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630A - 베어링 캡 강제분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베어링 캡 강제분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630A
KR20060034630A KR1020057020764A KR20057020764A KR20060034630A KR 20060034630 A KR20060034630 A KR 20060034630A KR 1020057020764 A KR1020057020764 A KR 1020057020764A KR 20057020764 A KR20057020764 A KR 20057020764A KR 20060034630 A KR20060034630 A KR 2006003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ap
bearing
mandrel
forced
gripp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072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스몰라레크
Original Assignee
알핑 케슬러 전더마쉬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핑 케슬러 전더마쉬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알핑 케슬러 전더마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3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1/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overed by none or more than one of the groups B23D15/00 - B23D29/00; Combinations of shearing machines
    • B23D31/002Breaking machines, i.e. pre-cutting and subsequent breaking
    • B23D31/003Breaking machines, i.e. pre-cutting and subsequent breaking f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9/00Bearings for crankshafts or connecting-rods; Attachment of connecting-rods
    • F16C9/02Crankshaft b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10T225/371Movable breaking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36Process for making bearing or component thereof
    • Y10T29/49698De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04Roller or ball b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렬로 배열된 베어링 구멍들을 갖는 엔진 케이스, 특히 왕복 피스톤 엔진의 크랭크축 케이스의 베어링 조립체에서 대응되는 스러스트 블록들에서 적어도 한 개의 베어링 캡을 강제로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2개의 반쪽 맨드렐(12,14)을 포함하는 확장 맨드렐(10)이 적어도 한 개의 베어링 구멍(8)에 삽입되는 단계와, 상기 스러스트 블록(4)과 베어링 캡(2) 사이에 강제분리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반쪽 맨드렐(12,14)이 이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베어링 캡(2)이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12)과 고정수단(22) 사이에 강제분리방향으로 제한된 각도까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나 회전은 할 수 없도록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어링 캡 강제분리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Breaking Separation of Bearing Caps}
본 발명은 일렬로 배열된 베어링 구멍들을 갖는 엔진 케이스, 특히 왕복 피스톤 엔진의 크랭크축 케이스의 베어링 조립체에서 대응되는 스러스트 블록들에서 적어도 한 개의 베어링 캡의 강제분리장치와 그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방법과 장치는 2개의 반쪽 맨드렐을 포함하는 확장 맨드렐을 한 개 이상의 베어링 구멍에 삽입하고, 강제분리력을 가하여 2개의 반쪽 맨드렐을 벌림으로써 스러스트 블록(thrust block)과 베어링 캡(bearing cap)을 강제로 분리한다.
이러한 분리과정은 통상적으로 기계적 또는 유압으로 구동되는 분리 쐐기(미국특허 US 4,684,267 또는 독일특허 DE 4413255의 도 1 참조)나, 반쪽 맨드렐 사이에 유압에 의해 충격되는 확장기를 위치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넉클 조인트 어셈블리(knuckle-joint assemblies) 형태의 확장기가 사용된다(독일특허 DE 19918067 참조).
또한, 스러스트 블록을 고정 지지부에 단단하게 고정하고,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제어된 방법으로 베어링 캡을 "분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독일특허 DE 4413255 참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연결 막대 절반이 베어링 캡의 영역에 베어링 구멍 내에 위치하고, 이 절반 연결 막대는 베어링 캡의 양 쪽에서 베어링 캡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당김 수단에 연결된 인장 탭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강제분리(breaking or fracture separation)는 필연적으로 굽힘변형(bending strain) 문제를 야기한다. 그러한 변형현상은 강제분리과정 중에 분리가 절대로 분리면 전체에서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반대로, 분리는 분리면의 한 점에서 시작하여 시간 지연(millisecond 범위)을 갖고 분리면 전체로 퍼져 나간다. 이미 분리된 부분은 아직 분리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 굽혀진다. 그래서, 분리면은 분리된 후에는 더 이상 서로 정확하게 맞지 않는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2개의 떨어진 표면으로 형성된 분리면을 갖는 베어링 구멍이나 베어링 슬리브를 분리할 때 더욱 현저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변형현상이 일어난 부품은 베어링 또는 엔진구조가 요구하는 품질관련 요건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쓸모가 없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분리된 부품에 소정의 예인장력(pre-tension)을 가하여 휘게 함으로써 이러한 종류의 굽힘 변형에 대응한다. 그러나, 이 예인장력은 강제분리력(force of fracture separation)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강제분리과정 중에 이를 극복하여야만 한다. 베어링 조립체를 분해할 경우에는 언제나 경제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 정도로 굽힘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실제로 상당히 고 예인장력을 작용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매우 큰 강제분리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면이 개선된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베어링 조립체의 강제분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독립항 1항 및 2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베어링 조립체의 강제분리방법 및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다른 이익이 되는 내용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강제분리 중에 발생하는 굽힘 변형을 가능한한 감소시킴으로서 강제분리 중에 분리면의 특성을 향상시키려는 생각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완전히 새로운 접근방법이 선택되었다. 다만, 떨어질 수 있는 2개의 반쪽 맨드렐을 포함하는 시도되고 테스트된 확장 맨드렐 시스템은 계속 사용된다. 예인장력으로 대응되는 베어링 캡을 고정하는 대신에 특별한 클램핑 시스템(clamping system)에 의해 고정과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캡은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과 고정수단 사이에 회전되지는 않으나 강제분리 방향으로 제한된 각도의 자유이동이 가능한 방법으로 클램프된다.
