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009B1 -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메뉴화면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메뉴화면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009B1
KR100597009B1 KR1020040015573A KR20040015573A KR100597009B1 KR 100597009 B1 KR100597009 B1 KR 100597009B1 KR 1020040015573 A KR1020040015573 A KR 1020040015573A KR 20040015573 A KR20040015573 A KR 20040015573A KR 100597009 B1 KR100597009 B1 KR 100597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unit
menu screen
submenu
d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240A (ko
Inventor
김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0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 그 메뉴화면 생성방법이 제공된다. 본 영상재생장치는, 제1 영상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제1 영상신호의 재생기능과 관련된 제1 메뉴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제2 영상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제2 영상신호의 재생기능과 관련된 제2 메뉴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제1 및 제2 메뉴화면이 저장된 메뉴저장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메뉴화면에는 제1 및 제2 메뉴화면에 종속된 제1 및 제2 서브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선택하여야 하는 제1 및 제2 메뉴가 포함된 동일한 형상의 메인메뉴가 표시되고, 제1 메뉴가 선택되면 제1 제어부는 제1 서브메뉴가 제공되도록 제어동작하고, 제2 메뉴가 선택되면 제2 제어부는 제2 서브메뉴가 제공되도록 제어동작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에서 각 기능과 관련된 서브메뉴화면을 생성함에 있어서, 메인메뉴를 공통되게 생성함으로서 일관된 메뉴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일관성 있는 메뉴화면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익숙하게 메뉴화면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메뉴화면, 메인메뉴, 서브메뉴

Description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 그 메뉴화면 생성방법{Image reproducing apparatus for generating menu consistently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영상재생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재생장치의 메뉴화면 생성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a는 DTT부가 결합된 경우에 생성되는 메뉴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DTT부가 분리된 경우에 생성되는 메뉴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c는 DTT메뉴의 서브메뉴가 표시된 메뉴화면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d는 VCR메뉴의 서브메뉴가 표시된 메뉴화면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DTT부 120 : 디코더
130 : DTT 제어부 140 : DTT 메뉴저장부
200 : DVD부 210 : DVD CODEC
230 : DVD 제어부 240 : DVD/VCR 메뉴저장부
300 : VCR부 340 : VCR 제어부
350 : 조작부
본 발명은 영상재생장치 및 그 메뉴화면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기능과 관련된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 그 메뉴화면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제품들의 경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영상재생장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영상재생장치가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각각의 기능과 관련된 메뉴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일관성이 유지될 것이 요청된다.
DVDP와 VCR이 통합된 영상재생장치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DVDP/VCR 영상재생장치에서 DVDP의 환경/기능설정을 위한 메뉴화면은 DVDP가 담당한다. 그리고, VCR의 환경/기능설정을 위한 메뉴화면은 VCR이 담당한다. 각 장치에 대한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주체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각 메뉴화면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치를 번차례로 사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메뉴화면으로 인하여 조작상의 혼란을 느끼게 된다.
뿐만아니라, 근래에는 전자제품 기능의 복잡화로 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그 기능들을 쉽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게끔 설계하는 것이 중요문제로 부곽되고 있다. 이애 따라, 영상재생장치에서는 각각의 장치에 대한 메뉴화면을 일관되게 제 공하는 것이 더욱 절실히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에서 각 기능과 관련된 서브메뉴화면을 생성함에 있어서, 메인메뉴를 공통되게 생성함으로서 일관된 메뉴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 그 메뉴화면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기 다른 복수의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는, 제1 영상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제1 영상신호가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영상신호의 재생기능과 관련된 제1 메뉴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제2 영상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제2 영상신호가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영상신호의 재생기능과 관련된 제2 메뉴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1 메뉴화면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이 저장된 메뉴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 종속된 제1 및 제2 서브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선택하여야 하는 제1 및 제2 메뉴가 포함된 동일한 형상의 메인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제1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메뉴가 제공되도록 제어동작하고, 상기 제2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서브메뉴가 제공되도 록 제어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메뉴저장부에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가 소정 포맷으로 압축되어 저장되고, 압축된 상기 그래픽데이터를 신장하기 위한 신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뉴저장부는, 상기 제1 메뉴화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메뉴저장부;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메뉴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장부는, 상기 제1 메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메뉴화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를 신장하는 제1 신장부; 및 상기 제2 메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 메뉴화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를 신장하는 제2 신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제1 영상신호의 재생기능과 관련된 제1 메뉴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제2 영상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제2 영상신호의 재생기능과 관련된 제2 메뉴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 종속된 제1 및 제2 서브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선택하여야 하는 제1 및 제2 메뉴가 포함된 동일한 형상의 메인메뉴가 표시되는 영상재생장치의 메뉴화면 생성방법은, a) 상기 제1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메뉴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서브메뉴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영상재생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재생장치은 DTT(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부(100), DVD(Digital Video Disk player)부(200) 및 VCR(Video Cassette Recorder)부(300)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영상재생장치로서, DTT/DVD/VCR 기능이 통합된 영상재생장치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재생장치에 대한 일 예이므로, 상기한 기능들 이외의 다른 기능들이 복합된 영상재생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DTT부(1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복조하는, 디지털방송 수신용 셋탑박스(Set Top Box)이다.
