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948A -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948A
KR20060042948A KR1020050012978A KR20050012978A KR20060042948A KR 20060042948 A KR20060042948 A KR 20060042948A KR 1020050012978 A KR1020050012978 A KR 1020050012978A KR 20050012978 A KR20050012978 A KR 20050012978A KR 20060042948 A KR20060042948 A KR 20060042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space
guide
end region
vehicle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짜이저
페터 자이들
토마스 지이그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42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94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보다 상세하기로는, 자동차 내부공간측으로 배치된 안내측면부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대향하는 두 개의 전면말단영역을 포함하는, 외형이 단단한 기능측면부를 구비하는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말단영역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9, 10; 12 내지 14)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면말단영역(4, 4a)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롤러부재(9, 10; 12 내지 14)는 상기 전면말단영역(4, 4a)의 종방향이동시 관련된 안내측면부(7b, 7c)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영역(F1 내지 F5)에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는 자가용의 짐칸덮개부로서 사용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Function unit for inner space of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부공간측으로 배치된 안내측면부가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대향하는 두 개의 전면말단영역을 포함하는, 외형이 단단한 기능측면부를 구비하는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와같은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는 승용 및 배달겸용 자동차의 짐칸덮개부의 형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짐칸덮개부는 덮개면을 구비한다. 상기 덮개면은 카세트 하우징에 위치한 권취 회전축상에서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덮개면 자체의, 인출방향의 전면영역에는 외형이 단단한 인출 스트립(strip)이 구비된다. 상기 인출 스트립은 상기 덮개면의 측면에지에 대해 측면으로 돌출하는 전면말단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전면말단영역은 수평으로, 상기 자동차 내부공간의 연석 모서리 바로 아래로 이전된 안내레일에 배치가능하며, 상기 안내레일의 종방향으로 상기 인출 스트립의 종축을 가로질러 밀어 움직여질 수 있으며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면을 인출하거나 감는 동작중에 상기 인출 스트립을 정의하여 안내할 수 있다. 종방향이동, 즉, 특히, 밀어 움직이는 동작은 상기 인출 스트립의 전면말단영역과 상기 자동차 공간측의 안내레일 사이에 슬라이드(slide) 저항을 유발하므로, 상기 덮개면을 인출할 때 수동의 가동력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를 제공함으로써, 안내측면부 내부의 기능측면부를 쉽게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면말단영역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면말단영역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전면말단영역의 종방향이동시 상기 안내측면부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영역에서 감김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안내측면부의 평면영역으로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와 접촉하는 주행면을 각각의 안내측면부에서 볼 수 있다. 안내측면부로서 특히 안내레일, 안내홈 또는 또다른 선형측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측면부는 차량 내부공간에서 직선으로 또는 굽어져 배치된다. 이때, 상기 차량 내부공간의 측면 경계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측면부는 해당하는 경계면상에 안착되거나 상기 경계면에 일체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당하는 안내측면부는 차체기둥의 덮개부에 일체화되며 연석 모서리 상부 및/또는 하부로, 또는 그 높이로 신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안내측면부는 차체 "D"자 기둥의 영역에 구비되며, 각각 "D"자 기둥 덮개부에 일체화되는 상기 차체 "D"자 기둥을 따라 상기 차량 내부공간의 지붕방향으로 대략 연석 모서리의 높이로 신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안에 의해, 상기 기능측면부는 가장 쉽게 상기 안내측면부로 이전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측면부가 상기 안내측면부로 더 이상 미끄러지지 않고 감기게 됨으로써, 저항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소음발생도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부재 