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183Y1 - 압연강판용 권취릴 - Google Patents

압연강판용 권취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183Y1
KR200381183Y1 KR20-2005-0000818U KR20050000818U KR200381183Y1 KR 200381183 Y1 KR200381183 Y1 KR 200381183Y1 KR 20050000818 U KR20050000818 U KR 20050000818U KR 200381183 Y1 KR200381183 Y1 KR 200381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egment
rolled steel
steel plat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원테크
Priority to KR20-2005-0000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2Tongs or gripp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eling operations
    • B21C47/323Slits or pinces on the cylindrical wall of a reel or bobbin, adapted to grip the end of the material being w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드릴의 회전력을 통해 압연기로부터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권취시키기 위한 압연강판용 권취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압연강판용 권취릴은, 맨드릴 샤프트의 외주면에 분할된 시그먼트가 설치 고정된 압연강판 권취용 맨드릴에 있어서;
권취되는 압연강판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강판체결장치가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한 상기 강판체결장치는 맨드릴 샤프트의 관통홀 내에 장착되는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장착됨과 동시에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핀 고정되며, 시그먼트의 직경 확장시 길이가 신장되면서 강판의 체결력이 커지도록 하는 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타측단에 힌지 고정되며, 압연강판의 체결시 회동하면서 상기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홈으로부터 강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판체결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고정되는 밀폐 지지캡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압연강판용 권취릴에 비해 압연강판의 권취시 작용되는 강판 체결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향상된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력을 통해 압연강판을 원활히 권취시킴으로써, 압연강판의 권취작업에 따른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종래 보다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연강판용 권취릴{The winding reel for using a rolled steel plate}
본 고안은 맨드릴의 회전력을 통해 압연기로부터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권취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드릴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된 시그먼트의 일단면으로부터 외주면의 강판 체결홈까지 연통되게 강판체결장치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압연강판용 권취릴에 비해 압연강판의 권취시 작용되는 강판 체결력을 향상시켜 상기 권취릴의 시그먼트 외주면 상에 압연강판이 원활히 권취될 수 있도록 한 압연강판용 권취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기로부터 배출되는 냉간용 압연강판을 권취하기 위하여 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축방향으로 수평 왕복운동하는 맨드릴 샤프트의 경사부와 대응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시그먼트 즉, 하나 이상으로 분활됨과 동시에 압연강판의 체결을 위해 그 외주면에 강판 체결홈이 형성된 시그먼트가 설치 고정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시그먼트가 고정된 맨드릴(mandrel)(이하, 압연강판용 권취릴이라 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압연강판용 권취릴(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롤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권취하는 시그먼트(2)와; 상기 시그먼트(2)의 내측에 고정되며, 로터리 실린더(미도시)에 의한 전후 이동으로 압연강판의 체결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시그먼트(2)를 확대/축소시키는 맨드릴 샤프트(6)와; 상기 맨드릴 샤프트(6)의 타측단과 연결되며, 실린더(미도시) 내 피스톤(미도시)의 왕복이송운동을 통해 맨드릴 샤프트(6)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로터리 실린더와; 상기 맨드릴 샤프트(6)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5)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시그먼트(2)의 경우 압연강판의 체결 또는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로터리 실린더에 의한 맨드릴 샤프트(6)의 전후 이동으로 시그먼트(2)의 직경이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분활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상기 시그먼트(2)의 내측은 시그먼트(2) 확대를 위한 맨드릴 샤프트(6)의 전방 이동시 맨드릴 샤프트(6)의 각 쐐기부(7)와 대응되는 동일각도의 내측 경사부(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그먼트(2)의 내측 경사부(3)에는 맨드릴 샤프트(6)의 쐐기부(7)에 나사 고정된 가이드 키(key)(8)의 