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980A - 회전형 가변 저항기 - Google Patents

회전형 가변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980A
KR20060041980A KR1020050012630A KR20050012630A KR20060041980A KR 20060041980 A KR20060041980 A KR 20060041980A KR 1020050012630 A KR1020050012630 A KR 1020050012630A KR 20050012630 A KR20050012630 A KR 20050012630A KR 20060041980 A KR20060041980 A KR 2006004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housing
resistance
sliding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887B1 (ko
Inventor
겐에츠 마츠카와
히로후미 가와노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28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rocking or rolling along resistive element or t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과제) 저항체 등의 도전 패턴이 형성된 기반 등이 링 형상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전체 저항치를 작게 할 수 있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하우징 (1) 과, 하우징 (1) 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회전 부재 (6) 와, 일면측에 도전 패턴 (4) 을 갖고 하우징 (1) 과 회전 부재 (6)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고리형의 기반 (2) 과, 하우징 (1) 과 회전 부재 (6) 중 다른 일방에 형성되어 도전 패턴 (4) 과 상대적으로 접동가능한 접동자 (7) 를 구비한다. 도전 패턴(4) 은 카본을 함유하는 고저항체부 (4b) 와, 고저항체부 (4b) 보다 비저항이 작은 저저항체부 (4c) 로 이루어지고, 도전 패턴 (4) 과 접동자 (7) 가 접동하는 접동 방향을 따라 고저항체부 (4b) 와 저저항체부 (4c) 를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하였다.
회전형 가변 저항기

Description

회전형 가변 저항기 {ROTARY VARIABLE RESISTOR}
도 1 은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 저항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 저항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 저항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 저항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기반 및 도전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우징 1a: 베이스부
1b: 원통축 1c: 수납부
1d: 걸어맞춤 오목부 1e: 걸어맞춤 오목부
1f: 단자 구멍 1g: 다리부
1h: 오목 홈부 1i: 관통 구멍
1j: 가이드 홈 2: 기반
2a: 개구부 2b: 돌기부
2c: 돌기부 3: 커먼 패턴
3a: 전극부 4: 도전 패턴
4a: 전극부 4b: 고저항체부
4c: 저저항체부 5: 접속 단자
6: 회전 부재 6a: 회전판
6b: 회전축 6c: 클릭 캠부
6d: 걸어맞춤 구멍 6e: 클릭부
6f: 가이드 돌기부 7: 접동자
8: 커버 부재 8a: 뚜껑부
8b: 걸림편 8c: 스냅편
8d: 가이드편 8e: 고착부
9: 클릭판 9a: 걸어맞춤 구멍
9b: 돌출부
본 발명은 회전형 가변 저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탑재용 전자 기기 등의 각종 컨트롤에 사용되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형 가변 저항기나 인코더 등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조로서는 중공상의 지지부를 갖고, 기부에 복수의 접촉편 (접동자) 이 매설된 케이스와, 동일하게 중공상의 축부를 갖고,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회전체에 도전 패턴이 형성된 축부재 (회전 부재) 와,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장착판 (커버 부재) 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하,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조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단면도이고, 도 7 은 회전형 전기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21) 는 링상의 오목부 (21a) 를 갖는 사각형상의 기부 (21b) 와, 기부 (21b) 의 중앙부에서 직립하고 중심부에 관통 구멍 (21c) 을 갖는 원통상의 지지부 (21d) 를 갖고, 이 케이스 (21) 의 기부 (21b) 에는 단자와 일체로 된 복수개의 접촉편 (22) 이 매설되어 장착되어 있다.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축부재 (23) 는 중앙부에 관통 구멍 (23a) 을 갖는 축부 (23b) 와 축부 (23b) 의 하단부에 형성된 링상의 회전체 (23c) 를 갖고, 축부 (23b) 와 회전체 (23c) 가 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축부 (23b) 는 전체가 거의 같은 직경의 스트레이트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 (23c) 의 하면에는 저항체나 코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도전 패턴 (24) 이 형성되고, 도전 패턴 (24) 을 형성한 축부재 (23) 는 관통 구멍 (23a) 에 지지부 (21d) 를 삽입 통과시켜, 회전체 (23c) 가 오목부 (21a) 내에 수납되어, 케이스 (21)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장착판 (25) 은 구멍 (25a) 을 갖는 평판부 (25b) 와, 평판부 (25b) 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한 쌍의 다리부 (25c) 와, 평판부 (25b) 에 서 직각으로 절곡된 복수개의 장착부 (25d) 를 갖고, 이 장착판 (25) 은, 구멍 (25a) 에는 전방 선단부로부터 축부 (23b) 와 지지부 (21d) 를 삽입 통과시켜, 평판부 (25b) 로 회전체 (23c) 의 일면을 덮고, 다리부 (25c) 의 선단부를 케이스 (21) 의 하면측으로 절곡하여, 케이스 (21) 와 축부재 (23) 를 장착하고, 이 장착판 (25) 이 장착 부재와 케이스체의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회전형 전기 부품이 구성되고, 축부재 (23) 의 축부 (23b) 를 회전시키면, 회전체 (23c) 와 도전 패턴 (24) 이 회전하는 동시에, 도전 패턴 (24) 에 접촉편 (22) 이 슬라이딩 접촉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형 전기 부품은 프린트 기판 (도시하지 않음) 에 장착되고,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21) 의 관통 구멍 (21c) 내에 위치하는 프린트 기판에 푸시 버튼 스위치 (26) 가 배치되어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 (21) 의 지지부 (21d) 와 축부재 (23) 의 축부 (23b) 를 원통상으로 함으로써, 그 중앙의 공간부에 별도의 전기 부품을 배치가능하게 한 스페이스 팩터가 좋은 회전형 전기 부품이 얻어지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76287호