각각은 단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롤러부재로서, 바퀴, 굴림대, 롤러, 볼(ball) 및 또다른 종류의 회전체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재로서 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볼은 완전한 자유도로 볼형 케이지(cage) 또는 볼형 팬에 배치되고 모든 공간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말단영역 각각에는 다수개의 롤러부재가 서로 평행하거나 직교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은 지지하거나 감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안내측면부 각각의 서로 다른 공간적 평면영역에 각각 관련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부재들은 서로 이전되어 배치된다. 상기 롤러부재들은 동시에 상기 안내측면부 각각의 전체길이로 상기 서로 다른 공간적 평면영역에 인접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상기 롤러부재들은 상기 안내측면부의 서로 다른 경로단면의 영역에 부분적으로만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롤러부재를 동시에 안내측면부 각각의 서로 이격된 평면영역에 지지함으로써, 상기 안내측면부를 자체의 해당하는 경로단면으로 위치에 꼭 맞고 동작없이 강제로 안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측면부는 상기 차량 내부공간의 대향하는 경계면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상기 롤러부재들의 회전축은 상기 안내측면부의 중앙종축과 동축으로 또는 그와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는 상기 전면말단영역의 전면측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롤러부재는 상기 전면말단영역 각각을 신장할 때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는 상기 전면말단영역의 종방향측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와같은 롤러부재는 상기 전면말단영역의 전면측위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전면말단영역에 측면으로 배치된다. 상기 롤러부재들은, 상기 안내측면부를 종방향으로 이동할 때 원하는 롤러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안내측면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정렬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전면말단영역은 상기 기능측면부의 측면종축을 따라 신축형태로 이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종축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상기 전면말단영역에는 지지조절력이 작용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측면부가 상기 기능측면부의 이동면에서 굽어져 주행함에 따라 상기 전면말단영역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대향하는 안내측면부 각각의 간격이 안내경로진행중에 변경되면, 적어도 하나의 전면말단영역이 이에 상응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기능측면부의 폭이 강제로 조정된다. 상기 지지조절력은 상기 전면말단영역을 영구히 전면측으로 배치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로써, 상기 안내측면부의 또다른 진행을 즉시 검출할 수 있고 강제안내부에 의해 상기 기능측면부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 및 특징은 특허청구범위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명부에 나타나며, 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차량, 바람직하게는 경사후미부를 구비한 자가용의 내부공간은 짐칸(1)을 구비한다. 상기 짐칸(1)은 차량 내부공간의 승객수송영역의 뒷좌석 뒤에 배치된다. 상기 짐칸(1)은 상기 뒷좌석의 등받이부를 옮기거나 젖힘으로써 앞으로 확대될 수 있다. 덮개면(2)이 짐칸덮개부의 형태로 기능부로서 구비된다. 상기 덮개면(2)은 가요성 평면체를 나타낸다. 이러한 가요성 평면체는 카세트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권취 회전축상에서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고정된다. 기본적으로 잘 알려진 방식으로, 상기 권취 회전축에는 복원 스프링이 작용한다. 상기 복원 스프링은 감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 회전축에 탄성을 가한다. 따라서, 부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면(2)은 상기 카세트 하우징에 감겨진 자체의 정지위치로 이전된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은 상기 등받이부의 영역에서 대략 차체 및 차량 내부공간의 연석 모서리 높이로 차량을 고정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덮개면(2)은 인출방향으로, 자체의 전면영역에서 외형이 단단한 인출 스트립(3) 형태의 기능측면부를 구비한다. 상기 기능측면부는 상기 인출방향에 가로질러 상기 덮개면(2)의 전체폭으로 신장되며 양측면으로 상기 덮개면(2)의 각각의 측면에지영역상으로 외부로 돌출한다. 상기 외부로 돌출하는 영역은 상기 인출 스트립(3)의 전면말단영역(4)이다. 또한, 외형이 단단한 윤곽부(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인출 스트립(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윤곽부는 상기 덮개면(2)이 인출된 상태에서 후미덮개문 및 상기 인출 스트립(3) 사이에 남아있는 자유공간도 폐쇄한다.
