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032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032A
KR20060033032A KR1020067002299A KR20067002299A KR20060033032A KR 20060033032 A KR20060033032 A KR 20060033032A KR 1020067002299 A KR1020067002299 A KR 1020067002299A KR 20067002299 A KR20067002299 A KR 20067002299A KR 20060033032 A KR20060033032 A KR 20060033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nonwoven fabric
tape
diaper
tap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929B1 (ko
Inventor
다카유키 미요시
히사시 다카이
히로나오 미나토
고이치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61F13/514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having an impervious inner layer and a cloth-lik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10T428/24264Particular fold structure [e.g., bevele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다고 해도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가 타겟 테이프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저귀(1A)의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에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8, 10)을 연결하기 위한 1쌍의 테이프 파스너(6)가 부착되어 있다. 기저귀(1A)에서는 테이프 파스너(6)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제1 섬유 부직포와 제1 섬유 부직포의 외면의 대략 전체에 코팅된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열가소성 합성 수지가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제1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배설물을 흡수 및 유지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고,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하기 위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테이프 파스너가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부착되며, 테이프 파스너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타겟 테이프가 앞 몸통 둘레 영역에 부착된 오픈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있다(특허 문헌 1).
테이프 파스너는 서로 교락(交絡)하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섬유 부직포로 만들어져 있다. 테이프 파스너는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가로 방향 외단부에 고착된 고정부와, 고정부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자유부를 갖는다.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 내면에는 기계적 파스너 중 훅이 부착되어 있다. 타겟 테이프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서로 교락하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부피가 큰 섬유 부직포로 만들어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한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장착하기 위해서는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을 앞 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에 중첩시키고, 훅을 통해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를 타겟 테이프에 고정하여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한다. 착용 자에게는 장착한 기저귀 위에 바지나 스커트 등의 착의를 착용시킨다. 기저귀의 장착 중에 착용자가 움직이면,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38139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 문헌 1에 개시한 기저귀는 테이프 파스너가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섬유 부직포로 만들어지고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의 감촉이 거칠어 외면이 평활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을 때에, 착의로부터 테이프 파스너에 소정의 미끄러짐 마찰이 작용하여 미끄러짐 마찰에 의해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가 비틀리거나 말리려고 한다. 이 기저귀에서는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의 비틀림이나 말림이 서로 걸어 맞추는 테이프 파스너와 타겟 테이프에 이들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전단력나 박리력으로서 전해지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가 타겟 테이프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다고 해도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가 타겟 테이프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1쌍의 테이프 파스너가 이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부착되며, 상기 테이프 파스너가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고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면에 형성된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으로 착탈 가능한 자유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상기 전제에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테이프 파스너가 서로 교락하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제1 섬유 부직포와, 상기 제1 섬유 부직포의 외면의 대략 전체에 코팅된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합성 수지가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제1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는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O.4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 상기 제1 섬유 부직포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섬유와 상기 제1 합성 수지층에는,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스티렌계 중 적어도 1종류의 합성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합성 수지 섬유와 상기 제1 합성 수지층 중 한쪽에는 이들의 다른 쪽에 사용된 합성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것이 25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서로 교락하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제2 섬유 부직포와, 상기 제2 섬유 부직포의 외면의 대략 전체에 코팅된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합성 수지가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제2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 상기 제2 섬유 부직포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섬유와 상기 제2 합성 수지층에는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스티렌계 중 적어도 1종류의 합성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합성 수지 섬유와 상기 제2 합성 수지층 중 한쪽에는 이들의 다른 쪽에 사용된 합성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것이 25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고정부가 상기 제1 합성 수지층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고착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테이프 파스너가 제1 섬유 부직포와, 제1 섬유 부직포의 외면에 코팅된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열가소성 합성 수지가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제1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다고 해도 착의로부터 테이프 파스너에 작용하는 미끄러짐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기저귀는 미끄러짐 마찰이 테이프 파스너에 약간 밖에 작용하지 않아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가 뒤틀리거나 말리는 일은 없다. 이 기저귀는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의 뒤틀림이나 말림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서로 걸어 맞추는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와 앞 몸통 둘레 영역에 전단력이나 박리력이 작용하지 않아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가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일은 없다.
후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제2 섬유 부직포와, 제2 섬유 부직포의 외면에 코팅된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구성된 기저귀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가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제2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다고 해도 착의로부터 사이드 플랩에 작용하는 미끄러짐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기저귀는 미끄러짐 마찰이 사이드 플랩에 약간 밖에 작용하지 않아, 사이드 플랩이 뒤틀리거나 말리는 일은 없다. 이 기저귀는 사이드 플랩의 뒤틀림이나 말림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와 앞 몸통 둘레 영역에 전단력이나 박리력이 작용하지 않아 테이프 파스너의 자유부가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일은 없다.
테이프 파스너의 고정부의 제1 합성 수지층과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접착제를 통해 고착된 기저귀에서는, 접착제가 대략 평활한 제1 합성 수지층에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에 대한 접착제의 발림이 좋고, 테이프 파스너의 고정부를 고착하여야 할 대상물이 섬유 부직포로서 그 외면이 거칠고 평활하지 않더라도, 테이프 파스너의 고정부의 고착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어 테이프 파스너의 고정부를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확실하게 고착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례로서 도시하는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면도 중 테이프 파스너(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착용 상태로 도시하는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동마찰 계수의 측정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중 테이프 파스너와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일회용 기저귀
1B: 일회용 기저귀
2: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3: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
4: 액체 흡수성 코어
6: 테이프 파스너
7: 타겟 테이프
8: 앞 몸통 둘레 영역
9: 가랑이 영역
10: 뒤 몸통 둘레 영역
11: 엔드 플랩
12: 사이드 플랩
13: 사이드 플랩
14: 사이드 플랩
14a: 가로 방향 외단부
22: 고정부
23: 자유부
24: 훅(고정 수단)
27: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
28: 섬유 부직포(제1 섬유 부직포)
29: 열가소성 합성 수지
30: 합성 수지층(제1 합성 수지층)
31: 접착제
34: 섬유 부직포(제2 섬유 부직포)
35: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
36: 열가소성 합성 수지
37: 합성 수지층(제2 합성 수지층)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양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 2는 일례로서 도시하는 기저귀(1A)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1의 II-II선 화살 표시 단면도이며, 도 3, 4는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와, 도 1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L로 나타내고, 세로 방향을 화살표 M으로 나타낸다. 또, 표리면 시트(2, 3)나 누설 방지 시트(5), 테이프 파스너(6), 타겟 테이프(7), 섬유 부직포(28)의 내면이란 착용자의 피부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고, 이들의 외면이란 착용자의 피부에 비대향하는 면을 말한다.