슬라이딩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키(8)와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4)이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할된 시그먼트(2) 중 하나의 시그먼트(2) 외주면에는 압연롤러로부터 배출된 압연강판을 맨드릴 즉, 압연강판용 권취릴(1)에 권취시키기 위한 강판 체결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강판 체결부(5)에는 절개홈(11) 상하부에 톱니형태의 그립(12)이 형성된 그립부재(10)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맨드릴 샤프트(6)의 경우 로터리 실린더에 의해 시그먼트(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시그먼트(2)의 내측 경사부(3)와의 대응작용을 통해 시그먼트(2)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상기 시그먼트(2)에 고정된 그립부재(10)에 압연강판이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시그먼트(2)가 고정되는 일측단이 3단 형태의 쐐기부(7)가 형성되고, 상기 맨드릴 샤프트(6)의 각 쐐기부(7)에는 맨드릴 샤프트(6)의 전후 이동에 따라 시그먼트(2) 내측 경사부(3)의 슬라이딩 홈(4)을 이동하면서 시그먼트(2)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가이드 키(8)가 각각 나사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연강판용 권취릴(1)을 이용해 압연강판의 권취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압연롤러로부터 배출된 압연강판을 상기 압연강판용 권취릴(1)에 권취시키기 위하여 로터리 실린더를 통해 맨드릴 샤프트(6)를 후방(後方)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그먼트(2)의 강판 체결부(5)에 나사 고정된 그립부재(10)에 압연강판을 삽입한 후 상기 로터리 실린더를 통해 맨드릴 샤프트(6)를 전방(前方)으로 이동시켜 상기 맨드릴 샤프트(6)와 시그먼트(2)간의 대응작용을 통해 시그먼트(2)의 직경을 확대시킨 다음 상기 시그먼트(2)가 고정된 맨드릴 샤프트(6)를 일방향으로 감속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시그먼트(2)의 그립부재(10)에 삽입된 압연강판이 맨드릴 샤프트(6)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확대된 시그먼트(2)의 외주면으로 감기게 되고, 상기와 같이 시그먼트(2)의 외주면에 감기는 압연강판에는 상기 확대된 시그먼트(2)로부터 텐션력이 작용되게 된다.
하지만, 종래 압연강판용 권취릴(1)의 구성요소 중 시그먼트(2)의 외주면에 압연강판이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압연강판을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10) 즉, 시그먼트(2)의 강판 체결부(5)에 나사 고정된 그립부재(10) 자체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절개홈(11)의 상하부에 톱니형태의 그립(12)이 형성된 고정상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확대된 시그먼트(2)의 외주면으로 압연강판이 감길 때 상기 시그먼트(2)로부터 압연강판을 잡아 당기는 텐션력이 상기 그립부재(10)의 강판 체결력 보다 클 경우 상기 압연강판의 권취과정에서 상기 그립부재(10)로부터 압연강판이 분리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그립부재(10)의 경우 도 2의 상세도와 같이 절개홈(11)의 상하부에 톱니형태의 그립(12)이 형성된 고정상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그립부재(10)의 절개홈(11) 크기 보다 두꺼운 압연강판을 권취시킬 경우 상기 그립부재(10)를 시그먼트(2)의 강판 체결부(5)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압연강판의 두께에 맞는 그립부재(10)를 상기 강판 체결부(5)에 나사 고정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압연강판 권취용 맨드릴의 구성요소 중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된 시그먼트의 일단면으로부터 외주면의 강판 체결홈까지 연통되게 강판체결장치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압연강판용 권취릴에 비해 압연강판의 권취시 작용되는 강판 체결력을 향상시켜 상기 권취릴의 시그먼트 외주면 상에 압연강판을 원활히 권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강판체결장치를 통해 종래 발생되었던 문제점 즉, 압연강판용 권취릴에 의한 압연강판 권취시 시그먼트 외주면에 형성된 강판 체결홈으로부터 압연강판이 분리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상기 시그먼트 외주면 상에 압연강판의 권취작업에 따른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압연강판용 권취릴은, 맨드릴 샤프트의 외주면에 분할된 시그먼트가 설치 고정된 압연강판 권취용 맨드릴에 있어서;
권취되는 압연강판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강판체결장치가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시그먼트 일단면이 위치되는 맨드릴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시그먼트의 직경 확장시 대응되어 그 길이가 가변되는 강판체결장치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강판체결장치는 시그먼트의 일단면으로부터 외주면에 형성된 강판 체결홈까지 연결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강판체결장치는 맨드릴 샤프트의 관통홀 내에 장착되는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장착됨과 동시에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핀 고정되며, 시그먼트의 직경 확장시 길이가 신장되면서 강판의 체결력이 커지도록 하는 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타측단에 힌지 고정되며, 압연강판의 체결시 회동하면서 상기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홈으로부터 강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판체결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고정되는 밀폐 지지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일측단에는 