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291B1 -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291B1
KR100792291B1 KR1020040055630A KR20040055630A KR100792291B1 KR 100792291 B1 KR100792291 B1 KR 100792291B1 KR 1020040055630 A KR1020040055630 A KR 1020040055630A KR 20040055630 A KR20040055630 A KR 20040055630A KR 100792291 B1 KR100792291 B1 KR 100792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mpressed
osd
graphic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835A (ko
Inventor
강은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2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영상재생장치의 동작방법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OSD 메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단계, 및 영상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OSD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력이 높아지고, 영상재생장치의 조작도 편리하게 된다.
영상재생장치, 콤비네이션 시스템, OSD, DVD, VCR

Description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Video reproduction device having OSD capabilities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의 개략적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OSD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SD 화면을 사용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블럭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OSD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DVD부 202 : DVD데크
204 : DE-MUX 205a~205n : OSD 메뉴부
206 : MPEG 비디오 디코더 208 : VIDEO 버퍼
210 : NTSC/PAL 인코더 220 : 선택부
212 : MPEG 오디오 디코더 214 : 오디오 DAC
230 : DVD 통신부 240 : DVD 제어부
300 : VCR부 302 : VCR데크
304 : 비디오/오디오 신호처리블럭 306 : 신호선택부
308 : 방송수신부 310 : 외부신호 입력부
312 : 키입력부 314 : FUNCTION 디스플레이
330 : VCR 통신부 340 : VCR 제어부
400 :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
본 발명은 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OSD 화면을 갖는 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한 복합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기기는 공통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하나로 모아 조작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치를 별개로 사용하는 것 보다 공간적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복합기기는 콤비네이션 시스템(combination system) 또는 콤보 시스템(combo-system)이라고도 불리우며, 이러한 콤비네이션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DVD 플레이어의 기능과 VCR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한 복합 영상재생장치인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에 연결되는 주변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100)은, DVD(digital video disk)에 기록된 영상과 음향을 재생하는 DVD 플레이어의 기능을 수행하는 DVD부(102)와,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영상과 음향을 재생하는 기능 및 외부에서 수 신된 신호를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VCR의 기능을 수행하는 VCR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100)에는, 내부의 DVD부(102) 또는 VCR부(104)에서 재생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주변장치로서 TV(140)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될 수 있으며, DVD부(102)에서 재생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주변장치로서 오디오앰프(130) 등이 연결되어 보다 양질의 음향을 들을 수도 있다.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100)에는 캠코더 등과 같은 외부기기(150)가 연결될 수 있으며,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100)은 이러한 외부기기(150)로부터 영상 및 음향을 입력받아 기록/재생 등을 수행한다.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100)내의 DVD부(102) 및 VCR부(104)는 외형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으로 존재한다. 사용자는 리모콘(120) 등과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 또는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100)의 전면에 마련된 키입력부(도시 되지 않음) 등을 조작함으로써 DVD부(102)와 VCR부(104)간의 동작모드를 절환할 수 있고, DVD부(102)와 VCR부(104) 각각의 장치에 대한 개별적인 기능도 조작할 수 있다.
한편,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100)은 일반적으로 OSD(On-Screen Display)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가능한 메뉴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OSD블럭(도시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리모콘(120) 등의 조작을 통해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OSD기능을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가능한 메뉴항목이 TV(140) 등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메뉴항목을 통해 자신이 조작하고자 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메뉴항목에는 DVD부(102) 또는 VCR부(104)의 일반적인 기록/재생, 정지, 빨리감기, 되감기 등과 같은 동작 이외에도, DVD부(102) 또는 VCR부(104)의 환경에 관한 명령 들도 포함된다.