기저귀(1A)는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 및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3)와, 표리면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코어(4)와, 1쌍의 누설 방지 시트(5)를 주요한 구성 부재로 한다. 기저귀(1A)는 이들 구성 부재 외에, 가요성의 1쌍의 테이프 파스너(6)와 가로 방향으로 긴 가요성의 타겟 테이프(7)를 갖는다.
기저귀(1A)는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 둘레 영역(8) 및 뒤 몸통 둘레 영역(10)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8,10)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9)을 구비하고,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의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엔드 플랩(11)과,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사이드 플랩(12, 13, 14)을 갖는다. 기저귀(1A)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8, 10)의 사이드 플랩(12, 14)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가랑이 영역(9)의 사이드 플랩(13)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 크고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 시계형을 나타낸다.
표면 시트(2)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15)로 형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3)는 서로 중첩되는 통기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16)과 소수성 섬유 부직포(17)로 형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3)에서는 필름(16)이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부직포(17)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고 있다. 필름(16)과 부직포(17)는 이들의 대향면이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단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코어(4)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8, 10) 사이로 연장되고,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필름(16)] 중 적어도 한쪽에 고착되어 있다. 누설 방지 시트(5)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18)로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15, 17, 18)는 서로 교락하는 폴리올레핀계의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만들어지고, 필름(16)은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엔드 플랩(11)은 코어(4)의 단 가장자리(4a)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2)의 단부(2a)와 이면 시트(3)의 단부(3a)로 형성되어 있다. 엔드 플랩(11)에서는 이들 시트(2, 3)의 단부(2a, 3a)가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이들 시트(2, 3)의 내외면이 고착되어 있다. 엔드 플랩(11)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9)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9)는 표면 시트(2)의 단부(2a)와 이면 시트(3)의 단부(3a) 사이에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이들 시트(2, 3)의 내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2, 13, 14)은 코어(4)의 측 가장자리(4b)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2, 3)의 측부(2b, 3b)와 누설 방지 시트(5)의 후기하는 고정 측부(5a)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2, 13, 14)에서는 표면 시트(2)의 측부(2b)가 코어(4)의 측 가장자리(4b)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고, 측부(2b)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이면 시트(3)의 측부(3b)와 누설 방지 시트(5)의 측부(5a)가 더 연장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2, 13, 14)에서는 이들 시트(2, 3, 5)의 측부(2b, 3b, 5a)가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이들 시트(2, 3, 5)의 내외면이 고착되어 있다. 또, 앞뒤 몸통 둘레 영역(8, 10)의 사이드 플랩(12, 14)은 그 대부분이 이면 시트(3)의 측부(3b)와 누설 방지 시트(5)의 측부(5a)로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9)의 사이드 플랩(13)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 형상의 다수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20)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20)는 이면 시트(3)의 측부(3b)와 누설 방지 시트(5)의 측부(5a) 사이에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이들 시트(3, 5)의 내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누설 방지 시트(5)는 코어(4)의 측 가장자리(4b)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앞뒤 몸통 둘레 영역(8, 10) 사이를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정 측부(5a)와, 표면 시트(2)의 상측으로 기립 성향을 갖고 앞뒤 몸통 둘레 영역(8, 10) 사이를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동부(5b)와, 엔드 플랩(11)에 위치하고 기저귀(1A)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도복한 고정 양단부(5c)를 갖는다. 가동부(5b)의 상측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21)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21)는 가동부(5b)의 일부에 덮힌 상태에서 가동부(5b)에 고착되어 있다. 고정 양단부(5c)는 표면 시트(2)의 단부(2a)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누설 방지 시트(5)에서는 기저귀(1A)가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만곡하면, 탄성 부재(21)가 수축하고 가동부(5b)가 표면 시트(2)의 상측으로 기립하여 가동부(5b)가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
테이프 파스너(6)는 대략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에 배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6)는 사이드 플랩(14)의 가로 방향 외단부(14a)에 고착된 고정부(22)와, 고정부(22)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자유부(23)를 갖는다. 자유부(23)의 내면에는 기저귀(1A)의 두께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가요성의 다수의 훅(24)(고정 수단)이 부착되어 있다. 자유부(23)에는 그 앞단에 손잡이 부분(25)이 형성되어 있다. 자유부(23)는 훅(24)을 통해 타겟 테이프(7)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다.
타겟 테이프(7)는 대략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앞 몸통 둘레 영역(8)에 배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타겟 테이프(7)는 그 내면이 이면 시트(3)[부직포(17)]의 외면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타겟 테이프(7)의 외면에는 기저귀(1A)의 두께 방향을 향해서 호를 그리는 가요성의 다수의 루프(26)가 부착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단면도 중 테이프 파스너(6)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착용 상태로 도시하는 기저귀(1A)의 사시도이다.
테이프 파스너(6)는 서로 교락하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27)로 형성된 섬유 부직포(28)(제1 섬유 부직포)와, 부직포(28)의 외면의 대략 전체에 코팅된 열가소성 합성 수지(29)로 구성되어 있다. 열가소성 합성 수지(29)는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합성 수지층(30)(제1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다. 또, 부직포(28)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의 어느 쪽이라도 좋다.