원칙적으로, 이 클램핑 시스템은 베어링 캡에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과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며, 베어링 캡이 그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반쪽 맨드렐, 베어링 캡,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이 유닛이 베어링 캡이 회전할 수는 없지만 강제분리방향으로 제한된 각도까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방법으로 지지된다는 사실이다. 이에 의해 각각의 강제분리력에 의해 극복되어야 하는 예인장력을 사용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비교적 적은 강제분리력을 사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간단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구조의 설계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하에 동작하는 장치는 매우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인 면에서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 있으며 효과적인 클램핑을 할 수 있는 장치는 대응되는 베어링 캡의 양 측에서 베어링 캡에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그립핑 수단이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대응되는 베어링 캡은,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과 고정수단 사이에 그립핑 수단에 단단하게 연결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수단과 고정된 베어링 캡 뿐만 아니라 그립핑 수단을 갖는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로 구성된 유닛이 강제분리방향으로 제한된 각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나 회전은 할 수 없는 방법으로 클램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강제분리 중에 대응되는 베어링 캡이 스러스트 블록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굽힘 변형이 대부분 제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제거되고, 분리표면의 특성은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분리되는 부품들에 강제분리과정을 방해하는 어떠한 외력도 가하지 않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인가되는 분리력이 작고, 그래서 강제분리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장치 구조를 설계하는 것을 더욱 쉽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칙적으로 그립핑 수단은 임의의 방식으로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확장 맨드렐, 특히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이 그립핑 수단에 맞춘 적어도 한 개의 홈부(recess)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립핑 수단이 결합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이 원하는 회전하지 않는 베어링의 배열과 신뢰성 있는 형상을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다.
특히, 강체 그립핑 수단(rigid gripping means)인 경우에는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의 외주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삽입슬롯(inserting slot)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응되는 그립핑 수단이 이 삽입슬롯을 통해 반쪽 맨드렐 위로 슬라이드된다. 삽입슬롯이 적어도 한 개의 홈부와 연통되도록 해서 그립핑 수단이 삽입슬롯을 통해 적어도 한 개의 홈부와 빠르고 신뢰성 있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설계에서는, 적어도 한 개의 홈부가 축방향으로 삽입슬롯의 옆에 배치되고, 이 홈부가 직접 삽입슬롯과 이어지는 것이 장점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그립핑 수단은 삽입슬롯을 통해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로 슬라이딩 될 수 있고, 반쪽 맨드렐을 단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축방향 이동은 그립핑 수단이 삽입슬롯에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홈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그립핑 수단이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과 단단하게 맞물리도록 만든다.
기술적으로 간단하며 정적 강도가 있는 구조를 얻기 위해서는 그립핑 수단을 고정 턱을 갖는 집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 턱은 상대 쪽으로 움직이지 않고, 그 끝단에는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되며,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의 적어도 한 개의 홈부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구비한다.