그러나, 상기 기술한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에서는 축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도전 패턴이 형성된 회전체는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큰 관통 구멍을 갖는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항체의 패턴을 폭이 넓은 형상으 로 굵게 형성할 수 없고, 가늘고 긴 저항체 패턴으로 되므로, 전압 출력을 CPU 의 A/D 컨버터로 판독하기 위해서, 전체 저항치를 예를 들어 10kΩ정도로 작게 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전체 저항치를 작게 하기 위해서, 저저항 잉크를 사용한 경우에는 잉크 중의 카본의 함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저항체가 물러져서, 깎임 등에 의해 접동 수명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저항체 등의 도전 패턴이 형성된 기반 등이 링상의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전체 저항치를 작게 할 수 있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해결수단으로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회전 부재와, 일면측에 도전 패턴을 갖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 부재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고리형의 기반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 부재 중 다른 일방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 패턴과 상대적으로 접동가능한 접동자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 패턴은 카본을 함유하는 고저항체부와, 이 고저항체부보다 비저항이 작은 저저항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 패턴과 상기 접동자가 접동하는 접동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저항체부와 상기 저저항체부를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고저항체부는 바인더 수지 속에 카본 블랙과 그래파이트가 분산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저저항체부는 은층과 이 은층을 덮는 카본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본층과 상기 고저항체부를 동일 재료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도전 패턴은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 패턴은 상기 고저항체부를 합산한 영역보다 상기 저저항체부를 합산한 영역이 크게 되도록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회전 부재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클릭 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도전 패턴의 저저항체부에 상기 접동자가 접촉하고 있을 때에,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클릭 기구에 의해 유지되어 상기 도전 패턴과 상기 접동자의 위치 관계를 안정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 저항기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 저항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의 평면도이고, 도 3 은 회전형 가변 저항기의 정면도이고, 도 4 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5 는 기반 및 도전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서, 하우징 (1)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형의 베이스부 (1a) 와, 이 베이스부 (1a) 의 중앙에 돌출된 원통축 (1b) 를 갖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 (1a) 는 전면 (도 4 에서는 상면) 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오목 형상의 수납부 (1c) 를 갖고 있다. 또한, 수납부 (1c) 에서 상기 원통축 (1b) 과 대향하는 내벽부의 도 1 에서의 상하 위치에는 후술하는 기반 (2) 의 돌기부 (2b, 2c) 와 걸어맞춰지는 한 쌍의 걸어맞춤 오목부 (1d, 1e) 가 형성되고 있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1e) 의 내저면의 일단측에는 기반 (2) 의 접속 단자 (5) 를 하우징 (1) 의 저면측으로 도출시키는 단자 구멍 (1f)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 (1a) 의 외측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복수의 다리부 (1g) 와, 복수의 오목 홈부 (1h)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 홈부 (1h) 에 후술하는 커버 부재 (8) 의 걸림편 (8b) 이 걸어맞춰져 하우징 (1) 에 커버 부재 (8) 가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축 (1b) 은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큰 관통 구멍 (1i) 을 갖고 있다. 이 관통 구멍 (1i) 의 내벽에는 도 4 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 홈 (1j)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 (1j) 에 도시하지 않은 전자 기기 등의 조작 손잡이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이것도 도시하지 않은 중공 내의 프린트 기판 상에 실장된 푸시 버튼 스위치 등을 조작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 (1) 의 중앙에 큰 관통 구멍 (1i) 을 형성하고, 원통축 (1b) 을 중공상으로 함으로써, 그 중앙의 공간부에 별도의 전기 부품을 배치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프린트 기판 등에 실장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스페이스 팩터가 좋은 회전형 가변 저항기가 얻어지게 되어 있다.
