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857A -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상태를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하는 a/v 기기 및 그의동작제어방법 - Google Patents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상태를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하는 a/v 기기 및 그의동작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857A
KR20060034857A KR1020040083868A KR20040083868A KR20060034857A KR 20060034857 A KR20060034857 A KR 20060034857A KR 1020040083868 A KR1020040083868 A KR 1020040083868A KR 20040083868 A KR20040083868 A KR 20040083868A KR 20060034857 A KR20060034857 A KR 20060034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sd
module
content source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3293B1 (ko
Inventor
이동석
박세현
구선영
김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293B1/ko
Priority to EP05256286A priority patent/EP1650962A1/en
Priority to EP06122120A priority patent/EP1758384A1/en
Priority to US11/248,243 priority patent/US8009234B2/en
Priority to CNA2007101814172A priority patent/CN101155075A/zh
Priority to CNA2005101164673A priority patent/CN1764256A/zh
Publication of KR20060034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5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with control bus for exchanging commands between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간의 동작상태를 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하는 A/V 기기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및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하도록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방식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조작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A/V 기기, OSD, 컨텐츠 흐름

Description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상태를 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하는 A/V 기기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Audio/Video apparatus for visualizing operations therein, or thereamong in the form of contents flow and a method operation controlling thereof}
도 1은 종래 A/V 기기의 동작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A/V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 A/V 기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l은 도 2에 도시된 OSD 처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메뉴화면의 일 예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의 흐름의 경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OSD 처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다른 예의 메뉴화면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V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DTT부 140 : DTT 제어부
200 : VCR부 210 : VCR 데크부
230 : VCR 제어부 300 : DVDR부
320 : DVDR 데크부 340 : A/V 스위칭부
350 : A/V 신호처리부 370 : OSD 처리부
380 : 프론트 패널 400 :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500 : 리모콘
본 발명은 A/V(Audio/Video)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V 기기의 내부 또는 A/V 기기들 간의 동작방식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A/V 기기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TV(DTV), VCR(Video Cassette Recorder), DVDP(Digital Versatile Disk Player), DVDR(DVD Recoder), STB(Set-Top Box) 등과 같이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A/V 기기들을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상호간에 컨텐츠(contents)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A/V 기기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한 복합기기(combination system)에 대한 개발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 이다. 이러한 복합기기는 공통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하나로 모아 조작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기기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 보다 공간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종래 A/V 기기는 사용자 측면에서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동작방식을 전혀 알 수 없는 블랙박스(Black Box)와 같다. A/V 기기가 처리할 수 있는 컨텐츠의 수가 하나이며, A/V 기기가 재생작업만 수행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블랙박스적인 인터액션 방식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A/V 기기에서 처리 가능한 컨텐츠의 수 및 각 컨텐츠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는 블랙박스적 인터액션 방식은 적합하지 않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처리된 결과만 보여주는 종래의 방식으로는 사용자가 A/V 기기의 동작방식을 이해하기란 쉽지가 않다.
또한, 사용자는 A/V 기기 내부에서 컨텐츠가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 현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있는 화면이 어떤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인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어려우므로 조작상의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V 기기의 내부 또는 A/V 기기들 간의 동작방식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의 흐름으로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A/V 기기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모듈의 동작상태 및 상기 A/V 기기의 동작상태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상기 OSD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을 아이콘(icon)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아이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모듈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source)에 대응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Destination)에 제공되는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은 외부 입력모듈, DVD 재생모듈, VCR 재생모듈, HDD 재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은 DVD 녹화모듈, VCR 녹화모듈, HDD 저장모듈 및 외부 출력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은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모듈의 동작상태 및 상기 A/V 기기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며, 상기 복수의 모듈은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아이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OSD 처리되어 표시된다.
상기 복수의 모듈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여기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은 외부 입력모듈, DVD 재생모듈, VCR 재생모듈, HDD 재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은 DVD 녹화모듈, VCR 녹화모듈, HDD 저장모듈 및 외부 출력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의 흐름을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컨텐츠 소스에서 컨텐츠 목적지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동으로 표시된다.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애니메이션(animation)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된다.
상기 OSD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하는 모듈이 표시된다.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한 아이콘 정보가 더 표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은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의 흐름을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컨텐츠 소스에서 컨텐츠 목적지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동으로 표시되며,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흐름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OSD 화면에는 컨텐츠 소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및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OSD로 표시한 아이콘 정보 및 상기 각 아이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OSD 처리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 간에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경로는 제1연결선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모듈 간에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로는 상기 제1연결선과 다른 제2연결선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일 모듈에 컨텐츠 기록매체가 장착된 경우, 상기 일 모듈과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기록매체가 상기 일 모듈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일 모듈과 상기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제거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일 모듈인 외부 입력모듈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일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상기 일 모듈과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입력모듈로부터의 콘텐츠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일 모듈 및 상기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제거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은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를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복수의 모듈 간에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경로가 제1연결선으로 OSD 처리되며, 상기 복수의 모듈 간에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제1연결선과 다른 제2연결선으로 OSD 처리된다.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일 모듈에 컨텐츠 기록매체가 장착된 경우, 상기 일 모듈과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며, 상기 컨텐츠 기록매체가 상기 일 모듈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일 모듈과 상기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제거된다.