고정수단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고정수단이 적어도 한 개의 동력구동 멈춤쇠를 구비하는 구조는 간단하고 효과적이다. 이는 고정수단이 분리되는 베어링 캡과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과 함께 신뢰성 있게 인장되도록 한다. 이때,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의 반대쪽 면에서 베어링 캡에 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멈춤쇠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근법은 본질적으로 인장되며, 고정수단, 분리되는 베어링 캡,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을 포함하고, 인장의 결과로써 베어링 조립체에 연속적인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해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다. 이때, 멈춤쇠는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강제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강제분리장치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강제분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강제분리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강제분리장치(1)는 내연기관 등에 사용되는 크랭크축 케이스(6)를 강제분리방법에 의해 정비하는데 사용된다. 크랭크축 케이스(6)는, 일렬로 배열되며 강제분리방법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스러 스트 블록(thrust block)(4)과 베어링 캡(2)으로 형성된 일련의 베어링 구멍(8)을 구비한다. 강제분리과정 중에 크랭크축 케이스(6)는 적절한 방법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베어링 조립체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에 도시된 강제분리장치는 2개의 반쪽 맨드렐(half-mandrel)(12,14)로 구성되며, 일렬로 된 베어링 구멍(8) 중 적어도 한 개에 삽입될 수 있는 확장 맨드렐(extension mandrel)(10)을 포함한다. 반쪽 맨드렐(12,14)의 간격을 벌리기 위한 확장기(16)가 2개의 반쪽 맨드렐(12,14) 사이에 개재된다. 예를 들면, 확장기(16)는 반쪽 맨드렐(12,14)에 충분한 확장력을 가할 수 있는 쐐기 또는 유압수단으로 형성된다.
또한, 강제분리장치(1)는 베어링 캡(2)의 양쪽에서 베어링 캡(2)에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12)에 결합할 수 있는 집게(pincers) 형상의 2개의 그립핑 수단(gripping means)(18,20)을 포함한다. 집게(18)는 고정수단(22)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정수단(22)은 강제분리방향, 즉 베어링 구멍(8)의 축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한된 각도까지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는 있으나 회전되지는 않는 방법으로 지지가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방법은 미끄럼 슬리브(sliding sleeve) 등과 같은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베어링 캡(2)에서 먼 쪽의 반쪽 맨드렐(14)은 2개의 홈부(recess)(24)를 구비하여, 대응되는 베어링 캡(2) 쪽의 반쪽 맨드렐(12)이 다른 반쪽 맨드렐(14) 위로 돌기처럼 돌출된다. 이것에 의해 집게(18,20)가 대응되 는 베어링 캡(2)이 물려 있는 반쪽 맨드렐(12)에 확실하게 걸리게 된다.
더욱이, 대응되는 베어링 캡(2)과 물려 있는 반쪽 맨드렐(12)은 서로 마주보는 쪽의 원주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각 홈부(24)와 연통된 집게용 삽입슬롯(26)이 구비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확장 맨드렐(10)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홈부(24)는 각각 삽입슬롯(26)의 옆에 위치하며, 삽입슬롯(26)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집게(18,20)는 고정적이며 강도가 높은 기구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집게(18,20)는 각각 본질적으로 U형상으로 배열되며, 내주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이빨 형상의 걸림부재(30)를 갖는 2개의 고정 턱(fixed jaws)(28)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18,20)의 두께는 본질적으로 삽입슬롯(26)의 폭에 대응된다. 따라서, 집게(18,20)는 걸림부재(30)가 홈부(24) 영역에 끼워져서 반쪽 맨드렐(12)의 대응되는 돌기 뒤에 걸릴 수 있도록 확장 맨드렐(10)로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수단(22)은 2개의 동력구동 멈춤쇠(32,34)를 포함한다. 도 1에서 한 개의 멈춤쇠(34)는 집게(18)에 의해 가려져 있다. 2개의 멈춤쇠(32,34)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대응되는 베어링 캡(2)을 향하도록 집게(18,20) 사이에 설치된다. 균등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멈춤쇠(32,34)는 집게(18,20) 사이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동력구동 멈춤쇠(32,34)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의 신장 가능한 피스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적절한 제한 멈춤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다른 예로 멈춤쇠는 고정되고, 집게가 동력구동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강제분리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강제분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에의 각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작하면, 먼저, 느슨한 상태, 즉 확장기(16)에 의해 반쪽 맨드렐(12,14)에 어떠한 확장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 있는 확장 맨드렐(10)을 적어도 제1삽입슬롯(26)이 제1 및 제2베어링 캡(2) 사이로 나오도록 제1베어링 구멍(8)에 삽입된다(도 2에서 도면의 오른쪽 편에 위치한 베어링 캡이 제1베어링 캡으로 지정되어 있다). 삽입슬롯(26)은 고정수단(22)의 집게들(18,20)과 본질적으로 일직선 상이 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18,20)와 고정수단(22)으로 구성된 연결유닛을 확장 맨드렐(10)과 크랭크축 케이스(6) 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고정 턱(28)과 특히 이빨 형상의 걸림부재(30)를 갖는 집게(18,20)가 삽입슬롯(26)에 삽입된다. 집게(18,20)는 이빨 형상의 걸림부재(30)가 축 방향으로 홈부(24) 옆에 위치할 정도로 이동시킨다.