로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재가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 외주면에는 권취된 압연강판롤의 분리를 위한 시그먼트의 직경 수축시 신장된 로드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디스크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의 일단엔 숫나사가 형성됨과 아울러, 시그먼트의 직경 확대시 신장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너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의 일단은 조절너트에 의한 신장길이가 조절되도록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핀 고정되는 콘넥터와 체결되고, 상기 로드의 타단은 탄성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시그먼트의 직경 확대시 탄성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지지대가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강판 체결홈의 일측에는 압연강판의 권취를 위한 체결시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홈과 대응작용을 통해 강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강판 체결홈의 타측에는 체결부재와 대응되어 압연강판에 체결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는 삼각의 쐐기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쐐기형태의 경사부에는 체결부재와 대응되어 강판을 고정하기 위한 톱니형태의 그립(grip)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는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홈 내에 설치되며, 링크부재와의 체결을 위해 일단의 외주면에 스프라켓이 형성된 그립 샤프트와; 상기 그립 샤프트의 외주면 일측에 나사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그립과 대응되어 강판을 체결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그립 샤프트의 스프라켓과 결합됨과 동시에 실린더의 타측단에 힌지 고정되어 시그먼트의 직경 확장에 따른 강판의 체결력을 그립 샤프트에 전달하는 링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 샤프트의 외주면 일측에는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홈 길이 보다 긴 수평면을 갖으며, 상기 수평면에는 강판 체결홈의 타측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결합부재가 나사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재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는 삼각의 쐐기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중앙에 그립 샤프트의 수평면과 나사 고정을 위한 나사 고정홀이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그립 샤프트의 스프라켓과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실린더의 타측단과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 결합부에는 그립 샤프트의 스프라켓과 결합을 위한 내측 스프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결합부는 실린더의 타측단과 힌지 결합을 위해 관통홀이 형성된 요(凹)부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 지지캡의 내측에는 강판체결장치의 실린더와 결합되면서 시그먼트의 직경 확장시 로드와 함께 신장되는 실린더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압연강판용 권취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압연강판용 권취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압연강판용 권취릴의 측면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압연강판용 권취릴(100)에 적용된 강판체결장치(1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이 적용된 압연강판용 권취릴(100)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이는 전체적으로는 종래의 압연강판용 권취릴(1)과 동일한 구조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롤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압연강판을 권취하는 시그먼트(102)와; 상기 시그먼트(102)의 내측에 고정되며, 로터리 실린더(미도시)에 의한 전후 이동으로 압연강판의 체결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시그먼트(102)를 확대/축소시키는 맨드릴 샤프트(106)와;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의 타측단과 연결되며, 실린더(미도시) 내 피스톤(미도시)의 왕복이송운동을 통해 맨드릴 샤프트(106)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로터리 실린더와;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5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시그먼트(102)의 경우 종래 시그먼트(2)와 동일한 구조로서, 압연강판의 체결 또는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로터리 실린더에 의한 맨드릴 샤프트(106)의 전후 이동으로 시그먼트(102)의 직경이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분활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개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시그먼트(102) 내측의 경우 시그먼트(102) 확대를 위한 맨드릴 샤프트(106)의 전방 이동시 맨드릴 샤프트(106)의 각 쐐기부(107)와 대응되는 동일각도의 내측 경사부(10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그먼트(102)의 내측 경사부(103)에는 맨드릴 샤프트(106)의 전방 이동에 따른 가이드 키(key)(109) 즉,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의 