DVD부(200)는 CD(Compact Disk), DVD 등과 같은 광기록매체에 영상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이다.
VCR부(300)는 VCR 테이프와 같은 자기기록매체에 영상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이다.
DTT부(100), DVD부(200) 및 VCR부(300)는 하나의 케이스(본체)에 일체화된다. 따라서, 도 1의 영상재생장치는 외형적으로 보면 하나의 기기이다. 이에 따라, 영상재생장치에서는 사용자 입력장치와 외부장치 연결단자를 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재생장치에 구비된 DTT부(100), DVD부(200) 및 VCR부(300)는 각각 개별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호 연결되어 복합적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복합적 기능의 예로서, DTT부(100)에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DVD부(200)나 VCR부(300)에 기록하는 경우나 DVD부(200)에서 재생되는 영상데이터를 VCR부(300)에 기록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영상재생장치은 TV나 캠코더 등과 같은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재생장치은 수신한 방송신호나 재생된 영상신호를 외부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기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재생장치에는 전술한 DTT부(100), DVD부(200) 및 VCR부(300)가 모두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각 부(100, 200, 300)를 영상재생장치에 결합/분리가 가능하게 구현하여, 사용자의 선택이나 필요에 따라 각 부(100, 200, 300)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게끔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디지털방송 수신용 TV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에게는 DTT부(100)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DTT부(100)가 없는 영상재생장치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DTT부(100), DVD부(200) 및 VCR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DTT부(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DTT부(100)는 수신부(110), 디코더(120), DTT 제어부(130) 및 DTT 메뉴저장부(140)를 구비한다.
수신부(110)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으로부터 유입되는 복수의 디지털 방송신호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여 복조한다.
디코더(120)는 수신부(110)에서 복조된 신호를 복호화한다.
또한, 디코더(120)는 후술할 DTT 메뉴저장부(140)에 압축되어 저장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데이터를 신장하여 출력한다.
DTT 제어부(130)는 DTT부(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DTT 제어부(130)는 수신부(110)의 수신동작과 디코더(120)의 복호화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DTT 제어부(130)는 후술할 VCR 제어부(34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VCR 제어부(340)의 제어에 구속되어 동할 수 있다.
DTT 메뉴저장부(140)에는 GUI환경의 구축에 필요한 메뉴화면과 같은 GUI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DTT 메뉴저장부(140)에는 DTT부(100)와 관련된 메뉴화면이 저장된다. 필요에 따라(예를 들면, 데이터의 용량이 큰 경우), GUI데이터는 소정 포맷으로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압축포맷으로서 MPEG포맷이나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포맷 등이 적용될 수 있다.
DVD부(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DVD부(200)는 DVD CODEC(COrder/DECoder)(210), DVD 데크부(220), DVD 제어부(230) 및 DVD/VCR 메뉴저장부(240)를 구비한다.
DVD 데크부(220)는 삽입된 CD, DVD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그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DVD CODEC(210)은 인가되는 기록대상 데이터를 소정 포맷의 신호로 압축하여 DVD 데크부(220)로 인가한다. 한편, DVD CODEC(210)은 DVD 데크부(220)로부터 재생대상 데이터를 인가받으면, 이를 신장하여 출력한다.