부직포(28)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29)를 코팅하기 위해서는 접촉 도공(코터 도공)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접촉 도공은 용융시킨 합성 수지(29)를 배출하는 노즐의 선단을 부직포(28)의 외면에 접촉시키면서, 부직포(28)에 합성 수지(29)를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이다.
부직포(28)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에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폴리올레핀계로서는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스티렌계 중 적어도 1종류의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에는 동일한 종류의 폴리올레핀계 합성 수지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합성 수지 섬유(27)에 폴리에틸렌계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성 수지층(30)에 폴리에틸렌계의 합성 수지를 사용한다.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에 동일한 종류의 합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융점이 대략 동일해지는 동시에 이들의 상용성(相容性)이 양호해져, 섬유 부직포(28) 외면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29)를 코팅했을 때에,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29)를 용이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에 다른 종류의 폴리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 중 한쪽에는 이들의 다른 쪽에 사용된 합성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합성 수지가 25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에서의 동일한 종류의 합성 수지의 함유량이 25 중량% 미만이면, 합성 수지 섬유(27)의 융점과 합성 수지층(30)의 융점이 다르거나,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의 상용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합성 수지 섬유(27)의 융점보다 합성 수지층(30)의 융점이 높고,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의 상용성이 나쁘면, 용융시킨 고온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29)를 부직포(28) 외면에 코팅하지 않으면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29)를 접합할 수 없고, 고온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29)에 의해 부직포(28)가 필름화되는 경우가 있다. 부직포(28)가 필름화되면, 테이프 파스너(6)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유연성을 잃어, 테이프 파스너(6)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했을 때에 불쾌한 자극을 부여한다. 합성 수지 섬유(27)는 그 섬도가 0.3~10 dtex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28)의 평량은 20~500 g/㎡, 바람직하게는 30~3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 g/㎡이다.
테이프 파스너(6)에 부착된 훅(24)은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테이프 파스너(6)의 고정부(22)에서는 합성 수지층(30)에 접착제(31)가 도포되고, 합성 수지층(30)이 접착제(31)를 통해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을 형성하는 누설 방지 시트(5)[섬유 부직포(18)]의 고정 측부(5a)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타겟 테이프(7)에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만들어진 섬유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타겟 테이프(7)에 부착된 루프(26)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보호자나 간호자가 기저귀(1A)를 착용자에게 장착하는 순서의 일례는 이하와 같다. 보호자나 간호자는 전개시킨 기저귀(1A) 위에 위를 향하게 한 착용자의 둔부를 올려 놓은 후, 앞 몸통 둘레 영역(8)을 잡고, 기저귀(1A)의 가랑이 영역(9)을 절곡하여 앞 몸통 둘레 영역(8)을 착용자의 복부 위에 올린다. 다음에,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이 착용자의 복부 위에 위치하도록, 테이프 파스너(6)를 손가락으로 잡고 사이드 플랩(14)을 절곡하는 동시에, 사이드 플랩(14)을 앞 몸통 둘레 영역(8)의 엔드 플랩(11)과 사이드 플랩(12)의 외측에 중첩시키고, 훅(24)을 통해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를 타겟 테이프(7)의 외면에 고정한다.
테이프 파스너(6)를 타겟 테이프(7)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를 타겟 테이프(7)의 외면으로 압박하여 훅(24)과 루프(26)를 걸어 맞춘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8, 10)이 연결된 기저귀(1A)에는 몸통 둘레 개구(32)와 1쌍의 다리 둘레 개구(33)가 형성된다. 착용자에게는 장착한 기저귀(1A) 위에 바지나 스커트 등의 착의를 착용시킨다. 기저귀(1A)의 장착 중에 착용자가 움직이면,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친다. 기저귀(1A)의 장착중에 배설된 배설물은 표면 시트(2)를 투과하여 코어(4)에 흡수, 유지된다.
기저귀(1A)에서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29)가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합성 수지층(30)(제1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다고 해도 착의로부터 테이프 파스너(6)에 작용하는 미끄러짐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저귀(1A)에서는 미끄러짐 마찰이 테이프 파스너(6)에 약간 밖에 작용하지 않아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가 뒤틀리거나 말리는 일은 없다.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2)의 뒤틀림이나 말림은 서로 걸어 맞추는 테이프 파스너(6)와 타겟 테이프(7)에 이들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전단력이나 박리력으로서 전해 진다. 그러나, 본 기저귀(1A)에서는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의 뒤틀림이나 말림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자유부(23)와 타겟 테이프(7)에 전단력이나 박리력이 작용하지 않아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가 타겟 테이프(7)의 외면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일은 없다.
기저귀(1A)는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과 테이프 파스너(6)의 고정부(22)의 고착에, 고정부(22)의 합성 수지층(30)에 도포된 접착제(31)가 이용되고 있다. 기저귀(1A)는 접착제(31)가 대략 평활한 합성 수지층(30)에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6)에 대한 접착제(31)의 발림이 좋고, 테이프 파스너(6)의 고정부(22)를 고착하여야 할 대상물이 섬유 부직포(18)로서 그 외면이 거칠고 평활하지 않더라도 고정부(22)의 고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 고정부(22)를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에 확실하게 고착할 수 있다.
테이프 파스너(6)는 그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이다. 기저귀(1A)는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이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다고 해도 미끄러짐 마찰이 테이프 파스너(6)에 약간 밖에 작용하지 않는다.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를 초과하면,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을 때에, 착의로부터 테이프 파스너(6)에 큰 미끄러짐 마찰이 작용하여, 미끄러짐 마찰에 의해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가 뒤틀리거나 말리려고 하여 서로 걸어 맞추는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타겟 테이프(7)에 전단력이나 박리력이 작용한다. 즉, 동마찰 계수가 0.4를 초과하면,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타겟 테이프(7)의 걸어 맞춤을 유지할 수 없어, 기저귀(1A)의 장착 중에 자유부(23)가 타겟 테이프(7)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는 JIS K 7125에 준거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동마찰 계수의 측정의 개략을 도 7에 도시한다.
