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056A - 관성 작동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관성 작동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056A
KR20060043056A KR1020050014443A KR20050014443A KR20060043056A KR 20060043056 A KR20060043056 A KR 20060043056A KR 1020050014443 A KR1020050014443 A KR 1020050014443A KR 20050014443 A KR20050014443 A KR 20050014443A KR 20060043056 A KR20060043056 A KR 20060043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nent
door
locking tab
inertial actu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206B1 (ko
Inventor
존 엠. 르
스테판 제이. 주니어 밀척
크레이그 더블 류 구르타토우스키
폴 지. 레드버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4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2Inertia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08Emergency operating means
    • Y10T292/0909Pa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손잡이 조립체와 합체될 수 있고 충돌 힘을 없애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충돌력이 가해진 경우, 잠금 탭은 래치 메커니즘이 풀어져서 자동차의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위치에 있다. 충돌력이 제거되면, 잠금 탭은 정상 위치로 돌아와서, 래치 메커니즘이 정상으로 작동하게 한다. 잠금 탭은 케이블에 의해 추에 부착된다. 추는 움직이고, 충돌력이 가해질 때 잠금 탭이 옮겨지게 하고, 충돌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에 의해 억제된다.

Description

관성 작동 메커니즘{INERTIA-ACTIVATED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 작동 조립체를 합체한 문손잡이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 작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관성 작동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문손잡이 래칭 구성요소에 대한 도 3 구성요소의 장착을 도시하기 위해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도 2의 관성 작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관성 작동 조립체를 합체한 손잡이 조립체의 다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조립체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관성 작동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를 예시하기 위해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도 6에 도시된 조립체의 근접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2의 관성 작동 메커니즘의 하우징 내에 장착된 도 3의 구성요소의 상세한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성 작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관성 작동 메커니즘의 다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문손잡이 조립체 101: 관성 작동 조립체
102: 문손잡이 200: 관성 작동 메커니즘
201: 하우징 203: 블레이드
204: 개구 205: 스프링
207: 케이블 209: 추 구성요소
210: 편심 추 (off-center weight) 211: 선회 캠 (pivoting cam)
212: 놉(knob) 214: 슬롯
이 가출원이 아닌 청구항들은 2004년 2월 23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0/546,746호에 유익하다.
본 발명은 대체로 자동차가 충돌했을 경우 자동차 문의 잠김이 풀리는 것 (unlatching)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축 자동차 충돌 (multiple vehicle crash)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의 힘 (force of inertia)을 상쇄시키기 위해 문손잡이 조립체 (door handle assembly)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충돌 중 자동차 문이 열리면, 운전자 또는 승객은 충격과 직접 연관된 부상 외의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충돌 중 자동차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돌 중 문의 잠김이 풀리거나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문손잡 이 조립체에 메커니즘이 설치되었다. 예를 들어, 문손잡이에, 특히 문손잡이의 손잡이 피봇 (handle pivot)에 정반대 위치로 평형추 (counterweight)를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조립체와 기술은 측면 충격 충돌에는 대부분 효과가 있지만, 다축 자동차 충돌 (multiple axis vehicle crash) 중에는 효과가 없었다. 사실상, 다축 자동차 충돌시, 전복사고 충돌 (rollover crash)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은, 예를 들어, 평형추를, 문의 잠김이 풀려서 열리게 하는 위치로 둘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문 래칭 메커니즘에 관해서 이러한 단점과 이와 다른 알려진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축 충돌을 포함한, 자동차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의 힘을 상쇄시키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메커니즘은 또한 관성 작동 메커니즘 (inertia activated mechanism)이라 불리고, 자동차의 문손잡이 조립체와 합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상으로, 본 발명의 관성 작동 메커니즘은, 다축 충돌 중 문이 열리게 하는 래치 메커니즘이 풀려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충돌 후, 또는 충돌력이 제거되면, 본 발명의 관성 작동 메커니즘은 래치 메커니즘이 정상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문이 열리고 탑승자가 자동차로부터 탈출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동일한 특징부를 표시하기 위해 동일한 번호가 사용된 도면을 검토함으로써 당업자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은 그 용도에 있어서 구조의 세부적인 내용과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거나 도면에서 도시된 부품의 배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될 수 있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실시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표현과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제한으로 간주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포함하는"과 "이루어진" 그리고 이것의 변형물의 사용은, 이후 나열된 항목과 이에 상당하는 것뿐만 아니라, 추가 항목과 이에 상당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축 자동차 충돌에 의해 일어나는 관성의 힘을 상쇄시키기 위해 임의의 자동차 문손잡이에 사용될 수 있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inertia activated mechanism)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문손잡이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 작동 조립체(101)와 문손잡이(102)를 포함한다. 관성 작동 조립체(101)는 주변 환경에 최소한의 변화를 가져오거나 전혀 변화를 가져오지 않으면서 현재 생산되는 문손잡이에 합체되거나, 또는 특별하게 제작된 문손잡이에 합체될 수 있다.