또한, DVD CODEC(210)은 후술할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압축되어 저장된 GUI데이터를 신장하여 출력한다.
DVD 제어부(230)는 DVD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DVD 제어부(230)는 DVD CODEC(210)의 압축/신장 동작, DVD 데크부(220)의 기록/재생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DVD 제어부(230)는 후술할 VCR 제어부(34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VCR 제어부(340)의 제어에 구속되어 동작할 수 있다.
DVD/VCR 메뉴저장부(240)에는 DTT/DVD/VCR 영상재생장치의 메인메뉴, 그 메인메뉴에 종속되는 서브메뉴로서 DVD부(200)와 관련된 서브메뉴, VCR부(300)와 관련된 서브메뉴에 대한 GUI데이터가 저장된다. 필요에 따라, 각각의 GUI데이터는 소정 포맷으로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압축포맷으로서 MPEG포맷, JPEG포맷 등이 적용될 수 있다.
VCR부(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VCR부(300)는 영상신호 스위칭부(310), 입출력단자부(320), VCR 데크부(330), VCR 제어부(340) 및 조작부(350)를 구비한다.
VCR 데크부(330)는 삽입된 자기테이프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그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영상신호 스위칭부(310)는 DTT부(100), DVD부(200) 및 VCR 데크부(33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입출력단자부(320)로 전달한다. 그리고, 영상신호 스위칭부(310)는 VCR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영상신호들의 전달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입출력단자부(320)는 영상신호 스위칭부(3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외부기기로 전달한다.
VCR 제어부(340)는 조작부(3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영상재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VCR 제어부(340)는 DTT 제어부(130), DVD 제어부(23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이들의 제어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VCR 제어부(340)는 영상재생장치의 중추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메인 제어부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VCR 제어부(340)는 VCR부(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VCR 제어부(340)는 영상신호 스위칭부(310)의 스위칭동작, VCR 데크부(330)의 기록/재생동작 등을 제어한다.
조작부(350)는 영상재생장치의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영상재생장치가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재생장치의 메뉴화면 생성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메뉴화면 호출명령이 있으면(S510), VCR 제어부(340)는 영상재생장치에 DTT부(100)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S520단계에서 DTT부(100)가 결합된 것으로 판단되면(S530),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 GUI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포함된 메뉴화면을 생성한다(S540).
만약, S520단계에서 DTT부(100)가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530),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 GUI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생략된 메뉴화면을 생성한다(S550).
이후에, 사용자는 메인메뉴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S560), 커서가 'DTT'메뉴에 위치되면(S570), DTT 메뉴저장부(140)에 저장된 GUI데이터를 이용하여 'DTT'메뉴의 서브메뉴(Sub-menu)를 생성한다(S580).
만약, 커서가 'DTT'메뉴가 아닌 다른 메뉴에 위치된 경우에는(S580),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 GUI데이터를 이용하여 커서가 위치한 메뉴의 서브메뉴를 생성하게 된다(S590).
지금까지 언급한 각 단계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510단계는 영상재생장치의 동작환경설정이나 세부기능설정을 위해 제공되는 메뉴화면을 생성하여 TV와 같은 외부기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사용자가 호출명령하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자는 조작부(350)에 마련된 '메뉴버튼'(미도시)을 누름으로서, 호출명령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조작부(3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호출명령은 VCR 제어부(340)로 전달된다.
S520단계는 호출명령을 전달받은 VCR 제어부(340)가 현재 영상재생장치에 DTT부(100)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재생장치에서 DTT부(100)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필요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그래서, DTT부(100)의 결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DTT부(100)가 영상재생장치에 결합되면, DTT부(100)의 DTT 제어부(130)는 VCR 제어부(34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VCR 제 어부(340)가 DTT부(100)의 결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밖에도, DTT부(100)가 해당 슬롯에 장착되면 소정 논리레벨의 신호를 VCR 제어부(340)의 소정 포트로 출력되게 함으로서, VCR 제어부(340)가 그 결합여부를 판단하게 할 수도 있다.