쐐기부(107)에 나사 고정된 가이드 키(109)의 슬라이딩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키(109)와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104)이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4개소의 시그먼트(102) 중 하나의 시그먼트(102) 외주면에는 압연롤러로부터 배출된 압연강판을 맨드릴 즉, 압연강판용 권취릴(100)에 권취시키기 위한 강판 체결홈(10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강판 체결홈(105)의 경우 압연강판의 체결을 위한 맨드릴 샤프트(106)의 전방 이동시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의 쐐기부(107)와 시그먼트(102)간의 대응작용을 통해 상기 시그먼트(102)의 직경이 확대됨에 따라 그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압연강판을 조이게 되는 등, 상기 강판 체결홈(105) 내에 압연강판이 체결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종래 맨드릴 샤프트(6)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는 로터리 실린더에 의해 시그먼트(10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시그먼트(102)의 내측 경사부(103)와의 대응작용을 통해 시그먼트(102)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상기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에 압연강판이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로서,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 중 시그먼트(102)가 고정되는 일측단의 경우 상기 시그먼트(102)의 내측 경사부(103)와 대응되도록 쐐기부(107)가 3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의 각 쐐기부(107)에는 시그먼트(102)의 내측 경사부(103)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04)에 결합되어 맨드릴 샤프트(106)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홈(104)을 이동하면서 시그먼트(102)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가이드 키(109)가 각각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와 각 시그먼트(102) 사이 즉, 맨드릴 샤프트(106)의 각 쐐기부(107)와 상기 쐐기부(107)에 나사 고정된 가이드 키(109) 사이에는 맨드릴 샤프트(106)의 축방향 이송에 따른 시그먼트(102)의 직경 확장시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에 의해 시그먼트(102)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탄성부재(1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 실린더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에 압연강판을 체결하거나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를 시그먼트(10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시그먼트(102)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역할로서,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의 일단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한 로터리 실린더의 경우 맨드릴 즉, 압연강판용 권취릴(100)에 설치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연강판용 권취릴(100)에 권취되는 압연강판의 체결력 즉, 압연강판용 권취릴(100)의 구성요소 중 시그먼트(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강판 체결홈(105)의 강판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시그먼트(102)의 일단면에 본 고안의 강판체결장치(120)를 설치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강판체결장치(1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강판체결장치 중 실린더의 단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강판체결장치 중 로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강판체결장치 중 체결부재의 결합 사시도 및 단면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강판체결장치 중 밀폐 지지캡의 좌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강판체결장치(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그먼트(102)의 외주면에 권취를 위한 압연강판의 체결력 즉, 상기 시그먼트(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강판 체결홈(105)의 강판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시그먼트(102)의 일단면에 설치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강판체결장치(120)의 경우 상기 시그먼트(102)의 일단면으로부터 외주면에 형성된 강판 체결홈(105)까지 연결 설치되게 되는데, 특히 상기 강판 체결홈(105)의 일측에는 압연강판의 권취를 위한 체결시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과 대응작용을 통해 강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강판체결장치(120)의 구성요소인 체결부재(132)가 설치되고, 상기 강판 체결홈(105)의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재(132)와 대응되어 압연강판에 체결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11)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111)는 전체형상이 삼각의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쐐기형태의 경사부(112)에는 체결부재(132) 즉, 체결부재(132)의 구성요소 중 결합부재(137)와 대응되어 강판을 고정하기 위한 톱니형태의 그립(grip)(113)이 형성되어 있다(도 7참조).