상기 덮개면(2)은 자체의 차폐상태에서 상기 카세트 하우징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차량 뒷쪽으로 인출되며, 차량을 고정하는 수용부(7a)에, 바람직하게는 거는 동작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권취 회전축에 작용하는 복원 스프링부의 복원력으로 인해, 자체의 걸린 차폐위치에서 상기 덮개면(2)이 조여진다. 상기 덮개면(2)을 자체의 인출된 작동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인출 스트립(3)의 전면말단영역(4)은 상기 차량측의 수용부(7a)에 걸리며 거기서 강제로 홈 형태의 안내측면부(7b)로 안내된다. 상기 안내측면부(7b)는 상기 차체의, 후면의 차체측면기둥으로부터 대략 연석 모서리의 높이로 상부쪽으로 경사져 지붕테두리영역까지 신장된다. 상기 차량을 고정하는 수용부(7a)도 상기 후미측 차체기둥영역의 높이로 상기 후미덮개문의 양측으로 측벽덮개부(5)에 구비된다. 상기 차량측의 수용부(7a)는 저항부 형태로 굽어진 안내홈단면부로서 구현된다. 상기 안내홈단면부는 자체의 하부 말단영역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인출 스트립(3)의 전면말단영역(4)은 상기 덮개면(2)을 인출할 때 강제로 상기 수용부(7a)에 진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형태의 안내측면부(7b)도 상기 후미측 차체측면기둥을 따라 상기 연석 모서리 상부의 측면덮개부(6)에 공간적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안내측면부(7b)는 내부덮개부의 내부중앙을 가리키는 덮개부 윤곽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상기 안내측면부(7b)는 상기 내부덮개부에 나란하게 삽입된다. 각각의 차량종측면상의 저항부 형태의 안내홈단면부(7a) 상부에는, 상부쪽으로 경사지고 차량종방향으로 앞으로 신장하는 안내측면부(7b)가 연결된다. 상기 인출 스트립(3)은 자체의 전면말단영역(4)과 함께 상기 안내측면부(7b)를 따라 상부 및 하부로 상기 권취 회전축에 작용하는 복원 스프링부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대략 연석 모서리의 높이로 차단부재(11)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부재(11)는 자체의 차단위치에서 상기 각각의 안내측면부(7b)에 삽입되며, 전면말단영역(4) 각각에 상기 인출 스트립(3)의 형태적 고정부를 형성한다. 상기 대향하는 안내측면부(7b)에 삽입된 상기 두 개의 차단부재(11)는 상기 차단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상기 차단부재(11)를 자체의 차단위치로부터, 상기 차단부재(11)가 상기 각각의 안내측면부(7b)의 안내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해제위치로 이전하기 위해서, 상기 차단부재(11) 각각에는 제어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된다. 상기 제어부재는 제어부에 의해 공동으로 또는 동기되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11)를 동시에 해제하거나 상기 차단위치로 동시에 이전할 수 있다.
상기 전면말단영역(4)을 상기 안내측면부(7b)로 가장 쉽게 이전하고, 상기 전면말단영역(4)을 릴리스한 후 상기 인출 스트립(3) 및 상기 덮개면(2)을 상기 안내측면부(7b)의 상부의 전면 말단영역에 있는 상부의 안락위치로 이전하기에 충분한 상기 권취 회전축의 복원 스프링부의 복원력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인출 스트립(3)의 두 개의 전면말단영역(4)은 롤러부재(9, 10)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부재(9, 10)는 상부 및 하부 안내면(F1, F2)상으로 적어도 일시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굴러간다. 상기 두 개의 롤러부재(9, 10)는 플라스틱 롤러로서 구현되며 서로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면말단영역(4)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인출 스트립(3)의 중앙종축에 평행하거나 동축으로 정렬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롤러부재(9, 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면말단영역(4)의 전체윤곽으로 돌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말단영역(4) 각각은, 상기 각각의 전면말단영역(4) 및 상기 안내측면부(7b)의 하나의 안내면에 있는 외부윤곽단면이 슬라이딩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각각의 안내측면부(7b)의 안내면(F1, F2)에서 상기 롤러부재(9, 10)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상기 제1 롤러부재(9)는 상기 전면말단영역(4)의 지지단면부(8)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단면부(8)는 상기 제1 롤러부재(9)를 삽입하기 위한 슬릿 또는 홈 형태의 수용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단면부(8)는 상기 제1 롤러부재(9)를 상기 인출 스트립(3)의 중앙종축에 편심적으로 위치시킨다. 상기 지지단면부(8)는 상기 전면말단영역(4)에 단단히 연결되거나 상기 전면말단영역(4)의 일체형 돌기이다.