S540단계는 DTT부(100)가 결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포함된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DTT부(100)가 결합된 경우, 메인메뉴에 'DTT'메뉴를 포함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포함된 메뉴화면을 보고, 현재 영상재생장치에 DTT부(100)가 결합되었음을 인식할 수도 있다.
메뉴화면의 생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VCR 제어부(340)는 조작부(350)를 통해 전달받은 메뉴화면 '호출명령'과 DTT부(100)가 결합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신호를 DVD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DVD 제어부(230)는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포함된 메뉴화면을 생성하도록 DVD CODEC(210)을 제어한다.
이때, DVD CODEC(210)은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 GUI데이터들 중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포함된 메뉴화면에 해당하는 GUI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신장하여 출력함으로서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포함된 메뉴화면이 생성되는 것이다.
생성된 메뉴화면은 영상신호 스위칭부(310)와 입출력단자부(320)를 거쳐 외부기기인 TV로 전달되어 TV화면상에 표시된다. 이때, TV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도 3a에 도시하였다.
메뉴화면에는 메인메뉴(610) 이외에도, 커서(615)가 위치한 메인메뉴의 서브메뉴(620)가 표시된다. 도 3a에서 메인메뉴(610)에는 'SETUP'메뉴, 'DVD'메뉴, 'VCR'메뉴, 'DTT'메뉴, 'PROG'메뉴가 표시되고, 커서(615)가 위치한 메뉴는 'SETUP'메뉴이다. 따라서, 'SETUP'메뉴의 서브메뉴('Language', 'Clock', 'Install', 'User Set',...)(620)가 메인메뉴의 우측면에 표시되어 있다.
S550단계는 DTT부(100)가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생략된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DTT부(10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생략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DTT'메뉴를 선택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현재 영상재생장치에 DTT부(100)가 분리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메뉴화면의 생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VCR 제어부(340)는 조작부(350)를 통해 전달받은 메뉴화면 '호출명령'과 DTT부(100)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신호를 DVD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DVD 제어부(230)는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생략된 메뉴화면을 생성하도록 DVD CODEC(210)을 제어한다.
이때, DVD CODEC(210)은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 GUI데이터들 중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생략된 메뉴화면에 해당하는 GUI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신장하여 출력함으로서 메인메뉴에 'DTT'메뉴가 생략된 메뉴화면이 생성되는 것이다.
생성된 메뉴화면은 영상신호 스위칭부(310)와 입출력단자부(320)를 거쳐 외부기기인 TV로 전달되어 TV화면상에 표시된다. 이때, TV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화 면을 도 3b에 도시하였다.
도 3b에 도시된 메뉴화면에는 도 3a에 도시된 메뉴화면과 달리 메인메뉴(610)에 'DTT'메뉴가 생략되었음을 알 수 있다.
S560단계는 사용자가 메뉴화면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자는 조작부(350)에 마련된 '상/하 방향버튼'(미도시)을 누름으로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S580단계는 사용자가 커서를 이동시킴으로서 커서가 'DTT'메뉴에 위치한 경우, 'DTT'메뉴의 서브메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DTT'메뉴의 서브메뉴를 생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DTT부(100)와 관련된 GUI데이터는 DTT 메뉴저장부(140)에 저장되기 때문에, 'DTT'메뉴의 서브메뉴에 해당하는 GUI데이터 역시 DTT 메뉴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DTT'메뉴의 서브메뉴를 생성하는 동작은 DTT부(100)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커서가 'DTT'메뉴에 위치하게 되면, VCR 제어부(340)는 이를 알리는 정보신호를 DTT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DTT 제어부(130)는 'DTT'메뉴의 서브메뉴를 생성하도록 디코더(120)를 제어한다.
이때, 디코더(120)는 DTT 메뉴저장부(140)에 저장된 GUI데이터들 중 'DTT'메뉴의 서브메뉴에 해당하는 GUI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신장하여 출력함으로서 'DTT'메뉴의 서브메뉴가 생성되는 것이다.
생성된 서브메뉴는 영상신호 스위칭부(310)와 입출력단자부(320)를 거쳐 외 부기기인 TV로 전달된다. 생성된 서브메뉴는 DVD부(200)에서 생성된 메인메뉴의 우측면에 표시된다.