또한, 상기 시그먼트(102) 일단면이 위치되는 맨드릴 샤프트(106)의 외주면에는 시그먼트(102)의 직경 확장시 대응되어 그 길이가 가변되는 강판체결장치(120)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10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강판체결장치(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드릴 샤프트(106)의 관통홀(108) 내에 장착되는 중공의 실린더(121)와; 상기 실린더(121) 내에 장착됨과 동시에 시그먼트(102)의 일단면에 핀(131) 고정되며, 시그먼트(102)의 직경 확장시 길이가 신장되면서 강판의 체결력이 커지도록 하는 로드(126)와; 상기 실린더(121)의 타측단에 힌지(124) 고정되며, 압연강판의 체결시 회동하면서 상기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으로부터 강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체결부재(132)와;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판체결장치(1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시그먼트(102)의 일단면에 고정되는 밀폐 지지캡(14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강판체결장치(120)의 구성요소 중 실린더(1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형상이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일측단엔 실린더(121) 내에 삽입된 로드(126)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재(125)가 고정되어 있고, 타측단엔 체결부재(132) 중 링크부재(139)의 요(凹)부와 힌지(124)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관통홀(123)이 형성된 링크부재 결합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실린더(121)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132) 중 링크부재(139)의 요(凹)부와 실린더(121)의 타측단이 힌지(124)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로드(126)와 결합된 상태로 맨드릴 샤프트(106)의 관통홀(108) 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126)는 실린더(121) 내에 장착됨과 동시에 시그먼트(102)의 일단면에 고정되어 상기 시그먼트(102)의 직경 확장시 실린더(121)로부터 길이가 신장되면서 강판의 체결력이 커지도록 하는 역할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형상이 원통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일단엔 숫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시그먼트(102)의 직경 확대시 실린더(121)로부터 신장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너트(127)가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숫나사가 형성된 로드(126)의 일단은 조절너트(127)에 의한 신장길이가 조절되도록 시그먼트(102)의 일단면에 핀(131) 고정되는 콘넥터(130)와 체결되게 되고, 상기 로드(126)의 타단은 탄성부재(129)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시그먼트(102)의 직경 확대시 탄성부재(129)를 가압하기 위한 지지대(128)가 설치 고정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로드(126) 외주면에는 시그먼트(102)에 권취된 압연강판롤의 분리를 위한 상기 시그먼트(102)의 직경 수축시 신장된 로드(126)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29)가 설치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탄성부재(129)는 디스크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32)는 실린더(121)의 타측단에 힌지(124) 고정되어 압연강판의 체결시 힌지(124)축을 기점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으로부터 강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 내에 설치되며, 링크부재(139)와의 체결을 위해 일단의 외주면에 스프라켓(134)이 형성된 그립 샤프트(133)와; 상기 그립 샤프트(133)의 외주면 일측에 나사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111)의 그립(113)과 대응되어 강판을 체결하는 결합부재(137)와; 상기 그립 샤프트(133)의 스프라켓(134)과 결합됨과 동시에 실린더(121)의 타측단에 힌지(124) 고정되어 시그먼트(102)의 직경 확장에 따른 강판의 체결력을 그립 샤프트(133)에 전달하는 링크부재(139)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132)의 구성요소 중 그립 샤프트(133)는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 내에 설치되도록 그 일단의 외주면에 링크부재(139)와의 체결을 위한 스프라켓(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립 샤프트(133)의 외주면 일측에는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 길이 보다 긴 수평면(13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수평면(135)에는 강판 체결홈(105)의 타측에 설치된 고정부재(111)와 대응되는 결합부재(137)가 나사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재 삽입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32)의 구성요소 중 결합부재(137)는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 타측에 설치된 고정부재(111)의 그립(113)과 대응되어 상기 강판 체결홈(105)에 삽입된 압연강판을 체결 고정하는 역할로서, 전체형상이 삼각의 쐐기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중앙에 그립 샤프트(133)의 수평면(135)과 나사 고정을 위한 나사 고정홀(138)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32)의 