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711B1 - 회전형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회전형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711B1
KR101109711B1 KR1020100044364A KR20100044364A KR101109711B1 KR 101109711 B1 KR101109711 B1 KR 101109711B1 KR 1020100044364 A KR1020100044364 A KR 1020100044364A KR 20100044364 A KR20100044364 A KR 20100044364A KR 101109711 B1 KR101109711 B1 KR 101109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liding contact
common
conversion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865A (ko
Inventor
가즈야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7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 접촉부분의 마모를 저감하여 긴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서로 도통한 도전부(71a, 72a)와 비도전부(71b, 72b)가 교대로 설치된 원호형상의 변환 패턴(7c)과 당해 변환 패턴(7c)은 지름방향으로 어긋난 영역에 형성된 도전성의 커먼 패턴(7d)을 가지는 케이스(7)와, 변환 패턴(7c)과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점(9a)과, 커먼 패턴(7d)과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점(9b)을 구비하고, 케이스(7)와 슬라이딩 접점(9a, 9b)이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하는 회전형 전기부품(100)에 있어서, 커먼 패턴(7d)에는, 변환 패턴(7c)의 비도전부(71b, 72b)에 대응하여 비도전부(73b)가 도전부(73a)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형 전기부품{ROTARY-TYPE ELECTRIC PART}
본 발명은,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에 따라 펄스 코드를 출력하여 회전각도 등을 검지하는 인코더 등의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 도통한 도통부와 비도통부가 교대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코드 패턴을, 동일 원주 상의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설치한 코드판과, 코드판 상에 대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코드 패턴과 미끄럼 접촉하는 복수의 슬라이딩자가 설치된 회전체를 구비하는 회전형 전기부품에 있어서, 코드판에, 제 1 및 제 2 코드 패턴이 설치된 원주 상과는 다른 동심원 상에 고리형상의 커먼 패턴을 형성하는 한편, 복수의 슬라이딩자를 각각 제 1 및 제 2 코드 패턴과 커먼 패턴에 걸치되도록 미끄럼 접촉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12701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에서는, 커먼 패턴이 고리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시, 슬라이딩자가 커먼 패턴 상을 슬라이딩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슬라이딩자와 커먼 패턴의 미끄럼 접촉부분이 마모되는 사태가 조기에 나타나, 부품 자체의 긴 수명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미끄럼 접촉부분의 마모를 저감하여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서로 도통한 도전부와 비도전부가 교대로 설치된 원호형상의 변환 패턴과 당해 변환 패턴과는 지름방향으로 어긋난 영역에 형성된 도전성의 커먼 패턴을 가지는 코드부재와, 상기 변환 패턴과 미끄럼 접촉하는 변환 슬라이딩 접점과, 상기 커먼 패턴과 미끄럼 접촉하는 커먼 슬라이딩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코드부재와 상기 변환 슬라이딩 접점 및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하는 회전형 전기부품으로서, 상기 커먼 패턴에는, 상기 변환 패턴의 비도전부에 대응하여 비도전부가 도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에 의하면, 커먼 패턴에 비도전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상시, 커먼 패턴의 도전부 상을 슬라이딩하고 있는 사용형태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커먼 슬라이딩 접점과 커먼 패턴의 미끄럼 접촉부분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어, 회전형 전기부품의 긴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에서는, 상기 커먼 패턴의 비도전부의 형성영역이, 상기 변환 패턴의 비도전부의 형성영역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변환 슬라이딩 접점이 상기 변환 패턴의 도전부와 비도전부의 경계부에 위치할 때에 상기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상기 커먼 패턴의 도전부와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변환 슬라이딩 접점이 변환 패턴의 도통영역에 들어간 시점에서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이미 커먼 패턴의 도통영역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변환 슬라이딩 접점의 변환 패턴에서의 도전부, 비도전부에 대한 접촉상태의 변환 시에 있어서, 커먼 슬라이딩 접점의 커먼 패턴에서의 도전부, 비도전부에 대한 접촉상태가 변환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펄스신호를 확실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에서는, 상기 커먼 패턴의 비도전부의 형성영역이, 상기 변환 패턴의 비도전부의 형성영역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변환 슬라이딩 접점, 커먼 슬라이딩 접점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 아암부의 길이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변환 슬라이딩 접점, 커먼 슬라이딩 접점에서의 변환 패턴, 커먼 패턴에 대한 접점 하중을 대략 동일해지도록 조정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에서, 상기 변환 패턴이 상기 커먼 패턴의 바깥 둘레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패턴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변환 패턴을, 공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바깥 둘레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변환 패턴과 변환 슬라이딩 접점과의 접촉으로 얻어지는 펄스 출력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에서, 상기 변환 패턴의 도전부 및 또한 상기 커먼 패턴의 도전부는, 절연성 수지에 매설된 금속판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변환 패턴의 비도전부 및 상기 커먼 패턴의 비도전부는, 상기 금속판에 형성된 절결부 또는 개구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절연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변환 패턴의 비도전부와 상기 커먼 패턴의 비도전부가 지름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절연성 수지가 연속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코드부재에 인서트 성형으로 금속판을 매설할 때, 코드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용융수지의 흐름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에서, 상기 변환 슬라이딩 접점과 상기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동일한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자 조각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자 조각이 회전하는 슬라이딩자 받침에 설치되고, 상기 변환 패턴은, 동일 원주 상의 다른 영역에 서로 절연상태로 배치된 제 1 상용 코드 패턴과, 제 2 상용 코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변환 슬라이딩 접점과 상기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상기 제 1 상용 및 제 2 상용 코드 패턴과 상기 커먼 패턴을 걸치도록 상기 슬라이딩자 조각이 상기 코드부재에 대향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1 상용, 제 2 상용 코드 패턴을 변환 패턴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코드 패턴과, 커먼 패턴의 사이를, 동일한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자 조각에 의해 도통 또는 비도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위상이 다른 제 1 상, 제 2 상의 검출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에서는, 상기 코드부재 및 슬라이딩자 받침을 중공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코드부재 및 슬라이딩자 받침을 중공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1회전의 이동거리가 긴 중공형상의 회전형 전기부품에서도, 미끄럼 접촉부분의 마모를 저감하여 긴 수명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에서는, 상기 변환 패턴의 도전부와 상기 커먼 패턴의 도전부가 동일한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코드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변환 슬라이딩 접점은, 서로 절연상태가 된 제 1 상용 제 1 슬라이딩 접점과, 제 2 상용 제 2 슬라이딩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슬라이딩 접점과 제 2 슬라이딩 접점은 상기 변환 패턴의 동일 원주 상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커먼 슬라이딩 접점은, 상기 커먼 패턴에 대향 배치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변환 슬라이딩 접점에 제 1 상용, 제 2 상용 제 1, 제 2 슬라이딩 접점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제 1, 제 2 슬라이딩 접점과, 커먼 슬라이딩 접점의 사이를, 변환 패턴의 도전부와 커먼 패턴의 도전부를 구성하는 동일한 금속판을 거쳐 도통 또는 비도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위상이 다른 제 1 상, 제 2 상의 검출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먼 패턴에 비도전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상시, 커먼 패턴의 도전부 상을 슬라이딩하고 있는 사용형태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커먼 슬라이딩 접점과 커먼 패턴의 미끄럼 접촉부분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어, 회전형 전기부품의 긴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측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케이스의 평면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케이스에 설치된 변환 패턴 및 커먼 패턴의 평면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이 가압 조작된 경우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회전체의 평면도,
도 11은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회전체에 설치된 변환 패턴 및 커먼 패턴의 평면도,
도 12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의 회전체에 설치된 변환 패턴 및 커먼 패턴과, 기초대에 설치된 슬라이딩 접점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적절하게, 도 1에 나타내는 오른쪽 윗쪽측을「회전형 전기부품(100)의 뒤쪽측」 또는 간단하게「뒤쪽측」이라 부르고, 왼쪽 아래쪽측을「회전형 전기부품(100)의 앞쪽측」 또는 간단하게 「앞쪽측」이라 부르기로 한다.