상기 제2 롤러부재(10)는 상기 전면말단영역(4) 및 상기 상기 지지단면부(8)에 위치되며, 상기 롤러부재(10)를 상기 상부 안내면(F1) 및 상기 차단부재(11)의 고정면에서 동시에 지지할 수 있을 만큼의 직경을 구비한다. 상기 롤러부재(10)의 직경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측면부(7b)의 높이보다 작으므로, 상기 롤러부재(10)는 상기 차단부재(11)의 고정위치 및 상기 상부 안내면(F1)에 상기 하부 안내면(F2)와의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또한,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재(9, 10)의 회전축은 상기 인출 스트립(3) 및 상기 전면말단영역(4)의 중앙종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전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특히, 상기 롤러부재(9)는 상기 인출 스트립(3)의 중앙종축에 편심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는, 차량 후미쪽으로 상기 인출 스트립(3)에 안착된, 전술한 외형이 단단한 윤곽부가 상기 인출 스트립(3) 및 상기 전면말단영역(4)상에도 경사모멘트를 가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상기 서로 이전된 롤러부재(9, 1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경사모멘트는, 상기 외부 롤러부재(10)가 상기 상부 안내면(F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하부 롤러부재(10)가 상기 하부 안내면(F2)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강제로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인출 스트립(3)을 릴리스한 후에 상기 차단부재(11)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전면말단영역(4) 각각의 안정적이고 동작없는 롤러동작이 상기 안내측면부(7b)를 따라 수행된다. 상기 인출 스트립(3)을 상기 롤러부재(9, 10)를 상측 및 하측에 고정한 것에 근거하여 안정적으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외형이 단단한 윤곽부가 상기 인출 스트립(3)이 이동하는 중에 상부쪽으로 경사져 안정적이고 동일하게 남아있는 경사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덮개면(2)을 상기 카세트 하우징에 감겨진 정지위치로부터 상기 차폐위치로 이전하기 위해서, 상기 덮개면(2)은 손을 사용하여 대략 수평으로 뒤로 인출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윤곽부의 영역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덮개면(2)을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grip)부재 또는 그립 리세스(grip recess)가 구비된다. 상기 짐칸(1)의 후미영역에는 상기 전면말단영역(4)이, 상기 짐칸(1)의 대향하는 측벽에 배치된 안내홈단면부(7a)의 개방된 영역으로 진입한다. 상기 영역으로 도 2에 도시된 저항부 각각이 상부를 향해 안내되며, 이어서 릴리스된다. 이때, 담당 작업자는 자신의 손을 상기 윤곽부에서 뗀다. 이러한 수동조작을 제거하면, 상기 권취 회전축의 복원 스프링부의 복원력으로 인해, 감는 방향으로 상기 덮개면(2)에 대해 인장부하가 가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인출 스트립(3)의 전면말단영역(4)은 상기 차단부재(11)에 대해 압박된다. 상기 차단부재(11)는 자체의 차단위치에서 대략 연석 모서리의 높이로 위치되므로, 상기 덮개면(2)은 상기 안정된 위치에서 대략 수평으로 인출된 차폐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후미덮개문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미덮개문의 상부 디스크부가 개방되면, 상기 후미덮개문 자물쇠를 작동, 즉, 개방함과 동시에 각각의 차단부재(11)가 제어되며 자체의 릴리스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감는 방향으로 상기 덮개면(2)상에 작용하는 복원력로 인해, 상기 인출 스트립(3) 및 상기 전면말단영역(4)은 상기 안내측면부(7b)를 따라 상부 및 하부로 상기 안내측면부(7b)의 전면의 상부 말단영역까지 진행된다. 상기 위치에서 상기 덮개면(2)은 안락위치를 형성한다. 이는, 상기 덮개면(2) 하부에 위치한 짐칸영역은 상기 후미덮개문의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작업자가 상기 짐칸(1)에 접근할 필요가 없을 경우, 상기 작업자는 상기 덮개면(2)을 손으로 다시 상기 수평의 차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전면말단영역(4)이 상기 차단부재(11)에 나란하게 뻗어있는 경우, 상기 덮개면(4)은 자동으로 다시 자체의 차폐위치로 진입하므로, 상기 덮개면(2)을 위한 안정된 차폐위치가 다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미덮개부, 바람직하게는 디스크부가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는, 상기 덮개면(2)의 반자동 이동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면(2)이 자체의 상부 안락위치에서 상기 차폐위치로의 갱신된 재이전동작은 제어수단에 의해 수행되므로, 상기 덮개면(2)을 자동조작 내지 수동으로 상기 차폐위치로 재이전하는 것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미 상기 수평의 인출동작에 따라 상기 덮개면(2)에는, 상기 롤러부재를 구비한 전면말단영역이 진행하는, 좌우를 둘러싸는 안내측면부가 부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면을 상기 차폐위치로 자동으로 이전하기 위해서, 상기 수평의 안내측면부도 제어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수동조작은 상기 실시예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덮개면(2a)이 구비된다. 상기 덮개면(2a)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카세트 하우징 또는 이와 유사한 수용장치의 권취 회전축상에 감거나 풀 수 있게 고정된다. 상기 덮개면(2a)도 인출방향의 자체의 전면영역에서 인출 스트립을 구비한다. 상기 인출 스트립에는 외형이 단단한 윤곽부가 부착된다. 상기 인출 스트립은 직사각형 횡단면측면부를 구비한다. 상기 인출 스트립은 자체의 대향하는 전면말단영역(4a)과 함께, 차량 내부공간(도시되지 않음)의 수평의, 레일 형태의 안내측면부(7c)로 안내된다. 상기 안내측면부(7c)는 하부 안내면(F3), 상부 안내면(F4), 및 외부 안내면(F5)을 구비한다. 세 개의 모든 안내면(F3 내지 F5)은 편평하게 형성되며, C 화살표와 유사하게 수직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다. 