또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일 모듈인 외부 입력모듈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일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상기 일 모듈과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며, 상기 외부 입력모듈로부터의 콘텐츠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일 모듈 및 상기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는 A/V 기기의 동작상태 및 상기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동작상태는, 콘텐츠 시청 동작상태, 콘텐츠 녹화동작 상태, 콘텐츠 재생 동작상태 및 동작 대기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은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는 A/V 기기의 동작상태 및 상기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상태는, 콘텐츠 시청 동작상태, 콘텐츠 녹화동작 상태, 콘텐츠 재생 동작상태 및 동작 대기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 흐름이 OSD 처리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 흐름이 변경된 경우, 상기 컨텐츠 흐름의 변경에 대응하여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은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 흐름을 표시하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 흐름이 변경된 경우, 상기 컨텐츠 흐름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OSD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자체에서 제공하는 기능 및 연결된 적어도 하 나의 주변 A/V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기기의 동작상태 및 상기 주변 A/V 기기의 동작상태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상기 OSD 처리부는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주변 A/V 기기를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아이콘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상기 A/V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주변 A/V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는 DTT, DVDP,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는 DVDR,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은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자체에서 제공하는 기능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OSD 화면 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A/V 기기의 동작상태 및 상기 주변 A/V 기기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며,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주변 A/V 기기는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아이콘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OSD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의 컨텐츠의 흐름을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은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의 컨텐츠의 흐름을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와의 연결관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A/V 기기 간의 연결관계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OSD 처리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기기와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경로를 제1연결선으로 나타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기기와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로를 상기 제1연결선과 다른 제2연결선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중 일 기기에 컨텐츠 기록매체가 장착된 경우, 상기 일 기기와 다른 기기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컨텐츠 기록매체가 상기 일 기기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일 기기와 상기 다른 기기 간의 연결도가 제거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은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와의 연결관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A/V 기기 간의 연결관계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를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A/V 기기와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경로가 제1연결선으로 OSD 처리된다.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A/V 기기와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제1연결선 과 다른 제2연결선으로 OSD 처리된다.
또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중 일 기기에 컨텐츠 기록매체가 장착된 경우, 상기 일 기기 및 상기 A/V 기기와 상기 주변 A/V 기기 중 상기 일 기기와 다른 기기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며, 상기 컨텐츠 기록매체가 상기 일 기기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일 기기 및 상기 다른 기기 간의 연결도가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자체 동작상태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기기의 동작상태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은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자체 동작상태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의 컨텐츠 흐름을 OSD 처리하고, 상기 A/V 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의 컨텐츠 흐름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OSD를 변경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한편,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은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V 기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의 컨텐츠 흐름을 표시하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에 컨텐츠 흐름이 변경되면, 상기 컨텐츠 흐름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OSD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A/V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A/V 기기는 TV, VCR(Video Cassette Recorder), DVDP(Digital Versatile Disk Player), DVDR(DVD Recoder), STB(Set-Top Box) 등과 같이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A/V 기기를 둘 이상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DTT(Digital Terrestial Television), VCR 및 DVDR이 하나의 세트로 결합된 콤비네이션 시스템(Combination System)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A/V 기기는 DTT부(100), VCR부(200) 및 DVDR부(300)로 구성된다. 먼저, DTT부(1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복조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셋탑박스(Set Top Box)이다.
VCR부(200)는 VCR 테이프와 같은 자기기록매체에 A/V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A/V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이다.
DVDR부(300)는 CD(Compact Disk), DVD 등과 같은 광기록매체에 A/V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A/V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A/V 기기는 TV와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400)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DTT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나, VCR부(200) 및 DVDR부(300)에 의해 재생되는 A/V 신호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400)를 통해 출력된다.
먼저, DTT부(100)는 튜너(110), 복조부(120), 디코더(130) 및 DTT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튜너(110)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으로부터 유입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채널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선국한다.
복조부(120)는 튜너(110)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방송신호를 비디오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방송정보신호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여 출력한다.
디코더(130)는 역다중화된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방송정보신호를 복호화한다. 튜너(110)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는 소정 포맷으로 압축된 신호이다. 따라서, 디코더(130)는 압축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신장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압축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포맷인 것이 일반적이다.
DTT 제어부(140)는 DTT부(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DTT 제어부(140)는 후술할 DVDR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튜너(110)의 선국동작과 디코더(130)의 복호화 동작 등을 제어한다.
VCR부(200)는 VCR 데크부(210), VCR 신호처리부(220) 및 VCR 제어부(230)를 구비한다.
VCR 데크부(210)는 VCR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자기테이프에 기록대상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후술할 A/V 스위칭부(340)로 출력한다.