아래에서 논의되겠지만, 관성 작동 조립체(101)는, 전복사고 충돌과 같은 다축 충돌에 의한 힘을 포함해서, 일정한 힘이 자동차 충돌 중 가해질 때, 문손잡이 조립체(100)의 래칭 메커니즘이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관성 작동 메커니즘(200)은 하우징(201), 잠금 탭이나 블레이드(203), 스프링(205), 케이블(207), 및 편심 추 (off-center weight)(210)를 갖는 추 구성요소(209)를 포함한다. 잠금 탭(203), 스프링(205), 케이블(207), 및 추 구성요소(209)는 함께 조립될 수 있는 개별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우징(201)(도 2) 내에 수용될 수 있고, 하우징은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조립 본체 (latch assembly body)에 위치한다. 잠금 탭(203)과 케이블(207)은 하우징(201) 내에서 운동이 허용되지만, 이러한 운동은 아래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스프링(205)에 의해 강제되거나 억제된다.
하우징(201)은 현재 생산되는 문손잡이 {예를 들어, 손잡이(102)}에 부착되도록 조절되거나 특별하게 설계된 문손잡이에 합체될 수 있다. 하우징(201)은 하우징 본체를 통해 확장된 구멍(218)을 포함한다. 이 구멍(218)은 원뿔형 단부를 한정하고, 잠금 탭(203), 스프링(205), 및 케이블(207)을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201)의 모양과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아래에서 논의된 도 9와 10에 예시된 실시예를 통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다른 모양과 형태가 가능하다. 하우징(201)은 또한 그 측벽을 통한 개구(221)를 포함한다. 이 개구(221)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선회 캠 (pivoting cam)(211)의 놉(knob)(212)을 수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진 케이블(207)이 잠금 탭(203)과 추 구성요소(209) 모두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탭(103)은 케이블(207)의 일 단부에 삽입 성형된다. 추 구성요소(209)와 추(210)는 크림핑 (crimping)되거나 케이블(207)의 타 단부에 고정된다. 추(210)는 추 구성요 소(209)의 구성요소로, 케이블(207)의 축에 대해 편심되어 충돌 중 힘이 직접 상쇄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즉, 아래 기술된 바와 같이, 추 구성요소(209)는 충돌 중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멀리 움직이기 때문에, 편심축(210)은 추 구성요소가 비 선형 또는 각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그리고 멀리 움직이도록 한다. 추 구성요소(209)는 일반적으로 관형 모양으로, 하우징(201)의 구멍(218)의 원뿔형 개구와 대략 일치하는 원뿔형 단부(216)를 갖는다. 케이블(207)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는 스프링(205)을 관통한다.