도 1에서,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케이스(1)는, 예를 들면, 절연성의 합성 수지재료(이하, 「절연성 수지」라 한다) 등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중공형상의 관통구멍(1a)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구멍(1a)의 바깥면측에서 앞쪽측이 대략 원통형상의 베어링부(2)를 구성함과 동시에, 뒤쪽측의 바깥면측에는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앞쪽측이 개구된 고리형상의 수납부(1b)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부(1b)의 바닥면에는, 뒤쪽측에 오목형상이 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스위치 유지부(1c)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스위치 유지부(1c)는, 대체로 원형상을 가지고 있고, 수납부(1b)의 바닥면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 유지부(1c)의 안 바닥면에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고정 접점 및 외부 고정 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중앙 고정 접점 및 외부 고정 접점은, 케이스(1)의 제조과정에서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수납부(1b)에 설치된다.
이들 스위치 유지부(1c)에는, 도전성을 가지는 박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부재(3)가 설치된다. 가동 접점부재(3)는, 스위치 유지부(1c)보다 약간 작은 지름으로 설치된 둥근 고리형상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그 중앙에 설치된 가동설편을 가지고 있다. 가동 접점부재(3)는, 둘레 가장자리부를 스위치 유지부(1c)의 외부 고정 접점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가동 설편을 중앙 고정 접점에 대향시킨 상태로 설치된다. 이 가동 접점부재(3)의 앞쪽측에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된 가세부재(4)가 설치된다. 가세부재(4)는, 대체로 앞쪽측으로 팽출 형성된 돔형상을 가지고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조작축(6)에 대한 가압조작에 따라 반전하여, 가동 접점부재(3)의 가동 설편을 중앙 고정 접점과 접촉시킴과 동시에, 가압조작으로부터 해방되면, 탄성 복귀하여 조작축(6)을 원래의 상태(초기상태)로 되돌린다.
가압부재(5)는,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고, 대체로 둥근 고리형상을 가지고 있다. 가압부재(5)에는, 중앙에 삽입구멍(5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구멍(5a)에 케이스(1)의 베어링부(2)가 삽입됨으로써 가압부재(5)가 수납부(1b) 내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 가압부재(5)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볼록 형상을 한 가압부(5b)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5b)는,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가세부재(4)의 전단부와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세부재(4)의 전단부를 가압 가능한 가압부(5b)를 설치함으로써, 뒤에서 설명하는 조작축(6)에 대한 가압조작에 따라 확실하게 가세부재(4)를 가압하여 반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작축(6)은,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로 중공형상의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약간 지름이 굵은 기초대부(6a)와, 이 기초대부(6a)의 전단측에 약간 지름이 가는 축부(6b)를 가지고 있다. 또, 기초대부(6a)와 축부(6b)의 중앙에는 전후로 관통한 중공형상의 삽입구멍(6c)이 설치되어 있고, 이 삽입구멍(6c)이 케이스(1)의 베어링부(2)의 바깥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게 되어 있다. 축부(6b)의 바깥 둘레면에는, 기초대부(6a)로부터 앞쪽측으로 축부(6b)의 중앙 근방까지 연장 돌출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가이드편(6d)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편(6d)은, 뒤에서 설명하는 회전체(8)의 걸어맞춤 홈(8b)과 걸어맞춰져, 장착 시에 있어서의 회전체(8)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또, 축부(6b)의 바깥 둘레면에는, 기초대부(6a)로부터 약간 앞쪽측으로 연장 돌출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걸어맞춤편(6e)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편(6e)은, 뒤에서 설명하는 회전체(8)의 오목부(8c)와 걸어맞춰져, 조작축(6)의 회전을 회전체(8)에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걸어맞춤편(6e)의 앞쪽측에는, 일정거리를 사이에 두고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포올부(6f)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포올부(6f)는, 조작축(6)에 설치되는 도시 생략한 조작 손잡이 등의 개구부와 걸어맞춰져, 조작 손잡이 등을 유지하는 것이다.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케이스(7)는, 코드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의 수납부(1b)와 대략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케이스(1)의 앞쪽측에 겹쳐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 케이스(7)는, 중공형상의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큰 지름의 삽입구멍(7a)을 가지고, 이 삽입구멍(7a)의 바깥쪽에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앞쪽측이 개구된 고리형상의 수납부(7b)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부(7b)의 안 바닥면에는, 예를 들면,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이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7)의 뒤쪽측에는, 이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으로부터 도출된 외부 단자(7e~7g)가 도출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회전체(8)는,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대체로 둥근 고리형상을 가지고 있다. 회전체(8)에는, 중앙에 큰 지름의 개구부(8a)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8a)에 조작축(6)이 삽입됨으로써 조작축(6)의 후단부 근방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회전체(8)는, 조작축(6)에 유지된 상태에서, 뒤쪽측의 면을 수납부(7b)의 앞면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수납부(7b)에 배치된다. 회전체(8)의 개구부(8a)의 안 둘레면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걸어맞춤 홈(8b)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오목부(8c)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8b)은, 조작축(6)의 가이드편(6d)과 걸어맞춰지는 것으로, 오목부(8c)는, 조작축(6)의 걸어맞춤편(6e)과 걸어맞춰지는 것이다. 이들 걸어맞춤에 의하여, 회전체(8)는, 조작축(6)과 스플라인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회전체(8)의 앞쪽측의 면에는, 둥근 고리형상으로 복수의 요철 형상을 가지는 캠홈(8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홈(8d)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판스프링(10)에 유지된 롤러(11)가 탄성 접촉함으로써, 회전체(8)가 회전할 때의 클릭감을 일으키게 하는 복수의 클릭 캠(8e)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체(8)의 뒤쪽측의 면에는, 도전성의 박판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슬라이딩 접점(9a, 9b)을 가지는 슬라이딩자 조각(9)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슬라이딩자 조각(9)은, 코킹 등에 의해 회전체(8)의 뒷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들 슬라이딩자 조각(9)의 슬라이딩 접점(9a, 9b)은, 탄성 아암부를 가지고, 회전형 전기부품(100)의 뒤쪽측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8)가 케이스(7)의 수납부(7b)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과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8)는 슬라이딩자 받침을 구성하고 있고, 그 뒷면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슬라이딩자 조각(9)이 등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판스프링(10)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나 인청동 등)으로 이루어지고, 대체로 반원호 형상을 가지며, 그 안 둘레부분을 대향시키도록 1쌍 구비되어 있다. 판스프링(10)은, 그 뒤쪽측의 면이 회전체(8)의 캠홈(8d)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각각의 끝부에서 뒤에서 설명하는 설치부재(12)의 뒷면에 고정된다. 설치부재(12)에 고정된 상태에서, 판스프링(10)의 중앙에는, 중공형상의 삽입구멍(10a)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판스프링(10)에서의 소정 위치에는, 롤러 유지부(10b)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 유지부(10b)는, 롤러(11)가 가지는 샤프트(11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롤러(11)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게 되어 있다.