VCR 신호처리부(220)는 VCR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A/V 스위칭부(34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자기테이프에 기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VCR 신호처리부(220)는 VCR 데크부(210)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400)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VCR 제어부(230)는 VCR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VCR 제어부(230)는 DVDR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VCR 데크부(210)의 기록 및 재생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DVDR부(300)는 외부 입력단자(310), DVDR 데크부(320), MPEG CODEC(COrder/DECoder)(330), A/V 스위칭부(340), A/V 신호처리부(350), 외부 출력단자(360), OSD 처리부(370), 프론트 패널(380) 및 DVDR 제어부(390)를 구비한다.
외부 입력단자(310)는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 A/V 기기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어, 외부 A/V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A/V신호를 수신하여 A/V 스위칭부(340)로 인가한다.
DVDR 데크부(320)는 DVDR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로딩된 광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광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한다. DVDR 데 크부(320)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는 MPEG CODEC(330)으로 제공된다.
MPEG CODEC(330)은 기록대상 데이터를 소정 포맷의 신호로 압축하여 DVDR 데크부(320)로 인가한다. 또한, MPEG CODEC(330)은 DVDR 데크부(320)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A/V 스위칭부(340)는 DVDR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A/V 신호들의 전달 경로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A/V 스위칭부(340)는 DTT부(100), VCR부(200), 외부 입력단자(310) 및 MPEG CODEC(330)으로부터 출력되는 A/V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A/V 신호처리부(350)로 인가한다. 또한, A/V 스위칭부(340)는 DVDR 제어부(390)의 제어 따라 DTT부(100) 및 외부 입력단자(310)로부터 출력되는 A/V신호들 중 하나를 VCR 신호처리부(220) 또는 MPEG CODEC(330) 로 인가한다.
A/V 신호처리부(350)는 DVDR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A/V 스위칭부(340)를 통해 DTT부(100)의 디코더(130) 또는 MPEG CODEC(330)으로부터 인가되는 A/V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A/V 신호처리부(350)는 VCR 신호처리부(220)로부터 입력되는 A/V 신호에 대해서는 별도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외부 출력단자(360)로 바이패스 한다.
외부 출력단자(360)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400)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어, A/V 신호처리부(350)로부터 출력되는 A/V 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400)로 출력한다.
OSD 처리부(370)는 복합 A/V 기기 내부에 포함된 복수의 모듈들,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 및 복합 A/V 기기의 동작방식을 나타내는 컨텐츠(contents)의 흐름 을 OSD(On Screen Display) 처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이하 "메뉴화면"이라 한다)를 제공한다. OSD 처리부(370)에 의해 생성된 OSD 메뉴화면은 A/V 신호처리부(350) 및 외부 출력단자(36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장치(400)로 제공된 후 디스플레이 된다.
프론트 패널(380)은 복합 A/V 기기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설정 또는 선택하기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이를 위해, 프론트 패널(380)에는 다양한 기능키가 마련된 키패드(382)와, 외부 입력장치인 리모콘(500)으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R 수광부(384)가 마련되어 있다.
DVDR 제어부(390)는 프론트 패널(38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복합 A/V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DVDR 제어부(390)는 사용자 조작 신호에 따라 DVDR 데크부(320)의 기록 및 재생동작, MPEG CODEC(330)의 압축 및 신장동작, A/V 스위칭부(340)의 스위칭 동작 등을 제어한다. 또한, DVDR 제어부(390)는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DTT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DTT부 제어부(140)나 VCR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VCR 제어부(230)를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DTT부(100), VCR부(200), DVDR부(300)에 각각 별도의 제어부(140, 230, 390)를 구비하고, 각각의 제어부(140, 230, 390)는 각 부(100, 200, 300)의 기능과 동작을 제어하되, DVDR부(300)에 구비된 DVDR 제어부(390)가 메인제어부로서 기능하도록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DVDR 제어부(390)가 복합 A/V 기기의 메인제어부로 할당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DTT 제어부(140)나 VCR 제어부(230)가 메인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각 부(100, 200, 30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230, 390)들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제어부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A/V 기기의 동작 제어과정을 메뉴화면 처리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 A/V 기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IR 수광부(384)를 통해 리모콘(500)으로부터 메뉴화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S610), DVDR 제어부(390)는 복합 A/V 기기의 동작방식을 컨텐츠의 흐름으로 표시하는 메뉴화면이 외부 디스플레이장치(40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OSD 처리부(370), A/V 신호처리부(350) 및 외부 출력단자(360)를 제어한다(S620).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은 리모콘(500)에 마련된 '메뉴키'(미도시) 또는 특정 키의 선택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도 4a는 메뉴화면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OSD 처리부에서 제공되는 메뉴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화면(700)은 복합 A/V 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1영역(710)과, 복합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들에 대한 아이콘 정보 및 각 모듈들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2영역(720) 및 리모콘(500)의 키 조작 이용정보가 표시되는 제3영역(730)으로 구성된다.