잠금 탭(203)은 일반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절단 (cut-out) 또는 개구(204)를 한정하고, 이는 아래에 기술되는 것처럼, 선회 캠(211)의 놉(212) 부근에 위치해서, 선회 캠이 비 충돌 조건 중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선회 캠(211)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문 래치 메커니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문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캠(211)이 회전하기 때문에, 캠(211)은 문 래치 메커니즘이 풀어지게 하거나 허용하고, 이를 통해 문이 열린다.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충돌 조건 중에, 잠금 탭(203)은 놉(212)의 슬롯(214)과 맞물려서, 캠(211)이 회전하지 못하게 하고, 그래서 문 래치 메커니즘이 문을 열도록 작동하지 않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시, 하우징에 대한 운동과 결부된 추 구성요소(209)의 편심 형태 때문에, 문손잡이의 래칭 메커니즘은 다축 자동차 충돌시 열리는 것이 제한될 것이다. 특히, 스프링(205)의 스프링력은 추 구성요소(209)를 원 위치 (home position)에 제한하는데, 즉 추 구성요소(209)가 하우징(201)에 장착된다. 더 큰 힘 (자동차 충돌에 해당하는)이 추 구성요소(209)에 가해져서, 추 구성요소(209)가 작동하도록 할 경우, 추 구성요소(209)는 하우징(201)으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스프링(205)의 스프링력을 극복해서 케이블(207)이 잠금 탭(203)을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잠금 탭(203)은 캠(211)의 놉(212)에 형성된 슬롯(214) 내에 위치할 것이다. 이는 캠(21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서, 래치 메커니즘이 풀어져서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추 구성요소(209)에 추가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스프링(205)의 스프링력을 통해 원 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이 위치에서, 문손잡이의 래치 메커니즘은 정상 작동하도록 허용된다.
다른 식으로 말하면, 충돌 중, 생성된 충돌력은, 추 구성요소(209)를 하우징(201) 옆에 고정하도록 작용하는 스프링(205)의 스프링력보다 일반적으로 더 크다. 추 구성요소(209)는 하우징(201)의 원뿔형 구멍(21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그리고 하우징(201)으로부터 멀리 이동할 것이다. 그래서, 추 구성요소(209)는, 잠금 탭이 선회 캠(211)의 놉(212)에 제공된 슬롯(214)과 맞물리도록 잠금 탭(203)을 당긴다. 이렇게 위치한 경우, 선회 캠(211)은 회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문 래치 (door latch)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충돌 중, 추 구성요소는, 잠금 탭이 움직여서 문 열림을 방지하는 위치로 캠을 잠글 수 있게 움직일 것이다. 또한, 충돌 중, 케이블(207)의 유연한 성질이 주어지면, 추 구성요소(209)는 하우징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움직인다. 생성된 각 운동은, 선회 캠(211)이 회전하도록 하는 위치로 잠금 탭(203)이 다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거나 문을 여는 것이 바람직할 때 (즉, 자동차가 충돌 상황에 연관되지 않은 경우), 잠금 탭(203)의 절단 또는 개구(204)는 선회 캠(211)에 위치한 놉(212)과 슬롯(214) 부근에 위치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선회 캠(211)은 문이 언래칭 (unlatching)되어 문이 열릴 수 있게 회전할 수 있다. 손잡이 스프링(213)은, 문손잡이가 풀어진 경우, 문손잡이(102)가 그 폐쇄 위치로 돌아가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201)은 원뿔형 모양의 구멍(218)을 한정한다. 이 모양과, 추 구성요소(209)의 원뿔형 표면은 추 구성요소(209)가 충돌 중 휘어지지 않게 할 것이다. 원뿔형 표면은 또한 추 구성요소(209)가 충돌 중 움직이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또한, 원뿔형 표면은 케이블(207)이 마모되지 않도록 돕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추(210)는 정지 위치에서 케이블(207)의 세로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다. 이는, 충돌 중, 힘이 직접 상쇄 (즉, 서로 소멸됨)되지 않고, 상쇄되더라도, 잠금 탭(203)의 움직임을 방지해서, 선회 캠(211)이 회전하고 문이 열리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다. 즉, 다축 충돌을 통해 생긴 힘은 서로 상쇄되지 않는데, 이는 편심 추(210)가 필연적으로 충돌 중 움직여서, 잠금 탭(203)의 운동이 캠(211)을 제자리에 잠기도록 하기 때문이다.