다음 단계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맨드렐(10)을 베어링 구멍(8)에 더 삽입시킨다. 그러면, 집게(18,20)의 이빨 형상 걸림부재(30)는 확장 맨드렐(10)의 홈부(24)와 맞물리는 형태로 되어, 분리될 베어링 블록(2)을 마주하는 확장 슬리브(12) 뒤에 걸리게 된다. 즉, 이제 분리될 베어링 캡(2) 쪽의 확장 슬리브 (12)와 집게(18,20) 사이에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동력구동 멈춤쇠(32,34)가 분리될 베어링 캡(2)의 표면(2')에 접촉할 때까지 신장하여 그 베어링 캡 표면(2')에 힘을 가한다(도 5 참조). 이에 의해 고정수단(22), 집게(18,20), 분리될 베어링 캡(2) 쪽의 확장 슬리브(12), 및 분리될 베어링 캡(2)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인장시키는 예비 인장력이 생성된다. 회전되지 않으나 일정 각도 자유롭게 움직이는 고정부재(22)의 베어링 배열과 함께, 이 방법이 강제분리과정 동안에 분리되는 베어링 캡(2)에 가해지는 비틀림 변형 또는 굽힘 변형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많이 제거한다. 이 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표면은 훨씬 개선된 품질과 표면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끝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강제분리 과정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2개의 반쪽 맨드렐(12,14)이 확장기(16)에 의해 베어링 캡(2)과 대응되는 스러스트 블록(4)이 분리될 때까지 이격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정수단(22)을 통해 분리되는 베어링 캡(2)에 인장력을 가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에서 집게(18,20)와 멈춤쇠(32,34)를 구비한 고정수단(22)은 단지 분리되는 베어링 캡(2)의 비틀림을 방지할 뿐이며, 그 베어링 캡(2)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돕지않기 때문이다.
강제분리과정이 완료된 후, 분리된 베어링 캡(2)의 클램핑(clamping) 상태는 멈춤쇠(32,34)를 수축시키면 해제된다. 그러면, 분리된 베어링 캡(2)을 빼낼 수 있고, 집게(18,20)는 확장 맨드렐(10)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어서, 상술한 과정은 다음 베어링 캡(2)에 대하여 유사하게 수행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 개의 베어링 캡(2)을 강제분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강제분리과정 동안에 복수의 베어링 캡(2)을 대응되는 스러스트 블록(4)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대응되는 집게를 갖는 복수의 고정수단(22)을 제공하거나, 복수의 집게와 대응되는 멈춤쇠를 갖는 한 개의 고정수단(22)을 제공하는 것이 유용하다.

Claims (9)

  1. 일렬로 배치된 베어링 구멍(8)을 갖는 엔진 케이스, 특히 왕복 피스톤 엔진용 크랭크축 케이스의 베어링 조립체(6)에서 대응되는 스러스트 블록(4)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의 베어링 캡(2)을 강제로 분리하는 강제분리방법에 있어서,
    2개의 반쪽 맨드렐(12,14)을 포함하는 확장 맨드렐(10)이 적어도 한 개의 베어링 구멍(8)에 삽입되는 단계와, 상기 스러스트 블록(4)과 베어링 캡(2) 사이에 강제분리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반쪽 맨드렐(12,14)이 이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캡(2)이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12)과 고정수단(22) 사이에 강제분리방향으로 제한된 각도까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나 회전은 할 수 없도록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캡 강제분리방법.
