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172B1 -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 - Google Patents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172B1
KR102143172B1 KR1020180055732A KR20180055732A KR102143172B1 KR 102143172 B1 KR102143172 B1 KR 102143172B1 KR 1020180055732 A KR1020180055732 A KR 1020180055732A KR 20180055732 A KR20180055732 A KR 20180055732A KR 102143172 B1 KR102143172 B1 KR 10214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st
electric pole
live wire
drum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184A (ko
Inventor
박상욱
정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5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17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물과 체결되는 체결부, 일측이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고 벨트가 감기는 드럼을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드럼 고정부, 상기 드럼과 동축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 일측이 상기 벨트와 연결되고 타측이 활선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활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개를 한쌍으로 하는 상기 장선기 중 1개인 제1장선기와 나머지 1개인 제2장선기가 체결되는 장선기 체결단계, 상기 제1장선기의 고정부와 상기 제2장선기의 고정부가 기설 전주의 활선에 고정되는 장선기 고정단계,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상기 제1장선기의 회전부재와 상기 제2장선기의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활선의 장력이 조절되는 장력 조절단계, 상기 기설 전주에서 상기 활선이 분리되는 활선 분리단계, 상기 기설 전주가 철거되고 같은 위치에 신설 전주를 설치되는 전주 교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ELECTRIC POLE CHANGING METHOD USING WIRE TENSIONING DEVICE}
본 발명은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으로, 상세하게는 전주 교체 공사 시 양방향으로 전선을 이도할 수 있는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 및 전주를 교체하거나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교체하고자 하는 철탑 및 전주의 측면에 가설철탑을 설치한다. 이때 기존에 설치된 철탑 및 전주와 가설철탑과의 거리는 교체하고자 하는 철탑과의 거리보다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연결하고자하는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전선은 사용하지 못하고 신규전선을 가설철탑에 연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상기와 같은 전선이동공법은 교체하고자 하는 철탑 및 전주와 가설철탑과의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여 전선이 연결되는 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이때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전선을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경제적인 손실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에 가선되어 있던 전선에 추가로 전선을 접속하여 시공하기도 하였으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연결되는 부위가 부식되어 파손되는 점과 풍압 및 눈의 하중으로 인해 연결되는 부위가 끊어져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전선을 이동할 때 기존에 연결되는 전선을 철거하고 다시 신규전선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이에 따라 인건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에 설치된 전선을 교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서 공사기간 및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전주 교체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핀장주의 경우에는 전선을 제외한 전력설비 철거 후 기설 위치에 건주가 가능하고, 내장주의 경우에는 핀장주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삭제
본 발명은 상대물과 체결되는 체결부, 일측이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고 벨트가 감기는 드럼을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드럼 고정부, 상기 드럼과 동축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 일측이 상기 벨트와 연결되고 타측이 활선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활선의 장력을 조절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동력전달장치가 삽입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중심축과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은 동일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핸드 드릴이고, 상기 체결부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드럼에서 상기 벨트가 조이거나 풀리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동력전달장치가 구동하면 잠금 해제되는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장선기 중 제1 장선기의 체결부와 제2 장선기의 체결부를 상호 체결하는 장선기 체결 단계; 기설 전주의 양방향 활선 중 어느 하나인 제1 활선에 상기 제1 장선기의 고정부를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기설 전주의 양방향 활선 중 다른 하나인 제2 활선에 상기 제2 장선기의 고정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장선기 고정 단계;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선기의 회전부재와 상기 제2 장선기의 회전부재 각각을 회전시켜 상기 제1 활선 및 상기 제2 활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단계; 상기 기설 전주로부터 상기 제1 활선 및 상기 제2 활선을 분리시키는 활선 분리 단계; 상기 기설 전주를 철거한 후, 상기 기설 전주의 설치 위치에 신설 전주를 설치하는 전주 교체 단계; 상기 신설 전주에 상기 제1 활선 및 상기 제2 활선을 연결시키는 활선 연결 단계; 상기 제1 활선으로부터 상기 제1 장선기의 고정부를 분리하고, 상기 제2 활선으로부터 상기 제2 장선기의 고정부를 분리하는 장선기 분리 단계; 및 접속 슬리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을 서로 연결하는 전선 연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은 기설 점용위치에 신설 전주를 설치할 수 있고, 기존에 설치된 전선을 교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서 공사기간 및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선기는 상대물에 따라 일방향 이도 또는, 양방향 이도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선기 2개를 체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현장 여건에 따라 장비 진입 또는 신설 전주의 시공이 불가한 현장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선기의 적용 사례이다.