구성요소 중 링크부재(139)는 그립 샤프트(133)의 스프라켓(134)과 결합됨과 동시에 실린더(121)의 타측단에 힌지(124) 고정되어 시그먼트(102)의 직경 확장에 따른 강판의 체결력을 그립 샤프트(133)에 전달하는 역할로서, 상기 그립 샤프트(133)의 스프라켓(134)과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140)와, 상기 실린더(121)의 타측단과 힌지(124) 결합되는 실린더 결합부(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중 상기 샤프트 결합부(140)에는 그립 샤프트(133)의 스프라켓(134)과 결합을 위한 내측 스프라켓(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결합부(142)는 실린더(121)의 타측단과 힌지(124)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요(凹)부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요(凹)부 형태의 실린더 결합부(142) 양측에는 힌지(124)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관통홀(1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강판체결장치(120)의 구성요소인 밀폐 지지캡(145)은 시그먼트(102)의 일단면에 고정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판체결장치(120)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맨드릴 샤프트(106) 즉, 본 고안의 강판체결장치(120)가 삽입 장착되도록 관통홀(108)이 형성된 맨드릴 샤프트(106)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홀(146)이 형성된 원통캡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 지지캡(145)의 내측에는 강판체결장치(120)의 실린더(121)와 결합되면서 시그먼트(102)의 직경 확장시 로드(126)와 함께 신장되는 실린더(121)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147)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적용된 압연강판용 권취릴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압연강판용 권취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압연강판용 권취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강판체결장치(120)가 설치된 압연강판용 권취릴(100)에 압연롤러로부터 배출된 압연강판을 권취시키기 위하여 먼저,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실린더에 의한 맨드릴 샤프트(106)를 후방(後方)으로 이동시켜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의 쐐기부(107)에 나사 고정된 시그먼트(102)의 전체적인 직경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연강판을 시그먼트(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강판 체결홈(105)에 삽입시킨 다음, 상기와 같이 삽입된 압연강판을 강판 체결홈(105)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로터리 실린더를 통해 맨드릴 샤프트(106)를 전방(前方)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 실린더의 가압작용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맨드릴 샤프트(106) 즉,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의 쐐기부(107)와 함께 가이드 키(109)부가 슬라이딩 홈(104)이 형성된 시그먼트(102)의 내측 경사부(103)를 슬라이딩하는 대응작용을 통해 상기 시그먼트(102)의 직경이 확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맨드릴 샤프트(106)와 시그먼트(102)간의 대응작용을 통해 상기 시그먼트(102)의 직경이 확대되게 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그먼트(102)의 일단면에 설치된 강판체결장치(120) 중 로드(126)의 외주면에 설치된 탄성부재(129)가 상기 로드(126)의 타단에 고정된 지지대(128)에 의해 가압되면서 맨드릴 샤프트(106)를 관통하여 설치된 실린더(121)로부터 로드(126)의 길이가 신장되는 등, 상기 강판체결장치(120)의 전체 길이가 신장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121)의 타측단에 힌지(124) 결합된 링크부재(139) 즉, 체결부재(132)의 구성요소인 링크부재(139)가 힌지(124)축을 기점으로 회동하면서 상호 스프라켓(134)(141)간 결합을 통해 체결된 그립 샤프트(133)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링크부재(139)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그립 샤프트(13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그립 샤프트(133)의 수평면(135)에 나사 고정된 결합부재(137) 즉, 삼각의 쐐기형태로 형성된 결합부재(137) 역시 회전하면서 상기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 타측에 고정된 고정부재(111)의 그립(113)과 대응작용을 통해 상기 강판 체결홈(105)에 삽입된 압연강판을 조이게 되면서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이 후, 구동모터로부터 감속기어(미도시)를 통해 감속된 회전력으로 시그먼트(102)가 고정된 멘트릴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시그먼트(102)의 강판 체결홈(105)에 고정된 압연강판이 상기 시그먼트(102)의 외주면에 권취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시그먼트(102) 외주면에 압연강판의 권취작용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로터리 실린더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시켰던 맨드릴 샤프트(106) 즉, 상기 로터리 실린더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시그먼트(102)의 직경이 확대되도록 가압하였던 맨드릴 샤프트(106)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맨드릴 