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53Y1 -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53Y1
KR200489253Y1 KR2020180000301U KR20180000301U KR200489253Y1 KR 200489253 Y1 KR200489253 Y1 KR 200489253Y1 KR 2020180000301 U KR2020180000301 U KR 2020180000301U KR 20180000301 U KR20180000301 U KR 20180000301U KR 200489253 Y1 KR200489253 Y1 KR 200489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afety net
retractor
fixtu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선아
Original Assignee
한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선아 filed Critical 한선아
Priority to KR2020180000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등의 시공현장 개구부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공구 등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추락방지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표면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는 밴드와, 밴드의 일측 가장자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 연장부 및 밴드 연장부 반대측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구 밴드와, 밴드 연장부와 고정구 밴드 사이의 밴드 표면에 부착된 견인기 밴드와, 견인기 밴드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견인기와, 개구부의 벽면에 체결재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되,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축에 고정구 밴드 또는 밴드 연장부가 각각 연결되는 고정구와, 밴드 연장부와 연결되는 고정축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가 끼워져, 슬리브 표면에 감아져 방향이 전환된 밴드 연장부를 견인기에 끼워 견인할 때 슬리브가 회전하면서 고정구와 밴드 연장부 사이의 접촉부에 발생하는 마찰이 제거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Safety Net for Openings with Improved Ease of Installation}
본 고안은 건축물 등의 시공현장 개구부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공구 등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추락방지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표면에 2개 이상의 밴드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고, 양측 밴드 가장자리 바깥쪽으로 각각 밴드 연장부와 고정구 밴드가 형성되며, 견인기 밴드를 통해 밴드 연장부와 고정구 밴드 사이의 밴드 표면에 연결되는 견인기로 구성되는 추락방지 안전망에서, 개구부의 벽면에 체결재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되, 밴드 연장부 또는 고정구 밴드와 각각 연결되는 고정축이 고정구 내측에 형성되고, 밴드 연장부가 연결되는 고정축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가 끼워져, 슬리브 표면에 감아져 방향이 전환된 밴드 연장부를 견인기에 끼워 견인할 때 슬리브가 회전하면서 고정구와 밴드 연장부의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이 제거되어 밴드 연장부를 쉽게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현장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작업자나 연장이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에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여러 종류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중에서 무게가 가벼워서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과정 중 일시적으로 개구부에 설치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해제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분해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어 주로 추락방지용 안전망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추락방지용 안전망은 PVC 코팅망 및 PP망 재질로 된 그물에 2개 이상의 밴드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고, 밴드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밴드 가강자리 외부로 밴드가 연장된 밴드 연장부 및 고정구 밴드가 형성되는데, 고정구 밴드는 고정구에 연결되어 개구부 일측 벽면에 고정되고, 밴드 연장부는 견인기에 끼워져 고정되어, 견인기를 작동시키면 전망이 팽팽하게 펼쳐지면서 개구부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추락방지용 안전망은 개구부 벽면 내부와 같이 개구부 주변 여유공간이 부족하여 밴드 고정구 및 견인기를 설치 및 고정할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안전망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590호(2013.10.15. 등록)에서는 견인기를 밴드 표면에 부착된 견인기 밴드에 연결하고, 밴드 연장부를 개구부 벽면에 고정설치된 밴드 고정구에 통과시킨 다음 밴드 연장부를 견인기에 끼워 견인 및 고정함으로써, 견인기를 통해 밴드 연장부의 잡아당기는 방향이 안전망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개구부 주변의 여유공간이 부족한 시공현장에서도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추락방망 설치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나, 상기 제안된 추락방망 설치장치는 밴드 연장부와 밴드 고정구의 접촉이 발생하는 밴드 고정구의 모서리 부위에서 밴드 연장부가 급격하게 구부러지면서 발생하는 강한 마찰에 의해 견인기 작동시 밴드 연장부가 쉽게 당겨지지 않아 안전망을 팽팽하게 펼치는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590호 (2013.10.15. 등록)
본 고안의 실시 예는 개구부에 안전망을 설치할 때 견인기를 통해 밴드 연장부를 잡아당겨 안전망을 팽팽하게 펼치는 과정에서 고정구와 밴드 연장부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밴드 고정구를 제공하되, 밴드 고정구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개구부와 안전망의 밴드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최소화하여, 개구부와 안전망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구 등이 추락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안전망 설치과정에서 안전망을 팽팽하게 펼칠 때, 밴드 연장부가 양측면에서 동시에 당겨지도록 하여 더욱 쉽고 빠른 안전망 설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안전망 설치과정에서 안전망을 팽팽하게 펼칠 때,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안전망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개구부 중간부분의 안전망이 늘어져 개구부와 안전망 사이의 틈새가 커지는 것의 방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과; 안전망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표면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는 2개 이상의 밴드와; 밴드가 안전망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일측 