도 9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성 작동 메커니즘(400)이 도시되어 있다. 관성 작동 메커니즘(400)은 잠금 탭이나 블레이드(401), 스프링(403), 케이블(405), 바벨 모양의 추 부분(407), 편심 추(409), 및 하우징(411)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잠금 탭(401)은, 조립시,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선회 캠(211)의 놉(212) 부근에 위치할 절단부(402)를 포함한다. 하 우징(411)의 상부 절반이 제거된 도 9를 참조하면, 바벨 모양의 추 부분(407)은 원뿔 모양의 부분(413)을 구비하고, 이 부분은 하우징(411)에 의해 형성된 원뿔 모양의 구멍(415)과 대략 일치한다.
실시예에서, 잠금 탭(401)과 바벨 모양의 부분(407)은, 잠금 탭(401), 바벨 모양의 부분(407), 스프링(403), 및 케이블(405)이 조립시 주형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케이블(405) 위에 삽입 성형된다. 추(409)는 제 위치로 크림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케이블(405)에 고정될 수 있다.
관성 작동 메커니즘(400)은 상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작동할 것이다. 즉, 비 충돌 조건에서, 선회 캠(211)의 놉(212)은 잠금 탭(401)의 절단부(402)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것이다. 충돌 조건 중에, 추(409)는 하우징(411)으로부터 멀리 움직이기 때문에, 케이블(405)을 통해 잠금 탭(401)에 연결된 추(409)는 잠금 탭(401)을 당겨서, 잠금 탭(401)이 선회 캠(211)의 놉(212)에 위치한 슬롯(214)과 맞물리게 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선회 캠(211)은 회전이 방지되고, 그래서 충돌 중 문이 열리지 않을 것이다. 충돌 조건이 끝나면, 스프링(403)의 스프링력은 잠금 탭(401)이 놉(212)의 슬롯(214)으로부터 풀어지고 그 원 위치로 돌아가서 캠(211)이 자유롭게 회전하고 문이 열리게 한다.
도 10은, 하우징(411)에 대한 바벨 모양의 부분(407)과 추(409)의 위치를 나타낸다. 하우징(411)은 두 개의 하우징 절반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하우징은 두 개의 하우징 절반이 서로 결합되고 패스너 등을 사용해서 다른 구조물에 결합되도록 하는 설치 구멍 (mounting hole)(417)을 구비한다. 관성 작동 메커니즘(400)의 구 성요소는 하우징 절반 중 하나에 위치하고, 다른 하우징 절반은 하우징(411)을 형성하도록 그 위에 위치한다. 실시예에서, 양쪽 하우징 절반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서로 교환이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절반 중 하나는 선회 캠(211)의 놉(212)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419)를 포함한다. 관성 작동 메커니즘(400)은 현재 생산되는 문손잡이 {예를 들어, 손잡이(102)}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특별하게 설계된 문손잡이에 합체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의 변형과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한정된 본 발명은, 문서 및/또는 도면으로부터 명시되고 명백한 두 가지 이상의 개별 특징의 모든 대안적인 결합으로 확장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서로 다른 결합은 본 발명의 여러 대안적인 양상을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최상의 방식을 설명하고 다른 당업자가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청구범위는 종래 기술에 의해 허용된 범위까지 대안적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다음 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축 충돌 중에는, 래치 메커니즘이 풀려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 후, 또는 충돌력이 제거되면, 래치 메커니즘이 정상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문이 열리고 탑승자가 자동차로부터 탈출할 수 있게 하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을 제조하는데 본 발명의 효과가 있다.