(실시예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선기의 적용 사례이다.(실시예2)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상대물과 체결되는 체결부(10), 일측이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고 벨트(20)가 감기는 드럼(30)을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드럼 고정부(40), 상기 드럼과 동축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60), 일측이 상기 벨트와 연결되고 타측이 활선에 고정되는 고정부(50)를 포함하고,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활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기(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대물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기 또는 전주의 금구(완철)일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할 전주 교체 작업과 같이 양방향 이도가 필요한 경우에 상대물은 장선기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만으로 활선을 장악하여(일방향 이도) 작업할 경우 상기 상대물은 전주의 금구(완철)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장선기 2개를 연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60)는 상기 동력전달장치가 삽입되는 함몰부(6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로부터 효과적인 동력 전달을 위해 상기 함몰부의 중심축과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고정을 위해 함몰부를 적용하였으나, 적용하고자 하는 동력전달장치 (팁의 형태 등)에 따라 돌출부일 수 있다.
도 1은 상기 함몰부를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적용한 경우이나 상기 함몰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핸드 드릴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체결부(10)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11)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상기 상대물의 체결부위를 축일치 시켜 볼트 체결함으로써 상기 장선기와 상기 상대물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60)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드럼(30)에서 상기 벨트(20)가 조여지거나 풀리는 양방향 형이다.
상기 장선기(100)는 상기 드럼(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부재는 평상시에는 잠금 상태이다가 상기 동력전달장치가 구동하면 잠금 해제 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를 한 쌍으로 하는 상기 장선기 중 1개인 제1장선기와 나머지 1개인 제2장선기가 체결되는 장선기 체결단계, 상기 제1장선기의 고정부와 상기 제2장선기의 고정부가 기설 전주의 활선에 고정되는 장선기 고정단계,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상기 제1장선기의 회전부재와 상기 제2장선기의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활선의 장력이 조절되는 장력 조절단계, 상기 기설 전주에서 상기 활선이 분리되는 활선 분리단계, 상기 기설 전주가 철거되고 같은 위치에 신설 전주를 설치되는 전주 교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방법이다.
상기 장선기는 위에서 설명한 장선기와 동일한 구조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장선기 체결단계는 상기 제1장선기의 체결부와 상기 제2장선기의 체결부가 볼트 체결되는 단계이다.
상기 장선기 고정단계는 상기 기설 전주를 기준으로 상기 제1장선기와 상기 제2장선기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단계이다.
상기 장력 조절단계는 상기 동력전달장치로 상기 제1장선기와 상기 제2장선기의 회전부재(도 2의 화살표 표시부)를 회전시켜 벨트의 길이를 조이거나 풀며 상기 제1장선기와 상기 제2장선기에 의해 장악된 활선 부분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상기 활선 분리단계 이전에 접속 슬리브(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기설 전주를 기준으로 일측의 상기 활선과 타측의 상기 활선을 서로 연결하는 전선 연결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현장 여건에 따라 장비 진입 또는 신설 전주의 시공이 불가한 현장의 사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선기의 적용 사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과 같이 장비 진입 또는 신설 전주의 시공이 불가한 현장((a)고객 간 경계위치 전주, (b)경사지 가지지공법 장비 진입불가, (c)매설물에 따른 건주 위치 협의불가)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4의 실시예1과 같이 기설 전주의 완철에 직접 장선기를 설치하여 양방향 이도(활선 장력 조절)하고 전주를 교체하는 경우나, 도 5의 실시예2와 같이 활선 바켓 트럭에 설치된 완철에 장선기를 설치하여 양방향 이도(활선 장력 조절)하여 전주의 교체가 아닌 완철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장선기
10 : 체결부
11 : 관통홀
20 : 벨트
30 : 드럼
40 : 드럼 고정부
50 : 고정부
60 : 회전부재