제2영역(720)에는 복합 A/V 기기를 구성하는 모듈들 및 각 모듈들이 제공하는 기능을 텍스트 및 아이콘으로 표시한 아이콘 정보와, 각 아이콘들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표시된다. 여기서, 연결도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컨텐츠(contents)가 실질적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제1연결선(예컨대, 실선) 및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경로를 나타내는 제2연결선(예컨대, 점선)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 아이콘들 간에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모든 경로를 도시하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모듈들의 상태에 따라 실질적으로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경로만을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DVDR 제어부(390)는 VCR 데크부(210) 또는 DVDR 데크부(320)에 광기록매체 또는 자기테이프의 장착여부를 판단하여 제2연결선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VCR 데크부(210) 또는 DVDR 데크부(320)에 기록매체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DVDR 제어부(390)는 VCR 또는 DVDR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다른 아이콘들 간의 연결도를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VCR 데크부(210) 또는 DVDR 데크부(320)에 장착된 기록매체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DVDR 제어부(390)는 VCR 또는 DVDR을 나타내는 아이콘들과 다른 아이콘들 간의 연결도를 제거하도록 처리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외부 입력모듈로부터의 컨턴츠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외부 입력모듈에 대응되는 아이콘과 다른 아이콘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합 A/V 기기의 동작 상황을 컨텐츠의 흐름으로 표시하며, 컨텐츠의 흐름은 컨텐츠 소스(source)로부터 컨텐츠 목적지(Destination)로 의 컨텐츠 이동으로 표시된다.
도 4a에서 안테나, 외부입력1 및 외부입력2를 나타내는 아이콘은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이며, TV화면을 나타내는 아이콘은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이다. 또한, DVDR 및 VCR을 나타내는 아이콘은 컨텐츠 소스인 동시에 컨텐츠 목적지에 해당하는 모듈이다. 즉, DVDR 또는 VCR이 녹화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DVDR 및 VCR은 컨텐츠 목적지가 되며, DVDR 또는 VCR이 재생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DVDR 및 VCR은 컨텐츠 소스가 된다.
제3영역(730)에는 제2영역(720)에 표시된 각종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리모콘(500)의 키 조작 이용정보가 표시된다. 즉, 제3영역(730)에는 외부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선택키,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채널 업/다운키, DVDR 녹화/재생키 및 VCR키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메뉴화면(700)에 표시된 아이콘들 또는 메뉴화면(700)에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하여 리모콘(500)에 마련된 키들을 조작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한다(S630). DVDR 제어부(39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수행시키며, 선택된 컨텐츠 소스 및 컨텐츠 목적지에 따라 컨텐츠의 흐름을 변경시킨다(S640). DVDR 제어부(390)는 컨텐츠 흐름의 변경에 대응하여 메뉴화면(700)을 변경하도록 OSD 처리부(370)를 제어한다.
한편, 프론트 패널(380)을 통해 메뉴화면 종료키 신호가 수신되면(S650), DVDR 제어부(390)는 메뉴화면(660)을 종료(Close) 시킨다(S660).
사용자의 키 조작에 대응하여 컨텐츠 흐름이 변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컨텐츠 소스로는 안테나가 선택되고 컨텐츠 목적지로 TV 화면이 선택된 상태에서 DVDR 녹화기능이 선택되면, 컨텐츠의 흐름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다. 도 4b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가 TV 화면을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DVDR에 녹화되고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메뉴화면(700)의 제1영역(710)에 표시되는 정보, 제2영역(720)에 표시되는 컨텐츠 흐름의 경로 및 제3영역(730)에 표시되는 리모콘(500)의 키조작 이용정보는 컨텐츠의 소스 또는 컨텐츠 목적지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현재 동작중인 모듈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사용자가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이라이트(Highlight) 처리, 음영표시처리, 색상변환 처리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b에서와 같이 채널 11번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TV 화면을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DVDR에 녹화하고 있는 중에, 리모콘(500)의 조작에 의해 타임 슬립(Time Slip) 기능이 선택되면, 컨텐츠 흐름의 경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다. 타입 슬립 기능은 동시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한 기능을 의미한다. DVDR 제어부(390)는 타임 슬립 기능 선택에 대응하여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가 DVDR 데크부(320)에 로딩된 광기록매체에 계속해서 녹화되도록 처리하면서, 동시에 녹화기능 선택에 대응하여 광기록매체에 녹화된 장면을 재생하도록 DVDR 데크부(32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메뉴화면(700)에 표시된 컨텐츠의 흐름을 통해 현재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광기록매체에 녹화중이며, TV 화면을 통해 3분 10초전에 녹화된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d는 도 4c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VCR 녹화 기능이 선택된 경우의 컨텐츠 흐름을 도시한 도면으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가 VCR 및 TV 화면에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TV 화면에 표시중인 컨텐츠는 채널 11번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이며, 11번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가 VCR에 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e는 컨텐츠의 소스로 외부입력1이 선택되고, 컨텐츠 목적지로는 TV 화면이 선택된 경우의 컨텐츠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4e에 도시된 메뉴화면(700)을 통해 현재 시청하는 컨텐츠가 외부입력1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f는 도 4e의 상태에서 DVDR 녹화기능이 선택된 경우의 컨텐츠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현재 TV 화면을 통해 시청하고 있는 컨텐츠는 외부입력1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이며, 동시에 외부입력1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가 DVDR에 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g는 컨텐츠의 소스로 외부입력2가 선택되고, 컨텐츠 목적지로 TV 화면이 선택된 경우의 컨텐츠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메뉴화면(700)을 통해 외부입력2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가 TV 화면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현재 TV 화면을 통해 시청하는 컨텐츠가 외부입력2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임을 알 수 있다. 도 4h는 도 4g의 상태에서 DVDR 녹화기능이 선택된 경우의 컨텐츠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메뉴화면(700)을 통해 현재 시청하고 있는 화면이 외부입력2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이며, 외부입력2를 통해 수신 되는 컨텐츠가 DVDR에 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i은 컨텐츠의 소스로 DVDR이 선택되고, 컨텐츠의 목적지로 TV 화면이 선택된 경우의 컨텐츠 흐름을 도시한 도면으로, 사용자는 DVDR에 기록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j은 컨텐츠의 소스로 VCR이 선택되고, 컨텐츠의 목적지로 TV 화면이 선택된 경우의 컨텐츠 흐름을 도시한 도면으로, 사용자는 메뉴화면(700)을 통해 현재 VCR에 기록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k는 DVDR이 동작 대기 상태임을 나타낸 도면으로, 컨텐츠의 소스로 DVDR이 선택된 상태이나 컨텐츠의 목적지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시 말하면, 이는 DVDR 데크부(320)에 기록 및/또는 재생대상 광기록매체가 장착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또한, 도 4l은 VCR이 동작 대기 상태임을 나타낸 도면으로, 컨텐츠의 소스로 VCR이 선택된 상태이나 컨텐츠의 목적지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VCR 데크부(210)에 자기테이프가 장착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의 흐름을 선택된 컨택츠 소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컨텐츠의 흐름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부각시킨 것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컨텐츠의 흐름을 에니메이션(animation)으로 표현하여 실제로 컨텐츠가 이동하는 것처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메뉴화면(700)은 도 4a 내지 도 4l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와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TV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와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화면(800)을 투명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메뉴화면(800)을 투명 처리하는 경우, 메뉴화면(800)이 TV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와 오버랩 되더라도 TV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는 메뉴화면(800)을 컨텐츠 소스 및 컨텐츠 목적지를 기준으로 분리 표시한 것이나, 동작방식은 도 4a 내지 도 4l에 