가장자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 연장부와; 밴드 연장부 반대측 방향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밴드 가장자리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된 고정구 밴드와; 밴드 연장부와 고정구 밴드 사이의 밴드 표면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착된 견인기 밴드와; 개구부의 벽면에 체결재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고, 내측으로 고정축이 형성되어 고정축에 고정구 밴드 또는 밴드 연장부가 각각 연결되되, 밴드 연장부와 연결되는 고정축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가 끼워지며, 슬리브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밴드 연장부가 견인되면 슬리브의 회전이 발생하는 고정구와; 견인기 밴드에 연결되어 고정되되, 밴드 연장부를 견인 및 고정하여 밴드 연장부에 연결된 안전망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견인기;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 연장부는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의 일측면으로 각각 형성되고, 고정구 밴드는 밴드 연장부 반대측면의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밴드 연장부와 고정구 밴드 사이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 표면에 부착된 견인기 밴드에는 견인기가 연결되어 고정되되, 밴드 연장부와 연결되는 고정축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가 끼워져 밴드 연장부가 견인되면 슬리브의 회전이 발생하여 안전망이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으로 팽팽하게 펼쳐진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과; 안전망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표면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는 2개 이상의 밴드와; 밴드가 안전망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양측 가장자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 연장부와; 일측 밴드 연장부 끝단을 고리형상으로 구부린 상태로 고정한 견인기 밴드와; 개구부의 벽면에 체결재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고,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축에 밴드 연장부가 연결되되, 고정축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가 끼워지며, 슬리브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밴드 연장부가 견인되면 슬리브의 회전이 발생하는 고정구; 및 견인기 밴드에 연결되어 고정되되, 견인기 밴드가 형성된 반대측의 밴드 연장부를 견인 및 고정하여 양쪽 방향에서 안전망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견인기;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의 가장자리 양측면으로 상기 밴드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고, 개구부의 상하좌우측면에는 원통형 형상의 고정축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가 끼워진 고정구가 장착되며,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양측 수평 및 수직방향의 밴드 연장부가 각각 고정구의 슬리브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안전망 내측을 향하는 상태로 견인기에 의해 견인 및 고정됨으로써, 안전망이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으로 팽팽하게 펼쳐진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과; 안전망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표면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는 2개 이상의 밴드와; 밴드가 안전망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일측 가장자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 연장부와; 밴드 연장부 반대측 방향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밴드 가장자리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된 고정구 밴드와; 밴드 연장부와 고정구 밴드 사이의 밴드 표면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착된 견인기 밴드와; 내측으로 고정축이 형성되어 고정축에 고정구 밴드 또는 밴드 연장부가 각각 연결되되, 밴드 연장부와 연결되는 고정축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가 끼워지며, 슬리브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밴드 연장부가 견인되면 슬리브의 회전이 발생하는 고정구와; 견인기 밴드에 연결되어 고정되되, 밴드 연장부를 견인 및 고정하여 안전망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견인기와; 끝단 일부가 벽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노출된 끝단이 고정구에 형성된 체결재 홀을 통과하는 고정구 볼트; 및 벽면 외부로 노출된 고정구 볼트 끝단에 체결되고,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고정구가 개구부 벽면과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고정구 밴드를 통해 고정구와 연결된 안전망이 팽팽하게 당겨지거나 느슨하게 풀리도록 하는 고정구 너트;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 연장부는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의 가장자리 일측면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밴드는 밴드 연장부 반대측 방향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견인기 밴드는 밴드 연장부와 고정구 밴드 사이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 표면에 각각 형성되되, 고정구 밴드와 견인기 밴드에는 각각 고정구와 견인기가 연결되어, 견인기의 작동 및 고정구 너트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안전망이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에서 팽팽하게 당겨지거나 느슨하게 풀리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망 외곽의 수평 또는 수직 방향 밴드의 바깥쪽으로는 안전망이 확장된 안전망 확장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구의 바디 하부면 중앙에 밴드 연장부 또는 고정구 밴드가 통과하는 밴드홀이 형성되고, 밴드홀의 측면에는 밴드 연장부 또는 고정구 밴드를 개구부 벽면에 밀착시키는 밴드 밀착부가 제1 밴드 고정구의 바디 하부면과 이격되어 단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망은 그물 또는 300mm 이내의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 수평으로 교차하여 배치된 밴드로 이루어진 네트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망 설치과정에서 밴드 연장부를 고정구의 고정축에 반 바퀴 감은 후, 견인기를 통해 밴드 연장부를 잡아당겨 안전망을 팽팽하게 펼칠 때, 고정축이 회전하면서 고정축과 밴드 연장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망을 원활하게 펼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망의 양측에 형성된 밴드 연장부를 개구부 벽면에 고정설치된 고정구에 통과시켜 밴드 연장부가 안전망 내측을 향하도록 한 뒤, 양측 밴드 연장부를 하나의 견인기로 견인하여 고정함으로써, 