설치부재(12)는, 금속판을 펀칭하고, 구부려 형성되어 있고, 둥근 고리형상의 상판부(12a)와, 이 상판부(12a)로부터 뒤쪽측을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 돌출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걸어맞춤 다리편(12b)과, 마찬가지로 상판부(12a)로부터 뒤쪽측을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 돌출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위치 결정편(12c)을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다리편(12b)의 선단에는, 조립된 상태의 회전형 전기부품(100)에 있어서, 케이스(1)의 뒷면측으로 구부려져 설치부재(12)를 고정하는 포올부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편(12c)은, 케이스(1) 및 케이스(7)의 바깥 둘레부에 설치된 걸어맞춤 홈부와 걸어맞춰져 설치부재(12)의 위치 결정을 행하게 되어 있다. 또, 설치부재(12)에는, 중앙에 중공형상의 삽입구멍(12d)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 구멍(12d)은, 조작축(6)의 축부(6b)보다 약간 큰 지름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부품을 가지는 회전형 전기부품(100)을 조립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앞쪽측에 케이스(7)가 겹쳐지고, 이들 케이스(1) 및 케이스(7)로 구성되는 하우징에 조작축(6)을 수용한 상태에서 케이스(7)의 앞쪽측으로부터 설치부재(12)가 설치된다. 이 경우에서, 조작축(6)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베어링부(2)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그 축부(6b)의 후단부 근방에는, 회전체(8)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조작축(6)의 축부(6b)의 선단은, 설치부재(12)의 삽입구멍(12d)으로부터 앞쪽측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 돌출부분에 도시 생략한 조작 손잡이 등이 설치하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의 수납부(1b)에는, 가동 접점부재(3), 가세부재(4) 및 가압부재(5)가 수용됨과 동시에, 케이스(7)의 수납부(7b)에는, 회전체(8), 슬라이딩자 조각(9), 판스프링(10) 및 롤러(11)가 수용되어 있다. 회전체(8)에 고착된 슬라이딩자 조각(9)은, 그 슬라이딩 접점(9a, 9b)을 케이스(7)의 수납부(7b)의 안 바닥면에 설치된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롤러(11)는, 설치부재(12)의 뒷면에 고정된 판스프링(10)에 의해 회전체(8)의 캠홈(8d)에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조작축(6) 및 회전체(8)는, 하우징[케이스(1) 및 케이스(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8)의 바깥 둘레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7)의 수납부(7b)의 안 바닥면에 설치된 고리형상의 돌출형상부(단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아래쪽측으로 회전체(8)가 이동하는 일은 없다.
여기서,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의 케이스(7)에 설치되는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의 케이스(7)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의 케이스(7)에 설치되는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스(7)에 설치되는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에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딩자 조각(9)을 나타내고 있다.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은, 코드부재인 케이스(7)의 제조과정에서 인서트 성형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7b)의 안 바닥면에 매설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커먼 패턴(7d)은, 삽입구멍(7a)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그 일부(도 5에 나타내는 윗쪽측의 일부)로부터 외부 단자(7g)가 도출되어 있다. 한편, 변환 패턴(7c)은, 커먼 패턴(7d)의 바깥 둘레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변환 패턴(7c)은, 서로 절연상태로 배치된 A상(제 1 상)용 코드 패턴(71)과, B상(제 2 상)용 코드 패턴(72)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일부(도 5에 나타내는 윗쪽측의 일부)로부터 외부 단자(7e, 7f)가 도출되어 있다. 실시형태 1에서, 이들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은, 케이스(7)에 인서트 성형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구성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전성 입자를 혼입한 수지재료를 케이스(7)에 프린트함으로써 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A상용 코드 패턴(71)과, B상용 코드 패턴(72)은, 커먼 패턴(7d)의 바깥 둘레측으로서, 동일 원주 상의 다른 영역에 배치되고, 좌우 대칭으로 동일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 패턴(71)은, 대체로 원호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원호를 따라 서로 도통한 도전부(71a)와, 비도전부(71b)가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코드 패턴(72)은, 대체로 원호형상을 가지고, 그 원호를 따라 서로 도통한 도전부(72a)와, 비도전부(72b)가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비도전부(71b, 72b)는,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안쪽[즉, 커먼 패턴(7d)측]으로 개구한 절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변환 패턴(7c)에 형성된 이들 절결부로부터 노출되는 절연성 수지에 의해 비도전부(71b, 72b)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한편, 커먼 패턴(7d)은, 대체로 둥근 고리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도통한 도전부(73a)와, 비도전부(73b)가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비도전부(73b)는,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바깥쪽[즉, 변환 패턴(7c)측]으로 개구한 절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도전부(71b, 72b)와 마찬가지로, 커먼 패턴(7d)에 형성된 절결부로부터 노출되는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비도전부(73b)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또, 비도전부(73b)는, 변환 패턴(7c)의 비도전부(71b, 72b)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커먼 패턴(7d)의 비도전부(73b)와, 변환 패턴(7c)의 비도전부(71b, 72b)는, 개구된 부분을 서로 마주 보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커먼 패턴(7d)의 비도전부(73b)의 형성영역은, 변환 패턴(7c)의 비도전부(71b, 72b)의 형성영역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특히, 변환 패턴(7c)의 비도전부(71b, 72b)의 형성영역 사이의 각도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도 5에서의 점선부분 A를 참조).