도 2는 종래의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OSD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OSD 화면에는 '초기설정'. '화면 표시 언어'. '디스크 메뉴 언어', '음성 언어', '자막 언어', '잠금장치', '오디오 설정', 및 '화면설정' 의 메뉴항목이 표시된다. 그리고, OSD 화면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OSD 화면을 조회하여 동작명령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스위치를 표시한다. 즉, 각 메뉴항목으로 이동할 때는 '이동 :▲▼' 스위치를 사용하며, 메뉴항목을 선택하고 명령을 입력할 때는 '선택 : 입력' 스위치를 사용하고, 동작명령 설정 완료 및 이전화면으로 복귀하는 때에는 '완료:복귀' 스위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스위치들은 리모콘(120) 등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OSD 화면에서, '초기 설정' 항목은 날짜/시간 기록, DVD 연결 선택 등의 초기 설정을 위한 것이다. '화면 표시 언어' 항목은 DVD 플레이어의 화면표시 언어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디스크 메뉴 언어' 항목은 DVD에 수록된 메뉴 언어 설정을 위한 것이다. 또한, '음성 언어'는 스피커로 나오는 음성언어 설정을 위한 것이고, '자막언어' 항목은 TV(140) 등의 화면에 보이는 자막언어 설정을 위한 것이며, '잠금장치' 항목은 폭력물, 선정물 등에 시청등급을 설정하여 어린이가 볼 수 없도록 하는 위한 것이다. 그리고, '화면 설정' 항목은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100)에 연결된 TV(140)의 상태와 화면 설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메뉴항 목을 선택하게 되면, 다시 하위 메뉴항목이 표시된다.
그런데, 종래의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100)에서, OSD 화면은 저해상도의 문자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표현되고 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OSD 메뉴를 구성하기 위한 문자 데이터들이 폰트 데이터 형태로 미리 만들어져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메뉴화면에 대한 메뉴아이템들을 표시하기 때문에 한정된 문자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해상도도 DVD 영상 데이터에 비하여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한정된 폰트만을 사용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메뉴 구성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100)에서 편리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OSD 화면에 복잡한 문자를 사용하여 각각의 메뉴항목을 표시하는 것이 어렵고, 사용자는 각 메뉴의 항목이 수행하는 의미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왔다. 나아가서, 저해상도의 문자데이터로 구성된 OSD 화면은 전체적인 제품의 품위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OSD 화면을 고해상도의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하여,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OSD 화면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재생장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압축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재생부, OSD 메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압축그래 픽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OSD 메뉴부, 및 상기 압축영상데이터와 상기 압축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상기 압축영상데이터와 상기 압축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압축 데이터를 복원하는 디코더, 및 상기 선택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선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그래픽 데이터는, 하나의 OSD 메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한 화면 단위로 압축되어 저장되며,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압축영상데이터와 동일한 포맷으로 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SD메뉴부는,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각각 다른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기록매체와는 다른 매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OSD메뉴부는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재생장치의 동작방법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OSD 메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래픽 데이터는, 하나의 OSD 메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한 화면 단위로 저장 및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에서, 사 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각각 다른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그래픽 데이터는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재생장치, 특히, DVD플레이어와 VC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4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400)은, 일반적인 DVD플레이어의 기능을 수행하는 DVD부(200)와, 일반적인 VCR의 기능을 수행하는 VCR부(300)를 포함한다.
DVD부(200)는 DVD데크(202), DE-MUX(204), OSD메뉴1 ~ OSD메뉴n (205a~205n)으로 구성되는 OSD 메뉴부, MPEG 비디오 디코더(206), VIDEO 버퍼(208), NTSC/PAL 인코더(210), MPEG 오디오 디코더(212), 오디오 DAC(214), 선택부(220), DVD 통신부(230), 및 DVD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DVD데크(202)는 DVD에 대한 재생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DVD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동작을 한다. DE-MUX(204)는 DVD데크(202)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비디오 신호와, MPEG 오디오 신호로 분류하여, MPEG 비디오 신호는 선택부(220)로 전달하고, MPEG 오디오 디코더(212)에 전달한다.