(1) 동마찰 계수의 측정에는 평활한 하면(50a)을 갖는 가동추(50)와, 평활한 상면(51a)을 갖는 고정대(51)를 사용한다. 기저귀(1A)에 부착하기 이전의 테이프 파스너(6)로부터 폭 치수 30 mm, 길이 치수 30 mm의 동마찰 계수 측정용 샘플(52)을 작성하는 동시에, 염색 견뢰도 시험(JIS L 0803)에 사용되는 백포(53)(솜, 카나킨 3호)를 준비한다.
(2)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샘플(52)을 가동추(50)의 하면(50a)에 고정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백포(53)를 고정대(51)의 상면(51a)에 고정한다. 가동추(50)는 그 중량이 58 g이며, 그 하면에 6.47/c㎡의 가중이 걸려 있다.
(3) 동마찰 계수의 측정에서는 가동추(50)를 도 7에 화살표 N1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10 cm/min의 속도로 이동시킨다. 동마찰 계수는 가동추(50)를 5 cm 이동시키는 동안의 마찰력으로부터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동마찰 계수를 식: μ = FD/FP에 의해 산출한다. 여기서 μ는 동마찰 계수이며, FD는 가동추를 5 cm 이동시키는 동안의 마찰력이다. FP는 측정용 샘플(52)과 백포(53)의 접촉면에 화살표 N2로 나타내는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기저귀(1A)에서는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타겟 테이프(7)를 걸어 맞췄을 때의 이들의 걸어 맞추는 힘이 0.3~8.0 N/(테이프 파스너의 폭 치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 맞추는 힘이 0.3 N/(테이프 파스너의 폭 치수) 미만에서는,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였다고 해도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을 때에,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가 타겟 테이프(7)로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타겟 테이프(7)의 걸어 맞추는 힘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걸어 맞추는 힘의 측정에는 측정 장치로서 SHIMAZU사 제조의 오토그래프(소프트웨어: SHIMAZU사 제조 Trapezium Ver.1.22)를 사용하고, 기타, 135° 박리 측정용 지그(척 사이의 수직 축에 대하여 45° 기울어진 평면을 가지고, 그 하단을 오토그래프의 하부 척에 고정 가능하게 가공한 알루미늄제 지그), 압착 롤러(직경: 100 mm, 폭: 44 mm, 중량: 700 g, 경도: HS70의 롤러, 5 mm/sec에서 왕복 이동 가능), 스테인레스판(스테인레스제의 평판, 두께: 2~5 mm), 검 테이프(gumm tape) 2장(닛토덴코 제조 N753, 치수 50 mm × 70 mm), 금속제 클립을 사용했다.
(2) 기저귀(1A)로부터 테이프 파스너(6)를 절취하여 걸어 맞추는 힘의 측정용 제1 샘플을 작성하는 동시에, 기저귀(1A)로부터 타겟 테이프(7)의 가로 방향의 치수를 2분하도록 타겟 테이프(7)의 대략 절반을 절취하여 걸어 맞추는 힘의 측정용 제2 샘플을 작성한다. 다음에, 오토그래프의 상부 척이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의 손잡이 부분(25)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부분(25)의 양면에 검 테이프를 접착한다.
(3) 스테인레스판의 평활한 상면에 제2 샘플을 놓는다. 제2 샘플은 주름을 늘인 상태에서, 스테인레스판의 상면에 한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다음에, 제2 샘플 위에 제1 샘플을 놓고, 압착 롤러를 사용하여 제1 샘플의 훅(24)과 제2 샘플의 루프(26)를 걸어 맞춘다(압착 조건: 이동 속도 5 mm/min에서 제1 샘플의 길이 방향으로 1왕복). 오토그래프의 하부 척으로 135° 박리 측정용 지그의 하부를 끼우는 동시에, 오토그래프의 하부 척으로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의 손잡이 부분(25)(검 테이프를 포함함)을 끼운다. 오토그래프의 측정 조건은 로드셀 = 50 N, 시험력 레인지 = 10 N, 인장 속도 = 300 mm/min, 상부 척과 135° 박리 측정용 지그의 거리 = 50 mm이다.
(4) 상부 척과 하부 척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샘플과 제2 샘플에 박리력을 작용시켜, 제1 샘플과 제2 샘플이 박리할 때의 힘을 측정한다. 제1 샘플과 제2 샘플이 박리할 때의 힘을 10회 측정하고, 10회 측정한 값의 평균치를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타겟 테이프(7)의 걸어 맞추는 힘으로 한다.
도 8, 9는 다른 일례로서 도시하는 기저귀(1B)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8의 IX-IX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중 테이프 파스너(6)와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L로 나타내고, 세로 방향을 화살표 M으로 나타낸다. 또, 섬유 부직포(34)의 내면이란, 착용자의 피부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고, 부직포(34)의 외면이란 착용자의 피부에 비대향하는 면을 말한다.
기저귀(1B)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 및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3)와, 표리면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코어(4)와, 1쌍의 누설 방지 시트(5)를 주요한 구성 부재로 한다. 기저귀(1B)는 이들 구성 부재 외에, 가요성의 1쌍의 테이프 파스너(6)를 갖는다. 기저귀(1B)는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 둘레 영역(8) 및 뒤 몸통 둘레 영역(10)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8,10)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9)을 구비하고,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a)의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드 플랩(11)과,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b)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12, 13, 14)을 갖는다. 기저귀(1B)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8, 10)의 사이드 플랩(12, 14)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가랑이 영역(9)의 사이드 플랩(13)의 가로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 크고,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 시계형을 나타낸다.
표면 시트(2)는 도 1의 그것과 동일한 친수성 섬유 부직포(15)로 형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3)는 부피가 큰 소수성 섬유 부직포(34)(제2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34)는 서로 교락하는 폴리올레핀계의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권축 섬유(35)로 만들어져 있다. 코어(4)는 표리면 시트(2, 3) 중 적어도 한쪽에 고착되어 있다. 누설 방지 시트(5)는 도 1의 그것과 동일한 소수성 섬유 부직포(18)로 형성되어 있다.