또,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도전부(71a, 72a, 73a)와, 절연성 수지로 구성되는 비도전부(71b, 72b, 73b)는, 면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편의상, 케이스(7)를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가 배치되는 절결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비도전부(71b, 72b, 73b)의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자 조각(9)이 가지는 슬라이딩 접점(9a, 9b)은, 각각 변환 패턴(7c), 커먼 패턴(7d)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 접점(9a)은, 변환 패턴(7c)을 구성하는 코드 패턴(71)에서의 도전부(71a), 비도전부(71b) 및 코드 패턴(72)에서의 도전부(72a), 비도전부(72b)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딩 접점(9b)은, 커먼 패턴(7d)에서의 도전부(73a), 비도전부(73b)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슬라이딩 접점(9a)은, 변환 패턴(7c)에 미끄럼 접촉하는 변환 슬라이딩 접점으로서 기능하고, 슬라이딩 접점(9b)은, 커먼 패턴(7d)에 미끄럼 접촉하는 커먼 슬라이딩 접점으로서 기능한다. 슬라이딩 접점(9a, 9b)은,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치되어 있고,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의 관계에서, 슬라이딩 접점(9a)의 미끄럼 접촉부가 변환 패턴(7c)의 도전부(71a, 72a)와, 비도전부(71b, 72b)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슬라이딩 접점(9b)의 미끄럼 접촉부가 커먼 패턴(7d)의 도전부(73a)에 이미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에서는, 조작축(6)에 대한 회전조작 및 가압조작을 접수한다. 조작축(6)에 대하여 가압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가세부재(4)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가압부재(5)가, 조작축(6)의 축방향[회전형 전기부품(100)의 뒤쪽측]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가세부재(4)는, 가압부재(5)의 가압에 의해 반전하고, 그 뒤쪽측에 배치되는 가동 접점부재(3)의 가동 설편을 스위치 유지부(1c)의 중앙 고정 접점에 접촉시킨다. 도 6은, 조작축(6)에 대하여 가압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의 회전형 전기부품(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부재(3)의 가동 설편이 스위치 유지부(1c)의 중앙 고정 접점에 접촉함으로써, 가압조작이 검출되고, 검출신호가 외부출력되게 되어 있다.
한편, 조작축(6)에 대하여 회전조작이 행하여지면, 이것에 따라 조작축(6)에 걸어맞춰져 유지된 회전체(8)가 회전하고, 그 뒷면에 고정된 슬라이딩자 조각(9)도 함께 회전한다. 이 경우, 슬라이딩자 조각(9)은, 그 슬라이딩 접점(9a, 9b)을, 각각 변환 패턴(7c), 커먼 패턴(7d) 상을 슬라이딩시키면서 회전한다. 슬라이딩 접점(9a)는, 변환 패턴(7c)을 구성하는 코드 패턴(71)에 있어서의 도전부(71a), 비도전부(71b) 상을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변환 패턴(7c)을 구성하는 코드 패턴(72)에 있어서의 도전부(72a), 비도전부(72b) 상을 슬라이딩한다. 한편, 슬라이딩 접점(9b)는, 커먼 패턴(7d)에서의 도전부(73a), 비도전부(73b) 상을 슬라이딩한다. 즉, 슬라이딩 접점(9a, 9b)은, 각각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도전영역과, 절연성 수지로 구성되는 비도전영역을 교대로 슬라이딩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에서는, 커먼 패턴(7d)에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비도전부(73b)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점(9b)이 상시, 커먼 패턴(7d)의 도전영역 상을 슬라이딩하고 있는 이용형태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점(9b)의 커먼 패턴(7d)과의 미끄럼 접촉부분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어, 회전형 전기부품의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에서는, 커먼 패턴(7d)의 비도전부(73b)의 형성영역을, 변환 패턴(7c)의 비도전부(71b, 72b)의 형성영역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함과 동시에, 슬라이딩자 조각(9)을, 슬라이딩 접점(9a)의 미끄럼 접촉부가 변환 패턴(7c)의 도전부(71a, 72a)와, 비도전부(71b, 72b)와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슬라이딩 접점(9b)의 미끄럼 접촉부가 커먼 패턴(7d)의 도전부(73a)에 이미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슬라이딩 접점(9a)이 변환 패턴(7c)의 도통영역[도전부(71a, 72a)]에 들어 가기보다도 먼저 슬라이딩 접점(9b)을 커먼 패턴(7d)의 도통영역[도전부(73a)]에 들어 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접점(9a)이 변환 패턴(7c)의 도통영역으로 들어 간 시점에서 슬라이딩 접점(9b)이 이미 커먼 패턴(7d)의 도통영역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점(9a)의 변환 패턴(7c)에서의 도전부(71a, 72a), 비도전부(71b, 72b)에 대한 접촉상태의 변환 시에 있어서, 슬라이딩 접점(9b)의 커먼 패턴(7d)에서의 도전부(73a), 비도전부(73b)에 대한 접촉상태가 변환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안정된 펄스신호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에서는, 커먼 패턴(7d)의 비도전부(73b)의 형성영역을, 변환 패턴(7c)의 비도전부(71b, 72b)의 형성영역에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커먼 패턴(7d)의 비도전부(73b)의 형성영역이, 변환 패턴(7c)의 비도전부(71b, 72b)의 형성영역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슬라이딩자 조각(9)이 가지는 슬라이딩 접점(9a, 9b)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 아암부의 길이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점(9a, 9b)에서의 변환 패턴(7c), 커먼 패턴(7d)에 대한 접점 하중을 동일해지도록 조정하기 쉽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에서는, 케이스(7)의 수납부(7b)에서 커먼 패턴(7d)의 바깥 둘레측에 변환 패턴(7c)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패턴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변환 패턴(7c)을, 공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바깥 둘레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변환 패턴(7c)과 슬라이딩 접점(9a)의 접촉으로 얻어지는 펄스 출력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에서, 변환 패턴(7c)의 도전부(71a, 72a) 및 커먼 패턴(7d)의 도전부(73a)는, 절연성 수지재료에 매설된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변환 패턴(7c)의 비도전부(71b, 72b) 및 커먼 패턴(7d)의 비도전부(73b)는, 금속판에 형성된 절결부로부터 노출된 절연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변환 패턴(7c)의 비도전부(71b, 72b)와, 커먼 패턴(7d)의 비도전부(73b)를,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케이스(7)에 인서트 성형으로 금속판을 매설할 때, 케이스(7)의 일부를 구성하는 용융 수지의 흐름을 양호한 것에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에서는, 케이스(7)의 수납부(7b)에, 변환 패턴(7c)으로서 A상용 코드 패턴(71)과, B상용 코드 패턴(72)을 동일 원주 상의 다른 영역에 절연상태가 되도록 설치하고, 슬라이딩 접점(9a), 슬라이딩 접점(9b)이 이들 코드 패턴(71, 72)과, 커먼 패턴(7d)에 걸쳐 대향 배치되도록 슬라이딩자 조각(9)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A상용, B상용 코드 패턴(71, 72)을 가지는 변환 패턴(7c)과, 커먼 패턴(7d)의 사이를, 동일한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자 조각(9)에 의해 도통 또는 비도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위상이 