Claims (33)

  1. 자동차 문의 문 래치 메커니즘 (door latch mechanism)에 결합된. 관성 작동 메커니즘 (inertia activated mechanism)에 있어서,
    에퍼쳐를 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에퍼쳐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충돌력이 가해지면 옮겨지고, 상기 충돌력이 제거되면 원 위치로 돌아오는 추 구성요소 (weight component)로서, 상기 충돌력은 상기 자동차의 충돌에 의해 생기는, 추 구성요소와,
    상기 충돌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추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스프링과,
    상기 문 래치 메커니즘의 래치 구성요소와 맞물릴 때, 상기 문 래치 메커니즘이 상기 문을 여는 것을 방해하는 잠금 탭과,
    일 단부는 상기 추 구성요소에 부착되고 타 단부는 상기 잠금 탭에 부착되며, 상기 추 구성요소가 옮겨질 때 상기 잠금 탭이 상기 래치 구성요소와 맞물리게 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퍼쳐는 원뿔형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추 구성요소는 원뿔형 부분을 갖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 구성요소는, 상기 추 구성요소가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상기 하우징에 일정 각으로 움직이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 래치 메커니즘의 상기 래치 구성요소는 선회 캠 (pivoting cam)을 포함하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캠은 놉 (knob)을 포함하고, 상기 놉에 슬롯 (slot)이 위치하고, 상기 잠금 탭은 상기 추 구성요소가 옮겨지면 상기 슬롯과 맞물리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탭의 개구는, 상기 추 구성요소가 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선회 캠의 상기 놉과 상기 슬롯 부근에 위치해서, 상기 선회 캠이 회전하게 되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 구성요소는, 상기 추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케이블의 축에 대해 편심인, 관성 작동 메커니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탭은, 상기 선회 캠이 회전하게 하는 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되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스프링 내에 위치한, 관성 작동 메커니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탭은, 상기 추 구성요소가 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선회 캠이 회전하게 하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탭은, 상기 추 구성요소가 상기 원뿔 모양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이동시, 상기 래치 구성요소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충돌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추 구성요소를 원 위치로 억제하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퍼쳐의 상기 원뿔 모양 표면과 상기 추 구성요소의 원뿔 모양 부분은, 상기 충돌력이 가해질 때, 상기 추 구성요소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성형된, 관성 작동 메커니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 구성요소는 관(tube)과 추(weight)로 이루어진, 관성 작동 메커니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 구성요소는 바벨 모양의 부분과 추로 이루어진, 관성 작동 메커니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에퍼쳐는 원뿔 모양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바벨 모양의 부분은 원뿔 모양의 부분을 갖는, 관성 작동 메커니즘.
  18. 충돌 중 자동차 문의 잠김이 풀리는 것 (unlatching)을 방해하는 관성 작동 조립체 (inertia activated assembly)로서,
    구멍을 한정하는 하우징과,
    편심 추 (off-center weight)를 포함하는 추 구성요소로, 충돌력이 가해질 때 원 위치 (home position)로부터 옮겨지는 상기 추 구성요소는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추 구성요소와,
    상기 충돌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추 구성요소를 상기 원 위치로 억제하는 스프링과,
    충돌력이 가해지면 래치 메커니즘의 선회 캠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 메커니즘과,
    상기 추 구성요소와 상기 잠금 메커니즘에 부착된 케이블을
    포함하는, 관성 작동 조립체.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원뿔 모양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추 구성요소는 원뿔 모양의 부분을 갖는, 관성 작동 조립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추 구성요소는, 상기 추 구성요소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상기 하우징에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는, 관성 작동 조립체.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캠은 놉 (knob)을 포함하고, 상기 놉에 슬롯이 위치하고,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추 구성요소가 옮겨질 때 상기 슬롯과 맞물리는, 관성 작동 조립체.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스프링 안에 위치하는, 관성 작동 조립체.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추 구성요소가 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선회 캠이 회전하도록 하는, 관성 작동 조립체.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추 구성요소가 상기 하우징으 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상기 래치 메커니즘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관성 작동 조립체.