엔드 플랩(11)은 코어(4)의 단 가장자리(4a)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2)의 단부(2a)와 이면 시트(3)의 단부(3a)로 형성되어 있다. 엔드 플랩(11)에서는 표리면 시트(2, 3)의 단부(2a, 3a)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엔드 플랩(11)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9)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9)는 표면 시트(2)의 단부(2a)와 이면 시트(3)의 단부(3a)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2, 3)의 내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2, 13, 14)은 코어(4)의 측 가장자리(4b)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2, 3)의 측부(2b, 3b)와 누설 방지 시트(5)의 고정 측부(5a)로 형성되어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8, 10)의 사이드 플랩(12, 14)에서는 표면 시트(2)의 측부(2b)와 누설 방지 시트(5)의 측부(5a)가 코어(4)의 측 가장자리(4b)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이들 측부(2b, 5a)로부터 더욱 가로 방향 외측으로 이면 시트(3)의 측부(3b)가 연장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2, 14)은 그 대부분이 이면 시트(3)의 측부(3b)로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9)의 사이드 플랩(13)에서는 표면 시트(2)의 측부(2b)가 코어(4)의 측 가장자리(4b)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고, 측부(2b)로부터 더욱 가로 방향 외측으로 이면 시트(3)의 측부(3b)와 누설 방지 시트(5)의 측부(5a)가 연장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2, 13, 14)에서는 이들 시트(2, 3, 5)의 측부(2b, 3b, 5a)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9)의 사이드 플랩(13)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 형상의 다수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20)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20)는 이면 시트(3)의 측부(3b)와 누설 방지 시트(5)의 측부(5a)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3, 5)의 내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누설 방지 시트(5)는 코어(4)의 측 가장자리(4b)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측부(5a)와, 표면 시트(2)의 상측으로 기립 성향을 갖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동부(5b)와, 엔드 플랩(11)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 내측으로 도복한 고정 양단부(5c)를 갖는다. 가동부(5b)의 상측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21)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고정 양단부(5c)는 표면 시트(2)의 단부(2a)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가동부(5b)는 표면 시트(2)의 상측으로 기립하여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
테이프 파스너(6)는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에 배치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6)는 사이드 플랩(14)의 가로 방향 외단부(14a)에 고착된 고정부(22)와, 고정부(22)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자유부(23)를 갖는다. 자유부(23)의 내면에는 기저귀(1B)의 두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훅(24)(고정 수단)이 부착되어 있다. 자유부(23)에는 그 앞단에 손잡이 부분(25)이 형성되어 있다. 자유부(23)는 훅(24)을 통해 이면 시트(3)[부직포(34)]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다.
테이프 파스너(6)는 서로 교락하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27)로 형성된 섬유 부직포(28)(제1 섬유 부직포)와, 섬유 부직포(28)의 외면의 대략 전체에 코팅된 열가소성 합성 수지(29)로 구성되어 있다. 열가소성 합성 수지(29)는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합성 수지층(30)(제1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다. 부직포(28)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29)를 코팅하기 위해서는 도 1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접촉 도공(코터 도공)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부직포(28)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에는 도 1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스티렌계 중 적어도 1종류의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에는 동일한 종류의 합성 수지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에 다른 종류의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합성 수지 섬유(27)와 합성 수지층(30) 중 한쪽에는 이들의 다른 쪽에 사용된 합성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합성 수지가 25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합성 수지 섬유(27)의 섬도와 부직포(28)의 평량은 도 1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테이프 파스너(6)에 부착된 훅(24)은 가요성을 가지고,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테이프 파스너(6)의 고정부(22)에서는 합성 수지층(30)에 접착제(31)가 도포되고, 합성 수지층(30)이 접착제(31)를 통해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을 형성하는 이면 시트(3)[부직포(34)]의 측부(3b)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후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에서는 이면 시트(3)를 형성하는 부직포(34)(제2 섬유 부직포)의 외면의 대략 전체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36)가 코팅되어 있다. 열가소성 합성 수지(36)는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합성 수지층(37)(제2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다. 부직포(34)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36)를 코팅하기 위해서는 부직포(28)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29)를 코팅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접촉 도공(코터 도공)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부직포(34)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섬유(35)와 합성 수지층(37)에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폴리올레핀계로서는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스티렌계 중 적어도 1종류의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수지 섬유(35)와 합성 수지층(37)에는 동일한 종류의 폴리올레핀계 합성 수지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합성 수지 섬유(35)에 폴리에틸렌계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성 수지층(37)에 폴리에틸렌계의 합성 수지를 사용한다. 합성 수지 섬유(35)와 합성 수지층(37)에 동일한 종류의 폴리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융점이 대략 동일해지는 동시에 이들의 상용성이 양호해져, 부직포(34)의 외면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36)를 코팅했을 때에 합성 수지 섬유(35)와 합성 수지(36)를 용이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합성 수지 섬유(35)와 합성 수지층(37)에 다른 종류의 폴리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합성 수지 섬유(35)와 합성 수지층(37) 중 한쪽에는 이들의 다른 쪽에 사용된 합성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합성 수지가 25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합성 수지 섬유(35)와 합성 수지층(37)에서의 동일한 종류의 합성 수지의 함유량이 25 중량% 미만이면, 합성 수지 섬유(35)의 융점과 합성 수지층(37)의 융점이 다르거나, 합성 수지 섬유(35)와 합성 수지층(37)의 상용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합성 수지 섬유(35)의 융점보다 합성 수지층(37)의 융점이 높고, 합성 수지 섬유(35)와 합성 수지층(37)의 상용성이 나쁘면, 용융시킨 고온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36)를 부직포(34)의 외면에 코팅하지 않으면, 합성 수지 섬유(35)와 합성 수지(36)를 접합할 수 없고, 고온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36)에 의해 부직포(34)가 필름화되는 경우가 있다. 부직포(34)가 필름화되면,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의 강성이 증가하여 유연성을 잃어, 사이드 플랩(14)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했을 때에 불쾌한 자극을 부여한다.