다른 A상, B상의 검출신호를 외부 단자(7e~7g)로부터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에서는, 조작축(6)이 중공형상으로 설치되고, 이 조작축(6)의 축부(6b)의 주위에 배치되는 케이스(7)의 수납부(7b)에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1회전의 이동거리가 긴 중공형상의 회전형 전기부품(100)에서도, 미끄럼 접촉부분의 마모를 저감하여 긴 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에서는, 케이스(7)의 수납부(7b)에 설치된 변환 패턴(7c) 및 커먼 패턴(7d)이 고정되고, 이것에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점(9a, 9b)을 가지는 슬라이딩자 조각(9)이 조작축(6)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에서는, 슬라이딩 접점이 고정되고, 이것에 미끄럼 접촉되는 변환 패턴 및 커먼 패턴이 조작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점에서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과 다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적절하게 도 7에 나타내는 오른쪽 윗쪽측을 「회전형 전기부품(200)의 뒤쪽측」 또는 간단하게 「뒤쪽측」이라 부르고, 왼쪽 아래쪽측을 「회전형 전기부품(200)의 앞쪽측」 또는 간단하게 「앞쪽측」이라 부르기로 한다. 도 8에서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을 뒤쪽측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은, 대체로, 관통구멍(211)을 가지는 금속제의 베어링부재(210)와, 이 베어링부재(210)의 관통구멍(2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작축(220)과,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이 형성되고, 조작축(220)과 함께 회전하는 코드부재로서의 회전체(230)와, 조작축(220)을 회전체(230)에 연결하는 연결부재(240)와, 회전체(230)의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에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점[251(251a, 251b), 252]이 설치됨과 동시에, 푸시 스위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 접점(253)이 설치된 기초대(250)과, 고정 접점(253)과 함께 푸시 스위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 접점(260)과, 베어링부재(210)를 기초대(250)에 설치하는 설치부재(2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부재(210)는, 예를 들면, 아연 다이캐스트로 구성되고, 관통구멍(211)을 가지는 통형상부(212)와, 이 통형상부(212)의 뒤쪽측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플랜지부(213)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213)의 뒤쪽측의 면에는, 관통구멍(211)의 주위에 대체로 고리형상(둥근 고리형상)의 내면을 가지는 오목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213)의 4모서리 중, 대향하는 1쌍의 모서리부에는, 기초대(250)의 앞면에 설치된 걸어맞춤 구멍과 걸어맞춰지는 볼록 형상의 걸어맞춤편(2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13)의 뒷면의 소정위치에는, 1쌍의 돌출편(2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편(216)은, 회전체(230)의 앞면에 설치된 요철부(236)와 걸거나 벗겨져 클릭감을 일으키게 하는 돌출부(217)가 설치된 판스프링(218)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판스프링(218)은, 예를 들면 인청동으로 구성되고, 대체로 둥근 고리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돌출부(217)를 가지는 부분이 뒤쪽측으로 약간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조작축(220)은,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로 성형되고, 그 중앙에 큰 지름부(221)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뒤쪽측 끝부에 걸어맞춤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222)에는, 대향하는 1쌍의 평면부(222a)가 형성되고, 뒤에서 설명하는 연결부재(240)의 걸어맞춤 구멍(243)과 걸어맞춰지게 되어 있다. 조작축(220)에서의 걸어맞춤부(222)보다 앞쪽측의 위치에는, 베어링부재(210)로부터의 조작축(220)의 빠짐방지를 위한 O 링(280)이 고정되는 홈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축(220)의 앞쪽측 끝부에는, 도시 생략한 조작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224)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230)는,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로 성형되고, 대체로 원통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상부(233)와, 이 원통형상부(233)의 후단부에 설치된 원반형상부(234)를 가지고 있다. 원통형상부(233) 및 원반형상부(234)의 중앙에는, 연결부재(240)의 외형에 대응한 관통구멍(235)이 설치되어 있다. 원반형상부(234)의 앞면에는, 판스프링(218)의 돌출부(217)가 걸거나 벗기기 가능한 요철부(2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은, 원반형상부(234)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연결부재(240)는,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로 성형되고, 대체로 원통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상부(241)와, 원통형상부(241)의 주위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1쌍의 돌출편(242)을 가지고 있다. 회전체(230)의 관통구멍(235)은, 이들 원통형상부(241) 및 돌출편(242)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원통형상부(241)의 중앙에는, 조작축(220)의 걸어맞춤부(222)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구멍(243)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축(220)에 행하여진 회전조작은, 걸어맞춤부(222)와 걸어맞춤 구멍(243)과의 압입 등에 의한 걸어맞춤에 의해 연결부재(240)에 전달되고, 돌출편(242)과 관통구멍(235)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체(230)에 전달되게 되어 있다.
기초대(250)는,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로 성형되고, 대체로 평판형상을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에서는, 앞쪽측의 접점 유지 부재와 커버부재의 2개의 부재를 겹쳐서 기초대(250)를 구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단, 기초대(250)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나의 부재 또는, 3개 이상의 부재로, 기초대를 구성하여도 된다. 기초대(250)의 앞면에는, 대체로 원형상을 가지는 오목부(254)가 설치되고, 또한 오목부(254)의 중앙에는, 오목부(254)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상을 가지는 오목부(2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255)의 안 바닥면에는, 상기한 고정 접점(253)을 구성하는 중앙 고정 접점(253a)과, 이 중앙 고정 접점(253a)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바깥 둘레 고정 접점(253b)이 설치되어 있다. 기초대(250)의 측면에는, 이들 중앙 고정 접점(253a), 바깥 둘레 고정 접점(253b)에 접속된 외부 단자(253c, 253d)가 도출되어 있다. 이 오목부(255)의 바깥 둘레측으로서, 오목부(254)의 소정위치에는, 상기한 슬라이딩 접점[251(251a, 251b), 25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슬라이딩 접점(251a, 251b, 252)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기초대(250)의 측면에는, 이들 슬라이딩 접점(251a, 251b, 252)에 접속된 외부 단자(251c, 251d, 252a)가 도출되어 있다. 이들 슬라이딩 접점(251a, 251b, 252) 및 고정 접점(253)은, 서로 절연상태가 되도록, 기초대(250)의 제조과정에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 기초대(250)의 소정위치에 매설되어 있다.