기반 (2) 은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적층판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큰 개구부 (2a) 를 갖는 원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반 (2) 의 도 1 에서의 상하 위치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부 (2b, 2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 (2b, 2c) 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c) 내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1d, 1e) 와 걸어맞춰져, 기반 (2) 이 수납부 (1c) 내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반 (2) 의 일면측 (전면측) 에는 은 등의 도전성 재료로 원 고리형으로 형성된 집전체로서의 커먼 패턴 (3) 과, 카본 등의 도전성 재료로 커먼 패턴 (3) 의 외주를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된 저항체로서의 도전 패턴 (4)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 (2c) 의 중앙에는 상기 커먼 패턴 (3) 으로부터 도출되는 전극부 (3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극부 (3a) 를 사이에 둔 양측에는 상기 도전 패턴 (4) 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도출되는 한 쌍의 전극부 (4a, 4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부 (3a, 4a, 4a) 에는 접속 단자 (5) 가 고착되어 있고, 이들 접속 단자 (5) 가 상기 수납부 (1c) 의 내저면의 일단측에 형성된 상기 단자 구멍 (1f) 에서 바깥쪽으로 도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접속 단자 (5) 가 도시하지 않은 전자 기기의 프린트 기판 상의 배선 패턴과 접속되어 전기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먼 패턴 (3) 은 은층 등의 도전성 재료로 원 고리형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전 패턴 (4)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본을 함유하는 고저항체부 (4b; 해칭부) 와, 이 고저항체부 (4b) 보다 비저항이 작은 저저항체부 (4c) 가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저항체부 (4b) 는 바인더 수지 속에 카본 블랙과, 저항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그래파이 트를 분산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 그래파이트를 함유시킴으로써, 보다 전체 저항치를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저항체부 (4c) 는 은층과 이 은층을 덮는 카본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본층은 상기 고저항체부 (4b) 를 구성하고 있는 재료와 동일 재료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고, 이 때문에, 상기 고저항체부 (4b) 의 형성과, 상기 저저항체부 (4c) 의 은층을 덮는 카본층의 형성을 동일 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커먼 패턴 (3) 도 상기 저저항체부 (4c) 와 동일 재료로 동일 구성, 즉, 은층과 이 은층을 덮는 카본층의 2 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전 패턴 (4) 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도전 패턴 (4) 상을 후술하는 회전 부재 (6) 에 고착된 접동자 (7) 가 접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도전 패턴 (4) 은 상기 고저항체부 (4b) 를 합산한 영역 (합산 각도) 보다, 상기 저저항체부 (4c) 를 합산한 영역 (합산 각도) 이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극부 (4a, 4a) 에 접속된 양단부도 상기 도전 패턴 (4)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저저항체부 (4c) 의 영역에 포함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고저항체부 (4b) 의 둘레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저저항체부 (4c) 의 둘레 방향에서의 길이를 길게 하고 있고, 실제로 접동자 (7) 가 도전 패턴 (4) 과 접동하는 접동 영역도, 상기 고저항체부 (4b) 를 합산한 접동 영역보다, 상기 저저항체부 (4c) 를 합산한 접동 영역이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저저항체부 (4c) 의 합산 영역이, 상기 고저항체부 (4b) 의 합산영역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전 패턴 (4) 의 전체 저항치를 보다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부재 (6)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고, 원 고리형의 회전판 (6a) 과, 이 회전판 (6a) 의 중앙에 원통상으로 돌출된 회전축 (6b) 을 갖고 있다. 