OSD 메뉴부를 구성하는 OSD메뉴1 ~ OSD메뉴n(205a~205n)에는, OSD 화면을 그래픽으로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가 MPEG 부호화되어 저장된다. 이때, MPEG 부호화되어 저장되는 그래픽 데이터는 각 OSD 화면별로 하나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각각 OSD메뉴1 ~ OSD메뉴n(205a~205n)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다. OSD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MPEG 부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은, OSD 화면을 그래픽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이를 제한된 저장장치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의 압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선택부(220)는 OSD메뉴1 ~ OSD메뉴n(205a~205n) 및 DE-MUX(204)의 출력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MPEG 비디오 디코더(206)에 전달한다. 선택부(220)가 어느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할 것인지는 DVD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된다. 즉 DVD 제어부(200)는 선택부(220)의 출력을 제어하는 선택 제어부의 역활도 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206)는 선택부(220)로부터 출력되는 MPEG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MPEG 오디오 디코더(212)는 MPEG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 한다. VIDEO 버퍼(208)는 복호화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역활을 한다.
NTSC/PAL 인코더(210)는 VIDEO 버퍼(208)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이나, PAL(Phase Alternation Line) 방식의 DVD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오디오 DAC(214)는 MPEG 오디오 디코더(212)로부터 데이터를 수령하여 DVD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NTSC/PAL 인코더(210)의 DVD 영상 신호와 오디오 DAC(214)으로부터 출력되는 DVD 음향 신호는 DVD 전용 출력신호로 사용된다. DVD 전용 출력신호는 Y, Pr, Pb 의 컴포넌트 출력, S-영상, 디지털 오디오 출력 등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보다 양질의 영상과 음향 신호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206), VIDEO 버퍼(228), NTSC/PAL 인코더(210) 등은 선택부(220)가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를 복원하여 TV 등에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구성한다.
DVD 제어부(240)는 선택부(220)의 선택 제어외에, DVD부(200) 내의 각부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DVD 통신부(230)는 DVD부(200)와 VCR부(300)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한편, VCR부(300)는 VCR테크(302), 비디오/오디오 신호처리블럭(304), 신호선택부(306), 방송수신부(308), 외부신호입력부(310), 키입력부(312), FUNCTION 디스플레이(314), VCR통신부(330), 및 VCR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VCR데크(302)는 자기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며, 비디오/오디오 신호처리블럭(304)은 VCR데크(302)에 대해 기록될 또는 재생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 한다.
신호선택부(306)에는 VCR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NTSC/PAL 인코더(210)의 출력, 오디오 DAC(214)의 출력, 비디오/오디오 신호처리블럭(304)의 출력, 방송수신부(308) 및 외부신호입력부 (310) 중에서 TV 등과 연결되는 신호를 선택한다. 이 신호는 VCR 영상 및 VCR 음향 신호가 된다.
방송수신부(308)는 TV 등의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원하는 방송채널을 수신하며, 외부신호입력부(310)는 캠코더 등과 같은 외부기기의 출력신호를 신호선택부 (306)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FUNCTION 디스플레이(314)는 DVDP/VCR 콤비네이션 시스템(400)의 동작상태와 동작모드 등과 같은 정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외부에 표시하며, 키입력부(312)와 리모콘(350)을 통해서는 사용자의 각종 명령이 입력된다. VCR 제어부(340)는 키입력부(312) 및 리모콘(35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명령을 수령 및 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며, 이외에도 VCR부(300) 내의 각부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VCR 제어부(340)와 DVD 제어부(240)는 상호간에 명령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VCR 통신부(330)와 DVD 통신부(23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재생장치의 OSD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OSD 화면은 그래픽으로 표시되며, OSD 초기 화면에는 'DVD 설정', '비디오 설정', '설치연결', '예약녹화', '현재시간설정', '도움말'의 메뉴항목이 표시되어 있다.