61 : 함몰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상대물과 체결되는 체결부, 일측이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고 벨트가 감기는 드럼을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드럼 고정부, 상기 드럼과 동축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부재, 일측이 상기 벨트와 연결되고 타측이 활선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활선의 장력을 조절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동력전달장치가 삽입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중심축과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은 동일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핸드 드릴이고, 상기 체결부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드럼에서 상기 벨트가 조이거나 풀리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동력전달장치가 구동하면 잠금 해제되는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장선기 중 제1 장선기의 체결부와 제2 장선기의 체결부를 상호 체결하는 장선기 체결 단계;
    기설 전주의 양방향 활선 중 어느 하나인 제1 활선에 상기 제1 장선기의 고정부를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기설 전주의 양방향 활선 중 다른 하나인 제2 활선에 상기 제2 장선기의 고정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장선기 고정 단계;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선기의 회전부재와 상기 제2 장선기의 회전부재 각각을 회전시켜 상기 제1 활선 및 상기 제2 활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단계;
    상기 기설 전주로부터 상기 제1 활선 및 상기 제2 활선을 분리시키는 활선 분리 단계;
    상기 기설 전주를 철거한 후, 상기 기설 전주의 설치 위치에 신설 전주를 설치하는 전주 교체 단계;
    상기 신설 전주에 상기 제1 활선 및 상기 제2 활선을 연결시키는 활선 연결 단계;
    상기 제1 활선으로부터 상기 제1 장선기의 고정부를 분리하고, 상기 제2 활선으로부터 상기 제2 장선기의 고정부를 분리하는 장선기 분리 단계; 및
    접속 슬리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을 서로 연결하는 전선 연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기 체결 단계는
    상기 제1 장선기의 체결부와 상기 제2 장선기의 체결부를 볼트 체결을 통해 서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55732A 2018-05-16 2018-05-16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 KR10214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32A KR102143172B1 (ko) 2018-05-16 2018-05-16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32A KR102143172B1 (ko) 2018-05-16 2018-05-16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184A KR20190131184A (ko) 2019-11-26
KR102143172B1 true KR102143172B1 (ko) 2020-08-11

Family

ID=6873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732A KR102143172B1 (ko) 2018-05-16 2018-05-16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3547B (zh) * 2019-12-30 2022-06-07 河北九天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钢绞线的装配控制方法
KR102161405B1 (ko) * 2020-04-10 2020-10-0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동 외접기어 더블락 라쳇형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도 조정,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102481158B1 (ko) * 2022-07-21 2022-12-27 대원전기 주식회사 무제한 장력 거리 조절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치차 라쳇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2960A (ja) * 2011-09-14 2013-04-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用張線装置
KR101777080B1 (ko) * 2017-01-05 2017-09-1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2960A (ja) * 2011-09-14 2013-04-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用張線装置
KR101777080B1 (ko) * 2017-01-05 2017-09-1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184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172B1 (ko)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
CN109137763B (zh) 拉索切割装置及拉索拆除施工方法
US20190011657A1 (en) Mechanical fuse for use with overhead telecommunications cable
CA2253077C (en) Tensionable cable truss support system
US20070084627A1 (en) Anti-cascading suspension clamps for overhead power transmission lines
CN109936105B (zh) 一种电力工程用线缆配接器
US20080164061A1 (en) Non-boring support system for transmission line structures
KR200472209Y1 (ko)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CN210053173U (zh) 一种输电线路耐张引流串二次保护装置
KR100529224B1 (ko) 건축 조경벽면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1947515B1 (ko) 추락방망 고정장치
KR102194304B1 (ko) 초경량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가선장치 및 가선방법
KR200489253Y1 (ko)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KR102022190B1 (ko) 고정핀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EP2461441B1 (en) Wheel for installing cables
KR101069275B1 (ko)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지지금구
JP2011043025A (ja) 緊張材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方法
JP2012161225A (ja) 仮連結機能を有するバーニヤ金具とその連結工法
JP3590890B2 (ja) 架線張力調整具
AU2013100186A4 (en) Guy Bracket
JP2017014799A (ja) 法枠移動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517886B1 (ko) 통신케이블 가설용 조가선 긴장 조절장치
JP2850207B2 (ja) ホールプレハブ架線工法
US20230400123A1 (en) Breakaway cable attachment systems
KR200330550Y1 (ko) 통신케이블 가설용 조가선 긴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