  25. 연결된 자동차의 충돌 중 자동차 문의 잠김이 풀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문 메커니즘으로서,
    선회 캠 회전시 상기 자동차 문의 잠김을 푸는 선회 캠을 더 포함하는 문손잡이 조립체와,
    관성 작동 조립체로서,
    구멍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힘이 가해지면 원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구멍에서 움직임이 허용되는 추 구성요소와,
    상기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원 위치에 상기 추 구성요소를 억제하는 스프링과,
    잠금 탭이 상기 선회 캠과 맞물릴 때 상기 선회 캠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 탭 (locking tab)과,
    상기 추 구성요소와 상기 잠금 탭에 부착되어, 상기 추 구성요소 이동시 상기 잠금 탭이 상기 캡과 맞물리게 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관성 작동 조립체를
    포함하는, 문 메커니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추 구성요소는 편심 추를 포함하는, 문 메커니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캠은 슬롯을 한정하는 놉을 포함하는, 문 메커니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탭은 힘이 가해지면 상기 선회 캠의 상기 슬롯과 맞물리는, 문 메커니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원뿔 모양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추 구성요소는 원뿔 모양의 부분을 갖는, 문 메커니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추 구성요소는 상기 추 구성요소가 상기 원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시 상기 하우징에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는, 문 메커니즘.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작동 조립체는 상기 문손잡이 조립체에 배치된, 문 메커니즘.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탭은 상기 추 구성요소가 상기 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선회 캠이 회전하도록 하는, 문 메커니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탭은 상기 추 구성요소가 상기 원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시 상기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문 메커니즘.
KR1020050014443A 2004-02-23 2005-02-22 관성 작동 메커니즘 KR101111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674604P 2004-02-23 2004-02-23
US60/546,746 2004-02-23
US10/994,792 US7201405B2 (en) 2004-02-23 2004-11-22 Inertia-activated mechanism
US10/994,792 2004-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056A true KR20060043056A (ko) 2006-05-15
KR101111206B1 KR101111206B1 (ko) 2012-02-16

Family

ID=3486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443A KR101111206B1 (ko) 2004-02-23 2005-02-22 관성 작동 메커니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01405B2 (ko)
JP (1) JP4652838B2 (ko)
KR (1) KR101111206B1 (ko)
DE (1) DE102005008092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39B1 (ko) * 2007-04-02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충돌시 관성력에 의한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개방동작구속장치
KR100946481B1 (ko) * 2008-06-16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5349A1 (en) * 2005-10-13 2007-04-19 Ford Motor Company Inertia-actuated locking device
DE102005049142A1 (de) * 2005-10-14 2007-04-19 Volkswagen Ag Bowdenzuganbindung mit integrierter Massensperre
DE102005049144A1 (de) * 2005-10-14 2007-04-19 Volkswagen Ag Massensperre im Lagerbügel zur Blockierung eines Bowdenzuges
US7635151B2 (en) * 2006-06-08 2009-12-22 Illinois Tool Works Inc. Release handle with integrated inertia locking mechanism
US7481468B2 (en) * 2006-10-25 2009-0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an inertially activated component
DE202007005489U1 (de) * 2007-04-13 2007-06-14 Dura Automotive Systems Gmbh Betätigungszug mit Trägheitsbremse
DE102007049078A1 (de) * 2007-10-12 2009-04-16 Audi Ag Verstärktes Kraftfahrzeugschloss
US8029032B1 (en) * 2008-02-01 2011-10-04 Lei Yang Automotive door handle assembly with directly coupled-inertia activated mechanism
WO2009111525A2 (en) * 2008-03-04 2009-09-11 Kiekert Aktiengesellschaft Dual-member inertia-activated locking mechanism f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US8152209B2 (en) * 2008-03-31 2012-04-10 Illinois Tool Works Inc. Delay apparatus for opening of vehicle door
DE102008034460A1 (de) * 2008-06-27 2009-12-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GB2464311B (en) * 2008-10-13 2012-08-15 Huf Huelsbeck & Fuerst Gmbh & Co Kg Latch mechanism with inertia event sensor
US8814231B2 (en) * 2009-03-17 2014-08-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daptive door handles
DE202009007355U1 (de) * 2009-05-22 2010-10-2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US20100301618A1 (en) * 2009-05-26 2010-1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able-actuated inertial lock for a vehicle door
DE102009045843A1 (de) * 2009-10-20 2011-04-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US8322077B2 (en) * 2009-11-23 2012-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with inertia lock mechanism
US8366159B2 (en) * 2010-01-06 2013-0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lever bi-directional inertia catch mechanism