각각의 안내면(F3 내지 F5)의 전면말단영역(4a)에는 롤러부재(12 내지 14)가 부착된다. 상기 롤러부재(12 내지 14)는 상기 안내면(F3 내지 F5)에 대해 각각 평행한 회전축을 구비하며, 부분적으로 상기 전면말단영역(4a)의 외부 윤곽에 하강되게 위치한다. 모든 롤러부재는 롤러 형태로 구현된다. 하부 롤러부재(12)는 인출방향의, 상기 전면말단영역(4a)의 전면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부 롤러부재(14)는 인출방향의, 상기 전면말단영역(4a)의 상부 및 배면 모서리에 위치하고, 외부 롤러부재(13)는 상기 전면말단영역(4a)의 전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전면말단영역(4a)은 도 4에 도시된 이중화살표에 따라 상기 인출 스트립에 대해 신축형태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전면말단영역(4a)은 소정의 범위에서 동축으로 이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 스트립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대향하는 안내측면부(7c)가 서로 평행하게 신장하지 않고 자체의 간격으로 서로 자체의 길이 범위내에서 변경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안내측면부(7c)의 진행은 상대적으로 축소되거나 확대될 수 있다. 상기 전면말단영역(4a)은 상기 인출 스트립을 따라서 지지조절력에 의해 외부를 향해 힘이 가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압축스프링에 의해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 및 모든 전면말단영역(4a)의 외부 롤러부재(13)를 영구히 상기 측면 안내면(F5)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전면말단영역(4a)에서는 자동으로 내부로 또는 외부로 수행되는 상기 안내측면부(7c)의 왜곡진행이 검출되고 이에 상응하여 조정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짐칸덮개부가 기능부로서 구비된다. 그러나, 차량 내부공간 내부의 안내측면부를 따라 이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측면부를 구비하는, 또다른 종류의,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기능부로서, 특히 분리망 또는 다른 형태의 분리구조체가 적합하다. 즉, 상기 분리망 또는 분리구조체는 대략 수직으로 상부로 보호위치로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위치에서는 짐칸이 승객칸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짐칸내에서 밀어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주머니 형태의 현가수용부를 본 발명에 따른 기능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변적인 공간단면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짐칸공간 내부에서 해당하는 안내측면부로 이전될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형이 단단한 분할부를 본 발명에 따른 기능부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를 제공함으로써, 안내측면부 내부의 기능측면부를 쉽게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부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능부의 단면을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능부 내의 기능측면부의 횡단면을 확대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1 내지 도 3과 유사한 또다른 기능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6)

  1. 자동차 내부공간측으로 배치된 안내측면부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배치되며 대향하는 두 개의 전면말단영역을 포함하는, 외형이 단단한 기능측면부를 구비하는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에 있어서,
    전면말단영역(4, 4a)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9, 10; 12 내지 14)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부재(9, 10; 12 내지 14)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면말단영역(4, 4a)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롤러부재(9, 10; 12 내지 14)는 상기 전면말단영역(4, 4a)의 종방향이동시 관련된 안내측면부(7b, 7c)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영역(F1 내지 F5)에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말단영역(4, 4a) 각각에는 다수개의 롤러부재(9, 10; 12 내지 14)가 서로 평행하거나 직교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은 지지하거나 감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안내측면부(7b, 7c) 각각의 서로 다른 공간적 평면영역(F1 내지 F5)에 각각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10, 13)는 상기 전면말단영역(4, 4a)의 전면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4.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9, 12, 14)는 상기 전면말단영역(4, 4a)의 종방향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면말단영역(4a)은 상기 기능측면부의 측면종축을 따라 신축형태로 이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종축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상기 전면말단영역(4a)에는 지지조절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KR1020050012978A 2004-02-18 2005-02-17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KR200600429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08874A DE102004008874A1 (de) 2004-02-18 2004-02-18 Funktionseinheit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DE102004008874.8 2004-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948A true KR20060042948A (ko) 2006-05-15