견인기로 밴드 연장부를 잡아당겨 안전망을 팽팽하게 펼칠 때, 안전망의 양측면이 동시에 당겨지면서 안전망이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구에 형성된 체결재 홀을 개구부 벽면에 끝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고정구 볼트에 끼우고, 고정구 볼트의 노출된 끝단에 고정구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구를 고정구 볼트에 고정한 뒤, 고정구 너트의 조임 또는 풀림을 통해 고정구와 개구부 벽면 사이의 거리를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인기에 의해 고정된 안전망이 느슨해지면서 성능이 저하되거나, 반대로 안전망이 지나치게 팽팽하게 당겨져 연결부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망 외곽의 수평 또는 수직 밴드 바깥쪽으로 안전망이 확장되어 형성된 안전망 확장부를 통해 개구부 벽면과 외곽 밴드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틈새를 통해 공구 등이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통형의 고정축 내축에 중앙부가 빈 원통형의 슬리브가 끼워져 있어, 견인기 작동시 고정축 내축을 중심축으로 슬리브의 회전이 쉽게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밴드 연장부와 고정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되, 마찰을 제거하기 위한 고정구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구를 개구부 벽면 내측에 설치하는 경우 고정구에 형성된 밴드 밀착부가 밴드 연장부 또는 고정구 밴드를 개구부 벽면에 밀착시키면서 안전망과 개구부 벽면 사이의 틈새 크기를 줄임으로써, 틈새를 통해 공구 등이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들에 의한 추락방지 안전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고정축 및 슬리브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망 확장부가 형성된 추락방지 안전망의 하나의 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밴드 밀착부가 형성된 고정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망에 300mm 이내의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 수평으로 교차하여 배치된 밴드로 이루어진 네트가 적용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고정구가 설치되는 개구부 벽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망 확장부에 의한 개구부 틈새를 차단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밴드 밀착부가 형성된 고정구를 통해 개구부 틈새 크기를 감소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기존의 추락방지 안전망의 견인기 및 고정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의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전망(10)의 중앙부 및 가장자리 표면에 2개 이상의 밴드(20)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고, 안전망(10)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일측 가장자리 외부로 밴드(20)가 연장되어 밴드 연장부(21)를 형성하게 되는데, 밴드 연장부(21)가 형성되는 방향은 개구부의 위치·크기·개구부 주변 여유공간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밴드 연장부(21)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한 수평 또는 수직 밴드(20) 가장자리에는 고리형상으로 된 고정구 밴드(30)가 연결되고,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 밴드(30) 사이의 밴드(20) 표면에는 고리형상으로 된 견인기 밴드(40)가 부착된다.
또한, 고정구(50)에 형성된 체결재 홀에 체결재를 통과시켜 고정구(50)를 개구부의 벽면에 고정하여 설치하게 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50) 내측에 형성된 고정축(51)에는 고정구 밴드(30) 또는 밴드 연장부(21)가 각각 연결되는데, 밴드 연장부(21)와 연결되는 고정구(50)의 고정축(51)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51)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52)가 끼워져 고정축(51)을 중심축으로 하여 슬리브(5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밴드 연장부(21)는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지면서 밴드 연장부(21) 끝단이 안전망(10) 내부를 향하게 된다.
또한, 견인기 밴드(40)에는 견인기(60)가 연결되어 고정되는데,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방향을 향하는 밴드 연장부(21)가 견인기(60)에 끼워져 견인 및 고정됨으로써 안전망(10)이 팽팽하게 펼쳐지게 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 연장부(21)가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20) 일측면으로 각각 형성되고, 밴드 연장부(21)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한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20) 가장자리면으로 고정구 밴드(30)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밴드 연장부(21)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구 밴드(30)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50)의 연결시 밴드 연장부(21)가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끝단이 안전망(10) 내부를 향하게 된다.
또한,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 밴드(30) 사이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20) 표면에 부착된 견인기 밴드(40)에는 견인기(60)가 연결되어 고정되는데,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방향을 향하는 밴드 연장부(21)가 견인기(60)에 끼워져 견인 및 고정됨으로써 안전망(10)이 팽팽하게 펼쳐지며, 밴드 연장부(21)와 연결되는 고정구(50)의 고정축(51)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51)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52)가 끼워져 슬리브(52)가 고정축(5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의 구성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전망(10)의 중앙부 및 가장자리 표면에 2개 이상의 밴드(20)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고, 안전망(10)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양측 가장자리 외부로 밴드(20)가 연장되어 밴드 연장부(21)를 형성하게 되는데, 밴드 연장부(21)가 형성되는 방향은 개구부의 위치·크기·개구부 주변 여유공간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고정구(50)에 형성된 체결재 홀에 체결재를 통과시켜 고정구(50)를 개구부의 벽면에 고정하여 설치하게 되고, 고정구(50) 내측에 형성된 고정축(51)에는 밴드 연장부(21)가 연결되는데,
고정축(51)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51)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52)가 끼워져, 슬리브(52)가 고정축(5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밴드 연장부(21)는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지면서 밴드 연장부(21) 끝단이 안전망(10) 내부를 향하게 된다.