보호자나 간호자가 기저귀(1B)를 착용자에게 장착하는 순서는 도 1의 그것과 동일하다. 다만, 이 기저귀(1B)는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를 앞 몸통 둘레 영역(8)에 연장되는 이면 시트(3)의 외면에 압박하여, 부직포(34)를 형성하는 권축 섬유(35)에 훅(24)을 걸어 맞춘다. 착용자에게는 장착한 기저귀(1B) 위에 바지나 스커트 등의 착의를 착용시킨다. 기저귀(1B)의 장착 중에 착용자가 움직이면,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치는 동시에,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친다.
기저귀(1B)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29)가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합성 수지층(30)(제1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다고 해도 착의로부터 테이프 파스너(6)에 작용하는 미끄러짐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저귀(1B)에서는 미끄러짐 마찰이 테이프 파스너(6)에 약간 밖에 작용하지 않아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가 뒤틀리거나 밀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서로 걸어 맞추는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이면 시트(3)에 전단력이나 박리력이 작용하는 일은 없어, 자유부(23)가 이면 시트(3)[부직포(34)]의 외면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일은 없다.
기저귀(1B)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36)가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합성 수지층(37)(제2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14)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다고 해도 착의로부터 사이드 플랩(14)에 작용하는 미끄러짐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저귀(1B)에서는 미끄러짐 마찰이 사이드 플랩(14)에 약간 밖에 작용하지 않아, 사이드 플랩(14)이 뒤틀리거나 밀리는 일은 없다. 사이드 플랩(14)의 뒤틀림이나 밀림은 사이드 플랩(14)으로부터 테이프 파스너(6)에 전해지는 동시에, 서로 걸어 맞추는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이면 시트(3)에 이들의 걸어 맞추는 힘을 해제하는 전단력이나 박리력으로서 전해진다. 그러나, 이 기저귀(1B)는 사이드 플랩(14)의 뒤틀림이나 말림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이면 시트(3)에 전단력이나 박리력이 작용하지 않아 자유부(23)가 이면 시트(3)의 외면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일은 없다.
기저귀(1B)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접착제(31)가 테이프 파스너(6)의 고정부(22)의 대략 평활한 합성 수지층(30)에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6)에 대한 접착제(31)의 발림이 좋고, 테이프 파스너(6)의 고정부(22)를 고착하여야 할 대상물이 섬유 부직포(34)로서 그 외면이 거칠고 평활하지 않더라도, 고정부(22)의 고착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어 고정부(22)를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에 확실하게 고착할 수 있다.
테이프 파스너(6)는 그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이다.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를 초과하면,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을 때에, 착의로부터 테이프 파스너(6)에 큰 미끄러짐 마찰이 작용하여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가 뒤틀리거나 말리려고 하여, 서로 걸어 맞추는 테이프 파스너(6)와 이면 시트(3)에 전단력 또는 박리력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기저귀(1B)의 장착 중에 자유부(23)가 이면 시트(3)로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후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은 그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이다. 기저귀(1B)는 사이드 플랩(14)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이기 때문에,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다고 해도 미끄러짐 마찰이 사이드 플랩(14)에 약간 밖에 작용하지 않는다. 사이드 플랩(14)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를 초과하면, 사이드 플랩(14)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을 때에, 착의로부터 사이드 플랩(14)에 큰 미끄러짐 마찰이 작용하여, 사이드 플랩(14)이 뒤틀리거나 말리려고 하여 서로 걸어 맞추는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이면 시트(3)에 전단력이나 박리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즉, 동마찰 계수가 0.4를 초과하면,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이면 시트(3)의 걸어 맞추는 힘을 유지할 수 없어, 기저귀(1B)의 장착 중에 자유부(23)가 이면 시트(3)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의 측정 방법은 도 1의 그것과 동일하다. 사이드 플랩(14)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의 측정 방법은 기저귀(1B)로부터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을 절취하여 폭 치수 30 mm, 길이 치수 30 mm의 동마찰 계수 측정용 샘플을 작성하는 것 이외에는 테이프 파스너(6)의 동마찰 계수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다.
기저귀(1B)에서는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이면 시트(3)[부직포(34)]를 걸어 맞췄을 때의 이들의 걸어 맞추는 힘이 0.3~8.0 N/(테이프 파스너의 폭 치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 맞추는 힘이 0.3 N/(테이프 파스너의 폭 치수) 미만에서는, 테이프 파스너(6)의 외면이나 사이드 플랩(14)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였다고 해도 테이프 파스너(6)나 사이드 플랩(14)의 외면과 착의의 내면이 서로 스쳤을 때에,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가 이면 시트(3)로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와 이면 시트(3)의 걸어 맞추는 힘의 측정 방법은 기저귀(1B)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8)의 가로 방향의 치수를 이분하도록 앞 몸통 둘레 영역(8)의 대략 절반을 절취하여 걸어 맞추는 힘의 측정용 제2 샘플을 작성하는 것 이외에는 도 1의 그것과 동일하다.
표면 시트(2)에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나 미세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면 시트(3)나 누설 방지 시트(5)에는 높은 내수성을 갖는 멜트 블로운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의 적어도 한 면에, 높은 강도와 양호한 유연성을 갖는 스펀 본드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SM 부직포, SMS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표리면 시트(2, 3)나 누설 방지 시트(5), 테이프 파스너(6), 타겟 테이프(7)를 형성하는 섬유 부직포(15, 17, 18, 28, 34)에는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멜트 블로운, 서멀 본드, 스펀 본드, 케미컬 본드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부직포(15, 17, 18, 28, 34)를 형성하는 섬유에는 코어 시스형 복합 섬유, 병렬형 복합 섬유, 이형 중공 섬유, 미다공 섬유, 접합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코어(4)는 입자형이나 섬유형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플러프 펄프의 혼합물, 또는 입자형이나 섬유형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플러프 펄프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의 혼합물이며, 소정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코어(4)는 그 형 붕괴나 폴리머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가 티슈 페이퍼나 친수성 섬유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 시트로 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에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를 사용할 수 있다.