상기 회전판 (6a) 의 하면측에는 상기 기반 (2) 의 커먼 패턴 (3) 및 도전 패턴 (4) 과 탄성을 갖고 맞닿는 동시에, 회전 부재 (6) 의 회전에 따라 커먼 패턴 (3) 및 도전 패턴 (4) 상을 접동하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동자 (7) 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 (6a) 의 상면측에는 원 고리형으로 연속된 요철부로 이루어지는 클릭 캠부 (6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 (6b) 은 중공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큰 걸어맞춤 구멍 (6d)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 (6b) 에는 외측부의 상면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클릭부 (6e)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중앙으로부터 하면측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부 (6f)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 (6) 는 상기 하우징 (1) 의 원통축 (1b) 에 상기 회전축 (6b) 의 걸어맞춤 구멍 (6d) 이 걸어맞춰져, 상기 회전판 (6a) 이 상기 수납부 (1c)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게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회전판 (6a) 의 하면측에 고착된 상기 접동자 (7) 가 상기 수납부 (1c) 내에 위치결정된 상기 기반 (2) 의 커먼 패턴 (3) 및 도전 패턴 (4) 과 맞닿아 접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6b) 의 클릭부 (6e) 및 가이드 돌기부 (6f) 에, 도시하지 않은 전자 기기 등의 조작 손잡이가 걸어맞춰져, 이 조작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 (6) 가 회전 조작되게 되어 있다.
커버 부재 (8) 는 박판의 금속판을 펀칭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원 고리형의 뚜껑부 (8a) 와, 이 뚜껑부 (8a) 에 하방으로 매달린 복수의 걸림편 (8b) 과, 대향하여 형성된 한 쌍의 스냅편 (8c) 과, 이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편 (8d) 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 (8a) 에는 후술하는 클릭판 (9) 을 고착하는 돌기 형태의 고착부 (8e)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부재 (8) 는 상기 하우징 (1) 의 외측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오목 홈부 (1h) 에, 복수의 상기 걸어맞춤편 (8b) 이 걸어맞춰져 그 선단이 코킹됨으로써, 상기 수납부 (1c) 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 (1) 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가이드편 (8d) 은 상기 기반 (2) 의 돌기부 (2b, 2c) 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 (1c) 의 걸어맞춤 오목부 (1d, 1e) 내에 걸어맞춰져, 확실하게 기반 (2) 을 협지하는 동시에 위치결정되게 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상기 스냅편 (8c) 은 하우징 (1) 의 외측면에서 저면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도시하지 않은 전자 기기 등의 프린트 기판의 장착 구멍과 스냅 걸어맞춤되게 되어 있다. 이 때,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 (1) 의 복수의 상기 다리부 (1g) 를 나사 등으로 고정하도록 하면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클릭판 (9) 은 탄성을 갖는 박판의 금속판 등으로 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측에는 상기 커버 부재 (8) 의 고착부 (8e) 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구멍 (9a) 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9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 (6) 가 회전 조작되었을 때에는 이 돌출부 (9b) 가 상기 회전 부재 (6) 의 회전판 (6a) 상면에 형성된 요철상의 클릭 캠부 (6c) 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클릭감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 (9b) 가 상기 클릭 캠부 (6c) 의 오목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회전 부재 (6) 는 그 위치에서 안정 상태가 유지되고 있고, 이 안정 상태시에 상기 접동자 (7) 가 상기 도전 패턴 (4) 의 저저항체부 (4c) 와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저저항체부 (4c) 에 상기 접동자 (7) 가 접촉하고 있을 때에, 상기 클릭판 (9) 과 상기 클릭 캠부 (6c) 로 이루어지는 클릭 기구에 의해, 그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안정 상태인 클릭의 정지 위치 (오목부 위치) 에서는 출력의 큰 변화없이 안정된 출력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c) 에, 상기 도전 패턴 (4) 이 형성된 상기 기반 (2) 을 수납하여 위치결정하고, 상기 회전 부재 (6) 에 도전 패턴 (4) 과 접동하는 상기 접동자 (7) 를 고착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c) 에, 접동자 (7) 를 고착하고, 도전 패턴 (4) 이 형성된 기반 (2) 을 상기 회전 부재 (6) 에 고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상기 기반 (2) 은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적층판으로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FPC 나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원 고리형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이것에 커먼 패턴 (3) 및 도전 패턴 (4) 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하우징 (1) 과 기반 (2) 을 일체로 형성하여 기반 (2) 의 기능을 구비한 하우징에 도전 패턴이 형성되 게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1) 으로서, 수납부 (1c) 를 갖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하우징을 