도시된 메뉴화면(700)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DDT부(100), VCR부(200) 및 DVDR부(300)가 하나의 세트로 결합된 콤비네이션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 A/V 기기가 반드시 DTT부(100), VCR부(200) 및 DVDR부(300)를 모두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각 부가 하나의 세트에 결합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된 A/V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V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V 시스템은 DVDR(900), DTT(1000), VCR(1100) 및 표시장치(1200)를 구비하며, 상기 각 장치는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DVDR(900), DTT(1000), VCR(1100)은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이며, DVDR(900), VCR(1100) 및 표시장치(1200)는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A/V 시스템은 DVDR(900), DTT(1000), VCR(1100) 및 표시장치(1200)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복합 A/V 기기와 상이할 뿐, 각 기기의 동작상태, 각 기기 간의 연결관계 및 컨텐츠의 흐름을 OSD 처리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A/V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도 2에 도시된 복합 A/V 기기에서와 같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A/V 기기들을 제어할 메인기기를 존재해야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A/V 기기들을 제어하는 메인기기로 DVDR(900)이 설정된 경우, DVDR(9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DVDR(900)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주변 A/V 기기들(DTT(1000), VCR(1100), 표시장치(1200))의 동작상태, 상기 각 기기들간의 연결관계 및 컨텐츠의 흐름 등을 OSD 처리한 OSD 화면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A/V 네트워크 기기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A/V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A/V 기기 내부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A/V 네트워크 기기들 간의 동작 방식을 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방식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조작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연결도를 OSD 처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연결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A/V 기기가 처리할 수 있는 컨텐츠의 수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하여야 할 작업이 많은 A/V 기기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36)

  1. 소정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기기의 동작상태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을 아이콘(icon)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아이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source)에 대응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Destination)에 제공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은 외부 입력모듈, DVD 재생모듈, VCR 재생모듈, HDD 재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은 DVD 녹화모듈, VCR 녹화모듈, HDD 저장모듈 및 외부 출력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8.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A/V 기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이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 작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아이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OSD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은 외부 입력모듈, DVD 재생모듈, VCR 재생모듈, HDD 재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은 DVD 녹화모듈, VCR 녹화모듈, HDD 저장모듈 및 외부 출력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5.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의 흐름을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컨텐츠 소스에서 컨텐츠 목적지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동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애니메이션(animation)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하는 모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한 아이콘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은 외부 입력모듈, DVD 재생모듈, VCR 재생모듈 및 HDD 재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은 DVD 녹화모듈, VCR 녹화모듈, HDD 저장모듈 및 외부 출력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23.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의 흐름을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컨텐츠 소스에서 컨텐츠 목적지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동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흐름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컨텐츠 소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및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OSD로 표시한 아이콘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은 외부 입력모듈, DVD 재생모듈, VCR 재생모듈 및 HDD 재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은 DVD 녹화모듈, VCR 녹화모듈, HDD 저장모듈 및 외부 출력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아이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31.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OSD 처리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 간에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경로를 제1연결선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 간에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로를 상기 제1연결선과 다른 제2연결선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일 모듈에 컨텐츠 기록매체가 장착된 경우, 상기 일 모듈과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기록매체가 상기 일 모듈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일 모듈과 상기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제거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36.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일 모듈인 외부 입력모듈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일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상기 일 모듈과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입력모듈로부터의 콘텐츠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일 모듈 및 상기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제거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38.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를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복수의 모듈 간에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경로가 제1연결선으로 OSD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40.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복수의 모듈 간에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제1연결선과 다른 제2연결선으로 OSD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41.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일 모듈에 컨텐츠 기록매체가 장착된 경우, 상기 일 모듈과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컨텐츠 기록매체가 상기 일 모듈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일 모듈과 상기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43.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일 모듈인 외부 입력모듈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일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상기 일 모듈과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외부 입력모듈로부터의 콘텐츠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일 모듈 및 상기 다른 모듈 간의 연결도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45.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는 A/V 기기의 동작상태 및 상기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OSD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아이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48.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은 외부 입력모듈, DVD 재생모듈, VCR 재 생모듈, HDD 재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은 DVD 녹화모듈, VCR 녹화모듈, HDD 저장모듈 및 외부 출력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50.