2289675A (ja) 1989-01-13 1990-11-29 Ricoh Co Ltd 電界発光素子
JP2665788B2 (ja) 1989-01-17 1997-10-22 旭化成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2749407B2 (ja) 1989-02-20 1998-05-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界発光素子
JP2731216B2 (ja) 1989-02-23 1998-03-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界発光素子
JP2790353B2 (ja) 1989-03-15 1998-08-27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薄膜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1992005131A1 (en) * 1990-09-20 1992-04-02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JP3016896B2 (ja) * 1991-04-08 2000-03-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5150006A (en) * 1991-08-01 1992-09-22 Eastman Kodak Company Blue emitting internal junc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I)
EP0569827A2 (en) * 1992-05-11 1993-11-18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EP0594170B1 (en) * 1992-10-22 1998-01-2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n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element and a light-to-light converting device
JP3071091B2 (ja) 1993-03-17 2000-07-3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界発光素子
EP0676461B1 (de) * 1994-04-07 2002-08-14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Spiro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US5554459A (en) * 1996-01-23 1996-09-10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aterial and method for low internal resistance LI-ion battery
JP3650218B2 (ja) 1996-05-10 2005-05-18 ケミプロ化成株式会社 高分子量芳香族アミン化合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ホール輸送性材料
JP3649302B2 (ja) * 1996-05-23 2005-05-18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US5645948A (en) * 1996-08-20 1997-07-08 Eastman Kodak Company Blu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JP3709637B2 (ja) * 1996-12-16 2005-10-26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正孔輸送材料およびその用途
JP4088985B2 (ja) 1997-05-09 2008-05-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新規アミノ化合物を使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H11345686A (ja) 1997-08-07 1999-12-14 Fuji Photo Film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6451455B1 (en) * 1998-04-01 2002-09-17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Metal complexes bearing both electron transporting and hole transporting moieties
JPH11219788A (ja) 1998-02-02 1999-08-10 Casio Comput Co Ltd 電界発光素子
JP4081869B2 (ja) * 1998-08-17 2008-04-3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新規アミノ化合物を使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213127C (zh) * 1998-09-09 2005-08-03 出光兴产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器件与苯二胺衍生物
CA2282988C (en) * 1999-09-21 2006-06-20 Royal Group Technologies Limited Water resistant window frame
TW532048B (en) * 2000-03-27 2003-05-11 Idemitsu Kosan Co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JP2002047271A (ja) * 2000-07-28 2002-02-12 Jsr Corp カルバゾール誘導体およびカルバゾール系重合体並びに正孔輸送材料
JP2002124389A (ja) * 2000-10-16 2002-04-26 Jsr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TWI297038B (en) * 2000-11-22 2008-05-21 Academia Sinica 3,6,9-trisubstituted carbazoles for light emitting diodes
JP2002170667A (ja) * 2000-11-30 2002-06-14 Hitachi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US6699597B2 (en) * 2001-08-16 2004-03-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materials for patterning of an amorphous, non-polymeric, organic matrix with electrically active material disposed therein
JP2003075955A (ja) 2001-09-03 2003-03-12 Konica Corp 銀色調を改良した光熱写真画像形成材料
DE10203328A1 (de) * 2002-01-28 2003-08-07 Syntec Ges Fuer Chemie Und Tec Neue Triarylamin-Derivate mit raumfüllenden Flügelgruppen und ihre Einsatz in elektro-fotografischen und organischen elektrolumineszenten Vorrichtungen
JP2003238501A (ja) 2002-02-18 2003-08-27 Idemitsu Kosan Co Ltd 芳香族オリゴアミ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030205696A1 (en) 2002-04-25 2003-11-06 Canon Kabushiki Kaisha Carbazole-based materials for guest-host electroluminescent systems
US20040001969A1 (en) * 2002-06-27 2004-01-01 Eastman Kodak Company Device containing gre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KR100515516B1 (ko) * 2002-11-30 2005-09-16 신동명 발색 유기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WO2006043647A1 (en) * 2004-10-19 2006-04-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arbazole derivative, and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carbazole derivati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69A1 (en) * 2012-08-01 2014-02-06 Sk Chemicals Co., Ltd. Compound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35344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25235A1 (en) 2005-10-13
US8198801B2 (en) 2012-06-12
EP1725632B1 (en) 2014-04-30
WO2005090512A1 (en) 2005-09-29
JP2007520470A (ja) 2007-07-26
JP5242917B2 (ja) 2013-07-24
KR100664390B1 (ko) 2007-01-02
EP1725632A1 (en) 2006-11-29
EP1725632A4 (en)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390B1 (ko) 새로운 정공 주입 또는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KR100691543B1 (ko) 새로운 전자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EP2371812B1 (en) Indenofluorenedione derivative,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JP5566898B2 (ja) 新しい有機発光素子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US6984462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ing double-spiro organic compounds
JP5703394B2 (ja) 新規な化合物およびこれを含む有機発光素子
TWI294454B (en) New material for injecting or transporting hol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s using the same
JP5242612B2 (ja) 新規な有機化合物を利用した有機発光素子
US7977671B2 (en) Compound having oxadiazole ring structure substituted with pyridyl group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8173273B2 (en) Anthracene derivatives,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I582074B (zh) 1,2-苯并苊衍生物、含有其的發光元件材料及發光元件
CA2492692A1 (en) Charge transport compositions which are quinazoline derivatives and electronic devices made with such compositions
KR20090060276A (ko) 피리딜기로 치환된 트리아진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유기전계발광 소자
WO2009096549A1 (ja) 置換されたピリジル基とピリドインドール環構造がフェニレン基を介して連結した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642606B2 (ja) 有機el素子
KR101560028B1 (ko) 새로운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20150082156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US8449989B2 (en)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597901B1 (ko) 헤테로환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