OSD 화면의 하부에는 '이동 : ▲▼◀▶' , '선택:[기능선택]', '완료:[복귀]' 의 항목이 표시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OSD 화면을 조회하여 동작명령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스위치를 표시한다. 즉, 각 메뉴항목으로 이동을 원할때는 '이동 : ▲▼◀▶'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메뉴항목의 선택 및 기능선택시에는 선택:[기능선택] 스위치를 사용하며, 동작명령의 입력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거나 이전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완료:[복귀]' 스위치를 사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스위치는 리모콘(350)이나 키입력부(312)에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의 상하 좌우 이동 스위치를 조작하여 OSD 화면에 표 시된 메뉴항목 중에 하나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점으로 표시된 메뉴항목은 현재 커서가 있는 메뉴항목을 나타낸다. 현재 커서가 위치한 메뉴항목은, 다른 항목의 색채와 구분되는 다른 색채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에 의해 커서가 'DVD 설정' 항목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고, 도 5는 '비디오 설정' 항목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며, 도 6은 '설치연결' 항목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각 OSD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OSD 그래픽 데이터는 각각 OSD메뉴1 ~ OSD 메뉴n(250a~250n) 중의 어느 하나에 저장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는 OSD메뉴1(250a)에 저장되고, 도 5에 도시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는 OSD메뉴2(250b)에, 도 6에 도시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는 OSD 메뉴3(250c)에 저장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예약녹화' 항목이 선택된 OSD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는 OSD메뉴4에 저장되고, '현재시각설정' 항목이 선택된 화면을 구성하는 그래픽 데이터는 OSD메뉴5에, '도움말'항목이 선택된 화면을 구성하는 그래픽 데이터는 OSD메뉴6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350) 이나 키입력부(312)를 통해 OSD 화면이 표시되도록 설정된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VCR 제어부(340)는 이를 수령하여, VCR 통신부(330) 및 DVD 통신부(230)를 통해 DVD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DVD 제어부(200)는 선택부(220)를 제어하여, 먼저 OSD메뉴1(250)에 저장된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여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 4에 도시한 OSD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OSD 화면을 보고, '▲▼◀▶' 상하좌우 이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한 과정을 거처, 해당 OSD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OSD메뉴1 ~ OSD 메뉴n(250a~250n)중 하나가 선택되어, 해당 OSD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선택/기능선택' 스위치를 눌러서 현재 커서의 위치에 있는 메뉴항목을 선택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항목은, 다시 VCR 제어부(340)에서 수령하여 VCR 통신부(330) 및 DVD 통신부(230)를 통해 DVD 제어부(240)에 전달된다. DVD 제어부(240)는 해당 명령값이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명령값이 DVD 관련 동작명령인 경우, DVD 제어부(240)는 해당 명령값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만일, 전달된 명령값이 DVD 관련 동작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DVD 제어부(240)가 DVD 통신부(230) 및 VCR통신부(330)를 통해 VCR 제어부(340)에 명령값을 전달하고, VCR 제어부(340)는 전달 받은 명령값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메뉴항목중 하나로 커서를 이동하고, '선택/기능선택'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해당 메뉴항목에 대한 하부 항목이 표시되는 새로운 OSD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DVD 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DVD 설정과 관련된 하위 동작 항목이 표시되는 OSD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에는, DVD 플레이어의 화면표시 언어의 설정을 위한 '화면표시언어', DVD에 수록된 메뉴언어 설정을 위한 '디스크 메뉴 언어', 스 피커로 나오는 음성언어 설정을 위한 '음성 언어', 화면에 보이는 자막언어 설정을 위한 '자막 언어', 등이 포함된다. 이외에도, 시청등급의 제한을 위한 '잠금장치', 접속된 오디오의 설정을 위한 '오디오 설정', 연결된 TV 등의 상태와 관련하여 DVD 화면설정을 위한 '화면 설정'등의 항목 등이 포함된다.
'비디오 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되는 테이프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테이프선택', 비디오 전용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비디오 전용채널 선택', 반복 재생 설정시 테이프가 재생이 끝나면 자동으로 되감기한 후 다시 재생을 시작하여 처음부터 반복해서 계속 볼 수 있게 하는 '반복 재생 기능 사용', 파란색 화면 사용을 위한 '파란색 화면 사용', 비디오 재생시 부드러운 화면 등을 선택하기 위한 '화질선택 '등의 항목이 표시된다.
'예약녹화' 항목은 비디오의 예약 녹화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예약 녹화' 항목을 선택하면, 녹화할 방송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녹화시작시간', '녹화속도'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는 OSD 화면이 표시된다.