샤프트(106)의 쐐기부(107)에 의해 확대되었던 시그먼트(102)의 직경이 축소됨과 동시에, 상기 시그먼트(102)의 일단면에 설치되어 시그먼트(102) 직경의 확대에 따라 전체길이가 신장되었던 강판체결장치(120) 즉, 로드(126) 타단의 지지대(128)에 의해 가압되었던 탄성부재(129)가 원위치로 탄성복원되면서 실린더(121) 내부로 로드(126)가 압입되게 되는 등 상기 강판체결장치(120)의 전체 길이 역시 감소하게 되고, 이에 상기 압연강판을 고정하고 있던 강판 체결홈(105)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직경이 축소된 시그먼트(102)의 외주면으로부터 압연강판롤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압연강판용 권취릴은, 압연강판 권취용 맨드릴의 구성요소 중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된 시그먼트의 일단면으로부터 외주면의 강판 체결홈까지 연통되게 강판체결장치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압연강판용 권취릴에 비해 압연강판의 권취시 작용되는 강판 체결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향상된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력을 통해 압연강판이 상기 시그먼트의 외주면 상에 원활히 권취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강판체결장치를 통해 종래 발생되었던 문제점 즉, 압연강판용 권취릴에 의한 압연강판 권취시 시그먼트 외주면에 형성된 강판 체결홈으로부터 압연강판이 분리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상기 시그먼트 외주면 상에 압연강판의 권취작업에 따른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압연강판용 권취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압연강판용 권취릴의 측면도 및 세부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압연강판용 권취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압연강판용 권취릴의 측면도 및 세부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강판체결장치 중 실린더의 단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강판체결장치 중 로드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강판체결장치 중 체결부재의 결합 사시도 및 단면 상세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강판체결장치 중 밀폐 지지캡의 좌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압연강판용 권취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압연강판용 권취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0. 압연강판용 권취릴 2, 102. 시그먼트
3, 103. 내측 경사부 4, 104. 슬라이딩 홈
5. 강판 체결부 6, 106. 맨드릴 샤프트
7, 107. 쐐기부 8, 109. 가이드 키
10. 그립부재 12. 그립
15, 150. 감속기 105. 강판 체결홈
110. 탄성부재 111. 고정부재
112. 경사부 113. 그립
120. 강판체결장치 121. 실린더
122. 링크부재 결합부 124. 힌지
125. 덮개부재 126. 로드
127. 조절너트 128. 지지대
129. 탄성부재 130. 콘넥터
132. 체결부재 133. 그립 샤프트
134. 스프라켓 135. 수평면
136. 결합부재 삽입홈 137. 결합부재
139. 링크부재 140. 샤프트 결합부
141. 내측 스프라켓 142. 실린더 결합부
145. 밀폐 지지캡 147. 가이드부

Claims (15)

  1. 맨드릴 샤프트의 외주면에 분할된 시그먼트가 설치 고정된 압연강판 권취용 맨드릴에 있어서;
    권취되는 압연강판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강판체결장치가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먼트 일단면이 위치되는 맨드릴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시그먼트의 직경 확장시 대응되어 그 길이가 가변되는 강판체결장치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체결장치는 시그먼트의 일단면으로부터 외주면에 형성된 강판 체결홈까지 연결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체결장치는 맨드릴 샤프트의 관통홀 내에 장착되는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장착됨과 동시에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핀 고정되며, 시그먼트의 직경 확장시 길이가 신장되면서 강판의 체결력이 커지도록 하는 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타측단에 힌지 고정되며, 압연강판의 체결시 회동하면서 상기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홈으로부터 강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외부 충격으로부터 강판체결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고정되는 밀폐 지지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일측단에는 로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재가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외주면에는 권취된 압연강판롤의 분리를 위한 시그먼트의 직경 수축시 신장된 로드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디스크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단엔 숫나사가 형성됨과 아울러, 시그먼트의 직경 확대시 신장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단은 조절너트에 의한 신장길이가 조절되도록 시그먼트의 일단면에 핀 고정되는 콘넥터와 체결되고, 상기 로드의 타단은 탄성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시그먼트의 직경 확대시 탄성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지지대가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체결홈의 일측에는 압연강판의 권취를 위한 체결시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홈과 대응작용을 통해 강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강판 체결홈의 타측에는 체결부재와 대응되어 압연강판에 체결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삼각의 쐐기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쐐기형태의 경사부에는 체결부재와 대응되어 강판을 고정하기 위한 톱니형태의 그립(grip)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홈 내에 설치되며, 링크부재와의 체결을 위해 일단의 외주면에 스프라켓이 형성된 그립 샤프트와;