이때, 밴드 연장부(21)가 형성되는 방향은 개구부의 위치·크기·개구부 주변 여유공간 등에 따라서 결정되며, 이에 따라 양측의 밴드 연장부(21)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또한, 수평 또는 수직방향 양측으로 형성된 밴드 연장부(21)의 일측 끝단부가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된 견인기 밴드(40)가 형성되는데, 견인기 밴드(40)에는 견인기(60)가 연결되어 고정되고, 견인기 밴드(40)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측의 밴드 연장부(21)가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방향을 향한 후 견인기(60)에 끼워져 견인 및 고정됨으로써 안전망(10)이 팽팽하게 펼쳐지게 된다.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의 구성은 제3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예의 밴드 연장부(21)가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20)의 가장자리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되고, 개구부 벽면의 상하좌우측면에는 내측에 고정축(51)이 형성된 고정구(50)가 장착되는데, 고정축(51)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51)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52)가 끼워져 슬리브(52)가 고정축(5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수평 및 수직방향의 양측 밴드 연장부(21)가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지면서 각각의 밴드 연장부(21) 끝단이 안전망(10) 내부를 향하도록 하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 연장부(21)의 일측 끝단부가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된 견인기 밴드(40)가 형성되고, 견인기 밴드(40)에는 견인기(60)가 연결되어 고정되어, 견인기 밴드(40)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측의 밴드 연장부(21)가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방향을 향한 후 견인기(60)에 끼워져 견인 및 고정됨으로써 안전망(10)이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에서 팽팽하게 펼쳐지게 된다.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의 구성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전망(10)의 중앙부 및 가장자리 표면에 2개 이상의 밴드(20)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고, 안전망(10)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일측 가장자리 외부로 밴드(20)가 연장되어 밴드 연장부(21)를 형성하게 되는데, 밴드 연장부(21)가 형성되는 방향은 개구부의 위치·크기·개구부 주변 여유공간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밴드 연장부(21)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한 수평 또는 수직 밴드(20) 가장자리에는 고리형상으로 된 고정구 밴드(30)가 연결되고,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 밴드(30) 사이의 밴드(20) 표면에는 고리형상으로 된 견인기 밴드(40)가 부착된다.
또한, 개구부의 벽면에는 끝단 일부가 벽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구 볼트(70)가 개구부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고정구 볼트(70)의 노출된 끝단이 고정구(50)에 형성된 체결재 홀을 통과하고, 고정구(50)가 끼워진 고정구 볼트(70)의 노출된 끝단에는 고정구 너트(71)가 체결되어 고정구(50)가 고정구 볼트(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고정구(50) 내측에 형성된 고정축(51)에는 고정구 밴드(30) 또는 밴드 연장부(21)가 각각 연결되는데, 밴드 연장부(21)와 연결되는 고정구(50)의 고정축(51)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51)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52)가 끼워져, 슬리브(52)가 고정축(5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밴드 연장부(21)는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지면서 밴드 연장부(21) 끝단이 안전망(10) 내부를 향하게 된다.
또한, 견인기 밴드(40)에는 견인기(60)가 연결되어 고정되는데,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밴드 연장부(21)가 견인기(60)에 끼워져 견인 및 고정되어 안전망(10)이 팽팽하게 펼쳐지게 되고, 동시에 고정구 너트(71)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고정구(50)와 개구부 벽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면서 안전망(10)의 펼침과 풀림이 견인기(60) 및 고정구 너트(71)에 의해 이중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6 실시 예의 구성은 제5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 예의 밴드 연장부(21)가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20)의 가장자리 일측면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밴드 연장부(21)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밴드 연장부(21)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한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20) 가장자리에 고정구 밴드(30)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구 밴드(30)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 밴드(30) 사이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20) 표면에는 견인기 밴드(40)가 부착되되, 고정구 밴드(30)와 견인기 밴드(40)에는 각각 고정구(50)와 견인기(60)가 연결되어 고정되고, 각각의 밴드 연장부(21)가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지면서 밴드 연장부(21) 끝단이 안전망(10) 내부를 향한 다음, 밴드 연장부(21)가 견인기(60)에 끼워져 견인 및 고정됨으로써 안전망(10)이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에서 팽팽하게 당겨지거나 느슨하게 풀리게 된다.