이때, TV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도 3c에 도시하였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610) 이외에 DTT부(100)에서 생성된 'DTT'메뉴의 서브메뉴(630)가 표시되어 있다.
S590단계는 커서가 'DTT'메뉴가 아닌 다른 메뉴에 위치한 경우, 커서가 위치한 메뉴의 서브메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커서가 위치한 메뉴의 서브메뉴를 생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DTT부(100)와 관련된 GUI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모든 GUI데이터는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다. 즉, DVD부(200)와 관련된 GUI데이터, VCR부(300)와 관련된 GUI데이터 및 영상재생장치의 전반적인 환경/기능설정과 관련된 GUI데이터는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다.
따라서, 메인메뉴와 'SETUP'메뉴, 'DVD'메뉴, 'VCR'메뉴, 'PROG'메뉴의 서브메뉴에 해당하는 GUI데이터는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뉴화면의 상단이나 하단에 표시되는 현재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나 키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정보에 대한 GUI데이터도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다.
그러므로, 'DTT'메뉴를 제외한 다른 메뉴들의 서브메뉴를 생성하는 동작은 DVD부(200)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커서가 'DTT'메뉴 이외의 메뉴에 위치하게 되면, VCR 제어부(340)는 이를 알리는 정보신호를 DVD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DVD 제어부(230)는 커서가 위치한 메뉴의 서브메뉴를 생성하도록 DVD CODEC(210)을 제어한다.
이때, DVD CODEC(210)은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 GUI데이터들 중 커서가 위치한 메뉴의 서브메뉴에 해당하는 GUI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신장하여 출력함으로서 해당메뉴의 서브메뉴가 생성되는 것이다.
생성된 서브메뉴는 영상신호 스위칭부(310)와 입출력단자부(320)를 거쳐 외부기기인 TV로 전달된다. 전달된 서브메뉴는 메인메뉴의 우측면에 표시된다.
이때, TV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도 3d에 도시하였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화면에는 DVD부(200)에서 생성된 메인메뉴(610)와 커서(615)가 위치한 메뉴인 'VCR'메뉴의 서브메뉴(640)가 표시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에 의해 메뉴화면을 생성하게 되면, 메인메뉴(610)와 'SETUP'메뉴, 'DVD'메뉴, 'VCR'메뉴, 'PROG'의 서브메뉴(620, 640)는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 GUI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또한, 메뉴화면의 상단이나 하단에 표시되는 안내정보 역시 DVD/VCR 메뉴저장부(240)에 저장된 GUI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결합/분리가 가능한 DTT부(100)와 관련된 'DTT'메뉴의 서브메뉴(630)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DTT 메뉴저장부(140)에 저장된 GUI데이터를 이용한다.
따라서, 메인메뉴들 중 어떠한 서브메뉴가 표시되더라도, 메인메뉴와 안내정보는 DVD부(200)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메뉴화면이 일관성을 가지게 된다.