판상 부재와 프레임상 부재의 두 부재로 구성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판상 부재에 기반 (2) 의 기능을 갖게 하여 판상 부재에 도전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면측에 도전 패턴 (4) 을 갖는 고리형의 기반 (2) 과, 이 도전 패턴 (4) 과 상대적으로 접동가능한 접동자 (7) 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 패턴 (4) 은 카본을 함유하는 고저항체부 (4b) 와, 이 고저항체부 (4b) 보다 비저항이 작은 저저항체부 (4c) 로 형성하여, 상기 도전 패턴 (4) 과 상기 접동자 (7) 가 접동하는 접동 방향을 따라, 이 고저항체부 (4b) 와 저저항체부 (4c) 를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도전 패턴 (4) 의 접동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저항체부 (4b) 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저저항체부 (4c) 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도전 패턴 (4) 의 전체 저항치를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은 중앙에 큰 개구부 (2a) 를 갖는 링상 (원 고리형) 의 상기 기반 (2) 으로서, 상기 도전체 패턴 (4; 저항체) 의 폭을 굵게 할 수 없는 경우에도, 도전 패턴 (4; 저항체) 의 전체 저항치를, 예를 들어, 10kΩ정도로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형 가변 저항기는 하우징과, 하우징 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회전 부재와, 일면측에 도전 패턴을 갖고 하우징과 회전 부재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고리형의 기반과, 하우징과 회전 부재 중 다른 일방에 형성되어 도전 패턴과 상대적으로 접동가능한 접동자를 구비하고, 도전 패턴은 카본을 함유하는 고저항체부와, 고저항체부보다 비저항이 작은 저저항체부로 이루어지고, 도전 패턴과 접동자가 접동하는 접동 방향을 따라 고저항체부와 저저항체부를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도전 패턴의 접동 방향을 따라 고저항체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저저항체부를 형성하여, 도전 패턴의 전체 저항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저항체부는 바인더 수지 속에 카본 블랙과 그래파이트가 분산된 것이기 때문에, 그래파이트가 함유되어 있어 보다 전체 저항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저항체부는 은층과 은층을 덮는 카본층으로 이루어지고, 카본층과 고저항체부를 동일 재료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고저항체부의 형성과, 은층을 덮는 카본층의 형성을 동일 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전 패턴은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도전 패턴은 고저항체부를 합산한 영역보다 저저항체부를 합산한 영역이 크게 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저저항체부의 영역이 고저항체부의 영역보다 커서 도전 패턴의 전체 저항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클릭 기구를 구비하고, 도전 패턴의 저저항체부에 접동자가 접촉하고 있을 때에, 회전 부재가 클릭 기구에 의해 유지되어 도전 패턴과 접동자의 위치 관계를 안정 상태에 유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저저항체부에 접동자가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클릭 기구에 의해, 그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클릭 위치에서는 출력의 큰 변화없이 안정된 출력이 얻어진다.

Claims (5)

  1.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회전 부재와, 일면측에 도전 패턴을 갖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 부재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고리형의 기반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 부재 중 다른 일방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 패턴과 상대적으로 접동가능한 접동자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 패턴은 카본을 함유하는 고저항체부와, 이 고저항체부보다 비저항이 작은 저저항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 패턴과 상기 접동자가 접동하는 접동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저항체부와 상기 저저항체부를 교대로 반복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저항체부는 바인더 수지 속에 카본 블랙과 그래파이트가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저항체부는 은층과 이 은층을 덮는 카본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본층과 상기 고저항체부를 동일 재료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은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 패턴은 상기 고저항체부를 합산한 영역보다 상기 저저항체부를 합산한 영역이 크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클릭 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도전 패턴의 저저항체부에 상기 접동자가 접촉하고 있을 때에,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클릭 기구에 의해 유지되어 상기 도전 패턴과 상기 접동자의 위치 관계를 안정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변 저항기.