본 고안의 제7 실시 예의 구성은 제1 내지 제6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전망(10) 외곽에 부착된 수평 및 수직 방향 밴드(20)의 바깥쪽으로 안전망(10)이 확장되어 안전망 확장부(11)가 형성되는데, 도 8의 추락방지용 안전망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안전망 확장부(11)를 적용한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머지 제2 내지 제6 실시 예에 적용시에는 도 8과는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8 실시 예의 구성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50)의 바디 하부면(55) 중앙에 밴드 연장부(21) 또는 고정구 밴드(30)가 통과하는 밴드홀(53)이 형성되고, 밴드홀(53)의 측면에는 밴드 연장부(21) 또는 고정구 밴드(30)를 개구부 벽면에 밀착시키는 밴드 밀착부(54)가 형성되는데, 밴드 밀착부(54)는 밴드 고정구(30)의 바디 하부면(55)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밴드 밀착부(54)와 바디 하부면(55)이 서로 단을 이루게 된다.
본 고안의 제9 실시 예의 구성은 제1 내지 제6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전망(10)에 촘촘한 그물이 적용되거나, 또는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300mm 이내의 간격으로 배치된 밴드가 수직 수평으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네트(net)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될 수 있는데, 도 10에 도시된 추락방지용 안전망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그물 대신 네트를 적용한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머지 제2 내지 제6 실시 예에 적용시에는 도 10과는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 예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는 개구부의 일측 벽면에 고정구 밴드(30)가 연결된 고정구(50)를 설치함으로써 안전망(10)의 일측면을 개구부의 일측 벽면에 고정하고, 반대측 벽면에는 고정구 밴드(30)가 연결되지 않은 고정구(50)를 설치하며, 안전망(10)을 펼쳐 개구부를 덮은 다음, 밴드 연장부(21)의 끝단을 고정구 밴드(30)와 연결되지 않은 고정구(50)에 연결하고, 고정구(50)의 고정축(51) 표면에 반 바퀴 감아 밴드 연장부(21)의 끝단 방향이 안전망(10) 내측을 향하도록 한다.
고정구(50)의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겨지면서 끝단이 안전망(10) 내부를 향하게 된 밴드 연장부(21)는 견인기(60)에 끼워지게 되고, 밴드 연장부(21)가 견인기(60)에 끼워진 상태에서 견인기(60)를 작동시키면 밴드 연장부(21)가 당겨지면서 안전망(10)이 점차 팽팽하게 펼쳐지게 되는데, 기존의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에서는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견인기(60) 작동시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50)의 접촉부위에서 밴드 연장부(21)가 급격하게 구부러지면서 강한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밴드 연장부(21)를 견인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견인기(60)로 밴드 연장부(21)를 견인할 때 고정축(51)을 중심축으로 하여 슬리브(52)의 회전이 발생하면서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50) 사이의 접촉부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밴드 연장부(21)가 쉽게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견인기(60)에는 캠버클(cam buckle), 래칫버클(ratchet buckle) 등의 버클이 사용되는데, 밴드 연장부(21)의 견인 및 고정이 가능하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버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종류의 버클이 적용될 수 있으며, 버클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버클의 구성 및 작동방법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며, 개구부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추락방지 안전망 설치시 개구부의 중간부분에서 안전망(10)의 늘어짐이 발생하여 안전망(10)과 개구부 벽면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망(10)을 수평 및 수직방향 양쪽으로 당겨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적용되는데, 안전망(10)의 수평 및 수직방향 2방향에서 밴드 연장부(21)가 견인기(60)에 의해 견인되는 것을 제외하면 제1 실시 예의 작동방법과 동일하므로 작동방법에 대한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는 개구부의 수평방향 벽면 또는 수직방향 벽면 양측으로 고정구(50)를 설치하고, 수평 또는 수직방향 양측으로 밴드 연장부(21)가 형성된 안전망(10)을 펼쳐 개구부를 덮은 다음, 밴드 연장부(21)의 끝단을 고정구(50)에 연결하고, 고정구(50)의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 밴드 연장부(21)의 끝단 방향이 안전망(10) 내측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안전망(10) 내측을 향하는 양측 밴드 연장부(21) 중 일측 밴드 연장부(21) 끝단에는 고리형상의 견인기 밴드(40)가 형성되고, 견인기 밴드(40)에는 견인기(60)가 연결되어 고정되는데, 견인기(60)의 크기 때문에 견인기(60)가 고정구(50)와 고정축(51)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견인기(60)가 연결된 밴드 연장부(21)가 고정구(50)의 슬리브(52)에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구(50)를 개구부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양측 밴드 연장부(21)의 끝단 방향이 안전망(10) 내측을 향하게 되면 일측 밴드 연장부(21)에 연결된 견인기(60)에 견인기(60)가 연결되지 않은 반대측 밴드 연장부(21)를 끼워 연결하게 되고, 견인기(60)를 통해 밴드 연장부(21)를 견인하면 양측 밴드 연장부(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당겨지면서 안전망(10)이 점차 팽팽하게 펼쳐지게 되며, 밴드 연장부(21)가 당겨지는 동안 고정축(51)을 회전축으로 하여 슬리브(52)의 회전이 발생하면서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50) 사이에 접촉부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밴드 연장부(21)가 쉽게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또한,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견인기(60)로 사용되는 버클은 공지기술이므로 버클의 구성 및 작동방법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3 실시 예와 동일하며, 개구부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추락방지 안전망 설치시 개구부의 중간부분에서 안전망(10)의 늘어짐이 발생하여 안전망(10)과 개구부 벽면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전망(10)을 수평 및 수직방향 양쪽으로 당겨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데, 수평 및 수직방향 2방향에서 견인기(60)에 의해 밴드 연장부(21)가 견인기(60)로 견인되는 것을 제외하면 제3 실시 예의 작동방법과 동일하므로 작동방법의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는 개구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양측 벽면으로 고정구 볼트(70)를 설치하되, 고정구 볼트(70)의 끝단 일부가 벽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 벽면을 관통하도록 한다.