    상기 그립 샤프트의 외주면 일측에 나사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그립과 대응되어 강판을 체결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그립 샤프트의 스프라켓과 결합됨과 동시에 실린더의 타측단에 힌지 고정되어 시그먼트의 직경 확장에 따른 강판의 체결력을 그립 샤프트에 전달하는 링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샤프트의 외주면 일측에는 시그먼트의 강판 체결홈 길이 보다 긴 수평면을 갖으며, 상기 수평면에는 강판 체결홈의 타측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대응되는 결합부재가 나사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재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삼각의 쐐기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중앙에 그립 샤프트의 수평면과 나사 고정을 위한 나사 고정홀이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그립 샤프트의 스프라켓과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실린더의 타측단과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 결합부에는 그립 샤프트의 스프라켓과 결합을 위한 내측 스프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결합부는 실린더의 타측단과 힌지 결합을 위해 관통홀이 형성된 요(凹)부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지지캡의 내측에는 강판체결장치의 실린더와 결합되면서 시그먼트의 직경 확장시 로드와 함께 신장되는 실린더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강판용 권취릴.
KR20-2005-0000818U 2005-01-11 2005-01-11 압연강판용 권취릴 KR200381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818U KR200381183Y1 (ko) 2005-01-11 2005-01-11 압연강판용 권취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818U KR200381183Y1 (ko) 2005-01-11 2005-01-11 압연강판용 권취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817A Division KR100670236B1 (ko) 2006-01-19 2006-01-19 압연강판용 권취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183Y1 true KR200381183Y1 (ko) 2005-04-07

Family

ID=4368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818U KR200381183Y1 (ko) 2005-01-11 2005-01-11 압연강판용 권취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1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7888A (zh) * 2017-09-25 2017-12-22 浙江金康铜业有限公司 一种钢卷冷轧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7888A (zh) * 2017-09-25 2017-12-22 浙江金康铜业有限公司 一种钢卷冷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419B2 (en) Element of fastening accessories to metal windows and doors
US5096327A (en) Clamp collar assembly
KR100855102B1 (ko) 테잎 고정 기구
US5538379A (en) Mechanical tensioner for and method of elongating and relaxing a stud and the like
KR200381183Y1 (ko) 압연강판용 권취릴
KR100670236B1 (ko) 압연강판용 권취릴
US10914344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 bearing on a roll neck and for removing the bearing from the roll neck
JP4879714B2 (ja) 防護管挿入機
US6517031B2 (en) Method of supporting a hose on a cable stopper of a bicycle
KR100864282B1 (ko) 압연강판의 권취릴용 그립장치
KR200489253Y1 (ko)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KR100971072B1 (ko) 베어링 캡 강제분리방법 및 그 장치
JP7433069B2 (ja) C型止め輪取付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c型止め輪の取付方法
US20070283825A1 (en) Roller drive end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JP2000130061A (ja) 土壌掘削を行うための小型掘削リグ
JP4403526B2 (ja) 巻芯支持軸
US20010006025A1 (en) Cylinder in equipment for producing printing plates
JP3921473B2 (ja) 印刷機のブランケット装着装置及びブランケットの装着方法
KR100490761B1 (ko) 직기의 레노 셀비지 형성장치
CN220297002U (zh) 拉拔装置
KR100797979B1 (ko) 압연강판용 권취릴
JPH10310375A (ja) ウインチ用ワイヤロープの張力付与装置
CN220101863U (zh) 一种拖缆绞车弹簧纠偏结构及制动装置
KR100507169B1 (ko) 브라켓 고정구조
JPH1034876A (ja) 印刷機の回転胴軸受け部の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