Family

ID=3481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978A KR20060042948A (ko) 2004-02-18 2005-02-17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20050179275A1 (ko)
EP (1) EP1574394B1 (ko)
JP (1) JP2005231619A (ko)
KR (1) KR20060042948A (ko)
CN (1) CN1657343B (ko)
AT (1) ATE427240T1 (ko)
DE (2) DE1020040088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3819A1 (de) * 2005-07-11 2007-01-25 Bos Gmbh & Co. Kg Laderaumschutz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r Wickelwelle
DE102005049999A1 (de) * 2005-10-13 2007-04-26 Bos Gmbh & Co. Kg Abdeck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JP4706461B2 (ja) * 2005-12-05 2011-06-22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US7537265B2 (en) 2005-11-22 2009-05-26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rear structure
JP4670617B2 (ja) * 2005-12-05 2011-04-13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FR2895712B1 (fr) * 2006-01-04 2008-03-21 Cera Element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a bagages comprenant un volet presentant une position stable et une pluralite de positions instables de part et d'autre
DE102006008873B4 (de) * 2006-02-21 2010-09-16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JP4802921B2 (ja) * 2006-08-02 2011-10-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小物収納部形成構造
DE102006053680A1 (de) * 2006-11-13 2008-05-15 Bos Gmbh & Co. Kg Automatisch öffnende Laderaumabdeckung
DE102006046069A1 (de) * 2006-09-27 2008-04-10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reibungsmindertem Antrieb
DE502007006927D1 (de) 2006-09-27 2011-05-26 Bos Gmbh Rollo mit hinterschneidungsfreier Führungsschiene
DE102007021428B4 (de) * 2007-05-03 2012-08-30 Bos Gmbh & Co. Kg Abdeckungssystem für einen Heckstauraum eines Fahrzeugs
US20090033114A1 (en) * 2007-08-02 2009-02-05 Thomas Steigerwald Loading area cover for a motor vehicle
DE102007038113B4 (de) * 2007-08-02 2009-07-23 Bos Gmbh & Co. Kg Laderaumabdeck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7061645B4 (de) * 2007-12-20 2020-08-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bdeckrollo für ein Kraftfahrzeug
US20090195034A1 (en) * 2008-02-01 2009-08-06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e assembly
DE102009006876B4 (de) * 2009-01-30 2019-11-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raumabdeckung
US20100244479A1 (en) * 2009-03-25 2010-09-30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liding bar assembly for use in cargo storage applications
DE102009023723A1 (de) * 2009-06-03 2010-12-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US20130153160A1 (en) * 2011-11-18 2013-06-20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e assembly
TWM428992U (en) * 2011-12-08 2012-05-11 Macauto Ind Co Ltd Track type sunshade device
US8608220B2 (en) * 2012-03-30 2013-12-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separating panel assembly with access to trunk release
FR2995571A3 (fr) * 2012-09-20 2014-03-21 Renault Sa Ensemble d'occultation reglable verticalement pour coffr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GB2522417B (en) 2014-01-22 2016-09-14 Ford Global Tech Llc Roll cover assembly
DE102015102025B4 (de) 2015-02-12 2022-04-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raumabdeckung
EP3075601B1 (en) * 2015-03-30 2017-07-12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Layout system for cargo area of vehicle
DE102016203382B4 (de) * 2016-03-02 2017-11-23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DE102016215599B3 (de) * 2016-08-19 2017-07-27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FR3057510A1 (fr) * 2016-10-18 2018-04-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de fixation d'un limiteur de debattement d'une tablette arriere sur le volet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CN117601770A (zh) * 2024-01-24 2024-02-27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一种车用电动遮物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46A (en) * 1896-05-05 Shade-holding device