  2. 일렬로 배치된 베어링 구멍(8)을 갖는 엔진 케이스, 특히 왕복 피스톤 엔진용 크랭크축 케이스의 베어링 조립체(6)에서 대응되는 스러스트 블록(4)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의 베어링 캡(2)을 강제로 분리하는 강제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멍(8) 중 적어도 한 개의 베어링 구멍에 삽입될 수 있으며, 2개의 반쪽 맨드렐(12,14)을 갖는 확장 맨드렐(10);
    상기 반쪽 맨드렐(12,14)을 이격시키며, 상기 반쪽 맨드렐(12,14)의 사이에서 작동하는 확장기(16);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베어링 캡에 대응되는 상기 반쪽 맨드렐(12)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그립핑 수단(18,20);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그립핑 수단(18,20)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고정수단(22);을 포함하며,
    상기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12), 그립핑 수단(18,20), 고정수단(22), 클램프된 베어링 캡(2)으로 구성된 유닛이 회전은 할 수 없으나 강제분리방향에 대해 제한된 각도까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방법으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베어링 캡(2)이 상기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12)과 고정수단(22) 사이에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캡 강제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맨드렐(10), 특히 상기 베어링 캡(2)에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12)은 상기 그립핑 수단(18,20)이 맞물리는 적어도 한 개의 홈부(24)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캡 강제분리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캡(2)에 대응되는 상기 반쪽 맨드렐(12)은 그 외주에 서로 마주 보는 면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립핑 수단(18,20)이 삽입되는 삽입슬롯(26)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슬롯(26)은 적어도 한 개의 홈부(24)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캡 강제분리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홈부(24)는 상기 확장 맨드렐(10)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 케이스에서 상기 삽입슬롯(26)의 촉방향으로 옆에 위치하며, 상기 슬롯과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캡 강제분리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수단(18,20)은 집게로 형성되며, 상기 집게는 각각 끝단에 서로 마주 보는 걸림부재(30)를 구비한 고정 턱(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캡 강제분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30)는 상기 베어링 캡(2)에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12)의 적어도 한 개의 홈부(24)와 맞물리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 뒤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캡 강제분리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수단(18,20)에 연결된 상기 고정수단(22)은 적어도 한 개의 동력구동 멈춤쇠(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캡 강제분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멈춤쇠(32,34)를 구비하며, 상기 멈춤쇠(32,34)는 상기 대응되는 반쪽 맨드렐(12)의 반대 측에서 상기 베어링 캡(2)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캡 강제분리장치.
KR1020057020764A 2003-05-07 2004-03-12 베어링 캡 강제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971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0372.9 2003-05-07
DE2003120372 DE10320372A1 (de) 2003-05-07 2003-05-07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uchtrennen von Lagerdeckel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630A true KR20060034630A (ko) 2006-04-24
KR100971072B1 KR100971072B1 (ko) 2010-07-20

Family

ID=3342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764A KR100971072B1 (ko) 2003-05-07 2004-03-12 베어링 캡 강제분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060248724A1 (ko)
EP (1) EP1620220B1 (ko)
JP (1) JP4476997B2 (ko)
KR (1) KR100971072B1 (ko)
CN (1) CN100371115C (ko)
AT (1) ATE363356T1 (ko)
BR (1) BRPI0410089A (ko)
CA (1) CA2522741C (ko)
DE (2) DE10320372A1 (ko)
ES (1) ES2286623T3 (ko)
MX (1) MXPA05011781A (ko)
WO (1) WO20040988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1843B4 (de) * 2005-02-22 2010-09-23 Mauser-Werke Oberndorf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m Bruchtrennen und Crackeinheit
CN102489628B (zh) * 2011-12-12 2013-12-11 镇江希西维轴承有限公司 一种轴承外圈自动冲压油槽及卸料装置
CN105171678B (zh) * 2015-10-15 2017-01-18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发动机轴承盖的拉拔工具
GB2546506B (en) * 2016-01-19 2018-09-26 Ford Global Tech Llc Method of manipulating a bearing cap
DE102016123843A1 (de) * 2016-12-08 2018-06-14 Alfing Kessler Sondermaschinen Gmbh Bruchtrennvorrichtung und Bruchtrennverfahren zum Bruchtrennen eines Werkstücks
DE102018108172A1 (de) 2017-04-06 2018-10-25 Mauser-Werke Oberndorf Maschinenbau Gmbh Crackeinheit und Verfahren zum Bruchtrenne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4267A (en) * 1984-07-02 1987-08-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Split bearing assemblies
DE58906379D1 (de) * 1989-05-10 1994-01-20 Kessler Kg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uchtrennen von Pleueln.
ES2048229T3 (es) * 1989-05-10 1994-03-16 Kessler Kg Maschf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separacion por rotura de bielas articuladas.