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는, 콘텐츠 시청 동작상태, 콘텐츠 녹화동작 상태, 콘텐츠 재생 동작상태 및 동작 대기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51.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는 A/V 기기의 동작상태 및 상기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은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53.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아이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OSD 처리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54.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은 외부 입력모듈, DVD 재생모듈, VCR 재생모듈, HDD 재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은 DVD 녹화모듈, VCR 녹화모듈, HDD 저장모듈 및 외부 출력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56.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는, 콘텐츠 시청 동작상태, 콘텐츠 녹화동작 상태, 콘텐츠 재생 동작상태 및 동작 대기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57.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 흐름이 OSD 처리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 흐름이 변경된 경우, 상기 컨텐츠 흐름의 변경에 대응하여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58.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컨텐츠 소스에서 컨텐츠 목적지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동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59. 제 5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60.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6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은 외부 입력모듈, DVD 재생모듈, VCR 재 생모듈 및 HDD 재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은 DVD 녹화모듈, VCR 녹화모듈, HDD 저장모듈 및 외부 출력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62.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하는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63.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V 기기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 흐름을 표시하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모듈 간의 컨텐츠 흐름이 변경된 경우, 상기 컨텐츠 흐름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OSD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컨텐츠 소스에서 컨텐츠 목적지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동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65.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66.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67. 제 6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모듈은 외부 입력모듈, DVD 재생모듈, VCR 재생모듈 및 HDD 재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모듈은 DVD 녹화모듈, VCR 녹화모듈, HDD 저장모듈 및 외부 출력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68. 제 66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하는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69.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자체에서 제공하는 기능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70.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기기의 동작상태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71.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A/V 기기의 동작상태를 OSD 처리하도록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72.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OSD 처리부는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주변 A/V 기기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73.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아이콘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74.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A/V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75.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A/V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76. 제 74항 또는 제 7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는 DTT, DVDP,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는 DVDR,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77.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자체에서 제공하는 기능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78.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A/V 기기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79.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주변 A/V 기기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80.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주변 A/V 기기는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81.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아이콘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OSD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82.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A/V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83.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A/V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84. 제 82항 또는 제 8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는 DTT, DVDP,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는 DVDR,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85.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의 컨텐츠의 흐름을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86.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컨텐츠 소스에서 컨텐츠 목적지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동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87.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88.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89.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하는 기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90.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A/V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한 아이콘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91.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는 DDT, DVDP,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는 DVDR,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92.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93.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의 컨텐츠의 흐름을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94.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컨텐츠 소스에서 컨텐츠 목적지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동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95.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흐름은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96.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97.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하는 기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98. 제 97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A/V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한 아이콘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99. 제 9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는 DDT, DVDP,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는 DVDR,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00.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01.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와의 연결관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A/V 기기 간의 연결관계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OSD 처리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02. 제 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기기와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경로를 제1연결선으로 나타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03. 