가동 접점(260)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재료로 구성되고, 대체로 앞쪽측으로 팽출 형성된 원반형상을 가지고 있다. 가동 접점(260)은, 기초대(250)의 오목부(255)에 설치되고, 그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이 바깥 둘레 고정 접점(253b)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 중앙부가 중앙 고정 접점(253a)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260)은, 조작축(220)에 대하여 가압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연결부재(240)를 거쳐 가압되고, 일정 이상의 가압력에 따라 반전하여, 그 중앙부를 중앙고정 접점(253a)과 접촉시킴과 동시에, 가압조작으로부터 해방되면, 탄성 복귀하여 조작축(220)을 원래의 상태(초기 상태)로 되돌린다. 이 가동 접점(260)의 앞쪽측에는, 시일부재(2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일부재(290)는, 가동 접점(260)을 기초대(250)의 오목부(255) 내에 고정함과 동시에, 고정 접점(253)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설치부재(270)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판형상 재료에 펀칭가공을 실시함과 동시에, 벤딩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설치부재(270)의 앞면부(271)에는, 베어링부재(210)의 통형상부(212)를 앞쪽측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72)가 형성되어 있다. 설치부재(270)의 측면부(273)는, 앞면부(271)의 측단부로부터 뒤쪽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측면부(273)에는, 그 양쪽 끝부에 기초대(250)의 뒷면측에서 구부러지는 1쌍의 설치편(27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설치편(274)의 중앙에는, 회전형 전기부품(200)이 실장되는 기판에 대한 납땜 고정에 사용되는 고정편(275)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부품을 가지는 회전형 전기부품(200)을 조립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부재(210)가 기초대(250)에 겹쳐진 상태에서 설치부재(270)에 의해 설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베어링부재(210)의 통형상부(212)는, 설치부재(270)의 개구부(272)로부터 앞쪽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조작축(220)의 선단은, 이 통형상부(212)의 관통구멍(211)으로부터 앞쪽측을 향하여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조작축(220)의 고정면(224)에 도시 생략한 조작 손잡이 등이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조작축(220)은, 기초대(2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게 되어 있다. 기초대(250)의 오목부(254)에는, 회전체(230)의 원반형상부(234)가 수용되어 있다. 회전체(230)는, 기초대(250)에 설치된 슬라이딩 접점(251a, 251b, 25)이, 그 뒷면에 설치된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에 미끄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의 회전체(230)에 설치되는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의 회전체(230)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의 회전체(230)에 설치된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의 회전체(230)에 설치된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과, 기초대(250)에 설치된 슬라이딩 접점(251a, 251b, 252)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회전형 전기부품(200)의 뒤쪽측에서 나타내고 있다.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은, 회전체(230)의 제조과정에서 인서트 성형되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형상부(234)의 뒷면에 매설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커먼 패턴(232)은, 원반형상부(234)의 안 둘레측의 영역에 설치되고, 이 커먼 패턴(232)의 바깥 둘레측의 영역에 연속하여 변환 패턴(231)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변환 패턴(231)과, 커먼 패턴(232)의 경계위치에 일점 쇄선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2에서, 이들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은, 회전체(230)에 인서트 성형된 1매의 도전성 금속판으로 일체로 구성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전성 입자를 혼입한 수지재료를 회전체(230)에 프린트함으로써 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변환 패턴(231)은, 대체로 둥근 고리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도통한 도전부(231a)와, 비도전부(231b)가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비도전부(231b)는, 등간격으로 설치된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변환 패턴(231)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비도전부(231b)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커먼 패턴(232)은, 대체로 둥근 고리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도통한 도전부(232a)와, 비도전부(232b)가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비도전부(232b)는, 등간격으로 설치된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커먼 패턴(232)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비도전부(232b)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동일한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도전부(231a, 232a)와, 절연성 수지로 구성되는 비도전부(231b, 232b)는 면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회전체(230)를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가 배치되는 개구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비도전부(231b, 232b)의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커먼 패턴(232)의 비도전부(232b)는, 변환 패턴(231)의 비도전부(23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주 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비도전부(232b)와, 비도전부(231b)는, 연속된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커먼 패턴(232)의 비도전부(232b)의 형성영역(개구부의 형성영역)은, 변환 패턴(231)의 비도전부(231b)의 형성영역(개구부의 형성영역)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특히, 변환 패턴(231)의 비도전부(231b)의 형성영역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도 10에서의 점선부분 B를 참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대(250)에 설치된 슬라이딩 접점(251a, 251b)과, 슬라이딩 접점(252)은, 평행하게 나열하여 연장 돌출되도록, 서로 절연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은, 변환 패턴(231)의 동일 원주 상의 다른 위치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서로 절연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접점(252)은,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의 각각의 근방(안쪽)에서 커먼 패턴(232)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1쌍 배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은, 변환 패턴(231)에서의 도전부(231a), 비도전부(231b)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딩 접점(252)은, 커먼 패턴(232)에 서의 도전부(232a), 비도전부(232b)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은, 변환 슬라이딩 접점이고, 슬라이딩 접점(252)은,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다. 여기서,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에서의 변환 패턴(231)에 접촉하는 부분은, 슬라이딩 접점(252)에서의 커먼 패턴(232)에 접촉하는 부분보다 약간 연신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접점(251a, 251b)과, 슬라이딩 접점(252)은, 변환 패턴(231) 및 커먼 패턴(232)과의 관계에 있어서,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의 미끄럼 접촉부가 변환 패턴(231)의 도전부(231a)와, 비도전부(231b)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접점(252)의 미끄럼 접촉부가 커먼 패턴(232)의 도전부(232a)에 이미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에 서는, 슬라이딩 접점(251a) 및 슬라이딩 접점(252)과, 슬라이딩 접점(251b) 및 슬라이딩 접점(252)에 의하여, 다른 2개의 위상(A상, B상)의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슬라이딩 접점(251a)은, 제 1 상용 제 1 슬라이딩 접점으로서 기능하고, 슬라이딩 접점(251b)은, 제 2 상용 제 2 슬라이딩 접점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에서는, 조작축(220)에 대한 회전조작 및 가압조작을 접수한다. 조작축(220)에 대하여 가압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가동 접점(260)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연결부재(240)가, 조작축(220)의 축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가동 접점(260)은, 연결부재(240)의 가압에 의해 반전하고, 그 뒤쪽측에 배치되는 고정 접점(253)의 중앙 고정 접점(253a)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260)의 중앙 고정 접점(253a)에 접촉함으로써, 가압조작이 검출되고, 검출신호가 외부 출력되게 되어 있다.