또한, 벽면 외부로 노출된 고정구 볼트(70) 끝단에는 고정구(50)에 형성된 체결재 홀을 통과시킴으로써 고정구 볼트(70)에 고정구(50)를 연결한 뒤, 고정구 볼트(70) 끝단에 고정구 너트(71)를 체결하여 고정구(50)가 고정구 볼트(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일측 개구부 벽면에 설치된 고정구 볼트(70)에 고정구 밴드(30)가 연결된 고정구(50)를 결합함으로써 안전망(10)의 일측면이 개구부의 일측 벽면에 고정하고, 반대측 벽면에 설치된 고정구 볼트(70)에는 고정구 밴드(30)가 연결되지 않은 고정구(50)를 결합하여 안전망(10)으로 개구부를 덮게 되며, 밴드 연장부(21) 끝단을 고정구 밴드(30)와 연결되지 않은 고정구(50)의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 밴드 연장부(21)의 끝단 방향이 안전망(10) 내측을 향하도록 한 뒤, 밴드 연장부(21)를 견인기(60)에 연결하여 견인 및 고정하게 된다.
이때, 견인기(60)가 작동하면 밴드 연장부(21)가 견인되면서 안전망(10)이 점차 팽팽하게 펼쳐지게 되는데, 고정축(51)을 중심축으로 슬리브(52)의 회전이 발생하면서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50) 사이의 접촉부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밴드 연장부(21)가 쉽게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앞선 실시 예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견인기(60)에 의한 안전망(10)의 견인 및 고정이 완료된 이후 안전망(10)이 느슨해지거나, 반대로 안전망(10)이 지나치게 팽팽하게 펼쳐져 추락방지용 안전망의 각 연결부에서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고정구 너트(71)를 회전시켜 조임 또는 풀림이 발생하도록 하여 고정구(50)와 개구부 벽면 사이의 거리가 미세하게 조절되면서 안전망(10)의 팽팽한 정도가 최적의 상태로 조절되어 추락방지 안전망의 성능 저하 또는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6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5 실시 예와 동일하며, 개구부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추락방지 안전망 설치시 개구부의 중간부분에서 안전망(10)의 늘어짐이 발생하여 안전망(10)과 개구부 벽면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5 실시 예에 따른 안전망(10)을 수평 및 수직방향 양쪽으로 당겨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적용되는데, 견인기(60)에 의해 밴드 연장부(21)가 견인기(60)로 견인되고, 고정구 너트(71)를 회전시켜 안전망(10)의 팽팽한 정도를 조절하는 과정이 수평 및 수직방향 2방향에서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제5 실시 예의 작동방법과 동일하므로 작동방법의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 예에서 고정축(51)과 슬리브(52)의 접촉부에 윤활유 등을 도포하는 경우, 견인기(60) 작동시 고정축(51)을 중심축으로 하여 슬리브(52)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밴드 연장부(21)의 견인이 더욱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6 실시 예의 추락방지 안전망 설치구조에 따라 개구부의 벽면에 고정구(50)를 설치할 때에는 도 1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물 실내방향 개구부 외측면에 설치하거나, 도 1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 내측면에 설치하게 되는데, 개구부 외측면에 고정구(5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곽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20)와 안전망(10)이 개구부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지만, 개구부 내측면에 고정구(5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1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50)의 높이와 고정구 밴드(30)의 길이만큼 개구부 벽면과 외곽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2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공구 등이 틈새로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7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내지 제6 실시 예와 동일하고, 제1 내지 제6 실시 예의 안전망(10)에 외곽의 수평 및 수직 방향 밴드(20) 바깥쪽으로 안전망(10)을 확장하여 안전망 확장부(11)를 형성하게 되면, 도 1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전망 확장부(11)가 외곽 밴드(20)와 개구부 벽면 사이의 빈틈을 완전히 차단하면서 틈새를 통해 공구 등이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제7 실시 예는 개구부 내측면에 고정구(50)를 설치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8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하며,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망을 설치할 때, 고정구(50)의 바디 하부면(55)에 형성된 밴드홀(53)에 밴드 연장부(21) 또는 고정구 밴드(30)가 통과시키고, 밴드홀(53)을 통과한 밴드 연장부(21) 또는 고정구 밴드(30)를 밴드 밀착부(54) 하부면으로 지나가게 하는데, 개구부 외측면에 고정구(5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물 실외 방향의 밴드 연장부(21) 또는 고정구 밴드(30) 표면과 개구부 벽면 사이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개구부 내측면에 고정구(5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곽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밴드(20) 외곽 모서리가 개구부 내측면에 거리 D만큼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개구부와의 틈새 발생을 줄임으로써 틈새로 공구 등이 추락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9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내지 제6 실시 예와 동일하며, 제1 내지 제6 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망 설치구조의 안전망(10)은 촘촘한 그물이 적용되거나, 300mm 이내의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 수평으로 교차하여 배치된 밴드로 이루어진 네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개구부의 위치 또는 시공시 필요에 의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안전망
11: 안전망 확장부
20: 밴드
21: 밴드 연장부
30: 고정구 밴드
40: 견인기 밴드
50: 고정구
51: 고정축
52: 슬리브
53: 밴드홀
54: 밴드 밀착부
55: 바디 하부면
60: 견인기
70: 고정구 볼트
71: 고정구 너트

Claims (9)