DE4037429A1 (de) * 1990-11-14 1992-05-21 Ex Cell O Gmbh Bearbeitungsverfahren- und anlage fuer ein lagerauge aufweisende maschinenteile
JPH05261626A (ja) * 1992-03-18 1993-10-12 Mazda Motor Corp コネクチングロ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137316A (ja) * 1992-10-23 1994-05-17 Toyota Motor Corp 割り軸受の製造方法
US5503317A (en) * 1994-03-31 1996-04-02 Tri-Way Machine Ltd. Apparatus for fracturing connecting rods preforms
DE69517965T2 (de) * 1994-03-25 2001-03-01 Tri Way Machine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uchtrennen von pleueln und dergleichen
DE4413255A1 (de) * 1994-04-16 1995-10-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Bruchtrennen des Lagerdeckels einer mehrteiligen Lageranordnung, insbesondere in Kurbelgehäusen von Brennkraftmaschinen
IT1268130B1 (it) * 1994-10-18 1997-02-20 Vigel Spa Procedimento e macchina per la separazione mediante rottura del cappello di testa delle bielle, particolarmente bielle per motori
JP2900867B2 (ja) * 1995-12-28 1999-06-0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コンロッド分割方法
DE19704131C2 (de) * 1997-02-04 2003-01-02 Ex Cell 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uchtrennen
DE19733433A1 (de) * 1997-08-01 1999-02-18 Kessler Kg Maschf Vorrichtung zum Bruchtrennen von Stange und Deckel eines Pleuels
DE19758583C2 (de) * 1997-08-01 2002-05-08 Kessler Kg Maschf Vorrichtung zum Bruchtrennen eines ringförmigen Bauteils
DE19853307A1 (de) * 1998-11-19 2000-05-2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Bruchtrennen eines drehgesichert gehaltenen Lagerdeckels von einer Lageranordnung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Antriebsstrang-Bauteil für Kfz
DE19918063A1 (de) * 1999-04-21 2000-10-26 Kessler Kg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uchtrennen eines Werkstücks
DE19918067A1 (de) * 1999-04-21 2000-10-26 Kessler Kg Maschf Vorrichtung zum Bruchtrennen eines Werkstücks
DE10013980A1 (de) * 2000-03-21 2001-09-27 Hatz Motor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uchtrennen eines Maschinenbauteils mit Lagerauge
JP3642268B2 (ja) * 2000-08-24 2005-04-27 株式会社安永 コンロッドの破断装置
US6782609B1 (en) * 2002-08-12 2004-08-31 Unova Ip Corp. Connecting rod crack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2741A1 (en) 2004-11-18
CA2522741C (en) 2010-12-14
CN1784284A (zh) 2006-06-07
ES2286623T3 (es) 2007-12-01
WO2004098823A1 (de) 2004-11-18
JP2006525126A (ja) 2006-11-09
JP4476997B2 (ja) 2010-06-09
MXPA05011781A (es) 2006-01-26
ATE363356T1 (de) 2007-06-15
EP1620220B1 (de) 2007-05-30
US8490848B2 (en) 2013-07-23
BRPI0410089A (pt) 2006-05-16
DE10320372A1 (de) 2004-12-16
KR100971072B1 (ko) 2010-07-20
EP1620220A1 (de) 2006-02-01
US20060248724A1 (en) 2006-11-09
US20120060340A1 (en) 2012-03-15
DE502004003970D1 (de) 2007-07-12
CN100371115C (zh)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94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ing up mandrel exit holes in knuckle structures
US84908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breaking separation of bearing caps
KR20010022535A (ko) 커넥팅 로드를 로드 및 캡으로 균열 분할하기 위한 장치
KR100965453B1 (ko)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KR0173463B1 (ko) 작동 실린더 및 압축링 설치방법
JP2002220072A (ja) リング装着方法およびそのリング装着治具
EP1743741B1 (en) Locking vise for pipes
US6609643B1 (en) Dual clamping arrangement for connecting rod fracturing machine
US7497106B2 (en) Crimping apparatus with a support structure including first and second portions
JP3947618B2 (ja)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の加工方法
JP4382605B2 (ja) コンロッド分割装置の分割用治具
US200501160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ving a machine component having a bearing eye
KR100670236B1 (ko) 압연강판용 권취릴
KR200381183Y1 (ko) 압연강판용 권취릴
KR100711792B1 (ko) 디바이딩 시어의 직도 나이프 교체 장치
JP2019063922A (ja) プーリ抜取装置
WO2021024891A1 (ja)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の破断装置、破断方法並びに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の製造方法
DE202016104224U1 (de) Reibschweißmaschine
WO2021024892A1 (ja)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の破断装置、破断方法並びに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の製造方法
FI95167B (fi) Käyttösylinteri
US5645385A (en) Cam Actuated clamping tool
WO2007093896A1 (en) Crimping apparatus and methods of crimping with retainers
CN1784552A (zh) 单面紧固件及其从工件上拆除的方法
JPS61111797A (ja) 溶接継手部の目違い修正装置
JP2011127661A (ja) コンロッド破断分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