한편, 조작축(220)에 대하여 회전조작이 행하여지면, 이것에 따라 조작축(220)에 걸어맞춘 연결부재(240)가 회전하고, 이 연결부재(240)에 걸어맞춘 회전체(230)가 회전한다. 이 경우, 회전체(230)는, 그 뒷면에 설치된 변환 패턴(231)및 커먼 패턴(232)에, 기초대(250)에 설치된 슬라이딩 접점(251a, 251b, 252)을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회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변환 패턴(231)에서의 도전부(231a), 비도전부(231b)에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을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회전함과 동시에, 커먼 패턴(232)에서의 도전부(232a), 비도전부(232b)에 슬라이딩 접점(252)을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회전한다. 즉, 슬라이딩 접점(251a, 251b, 252)은, 각각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도전영역과, 절연성 수지로 구성되는 비도전영역을 교대로 슬라이딩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에서도, 실시형태 1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100)과 마찬가지로, 커먼 패턴(232)에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비도전부(232b)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점(252)이 상시, 커먼 패턴(232)의 도전영역에 미끄럼 접촉하는 이용 형태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점(252)의 커먼 패턴(232)과의 미끄럼 접촉부분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고, 회전형 전기부품의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에서는, 커먼 패턴(232)의 비도전부(232b)의 형성영역을, 변환 패턴(231)의 비도전부(231b)의 형성영역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의 미끄럼 접촉부가 변환 패턴(231)의 도전부(231a)와, 비도전부(231b)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슬라이딩 접점(252)의 미끄럼 접촉부가 커먼 패턴(232)의 도전부(232a)에 이미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이 변환 패턴(231)의 도통영역[도전부(231a)]으로 들어 가기보다도 먼저 슬라이딩 접점(252)을 커먼 패턴(232)의 도통영역[도전부(232a)]으로 들어 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이 변환 패턴(231)의 도통영역으로 들어 간 시점에서 슬라이딩 접점(252)이 이미 커먼 패턴(232)의 도통영역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의 변환 패턴(231)에서의 도전부(231a), 비도전부(231b)에 대한 접촉상태의 변환시에 있어서, 슬라이딩 접점(252)의 커먼 패턴(232)에서의 도전부(232a), 비도전부(232b)에 대한 접촉상태가 변환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안정된 펄스신호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에서는, 커먼 패턴(232)의 비도전부(232b)의 형성영역을, 변환 패턴(231)의 비도전부(231b)의 형성영역에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커먼 패턴(232)의 비도전부(232b)의 형성영역을, 변환 패턴(231)의 비도전부(231b)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슬라이딩 접점(251a, 251b, 252)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 아암부의 길이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점(251a, 251b, 252)에서의 변환 패턴(231), 커먼 패턴(232)에 대한 접점 하중을 동일해지도록 조정하기 쉽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에서는, 회전체(230)의 원반형상부(234)의 뒷면에서 커먼 패턴(232)의 바깥 둘레측에 변환 패턴(231)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패턴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변환 패턴(231)을 공간적으로 여유가 존재하는 바깥 둘레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변환 패턴(231)과 슬라이딩접점(251a, 251b)의 접촉으로 얻어지는 펄스 출력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에 있어서, 변환 패턴(231)의 도전부(231a) 및 커먼 패턴(232)의 도전부(232a)는, 절연성의 수지재료에 매설된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변환 패턴(231)의 비도전부(231b) 및 커먼 패턴(232)의 비도전부(232b)는, 금속판에 형성된 절결부(개구부)로부터 노출된 절연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변환 패턴(231)의 비도전부(231b)와, 커먼 패턴(232)의 비도전부(232b)를 연속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체(230)에 인서트 성형으로 금속판을 매설할 때, 회전체(230)의 일부를 구성하는 용융수지의 흐름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 관한 회전형 전기부품(200)에서는, 조작축(2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230)에, 동일한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된 변환 패턴(231)의 도전부(231a) 및 커먼 패턴(232)의 도전부(232a)를 설치함과 동시에, 변환 패턴(231), 커먼 패턴(232)에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점(251a, 251b, 252)을 기초대(250)에 절연상태로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을 각각 A상용, B상용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슬라이딩 접점(251)에 A상용, B상용 슬라이딩 접점(251a, 251b)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슬라이딩 접점(251a, 251b)과, 슬라이딩 접점(252)의 사이를, 변환 패턴(231)의 도전부(231a)와 커먼 패턴(232)의 도전부(232a)를 구성하는 동일한 금속판을 거쳐 도통 또는 비도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위상이 다른 A상, B상의 검출신호를 외부 단자(251c, 251d, 252a)측으로부터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크기나 형상 등 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외,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서는, 변환 패턴(7c)은, 커먼 패턴(7d)의 바깥 둘레측에 배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들 배치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변환 패턴(7c)을 커먼 패턴(7d)의 안 둘레측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변환 패턴(7c)과 커먼 패턴(7d)을 지름방향으로 어긋난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은 펄스 출력의 정밀도의 향상 및 외부 단자(7e~7g)의 도출을 고려하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환 패턴(7c)을, 커먼 패턴(7d)의 바깥 둘레측에 배치하는 것은 실시형태로서 바람직하다.