시트(2, 3, 5)끼리의 고착이나 시트(2, 3)에 대한 코어(4)의 고착, 시트(2, 3, 5)에 대한 탄성 부재(19, 20, 21)의 고착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접착제(31)를 포함함]에는 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에는 핫멜트형 접착제 외에, 아크릴계 접착제나 고무계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는 표리면 시트(2, 3)나 누설 방지 시트(5)에 나선형이나 파형, 지그재그형, 도트형, 줄무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를 이들의 형태로 표리면 시트(2, 3)나 누설 방지 시트(5)에 도포하면, 이들 시트(2, 3, 5)끼리 단속적으로 고착되어, 코어(3)가 시트(2, 3)에 단속적으로 고착되는 동시에, 탄성 부재(19, 20, 21)가 시트(2, 3, 5)에 단속적으로 고착된다.
기저귀(1A, 1B)에서는 테이프 파스너(6)의 자유부(23)의 내면에 훅(24)이 부착되어 있지만, 훅(24) 외에, 자유부(23)의 내면에 점착제(고정 수단)를 도포할 수도 있다. 자유부(23)의 내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타겟 테이프(7)에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이 사용된다. 기저귀(1A, 1B)에서는 테이프 파스너(6)의 고정부(22)와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의 고착에, 접착제(31)가 아니라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 등의 열 융착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저귀(1A)의 뒤 몸통 둘레 영역(10)의 사이드 플랩(14)에서는 이면 시트(3)를 형성하는 섬유 부직포(17)(제2 섬유 부직포)의 외면의 대략 전체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36)가 코팅되어, 열가소성 합성 수지(36)가 사이드 플랩(14)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합성 수지층(37)(제2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더라도 좋다.

Claims (7)

  1.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1쌍의 테이프 파스너가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부착되며, 상기 테이프 파스너가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고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면에 형성된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의 외측으로 착탈 가능한 자유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파스너가 서로 교락하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제1 섬유 부직포와, 상기 제1 섬유 부직포의 외면의 대략 전체에 코팅된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합성 수지가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제1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인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부직포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섬유와 상기 제1 합성 수지층에는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스티렌계 중 적어도 1종류의 합성 수지가 사용 되고, 상기 합성 수지 섬유와 상기 제1 합성 수지층 중 한쪽에는 이들의 다른 쪽에 사용된 합성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것이 25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인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서로 교락하는 다수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제2 섬유 부직포와, 상기 제2 섬유 부직포의 외면의 대략 전체에 코팅된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열가소성 합성 수지가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외면에 대략 평활한 제2 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인 기저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외면의 동마찰 계수가 0.4 이하인 기저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 부직포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섬유와 상기 제2 합성 수지층에는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스티렌계 중 적어도 1종류의 합성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합성 수지 섬유와 상기 제2 합성 수지층 중 한쪽에는 이들의 다른 쪽에 사용된 합성 수지와 동일한 종류의 것이 25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인 기저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고정부가 상기 제1 합성 수지층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고착되어 있는 것인 기저귀.
KR1020067002299A 2003-08-05 2004-08-05 일회용 기저귀 KR100779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5918 2003-08-05
JP2003205918A JP3645248B2 (ja) 2003-08-05 2003-08-05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032A true KR20060033032A (ko) 2006-04-18
KR100779929B1 KR100779929B1 (ko) 2007-11-28

Family

ID=3411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299A KR100779929B1 (ko) 2003-08-05 2004-08-05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189220B2 (ko)
EP (1) EP1652502B1 (ko)
JP (1) JP3645248B2 (ko)
KR (1) KR100779929B1 (ko)
CN (1) CN1842311B (ko)
AT (1) ATE554739T1 (ko)
BR (1) BRPI0412937A (ko)
MY (1) MY140894A (ko)
RU (1) RU2322222C2 (ko)
TW (1) TWI236899B (ko)
WO (1) WO2005011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6009349A (es) * 2004-02-18 2007-04-10 Koester Gmbh & Co Kg Cinta de cierre para un articulo higienico, articulo higienico y metodo para producir una cinta de cierre para un articulo higienico.