제 10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기기와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로를 상기 제1연결선과 다른 제2연결선으로 나타내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04. 제 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중 일 기기에 컨텐츠 기록매체가 장착된 경우, 상기 일 기기와 다른 기기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05. 제 10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기록매체가 상기 일 기기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일 기기와 상기 다른 기기 간의 연결도가 제거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06.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와의 연결관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A/V 기기 간의 연결관계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를 표시한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07. 제 106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A/V 기기와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컨텐츠가 이동 가능한 경로가 제1연결선으로 OSD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08. 제 107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A/V 기기와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제1연결선과 다른 제2연결선으로 OSD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09. 제 106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주변 A/V 기기 중 일 기기에 컨텐츠 기록매체가 장착된 경우, 상기 일 기기 및 상기 A/V 기기와 상기 주변 A/V 기기 중 상기 일 기기와 다른 기기 간의 연결도가 OSD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10. 제 109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컨텐츠 기록매체가 상기 일 기기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일 기기 및 상기 다른 기기 간의 연결도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11.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자체 동작상태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기기의 동작상태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12. 제 111항에 있어서,
    상기 OSD 처리부는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주변 A/V 기기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13. 제 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아이콘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를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14. 제 111항에 있어서,
    상기 A/V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15. 제 1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A/V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16. 제 114항 또는 제 1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는 DDT, DVDP,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는 DVDR,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17. 제 1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는, 콘텐츠 시청 동작상태, 콘텐츠 녹화동작 상태, 콘텐츠 재생 동작상태 및 동작 대기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18.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자체 동작상태 및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19. 제 118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주변 A/V 기기가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20. 제 119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각 아이콘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도가 OSD 처리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21. 제 118항에 있어서,
    상기 A/V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22. 제 118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A/V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23. 제 121항 또는 제 12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는 DDT, DVDP,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는 DVDR,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24. 제 1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는, 콘텐츠 시청 동작상태, 콘텐츠 녹화동작 상태, 콘텐츠 재생 동작상태 및 동작 대기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25. 소정 정보를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 및
    A/V 기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의 컨텐츠 흐름을 OSD 처리하고, 상기 A/V 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의 컨텐츠 흐름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OSD를 변경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26. 제 12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컨텐츠 소스에서 컨텐츠 목적지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동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27.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28. 제 125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 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29. 제 12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는 DDT, DVDP,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는 DVDR,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30. 제 1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하는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OSD 처리하도록 상기 OSD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
  131. OSD 화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V 기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의 컨텐츠 흐름을 표시하는 OSD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A/V 기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A/V 기기 간에 컨텐츠 흐름이 변경되면, 상기 컨텐츠 흐름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OSD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32. 제 13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컨텐츠 소스에서 컨텐츠 목적지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동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33. 제 13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흐름은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변경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34. 제 131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35. 제 13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스에 대응되는 기기는 DDT, DVDP,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기는 DVDR, VCR, 및 H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136. 제 134항에 있어서,
    상기 OSD 화면에는 상기 컨텐츠 소스 및 상기 컨텐츠 목적지에 대응되는 기 기가 제공하는 기능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 기기의 동작제어방법.
KR1020040083868A 2004-10-20 2004-10-20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상태를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하는 a/v 기기 및 그의동작제어방법 KR100603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868A KR100603293B1 (ko) 2004-10-20 2004-10-20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상태를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하는 a/v 기기 및 그의동작제어방법
EP05256286A EP1650962A1 (en) 2004-10-20 2005-10-10 Audio/video devices for visualizing operational states therein, or thereamong into content flow and method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EP06122120A EP1758384A1 (en) 2004-10-20 2005-10-10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operational states of Audio/video devices or the content flow therebetween.
US11/248,243 US8009234B2 (en) 2004-10-20 2005-10-13 Audio/video devices for visualizing operational states therein or thereamong into content flow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s thereof
CNA2007101814172A CN101155075A (zh) 2004-10-20 2005-10-20 音频/视频装置和控制其操作的方法
CNA2005101164673A CN1764256A (zh) 2004-10-20 2005-10-20 用于将其中或其间的操作状态显现成内容流的音频/视频装置和控制其操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868A KR100603293B1 (ko) 2004-10-20 2004-10-20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상태를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하는 a/v 기기 및 그의동작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857A true KR20060034857A (ko) 2006-04-26