100 : 회전형 전기부품 1 : 케이스
1a : 관통 구멍 1b : 수납부
1c : 스위치 유지부 2 : 베어링부
3 : 가동 접점부재 4 : 가세부재
5 : 가압부재 5a : 삽입구멍
5b : 가압부 6 : 조작축
6a : 기초대부 6b : 축부
6c : 삽입구멍 6d : 가이드편
6e : 걸어맞춤편 6f : 포올부
7 : 케이스(코드부재) 7a : 삽입구멍
7b : 수납부 7c : 변환 패턴
7d : 커먼 패턴 7e~7g : 외부 단자
71 : 코드 패턴 71a : 도전부
71b : 비도전부 72 : 코드 패턴
72a : 도전부 72b : 비도전부
73a : 도전부 73b : 비도전부
8 : 회전체(슬라이딩자 받침) 8a : 개구부
8b : 걸어맞춤 홈 8c : 오목부
8d : 커먼 홈 8e : 클릭 캠
9 : 슬라이딩자 조각 9a, 9b : 슬라이딩 접점
10 : 판스프링 10a : 삽입구멍
1Ob : 롤러 유지부 11 : 롤러
11a : 샤프트 12 : 설치부재
12a : 상판부 12b : 걸어맞춤 다리편
12c : 위치 결정편 12d : 삽입구멍
200 : 회전형 전기부품 210 : 베어링부재
211 : 관통구멍 220 : 조작축
230 : 회전체(코드부재) 231 : 변환 패턴
231a : 도전부 231b : 비도전부
232 : 커먼 패턴 232a : 도전부
232b : 비도전부 240 : 연결부재
250 : 기초대
251a, 251b, 252 : 슬라이딩 접점
260 : 가동 접점 270 : 설치부재
280 : O링 290 : 시일부재

Claims (8)

  1. 서로 도통한 도전부와 비도전부가 교대로 설치된 원호형상의 변환 패턴과 당해 변환 패턴과는 지름방향으로 어긋난 영역에 형성된 도전성의 커먼 패턴을 가지는 코드부재와, 상기 변환 패턴과 미끄럼 접촉하는 변환 슬라이딩 접점과, 상기 커먼 패턴과 미끄럼 접촉하는 커먼 슬라이딩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코드부재와 상기 변환 슬라이딩 접점 및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하는 회전형 전기부품으로서, 상기 커먼 패턴에는, 상기 변환 패턴의 비도전부에 대응하여 비도전부가 상기 커먼 패턴의 도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먼 패턴의 비도전부의 형성영역이, 상기 변환 패턴의 비도전부의 형성영역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변환 슬라이딩 접점이 상기 변환 패턴의 도전부와 비도전부의 경계부에 위치할 때에 상기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상기 커먼 패턴의 도전부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먼 패턴의 비도전부의 형성영역이, 상기 변환 패턴의 비도전부의 형성영역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패턴이 상기 커먼 패턴의 바깥 둘레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패턴의 도전부 및 상기 커먼 패턴의 도전부는, 절연성 수지에 매설된 금속판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변환 패턴의 비도전부 및 상기 커먼 패턴의 비도전부는, 상기 금속판에 형성된 절결부 또는 개구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절연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변환 패턴의 비도전부와 상기 커먼 패턴의 비도전부가 지름방향으로 서로 마주 보고 상기 절연성 수지가 연속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슬라이딩 접점과 상기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동일한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자 조각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자 조각이 회전하는 슬라이딩자 받침에 설치되고, 상기 변환 패턴은, 동일 원주 상의 다른 영역에 서로 절연상태로 배치된 제 1 상용 코드 패턴과, 제 2 상용 코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변환 슬라이딩 접점과 상기 커먼 슬라이딩 접점이 상기 제 1 상용 및 제 2 상용 코드 패턴과 상기 커먼 패턴을 걸치도록 상기 슬라이딩자 조각이 상기 코드부재에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부재 및 슬라이딩자 받침을 중공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패턴의 도전부와 상기 커먼 패턴의 도전부가 동일한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코드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변환 슬라이딩 접점은, 서로 절연상태가 된 제 1 상용 제 1 슬라이딩 접점과, 제 2 상용 제 2 슬라이딩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접점과 제 2 슬라이딩 접점은 상기 변환 패턴의 동일 원주 상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커먼 슬라이딩 접점은, 상기 커먼 패턴에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KR1020100044364A 2009-05-13 2010-05-12 회전형 전기부품 KR101109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6496A JP5147781B2 (ja) 2009-05-13 2009-05-13 回転型電気部品
JPJP-P-2009-116496 2009-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865A KR20100122865A (ko) 2010-11-23
KR101109711B1 true KR101109711B1 (ko) 2012-02-09

Family

ID=4307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364A KR101109711B1 (ko) 2009-05-13 2010-05-12 회전형 전기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47781B2 (ko)
KR (1) KR101109711B1 (ko)
CN (1) CN101886935B (ko)
TW (1) TWI4631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8642B2 (ja) * 2013-07-02 2017-08-09 株式会社ガスター 回転位置センサ、ギアモータ及び給湯装置
CN111580607B (zh) * 2020-05-06 2022-04-19 无锡睿勤科技有限公司 信号触发装置及可穿戴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2701A (ja) 2004-06-29 2006-01-12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KR20060041980A (ko) * 2004-02-24 2006-05-12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형 가변 저항기
KR20070112003A (ko) * 2006-05-18 2007-11-22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JP2008277259A (ja) 2007-04-02 2008-11-13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06971B1 (en) * 1999-12-10 2003-02-26 Alps Electric Co., Ltd. Rotary encoder
JP2001256857A (ja) * 2000-03-14 2001-09-21 Toshiba Video Products Japan Co Ltd 磁気記録再生機器の動作モード検出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980A (ko) * 2004-02-24 2006-05-12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형 가변 저항기
JP2006012701A (ja) 2004-06-29 2006-01-12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KR20070112003A (ko) * 2006-05-18 2007-11-22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푸시 스위치 부착 회전형 전기 부품
JP2008277259A (ja) 2007-04-02 2008-11-13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865A (ko) 2010-11-23
TW201109628A (en) 2011-03-16
JP5147781B2 (ja) 2013-02-20
CN101886935A (zh) 2010-11-17
CN101886935B (zh) 2012-08-08
JP2010267439A (ja) 2010-11-25
TWI463114B (zh)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6822B2 (en) Rotary clicking electronic component
KR101662825B1 (ko)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US7498527B2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US6340801B1 (en) Rotary encoder and multi-operational electronic component using the same
KR101109711B1 (ko) 회전형 전기부품
JP2007123459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1325859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KR20140090072A (ko) 푸시 스위치
JP2008257916A (ja) 回転型電気部品
JP5256123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7201415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1243849A (ja) 回転型電気部品のクリック構造
JP2006012701A (ja) 回転型電気部品
JP3589269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4703526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US6995650B2 (en) Electrical part prevented from improper mounting on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part
JP2008071589A (ja) 多方向押圧形スイッチ
JP2001325860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009146649A (ja) クリック機能付き電子部品
JP5180725B2 (ja) 回転型摺動子連結体及び回転式電子部品
JP2013037828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0331567A (ja) 防水型レバースイッチ
JP2017147174A (ja) クリック機構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6165573B2 (ja) 電子部品
JP2011141194A (ja) 回転型電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