  1. 공사현장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안전망에 있어서,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10)과;
    안전망(1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표면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는 2개 이상의 밴드(20)와;
    밴드(20)가 안전망(10)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일측 가장자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 연장부(21)와;
    밴드 연장부(21) 반대측 방향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밴드(20) 가장자리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된 고정구 밴드(30)와;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 밴드(30) 사이의 밴드(20) 표면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착된 견인기 밴드(40)와;
    개구부의 벽면에 체결재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고, 내측으로 고정축(51)이 형성되어 고정축(51)에 밴드 연장부(21)가 연결되되, 밴드 연장부(21)와 연결되는 고정축(51)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51)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52)가 끼워지며,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밴드 연장부(21)가 견인되면 슬리브(52)의 회전이 발생하는 고정구(50)와;
    견인기 밴드(40)에 연결되어 고정되되, 밴드 연장부(21)를 견인 및 고정하여 밴드 연장부(21)에 연결된 안전망(10)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견인기(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연장부(21)는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20)의 일측면으로 각각 형성되고, 고정구 밴드(30)는 밴드 연장부(21) 반대측면의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20)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 밴드(30) 사이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20) 표면에 부착된 견인기 밴드(40)에는 견인기(60)가 연결되어 고정되되, 밴드 연장부(21)와 연결되는 고정축(51)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51)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52)가 끼워져 밴드 연장부(21)가 견인되면 슬리브(52)의 회전이 발생하여 안전망(10)이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으로 팽팽하게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3. 공사현장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안전망에 있어서,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10)과;
    안전망(1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표면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는 2개 이상의 밴드(20)와;
    밴드(20)가 안전망(10)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양측 가장자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 연장부(21)와;
    일측 밴드 연장부(21) 끝단을 고리형상으로 구부린 상태로 고정한 견인기 밴드(40)와;
    개구부의 벽면에 체결재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고,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축(51)에 밴드 연장부(21)가 연결되되, 고정축(51)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51)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52)가 끼워지며,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밴드 연장부(21)가 견인되면 슬리브(52)의 회전이 발생하는 고정구(50); 및
    견인기 밴드(40)에 연결되어 고정되되, 견인기 밴드(40)가 형성된 반대측의 밴드 연장부(21)를 견인 및 고정하여 양쪽 방향에서 안전망(10)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견인기(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20)의 가장자리 양측면으로 상기 밴드 연장부(21)가 각각 형성되고, 개구부의 상하좌우측면에는 원통형 형상의 고정축(51)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52)가 끼워진 고정구(50)가 장착되며,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양측 수평 및 수직방향의 밴드 연장부(21)가 각각 고정구(50)의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안전망(10) 내측을 향하는 상태로 견인기(60)에 의해 견인 및 고정됨으로써, 안전망(10)이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으로 팽팽하게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5. 공사현장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안전망에 있어서,
    개구부를 막는 안전망(10)과;
    안전망(1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표면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부착되는 2개 이상의 밴드(20)와;
    밴드(20)가 안전망(10)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일측 가장자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 연장부(21)와;
    밴드 연장부(21) 반대측 방향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 밴드(20) 가장자리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된 고정구 밴드(30)와;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 밴드(30) 사이의 밴드(20) 표면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착된 견인기 밴드(40)와;
    내측으로 고정축(51)이 형성되어 고정축(51)에 밴드 연장부(21)가 연결되되, 밴드 연장부(21)와 연결되는 고정축(51)은 단면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고정축(51) 외측면으로 중앙부가 빈 원통형 형상의 슬리브(52)가 끼워지며, 슬리브(52) 표면에 반 바퀴 감아져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밴드 연장부(21)가 견인되면 슬리브(52)의 회전이 발생하는 고정구(50)와;
    견인기 밴드(40)에 연결되어 고정되되, 밴드 연장부(21)를 견인 및 고정하여 안전망(10)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견인기(60)와;