'DTT'메뉴의 서브메뉴(630)가 표시된 메뉴화면(도 3c)과 'VCR'메뉴의 서브메뉴(640)가 표시된 메뉴화면(도 3d)을 비교해 보면, 양자는 각 서브메뉴(630, 640)의 내용만이 다를 뿐이며, 기본적인 메뉴화면의 형태와 메인메뉴(610), 상/하단에 위치한 안내정보는 동일하다. 따라서, DTT부(100)가 결합되어 그에 대한 서브메뉴화면이 필요한 경우, 기존에 사용되는 메뉴화면들과 일관성 있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DTT부(100), DVD부(200) 및 VCR부(300)에 제어부가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제어부는 각 부(100, 200, 300)의 기능과 동작을 제어하되, VCR부(300)에 구비된 VCR 제어부(340)가 메인제어부로서 기능하도록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여기서, 메인제어부란, 다른 제어부들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각 제어부들의 제어동작을 제어하고, 조작부(35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도록 지정된 제어부를 말한다. 본 영상재생장치에서, VCR 제어부(340)를 메인제어부로 할당한 것은 일 예일 뿐이다. 따라서, DTT 제어부(130)나 DVD 제어부(230)가 메인제어부로 기능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각 부(100, 200, 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들을 별도로 구현하지 않고 하나의 제어부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에서 각 기능과 관련된 서브메뉴화면을 생성함에 있어서, 메인메뉴를 공통되게 생성함으로서 일관된 메뉴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일관성 있는 메뉴화면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익숙하게 메뉴화면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각기 다른 복수의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제1 영상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제1 영상신호가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관련한 제1 메뉴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제2 영상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제2 영상신호가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관련한 제2 메뉴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1 메뉴화면 및 상기 제1 메뉴화면에 종속된 제1 서브메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메뉴저장부; 및
    상기 제2 메뉴화면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 종속된 제2 서브메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메뉴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 대한 메인메뉴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 각각 종속된 제1 및 제2 서브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선택하여야 하는 제1 및 제2 메뉴항목이 동일한 형상으로 나타나고,
    상기 제1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메뉴가 제공되도록 제어동작하고, 상기 제2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서브메뉴가 제공되도록 제어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저장부에는, 상기 제1 메뉴화면 및 상기 제1 서브메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가 소정 포맷으로 압축되어 저장되고,
    상기 제2 메뉴저장부에는, 상기 제2 메뉴화면 및 상기 제2 서브메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가 소정 포맷으로 압축되어 저장되며,
    압축된 상기 그래픽데이터를 신장하기 위한 신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부는,
    상기 제1 메뉴저장부에 저장된 그래픽데이터를 신장하는 제1 신장부; 및
    상기 제2 메뉴저장부에 저장된 그래픽데이터를 신장하는 제2 신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5. 제1 영상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제1 영상신호가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관련한 제1 메뉴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제2 영상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제2 영상신호가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관련한 제2 메뉴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1 메뉴화면 및 상기 제1 메뉴화면에 종속된 제1 서브메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메뉴저장부, 및 상기 제2 메뉴화면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 종속된 제2 서브메뉴에 대한 그래픽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메뉴저장부를 구비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메뉴화면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 각각 종속된 제1 및 제2 서브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선택하여야 하는 제1 및 제2 메뉴항목이 동일한 형상으로 나타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메뉴화면에 대한 메인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메뉴가 제공되도록 제어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서브메뉴가 제공되도록 제어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메뉴화면 생성방법.
KR1020040015573A 2004-03-08 2004-03-08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메뉴화면 생성방법 KR100597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573A KR100597009B1 (ko) 2004-03-08 2004-03-08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메뉴화면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573A KR100597009B1 (ko) 2004-03-08 2004-03-08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메뉴화면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40A KR20050090240A (ko) 2005-09-13
KR100597009B1 true KR100597009B1 (ko) 2006-07-06

Family

ID=3727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573A KR100597009B1 (ko) 2004-03-08 2004-03-08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메뉴화면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814A (ko) * 2005-12-05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네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40A (ko) 200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7774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US8009234B2 (en) Audio/video devices for visualizing operational states therein or thereamong into content flow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s thereof
KR100474458B1 (ko)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JP2007019695A (ja) 再生装置
KR101053732B1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JP3911508B2 (ja) 記録されたデータを再圧縮して書き直す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の再圧縮記録方法
KR10049370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 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005260941A (ja) 1つのメニュー画面を通じてアナログ及びデジタル放送信号の予約録画が可能なコンボシステム及びその予約録画方法
KR100597009B1 (ko)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메뉴화면 생성방법
EP1575283A2 (en)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menu guide thereof
EP1353328B1 (en) Recording medium player apparatus
KR100864720B1 (ko) 하나의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각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US20080284913A1 (en) Audio-visual system,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JP3951129B2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KR100548440B1 (ko) 영상장치의 영상신호 출력방법 및 영상신호 출력장치
JP2001211407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792291B1 (ko)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0832474B1 (ko) 에이브이 기기 및 그 컨텐트 표시 방법
KR20040056655A (ko) 영상 디스플레이 복합 기기에서 캡쳐된 영상 화면 저장장치 및 방법
JP4305082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9088630A (ja) 信号再生装置および録画再生装置
JP2005197954A (ja) 映像表示装置
KR20050059845A (ko) 통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콤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