'현재시각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현재 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현재시각은 예약녹화를 하는 경우 등에 사용되며, 현재시각이 항시 표시되도록 하여 시계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움말'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OSD 화면의 사용에 필요한 도움말이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OSD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 OSD 화면을 구성하는 그래픽 데이터는 OSD메뉴1 ~ OSD 메뉴n(205a~205n)중 어느 하나에 각각 별도로 저장되며, 선택부(220)는 DVD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OSD메뉴1 ~ OSD 메뉴n (205a~205n)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각 메뉴항목을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의미를 식별하기 쉽고, 사용하기도 편리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OSD 화면을 고해상도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영상재생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고해상도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은 전체 시스템의 제품의 품위를 높이는데도 기여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3)

  1.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하나의 OSD 메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화면단위의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는, 하나의 OSD 메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한 화면 단위로 저장 및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각각 다른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압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는 압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의 동작방법.
  7. 기록매체에 기록된 압축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재생부;
    하나의 OSD 메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화면 단위의 압축그래픽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OSD 메뉴부; 및
    상기 압축영상데이터와 상기 압축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상기 압축영상 데이터와 상기 압축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압축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디코더; 및
    상기 선택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선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그래픽 데이터는, 하나의 OSD 메뉴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한 화면 단위로 압축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그래픽 데이터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압축영 상데이터와 동일한 포맷으로 압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OSD메뉴부는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각각 다른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압축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12. 삭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OSD메뉴부는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재생장치.
KR1020040055630A 2004-07-16 2004-07-16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079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630A KR100792291B1 (ko) 2004-07-16 2004-07-16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630A KR100792291B1 (ko) 2004-07-16 2004-07-16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057A Division KR100474458B1 (ko) 2002-06-26 2002-06-26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835A KR20040076835A (ko) 2004-09-03
KR100792291B1 true KR100792291B1 (ko) 2008-01-07

Family

ID=3736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630A KR100792291B1 (ko) 2004-07-16 2004-07-16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2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137A (ko) * 1997-10-28 1999-05-15 구자홍 디지탈 티브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인터페이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137A (ko) * 1997-10-28 1999-05-15 구자홍 디지탈 티브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인터페이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835A (ko) 200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458B1 (ko)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KR100776530B1 (ko) 기록 재생 장치 및 기록 재생 방법
US20030184679A1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viding slow motion advertisements in video information
EP2197204A1 (en) Time shift view/listening system, display device, and time shift view/listening method
JP2006521042A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データを同時利用する装置および方法(関連出願に関する説明)本出願は、2003年2月21日になされた仮出願:60/449,162号(記録媒体上に存在する切替可能なavデータを利用するための発明)の利益を主張する。当該仮出願の全ての内容は、ここでの言及により本出願に組み入れられる。
JP2011125059A (ja) ビデオ再生システムの時間ベース・ナビゲーション機能のための時間値の設定
JP2007019695A (ja) 再生装置
CN100397881C (zh) 在频道更换期间具有用户可选缓冲擦除的连续数字记录
CN100556107C (zh) 改变以修改后的胶片格式记录的视频显示的重放速度
KR10049370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 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4447669B2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KR100792291B1 (ko) 그래픽 화면으로 처리된 osd 화면을 구비한영상재생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1353328B1 (en) Recording medium player apparatus
US8072548B2 (en) Output control apparatus controlling an output of video or audio by automatically switching an input of a reproduction device and an output control system, a reproduction apparatus and a television for performing the same
JP2005260941A (ja) 1つのメニュー画面を通じてアナログ及びデジタル放送信号の予約録画が可能なコンボシステム及びその予約録画方法
KR100864720B1 (ko) 하나의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각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JPH0884302A (ja) メモリ内蔵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564673B1 (ko) 기록재생기능을갖는텔레비전수상기및텔레비전신호의기록재생방법
JP3044907B2 (ja) 複数av機器の操作方式
KR100597009B1 (ko)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메뉴화면 생성방법
JP3840894B2 (ja) 画像情報処理方法
JP389703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4602201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方法
JP4305082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
KR20050059845A (ko) 통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콤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