KR100603293B1 KR100603293B1 (ko) 2006-07-24

Family

ID=3565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868A KR100603293B1 (ko) 2004-10-20 2004-10-20 A/v 기기 내부 또는 a/v 기기 간의 동작상태를컨텐츠의 흐름으로 시각화하는 a/v 기기 및 그의동작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09234B2 (ko)
EP (2) EP1758384A1 (ko)
KR (1) KR100603293B1 (ko)
CN (2) CN17642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5419A (ko) * 2009-06-17 2010-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129B1 (ko) * 2004-03-08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101212088B1 (ko) * 2005-11-30 201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341238B2 (en) * 2006-03-03 2012-12-2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ple-device session synchronization
US8325236B2 (en) * 2006-03-03 2012-12-0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able-connection detection
WO2007123001A1 (ja) * 2006-04-17 2007-11-01 Panasonic Corporation Avシステム
JP5186732B2 (ja) * 2006-05-19 2013-04-24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342369B1 (ko) * 2007-01-26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신호 싱크 및 그의동작 방법
US20080252785A1 (en) * 2007-04-10 2008-10-16 Robert Hardacker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user in making correct TV connections
KR101367100B1 (ko) * 2007-05-21 201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응용 프로그램/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90018471A (ko) 2007-08-17 200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WO2009113170A1 (ja) * 2008-03-13 2011-07-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接続状態表示制御装置、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接続状態表示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2445206A4 (en) * 2009-06-19 2014-01-29 Shenzhen Tcl New Technology TELEVIS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CORRESPONDING SIGNAL SOURCES
US9100615B2 (en) * 2013-06-05 2015-08-04 Bby Solutions, Inc. On-screen display of input sources with position-based arrangement
US10387000B2 (en) * 2015-08-30 2019-08-20 EVA Automation, Inc. Changing HDMI content in a tiled window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21203D0 (en) * 1991-10-04 1991-11-20 D2B Systems Co Ltd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in such a system
TW364083B (en) 1996-06-21 1999-07-11 Sony Corp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devices monitoring and control with a topology map in a network
US5793366A (en) * 1996-11-12 1998-08-11 Sony Corporation Graphical display of an animated data stream between devices on a bus
US5883621A (en) 1996-06-21 1999-03-16 Sony Corporation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US6128016A (en) * 1996-12-20 2000-10-03 Nec Corporation Graphic user interface for managing a server system
JPH10224875A (ja) * 1997-02-06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能制御方法
US6421069B1 (en) * 1997-07-31 2002-07-1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luding self-describing information within devices
US6745252B1 (en) * 1998-05-13 2004-06-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etwork control system, controller, and device
US6829779B1 (en) * 1998-09-16 2004-12-07 Webtv Networks, Inc. User interface for entertainment system setup
US6806977B1 (en) * 1998-12-31 2004-10-19 Automated Business Companies Multiple integrated machine system
US6976267B1 (en) * 1999-04-09 2005-12-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s between devices
US6826776B1 (en) * 1999-04-09 2004-11-3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gnal path
KR100561386B1 (ko) 1999-05-27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Tv의 외부기기 소스 인터페이싱 시스템
JP2000341302A (ja) * 1999-05-27 2000-12-08 Sony Corp 電子機器
JP4168304B2 (ja) 1999-09-16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出力装置、情報報知方法および情報信号供給経路選択方法
KR100331832B1 (ko) 1999-10-30 2002-04-09 구자홍 외부입력 연결인식장치 및 입력선택방법
KR100348788B1 (ko) 1999-12-07 2002-08-17 엘지전자주식회사 기기간의 연결 안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4310674B2 (ja) * 2000-01-11 2009-08-1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に接続されているデバイスの選択方法及びこの選択方法を備えた電子機器
AU2001263075A1 (en) 2000-05-12 2001-11-26 Thomson Licensing S.A.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device interoperability
KR200233883Y1 (ko) 2000-10-17 2001-09-26 주식회사 유리알 다채널 멀티미디어 장치
KR100407564B1 (ko) * 2000-10-30 2003-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서브-워드 라인 구동 회로
KR100379438B1 (ko) 2000-11-29 200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매뉴얼 디스플레이 방법
JP2002215308A (ja) * 2001-01-16 2002-08-02 Toshiba Corp 携帯型情報機器
KR100408069B1 (ko) 2001-09-11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US6957396B2 (en) * 2001-10-18 2005-10-18 Sony Corporation Graphic user interface for digital networks
KR100474458B1 (ko) * 2002-06-26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5419A (ko) * 2009-06-17 2010-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4256A (zh) 2006-04-26
EP1758384A1 (en) 2007-02-28
KR100603293B1 (ko) 2006-07-24
US20060085568A1 (en) 2006-04-20
CN101155075A (zh) 2008-04-02
EP1650962A1 (en) 2006-04-26
US8009234B2 (en)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9234B2 (en) Audio/video devices for visualizing operational states therein or thereamong into content flow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s thereof
JP5353713B2 (ja) タイムシフト視聴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タイムシフト視聴方法
JP2007067947A (ja) 再生装置
JPH10150611A (ja) Epg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40001703A1 (en) Video reproduction device having graphic on-screen display (OSD) capabilities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053732B1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JP200330977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再生方法
JP2005260941A (ja) 1つのメニュー画面を通じてアナログ及びデジタル放送信号の予約録画が可能なコンボシステム及びその予約録画方法
JP2005260924A (ja)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メニュー案内表示方法
JP4921376B2 (ja) 放送番組表示装置、放送番組表示方法および放送番組表示システム
US20060150237A1 (en) Time-shift add-on device for apparatus with scart connection
US8072548B2 (en) Output control apparatus controlling an output of video or audio by automatically switching an input of a reproduction device and an output control system, a reproduction apparatus and a television for performing the same
KR100864720B1 (ko) 하나의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각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US73862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operation for 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digital tuner
KR100597009B1 (ko)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메뉴화면 생성방법
JP2004072449A (ja) 2画面テレビジョンの受信再生方法、及び2画面テレビジョン受信再生装置
JP4135157B2 (ja) データ放送番組記録再生装置
JP2006311522A (ja) デジタル放送再生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記録再生装置
US20050196132A1 (en)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20070048060A (ko) 방송신호 녹화재생 시스템, 방송신호 녹화재생 장치,방송신호 튜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