US8518006B2 (en) 2008-05-30 2013-08-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wear absorbent article with tab
US8152787B2 (en) 2008-05-30 2012-04-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wear absorbent article with disposal tab
USD639936S1 (en) 2008-05-30 2011-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pants
US8162912B2 (en) * 2008-05-30 2012-04-24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Personal wear absorbent article with disposal tab
US8172821B2 (en) * 2008-05-30 2012-05-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wear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adjustment tab
US20090312736A1 (en) * 2008-06-17 2009-12-17 Arquest, Inc. Hybrid stretch ear and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same
DE102008046358A1 (de) * 2008-09-09 2010-03-11 Paul Hartmann Ag Absorbierende Inkontinenzwegwerfwindel
EP2532332B2 (en) * 2011-06-10 2017-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reduced attachment between absorbent core and backsheet
USD699838S1 (en) 2011-06-30 2014-02-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 pattern
CN102885675B (zh) 2011-07-21 2016-04-06 Sca卫生用品公司 腰带和吸收垫之间的摩擦得到改进的腰带式吸收性物品
TWI569789B (zh) * 2011-11-22 2017-02-11 優你 嬌美股份有限公司 Disposable disposable diaper
JP5291215B1 (ja) 2012-03-30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9056032B2 (en) * 2012-06-29 2015-06-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with outwardmost layer of multicomponent fiber nonwoven providing enhanced mechanical features
US20140000070A1 (en) * 2012-06-29 2014-01-02 Arman Ashraf Fastening System Having Multicomponent Fiber Component Providing Enhanced Separation Resistance
JP5291237B1 (ja) * 2012-11-2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150032078A1 (en) 2013-07-29 2015-0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with a visual cue
US9480611B2 (en) 2013-07-29 2016-1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615980B2 (en) 2013-07-29 2017-04-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468569B2 (en) 2013-11-04 2016-10-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and waist elastic with low load loss properties
US9339425B2 (en) 2013-11-04 2016-05-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adapted to enhance gasketing
US9597237B2 (en) 2013-12-31 2017-03-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US9980859B2 (en) 2014-01-31 2018-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 with improved flexibility
US10517778B2 (en) * 2014-02-25 2019-12-31 Tietex International Ltd. Loop fastener material for diaper and related method
JP6272106B2 (ja) * 2014-03-28 2018-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着用物品
JP6349148B2 (ja) * 2014-05-27 2018-06-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400945B2 (ja) * 2014-05-27 2018-10-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3000グラム以下の低体重児用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6069269A1 (en) 2014-10-31 2016-05-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protected fastening system
JP6163534B2 (ja) * 2015-12-28 2017-07-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05714477A (zh) * 2016-03-31 2016-06-29 无锡爱米克斯无纺科技有限公司 亲水亲肤式无纺布
JP6714501B2 (ja) * 2016-12-26 2020-06-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13951B2 (ja) * 2017-06-01 2020-06-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11132642B (zh) 2017-10-03 2021-04-30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吸收性物品
JP6488042B1 (ja) * 2018-03-29 2019-03-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5969A (ja) * 1986-06-03 1987-12-11 Kao Corp 伸縮性を有する止着テ−プ基材
US4710190A (en) * 1986-09-04 1987-12-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aper having improved reinforced area for receiving adhesive fastening tape
US5264281A (en) * 1988-10-18 1993-11-23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tapes for medical or sanitary use
US5308695A (en) * 1988-10-18 1994-05-03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tapes for medical or sanitary use
US5106383A (en) * 1989-07-28 1992-04-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losure systems for diapers and method of preparation
US5019071A (en) * 1989-12-12 1991-05-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hesive fastening tab
DE4033850A1 (de) * 1990-10-24 1992-04-30 Minnesota Mining & Mfg Zu einer rolle endlos aufgewickeltes, zusammengesetztes laminatklebe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rolle des laminatklebebandes
US5234517A (en) * 1990-10-24 1993-08-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laminate adhesive tape coiled in an endless roll form and process for forming the laminate adhesive tape roll
EP0487758B1 (en) * 1990-11-26 1997-03-05 Toyo Eizai Kabushiki Kaisha Disposable diapers
EP0715511A1 (en) * 1993-05-03 1996-06-12 Avery Dennison Corporation Soft diaper tape
KR960704512A (ko) * 1993-09-13 1996-10-09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레이서 일회용 제품의 기계적 패스너를 위한 강화된 랜딩 표면(reinforced landing surface for mechanical fastners on disposable products)
DE69511105T3 (de) * 1995-01-14 2007-02-01 Minnesota Mining And Mfg. Co., Saint Paul Mehrschichtiges verschlusssystem
JP3170435B2 (ja) 1995-08-02 2001-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110694B2 (ja) * 1996-01-26 2000-11-20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H1142249A (ja) * 1997-07-25 1999-02-16 Ykk Corp 使い捨ておむつとその廃棄時の折り畳み固定方法
US6129964A (en) * 1997-11-06 2000-10-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nwov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JP3550063B2 (ja) * 1999-11-30 2004-08-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7524545B2 (en) * 2002-05-16 2009-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coating containing thermoplastic silicone-containing 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2311A (zh) 2006-10-04
JP3645248B2 (ja) 2005-05-11
KR100779929B1 (ko) 2007-11-28
EP1652502A4 (en) 2010-04-21
EP1652502B1 (en) 2012-04-25
CN1842311B (zh) 2010-08-11
TW200509867A (en) 2005-03-16
JP2005052209A (ja) 2005-03-03
RU2322222C2 (ru) 2008-04-20
RU2006101732A (ru) 2007-07-27
BRPI0412937A (pt) 2006-12-26
MY140894A (en) 2010-01-29
EP1652502A1 (en) 2006-05-03
US20050033257A1 (en) 2005-02-10
WO2005011551A1 (ja) 2005-02-10
US7189220B2 (en) 2007-03-13
ATE554739T1 (de) 2012-05-15
TWI236899B (en)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929B1 (ko) 일회용 기저귀
TWI280869B (en) Foam-based fasteners
KR100977026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1208765B1 (ko) 흡수성 물품
US6613032B2 (en) Products, which products are absorbent or can act as supports for absorbent articles
KR101108303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WO2007142145A1 (ja) 吸収性物品
CZ260893A3 (en) A piece of garment
WO2007142147A1 (ja) 吸収性物品
KR100884838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010032735A (ko) 흡수성 제품
MX2011005615A (es) Articulo con barreras activadas con fluido.
JPH10506967A (ja) 繊維ウェブ、及び該繊維ウェブ並びに該繊維ウェブを挿入して含む吸収製品の製法及びその装置
PL172987B1 (pl) Wyrób higieniczny i sposób wytwarzania wyrobu higienicznego
JP5225905B2 (ja) 止着テープおよびこの止着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
MX2011009637A (es) Pañal desechable que tiene una cinta de sujecion con longitud ajustable progresivamente.
WO2007142036A1 (ja) 吸収性物品
KR20030019216A (ko) 개방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20180098317A (ko) 단섬유 부직포, 표면 체결구용 루프 부재, 및 위생 용품
KR100927658B1 (ko)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JP5674459B2 (ja) 吸収性物品
US7258683B2 (en) Absorbent article with detachably connected side flaps having indentations and openings
JP430414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475333B2 (ja) 吸収性製品
JP5791220B2 (ja) 脇用汗取り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