US4139231A (en) * 1978-05-08 1979-02-13 Irvin Industries Inc. Automobile rear compartment cover
US4289346A (en) * 1978-12-18 1981-09-15 Bourgeois Norman J Collapsible protective cover mechanism
US4480675A (en) * 1982-09-29 1984-11-06 Lof Plastics Inc. Security cover for an automobile storage compartment
DE8816633U1 (ko) * 1988-06-10 1990-02-15 Baumeister & Ostler Gmbh & Co, 7307 Aichwald, De
JPH02125448U (ko) * 1989-03-24 1990-10-16
DE3920874C1 (ko) * 1989-06-26 1990-07-26 Eugen Otto 4010 Hilden De Butz
US5224748A (en) * 1992-04-07 1993-07-06 Takata, Inc. Motor vehicle security shade with guide track
US5338084A (en) * 1992-12-16 1994-08-16 Roll-A-Cover Inc. Cover system for flatbed trailers and kit therefor
DE4424498C2 (de) * 1994-07-12 1996-08-14 Baumeister & Ostler Gmbh Co Abdeckrollo oder -einrichtung für einen Kofferraum eines Kraftfahrzeuges
JPH09109776A (ja) * 1995-10-13 1997-04-28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JP3271895B2 (ja) * 1996-04-26 2002-04-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カーゴネット装置
DE19650775C2 (de) * 1996-12-06 1999-03-11 Baumeister & Ostler Gmbh Co Abdeckrollo mit vereinfachter Bedienung
DE19940602A1 (de) * 1999-08-27 2001-04-05 Baumeister & Ostler Gmbh Co Laderaumabdeck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9944948C1 (de) * 1999-09-20 2001-05-31 Baumeister & Ostler Gmbh Co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DE10102627A1 (de) * 2001-01-18 2002-08-01 Bos Gmbh Abdeck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US6471282B2 (en) * 2001-03-26 2002-10-29 John Hanning Reliable retractable protective cover assembly
DE10134085C1 (de) * 2001-07-13 2003-01-16 Daimler Chrysler Ag Mit Elektromotor angetriebene Laderaumababdeckung
EP1332919B1 (de) * 2002-01-31 2007-10-31 BOS GmbH & Co. KG Aufnahme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229675B4 (de) * 2002-06-27 2005-06-09 Bos Gmbh & Co. Kg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42510B4 (de) * 2002-09-12 2005-12-08 Bos Gmbh & Co. Kg Kfz-Sicherheitseinrichtung, insbesondere Trennnetz
DE10324289A1 (de) * 2003-05-21 2004-12-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31619A (ja) 2005-09-02
ATE427240T1 (de) 2009-04-15
CN1657343B (zh) 2011-06-22
US7445262B2 (en) 2008-11-04
CN1657343A (zh) 2005-08-24
DE502004009265D1 (de) 2009-05-14
EP1574394A1 (de) 2005-09-14
DE102004008874A1 (de) 2005-09-08
US7628437B2 (en) 2009-12-08
US20090033115A1 (en) 2009-02-05
EP1574394B1 (de) 2009-04-01
US20050179275A1 (en) 2005-08-18
US20070194584A1 (en)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2948A (ko) 자동차 내부공간의 기능부
US8708408B2 (e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US9469253B2 (en) Holder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dashboard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7055877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terior
KR100485307B1 (ko) 자동차 짐칸의 차폐장치
US6655561B2 (en) Device comprising a removable sliding central console
KR102563594B1 (ko) 컵홀더를 갖는 콘솔
CN107635827A (zh) 用于车辆内部的控制台
JP4413856B2 (ja) 収納された係止部を有するウィ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2002308016A (ja) 自動車のための荷物室カバー装置
JP2007182217A (ja) 自動車用の保護装置
JP2016049938A (ja) 車両用荷室構造
US11440477B2 (en) Guide rail arrangement
US7857372B2 (en) Tonneau cover apparatus for an automobile
JPH01240332A (ja) 乗り物装備品
JP2001055046A (ja) 車輌用開口部の遮蔽装置
JP3249775B2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US20190359037A1 (en)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window
KR20200071156A (ko) 코트 훅을 갖춘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JP3200944U (ja) 自動車用シェード
JP2010215072A (ja) スライド機構
CN110450689B (zh) 座椅扶手和车辆
JP5151238B2 (ja) 車体補強構造
EP3366513B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 for vehicles
JPH0649230Y2 (ja) 自動車用リヤ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