    끝단 일부가 벽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노출된 끝단이 고정구(50)에 형성된 체결재 홀을 통과하는 고정구 볼트(70); 및
    벽면 외부로 노출된 고정구 볼트(70) 끝단에 체결되고,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고정구(50)가 개구부 벽면과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고정구 밴드(30)를 통해 고정구(50)와 연결된 안전망(10)이 팽팽하게 당겨지거나 느슨하게 풀리도록 하는 고정구 너트(7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연장부(21)는 수평 및 수직방향 외곽 밴드(20)의 가장자리 일측면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밴드(30)는 밴드 연장부(21) 반대측 방향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20)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견인기 밴드(40)는 밴드 연장부(21)와 고정구 밴드(30) 사이의 수평 및 수직방향 밴드(20) 표면에 각각 형성되되, 고정구 밴드(30)와 견인기 밴드(40)에는 각각 고정구(50)와 견인기(60)가 연결되어, 견인기(60)의 작동 및 고정구 너트(71)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안전망(10)이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에서 팽팽하게 당겨지거나 느슨하게 풀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전망(10) 외곽의 수평 및 수직 방향 밴드(20)의 바깥쪽으로는 안전망(10)이 확장된 안전망 확장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정구(50)의 바디 하부면(55) 중앙에 밴드 연장부(21) 또는 고정구 밴드(30)가 통과하는 밴드홀(53)이 형성되고, 밴드홀(53)의 측면에는 밴드 연장부(21) 또는 고정구 밴드(30)를 개구부 벽면에 밀착시키는 밴드 밀착부(54)가 고정구(50)의 바디 하부면(55)과 이격되어 단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전망(10)은 그물 또는 300mm 이내의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 수평으로 교차하여 배치된 밴드로 이루어진 네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KR2020180000301U 2018-01-19 2018-01-19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KR200489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01U KR200489253Y1 (ko) 2018-01-19 2018-01-19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01U KR200489253Y1 (ko) 2018-01-19 2018-01-19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253Y1 true KR200489253Y1 (ko) 2019-08-28

Family

ID=6776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301U KR200489253Y1 (ko) 2018-01-19 2018-01-19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804B1 (ko) * 2021-12-27 2022-07-27 주식회사 진테크텍스 수직형 추락방지망용 브라켓 조립체
CN115234021A (zh) * 2022-07-25 2022-10-25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临边洞口定型防护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080A (ko) * 2005-04-07 2006-10-13 (주)삼아이엔지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110004717A (ko)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고신산업안전 발코니용 안전 울
KR20130004857U (ko) * 2012-02-03 2013-08-13 김진곤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KR20180001736A (ko) * 2016-06-28 2018-01-05 김성식 건축물 개구부 폐쇄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080A (ko) * 2005-04-07 2006-10-13 (주)삼아이엔지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110004717A (ko)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고신산업안전 발코니용 안전 울
KR20130004857U (ko) * 2012-02-03 2013-08-13 김진곤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KR200469590Y1 (ko) 2012-02-03 2013-10-23 김진곤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KR20180001736A (ko) * 2016-06-28 2018-01-05 김성식 건축물 개구부 폐쇄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804B1 (ko) * 2021-12-27 2022-07-27 주식회사 진테크텍스 수직형 추락방지망용 브라켓 조립체
CN115234021A (zh) * 2022-07-25 2022-10-25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临边洞口定型防护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253Y1 (ko)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JP6130381B2 (ja) パイプ間ブレース組立体
CA2797176C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CN107453282A (zh) 一种用于电缆穿管用辅助装置
KR101904832B1 (ko) 건축물 공사용 천막 가설공법
US9670950B2 (en) Elevator handrail attachment mechanism
KR102143172B1 (ko)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
JP6561391B2 (ja) フェイルセーフ天井構造
KR20120060730A (ko) 전주용 안전 네트
CN104214177B (zh) 锁紧装置及伸缩杆
JP2006088149A (ja) 防護シート構造
CN108457305A (zh) 一种易拆安全市政井盖及拆卸工具和拆装方法
JP6481438B2 (ja) 防護用部材支持装置および防護用部材の設置方法
KR200482863Y1 (ko) 셋트 앙카 볼트
KR20140037503A (ko)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1825694B1 (ko) 볼트 풀림 방지장치
JPH06193151A (ja) 拡開アンカー
KR102106258B1 (ko)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KR20110005502U (ko) 안전망 설치구조
KR100839013B1 (ko) 배전용 전봇대의 안전장치
AU2016374652B2 (en) Liner bolt assembly and liner securing system
CN206694366U (zh) 一种便拆卸锁紧用紧定套
KR101849105B1 (ko) 안전용 네트 설치 장치
CN207093533U (zh) 适用于贯穿孔的固定卡件
KR102315516B1 (ko) 지주용 고정밴드 체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