KR1020050012630A 2004-02-24 2005-02-16 회전형 가변 저항기 KR100702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47892 2004-02-24
JP2004047892A JP2005243687A (ja) 2004-02-24 2004-02-24 回転型可変抵抗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980A true KR20060041980A (ko) 2006-05-12
KR100702887B1 KR100702887B1 (ko) 2007-04-04

Family

ID=3485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630A KR100702887B1 (ko) 2004-02-24 2005-02-16 회전형 가변 저항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69033B2 (ko)
JP (1) JP2005243687A (ko)
KR (1) KR100702887B1 (ko)
CN (1) CN100458985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91B1 (ko) * 2005-10-11 2007-05-07 우리산업 주식회사 모드 액츄에이터의 가변저항장치
KR101109711B1 (ko) * 2009-05-13 2012-02-0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형 전기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4098B2 (en) * 2006-06-02 2010-11-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mposite mechanical transducers and approaches therefor
JP4655079B2 (ja) * 2007-11-06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CN101841583A (zh) * 2009-03-21 2010-09-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输入装置及具有该输入装置的电子装置
JP5628659B2 (ja) * 2010-12-27 2014-11-19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回転式電子部品
JP6200145B2 (ja) * 2011-11-30 2017-09-20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セラミック、そのセラミックを使用する傾斜抵抗率モノリス、および製造方法
CN111276306A (zh) * 2020-01-17 2020-06-12 新昌县欧赛机械有限公司 一种工业控制器电路板微型变阻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1473A (en) * 1953-03-12 1956-06-19 Coler Electric resistor
US2873336A (en) * 1954-12-13 1959-02-10 Metal Lux S R L Continuous variation potentiometer
US3579169A (en) * 1969-02-05 1971-05-18 Allen Bradley Co Variable resistor for dual operation
US3602861A (en) * 1969-03-05 1971-08-31 Bourns Inc Hybrid element variable resistor
US4075597A (en) * 1976-12-20 1978-02-21 Beckman Instruments, Inc. Variable resistor with dual ratio input shaft
US4223294A (en) * 1978-10-16 1980-09-16 Allen-Bradley Company Vernier control
JP3186258B2 (ja) * 1992-10-26 2001-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接触型ポテンショメータ
JPH11176287A (ja) 1997-12-11 1999-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型電子部品
JP3665492B2 (ja) 1998-11-02 2005-06-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可変抵抗器
US6471839B1 (en) * 1999-05-20 2002-10-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iosensor
JP3696540B2 (ja) * 2001-10-22 2005-09-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ロータリアッテネータ装置
KR200329956Y1 (ko) 2003-07-09 2003-10-17 최연균 구간별 저항이 형성되어진 가변 저항기
KR200338588Y1 (ko) 2003-10-21 2004-01-16 박준형 가변 저항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91B1 (ko) * 2005-10-11 2007-05-07 우리산업 주식회사 모드 액츄에이터의 가변저항장치
KR101109711B1 (ko) * 2009-05-13 2012-02-0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형 전기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887B1 (ko) 2007-04-04
JP2005243687A (ja) 2005-09-08
CN100458985C (zh) 2009-02-04
US20050184850A1 (en) 2005-08-25
CN1661734A (zh) 2005-08-31
US7369033B2 (en) 2008-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887B1 (ko) 회전형 가변 저항기
US6275140B1 (en) Rotary variable resistor
JP3923714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4987596B2 (ja) 回転型電気部品
US4565990A (en) Rotary operation type miniaturized electronic component
JP2007328974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6012701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9277973A (ja) 照光式回転型可変抵抗器
JPH11345706A (ja) 回転操作型可変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03526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JP2004220957A (ja) ロータリスイッチ
JP2008071589A (ja) 多方向押圧形スイッチ
US6995650B2 (en) Electrical part prevented from improper mounting on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part
JP2001243848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514821Y2 (ja) 回転形可変抵抗器
JP3870040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4283159B2 (ja) 回転型可変抵抗器
JP2008028205A (ja) 回転体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回転式電子部品
JP2006019337A (ja) 回転型電気部品
JP3770739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4178968A (ja) 回転型電子部品
JP2002025665A (ja) 電気部品におけるスナップ止め構造
JP2006019046A (ja) 回転型電気部品
JP4440668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5150241A (ja) 回転型電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