JP5625178B2 (ja) * 2010-09-22 2014-11-1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乗降口開閉装置を備えた車両
US9322198B2 (en) * 2012-05-25 2016-04-26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latch mechanism
US9115514B2 (en) 2012-10-04 2015-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chanically initiated speed-based latch device
KR101481352B1 (ko) * 2013-12-19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US9605450B2 (en) 2014-05-20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closure system including speed-based latch release
US10072448B2 (en) 2014-05-29 2018-09-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KR101628499B1 (ko) * 2014-10-17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이 방지되는 구조 및 그 방법
US10024083B2 (en) 2014-12-05 2018-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latch with inertial lock
US10240370B2 (en) 2015-04-03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latch with release linkage bypass device
US9714530B2 (en) * 2015-09-15 2017-07-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ertia lock for a console armrest
US10648201B2 (en) * 2015-10-26 2020-05-12 Magna Closures S.P.A. Inertial lock device for release cable assembly
US10385592B2 (en) 2016-08-15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tch internal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531A (en) * 1975-05-28 1976-11-09 Register Lawrence J Inertia actuated door locking mechanism
JP2573536B2 (ja) * 1992-07-02 1997-01-22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スーパーロック機構付車両ドアロック装置
US5425568A (en) * 1994-04-11 1995-06-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n-type vehicle seat with a seatback-mounted armrest
JP3370218B2 (ja) * 1995-09-04 2003-01-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衝突時のドアロック解除装置
US5813726A (en) * 1997-02-18 1998-09-29 Hoover Universal, Inc. Inertia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adjustment mechanism
DE19858414A1 (de) 1998-12-17 2000-06-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Crashsperre an einem Türschloß eines Fahrzeugs
DE29914381U1 (de) * 1999-08-17 2000-03-02 Schaeffler Waelzlager Oh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IT1319857B1 (it) 2000-02-22 2003-11-03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US6880867B2 (en) * 2003-06-12 2005-04-19 Daimlerchrysler Corporation Vehicle door latching mechanism having an improved link r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39B1 (ko) * 2007-04-02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충돌시 관성력에 의한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개방동작구속장치
KR100946481B1 (ko) * 2008-06-16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08092B4 (de) 2006-07-27
US7201405B2 (en) 2007-04-10
JP2005240546A (ja) 2005-09-08
JP4652838B2 (ja) 2011-03-16
US20050184537A1 (en) 2005-08-25
KR101111206B1 (ko) 2012-02-16
DE102005008092A1 (de)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206B1 (ko) 관성 작동 메커니즘
US20200199915A1 (en) Overslam bumper for vehicle door latch
US20060208506A1 (en) Latching mechanism
US7481468B2 (en) Apparatus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an inertially activated component
EP2795022B1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door handle
US10829963B2 (en) Actu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US9109381B2 (en)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EP2053186A1 (en) Device for preventing unlocking of door handle
EP1635016A3 (en)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resisting opening under inertial forces
WO2004011749A1 (en) Inertia catch for a vehicle latch
US20230340805A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11639619B2 (en)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KR100747227B1 (ko) 자동차의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KR101470248B1 (ko)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101154318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JP7404016B2 (ja) ドアの開閉順序の制約がないロック装置{locking device without any restrictions on the opening and closing order of doors}
JP697245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144044B1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KR101080771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1755828B1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JP693320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4042076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構造
KR102291235B1 (ko) 차량용 스트랩 핸들 일체형 인사이드 핸들 구조
KR101511652B1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KR0140613B1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 잠금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